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취(취나물) 무엇인가?

향기가 좋은 나물중의 나물 참취

 

 

 

 

 

 

 

 

 

 

 

 

[참취의 잎과 전초, 꽃, 줄기,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이담작용, 진통작용, 혈액순환촉진, 황달, 간염, 해소, 장염으로 인한 복통, 골절통, 인후통, 소화불량, 목구멍이 붓고 아픈데, 목적종통, 가래, 건위, 칼에 찔리거나 베일 상처, 부스럼, 타박상, 독사에 물린 상처[임상보고], 요통을 다스리는 참취

참취는 산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참취의 학명은 <
Aster scaber Thunb.>이다. 뿌리잎은 심장형으로 잎자루가 길며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고 꽃이 필 때쯤 말라 죽는다. 1~1.5미터 높이고 곧게 자라는 줄기는 끝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줄기에 어긋나는데 밑 부분의 잎은 뿌리잎과 비슷하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고 잎은 위로 올라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줄기가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털이 더 많이 나 있으며 새 가지 긑에 털이 밀집해 있다. 줄기의 중간부분은 때로는 약간 붉은 색이 난다. 8~10월에 줄기 끝의 산방꽃차례에 흰색 꽃이 모여 핀다. 결실기는 11월이다.  

봄에 돋는 어린순을 '취나물'이라고 하며 산나물로 먹는다. 국화과의 개미취속(자원속)은 전세계에 약 4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0종이 자라고 있다. 각종 쑥부장이 종류, 개미취(자원), 해국, 옹긋나물등이 개미취속에 속하는 식물들이다.

참취의 여러 가지 이름은 동풍채[東風菜=dōng fēng cài=차이, 선백초:仙白草, 산합노:山蛤蘆: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반용초[盤龍草, 백운초:白雲草: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첨엽산고매[尖葉山苦, 산백채:山白菜, 소엽청:小葉靑: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시라야마기쿠[シラヤマギク=白山菊: 일문명(日文名)], 나물취, 암취, 참취, 취나물 등으로 부른다.

취나물의 뿌리를
동풍채근[東風菜根: 중국약식지(
中國藥植誌)], 찬산구[鑽山狗: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흘답약[疙瘩藥, 초삼칠:草三七: 귀주초약(貴州草藥)] 등으로 부른다.

[성분]


<중약대사전>: "뿌리에는 squalene, friedeline, friedelan-3 β-ol과 α-spinasterol이 함유되어 있고, 지상부에는 다량의 coumarins이 함유되어 있다."

[성미]


<전초>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2, <강서, 초약수책>: "맛이 달고 매우며 독이 없다."

<뿌리>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2, <호남약물지>: "맛은 맵고 향기가 나며 독이 없다."

3, <귀주초약>: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다."

[약효와 주치]

<전초>


<중약대사전>: "타박상, 뱀에게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소풍(疏風), 행기(行氣)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장염으로 인한 복통, 골절동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2, <중국약식지>: "후통(喉痛) 및 복통을 치료하며 거풍(祛風)한다."

3, <호남약물지>: "소풍(疏風), 거습(祛濕), 행기(行氣), 건비(健脾), 소식(消食)한다. 골절동통, 한사(寒
)로 인한 복통을 치료한다."

4,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수책>: "거풍열(祛風熱)하고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목적종통(目赤腫痛),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세, 장염으로 인한 복통을 치료한다. "

5, <귀주초약>: "활혈조기(活血調氣), 지혈생기(止血生肌), 소식적(消食積)한다."

[용법과 용량]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18.5~37.5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혹은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가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뿌리거나 짓찧어 바른다."

참취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참취(Aster scaber Thunb.)

식물:
높이 1~1.5미터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꼭지가 길고 날개가 있으며 잎몸은 심장 모양인데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꼭지가 없는 버들잎 모양이다. 가을철에 흰 꽃이 핀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널리 자란다.

성분:
전초에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꽃이삭에 0.37%의 정유, 줄기에 0.14%의 정유, 뿌리에 쿠마린, 사포닌(사포게닌인 시오논), 알칼로이드가 있다.

작용:
전초에는 동물실험에서 뚜렷한 이담작용, 아픔멎이 작용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전초를 간담도질병에 쓴다. 또한 가래약, 건위약으로도 쓴다.
어린잎은 산나물로 먹는다.
]

참취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동풍채(東風菜)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참취(Aster scaber Thunb.)의 지상부와 뿌리이다.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타박손상(打撲損傷), 사상(蛇傷)

해설:
① 타박상에 약물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② 뱀에 물린 데에도 같은 방법을 쓴다.]

참취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동풍채(東風菜) //참취, 나물취// [본초]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참취(Aster scaber Thunb.)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널리 자란다. 여름철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린다. 전초에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정유가 있고 뿌리에 쿠마린, 사포닌, 알칼로이드가 있다.  

약리실험에서 참취는 뚜렷한 이담작용, 진통작용을 나타낸다.  

민간에서 참취를 황달, 간염, 해소, 소화장애, 타박상, 사교창 등에 쓴다. 어린잎은 산나물로 먹는다.

동풍채시호약[방제]:
동풍채 7g, 시호 1g, 감초 1g [처방집]. 유행성간염, 만성간염이 재발하는 시기에 쓴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1~3살 어린이에게는 1.5~2g, 4~8살은 2.5~3g, 9~14살은 3.5~4g을 하루량으로 하여 2~3번에 나누어 식후에 먹는다.]

참취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초>


1, 타박상

취나물 전초를 짓찧어 바른다. [호남약물지(
湖南藥物誌)]

2, 뱀에게 물린 상처

참취 전초를 짓찧어 바른다. [강서, 초약수책(
江西, 草藥手冊)]

<뿌리>

3, 요통

참취뿌리 18.5그램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호남약물지(
湖南藥物誌)]

4, 타박상

참취뿌리를 술에 담가서 먹는다. [귀주초약(
貴州草藥)]

5, 칼에 찔리거나 베인 상처
참취뿌리를 보드랍게 짓찧어 상처에 바른다. [귀주초약(
貴州草藥)]

6, 뱀에게 물린 상처, 부스럼

참취뿌리의 말린 것을 갈아서 가루내어 바른다. [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7, 독사에게 물린 상처의 치료
[임상보고]
먼저 일반처치를 하고 팔풍혈(八風穴)이나 팔사혈(八邪穴)의 피를 뺀다음 신선한 참취의 뿌리를 짓찧어 상처주위에 바른다. 동시에 신선한 뿌리 37.5그램(말린 것은 1/3)을 달여서 1일 2회 경구투여한다. 일반적으로 1일 1회 약을 바르지만 위중한 환자는 여러 번 바꾸어 바르며 먹는 횟수도 증가한다.

약을 먹은 후 일부 환자들은 토하는데 설탕을 넣어 먹으면 멎는다. 일부 환자는 오렴매(烏
蘞莓), 반변련(半邊蓮), 불갑초(佛甲草), 대부용(大芙蓉), 귀침초(鬼針草), 천남성(天南星), 천심련(穿心蓮) 등을 배합하여 효과를 높였다. 150례를 치료한 결과 3례는 발병이 특별히 급속하고 심하여 다른 치료 방법을 채용하고 나머지 환자는 모두 치료되었다. 치료 기간이 제일 짧은 것은 3일이었고 일반적으로 6~7일이었다. [중약대사전]

산나물하면 가장 흔하면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참취나물에 대해서 각종 의서를 통해 그 효능을 알고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 민간요법을 잘 알 게 되면 데쳐서 먹는 나물 및 묵나물로 먹는 것 외에도 가정의학상식으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취 사진 감상: 1, 2, 3, 4,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참취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곰취 무엇인가?
  2. 구절초 무엇인가?
  3. 긴잎곰취 무엇인가?
  4. 까실쑥부쟁이 무엇인가?
  5. 단풍취 무엇인가?
  6. 무산곰취 무엇인가?
  7. 미역취 무엇인가?
  8. 벌개미취 무엇인가?
  9. 산국(봉래화) 무엇인가?
  10. 수리취 무엇인가?
  11. 우엉 무엇인가?
  12. 화살곰취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참취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