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반 무엇인가?

명반석을 가공처리한 결정체 백반

 

 

 

 

 

 

 

 

 

 

[백반의 원석과 가공한 형태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균작용, 항트리코모나스작용, 수렴작용, 담을 제거하는데, 습사를 제거하는데, 지사, 지혈, 해독, 기생충 구제, 전간, 후두 결핵, 담이 목에 차는 증세, 간염, 황달, 황종, 위 및 십이지장궤양, 자궁탈출증, 백대하, 이질, 비출혈, 혀에 생긴 창, 창치개선, 화상, 벌레에 물린 상처, 우울병에 의한 전간으로 담이나 수액이 자궁으로 분포하는 맥락이나 심장의 구멍을 막고 있는 증상, 풍담전병, 중풍에 의한 담궐, 내치(임상보고), 탈항(임상보고), 자궁 탈출증(임상보고), 화상면의 녹농균 감염을 억제하는데(임상보고), 만성 중이염(임상보고), 두선(임상보고), 고환 초막 수종(임상보고),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만성 세균성 이질(임상보고), 폐결핵에 의한 객혈(임상보고), 위 및 십이지장 궤양(임상보고), 조광형 정신병(임상보고), 전간(임상보고), 사지 수렴이 되지 않고 기체인 증상, 초기 중풍으로 인하여 마소리가 나오지 않고 머리가 멍하며 의식이 희미해지는 증상, 만성 위염, 위 및 십이지장궤양, 폐옹에 의한 발열, 기침을 멈추게 하는데, 담과 연을 삭이고 흉격을 이롭게 하며 번갈을 다스리는데, 후두 결핵, 급성 편도선염,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갑자기 호흡이 곤난해지는 증상, 황종수종, 부인의 월경불순, 자궁 내의 굳은 종양이 낫지 아니하고 위에 울체한 혈액이 있고 백대하가 있는 부인병, 부인이 소변실금을 깨닫지 못하는 증상, 장염, 영아가 더위를 먹고 설사하는 증상, 노인의 오래 된 설사, 휴식리가 장기간 멎지 않고 날이 갈수록 얼굴이 노래지면서 여위는 증상, 회충, 조충병, 심기통, 반위 구토증, 코피가 멎지 않는 증상, 잇몸에서 잇몸 사이의 진액, 출혈이 멎지 않는 증상, 소아의 중설 및 설강, 소아가 아구로 식음을 못하는 증상, 급만성 화농성 중이염, 목예 및 노육, 적목풍종, 난현풍안, 모든 창옹의 악독이나 독충, 뱀, 개에 의한 교상, 정종, 악창, 터진 나력, 칼이나 도끼에 의한 상처, 소아의 배꼽에서 즙액이 멎지 않고 붉게 부운 증상, 황수창, 개선, 화상, 콧속의 군살 때문에 냄새를 맡지 못하는 증상, 코점막의 종기로 냄새가 고약하여 가까이 갈 수 없고 아파서 움직이기 어려운 증상, 액취, 부인의 음양탈을 다스리는 백반

백반(白礬)은 광물성의 명반석(明礬石: Alumen)을 가공처리한 결정체로 만든 약재디다.

가공방법은 삽질을 제거하고 열을 가하여 빨갛게 되면 연기가 다 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꺼내서 분말로 만들어 사용한다. 약효 성분으로는 {{#412}}로 그 중 {{#413}}는 11.4%에 이르고 {{#305}}는 37.0%, {{#414}}는 38.6%, {{#347}} 13.0%이다. 약의 맛은 몹시 심고 떫은 맛이 나며, 약성은 차고 약간의 독성이 있다.

효능은 거담작용이 있어서 가래가 인후를 막고 마비 증상을 일으키는 인후염에 효험을 얻고, 중풍에 담궐(痰厥)로 사지를 못 쓰고 기운이 패색된 것을 풀어 주며, 중풍 초기 증상에 말을 못하고 정신이 혼몽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할 때 풍담(風痰)을 치료한다. 폐결핵으로 열이 심하면서 기침과 가래를 배출하는 증상에 쓰이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번조와 갈증을 일으킬 때도 효력을 보인다.

만성위장 질환과 위 및 십이지장 궤양에 환을 만들어 복용하면 치유되고 급성간염으로 몸이 붓고 노랗게 되며 소변을 잘 못 볼 때 효력을 나타낸다. 부인의 자궁탈수에 수축작용을 얻고 백대하에도 살균작용과 수렴작용으로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살균작용은 피부의 건선과 옴, 임파선염 등에 효력을 나타낸다.

급만성화농성중이염에 용뇌와 같이 분말을 만들어서 귀 안에 삽입하면 농이 그치면서 염증이 그치게 된다. 장염과 어린이의 여름 설사, 노인 설사, 오래된 이질을 그치게도 한다. 화상에도 분말을 만들어 외용한다.

임상적으로는 치질의 내치와 탈홍에 유의성을 인정하였고, 녹농균감염증, 고환염, 폐결핵각혈, 위십이지장궤양 등에 효력을 확증하였다. 1회 0.5∼4g을 쓰고 외용에는 환처에 따라서 사용한다. 비위 허약자는 사용을 금한다.

백반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백반[白礬=
bái fán=바이: 뇌공포자론(雷公炙論)], 석열[石: 산해경(山海經)], 반석[礬石, 우열:羽: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우택[羽澤: 오보본초(吳普本草)], 열석[涅石: 산해경(山海經), 곽박주(郭璞注)], 반석[礬石: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이석[理石: 약성론(藥性論)], 백군[白君, 명반:明礬, 설반:雪礬, 운모반:雲母礬, 생반:生礬: 본초강목(本草綱目)], 명반석[明礬石: 석아(石雅)], Alunite[학명(學名)], 묘우방[ミョウバン=明礬: 일문명(日文名)] 등으로 부른다.

[채취]


<
중약대사전>: "채집한 후 두드려 부수고 물에 용해시킨 다음 그 용액을 증방시켜 농축해서 냉각시켜 결정을 얻는다.

[약재(藥材)]


<
중약대사전>: "
불규칙한 결정체로 크기가 고르지 않다. 무색,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표면이 약간 매끄럽거나 요철(凹凸)이 있고 가늘고 치밀한 세로난 모서리가 있으며 유리 모양의 광택이 있다. 질은 단단하면서도 취약하여 쉽게 부서진다. 냄새가 조금 나고 맛은 약간 달고 떫다. 백색이고 투명하며 질이 단단하고도 취약하며 이물질이 없는 것을 양품으로 한다. 물이나 국리세린(glycerin)에 잘 용해되며 알코올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수용액은 알루미늄염, 칼륨염, 황산염의 각종 반응을 나타낸다.

중국의 감숙(甘肅), 안휘(安徽), 산서(山西), 호북(湖北), 절강(浙江) 등지에서 난다."


[성분]


<
중약대사전>: " 명반석(明礬石)은 KAI3(SO4)2(OH)6이다. 그 가운데서 K2O 11.4%, AI2O3 37.0%, SO3 38.6%, H2O 13.0%이다. 백반(明礬)은 KAI(SO4)2, 12H20이다."

[약리작용]


<
중약대사전>: "1, 항균 작용: 황색 포도상 구균과 변형균(Bacillus proteus)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시험관법). 대장균, 녹농균, 탄저균, 적리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변형균(Bacillus proteus) 및 포도상 구균, 아국창 candida 등에 대해서도 뚜렷한 억제를 하고(디스크법, 평판법), 녹색연쇄구균, 용혈성 연쇄구균, 폐렴구균, 디프테리아균에 대한 작용이 가장 강하며 우형(牛型) 부르셀라균, 백일해균, 수막염구균에 대한 작용은 그 다음이고 인플루엔자 간균에 대해서는 작용이 없다(지편법:紙片法). 고농도의 명반액(明礬液)은 인형(人型: H37Rv) 및 우형(牛型) 결핵균에 대하여서도 억제 작용이 있다.

2, 항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작용:
10%의 명반액(明礬液)은 in vitro에서(배양액과 약액의 비는 1:1), 분명한 항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작용이 있다.

3, 기타 작용:
명반(明礬)에는 수렴 작용이 있으며 내복하면 자극성이 크기 때문에 연선통(鉛仙痛)에 쓰는 외에는 보통 외용으로 하여 지한(止汗), 피부를 경화시킬 수 있으며 또 백대하, 궤양에도 사용된다(농도는 1~5%). 만약 막의 결합에 쓰려면 알부빈 결합제로 만들어야 한다. 그 박에 지혈에 쓰이며 명반(明礬)의 봉(棒)이나 산제를 직접 출혈 부위에 놓는다. 이를테면 코피에는 명반(明礬) 용액을 흠뻑 적신 솜으로 콧구멍을 막는다. 명반수(明礬水) in vitro에서 혈청을 바로 침전시켜, 단백질을 강열하게 응고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4, 독성(毒性):
대량의 명반(明礬)은 자극성이 크고 구강, 후두의 화상, 구토, 설사, 허탈을 일으키며 심할 때에는 사망한다. 중독 후에는 우유로 위를 세척하고 또 마그네슘을 항산성제로 하여 허탈자에게는 대증(對證) 치료를 한다."

[
포제(炮製)]


<
중약대사전>: "
1, <백반(白礬)>: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사용할 때에 잘게 부순다.

2, <
단백반(煅白礬)/소명반(燒明礬)>: 이물질을 제거한 백반(白礬)을 질그릇에 넣고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바싹 마르게 강한 불로 구워서 껴낸 다음 썰어서 덩이로 한다.

3, <
뇌공포자론(雷公炙論)>: 백반(白礬)을 모두 질그릇에 넣고 화중(火中)에서 안팎이 빨갛게 될 때까지 강한 불로 달구어 집게로 뚜껑을 열고 동시에 석봉과(石蜂窠)를 달군 병 안에서 석봉과(石蜂窠)가 없어질 때까지 태워서 집게로 집어내어 식히고 두드려 부수어 주발에 넣어서 갈아 분말로 하여 가옥의 처마 밑에 깊이 5치의 구덩이를 하나 파고 그것을 종이로 싸서 구덩이에 하룻밤 방치했다가 꺼내어 다시 간다. 1회에 10냥을 쓰는데 석봉과(石蜂窠) 6냥이 없어질 때까지 태운다."

[성미]


1, <
중약대사전>: "맛은 시고 떫으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3, <오보본초>: "편작(扁鵲)은 말하기를 짜다고 하였고 뇌공(雷公)은 말하기를 독이 없다고 하였다."

4, <약성론>: "맛은 떫고 성질은 서늘하며 독이 약간 있다."

[귀경(歸經)]


1, <
중약대사전>: "폐(肺), 비(脾), 위(胃), 대장경(大腸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폐(肺), 간(肝) 2경(經)에 들어간다."

3, <장사약해>: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 들어간다."

4, <본초촬요>: "수족태음(手足太陰), 양명경(陽明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
중약대사전>: "담(痰)을 제거하고 습사(濕邪)를 제거하며 지사(止瀉)하고 지혈, 해독,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전간(癲癎), 후두 결핵, 담(痰)이 목에 차는 증세, 간염, 황달, 황종(黃腫), 위 및 십이지장궤양, 자궁탈출증, 백대하, 이질, 코피, 혀에 생긴 창(瘡), 창치개선(瘡痔疥癬), 화상,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한열설리(寒熱泄痢), 백대하, 음식악창(陰蝕惡瘡), 목통(目痛)을 치료한다.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한다."

3, <명의별록>: "골수의 고열(固熱), 콧속의 식육(瘜肉)을 제거한다."

4, <약성론>: "서루, 나력, 코피, 옹비(齆鼻: 코막힐옹, 코피)를 치료하며 생것을 타액으로 삼키면 급성 후두 결핵을 치료한다."

5, <일화자제가본초>: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피로를 해소하고 담(痰)을 삭이고 갈증을 멈추며 수장(水藏: 신장, 방광 등)을 따뜻하게 한다. 급성 열병으로 마소리가 나오지 않는 증상 및 개선(疥癬)을 치료한다. 도인(桃仁), 총탕(蔥湯)과 섞어서 몸을 씻어서 땀이 나면 좋다."

6, <본초연의>: "불에 바싹 말려서 분말로 하여 감갑(嵌甲), 치아와 치아 사이의 출혈하는 부위에 붙인다. 코피에 붙여도 치료된다."

7, <본초몽전>: "설사를 멎게 하고 치통을 멈춘다. 탈항을 씻어 장(腸)을 수렴하게 한다. 농종(膿腫)에 바르면 물을 수렴한다."

8, <의학입문>: "귀가 갑자기 붓고 고름이 흐르는 증상, 눈이 충혈되는 증상, 각막혼탁(角膜混濁), 노육(胬肉), 혀에 생긴 창(瘡), 치아가 부어 아프고 출혈하는 증상, 급성 후두결핵(喉頭結核), 심장 및 폐의 방열로 인한 고통, 풍연옹성(風涎癰盛), 목이 마르고 설사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또 뱀이나 전갈, 악견(惡犬), 벽경(壁鏡), 당나귀의 침, 말의 땀에 의한 독상(毒傷)을 치료한다."

9, <본초강목>: "담(痰), 군침, 음벽(飮澼)을 토하게 하고 습한 것을 말리며 해독한다. 타액을 조정하고 지혈하며 통증을 가라앉게 한다. 악육(惡肉)을 부식시키고 새살이 나게 하며 옹저정종(癰疽疔腫), 악창(惡瘡), 전간(癲癎), 황달을 치료하며 대소변을 통하게 하고 구치안목(口齒眼目)의 여러 가지 병, 호랑이, 개, 뱀, 전갈 및 벌레에 쏘인 상처를 치료한다."

10, <의림찬요>: "신선한 것을 쓰면 해독하고 강한 불로 태워서 쓰면 새살이 나게 하며 물을 제거한다."

[용법과 용량]


<
중약대사전>: "내복: 0.2~1돈을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살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
중약대사전>: "
음허위약(陰虛胃약)으로 습열(濕熱)이 없는 환자는 복용하면 안 된다."

2, <오보본초>: "기백(
岐伯)이 말하기를 장기간 복용하면 인골(人骨)이 상한다."

3, <신농본초경집주>: "감초(甘草)는 이를 사(使)로 한다. 모려(
牡蠣)를 꺼린다."

4, <약성론>: "마황(麻黃)을 꺼린다."

5, <본초연의>: "심폐(心肺)가 손상된 경우 물을 제거하기 위해 많이 복용하면 안 된다."

6, <신농본초경소>: "모든 음허내열(陰虛內熱), 발열과 탈수증, 인후통인 환자는 이를 머금으면 좋지 않다. 음허열혈(陰虛熱血)에 의한 눈에 통증이 있는 자도 사용하면 좋지 않다."

7, <본초휘언>: "비위기허(脾胃氣虛)로 인하여 장기간의 하리(下痢), 중기(中氣)가 하함(下陷)함으로 인한 부인의 백대(白帶), 기온변화로 인한 조혈부족(造血不足)인 환자는 사용하면 좋지 않다."

백반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261면 49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백반(白礬)

기원: 광물인 명반석(明礬石)을 가공 제련해서 결정을 이룬 것(alumen).

형태: 불규칙한 결정체로서 크기는 일정치 않다. 무색투명하고 표면은 대개 매끄럽지 않으며 항상 모서리가 있고 유리모양의 광택이 있다. 질(質)은 단단하지만 부스러지기 쉬워서 때리면 부서진다. 물에 쉽게 녹고 맛은 약간 달고 澁하다.



분포: 인공제품이다.

채취 및 제법: 유산알루미늄이 주로 함유되어 있고 미량성분은 납, 칼슘, 철, 마그네슘, 규소, 구리 등이다.

기미: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효능: 소담(消痰), 조습(燥濕), 지혈(止血), 해독(解毒).

주치: 후비(喉痺), 간염(肝炎), 황달(黃疸), 사리(瀉痢), 뉵혈(衄血), 자궁탈수(子宮脫垂), 백대하(白帶下).

용량: 1∼4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1383호.]

백반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울병(鬱病)에 의한 전간(
癲癎)으로 담(痰)이나 수액이 자궁으로 분포하는 맥락이나 심장의 혈(穴)을 막고 있는 증상
백반 3냥, 천울금(川鬱金) 7냥, 이상을 함께 가루내어 풀로 벽오동 크기로 환을 짓는다. 1회에 50~60환을 더운물로 복용한다. [본사방(本事方), 백금환(白金丸)]

2, 풍담간병(風痰癎病)

생백반(生白礬) 1냥, 세차(細茶) 5돈을 가루내어 꿀로 개어서 벽오동 크기로 환을 짓는다. 1세는 10환을 차로 복용시킨다. 성인은 50환을 복용하는데, 오래 복용하면 담(痰)은 자연히 대변을 따라 나온다. [위생잡흥(衛生雜興), 화담환(化痰丸)]

3, 중풍(中風)에 의한 담궐(痰厥), 사지(四肢) 수렴이 되지 않고 기체(氣滯)인 증상

백반(白礬) 1냥, 아조각(牙
皂角) 5돈을 가루내어 1회 1돈을 따뜻한 물로 담(痰)을 토할 때까지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4,
광조형(狂燥型) 정신병(임상보고)
명반(白礬), 빙당(氷糖) 각 120g에 물 600ml를 가하고 진하게 달여서 200ml로 한다. 빈속에 1회 100~200ml 돈복한다. 광조형(狂燥型) 정신병을 치료한 32례에서 각각 1~2회의 복용으로 정상 회복되었다. 환자는 복용 후 정도는 다르지만 구토가 있었으며 구토물은 진하고 끈적끈적했다. 2례는 구토 후 수양성(水樣性) 하리(下痢)를 일으켰다. 단기간에 구토와 하리(下痢)는 자연히 멎었지만 그 후 바로 피로한 상태가 되어 조용하게 잠들었다. 그 중 1례는 여성 환자로 복용 후 2일째에 조광(躁狂) 상태가 진정되었고 말이 확실해졌다. 2례는 남성 환자인데 다음 날 조광(躁狂) 상태는 호전되고 지지 요법 후 3일째에 다시 명반(白礬) 탕액을 복용한 결과 가벼운 구토가 있은 후 조용하게 잠 들었다. 깨어난 후 조광(躁狂) 상태는 소실되고 말이 확실해졌으며 행동은 정상이 되었다. 보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명반(白礬)의 탕제는 구토, 하리를 거쳐서 치료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치료 전에 환자의 전신 상태에 대해서 면밀한 관찰과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노인, 허약자 및 만성 위장병, 심장 혈관 질환을 합병하고 있는 환자, 또한 임신부는 절대 복용해서는 안 된다. 구토 반응이 나타날 때 전해질의 평형에 주의해야 한다. [중약대사전, 제 4권, 1625면]

5, 전간(
癲癎)(임상보고)
백반(白礬)을 갈아서 분말로 하여 매일 아침저녁으로 1회씩, 1회 5~7.5g을 복용한다. 일반적으로 발병후 1~2개월 된 환자는 20일간, 6개월 된 환자는 1개월간, 1년 이상 된 환자는 1~3개월간 복용한다. 5례를 시험 치료한 결과 발작이 억제되고 각각 4개월 내지 3년간에 걸친 관찰에서 재발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 제 4권, 1625면]

아주 오랜 옛날부터 광물질을 잘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려는 조상들의 놀라운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천연물질을 심도있게 연구함으로 인체에 놀라운 효험이 있는 신물질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백반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아래에 다양한 광물성 천연물질들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간수(노감) 무엇인가?
  2. 게르마늄 무엇인가?
  3. 게르마늄(유기 게르마늄) 무엇인가?
  4. 경분 무엇인가?
  5. 구리(동) 무엇인가?
  6. 녹반 무엇인가?
  7. 미네랄 무엇인가?
  8. 미네랄(유기 및 킬레이트 미네랄) 무엇인가?
  9. 바나듐 무엇인가?
  10. 바나듐(유기 바나듐) 무엇인가?
  11. 백반 무엇인가?
  12. 백토(백악) 무엇인가?
  13. 산골(자연동) 무엇인가?
  14. 셀레늄(셀렌) 무엇인가?
  15. 셀레늄(유기 셀레늄) 무엇인가?
  16. 소금(천일염) 무엇인가?
  17. 솔황(소나무 유황, MSM) 무엇인가?
  18. 알루미늄 무엇인가?
  19. 엽록소 무엇인가?
  20. 영사(은주) 무엇인가?
  21. 유황 무엇인가?
  22. 은(실버) 무엇인가?
  23. 주사 무엇인가?
  24. 화산재 무엇인가?
  25. 황금(금) 무엇인가?
  26. 황토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