개쓴풀(흰꽃쓴풀) 무엇인가?

쓴풀과 유사한 개쓴풀

 

 

 

 

 

 

 

 

 

 

 

 

[개쓴풀의 어린싹, 자란잎, 꽃봉오리, 꿀샘덩이에 실모양의 털이 구불구불한 장면, 꽃받침,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간보호작용, 청열, 해독, 골수염, 후염, 편도선염, 식욕부진, 설사, 황달형간염, 균리, 소화불량, 탈모증, 피부보호, 해열, 위장을 튼튼히함, 습을 제거, 밥맛이 없을 때, 위염, 황달, 위통, 눈병, 치통, 구창, 급만성 세균성 이질, 복통, 골수염, 후염, 결막염, 개선을 다스리는 개쓴풀

개쓴풀은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이다.

개쓴풀의 학명은
<
Swertia diluta var. tosaensis (Makino) H. Hara, 1950.>이다. 나도쓴풀이라고도 한다. 들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5∼35cm이다. 줄기는 연한 노란빛으로 곧게 서고 가지를 조금 내며 네모진다. 잎은 마주나는데, 밑쪽의 잎은 바소꼴이고 양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길이 2∼5cm, 나비 3∼10mm이다.

9∼10월에 흰 바탕에 연한 자줏빛 줄이 있는 지름 15mm 정도의 꽃이 윗부분 또는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갈래로 갈라지며 바소꼴 또는 넓은 바소꼴이고, 밑쪽이 약간 좁으며 화관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짧다.

꽃잎조각은 길이 8∼12mm이고 선체(腺體)는 갈라진 조각 밑부분에 2개씩 있으며 가장자리에 긴 털이 난다. 열매는 삭과로 화관보다 약간 길고 좁은 달걀 모양이다.

비슷한 종인 쓴풀, 자주쓴풀과 달리 뿌리가 쓰지 않다. 한방에서 소화불량·식욕부진 등에 약용한다. 한국(충남, 충북, 황해),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쓴풀속은 전세계에 약 8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여러종이 자라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쓴풀의 종류로는 개쓴풀, 쓴풀, 자주쓴풀, 흰자주쓴풀, 네귀쓴풀, 별꽃쓴풀, 큰잎쓴풀이 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쓴풀은 키가 5~20센티미터이고 줄기는 곧게 서고 자줏빛이 돌며 전체에 털이 없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한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는 없다. 꽃은 흰색인데 꽃잎이 5장인 하얀꽃잎에 가느다란 자색의 줄 무늬가 그어져 있다.  

쓴풀과 유사하다는 뜻으로 '개쓴풀'이라고 부른다.

개쓴풀의 다른 이름은
일본장아채[日本獐牙菜=rì běn zhāng yá cài=V차이: 백도백과(百度百科)], 이누센부리[イヌセンブリ=犬千振: 일문명(日文名)], 흰꽃쓴풀, 나도쓴풀, 좀쓴풀, 개쓴풀 등으로 부른다.

쓴풀, 개쓴풀, 네귀쓴풀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406면 50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쓴풀

과명/
용담과
학명/
Swertia japonica (Schult.) Makino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 10~25cm. 줄기는 곧추서고 자줏빛이 약간 돈다. 잎은 마주나고 바늘 모양, 길이 2~3.5cm, 너비 2~3mm이다. 꽃은 백색으로 9~10월에 줄기와 가지 끝 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원추 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에 자줏빛의 맥이 있고, 꽃받침은 끝이 5갈래, 꽃부리도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꽃통보다 길다.

분포/
경남(동래, 가야산: jdm 첨부: 필자의 관찰에 의하면 꼭 그렇지는 않다. 경남 일대에서 골고루 발견되고 있다), 경북의 햇볕이 잘 드는 메마른 산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채취/
전초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전초를 당약(當藥)이라고 하며, 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고, 골수염, 후염(喉炎), 편도선염, 결막염, 개선을 치료한다. 고미건위약으로 식욕부진, 설사 및 소화불량에 사용한다.

성분/
swertiamarin, swerside, gentiopicroside, amarogentin, amaroswerin, swertianin, norswertianin, belidiforin, swertisin, swertiajaponnin, isobvixe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물로 달인 액은 위액 분비 항진, 산도 상승, 펩신 작용 저하, lipase 작용 항진 등의 작용이 있다. swertiamarin을 십이지장내에 투여하면 담즙, 췌액 분비가 증가하고, 정맥 내에 투여하면 담즙이 분비된다. amarogentin은 실험 쥐에서 간 보호 작용이 있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일본에서 소화불량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민간약이다. 뿌리에 쓴맛이 적고 꽃이 백색 바탕에 연한 자줏빛 줄이 있는 개쓴풀[S. diluta (Turcz.) Benth. et Hook. var. tosaensis (Makino) Hara], 꽃이 4수성이고 꽃잎에 반점이 있는 네귀쓴풀[S. tetrapetala Pall.]도 약효가 같다.]

흰꽃쓴풀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572~573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흰꽃쓴풀(Swertia tosaensis Makino)

다른 이름:
개쓴풀

식물: 자주쓴풀보다 크다. 꽃은 흰색이다. 쓴맛이 약하여 약으로는 쓰지 않는다.
성분: 전초에 스웨르티아놀, 스웨르니아놀린 C20 H20 O11, 올레아놀산, 스웨르티아마린, 겐티아닌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전초를 쓴맛건위약으로 쓴다.

참고:
겐티아나(Gentiana lutea L.)
식물은 높이 약 1미터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타원형이고 마주 붙는다. 종 모양의 노란색 꽃이 핀다.

유럽 중부와 남부에서 자라거나 유럽 여러 나라에서 널리 심고 있다. 같은 속 식물인 G. pannonica Scopoli, G. purpurea L., G. punctata L. 등도 이용된다. 이 식물들의 꽃은 가지색이거나 노란색 바탕에 가지색 반점이 있다.

뿌리(겐티아나뿌리):
가을에 뿌리와 뿌리 줄기를 캐어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천천히 말린다. 마르면서 특수한 냄새와 색, 맛이 나타나게 된다.

뿌리에 쓴맛 배당체인 겐티오피크린 2%, 아마로겐틴, 겐틴 C25 H28 O14, 노란 색소인 겐티신(2-메톡시-4, 6-디옥시-크산톤)이라는 크산톤 화합물과 3당류인 겐티아노오스(1분자의 과당과 2분자의 포도당) 2.5~3%, 2당류인 겐티오비오스(2분자의 포도당), 자당, 지방 유사물질 6%, 0.5%의 알칼로이드가 있는데 그 주성분은 겐티아닌이다. 쓴맛 건위약, 열물내기약으로 쓴다.
]

개쓴풀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클리서울> 2016년 10월 5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개쓴풀

용담과 쓴풀속의 두해살이풀인 개쓴풀(Swertia diluta (Turcz.) Benth. & Hook. f. var. tosaensis (Makino) H. Hara)은 우리나라 전역의 산과 들의 습지나 물기가 많은 곳에 자란다. 부안에는 부안댐 주변이나 청림 등지에서 관찰된다.

쓴풀은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맛이 쓴 풀이다. 도대체 얼마나 쓰기에 그런 이름이 붙여진 것일까? 쓴풀을 일본에서는 센부리라 부른다는데, 일본의 3대 민간약 재료로 알려진 ‘센부리(千振)’라는 이름은 맛이 아주 써서 천 번을 우려도 한결같이 쓰다고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일본의 의사이자 본초학의 대가인 이누마 요쿠사이(飯沼慾齋, 1782~1865)의 『초목도설(草木圖說)』에도 나오는데, "복통에 잘 듣고 벌레를 죽이는 살충 효과가 있는 식물"로 소개되어 있다.<창씨개명된 우리풀꽃-이윤옥 지음-인물과 사상사-2015>

그런데 이름 앞에 ‘개’자가 붙은 개쓴풀은 쓴 것일까? 어떤 문헌에는 “개쓴풀은 나도쓴풀이라고도 하는데, 다른 쓴풀류처럼 쓴맛이 없다하여 개쓴풀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는가 하면, 또 떤 문헌에는 “개쓴플은 쓴풀보다 덜 쓰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실 필자도 개쓴풀에 관한 글을 진작에 올리려고 했으나, 그때마다 개쓴풀이 쓴풀보다는 덜해도 쓰긴 쓴 것인지, 아니면 위의 어느 기록처럼 쓰지 않은 것인지 확인해 두지 않아 미루어오다가 깨쓴풀 꽃이 피기 시작하는 이제서야 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꽃과 줄기, 잎 등 전체를 입에 넣고 씹자니 쓴 맛이 입안에 번지는데, 그 쓴맛은 쉽사리 가시지 않았다. 변산에서 아직 쓴풀이 발견되지 않아 쓴풀의 쓴 정도는 알 수 없으나, 개쓴풀의 쓴맛은 예전에 입에 넣고 씹었다가 혼이 난 소태나무보다는 덜 써도 내가 맛 본 그 어느 초본식물보다 썼다. 그러나 뿌리에서는 쓴맛이 별로 느껴지지 않았다. 그러니 “개쓴플은 쓴풀보다 덜 쓰다”가 옳은 듯하다.

쓴풀의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는 30cm 정도로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5-30cm이다. 줄기에서 가지가 몇 가닥 갈라지며 전체에는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2-5cm, 폭 0.3-1cm 정도로 긴 타원형으로 잎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9월부터 10월에 걸쳐 피는 꽃은 가지 끝, 또는 위쪽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흰색에 연한 자주색 줄이 나 있다. 꽃의 지름은 지름 1.5~2cm 정도로 작은 편이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5갈래로 갈라지며, 꽃잎 안쪽 밑 부분에는 흰털이 수북이 나 있고 그 털 속에는 두 개의 선체가 숨겨져 있다. 10~11월에 익는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한방에서는 개쓴풀을 소화불량·식욕부진, 청열해독 등에 약재로 쓴다.]

개쓴풀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인터넷 백과사전인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일본장아채(日本獐牙菜)

日本獐牙菜(學名:Swertia dilutavar. tosaensis)為龍膽科獐牙菜屬下的一個變種。 [1]

중문학명(中文學名):
일본장아채(日本獐牙菜)
납정학명(拉丁學名):
Swertia diluta (Turcz.) Benth. et Hook. f. var. tosaensis (Makino) Hara
계(界):
식물계(植物界)
문(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강(綱):
쌍자엽식물강(雙子葉植物綱)
아강(亞綱):
합판화아강(合瓣花亞綱)
목(目):
열화목(捩花目)
과(科):
용담과(龍膽科)
아과(亞科):
용담아과(龍膽亞科)
족(族):
용담족(龍膽族)·용담아족(龍膽亞族)
속(屬):
장아채속(獐牙菜屬)
조(組):
다지조(多枝組)
계(系):
다지계(多枝系)

※ 참조:
중국식물지(
中國植物志) 개쓴풀 상세 자료:

http://www.iplant.cn/frps2019/frps/Swertia%20diluta%20var.%20tosaensis

[목록(目錄)]

1. 형태특징(形態特徵)
2. 생장환경(生長環境)
3. 분포범위(分佈範圍)
4. 주요가치(主要價值)

[형태특징(形態特徵)]

與原變種北方獐牙菜(原變種)的區別為花黃白色。染色體2n=20。 [2]

[생장환경(生長環境)]

生長於海拔820-3100米山坡。

[분포범위(分佈範圍)]

產於青海(海北)、華北地區。朝鮮、日本(模式標本產地)也有分佈。 [2]

[주요가치(主要價值)]

本種在華北地區用於治療황달형간염(黃疸型肝炎),有顯效,並可治療균리(菌痢)소화불량(消化不良)等症。[2]

[참고자료(參考資料)]

1. 日本獐牙菜.植物通[引用日期2013-03-26]
2. 日本獐牙菜.植物智[引用日期2019-12-19].
]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개쓴풀(흰꽃쓴풀) 사진 감상: 1, 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개쓴풀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4,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들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쓴풀(흰꽃쓴풀) 무엇인가?
  2. 고들빼기(고설자) 무엇인가?
  3. 민들레(포공영) 무엇인가?
  4. 방가지똥 무엇인가?
  5. 뽀리뱅이(황암채) 무엇인가?
  6. 사데풀(거매채) 무엇인가?
  7. 쓴풀(당약) 무엇인가?
  8. 씀바귀(고채) 무엇인가?
  9. 왕고들빼기 무엇인가?
  10. 이고들빼기 무엇인가?
  11. 자주쓴풀(장아채) 무엇인가?
  12. 큰방가지똥 무엇인가?

 

 

※ 아래에 미국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다운로드한 개쓴풀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