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노랑이 무엇인가?

들판에서 노란꽃이 피는 벌노랑이

 

 

 

 

 

 

 

 

img1.jpg

 

 

[벌노랑이의 잎, 꽃, 익은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청열해독, 지해평천, 풍열해수, 편도선염, 기운을 내리는데, 갈증을 멈추는데, 열을 내리는데, 기침, 천식, 가래가 없는 풍열에 의한 해수, 젖이 잘 나오게 하는데, 안무, 위중비만동통, 습진, 창절, 치질, 하기, 지갈, 열과 허로를 제거하고 보하는 효능, 감기, 인후염, 대장염, 혈변, 이질을 다스리는 벌노랑이

벌노랑이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이다. 노랑돌콩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30cm이다. 밑동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비스듬히 자라거나 퍼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는데, 5개의 작은잎 중 2개는 원줄기에 가까이 붙어 턱잎같이 보이고, 3개는 끝에 모여 달린다. 길이 7∼15mm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작거나 없다.

꽃은 6∼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꽃줄기 끝에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그 조각은 줄 모양 바소꼴이다. 화관은 기판(旗瓣:콩과 식물의 나비 모양 화관을 이루는 5잎의 꽃잎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유난히 큰 꽃잎)이 가장 크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로서 줄 모양이고 길이 3cm 정도로 곧다. 종자는 검은빛이다. 포기째 사료로 쓰거나 뿌리를 강장제나 해열제로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히말라야산맥 등지에 분포한다. 꽃이 3-7개 정도로 많이 달리는 것을 <서양벌노랑이>라고 부른다.

서양벌노랑이의 학명은 <
Lotus corniculatus L.>이다. 들벌노랑이의 학명은 <Lotus uliginosus Schkuhr>이다.
벌노랑이의 이름의 유래는 벌 즉 들판에 나는 노란 꽃이 피는 풀이라는 뜻에서 <벌노랑이>라고 부른다.

벌노랑이의 여러 가지 이름은
광엽백맥근[光葉百脈根=guāng yè bǎi mài gēn=꾸앙바이V마이: 중국식물물종명록(中國植物物種名錄),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 미야코구사[ミヤコグサ=都草, 에보시구사:エボシグサ=烏帽子草=오모자초: 일본명(日本名)], 노랑들콩, 노랑돌콩, 털벌노랑이, 잔털벌노랑이, 벌노랑이 등으로 부른다.

※ 참조:
벌노랑이 및 서양벌노랑이도 같은 종류의 변종으로서 함께 <중약대사전>에서 기록한 서양벌노랑이인 <백맥근(
百脈根)>과 함께 약용함으로 효능은 함께 기록한다.

[채취]


<중약대사전>: "초여름에는 꽃을 채취하고 여름, 가을에 전초를 뽑는다."

[성분]


<중약대사전>: "이 식물은 5, 7, 3', 4'-tetrahydroxy-8-methoxy flavonol 3-o-β-D-galactoside, canaline, oleanolic acid, saponin, galactomannan 및 비타민 B1, 비타민 B2를 함유하고 있다.

꽃은 quercetagetin-3-galactoside와 gossypetin-7-methyether를 함유하고 있다. 종자는 y-L-glutamyl-L-tyrosine과 y-L-glutamyl-L-phenylalanine을 함유하고 있다. 전자의 함유량은 후자의 3~4배이다."

[성미]

<전초>


<당본초>: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고 독이 없다."

<꽃>


<사천상용중초약>: "맛은 싱겁고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전초>


<당본초>: "기(氣)를 내리고 갈증을 멈추고 열을 내리며 허로를 제거하고 부족을 보하는 효능이 있다."

<꽃>


<사천상용중초약>: "열을 내리고 기침을 멎게 하며 천식을 누르고 비만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전초는 가래가 없는 풍열(風熱)에 의한 해수, 위 부위의 비만에 의한 동통, 치질을 치료하고 젖이 잘 나오게 한다. 꽃은 돼지 간, 닭 간과 함께 쪄서 복용하면 안무(眼霧)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전초>


<중약대사전>: "내복: 3~6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 술에 담가 복용하거나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꽃>


<중약대사전>: "내복: 3~6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벌노랑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256면 31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콩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30cm 가량. 꽃은 황색으로 6~8월에 핀다. 열매는 협과로 길이 3cm 가량이며 곧고 바늘 모양이다.

분포/
함남 이남 산기슭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대만, 히말라야에 분포한다.

약효/
뿌리를 백맥근(百脈根)이라고 하며, 하기(下氣), 지갈(止渴), 열과 허로(虛勞)를 제거하고 보하는 효능이 있고, 감기, 인후염, 대장염, 혈변, 이질을 치료한다.

사용법/
뿌리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참고/
싸리나무에 비하여 꽃받침 조각이 뾰족하고 1맥이 있으며, 맨 아래의 것은 통부보다 길다.]

서양
벌노랑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7권 84면 318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백맥근(百脈根)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백맥근(百脈根=서양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L.)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8∼55cm이다. 줄기는 총생(叢生)한다. 소엽(小葉)은 5장인데 2장은 잎자루 부분에 나 있으며 그 나머지 소엽(小葉) 3장은 잎자루의 정단(頂端)에서 나며 모양은 난형(卵形) 혹은 도란형(倒卵形)이고 길이는 4∼20mm로서 잎끝은 급하게 뾰족하고 엽저는 쐐기모양이며 어릴때 긴 유모(柔毛)가 성기게 난다. 꽃은 배열해서 산형화서(傘形花序)를 이루고, 총포(總苞)는 잎모양이며, 꽃받침의 톱니는 삼각형(三角形)이고, 화관(花冠)은 황색(黃色)이며 길이는 약 1cm이고 기판(旗瓣)은 활난원형(闊卵圓形)이며 익판(翼瓣)은 용골판(龍骨瓣)에 비해 약간 길고, 2체(體) 웅예(雄蘂)이며, 자방상위이다. 협과(莢果)는 장원주형(長圓柱形)이고 길이는 2∼3cm이며 자녹색(紫綠色)이다. 종자(種子)는 신장형(腎臟形)이다.



분포:
산비탈 초지 혹은 밭사이 습윤한 곳에서 자란다. 중국의 호남(湖南), 귀주(貴州), 운남(雲南), 사천(四川), 감숙(甘肅), 섬서(陝西)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캐내어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
하기(下氣), 지갈(止渴), 제허로(除虛勞), 보부족(補不足), 청열해독(淸熱解毒), 지해평천(止咳平喘).

주치:
풍열해수(風熱咳嗽), 인염(咽炎), 편도선염(扁桃腺炎), 위중비만동통(胃中痞滿疼痛), 습진(濕疹), 창절(瘡癤), 치창(痔瘡) 등.

용량:
6∼15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1739호 ; 회편(滙編), 하권, 241면.
]

서양벌노랑이 및 벌노랑이에 관하여 중국의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백맥근(百脈根)

학명: Lotus corniculatus Linn.=서양벌노랑이

中國植物志>> 42(2)>> 豆科 Leguminosae >> 百脈根屬 Lotus

2.
백맥근[百脈根: 당본초(唐本草)], 우각화[牛角花: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오엽초[五葉草]

Lotus corniculatus Linn.
, Sp. Pl. 775. 1753; Baker in Hook., f. Fl. Brit. Ind. 2: 91. 1879; Kupr. in Kom., Fl. URSS 11: 291. 1945;
中國主要植物圖說·豆科215. 1955; Chrtková-Zertová Folia Geobot. Phytotax. 2: 283. 1967; Heyn in Davis, Fl. Turkey 3: 525. 1970; Ali in Naisir et Ali, Fl. W. Pakistan 100: 314. 1977.

2a.
백맥근[百脈根: 원변종(原變種)]

圖版59: 1

var. corniculatus

多年生草本15-50厘米全株散生稀疏白色柔毛或禿淨具主根莖叢生平臥或上升實心近四棱形羽狀複葉小葉5葉軸長4-8毫米疏被柔毛頂端3小葉基部2小葉呈托葉狀紙質斜卵形至倒披針狀卵形5-15毫米4-8毫米中脈不清晰小葉柄甚短長約1毫米密被黃色長柔毛傘形花序總花梗長3-10厘米3-7朵集生於總花梗頂端(7) 9-15毫米花梗短基部有苞片3苞片葉狀與萼等長宿存萼鍾形5-7毫米2-3毫米無毛或稀被柔毛萼齒近等長狹三角形漸尖與萼筒等長花冠黃色或金黃色幹後常變藍色旗瓣扁圓形瓣片和瓣柄幾等長10-15毫米6-8毫米翼瓣和龍骨瓣等長均略短於旗瓣龍骨瓣呈直角三角形彎曲喙部狹尖雄蕊兩體花絲分離部略短於雄蕊筒花柱直等長於子房成直角上指柱頭點狀子房線形無毛胚珠35-40莢果直線狀圓柱形20-25毫米2-4毫米褐色二瓣裂扭曲有多數種子種子細小卵圓形長約1毫米灰褐色花期5-9果期7-10

產西北西南和長江中上遊各省區生於濕潤而呈弱堿性的山坡草地田野或河灘地亞洲歐洲北美洲和大洋洲均有分布

本種是良好的微草或飼料莖葉柔軟多汁碳水化合物含量豐富質量超過苜宿和車軸草生長期長能抗寒耐澇在暖溫帶地區的豆科牧草中花期較早到秋季仍能生長莖葉豐盛年割草可達四次由於花中含有苦味甙和氫氰酸故盛花期時牲畜不願啃食但幹草或經青貯處理後毒性即可消失具根瘤菌有改良土壤的功能又是優良的蜜源植物之一

本種由於地理條件或生境上的差異形態變化較大有些學者把難以進一步作明確分類的種都歸入本種作爲綜合種類處理後面幾個我國產的種也可作爲本種廣義的亞種或變種而狹義的種在我國常見的有1個變種

2b. 광엽백맥근[光葉百脈根, 변종(變種)]

var. japonicus Regel=벌노랑이
, Index. Sem. Hort. Petrop. 23. 1864; Kitamura in Kihara, Fauna Fl. Nep. Himal. 166. 1955; Ohashi in Fl. E. Himal. 3: 66. 1975.
——L. japonicus (Regel) K. Larsen in Bot. Tidsskr. 52: 13. 1955.

本變種與原變種區別爲: 莖葉幾無毛花序具花1-3-4萼齒較萼筒稍長或等長

知識共享: 署名-非商業性使用-禁止演繹 1998中國植物志42(2)223PDF.]

벌노랑이의 차이점은 서양벌노랑이나 들벌노랑이에 비해 꽃받침이 털이 없는 점이 다르다. 유럽 원산의 서양벌노랑이는 꽃받침의 통 부분에 털이 없고 갈래조각에만 털이 있는 점이 다르다. 유럽과 아프리카 원산의 들벌모랑이는 꽃받침의 갈래조각과 함께 통 부분에도 긴 털이 있는 점이 다르다.

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벌노랑이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벌노랑이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자리 무엇인가?
  2. 벌노랑이 무엇인가?
  3. 서양벌노랑이 무엇인가?
  4. 자주개자리(알팔파)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벌노랑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