댕댕이덩굴(목방기) 무엇인가?

질기고 튼튼하여 세공재료로 사용되는 댕댕이덩굴

 

 

 

 

 

 

 

 

 

 

 

 

[댕댕이덩굴의 줄기의 새순, 덩굴과 잎, 암꽃, 수꽃, 푸른 열매, 흰가루 효소가 덮인 익은 열매, 겨울철 흰가루가 없어진 검은 열매와 겨울싹눈,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이뇨작용, 해열작용, 진통작용, 강압작용, 피수위병으로 사지가 붓고 수기가 피부에 있어, 사지가 떨리는 증상, 풍수맥부, 몸이 무겁고 땀이 나는 악성 감기, 격간지음, 기침이 극심하며 심하에 응어리가 생기고 안색이 검고 누래지며 맥이 침긴한 전증세가 수십 일 이어져, 의사가 통하게 해도 낫지 않은 증상, 방광에 물이 고여서 창만하여, 수종이 되려고 하는 증상, 수고창, 각기종통, 폐위(폐결핵)에 의한 천식 폐위(폐결핵)에 의한 각혈로 가래가 많은 증상, 전신의 충에 의한 개선증, 유뇨증(잠자다 무의식중에 자주 오줌을 싸는 야뇨증), 소변삽(오줌소태 및 방광염), 고혈압(임상보고), 부종, 중풍, 수족경련통, 방광에 물이 고인데, 소변불리, 각기, 안면신경마비, 팔다리가 오그라들며 아픈데, 관절염, 신경통, 방광염, 오줌소태, 류마티즘성 관절염, 부스럼, 옴을 다스리는 댕댕이덩굴

댕댕이덩굴은 새모래덩굴과의 낙엽덩굴성식물이다.

댕댕이덩굴의 학명은 <
Cocculus trilobus(Thunb.) DC.>이다. 뿌리는 원기둥 모양이다. 줄기는 목질화되었고 길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작은 가지에는 회백색의 가늘고 보드라운 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의 길이는 1~3cm이다. 잎몸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3개로 얕게 갈라져 있으며 길이는 3~14cm, 너비는 2~9cm이다. 선단은 뾰족하거나 무딘 원형이고 작은 돌기가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잔 물결 모양이고 기부는 약간 심장형 또는 절단형에 가깝다. 양면은 회갈색의 부두러운 털로 덮여 있다. 꽃은 작고 황백색이며 암수 딴그루이다. 취산 화서 모양의 원추 화서는 액생한다.  

수꽃의 꽃받침 조각은 6개이고 2륜이며 달걀 모양 피침형이며 선단은 2개로 갈라졌고 기부 양측은 귀 모양이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짧고 공 모양에 가깝다. 암꽃의 꽃받침 조각, 꽃잎은 수꽃과 비슷하며 퇴화된 수술은 6개이고 심피는 6개인데 분리되어 있다. 핵과는 공 모양에 가까우며 지름은 5~8mm이고 익으면 남흑색이 되며 흰 가루로 덮여 있는데 그 안에 말굽 모양의 종자가 1개 있다. 개화기는 7~8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주로 산비탈, 저지대, 구릉지 및 길가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중국, 북한, 일본에서는 방기(防己)라는 약재는 분류가 좀 복잡하지만, 주로 분방기(함박이)와 목방기(댕댕이덩굴)의 2종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 참조: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서 방기로 사용하는 8가지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분방기
[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S. Moore]
다른 이름:
천금등[千金藤: 본초습유(本草拾遺)], 금선조오구[金線釣烏龜, 분방기:粉防己: 항주약식지(杭州藥植誌)], 공노서등[公老鼠藤, 야도초:野桃草, 폭죽소:爆竹消: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금선조청와[金線弔靑蛙, 조천약고:朝天藥膏, 합발초:合草, 토번서:土番薯, 야서등:野薯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금분한약[金盆寒藥, 산오구:山烏龜: 사천상용중초약(四川常用中草藥)], 한방기[漢防己, 도지공:倒地拱, 금사조별:金絲鱉, 백목향:白木香: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하스노하카즈라[ハスノハカズラ=蓮の葉葛, 이누츠즈라:イヌツヅラ, 야키모치가즈라:ヤキモチカズラ, 센킨토우:センキントウ=千金藤: 일문명(日文名)], [함박이, 함바기: 우리나라]
열매는 둥근 붉은색이 열린다.

2, 광방기
[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Wu]
다른 이름:
방기마두령(防己馬兜鈴: 중약대사전)

3, 목방기
[木防己:
Cocculus trilobus (Thunb.) DC.]
다른 이름:
목방기[木防己], 방기[防己, 해리:解離: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재군행[載君行: 본초몽전(本草蒙筌)], 석해[石解: 본초강목(本草綱木)], 청등향[靑藤香: 양춘현지(陽春縣誌)], 소청등[小靑藤, 백산번서:白山番薯, 청단향:靑檀香, 청풍등:靑風藤, 소갈등:小葛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아오츠즈라후지[アオツヅラフジ=青葛藤, 카미에비:カミエビ, 모꾸보우이:もくぼうい=木防已: 일문명(日文名)], [댕댕이덩굴, 댕강넝쿨, 끗비돗초: 우리나라]
열매는 검은색이 열린다.

4, 이엽마두령
[異葉馬兜鈴: Aristolochia heterophylla Hemsl.]
다른 이름:
한중방기(漢中防己: 중약대사전), [쥐방울덩굴, 방울풀: 우리나라]

5, 방기
[防己: Sinomenium acutum (Thunberg) Rehder et Wilson]
다른 이름:
청등[青藤, 대엽청등:大葉青藤, 토목통:土木通, 토등:土藤, 대청목향:大青木香, 암견수:岩見愁, 배풍등:排風藤: 백도백과(百度百科)], 방기[防己, 해리:解離: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재군행[載君行: 본초몽전(本草蒙筌)], 석해[石解: 본초강목(本草綱木)], Sinomenium acutum (Thunberg) Rehder et Wilson[학명(學名)], 츠즈라후지[ツヅラフジ葛藤, 츠타노하카즈라:ツタノハカズラ, 오오츠즈라후지:オオツヅラフジ大葛藤=大葛篭藤, 아오카즈라:アオカズラ, 아오츠즈라:アオツヅラ=青葛藤, 츠타노하카즈라:ツタノハカズラ, 츠즈라카즈라:ツヅラカヅラ, 츠루후지바카마:ツルフジバカマ, 토츠라:トヅラ, 와보우이:わぼうい=和防己, 아오츠즈라후지:あおつづらふじ=青葛藤, 보우이:ボウイ=防已, 세이토우:セイトウ=靑藤, 타이요우세이요우지:タイヨウセイヨウジ=大葉靑蠅兒, 도토우:ドトウ=土藤, 일본산방기:日本産防己: 일문명(日文名)], Chinese moonseed[영명(英名)], [방기, 청등:靑藤: 우리나라]
열매는 둥근 검정색이 열린다.

6, 편복갈
[
蝙蝠葛: Menispermum Dauricum DC.]
다른 이름:
편복갈[蝙蝠葛, 황조향:黃條香, 방기갈:防己葛, 황근:黃根: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편복등[蝙蝠藤: 담료시효방(澹寮試效方)], 금사조호로[金絲釣葫蘆: 국약적약리학(國藥的藥理學)], 야계두자[野鷄豆子: 길림중약수책(吉林中藥手冊)], 파산앙자[爬山秧子, 산지과앙:山地瓜秧: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소갈향[小葛香, 양류자과:楊柳子: 산동중약(山東中藥)], 광광사[光光, 구포도앙:狗葡萄秧: 요녕경제식물지(遼寧經濟植物誌)], 소청등[小靑藤, 황등근:黃藤根, 황근등:黃根藤, 대엽마두령:大葉馬兜鈴: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구시두[狗屎豆: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마관령[馬串鈴: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금선조합마[金線弔蟆, 십자묘:什子苗: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영파[寧巴: 몽고명(蒙古名)], 청풍등[淸風藤: 중국의 강소(江蘇)], [알마득견농곤[嘎馬得見農: 한국명(韓國名)], 새모래덩굴[황해 방언], 까막덩굴: 우리나라]

7, 회통마두령
[淮通馬兜鈴: Aristolochia moupinensis Franch.]

8, 대엽마두령
[大葉馬兜鈴: Aristolochia kaempferi Willd.]

댕댕이덩굴의 여러 가지 이름은
목방기[木防己=
mù fáng jǐV: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방기[防己, 해리:解離: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재군행[載君行: 본초몽전(本草蒙筌)], 석해[石解: 본초강목(本草綱木)], Cocculus trilobus (Thunb.) DC.[학명(學名)], Snailseed, moonseed[영명(英名)], 청등향[靑藤香: 양춘현지(陽春縣誌)], 소청등[小靑藤, 백산번서:白山番薯, 청단향:靑檀香, 청풍등:靑風藤, 소갈등:小葛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아오츠즈라후지[アオツヅラフジ=青葛藤, 카미에비:カミエビ, 모꾸보우이:もくぼうい=木防已: 일문명(日文名)], 댕강넝쿨, 끗비돗초, 댕댕이덩굴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가을에 캐서 세척하거나 코르크층을 벗겨 버리고 길게 잘라서 굵은 뿌리는 세로로 2~4쪽으로 쪼개어 햇볕에 말린다. 이엽마두령(耳葉馬兜鈴)의 뿌리는 봄, 가을에 채취한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목방기(
木防己)의 건조한 뿌리는 원기둥 모양이고 꼬여져 있다. 길이는 약 15cm, 지름은 1~2.5cm이다. 표면은 흑갈색이고 깊이 함몰하여 꼬여진 홈이 있고 옆으로 긴 껍질눈상 물체와 제거된 지근의 흔적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목질이며 잘 부러지지 않는다. 단면은 황백색이고 비(非) 가루질이며 인피부는 매우 얇고 목질부는 거의 목질화되었으며 방사전 모양의 좁은 도관군(導管群)이 통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냄새가 없고 맛은 약간 쓰다.

중국의 산지는 하남(河南), 섬서(陝西) 등지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초약으로만 사용한다.

상세한 내용은 <흑피청목향(黑皮靑木香)> 조목을 참조하라."


[성분]


<중약대사전>: "목방기의 뿌리에는 trilobine, isotrilobine, magnoflorine, trilobamine, coclobine, menisarine, normenisarine 등 다종류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목방기(
木防己): trilobine은 발열한 토끼에 대해서 해열 작용이 있으며 토끼의 혈압을 하강시키고 혈관을 수축 시킨다. 개구리의 심근 및 골격근을 마비시킨다. 소량으로는 소장, 자궁의 수축을 증강하고 대량인 경우에는 마비시킨다.
 
토끼의 질소 대사에 명백한 영향은 없으나, 개의 림프 형성을 촉진한다. 또한 짚신벌레를 마비시킨다. 파상풍, diphtheria, salmonella 균의 외독소 및 복어 독소에 의한 마우스의 치사 작용에 대해서는 보호 작용이 있다. 토끼의 MLD는 정맥 주사에서 0.05g/kg, 피하 주사에서 0.15g/kg이다. 개구리, 마우스에 피하 주사 했을 때의 MLD는 0.5~1.0g/kg으로 동물의 운동 마비 및 우발성 경련을 일으켜 호흡 부전으로 사망한다. 비알칼로이드성분인 mufangchin A 50mg/kg 또는 B 200mg/kg일 때, rat는 해열 작용(대장균이 들어 있은 스프를 주사해서 발열시킨 것)은 없다. 마우스의 열판법에 의하여 mufangchin A와 B는 진통 작용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mufangchin A의 정맥 주사에 의한 마우스의 LD50은 76mg/kg이며 mufangchin B의 독성은 매우 낮다.

trilobanine(daphnoline)는 중추 신경 계통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다. magnoflorine의 작용에 대해서는 춘목향(春木香) 조목을 참조하라."

[성미]


1, <중약대사전>: "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3, <약성론>: "한방기는 맛은 쓰고 독이 조금 있다. 목방기는 쓰고 맵다."

4, <의학계원>: "맛은 매우 쓰고 성질은 차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방광(膀胱), 비(脾),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2, <본초통현>: "태양경(太陽經)에 들어간다."

3, <본초신편>: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4, <본초재신>: "간(肝), 비(脾),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수(水:
물)를 배출시키고 하초 습열을 사(瀉)하는 효능이 있다. 수종고창(水腫
臌脹), 습열각기(濕熱脚氣), 수족 경련통, 선개창(癬疥瘡)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풍한온학(風寒溫
), 열기(熱氣)로 인한 제간(諸癎)을 치료한다. 사(邪)를 제거하고 대소변을 이롭게 한다."

3, <명의별록>: "수종, 풍종(風腫), 방광염, 상한(傷寒)의 한열사기(寒熱邪氣), 중풍(中風)의 수족 경련 급통을 치료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옹종악결(癰腫惡結)을 산(散)하고 제과개선충창(諸
疥癬蟲瘡)을 치료하며 주리(腠理)를 통하게 하고 구규(九竅)를 이롭게 한다."

4, <약성론>: "
한방기(漢防己): 한방기(漢防己)는 습풍(濕風)으로 인한 구안 와사, 수족 동통을 치료하고 유담(留痰)을 소산(消散)시키며 폐기수천(肺氣嗽喘)을 다스린다.

목방기(木防己): 목방기(木防己)는 남자의 수족 관절의 중풍, 독풍으로 인한 언어 장해를 치료하고 주로 결기옹종(結氣癰腫), 온학(溫
), 풍수종(風水腫)을 산(散)하며 방광병을 치료한다."

5, <의학계원>: "흉중(胸中) <본초발휘(本草發揮)>에서는 <흉중(胸中)>을 <요(腰)>라 한다. 족하부(足下部)의 습열에 의한 심한 종기, 각기를 치료하고 유열(留熱)을 제거한다."

6, <의림찬요>: "심기(心氣)를 사하(瀉下)하고 신(腎)을 튼튼히 하며 비습(脾濕)을 조(燥)하고 수(水)를 배출시켜 아랫부분에까지 이른다."

7, <본초재신>: "습을 거두고 풍사(風邪)를 몰아내며 화(火)를 내리고 혈을 파(破)하며 방광 수종을 치료하고 비위(脾胃)를 튼튼하게 하며 가래를 삭인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5~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배합(配合) 및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음허하고 습열사(濕熱邪)가 없는 환자는 복용에 주의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단얼(段孼: 광물약의 한종류)을 사(使)로 한다. 세신(족두리풀)을 꺼린다. 비해(
萆薢: 도꼬로마)를 두려워한다. 웅황독(雄黃毒)을 해독한다."

3, <약성론>: "목방기는 여완(女
菀: 개망초), 노함(鹵鹹: 간수)을 두려워한다."

4, <이고(李
)>: "상초 습열인 환자는 사용하면 안 된다."

5, <본초경소>: "위허음허(胃虛陰虛)하고 자한도한(自汗盜汗)이 나고 입안이 쓰고 혀가 마르며 신허(腎虛)로 요불리(尿不利) 및 태전(胎前) 산후의 혈허(血虛)에는 사용하면 안 된다. 설령 하초에 습열사(濕熱邪)가 있다해도 사용하면 안 된다."

6, <득배본초>: "기분풍열(氣分風熱), 소변불통자(小便不通者)는 사용하면 안 된다."


댕댕이덩굴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댕댕이덩굴(Cocculus trilobus {Thunb.} DC.)

다른 이름: 댕강넝쿨, 끗비돗초, 목방기

식물:
덩굴뻗는 작은 나무이다. 줄기는 길이가 약 2미터이다. 줄기에 얕게 3개로 갈라진 달걀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황해남도, 강원도 이남의 산기슭, 낮은 산 언덕, 밭 주변, 돌담의 양지에 자란다.

뿌리(목방기):
가을에 캐어 물에 씻고 잔뿌리를 다듬어 햇볕에 말린다. 굵은 줄기도 쓴다.

성분:
뿌리와 줄기에 트릴로빈 C32 H35 O5 N2(녹는점 235℃), 이소트릴로빈 C36 H36 O5 N2(녹는점 215℃), 호모트릴로빈 C20 H21 03 N9, 트릴로바민 C35 H56 O6 N2, 노르-메니사린 C35 H32 O6 N2, 다프놀린, 콕쿨로빈과 같은 제 3급 비스콕쿨라우린형 알칼로이드와 제 4급 염기인 마그노플로린이 있다. 잎에 살충성분인 콕쿨로리딘이 있다.

작용:
트릴로빈은 온혈 동물의 호흡중추와 심장을 마비시킨다. 집토끼에게서 치사량은 정맥 주사할 때 0.05g/kg, 피하주사할 때 0.15g/kg이다.
트릴로빈은 콩팥을 흥분시켜 소변량을 늘리고 열내림작용, 혈압내림작용도 한다. 또한 오줌내기작용은 없다는 자료도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아픔멎이약, 오줌내기약으로 신경아픔, 류마티스성 관절염, 각기, 물고임, 임질, 방광염에 쓴다.  

민간에서는 댑싸리열매와 함께 달인액을 오줌내기약으로 쓴다.

댕댕이덩굴뿌리 달임약(5g:1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부기, 방광염, 각기, 신경아픔,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쓴다.

목방기탕:
댕댕이덩굴뿌리 4그램, 석고 10그램, 계수나무가지, 인삼 각각 3그램으로 200밀리리터 되게 탕약을 만들어 심장과 콩팥의 질병으로 인하여 몸이 부었을 때 하루 3번 나누어 뜨거울 때 먹는다.

참고: 약초를 보관하면 트릴로빈, 이소트릴로빈의 함량은 심히 낮아지고 마그노플로린은 그리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댕댕이덩굴 및 방기와 분방기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방기(木防己)

새모래덩굴과의 낙엽 덩굴나무 댕댕이덩굴(Cocculus trilobus {Thunb.} DC.)의 뿌리이다.

성미: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거풍지통(祛風止痛), 이뇨소종(利尿消腫), 해독(解毒), 하강혈압(下降血壓)

해설: ① 풍습성으로 인한 관절염, 늑간 신경통에 진통 효과가 있다. ② 이뇨 작용이 있어 급성 신우신염,

요로감염증에 쓰이고, ③ 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④ 풍습성 심장병 등에 유효하다. ⑤ 외용으로 뱀에 물린 데 쓰인다.


성분: trilobine, isotrilobine, homotrilob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trilobine은 해열 작용이 있다. ② trilobine을 소량 투여하면 소장, 자궁 흥분 작용이 나타나며, ③ 혈압 강하 작용도 입증되었다.

임상보고: 다리가 달아오르면서 마비감이 있고 아픈 증상에 목방기 10%를 알코올에 60일간 담갔다가 하루 2~3 회 매회 10~20ml씩 10일간 계속 복용하여 효력을 얻었다.

방기(防己)


새모래덩굴과의 낙엽 덩굴나무 분방기[粉防己: Stephania tetrandria S. Moore], 방기[防己: Sinomenium
acutum (Thunberg) Rehder et Wilson]의 뿌리이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효능: 거풍습(祛風濕), 지통(止痛), 이수(利水)
해설: ① 풍습을 제거함으로 사지관절의 동통을 가라앉힌다. ② 수족경련, 중풍, 구안와사에도 쓰인다. ③ 수분의 배설 작용이 현저하여 피부가 부었을 때, 복수가 찼을 때, 각기병등의 증상에 널리 활용된다.  

성분:
여러 종류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tetrandrine, fangchinoline, menisidine, cyclanoline 등이 알려졌다.

약리:
① 중추 신경 계통의 흥분 작용이 있어서 진통 작용을 보이고, ② 관절염에 일정한 소염 작용이 있으며, 과민성 쇼크에 저항 능력이 높아서 해열제와 진통제로 쓰인다. ③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④ 횡문근의 이완 작용을 보인다. ⑤ 기관지 평활근에 작용하여 긴장력을 증가시키고, ⑥ 항균, 항원충,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① 고혈압에 약침 제제로 사용하여 혈압을 내렸고, ② 관상 동맥 질환에도 정맥 주사제로 유효성을 높였으며, ③ 실험성 규폐증에도 효력을 보였다. ④ 폐암도 정맥 주사제로 치료하였다.
]

댕댕이덩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방기(防己) [본초]

새모래덩굴과에 속하는 분방기[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와 댕댕이덩굴[Cocculus trilobus (Thunb.) DC.]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분방기[粉防己; 한방기:漢防己]는 남부의 낮은 산기슭과 밭둑에서 자라고, 댕댕이덩굴[목방기:木防己]은 중부 이남의 낮은 산기슭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가을 또는 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다. 방광경, 소장경에 작용한다. 소변을 잘 누게 하고 하초의 습열과 풍을 없애며 통증을 멈춘다. 

분방기의 성분 시노메닌은 진통작용, 소염작용, 해열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을 나타내고 댕댕이덩굴의 성분 트릴로빈은 이뇨작용, 해열작용, 진통작용, 강압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부종, 소변불리, 각기, 안면신경마비, 팔다리가 오그라들며 아픈 데, 관절염, 신경통, 류마티즘성 관절염, 부스럼, 옴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 

방기 및 댕댕이덩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피수위병(皮水爲病)으로 사지가 붓고 수기가 피부에 있어, 사지가 떨리는 증상

방기 113g, 황기(黃
) 113g, 계피 113g, 복령 225g, 감초 75g 물 6되로 2되가 되게 달여서 더운 것을 3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방기복령탕(防己茯苓湯)]

2, 풍수맥부(風水脈浮), 몸이 무겁고 땀이 나는 악성 감기

방기 37.5g, 감초 19g, 백출 28g, 황기 40g(거로:去蘆), 마두(麻豆) 크기로 부수어 1회에 19g을 생강 4편, 대추 1개, 물 반컵으로 8할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온복한 후 한참 후에 다시 복용한다. 복용 후에 피부 속을 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 같은 느낌이 있고 허리 아래가 얼음 처럼 찬 느낌이 있으면 이불 위에 앉아서 허리 아래를 다른 이불로 두르고 덥게 하여 땀을 조금 나게 한다. [금궤요략(
金匱要略), 방기황기탕(防己黃湯)]

3, 격간지음(膈間支飮), 기침이 극심하며 심하에 응어리가 생기고 안색이 검고 누래지며 맥이 침긴(沈緊)한 전증세가 수십 일 이어져, 의사가 통하게 해도 낫지 않은 증상

목방기 113g, 석고 12개(계란 크기), 계지 75g, 인삼 150g, 물 6되로 달여서 2되가 되게 하여, 나누어 데워서 복용한다. [금궤요략(
金匱要略), 목방기탕(木防己湯)]

4, 방광에 물이 고여서 창만하여, 수종이 되려고 하는 증상

한방기(漢防己) 7.5g, 차전(車前), 구채자(
菜子: 부추씨), 택사(澤瀉) 각 11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절요(本草切要)]

5, 수고창(水
脹)
한방기(漢防己) 37.5g, 생강 19g을 같이 볶아서 물을 가하여 달여서 반 빈속에 복용한다. [본초휘언(
本草彙言)]

6, 각기종통(脚氣腫痛)

한방기(漢防己), 목과(木瓜), 우슬(牛膝) 각 11g. 계지 5푼, 지각(枳殼: 탱자의 익은 열매) 3.7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절요(
本草切要)]

7, 폐위(肺
: 폐결핵)에 의한 천식
한방기를 미세한 분말로 하여 1회 11g을 장수(漿水: 오래끓인 좁쌀 미음 또는 그 웃물) 1컵과 함께 7할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까지 함께 데워서 복용한다. [유문사친(
儒門事親)]

8, 폐위(肺
: 폐결핵)에 의한 각혈로 가래가 많은 증상
한방기, 정력(
葶藶) 등분(等分)을 가루내어 찹쌀 미음으로 1회 3.75g을 복용한다. [고금경험방(古今錄驗方)]

9, 전신의 충(蟲)에 의한 개선증(疥癬症)

한방기 113g, 당귀, 황기 각 75g, 금은화 37.5g을 술로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절요(
本草切要)]

10, 유뇨증(
遺尿症: 잠자다 무의식중에 자주 오줌을 싸는 야뇨증), 소변삽(小便澀: 오줌소태 및 방광염)
방기, 규자(葵子: 해바라기씨), 방풍(防風) 각 37.5g을 물 5되로 2.5되가 되게 달여서 3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가루내어 복용하여도 좋다. [천금방(
千金方)]

11, 고혈압
(임상보고)
한방기(漢防己)에서 추출한 알칼로이드 hanfangchin A에는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보통 정제의 내복으로 하루에 120mg을 3회에 나우어 복용한다. 혈압이 아주 높으면 180mg까지 늘린다. 110례의 2기 및 3기 환자를 관찰한 결과 복용 2~7개월 후에 현효가 13례, 유효가 26례, 일반 치료 효과가 24례, 무효가 47례이며 총유효율은 55%였다. 또한 1회 120mg을 1일 2회, 주사제의 정맥 주사를 해도 좋다. 200례 정도 사용한 결과, 치료 효과는 내복제 보다 뚜렷했으며 작용도 빠르고 갑자기 대폭으로 하강하는 반응도 없고 고혈압 급성 증상의 치료에는 유효하고 적절한 약제이다. [중약대사전]


방기는 진통작용, 소염 및 항과민 작용, 순환계에 대한 작용, 횡문근에 대한 작용, 평활근에 대한 작용, 항균, 항원충, 항악성 종양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댕댕이덩굴은 질기고 튼튼하여 가정에서 세공재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특히 부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고 작은 바구니를 만드는데 대단히 유용한 재료이기도 하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댕댕이덩굴 사진 감상: 1, 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댕댕이덩굴의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댕댕이덩굴(목방기) 무엇인가?
  2. 등칡(큰쥐방울) 무엇인가?
  3. 마두령(馬兜鈴) 무엇인가?
  4. 방기(청등) 무엇인가?
  5. 새모래덩굴(편복갈) 무엇인가?
  6. 이엽마두령(耳葉馬兜鈴) 무엇인가?
  7. 쥐방울덩굴(북마두령) 무엇인가?
  8. 함박이(분방기)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댕댕이덩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