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롱꽃,
섬초롱꽃, 자주초롱꽃, 금강초롱꽃의 모습, 사진출처: jdm 직접 촬영
및 구글 이미지 검색]
▶
청열, 해독, 지통, 인후염, 어린순 봄나물용, 두통을 다스리는 초롱꽃
초롱꽃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Campanula punctata>이다.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어가는 가지가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꼴의 심장 모양이다. 줄기잎은 세모꼴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흰색 또는 연한 홍자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긴 꽃줄기 끝에서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관은 길이 4∼5cm이고
초롱(호롱)같이 생겨 초롱꽃이라고 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갈래조각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씨방은 하위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고 9월에 익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방향성 식물이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짙은 자주색 꽃이 피는 것을 자주초롱꽃(var.
rubriflora)이라고 한다.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은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그 외에도 검산초롱꽃(Hanabusaya latisepala)은 평안북도와 함경남도의 심산지역에서 자생한다. 아종에는 흰금강초롱꽃(H.
asiatica Nakai for. alba T. Lee)이 있다.
초롱꽃의
여러 가지 이름은 자반풍령초[紫斑風領草=zǐ
bān fēng
lǐng
cǎo=쯔V빤 ̄펑 ̄링V차오V:
장백산식물약지(長白山植物藥誌)], 등롱화[燈籠花, 적종화:吊鍾花, 산소채:山小菜: 백도백과(百度百科)], 호타루부쿠로[ホタルブクロ=蛍袋: 일본명(日本名)],
초롱꽃,
섬초롱꽃,
검산초롱꽃,
금강초롱꽃,
흰금강초롱꽃,
자주초롱꽃
등으로 부른다.
초롱꽃
및 섬초롱꽃, 자주초롱꽃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481면 60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초롱꽃(Campanula
punctata Lamarck) [초롱꽃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00cm. 꽃은 백색 또는 연한 홍자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으며, 6~8월에 핀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분포/
전국의 산과 들 풀밭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자반풍령초(紫斑風領草)라고 하며, 청열, 해독, 지통의 효능이 있고,
인후염과 두통을 치료한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꽃이
짙은 자줏빛인 자주초롱꽃(var. rubriflora Makino), 잎이 두껍고 윤체가
나며 꽃받침의 맥이 뚜렷한 섬초롱꽃[var. takesimana (Nakai) Y. Lee]도
약효가 같다.]
초롱꽃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190면 137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반풍령초(紫斑風鈴草)
기원: 길경과(桔梗科=초롱꽃과: Campanulaceae)식물인 자반풍령초(紫斑風鈴草=초롱꽃: Campanula punctata Lam.)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며 높이는 15-30cm이다. 줄기는 단일하거나 중부이상에서 분지한다. 근생엽(根生葉)은 난원형(卵圓形)이고 짧은 유모(柔毛)가 있으며, 줄기 중간의 잎은 짧은 자루를 가지고있고, 상부의 잎은 자루가 거의 없고 난형(卵形)이거나 협난형(狹卵形)이고 기부(基部)가 아래로 늘어져있다. 꽃 한송이가 정생(頂生)하거나 여러 송이가 엽액(葉腋)에서 나고, 꽃은 크며 종상(鐘狀)이고 아래로 늘어져있고, 꽃받침은 5열(裂)하고 열편(裂片)은 피침상(披針狀) 협삼각형(狹三角形)이며 화관은 5갈래로 얕게 갈라지는데 화통(花筒)은 긴 종모양이며 백색(白色)인데 자색(紫色)의 반점이 있으며, 수술은 5개이며, 자방하위이고 암술머리는 3열(裂)한다. 삭과(蒴果)이다.

분포: 산지, 길가, 관목 숲 혹은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중국 대부분의 지방에 분포.
채취 및 제법: 7-8월에 전초(全草)를 베어서 진흙과 잡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뿌리- companulin, inulin.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지통(止痛).
주치: 인후염(咽喉炎), 두통(頭痛).
용량: 5-10g.
참고문헌: 장백산식물약지(長白山植物藥誌),
1089면.]
초롱꽃의 효능에 관하여 중국의 인터넷백과사전인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반풍령초(紫斑風鈴草)
紫斑風鈴草(學名: Campanula punctata Lam.): 全體被剛毛,具細長而橫走的根狀莖。莖直立,粗壯。基生葉心狀卵形;莖生葉三角狀卵形至披針形。花頂生於主莖及分枝頂端,下垂;花萼裂片長三角形;花冠白色,帶紫斑,筒狀鍾形。蒴果半球狀倒錐形。種子灰褐色,矩圓狀,稍扁。花期6-9月,果期9-10月。
生於山地林中、灌叢及草地中,在南方可至海拔2300米處。分布於中國、朝鮮、日本和前蘇聯遠東地區。(概述圖片參考資料來源: [1] )
中文學名 紫斑風鈴草 拉丁學名Campanula punctata Lam. 別 稱 燈籠花、吊鍾花、山小菜 界 植物界 門被子植物門 綱雙子葉植物綱 亞 綱合瓣花亞綱 目桔梗目 科桔梗科 亞 科桔梗亞科 族風鈴草族 屬風鈴草屬 種 紫斑風鈴草 命名者及年代 Lam.,1785
[목록(目錄)]
1, 형태특정(形態特征) 2, 분포정황(分布情況) 3, 생장습성(生長習性) 4, 번식방식(繁殖方式) 5, 재배기술(栽培技術)
▪ 묘기관리(苗期管理) ▪ 상분후관리(上盆後管理)
6, 병충방치(病蟲防治)
▪ 수병(鏽病) ▪ 백분병(白粉病) ▪ 엽반병(葉斑病) ▪ 아충(蚜蟲) ▪ 홍지주(紅蜘蛛) ▪ 계마(薊馬
7, 약용가치(藥用價值) 8, 식물문화(植物文化)
1, 형태특정(形態特征)
多年生草本,全體被剛毛,具細長而橫走的根狀莖。莖直立,粗壯,高20-100厘米,通常在上部分枝。基生葉具長柄,葉片心狀卵形;莖生葉下部的有帶翅的長柄,上部的無柄,三角狀卵形至披針形,邊緣具不整齊鈍齒。
花頂生於主莖及分枝頂端,下垂;花萼裂片長三角形,裂片間有一個卵形至卵狀披針形而反折的附屬物,它的邊緣有芒狀長刺毛;花冠白色,帶紫斑,筒狀鍾形,長3-6.5厘米,裂片有睫毛。
蒴果半球狀倒錐形,脈很明顯。種子灰褐色,矩圓狀,稍扁,長約1毫米。花期6-9月,果期9-10月。 [2-3]
2, 분포정황(分布情況)
紫斑風鈴 紫斑風鈴草(8張) 生於山地林中、灌叢及草地中,在南方可至海拔2300米處。產東北、內蒙古、河北、山西、河南(西部)、陝西、甘肅(東部)、四川(東北部)、湖北(西部)。朝鮮、日本和前蘇聯遠東地區也有。模式標本采自日本。 [2-3]
3, 생장습성(生長習性)
喜夏季涼爽、冬季溫和的氣候,喜光照充足環境,可耐半陰。風鈴草對溫度比較敏感,生長適溫爲13℃-18℃,發芽適溫爲20℃-22℃,冬季溫度低於2℃則停止生長,莖葉開始枯黃。夏季28℃以上的高溫對植株生長不利,30℃-35℃以上的高溫,植株葉片會變黃脫落,甚至全株枯萎。
風鈴草喜幹耐旱,忌水濕。因此,在雨天過多或土壤排水不良情況下生長不好,導致葉片變黃,植株細長,節間伸長,花朵變小,可通過控制澆水調節植株高度。
風鈴草對土壤要求不嚴,以含豐富腐殖質、疏松透氣的沙質土壤爲好。基質pH值在5.5-6.2之間爲宜。 [4]
4, 번식방식(繁殖方式)
分株繁殖是多年生風鈴草增殖的最簡單方法,特別是地下根莖發達的種類。由根莖上的隱芽萌發出新芽,帶著根段分栽新芽,即成獨立的新植株;分株繁殖的季節以春季植株返青後,新芽陸續出土有2-3片小葉時爲好;生態環境優良的株叢到栽植的第3年時已十分擁擠,必須分栽,否則,株叢過密,通風不良,莖細葉小,植株到伏,開花不良,甚至遭受病蟲危害。
在種源稀缺的情況下,春季也可用扡插法繁殖,插條極易生根。 [5]
5, 재배기술(栽培技術)
▪ 묘기관리(苗期管理) 風鈴草育苗需要相對幹燥的條件,否則極易發生病害而導致幼苗成批死亡。當小苗長出2片葉時,可結合除草進行問苗,使小苗有一定的生長空間。如幼苗生長過密,容易徒長倒伏,影響日後生長。出苗後降低濕度,基質應稍潤濕,但不應浸透。苗期太濕易發生猝倒病,苗期過於幹燥小苗會因缺水而萎蔫。一般在兩次澆水間可讓基質稍幹燥爲宜。風鈴草只需少量施肥,如需幼苗快速生長,可用30-50ppm鈣氮肥噴施。風鈴草發芽不需光照,發芽後要逐漸接受陽光,使小苗能進行光合作用。發芽適溫在白天爲20℃-22℃,夜間爲16℃。溫度低於15℃ 以下小苗生長不良,葉片枯黃,需在溫室播種養護。以肥沃濕潤、排水良好的沙壤土生長最佳,土壤以微酸至微堿性爲適,pH值爲5.5-6.2。土壤多爲強酸性的地區,在種植時宜施適量石灰,以中和pH值。栽培基質配制用園土、甘蔗渣(腐熟) 、雞糞(腐熟) 以6∶3∶1的比例再加少量石灰拌勻。 [4]
▪ 상분후관리(上盆後管理) 當幼苗長出5-6片真葉時可移栽上盆,用口徑爲9-11厘米的花盆進行移植。移植一般在陰天或下午4點以後,種植時不要太深。種後需馬上澆足定根水,使小苗與基質充分接觸,如陽光太強,需用遮陽網適當遮蓋3-4天。風鈴草早期生長較爲零亂,但在後期生長中植株會自然整齊緊湊。風鈴草在生長過程中可不摘心,也可作摘心處理。如需摘心,可在幼苗長至6-8厘米左右時進行,以縮短植株高度,增加側枝及花朵數量。澆水時要做到適時適量,根據盆內基質幹濕度情況和天氣的變化進行。澆水時盆土要見幹見濕,澆則澆透,但不要使盆內積水。陰雨天要少澆或不澆,氣溫高、蒸發量大時要多澆,反之則少澆。植株需肥量中等。種後每周交替施用濃度爲150- 200ppm的氮肥和鉀平衡肥,應避免銨和氮的含量過高。生長旺盛期每15-20天施一次稀薄腐熟餅液肥或人糞液肥。花前增施含磷、鉀的複合肥,可防止花期倒伏,冬季和盛夏則應停止施肥。風鈴草喜長日照,每天14小時光照可以自然開花。風鈴草在陽光充足條件下,植株生長整齊,高度一致,開花整齊,花色鮮豔。半陰條件下,植株生長偏高、花序伸長、花色較淡。冬季無霜的條件下,室內或室外溫度可保持在3℃-5℃ 。室外栽培需覆蓋,3℃ 以下生長緩慢。 [4]
6, 병충방치(病蟲防治)
▪ 수병(鏽病) 主要危害風鈴草的葉片、莖部和芽。葉片發病呈黃綠色的皰狀水斑,後逐漸擴大,皰狀斑破裂後露出紅褐色夏孢堆,病斑周圍的葉組織變爲淡黃色,莖部和芽處的症狀與葉部相似。受害植株生長衰弱,嚴重時葉子焦枯。發病初期可用25% 的粉鏽寧400-600倍液防治。 [4]
▪ 백분병(白粉病) 真菌性病害,常危害葉片,也危害枝條、花柄、花蕾、花芽及嫩梢等。表面常出現一層白色粉狀黴層,後期白粉狀黴層變爲灰色,受害植株矮小,嫩葉扭曲、畸形、枯萎,葉片不開展、變小,枝條畸形等,嚴重時植株死亡。防治方法爲結合修剪,剪除病殘枝並集中燒毀。加強栽培管理,增施磷、鉀肥並控制氮肥的施用量,提高植株的抗病性。選用抗病品種,發病初期或在未發病時進行預防,噴施50%多菌靈可濕性粉劑800-1000倍液,70%甲基托布津可濕性粉劑800倍液,或25%粉鏽寧可濕性粉劑400-600倍液,每周噴一次,連續2-3次,交替使用,對白粉病有特效。 [4]
▪ 엽반병(葉斑病) 初期在葉片上呈水浸狀壞死斑,後迅速變深褐色,病斑上長有明、暗相問的同心輪紋,外圍有黃色暈圈。發病初期及時剪去病斑或病葉,並集中燒毀。發病初期噴灑14%絡氨銅水劑350-500倍液,每隔7-10天一次,連續防治2-3次。 [4]
▪ 아충(蚜蟲) 通常集中在嫩芽、嫩葉、嫩枝上刺吸汁液,造成植株受害部位萎縮變形。蚜蟲還分泌蜜露汙染植株,並誘發煤煙病等病害。可用萬靈600-800倍液或25%魚藤精乳油稀釋800倍液噴殺,也可用40% 速撲殺乳油800-1000倍液噴殺。速撲殺是一種廣譜性的有機磷殺介殺蟲劑,具有觸殺、胃毒和強滲透作用,能滲入植物組織內,對咀嚼式和刺吸式口器害蟲有很好的防治效果。每周噴一次,連續2-3次,對介殼蟲及蚜蟲有特效。 [4]
▪ 홍지주(紅蜘蛛) 多在葉背刺吸葉汁,常造成葉片變色甚至卷曲。可用40%三氯殺蟎醇兌水1000倍液噴殺。 [4]
▪ 계마(薊馬) 以成蟲或若蟲寄生植物上取食幼芽、嫩葉、花和幼果。被害植株生長緩慢,嫩葉被取食後卷曲,芽梢和花受害則凋萎。發病初期可用25% 魚藤精乳油或40%樂果800-1000倍液,或高效薊蚜清或薊馬靈800-1000倍液進行防治。每周一次,連續3-4次,交替使用,效果顯著。 [4]
7, 약용가치(藥用價值)
약용부위(藥用部位):
이전초입약(以全草入藥)。 [6]
채수가공(采收加工):
7-8월할전초(月采割全草)。취니토잡질(去泥土雜質),쇄간(曬幹)。 [6]
주요성분(主要成分): 금함풍령초소(根含風鈴草素: campanulin), 급국당(及菊糖)。 [6]
성미공능(性味功能): 고(苦), 량(涼)。청열해독(清熱解毒),지통(止痛)。 [6]
주치용법(主治用法): 인후염(咽喉炎), 두통등증(頭痛等症)。내용(內用): 5-10극(克)。전탕내복(煎湯內服)。 [6]
8, 식물문화(植物文化)
大自然在植物界爲人類創造了眾多如風鈴般的花卉,其中在形神方面最貼切的是桔梗科風鈴草屬的植物。這個家族大多數的花朵都猶如風鈴,並由此得名;它們的拉丁屬名與英語的通俗名Bellflower,均用“鈴鐺”一詞來表達。
在英國,人們認爲風鈴草的花朵像天主教坎特伯雷寺院朝聖者手搖的銅鈴,因此又把它稱爲“坎特伯雷之鍾”。 [5] 詞條圖冊 更多圖冊
詞條圖片 詞條圖片(2) 紫斑風鈴草 紫斑風鈴草(8) 紫斑風鈴草全株 紫斑風鈴草全株(14) 紫斑風鈴草枝葉 紫斑風鈴草枝葉(1) 紫斑風鈴草花果 紫斑風鈴草花果(4)
1/2
風鈴草屬
▪ 新疆風鈴草 ▪ 鑽裂風鈴草 ▪ 灰岩風鈴草 ▪ 灰毛風鈴草 ▪ 一年風鈴草 ▪ 長柱風鈴草 ▪ 絲莖風鈴草 ▪ 西南風鈴草 ▪ 流石風鈴草 ▪ 麗江風鈴草 ▪ 聚花風鈴草 ▪ 頭花風鈴草 ▪ 石生風鈴草 ▪ 瀾滄風鈴草 ▪ 藏滇風鈴草 ▪ 藏南風鈴草 ▪ 紫斑風鈴草 ▪ 刺毛風鈴草 ▪ 雲南風鈴草
[참고자료(參考資料)]
1. ホタルブクロ(Campanula punctata Lam.) .flickriver[引用日期2015-01-14] 2. 紫斑風鈴草 Campanula punctata Lam. .中國植物物種信息數據庫[引用日期2015-01-04] 3. 紫斑風鈴草 Campanula puncatata Lam. .中國植物志[引用日期2015-01-04] 4. 淩耿賢,陳少萍.風鈴花的栽培管理.中國花卉園藝[J].2009,18:42-43 5. 龍雅宜.風鈴變奏曲——風鈴草的故事.中國花卉盆景[J].2007,07:2-5 6. 紫斑風鈴草 Zibanfenglingcao .藥用植物圖像數據庫[引用日期2015-01-04].]
초롱처럼
매달려 꽃이 피는 아름다운 초롱꽃 및 섬초롱꽃은 어린잎을 무치거나,
쌈으로 먹을 수 있는 봄나물이다. 데쳐서 무치거나 묵나물을 하기도
하고, 꽃 속에 밥이나 반찬을 넣고 꽃밥을 만들어 먹거나 초무침을 하기도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섬초롱꽃 사진 감상: 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