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망초의
어린잎, 자라는 잎,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한/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혈당강하작용, 청열해독, 조소화, 소화불량, 장염으로 인한 복통, 설사, 전염성 간염, 치은염, 림프절염, 소변출혈(혈뇨+피오줌), 학질(말라리아)[임상보고], 급성전염성간염[임상보고], 치은염,
사교상(뱀에 물린데), 위장염, 급성위장염을 다스리는 개망초
개망초는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 각처의
밭, 들판, 길가, 산비탈에 자라는 국화과 2년생 초본 귀화식물이다.
개망초의
학명은 <Erigeron annuus (Linne) Pers.>이다. 키는
30~100센티미터이고 전체에 털이 많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잎자루가 길며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 양면은 털이 난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대부분
실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연모(緣毛)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꽃은 5~11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모여 산방꽃차례처럼
피며, 흰색인데 가끔 자주색 꽃도 핀다. 머리 모양의 꽃은 지름이
2cm쯤이고 가장자리에 흰색 혀모양꽃이 달리고 가운데에 노란색 관모양꽃이
달린다. 혀모양꽃은 길이 7~8mm이다. 모인꽃싸개는 긴 털이
난다. 열매는 수과이며 우산털이 있다.
비슷하게 생긴 식물로
전국에서 자라는 망초와의 차이는 망초가 잎이 더욱 가늘고 다닥다닥
붙으며, 머리모양꽃은 지름 3mm로서 작으므로 구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실망초, 주걱망초(주걱개망초), 큰망초, 애기망초, 민망초, 산망초(구름망초),
봄망초(대구망초) 등이 자라고 있다.
개망초는 봄에 올라오는 새순이 부드럽고 냄새가
향긋하여 봄나물로 인기가 있다. 너무 흔하다 보니 별로 안알아주는
잡초 중에 하나이다.
개망초의
다른 이름은 일년봉[一年蓬=yì
nián péng=이↘니앤↗펑↗:
천장초:千張草,
장두초:牆頭草,
장모초:長毛草,
지백채:地白菜,
유마초:油麻草,
백마란:白馬蘭: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여완[女菀,
야호:野蒿: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아종소[牙腫消,
아근소:牙根消: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히메죤[ヒメジョオン=姫女菀: 일문명(日文名)], 개망초,
민망초,
버들개망초,
망국초,
개망풀,
왜풀, 넓은잎잔꽃풀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개망초의 뿌리 및 전초를 약용한다."
[성미]
<중약대사전>:
"맛은 싱거우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소화를
돕는다. 소화불량, 장염 설사, 전염성 간염, 림프절염, 피오줌을
치료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전초는 pyromeconic acid를 함유하는데 꽃의 함유량이 최고 0.7%이고
잎은 그 다음 0.14%이며 줄기에 는 미량 함유되어 있다. 꽃에서는
quercetin, apigenin-7-glucuronide가 추출된다. 또 고무를 함유하는데
건조 중량에서 줄기에는 0.09%, 잎에는 0.69%가 들어 있다. 줄기와
잎에는 또 수용성 혈당 강하 성분이 들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줄기, 잎을 petroleum ether, ethyl ether, chloroform으로 세정한 뒤의
추출물은 혈당 강하 작용을 한다."
개망초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일년봉(一年蓬)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개망초[Erigeron annuus (Linne) Pers.]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담담하고 성질은 평하다. 청열해독, 조소화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에
효과가 있고, 장염으로 인한 복통, 설사를 치료한다. 전염성 간염,
림프절염, 소변 출혈에도 응용된다.
성분: pyromeconid
acid, quercetin 등이 확인되었다.
약리작용: 혈당 강하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① 학질에 유효하며, ② 급성전염성간염에
이약물 80그램을 물을 넣고 달여서 1일 2회 복용하고 2주일 후에 일정한
효과를 얻었다.]
개망초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178면 288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일년봉(一年蓬)
기원:
국화과(Compositae)식물인 일년봉(一年蓬) 즉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의 전초이다.
형태:
이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20-100cm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상부에서 분지한다.
근생엽(根生葉)은 총생(叢生)하며 엽신은 난형(卵形) 혹은 도란형(倒卵狀)
피침형(披針形)으로 길이는 4-15cm 너비는 1.5-3cm이고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거친 톱니가 있으며, 경생엽(莖生葉)은 피침형(披針形) 혹은
선상 피침형(線狀 披針形)으로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점점 짧아져서
나중에는 없어진다. 두상화서(頭狀花序)는 배열해서 산방형 원추화서(傘房狀
圓錐花序)를 이루고, 꽃은 백색(白色)이며, 총포(總苞)는 반구형(半球形)이고,
설상화(舌狀花)는 2 내지 여러층이고, 통상화(筒狀花)는 2층의 관모(冠毛)가
있다. 열매는 삭과(瘦果)이며 털이 있다.

분포:
산비탈, 길가 및 밭과 들에서 자란다. 중국의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서 흔히 자란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절단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luteolin, apigenin.
맛과
성질: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항학(抗瘧: 항말라리아).
주치료:
급성위장염(急性胃腸炎), 학질(瘧疾: 말라리아).
용량 및
용법: 하루 30-60g. 치은염(齒齦炎),
사교상(蛇咬傷: 뱀에 물린데)에 신선한 것을 찧어서 즙을 바른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1면.]
◆
개망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소화불량 개망초 20~23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2,
위장염 개망초 80그램, 어성초, 짚신나물 각 40그램을 달여서
꿀이나 설탕을 섞어 아침 저녁에 한 번씩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3,
림프절염 개망초 뿌리잎 120~150그램에 막걸리 40~80그램을 넣어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4, 혈뇨 즉 피오줌 개망초의
신선한 전초나 뿌리 40그램에 꿀이나 설탕을 넣고 물을 붓고 달여서
3일 동안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5, 학질 즉 말라리아(임상보고) 개망초
80그램에 물을 넣고 300밀리리터 정도로 진하게 달여 학질이 발작하기
4시간 전과 2시간 전에 한 번씩 5~7일 간 계속 복용한다.
치료
받은 84례 중에서 치유된 것은 78례(92.9%)였고 간일학(間日瘧)76례중
치유된 것은 72례(94.7%)였다. 악성 학질 8례중 치유된 것은 6례(75%)였다.
신선한 개망초가 건조된 것보다 효과가 좋았다. 항말라리아
작용은 적혈구 내 발육형 말라리아 원충에 대해서만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6, 급성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개망초
80그램을 300밀리리터로 달어 매일 두 번 복용한다. 2주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고 2치료 기간 이상 연속 복용한다. 또 개망초 20그램에
물을 넣고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인진(茵蔯)
가루 10그램을 넣고 고르게 섞어 응고시켜서 만든 정제를 매일 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치료 기간은 위와 같다. 달인 약으로
치료 받은 37례 중 치유가 22례, 현저한 효과가 1례, 호전이 7례로 나타났다.
평균 치유 기간은 43.5일이다. 황달 회복 기간 및 아미노기
전이 효소가 정상으로 회복될 때까지의 기간은 2주일 전후였다. 정제
치료 10례 중 치유가 6례, 호전이 3례로 나타났다. 황달 회복
기간은 평균 19.5일이고 아미노기 전이 효소가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데는 20.2일이 걸렸다. [중약대사전]
외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인 개망초가 전국토를 뒤덮어 버렸다. 이제는 외래종이라기
보다는 토종으로 토착화되어 친금감을 느낀다. 봄부터 가을까지
꽃을 감상할 수 있으며 살랑이는 바람이 불 때 개망초꽃 군락지를 지나가다
보면 그윽한 개망초 꽃 향기가 기분을 즐겁게 한다.
잎이 돋아나는
봄부터 초여름까지 토끼나 소에게 주면 잘 먹는다. 다른 집짐승의
먹이 및 사료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부드럽고 연한 잎을 살짝 데쳐서
찬물에 우려낸 다음 양념을 넣어 무침나물이나 국을 끓여 먹어도 좋다.
전국에 흔한 잡초 개망초가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실로
대단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개망초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참조: 아래의 비슷한 식물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