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화규(金花葵) 무엇인가?

멸종위기종에서 대량으로 재배에 성공시킨 식물계의 수퍼 스타 !!! 
황금꽃 해바라기 금화규(
金花葵)

 

 

 

 

 

 

 

 

 

 

 

 

 

 

[금화규의 어린잎, 꽃봉오리, 꽃이 핀 전초, 아름답고 우아하게 활짝핀 꽃, 꽃속 자심 금술, 꽃 채취, 꽃잎 건조, 꽃 분말, 푸른 열매 및 마른 열매, 열매속 종자, 튼튼한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강장 작용, 항염 작용, 심한 기침을 멎게 하는 작용, 해열, 양혈, 해독, 인체의 내분비 조절로 면역력 증강, 심장과 뇌혈관 및 모세혈관 속의 혈액 순환 개선, 인체의 항산화, 항피로, 노화 방지, 항암,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진통, 항뇌결혈, 구강궤양, 남성 호르몬 생성을 높여주는데, 남성들의 성기능을 높여주는 식물 비아그라, 식용[꽃은 신선한 음식, 무침, 뜨거운 볶기, 수프 만들기, 밀가루를 섞어 먹거나 물에 담그거나 술로 우려먹을 수 있슴], 약용, 의약용, 화장품용, 관상용, 습열, 소담진통, 오림, 부종, 화상, 위와 비장을 튼튼하게 하는데, 소화불량을 치료, 근육을 발달시키는데, 천연 식물성 에스트로겐 풍부, 콜라겐 풍부, 미용차, 갱년기를 늦춰주는데, 갱년기 증후군 감소시키는 효과 탁월, 타박상을 다스리는 금화규

▶ 이뇨작용, 청열해독, 윤조활장, 옹저종독, 이수, 산어, 소종, 해독, 사석림, 소아 구창, 소아 목설(혀의 부종 및 경화), 소아 독창, 부스럼을 제거하고 고름을 뽑는데, 변비, 사석림, 요로결석, 정창, 시선염, 골절, 도상, 감정, 치질, 유행성 이하선염[임상보고], 중이염[임상보고], 기혈이 허한 증상, 산욕열의 예방 및 치료, 요폐, 옹종이 터지지 않는 증상, 분만을 촉진하는 데, 초기 변옹, 임병, 수종, 이하선염, 유통, 임병, 골절, 통증 때문에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세, 악창, 화상, 탕상, 임질, 볼거리염, 종이를 만드는 풀감, 종기, 소변을 잘 통하게 하는데, 유즙 분비를 촉진, 식용, 타박상을 다스리는 닥풀(황촉규)

금화규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금화규의 학명은 <
Aurea helianthus.>이다. 금화규는 중국에서 1984년 중국 전국의 농업 자원센서스는 금화규 식물을 찾지 못해 생물계에서 멸종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2003년 8월 초 중국 농과원연구원인 당익웅(唐益雄) 교수가 허베이성 싱타이시에서 식물자원을 답사하던 중 우치큐현 경내 오마허 강둑에서 자라는 식물 한 조각이 특이하다는 사실을 발견한 결과, 이것이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 <금화규(金花葵)>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2014년 쿤밍에란바이오테크놀로지는 국가급 소종중점실험실 쿤밍기지에 종자를 일부 채취해 재배했다.

2년간의 노력으로 시험재배에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샹그릴라쿤밍의량 등지에서 재배를 시작했다. 지금까지 이 회사의 금화규의 재배 면적은 200여 묘에 이른다.

쿤밍반룡구 금전청룡산의 쿤밍시 멸종위기동식물구출센터를 찾았는데, 쿤내 일기 적응이 잘 돼 있고, 잘 자라고, 꽃그릇처럼 크고, 화관은 지름이 10cm가 넘으며, 화관 금색, 자심 금술은 매우 화려하고, 꿀벌들이 화밀을 캐느라고 분주한 풍경이다.

유홍삼 부사장에 따르면, <금화규(金花葵)>는 보통 3월에 파종을 하고, 4~5월에 새싹을 삽입하고, 6월 중순에 꽃이 피기 시작하며, 꽃피는 시기는 8월 말까지이다. 금화규는 암수한그루 식물로 꽃은 하루만 피고 개화 당일에 수확한다.

금화규꽃을 채취하여 건조시키면 1무에 20kg 정도, 1무당 6만~7만원 정도 생산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금화규의 약용 및 식용 겸용에 관하여 이시진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이미 알려진 같은과의 닥풀의 약용명인 <황촉규(黃蜀葵)>의 약용 가치가 기록되어 있는데, <꽃은 무독하며 해열, 양혈(凉血), 해독, 습열, 소담진통>에 효능이 있고 <오림(五淋), 부종, 화상> 등에 처방하며 종자는 <위와 비장을 튼튼하게 하여 소화불량을 치료하고, 근육을 발달시키며, 타박상을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금화규의 연한 과일은 먹을 수 있고, 인체에 필요한 다양한 아미노산과 미량원소가 풍부하며, 남성 호르몬 생성을 매우 높여주기 때문에, 남성들의 성기능을 높여주는 <식물 비아그라>로 불린다.

금화규꽃은 신선한 음식, 무침, 뜨거운 볶기, 수프 만들기 또는 밀가루를 섞어 먹거나 물에 담그거나 술로 우려먹을 수도 있다.

금화규는 의약, 화장품, 음식 등의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개발 전망이 대단히 크고 수익성이 매우 높으며, 꽃, 뿌리줄기는 향신료와 오일 추출이 가능한 식물이다.

현대의학에 의해 밝혀진 금화규의 효능은 금화규의 꽃에 풍부하게 함유된 플라본(flavone)에 의해 진통, 항뇌결혈(抗脑缺血)과 구강궤양 등의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 있으며 인체의 내분비 조절로 면역력 증강과 심/뇌혈관 및 모세혈관 속의 혈액 순환을 개선 시키고 인체의 항산화, 항피로, 노화 방지, 항암 등의 효능이 있으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키는 효능이 있다는 연구 발표들이 있다.

또한 금화규에는 천연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풍부하여 갱년기를 늦춰주며 갱년기 증후군을 감소 시키주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금화규에 함유된 하이페로시드(hyperoside) 성분은 강력한 항염작용이 있으며 심한 기침을 멎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금화규에는 인체 필수 아미노산 미량원소에 함유된 남성호르몬생성을 매우 높여주기 때문에 중년 남성들의 성기능을 높여주는 식물 비아그라라고 한다.

금화규 재배의 경제적 가치는 현재는 주로 금화규 꽃차 용으로 재배를 많이 하고 있다. 100평 기준 약 10,000주 정도를 재배하며, 매주당 10송이 정도를 수확 한다. 송이 당 5~6g 정도 되므로 주당 생산량은 5~60g 이며 10,000주면 5~600Kg 정도를 수확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금화규 꽃잎차라고 팔리고 있는 것들 판매가격으로 계산해 보면 상당히 경제가치가 높은 약용 식물로 가치가 높다. 금화규는 종자 번식이며, 지역에 따라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기온이 18°C 정도 시기)에 육묘장에 파종하여 잎이 4~5개 나오면 노지에 이식한다.

금화규는 7~8월이면 2m 정도 자라며, 꽃잎 채취 시기는 7~9월 이며, 약용이나 종자 용 씨앗은 10월 초순에 수확 한다. 꽃잎은 노랗고 엷으며 주홍빛이 나는 꽃술에 잎은 진푸른색의 풍엽형으로 매우 아름다워서 관상용으로도 대단히 인기가 높다.

금화규는 아욱과 3개 종군 중 1종으로 닥풀과 같은 계열이며 약간의 생태학적 변종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효능은 닥풀 즉 황촉규와 거의 같거나 비슷하다.

금화규의 여러 가지 이름은
금화규[金花葵=jīn huā kuí=후아쿠이, 채부용:菜芙蓉, 야부용:野芙蓉, 점간:黏幹, 산유피:山榆皮: 백도백과(百度百科)], 점건[黏乾: 화인백과(華人百科)], 식물 판다[植物大熊猫=식물대웅묘, 생명구심초:生命救心草, 식물해삼:植物海参, 비타민 E의 왕:维生素E之王=유생소E지왕: 미방집단(美邦集团)], 학명/외문명[學名/外文名Aurea helianthus. ; 납정학명(拉丁學名): Hibiseu manihot L.: 백도백과(百度百科)], sunset hibiscus[영명(英名)], 키무하나아오이[きむはなあおい=金花葵: 일문명(日文名)], 야생부용[식물계의 참대곰, 식물계의 수퍼 스타, 식물계의 판다: 중국 연변 방언], 골드 히비스커스, 황금 해바라기, 황금꽃 해바라기 등으로 부른다.  

같은과인 닥풀의 여러 가지 이름은
황촉규[黃蜀葵=
huáng shǔ kuí=후앙V쿠이: 향렴집(香奩集)], 황규[黃葵: 설문(說文)], 측금잔[側金, 추계:秋癸: 군방보(郡芳譜)], 금화첩보[金花捷報, 수면화:水棉花, 면화칠:棉花七, 면화호:棉花蒿, 소면화:小棉花, 계마:溪麻, 야부용:野芙蓉, 야갑화:野甲花: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학명/외문명[學名/外文名: Aurea helianthus. ; 납정학명(拉丁學名): Hibiseu manihot L.: 백도백과(百度百科)], 토로로아오이[トロロアオイ=黄蜀葵, 하나오쿠라:ハナオクラ=花秋葵, 오우숏키:オウショッキ=黄蜀葵, 츠우와상:つうわさん=通和散: 일문명(日文名)], 닥풀, 딱풀 등으로 부른다.  

[금화규의 각 부위별 성분]


1,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2021-1-6>: "금화규 꽃 분말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꽃 분말,
셀레늄: 53.53㎍/kg

2, 금화규 꽃 분말, 아연: 40.71mg/kg

3, 금화규 꽃 분말, 철: 39.39mg/kg

4, 금화규 꽃 분말, 망간: 32.14mg/kg."

2, <한국품질시험원-2020-11-10>: "금화규 꽃 분말 콜라겐(Collagen)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꽃 분말 100g,
콜라겐(Collagen): 12.9g."

3, <한국식품연구원-2020-12-24>: "금화규 꽃 분말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꽃 분말 100g,
글루타민산: 2.836.8mg

2, 금화규 꽃 분말, 아스파르트산: 1.460.9mg

3, 금화규 꽃 분말, 로이신: 1.006.5mg."

4,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2020-12-22>: "금화규 꽃 분말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꽃 분말 100g,
팔미트산: 24.22g

2, 금화규 꽃 분말, 올레신: 23.85g

3, 금화규 꽃 분말, 리놀레산: 19.93g."

5, <한국기능식품연구원-2020-12-10>: "금화규 꽃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꽃 100g,
히드록시프롤린: 0.59mg."

6,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2020-12-14>: "금화규 뿌리 분말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뿌리 분말 100g,
글루탐산: 1.68g

2, 금화규 뿌리 분말 100g,
아스파르트산: 1.57g."

7,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2020-12-14>: "금화규 뿌리 분말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뿌리 분말 100g,
콜라겐: 불검출."

8,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2020-11-2>: "금화규 씨앗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씨앗 100g,
열량: 410.63kcal

2, 금화규 씨앗, 탄수화물
: 50.57g

3, 금화규 씨앗, 단백질
: 17.71g."

9,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2020-11-2>: "금화규 꽃, 뿌리, 줄기, 잎, 씨봉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꽃, 뿌리, 줄기, 잎, 씨봉 100g,
열량: 89.86kcal

2, 금화규 꽃, 뿌리, 줄기, 잎, 씨봉, 탄수화물
: 20.59g

3, 금화규 꽃, 뿌리, 줄기, 잎, 씨봉, 당류
: 2.25g."

10,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2020-12-23>: "금화규 꽃 분말 성분 분석 자료: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

1, 금화규 꽃 분말 100g,
비타민 C: 10.78g

2, 금화규 꽃 분말, 셀레늄: 5.35g

3, 금화규 꽃 분말, 아연: 4.07g."

금화규의 효능과 관련하여 중국의
<연변신문> 2014년 9월 26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려 있다.

[
《식물계의 참대곰》연변에 뿌리 내렸다

안도현 신농전문농장 올해 금화규 대면적재배에 성공

《식물계의 참대곰
》이라고 불리우는 금화규

<jdm 해설 첨부>: "전세계에서 제일 귀한 동물 '판다'를 북한말로 '참대곰'이라고 한다. 판다는 곰과의 딸린 포유동물로 <대왕판다=왕판다>, <아기판다>가 있으며 2009년 중국 친링 산맥의 야생동물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 동물계의 수퍼 스타 전세게 단 한마리 유일하고 희귀한 <갈색판다>가 있다."

《식물계의 참대곰》이라고 불리울만큼 보기드문 진귀한 약용식물인 금화규(金花葵)가 올해 연변에서 뿌리 내리고 꽃을 피웠다. 안도현 석문진 류화촌에 자리잡고있는 안도현신농전문농장의 농장장 현성봉씨가 산동성에서 인입한 종자로 시험재배한 금화규가 올해 안도현에서 15헥타르나 되는 대면적의 재배결실을 흐뭇하게 맺은것이다.

일년생 초본식물인 금화규는 일명 <야생부용>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지난세기
80년대에 우리 나라 생물계에서 멸종되였다고 확정되기도 한 진귀한 약용식물이다.

금화규에 대해 소개하고있는 현성봉씨

현성봉씨에 따르면 금화규는 고온이나 저온에도 잘 견디고 토양이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아주 강한데 진귀한 약용가치때문에 최근들어 산동, 하북 등지 농촌들에서 재배열이 크게 일고있다.

금화규는 7~8월이면 사람의 키를 넘게 자라는데 꽃송이 직경이 보통 16-18센치미터되고 꽃잎은 노랗고 엷으며 주홍빛이 나는 꽃술에 잎은 짙푸른색의 풍엽형으로 매우 아름답다.

금화규는 개화시간이 대여섯시간밖에 안되기에 제때에 수확하는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한다. 금화규의 꽃은 7월말부터 따서 잘게 찢어서 말리는데
콜라겐이 풍부하기때문에 미용차로 인기만점이라고 한다. 연변지역은 9월 24일에서 27일 사이에 서리가 내리는데 서리가 오면 꽃수확이 끝난다.

자연계에서 대체로 화사하고 아름다운 꽃은 강한 독성이 있다고 하지만 금화규는 자태가 한없이 아름다울뿐만아니라 전신이 보물이라고 한다. 금화규의
은 물론 꽃대뿌리에도 콜라겐이 풍부하며 금화규꽃의 봉오리는 강장작용이 탁월하다고 한다.

금화규 꽃잎은 뜯어서 10시간내에 건조작업을 거친다

료해에 따르면 금화규는
영양가치가 높고 발전전망이 아주 밝다. 이때문에 국내 금화규재배호들에서 연구개발의 템포를 빨리고있는데 금화규 주요생산지인 하북, 산동에는 이미 금화규전문산업사슬이 형성되고있다.

안도현신농전문농장의 금화규재배기지


현성봉씨는 올해 연변지역에서 대면적재배에 성공한 경험을 빌어 금화규산업화를 위한 가공공장 설립과 해내외 투자자들과의 합작의향도 적극 추진중에 있다.

현성봉씨는 금화규의 규모화재배와 경제효익창출을 위한 산업화발전도 꾀하고있는데 류화촌의 촌민들을 시작으로 석문진, 안도현, 나아가 연변지역에 금화규 재배면적과 범위를 부단히 늘리는 것으로 공동치부의 목표를 실현할 예정이다.

올해 환인만족자치현 흑구향 농민 전금룡은 하북성농업과학원으로부터
식용, 약용할수있는 화혜식물 금화규<金花葵>를 인입 재배, 300만원의 수입을 보았다.

일년생 초본식물인 금화규는 목하시장에서 보건품으로 널리 사용되고있는데 주로 피여나는 꽃을 채집하여 이용한다.

전금룡은 올해 봄에 하북성농업과학원으로부터 종자를 인입하여 200무를 발전하였다. 동시에 요녕신봉과학주식회사와 판매계약을 맺어 모두 주문판매하였다.

계약에 따라 가공한 한떨기 꽃은 3원을 수입할 수 있다.

김인춘 특약기자.
]

금화규에 대한 효능의 비슷한 내용으로 중국의
<길림신문> 2014년 9월 26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안도현 신농전문농장 올해 금화규 대면적재배에 성공

《식물계의 참대곰》이라고 불리우는 금화규

《식물계의 참대곰》이라고 불리울만큼 보기드문 진귀한 약용식물인 금화규(金花葵)가 올해 연변에서 뿌리 내리고 꽃을 피웠다. 안도현 석문진 류화촌에 자리잡고있는 안도현신농전문농장의 농장장 현성봉씨가 산동성에서 인입한 종자로 시험재배한 금화규가 올해 안도현에서 15헥타르나 되는 대면적의 재배결실을 흐뭇하게 맺은것이다.

일년생 초본식물인 금화규는 일명 야생부용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지난세기
80년대에 우리 나라 생물계에서 멸종되였다고 확정되기도 한 진귀한 약용식물이다.

<<금화규에 대해 소개하고있는 현성봉씨>>


현성봉씨에 따르면 금화규는 고온이나 저온에도 잘 견디고 토양이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아주 강한데 진귀한 약용가치때문에 최근들어 산동, 하북 등지 농촌들에서 재배열이 크게 일고있다.

금화규는 7~8월이면 사람의 키를 넘게 자라는데 꽃송이 직경이 보통 16-18센치메터되고 꽃잎은 노랗고 엷으며 주홍빛이 나는 꽃술에 잎은 짙푸른색의 풍엽형으로 매우 아름답다.

금화규는 개화시간이 대여섯시간밖에 안되기에 제때에 수확하는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한다. 금화규의 꽃은 7월말부터 따서 잘게 찢어서 말리는데
콜라겐이 풍부하기때문에 미용차로 인기만점이라고 한다. 연변지역은 9월 24일에서 27일 사이에 서리가 내리는데 서리가 오면 꽃수확이 끝난다.

자연계에서 대체로 화사하고 아름다운 꽃은 강한 독성이 있다고 하지만 금화규는 자태가 한없이 아름다울뿐만아니라 전신이 보물이라고 한다. 금화규의
꽃과 잎은 물론 꽃대와 뿌리에도 콜라겐이 풍부하며 금화규꽃의 봉오리는 강장작용이 탁월하다고 한다.

<<금화규 꽃잎은 뜯어서 10시간내에 건조작업을 거친다>>

료해에 따르면 금화규는 영양가치가 높고 발전전망이 아주 밝다. 이때문에 국내 금화규재배호들에서 연구개발의 템포를 빨리고있는데 금화규 주요생산지인 하북, 산동에는 이미 금화규전문산업사슬이 형성되고있다.

<<안도현신농전문농장의 금화규재배기지>>


현성봉씨는 올해 연변지역에서 대면적재배에 성공한 경험을 빌어 금화규산업화를 위한 가공공장 설립과 해내외 투자자들과의 합작의향도 적극 추진중에 있다.

현성봉씨는 금화규의 규모화재배와 경제효익창출을 위한 산업화발전도 꾀하고있는데 류화촌의 촌민들을 시작으로 석문진, 안도현, 나아가 연변지역에 금화규 재배면적과 범위를 부단히 늘리는 것으로 공동치부의 목표를 실현할 예정이다.
]

금화규의 효능과 관련하여 중국의 <길림신문> 2016년 4월 7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글로벌경제인들 연길에 모여 협력을 다지다

중한FTA시대를 맞이해 량국 경제인들의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안도현 석문진 류화촌에 자리잡고 있는 안도현신농전문농장의 농장장 현성봉씨가 15헥타르가 되는 대면적에 재배하고 있는《식물계의 참대곰》으로 불리우는 보기드문 진귀한 약용식물인 금화규(金花葵)식물을 소개했다.

현사장은 한국의 선진적인 식품제조기술로 영양가치가 높고 약용가치가 뛰여난 금화규꽃잎을 개발해 해내외시장에 진출하기를 바랐다.
]

금화규의 효능과 관련하여
<천지일보> 2019년 3월 17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려 있다.

[
<차(茶)와 건강> 식물성 콜라겐이 풍부한 '금화규'

금화규(金花葵)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뿌리 줄기 잎 꽃 모두 약용할 수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골드 히비스커스로>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황금 해바라기>라고도 한다. 금화규는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플라보노이드, 올레산, 비타민E, 셀레늄>이 함유되어 있다.

변비, 장속 독소제거 작용을 하며 위궤양, 위염 동맥경화 예방과 개선을 하고 심장병 발생을 감소하고 피를 맑게 하는 리놀레산도 함유하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주된 단백질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성분으로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유지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금화규는 식물성 콜라겐이 풍부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이 된다. 강한 항염증 작용을 하는 Hypeoside성분과 필수 아미노산을 다량함유하고 있으며 천연식물성 에스트로겐갱년기 증후군에 좋다.

<본초강목>에는 금화규 줄기는
수면 질량을 높이고, 심신을 안정시키고 혈압을 낮추고 양기를 북돋고 신장을 보신하며 면역력을 높이는 효능이 있다고 전한다. 꽃은 해열해독, 장운동을 돕고, 소염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피로 회복과 혈압을 낮추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콜라겐이 기능성 성분으로 주목받으며 식물성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식물로 알려지면서
금화규꽃차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꽃은 술을 담그기도 하고 차(茶)와 가루를 만들어 활용하며 씨앗은 기름으로 줄기와 뿌리는 말려서 끓여 복용한다.

◆ 금화규꽃차 만들기


1. 꽃의 수술을 제거한다.

2. 저온에서 덖음과 식힘을 반복한다.

3. 수분이 제거되면 가향처리를 한다.

글·사진= 티인스트럭터 플라워티마스터 시화담꽃차교육원 정설연.
]

매우 아름다운 금화규(金花葵) 꽃과 관련된 전설이 중국의 인터넷 백과사전인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금화규 꽃의 전설

옛날 옛적에 금화규(金花葵) 촌(村) 이라는 대단히 아름다운 마을이 있었다. 이 곳은 여름에 꽃이 활짝 피고 바람에 날려 꽃향기가 진동하며, 가을이 되면 수풀이 온통 아름답게 물들고 먹음직한 과일이 주렁주렁 열리는 그러한 마을이었다.

마을 사람들은 매우 평화롭고 인심이 좋아서 길에 떨어진 물건을 함부로 줍지도 않고 한밤중이 되어도 집집마다 문고리를 걸어 닫지 않았다.

이 마을에는 매우 아름답고 예쁜 미소를 짓는 마음씨 착한 아가씨가 살고 있었는데, 마치 마을 어귀에 우아하고 대단히 아름답게 핀 <금화규(金花葵)> 꽃 처럼 얼굴이 화려하고 광택이 번쩍거려서 모두가 그녀를 <금화규꽃 처녀>라고 불렀다.

이 금화규 아가씨는 효성이 대단히 지극하여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을 도와 농사를 지으며 집안에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화규 아가씨는 여전히 우아하고 아름다웠다.

전설에 따르면 이 마을에 보물이 하나 있었는데, 이 보물에 기도를 하면 한 가지 소원은 반드시 이루어진다고 전해지는데, 이것을 <여와낭낭의 눈물(女媧娘娘的眼淚)>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여와 시대에 여와의 눈물이 변해서 생긴 보물이이라고 전해진다.

바로 이때 하늘의 한 신선(神仙)이 <선단(仙丹)> 환 하나를 만들려고 했지만 희귀한 보조재료가 없어서 몹시 애를 태웠는데, 바로 그 환을 만드는 희귀한 보조재료가 <금화규(金花葵)>라는 것이었다.

신선(神仙)은 금화규 마을에만 이러한 희기한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몰래 금화규 마을에 와서 <금화규(金花葵)>를 따다가 그날 밤에 마침내 이 <선단(仙丹)> 환 한알을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다음 날 일어나 신선(神仙)은 높은 하늘에 계시는 옥황상제에게 이 귀중한 <선단(仙丹)> 환 한개를 바쳤는데 옥황상제는 이 <선단(仙丹)>을 먹은 후에 용안이 크게 기뻐하며 신선(神仙)에게 큰 상을 내려주었다.

신선(神仙)은 의기양양해 하면서 갑자기 내가 왜 <선단(仙丹)>을 좀 더 만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때 신선(神仙)은 갑자기 욕심이 생겨서 모든 <금화규(金花葵)>를 다 채취해 버렸다.

하지만 <선단(仙丹)> 환을 만들 때의 부주의로 <선단(仙丹)>이 올바르게 만들어지지 않자, 화가 머리끝까지 차올라 신선은 분노를 억제하지 못하고 그만 분노를 터트리며 사악한 궤략으로 병마의 봉인을 풀고 금화규 마을에 병마의 재앙을 쏟아 붓고 말았다.

이러한 사실을 전혀 모르는 불쌍한 마을 사람들은 대단히 우아하고 아름다운 <금화규(金花葵)>가 모두 사라져 없어지자 자연스럽게 기운을 잃게 되었고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모든 사람들이 질병에 걸리고 말았다.

이처럼 무서운 병마가 닥쳐 왔을 때, 공교롭게도 <금화규 아가씨>는 다른 마을에가서 가을 들판 추수를 도와주고 있었다. 드디어 마을로 돌아왔을 때 그 아가씨는 눈앞에 펼쳐지는 무시무시한 광경에 매우 놀랐다. 마을이 모두 불에 타 버리고 황폐하게 변한 모습으로 남녀노소 모두 질병으로 쓰러져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이때, 금화규 아가씨는 <여와낭낭의 눈물(女媧娘娘的眼淚)>을 떠올렸고 금화규 아가씨는 즉시 마을의 보물을 찾으러 갔다. 하지만 보물 근처에는 아주 사악한 괴물이 지키고 있었다. 보물을 가져 가려면 자신이 가진것과 똑같은 물건을 교환해야 한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화규 아가씨는 아무런 준비없이 빈손으로 찾아 갔다.

사악한 괴물이 금화규 아가씨를 본 후 그녀의 아름다운 미모에 매혹되어 버렸다. 그래서 금화규 아가씨는 자신의 미모와 <여와낭낭의 눈물(女媧娘娘的眼淚)>의 보물과 교환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교활하고 사악한 괴물은 금화규 아가씨의 60년 수명을 훔쳐가 버렸다. 이제 금화규 아가씨는 못 생기고 늙은 흉칙한 노파가 되어 버렸다.

<여와낭낭의 눈물(女媧娘娘的眼淚)> 보물은 모든 마을 사람들을 구하였지만, 금화규 아가씨는 이미 생명의 마지막 시간을 다 보내고 끝내 죽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얼마 후 금화규 아가씨가 죽어서 묻힌 무덤 앞에는 대단히 예쁜꽃이 피어나기 시작하였다. 그 꽃은 마치 예전에 금화규 아가씨가 살아있을 때 금화규(金花葵)처럼 웃는 얼굴 같았으며 금화규 아가씨를 닮은 <금화규(金花葵)>는 더욱 화려하게 무덤 전체로 뒤덮고 피어 나가게 되었다.

나중에 마을 사람들은 이를 금화규 아가씨의 황금 해바라기 꽃처럼 해맑게 웃는 얼굴을 닮았다고 하여 <금화규(金花葵)>라고 불렀으며 욕심이 없고 두려움이 없는 금화규 아가씨를 기념 했다고 전해진다.
]

금화규의 효능과 부작용에 관하여 <OTN뉴스> 2019년 9월 25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금화규의 효능과 부작용?

진귀한 약용식물인 금화규(金花葵)는 일년생 초본식물이며 일명 야생부용이라고도 불리워 진다.

약용가치 때문에 1980년대에 멸종 되어었다고 알려졌으나 중국 농업 과학원 교수가 실수로 보관하고 있다가 발견되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본초강목>에 따르면 《식물계의 참대곰》이라고 불리울 만큼 보기드문 진귀한 약용식물인 금화규(金花葵)는 해열, 해독, 항염증, 진통 효과, 구강 참석 무림, 부종, 화상의 국소 치료, 비장과 위장, 근육 조직 효과, 치료 소화 불량, 식욕 부진, 타박상 등으로 다양한 악성 통증의 치료에 이용된다고 한다.

또한 천연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풍부하여 중년 갱년기 증후군을 감소시키거나 연장을 도와준다고 한다.

금화규는 꽃과 잎은 물론 꽃대와 뿌리에도 콜라겐이 풍부하며 금화규 꽃의 봉오리는 강장작용이 탁월하다고 한다.

현대 의학 연구에 따르면 진통제, 항 뇌허혈 및 구강 궤양의 치료 내분비, 면역 시스템을 조절 바디 저항을 증가, 심혈관 기능 및 미세 순환 개선 신체의 항산화, 항 심장 허혈, 저산소증, 염증, 통증 마을, 항 피로, 노화 방지, 항암,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금화규의 꽃은 7월말부터 따서 잘게 찢어서 말리는데 콜라겐이 풍부하기 때문에 미용차로 인기만점이라고 한다.

1-꽃:
해열해독, 장운동을 돕고, 소염 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피로를 견디고, 암을 막고, 3고(고혈압, 고지혈, 고혈당)를 낮추고, 여성 노쇠를 지연시키며, 피부 미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2-꽃망울:
맛이 달고, 냉성이며 독이 없다. 배변을 돕고, 해열해독 효과가 있다. 현대 의학에서 금화규는 소염, 배변, 혈소판 응집을 감소하는 작용이 있다.

3-잎:
10cm 크기의 금화규 잎을 덖어서 만든다. 이때의 잎이 가장 유연하기 때문에 잎차의 맛이 아주 좋다고 한다.

4-껍데기:
인체 내 필수 아미노산과 미량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융성 호르몬이 높아 식물계의 흥분제로 불리다. 남성 성 기능을 높이는데 뚜렷한 효과가 있으며, 장기간 복용하면 남성 발기부전, 조루, 성욕 저하 등 질병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아무런 부작용도 없다.

5-줄기:
<본초강목>에 의하면 금화규가 수면 질량을 높이고, 심신을 안정시키고 혈압을 낮추고, 양기를 북돋고 신장을 보신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등 효능이 있다고 적혀 있다. 그래서 목숨을 구하는 약초 장수초라고 불린다.

6-뿌리:
금화규 뿌리는 해열해독, 양기를 북돋고 신장을 보신하고, 3고(고혈압, 고지혈, 고혈당)를 낮추고,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이 있다.

금화규는 효과에 따라 미용(꽃, 꽃망울), 장운동촉진(꽃, 꽃망울, 잎), 남성 보건(꽃, 껍데기, 뿌리)으로 분류한다.

위 관련 약용으로 이용시 전문의 처방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금화규의 효능과 관련하여 <topstarnews.net> 2019년 5월 19일자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사가 실려 있다.

[
이름도 생소한 금화규는 어떤 식물?...“해독-피로회복 등의 효능 가진 단년생 식물”

[이창규 기자] 금화규가 실시간 검색어에 이름을 올려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금화규는 단년생 초본식물로, 골드 히비스커스, 황금 해바라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뿌리와 줄기, 잎, 꽃 등 모든 것이 약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맛은 달고 독이 없으며 폴라보노이드, 올레산, 비타민E, 셀레늄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본초강목>에 따르면 열을 치고, 피를 차갑게 하며 해독하고 소염진통효과가 있다고 한다. 장 속 독소 제거 효능 덕분에 변비 해소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욕감퇴와 근육통, 면역력 증가에도 효과적이며, 리놀렌산이 풍부해 혈액 순환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직접 먹어도 되며, 차로 우려내서 먹어도 되고 말려서 가루로 먹기도 한다고 한다.

이외에 여러 효능으로는 노화방지, 피로회복, 염증 치료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콜라겐이 기능성 성분으로 주목받으면서 식물성 콜라겐이 풍부한 식품으로 평가받아 금화규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화규 꽃은 술을 담가서 먹기도 하며, 씨앗은 기름을 짜내 섭취한다.
]

닥풀과 같은속이면서 자취를 감추어 멸종된 것으로 여기다가 2003년 8월에 중국 농업과학원에 의해 재 발견된 금화규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인터넷 백과사전인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금화규(金花葵)

金花葵(學名/外文名Aurea helianthus.)又名菜芙蓉也稱野芙蓉爲一年生草本錦葵科秋葵屬植物有的地區別名叫黏幹或山榆皮20038月被中國農科院在河北邢台地區發現瀕臨絕種的植物200多個秋葵植物中最具食用藥用保健功能有較高的利用價值

중문학명(中文學名): 금화규(金花葵)
납정학명(拉丁學名): Hibiseu manihot L.
별칭(別稱): 채부용(菜芙蓉)야부용(野芙蓉)점간(黏幹)산유피(山榆皮) ()
(): 식물계(植物界)
():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 쌍자엽식물강(雙子葉植物綱)
(): 금규목(錦葵目)
(): 금규과(錦葵科)
아과(亞科): 아금규과(亞錦葵科)
(): 추규속(秋葵屬)
아속(亞屬): 아추규속(亞秋葵屬)
(): 금화규(金花葵)
아종(亞種): 아금화규(亞金花葵)
분포구역(分布區域): 타생장재심산애극간(它生長在深山崖隙間)

[
목록(目錄)]

1,
형태특정(形態特征)

2,
생장환경(生長環境)

3,
분포범위(分布範圍)

4,
재배기술(栽培技術)

재배방법(栽培方法)
관리양호(管理養護)

5,
주요가치(主要價值)

약용가치(藥用價值)
식용가치(食用價值)
경제가치(經濟價值)
원림광상(園林觀賞)

6,
전설유래(傳說由來)

[형태특정(形態特征)]

金花葵是秋葵科3個種群中的1與黃蜀葵同屬它生長在深山崖隙間

株高
2m以上最高的可達2.7m植株冠徑1.5~2m具粗壯的肉質根縱深入土70cm以上莖粗壯基部木質化抗倒伏最大的莖基直徑達4cm主莖長有50餘個節每節長1每個節長3~6cm葉片互生掌狀無深裂與蓖麻葉片相似最大的葉片寬52cm31cm葉柄長36cm花期7~9肥水條件好的10月上中旬也開花每株開花30~60花大如碗花冠直徑13~16cm每朵花重6g左右單生於上部葉腋間花冠金黃紫心金蕊豔麗非凡宛如出水芙蓉開花時有蜜蜂采蜜主枝和側枝均開花結果果實形似棉花的棉鈴果角有5果角外表面有白色絨毛其內裹著一粒粒比綠豆略小醬褐色的種子形似豬腰每果角有籽粒80~120

[생장환경(生長環境)]

金花葵適應性較強各地均可種植喜溫暖陽光充足環境耐寒耐熱喜濕耐鹽堿40高溫和-10低溫對土壤要求不是很嚴在近水邊肥沃沙質壤土生長繁茂開花多既怕水澇又不宜栽在過分幹旱的地方

[분포범위(分布範圍)]

自然分布在河北地區是近瀕臨絕種的植物之一

因其功效漸被人知目前已經有很多金花葵種植基地多分布在太行山東部山麓地區晉中晉南地區

[재배기술(栽培技術)]

재배방법(栽培方法)

金花葵適應性較強南北各地均可種植它喜溫暖及陽光充足的環境較耐寒

耐熱
喜濕耐鹽堿能耐40高溫和-10低溫對土壤要求不嚴在酸性紅壤上也能正常生長但在肥沃深厚排水良好的壤土上生長良好特別是以排水良好的沙壤土爲佳在臨近水邊的肥沃沙質壤土中生長繁茂開花較多但其既怕水澇又不宜栽在過分幹旱的地方在華北地區以宿根越冬北方嚴寒地區冬季堆土越冬或掘取移入溫室內越冬金花葵爲種子繁殖南方可於4月上旬北方5月上中旬將種子直播於露地苗床可穴插或條插萌芽生長較快溫度在18以上時約10~15天即可出苗2個月便可上盆或土栽上市也可先育苗當長至3~4片真葉時移栽行距50cm株距30cm667m2需要種子4000~5000667m23~5t農家肥和50~100kg氮磷鉀複合肥作基肥生長期可追施液肥3~5同時要注意田間排水及時拔除雜草適時追施肥料在生長旺季要及時除去靠近地面的分枝以利通風透光當年夏季開花果實8~10月陸續成熟籽粒成熟時易脫落應及時分批采收留種金花葵全生育期無任何病蟲害是天然綠色植物在北方開花期怕冰雹襲擊12月打霜時金花葵全株枯死春種秋收用種子繁殖全生育期100 多天[1]

[재육(培育)]

催芽將曬幹的金花葵種子用
5055度熱水浸泡30min邊浸邊攪動然後用涼水

浸種
浸種時間不宜過長一般3h4h爲宜用潮濕的布包好外用薄膜紙包裹保持一定的濕度置於恒溫箱中保持2528一般20h內開始萌芽少量的種子也可用體溫催芽長江中下遊地區也可於4月上旬將種子直播於露地苗床可穴插或條插萌芽生長較快溫度在18以上時約10d15d即可出苗

苗期管理采用營養缽育苗我們選用的是72孔育苗盤事先把基質填好用水濕透再進行播種芽尖向下播種後覆蓋一層薄膜待出苗有七成時揭去薄膜播種後采用小拱棚保溫10天不揭膜20天天晴白天不蓋膜采用直播的可在地面用一次性透明塑料碗進行保溫待苗長成三葉一芯時用木棍掀開塑料碗即可[1]

[정식(
定植)]

待苗長成二至三葉一芯時進行定植
定植前先整好地重施基肥施農家肥和氦磷鉀複合肥作基肥廂寬2m溝寬20cm15cm便於排水先用除草劑除草定植密度爲行距50cm株距30cm

관리양호(管理養護)

定植後溫度在18以上時即可正常生長全株到12月打霜時便枯死施肥以基肥爲主追肥爲輔追肥以農家肥爲主最好是沼液等液肥每采摘一次花後施一次肥盛花期需肥量較大要防止田間積水做好排水抗旱工作在生長旺季要及時除去靠近地面的分枝以利通風透光及時拔除田間雜草

金花葵全身都是寶特別是花要及時采收一般以剛剛開放的花爲主在浠水種植6月上旬就可以開始采收鮮花采收後及時曬幹8月下旬就可以開始采收種子采後及時曬幹便於貯藏和留種

[주요가치(主要價值)]

약용가치(藥用價值)

金花葵花藥食兼用,《本草綱目已記載黃蜀葵的藥用價值能清熱涼血

解毒
其花無毒具有清利濕熱消炎鎮痛之功效內服主治五淋水腫外用治療湯水燙傷果實種子具有補脾健胃生肌功效治療消化不良不思飲食跌打損傷等。《嘉佑本草記載: 黃蜀葵花主治小便淋漓及催生治諸惡瘡現代醫學研究表明該花的總黃酮有鎮痛抗腦缺血和治療口腔潰瘍等作用其所含全價蛋白質高聚糖膠膳食纖維微量元素硒多種不皂化物等具有顯著調節人體內分泌免疫力增加人體抗力改善心腦血管及微循環功能增強機體抗氧化能力抗心腦缺血缺氧抗炎鎮疼抗疲勞抗衰老抗癌防癌降血脂功效此外其豐富的天然植物雌激素對於延長女性青春期減輕或避免中老年更年期綜合症也有奇效金花葵也含有豐富的金絲桃苷成分而金絲桃苷具有明顯的抗炎作用有較強的止咳作用同化作用另外還具有較強的抑制眼醛糖還原酶的作用[1]

식용가치(食用價值)

金花葵的嫩果可食富含人體所需的多種氨基酸和微量元素所含的雄性激素較高是被稱爲植物偉哥補腎草物即黃紅秋葵1.6常食對提高男性中老年的性功能具有顯著效果

金花葵非但無毒無異味無副作用而且芳香撲鼻味美可口可直接入口鮮食涼拌熱炒做湯或摻面食食用或以花泡水代茶泡酒或炒雞蛋食用還可與其他食品原料搭配制作各種美味菜肴餡料冷食冷飲等金花葵的根葉可全部粉碎過細目篩後做成稱爲榆皮面的面粉營養價值很高經常食用可預防心腦血管疾病令人奇特叫絕的是金花葵鮮花入口後人們馬上就會有一種奇心曠神怡的感受一切勞累困頓很快煙消雲散具有明顯的緩解緊張情緒助人放松的調整心態功能由於它的生物酮含量較高泡水泡酒或做成茶葉對擴張血管非常有利是心腦血管疾病患者的首選飲品[1]

경제가치(經濟價值)

金花葵的油脂除能食用外還可作爲高檔潤滑油也是加工化妝品的高級原

料用於制藥對燒傷燙傷的治療具有顯著效果
其作爲美味蔬菜上市667平方米產1000kg銷售價格30/kg產值30000元以上作爲珍稀花卉667平方米育2萬苗每苗按2~4產值4~7作爲簡單加工品飲用茶上市重量6g12朵精品金花葵花所含天然生成狀態的生物黃酮含量384mg相當於96g銀杏葉的含量市場價68按此計算667平方米產值10萬元以上

金花葵作爲一朵美麗鮮花一道美味蔬菜一味濟世良藥一項生命健康產業堂皇上市既可綠化美化彩化香化生活也可演繹生命健康奇跡無疑是當今世界最有希望最有活力最被看好的誘人產業金花葵的全身是寶是市場的寵兒閨中千金不管做何用途667平方米地除去種子化肥和農藥等收入萬元不成問題因資源極少很難進行深加工開發因此具有極高的社會經濟價值[1]

원림광상(園林觀賞)

金花葵既可庭院孤植叢植生活小區街道機關廠礦醫院學校幼兒院等地行植片植也可園林大田產業化商品化大面積栽培還可做成盆景或以香味植物出售典雅高貴具有很高的觀賞價值

[전설유래(傳說由來)]

<<중국어 번체자>>


金花葵可追溯曆史時期不可考究曾在晉察冀廣大地區都有廣大分布現今在山西呂梁山地區晉南地區的深山中仍可追尋古時金花葵雖並爲列入常用常識藥材行列但現今仍有很多交通閉塞區域世代沿襲下來知其功效因其花豔麗高雅更有一則動人傳說流傳至今以下流傳來自於民間今山西忻州地區),但並無確切史料收錄僅作閱讀欣賞

在很久很久以前有一個美麗的村莊--金花村這裏的夏天百花盛開隨風飄香秋天層林盡染碩果累累村民們和和樂樂民風淳樸路不拾遺夜不閉戶村子裏有個姑娘美麗又善良她特別愛笑就像村口的金花葵一樣燦爛大家都叫她金花姑娘金花姑娘是個孝順的孩子從小就幫父母幹農活幹家務活即使這樣金花姑娘還是那樣的美麗傳說村子裏有一種寶物叫做女媧娘娘的眼淚是女媧時代女媧的眼淚所變的寶物聽說這個寶物可以實現一個願望也就是這個時候天庭的一位神仙要練就一粒仙丹但是卻缺少一種稀有的輔料就是金花葵神仙聽說只有金花村有這種奇特的植物於是偷偷的來到金花村摘了一些金花葵當晚就把仙丹煉成了第二天當神仙把仙丹送到玉皇大帝那裏玉皇大帝吃了以後龍顏大悅大大的獎賞了神仙神仙得意洋洋突然想到爲什麼我不多煉一點仙丹呢神仙一時貪心大起就摘光了所有的金花葵但是由於煉丹時的疏忽仙丹沒有練成神仙一怒之下把病魔的封印解開後放入了金花村可憐的村民本來沒有金花葵以後就失去了自然應有的靈氣現在更是雪上加霜每個人都病怏怏的當病魔來的時候恰巧金花姑娘在別的村子裏幫忙秋收回到村子裏的時候她被眼前的景象驚呆了村子裏被燒光了一派凋零之象男女老少全部病倒就在這個時候金花想起了女媧娘娘的眼淚於是金花就馬上去尋找村子裏的寶物但寶物的附近有邪魔看管拿到寶物需要用自己身上的一樣東西作爲交換雖然如此金花姑娘還是義無反顧的去了邪魔見到金花姑娘以後被她的美貌所吸引於是金花拿自己的美貌和邪魔做了交換但是狡猾的邪魔還偷走了金花的60年壽命讓金花變成了一個又醜又老的老太婆女媧娘娘的眼淚救了所有村民而金花姑娘卻已經走完了生命的最後時光不久之後金花姑娘的墳前開滿了一種美麗的花就像金花姑娘的笑臉卻比以前的金花葵開的更加燦爛後來村民們就把它叫做金花葵以此來紀念無私無畏的金花姑娘

<<중국어 간체자>>

金花葵,可追溯历史时期不可考究。曾在晋察冀广大地区都有广大分布,现今在山西吕梁山地区,晋南地区的深山中仍可追寻。古时,金花葵虽并为列入常用常识药材行列,但现今仍有很多交通闭塞区域世代沿袭下来知其功效。因其花艳丽高雅更有一则动人传说流传至今。以下流传来自于民间(今山西忻州地区),但并无确切史料收录,仅作阅读欣赏。

在很久很久以前,有一个美丽的村庄--金花村。这里的夏天百花盛开,随风飘香;秋天层林尽染,硕果累累。村民们和和乐乐,民风淳朴,路不拾遗,夜不闭户。村子里有个姑娘,美丽又善良,她特别爱笑,就像村口的金花葵一样灿烂,大家都叫她金花姑娘。金花姑娘是个孝顺的孩子,从小就帮父母干农活,干家务活,即使这样金花姑娘还是那样的美丽。传说村子里有一种宝物,叫做女娲娘娘的眼泪,是女娲时代,女娲的眼泪所变的宝物,听说这个宝物可以实现一个愿望。 也就是这个时候,天庭的一位神仙要练就一粒仙丹,但是却缺少一种稀有的辅料,就是金花葵。神仙听说只有金花村有这种奇特的植物,于是偷偷的来到金花村,摘了一些金花葵,当晚就把仙丹炼成了。第二天当神仙把仙丹送到玉皇大帝那里,玉皇大帝吃了以后龙颜大悦,大大的奖赏了神仙。神仙得意洋洋,突然想到,为什么我不多炼一点仙丹呢?神仙一时贪心大起,就摘光了所有的金花葵。但是由于炼丹时的疏忽,仙丹没有练成,神仙一怒之下,把病魔的封印解开后,放入了金花村。 可怜的村民,本来没有金花葵以后就失去了自然应有的灵气,现在更是雪上加霜,每个人都病怏怏的。当病魔来的时候,恰巧金花姑娘在别的村子里帮忙秋收。回到村子里的时候,她被眼前的景象惊呆了,村子里被烧光了,一派凋零之象,男女老少全部病倒。 就在这个时候,金花想起了女娲娘娘的眼泪,于是金花就马上去寻找村子里的宝物。但宝物的附近有邪魔看管,拿到宝物需要用自己身上的一样东西作为交换,虽然如此金花姑娘还是义无反顾的去了。邪魔见到金花姑娘以后被她的美貌所吸引。于是,金花拿自己的美貌和邪魔做了交换。但是狡猾的邪魔还偷走了金花的60年寿命。让金花变成了一个又丑又老的老太婆。 女娲娘娘的眼泪救了所有村民,而金花姑娘却已经走完了生命的最后时光。不久之后金花姑娘的坟前开满了一种美丽的花,就像金花姑娘的笑脸,却比以前的金花葵开的更加灿烂。后来村民们就把它叫做金花葵,以此来纪念无私无畏的金花姑娘。

[참고자료(參考資料)]

1. [每日農經]渾身是寶的金花葵前景看好(2014-08-19) 央視網[引用日期 2014-12-30]

[학술논문(
學術論文)]

1.
楊秀松. 金花葵粗黃酮提取物的免疫調節作用研究.《 中國藥師 》,2013
2.
劉臨. 原子吸收光譜法測定金花葵中微量元素.《 微量元素與健康研究 》,2008
3.
吳名全. 珍稀植物——金花葵.《 現代園藝 》,2008
4.
吳正平. 金花葵籽不飽和脂肪酸對實驗性高脂血症大鼠血脂和肝功能的影響.《 中成藥 》,2011
5.
蘭蓉李浡劉卉陳亮. 金花葵總黃酮的提取和含量測定.《 江蘇農業科學 》,2012.]

금화규의 효능과 관련하여 중국의
<화인백과(華人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금화규(金花葵)

학명(學名):
Aurea HELIANTHUS,
우명(又名): 채부용(菜芙蓉)
야칭(也稱): 야부용(野芙蓉)

為一年生草本錦葵科秋葵屬植物,有的地區別名叫黏乾或山榆皮。2003年8月被中國農科院在河北邢台地區發現瀕臨絕種的植物,在200多個秋葵植物中最具食用、藥用、保健功能,有較高的利用價值。

중문명칭(中文名稱):
금화규(金花葵)

분포구역(分布區域):
它生長在深山崖隙間

아종(亞種):
亞金花葵

별칭(別稱):
채부용(菜芙蓉), 야부용(野芙蓉), 점건(黏乾), 산유피(山榆皮) 등(等).

문(門):
피자식물문(被子植物門)

종(種):
금화규(金花葵)

계(界):
식물계(植物界)

목(目):
금규목(錦葵目)

과(科):
금규과(錦葵科)

납정학명(拉丁學名):
Aurea HELIANTHUS

강(綱):
쌍자엽식물강(雙子葉植物綱)

아속(亞屬):
아추규속(亞秋葵屬)

아과(亞科):
아금규과(亞錦葵科)

속(屬):
추규속(秋葵屬)

[기술(概述)]


金花葵是金花葵3個種群中的1種,與黃蜀葵同屬。它生長在深山崖隙間,株高2m以上,最高的可達2.7m,植株冠徑1.5~2m。具粗壯的肉質根,縱深入土70cm以上。莖粗壯,基部木質化,抗倒伏,最大的莖基直徑達4cm。主莖長有50餘個節,每節長1葉,每個節長3~6cm。葉片互生,掌狀,無深裂,與蓖麻葉片相似。最大的葉片寬52cm、長31cm、葉柄長36cm。花期7~9月,肥水條件好的10月上中旬也開花。每株開花30~60朵,花大如碗,花冠直徑13~16cm。每朵花重6g左右,單生於上部葉腋間。花冠金黃,紫心金蕊,艷麗非凡,宛如出水芙蓉。開花時有蜜蜂采蜜。主枝和側枝均開花結果,果實形似棉花的棉鈴,果角有5棱,果角外表面有白色絨毛,其內裹著一粒粒比綠豆略小醬褐色的種子,形似豬腰。每果角有籽粒80~120粒。

[생장습성(生長習性)]


金花葵適應性較強, 各地均可種植。喜溫暖、陽光充足環境,耐寒、耐熱、喜濕、耐鹽鹼,耐40℃高溫和-10℃低溫。對土壤要求不是很嚴,在近水邊肥沃沙質壤土生長繁茂,開花多。既怕水澇,又不宜栽在過分乾旱的地方。

[지리분포(地理分布)]


自然分布在河北地區,是近瀕臨絕種的植物之一。

因其功效漸被人知,目前已經有很多金花葵種植基地,多分布在太行山東部山麓地區,晉中晉南地區。

[재비기술(栽培技術)]


<재배방법(栽培方法)>


金花葵適應性較強, 南北各地均可種植。它喜溫暖及陽光充足的環境,較耐寒、耐熱、喜濕、耐鹽鹼,能耐40℃高溫和-10℃低溫。對土壤要求不嚴,在酸性紅壤上也能正常生長,但在肥沃、深厚、排水良好的壤土上生長良好,特別是以排水良好的沙壤土為佳。在臨近水邊的肥沃沙質壤土中生長繁茂,開花較多。但其既怕水澇,又不宜栽在過分乾旱的地方。在華北地區以宿根越冬,北方嚴寒地區冬季堆土越冬或掘取移入溫室內越冬。金花葵為種子繁殖,南方可於4月上旬,北方5月上中旬將種子直播於露地苗床,可穴插或條插,萌芽生長較快,溫度在18℃以上時約10~15天即可出苗,2個月便可上盆或土栽上市,也可先育苗,當長至3~4片真葉時移栽,行距50cm,株距30cm。667m2需要種子4000~5000粒。667m2用3~5t農家肥和50~100kg氮磷鉀複合肥作基肥,生長期可追施液肥3~5次。同時要注意田間排水,及時拔除雜草,適時追施肥料。在生長旺季,要及時除去靠近地面的分枝,以利通風透光。當年夏季開花,果實8~10月陸續成熟,籽粒成熟時易脫落,應及時分批採收留種。金花葵全生育期無任何病蟲害,是天然綠色植物。在北方,開花期怕冰雹襲擊。到12月打霜時,金花葵全株枯死。春種秋收,用種子繁殖,全生育期100 多天。

<배육(培育)>


催芽將曬乾的金花葵種子用50~55度熱水浸泡30min,邊浸邊攪動,然後用涼水浸種,浸種時間不宜過長,一般3h~4h為宜。用潮濕的布包好,外用薄膜紙包裹,保持一定的濕度,置於恆溫箱中,保持25~28度,一般20h內開始萌芽,少量的種子也可用體溫催芽。長江中下游地區也可於4月上旬將種子直播於露地苗床,可穴插或條插,萌芽生長較快,溫度在18℃以上時約10d~15d即可出苗。

苗期管理採用營養缽育苗,我們選用的是72孔育苗盤,事先把基質填好,用水濕透,再進行播種,芽尖向下,播種後覆蓋一層薄膜,待出苗有七成時,揭去薄膜,播種後採用小拱棚保溫,前10天不揭膜,後20天天晴白天不蓋膜。採用直播的,可在地面用一次性透明塑膠碗進行保溫,待苗長成三葉一芯時用木棍掀開塑膠碗即可。

<정식(定植)>


待苗長成二至三葉一芯時進行定植,定植前先整好地,重施基肥,施農家肥和氦磷鉀複合肥作基肥,廂寬2m,溝寬20cm、深15cm,便於排水,先用除草劑除草,定植密度為行距50cm、株距30cm。

[관리양호(管理養護)]


定植後溫度在18℃以上時即可正常生長,全株到12月打霜時便枯死。施肥以基肥為主,追肥為輔。追肥以農家肥為主,最好是沼液等液肥,每採摘一次花後施一次肥,盛花期需肥量較大。要防止田間積水,做好排水抗旱工作。在生長旺季,要及時除去靠近地面的分枝,以利通風透光,及時拔除田間雜草。

金花葵全身都是寶,特別是花要及時採收,一般以剛剛開放的花為主,在浠水種植,6月上旬就可以開始採收鮮花,採收後及時曬乾。在8月下旬就可以開始採收種子,采後及時曬乾,便於貯藏和留種。

[주요가치(主要價值)]


<약용가치(藥用價值)>


金花葵花葯食兼用,《本草綱目》已記載黃蜀葵的藥用價值,能清熱、涼血、解毒,其花無毒,具有清利濕熱、消炎鎮痛之功效,內服主治五淋、水腫,外用治療湯水燙傷。果實、種子具有補脾健胃、生肌功效,治療消化不良、不思飲食、跌打損傷等。《嘉佑本草》記載: 黃蜀葵花主治小便淋漓及催生、治諸惡瘡。現代醫學研究表明,該花的總黃酮有鎮痛、抗腦缺血和治療口腔潰瘍等作用。其所含全價蛋白質、高聚糖膠、膳食纖維、微量元素硒、鋅、多種不皂化物等,具有顯著調節人體內分泌、免疫力,增加人體抗力,改善心腦血管及微循環功能,增強機體抗氧化能力,抗心腦缺血、缺氧、抗炎、鎮疼,抗疲勞、抗衰老、抗癌、防癌、降血脂功效。此外,其豐富的天然植物雌激素,對於延長女性青春期,減輕或避免中老年婦女更年期綜合症有奇效。同時金花葵的嫩果可食,富含人體所需的多種胺基酸和微量元素,所含的雄性激素較高,是被稱為植物偉哥補腎草物(即黃、紅秋葵)的1.6倍,對提高男性的性功能具有顯著效果,常食可治療男性陽痿、早泄、性慾低下等疾病並且沒有任何副作用。

金花葵也含有豐富的金絲桃苷成分,而金絲桃苷具有明顯的抗炎作用,有較強的止咳作用、同化作用,另外,還具有較強的抑制眼醛糖還原酶的作用。

<식용가치(食用價值)>


金花葵的嫩果可食,富含人體所需的多種胺基酸和微量元素,所含的雄性激素較高,是被稱為植物偉哥補腎草物(即黃、紅秋葵)的1.6倍,常食對提高男性中老年的性功能具有顯著效果。 金花葵非但無毒、無異味、無副作用,而且芳香撲鼻,味美可口,可直接入口鮮食、涼拌、熱炒、做湯或摻麵食食用,或以花泡水代茶、泡酒或炒雞蛋食用,還可與其他食品原料搭配製作各種美味菜餚、餡料、冷食、冷飲等。金花葵的根、莖、葉可全部粉碎過細目篩後做成稱為"榆皮面"的麵粉,營養價值很高,經常食用可預防心腦血管疾病。令人奇特叫絕的是,金花葵鮮花入口後人們馬上就會有一種奇、鮮、爽、香、心曠神怡的感受,一切勞累、困頓很快煙消雲散,具有明顯的緩解緊張情緒,助人放鬆的調整心態功能。由於它的生物酮含量較高,泡水、泡酒或做成茶葉對擴張血管非常有利,是心腦血管疾病患者的首選飲品。

<경제가치(經濟價值)>


金花葵的油脂除能食用外,還可作為高檔潤滑油,也是加工化妝品的高級原料用於製藥對燒傷燙傷的治療具有顯著效果。其作為美味蔬菜上市,667平方米產1000kg,銷售價格30元/kg,產值30000元以上;作為珍稀花卉,667平方米育2萬苗,每苗按2~4元,產值4~7萬;作為簡單加工品飲用茶上市,重量6g的12朵精品金花葵花所含天然生成狀態的生物黃酮含量384mg相當於96g銀杏葉的含量,市場價68元,按此計算,667平方米產值10萬元以上。

金花葵作為一朵美麗鮮花,一道美味蔬菜,一味濟世良藥,一項生命、健康產業堂皇上市,既可綠化、美化、彩化、香化生活,也可演繹生命健康奇蹟,無疑是當今世界最有希望、最有活力、最被看好的誘人產業。金花葵的全身是寶,是市場的"寵兒"、閨中"千金"。不管做何用途,667平方米地除去種子、化肥和農藥等收入萬元不成問題。因資源極少很難進行深加工開發,因此具有極高的社會經濟價值。

<원림관상(園林觀賞)>


金花葵既可庭院孤植、叢植,生活小區、街道、機關、廠礦、醫院、學校、幼兒院等地行植、片植,也可園林、大田產業化、商品化大面積栽培;還可做成盆景,或以香味植物出售,典雅高貴,具有很高的觀賞價值。

<전설유래(傳說由來)>

<<번체자>>


金花葵,可追溯歷史時期不可考究。曾在晉察冀廣大地區都有廣大分布,現今在山西呂梁山地區,晉南地區的深山中仍可追尋。古時,金花葵雖並為列入常用常識藥材行列,但現今仍有很多交通閉塞區域世代沿襲下來知其功效。因其花艷麗高雅更有一則動人傳說流傳至今。以下流傳來自於民間(今山西忻州地區),但並無確切史料收錄,僅作閱讀欣賞。

在很久很久以前,有一個美麗的村莊--金花村。這裡的夏天百花盛開,隨風飄香;秋天層林盡染,碩果纍纍。村民們和和樂樂,民風淳樸,路不拾遺,夜不閉戶。村子裡有個姑娘,美麗又善良,她特別愛笑,就像村口的金花葵一樣燦爛,大家都叫她金花姑娘。金花姑娘是個孝順的孩子,從小就幫父母乾農活,幹家務活,即使這樣金花姑娘還是那樣的美麗。傳說村子裡有一種寶物,叫做女媧娘娘的眼淚,是女媧時代,女媧的眼淚所變的寶物,聽說這個寶物可以實現一個願望。 也就是這個時候,天庭的一位神仙要練就一粒仙丹,但是卻缺少一種稀有的輔料,就是金花葵。神仙聽說只有金花村有這種奇特的植物,於是偷偷的來到金花村,摘了一些金花葵,當晚就把仙丹煉成了。第二天當神仙把仙丹送到玉皇大帝那裡,玉皇大帝吃了以後龍顏大悅,大大的獎賞了神仙。神仙得意洋洋,突然想到,為什么我不多煉一點仙丹呢?神仙一時貪心大起,就摘光了所有的金花葵。但是由於煉丹時的疏忽,仙丹沒有練成,神仙一怒之下,把病魔的封印解開後,放入了金花村。 可憐的村民,本來沒有金花葵以後就失去了自然應有的靈氣,現在更是雪上加霜,每個人都病怏怏的。當病魔來的時候,恰巧金花姑娘在別的村子裡幫忙秋收。回到村子裡的時候,她被眼前的景象驚呆了,村子裡被燒光了,一派凋零之象,男女老少全部病倒。 就在這個時候,金花想起了女媧娘娘的眼淚,於是金花就馬上去尋找村子裡的寶物。但寶物的附近有邪魔看管,拿到寶物需要用自己身上的一樣東西作為交換,雖然如此金花姑娘還是義無反顧的去了。邪魔見到金花姑娘以後被她的美貌所吸引。於是,金花拿自己的美貌和邪魔做了交換。但是狡猾的邪魔還偷走了金花的60年壽命。讓金花變成了一個又醜又老的老太婆。 女媧娘娘的眼淚救了所有村民,而金花姑娘卻已經走完了生命的最後時光。不久之後金花姑娘的墳前開滿了一種美麗的花,就像金花姑娘的笑臉,卻比以前的金花葵開的更加燦爛。後來村民們就把它叫做金花葵,以此來紀念無私無畏的金花姑娘。

<<간체자>>


金花葵,可追溯历史时期不可考究。曾在晋察冀广大地区都有广大分布,现今在山西吕梁山地区,晋南地区的深山中仍可追寻。古时,金花葵虽并为列入常用常识药材行列,但现今仍有很多交通闭塞区域世代沿袭下来知其功效。因其花艳丽高雅更有一则动人传说流传至今。以下流传来自于民间(今山西忻州地区),但并无确切史料收录,仅作阅读欣赏。

在很久很久以前,有一个美丽的村庄--金花村。这里的夏天百花盛开,随风飘香;秋天层林尽染,硕果累累。村民们和和乐乐,民风淳朴,路不拾遗,夜不闭户。村子里有个姑娘,美丽又善良,她特别爱笑,就像村口的金花葵一样灿烂,大家都叫她金花姑娘。金花姑娘是个孝顺的孩子,从小就帮父母干农活,干家务活,即使这样金花姑娘还是那样的美丽。传说村子里有一种宝物,叫做女娲娘娘的眼泪,是女娲时代,女娲的眼泪所变的宝物,听说这个宝物可以实现一个愿望。 也就是这个时候,天庭的一位神仙要练就一粒仙丹,但是却缺少一种稀有的辅料,就是金花葵。神仙听说只有金花村有这种奇特的植物,于是偷偷的来到金花村,摘了一些金花葵,当晚就把仙丹炼成了。第二天当神仙把仙丹送到玉皇大帝那里,玉皇大帝吃了以后龙颜大悦,大大的奖赏了神仙。神仙得意洋洋,突然想到,为什么我不多炼一点仙丹呢?神仙一时贪心大起,就摘光了所有的金花葵。但是由于炼丹时的疏忽,仙丹没有练成,神仙一怒之下,把病魔的封印解开后,放入了金花村。 可怜的村民,本来没有金花葵以后就失去了自然应有的灵气,现在更是雪上加霜,每个人都病怏怏的。当病魔来的时候,恰巧金花姑娘在别的村子里帮忙秋收。回到村子里的时候,她被眼前的景象惊呆了,村子里被烧光了,一派凋零之象,男女老少全部病倒。 就在这个时候,金花想起了女娲娘娘的眼泪,于是金花就马上去寻找村子里的宝物。但宝物的附近有邪魔看管,拿到宝物需要用自己身上的一样东西作为交换,虽然如此金花姑娘还是义无反顾的去了。邪魔见到金花姑娘以后被她的美貌所吸引。于是,金花拿自己的美貌和邪魔做了交换。但是狡猾的邪魔还偷走了金花的60年寿命。让金花变成了一个又丑又老的老太婆。 女娲娘娘的眼泪救了所有村民,而金花姑娘却已经走完了生命的最后时光。不久之后金花姑娘的坟前开满了一种美丽的花,就像金花姑娘的笑脸,却比以前的金花葵开的更加灿烂。后来村民们就把它叫做金花葵,以此来纪念无私无畏的金花姑娘。
]

금화규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河南省(美邦集团)通用航空有限公司> 2017년 12월 6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아래의 중국어 원문은 <네이버 파파고> 기계 및 jdm의 짧은 중국어 실력으로 번역을 하였으며 정확한 번역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
금화규(金花葵)

一、金花葵介绍

金花葵又名,菜芙蓉,为一年生草本锦葵科秋葵属植物,被人们誉为“植物大熊猫”,“生命救心草”,“植物海参”,“维生素E之王”。其野生生产量小,明朝以前主要用于宫廷贵族。富含大量的生物黄酮和对人体有益的微量元素锌、硒、钙等多种不皂化物和活性物质,具有抗击衰老、美白嫩肤、预防“三高”,名目护肝、清热解毒之功效。

하나, 금화규 소개


금화규는 일명 채부용으로 일년생 허브인 해바라기과 아욱속 식물로 '식물 판다', '생명 구심초', '식물 해삼', '비타민 E'의 왕'으로 불린다. 그 야생 생산량은 작았고 명나라 이전에는 주로 궁중 귀족들에게 사용되었다. 바이오 플라보노이드와 인체에 좋은 미량원소 아연, 셀렌, 칼슘 등 다양한 불비누화물과 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노화방지, 피부 미백, '트리플 하이' 예방, 열제거 기능을 합니다.

二、金花葵价值

金花葵是一种极其珍贵的植物,野生生产量小,明朝以前主要用于宫廷贵族,民间很少食用。金花葵明史有相关记载,之后一度被认为灭绝。2003年8月被中国农科院再次发现。2012年以后,才逐步形成少数地区规模种植。

둘, 금화규 가치


금화규는 야생에서 생산되는 양이 적고 명나라 이전에는 궁중귀족들에게 주로 사용되어 민간에서 많이 먹지 않는 희귀식물이다. 금화규 명사(明史) 즉 명나라 역사에는 관련 기록이 남아 있다가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2003년 8월 중국 농과원에 의해 재발견됐다. 2012년 이후에야 소수 지역 규모의 재배가 이뤄졌다.

金花葵茶中含有多种生物活性物质,主要成分为:金丝桃苷、生物类黄酮、全价蛋白、亚油酸和亚麻酸、维生素E、多聚糖胶、膳食纤维、微量元素硒、锌、钙及多种不皂化物等。金花葵全身皆宝,从花、果、籽到根、茎、叶均可使用,在200多个秋葵植物中最具食用、药用和保健功能,有较高的利用价值。

금화규차에는 다양한 생물 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요 성분은 카리프라진, 바이오 플라보노이드, 전가단백, 아유산과 아마산, 비타민E, 폴리글리세린, 식이섬유, 미량원소 등이었다. 금화규는 식물전체가 보배로, 꽃, 열매, 씨부터 뿌리, 줄기, 잎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200여 개의 아욱식물 중에서 가장 식용, 약용, 보건기능이 뛰어나 이용가치가 높다.

明朝宪宗成化年间,《顺德府志》记载:顺德府(今邢台市)有特产植物金花葵。明代《嘉佑本草》记载:金花葵花主治小便淋漓及催生、治诸恶疮。李时珍《本草纲目》记载金花葵的药用价值为:清热、凉血、解毒,其花无毒,具有清利湿热,消炎镇痛之功效,内服主治五淋,水肿;外用治疗汤水烫伤。果实、种子具有补脾健胃、生肌之功效。《世界医药》对金花葵价值也有所记载,其富含大量的生物黄酮和对人体有益的微量元素锌、铁等多种不皂化物,具有抗氧化、抗心脑缺血缺氧、消炎止痛、抗疲劳、降血糖血脂、养颜嫩肤、润肠通便、明目护肝、清热解毒等功效。

上一篇: 金花葵花茶.

명나라 헌종의 성화연간 순덕부지에는 순덕부(지금의 형태시)에 특산식물인 금화규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명나라 '가우본초'에는 '금화규는 소변임리(小便淋漓), 최생(催生) 즉 분만촉진, 악창(恶疮)을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시진 '본초강목'은 김화규의 약용가치를 청열(清热), 양혈(凉血),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고, 그 꽃은 독이 없으며, 청리습열(清利湿热), 소염진통(消炎镇痛)을 치료한다. 오림(五淋), 수종(水肿)에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시 끓는물에 데인 탕화상(湯火傷)을 치료한다. 열매 및 종자는 비장과 위장을 보하고, 생기(生肌)하는 효능이 있다. <세계의약(世界医药)>은 금화규의 가치에 대해서도 기록하는데, 바이오 플라보노이드와 인체에 유익한 미량원소 아연 철 등 다양한 불비누화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抗氧化), 항심뇌결혈결기(抗心脑缺血缺氧), 소염지통(消炎止痛), 항피로(抗疲劳), 강혈당혈지(降血糖血脂), 양안눈부(养颜嫩肤), 윤장통변(润肠通便), 명목호간(明目护肝), 청열해독(清热解毒) 등의 효능이 있다.

지난 글에서: 금화 해바라기 차.
]

금화규의 기원 및 상세 자료와 관련하여 중국의
<식물통(植物通=ZhiWuTong.com> 2008년 10월 1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진휘식물(珍稀植物)——금화규(金花葵)

来源: 现代园艺
作者: 吴名全
日期: 2008-10-01

金花葵又名菜芙蓉,也称野芙蓉,为一年生草本锦葵科秋葵属植物,有的地区别名叫黏干或山榆皮。2003年8月被中国农科院在河北邢台地区发现濒临绝种的植物,在200多个秋葵植物中最具食用、药用、保健功能,有较高的利用价值。

출처: 현대 원예
작가: 오명전
날짜: 2008-10-01

금화규는 채부용(菜芙蓉)이라고도 불리며, 또는 야부용(野芙蓉)이라고도 불린다. 한해살이 초본 식물로 금규과(锦葵科), 추규속(秋葵属) 식물이다. 어떤 지역에서는 점간(黏干), 산유피(山榆皮)라고 부른다. 2003년 8월 중국 농과원에 의해 허베이(河北)성 형대(邢台) 지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식물이 발견돼 200여 개의 아욱식물 중 가장 식용, 약용, 보건기능이 우수하다.

1, 金花葵的历史和现状


金花葵有着悠久历史。明朝宪宗成化年间,《顺德府志》记载:顺德府有特产植物金花葵。但除此记载外,国内现代文献资料均无从查找。1984年,全国农业资源普查时因没有找到金花葵这种植物,被生物界确认其早已灭绝。2003年8月初,中国农科院研究员唐益雄教授在河北省邢台市考察植物资源时,发现内邱县境内的小马河河道上生长着一片植物非常奇特。该植物群落花色呈艳丽的黄色,花朵硕大且有香味,群落中鸣虫啯啯较为密集,鸣声尤为响亮。经检索有关文献资料和查证《顺德府志》,并会同专家讨论,最终认证该植物就是认为已灭绝的金花葵。因金花葵具有奇特功效,在市场上马上引起国内外花卉、食品、医药、保健品、化工界的广泛关注并一致看好。国内外有不少人士出天价想买断它的生产和经营权。金花葵终端产品市场灿烂辉煌,初级产品也商机无限。通过专家们的深入研究,金花葵的内在价值不断开发出来,为人民的生产生活带来新的科研成果,也给金花葵的开发利用创造了新的发展机遇。

1, 금화규의 역사와 현황


금화규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명나라 헌종 성화연도 <순덕부지(顺德府志)>에는 순덕부에 특산식물인 금화규(金花葵)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제외하고는 국내 현대 문헌 자료를 찾아볼 수 없다.

1984년 전국 농업자원조사 때 금화규라는 식물을 찾지 못해 생물계에서 멸종된 것으로 확인됐다. 2003년 8월 초 중국 농과원 연구원인 당익웅(唐益雄) 교수가 허베이(市北)성 싱타이(省邢)시에서 식물자원을 답사했을 때, 내구현(内邱县) 경내(境内) 소마하(小马河) 물가에서 식물이 특이하게 자라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식물은 군락이 화려하고 노란빛을 띠고 있으며, 꽃은 크고 향기가 있으며 군락 중에는 우는벌레가 밀집되어 있어 울음소리가 특히 높다. 관련 문헌을 검색해 '순덕부지'를 검증하고 전문가와 토론한 결과 멸종된 것으로 판단되는 금화규라고 인정했다. 금화규는 기발한 효능을 지녔기 때문에 당장 국내외 화훼식품의약보건품화공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외의 많은 인사들이 그것의 생산과 경영권을 중단시키려고 비싼 값을 치르고 있다. 금화규 단말기 시장은 휘황찬란하고 초급 제품도 무한하다. 전문가들에 의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금화규의 내재가치는 끊임없이 개발되어 인민의 생산생활에 새로운 연구성과를 가져오고, 금화규의 개발이용에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였다.

2, 金花葵的生物学特性


金花葵是金花葵3个种群中的1种,与黄蜀葵同属。它生长在深山崖隙间,株高2m以上,最高的可达2.7m,植株冠径1.5~2m。具粗壮的肉质根,纵深入土70cm以上。茎粗壮,基部木质化,抗倒伏,最大的茎基直径达4cm。主茎长有50余个节,每节长1叶,每个节长3~6cm。叶片互生,掌状,无深裂,与蓖麻叶片相似。最大的叶片宽52cm、长31cm、叶柄长36cm。花期7~9月,肥水条件好的10月上中旬也开花。每株开花30~60朵,花大如碗,花冠直径13~16cm。每朵花重6g左右,单生于上部叶腋间。花冠金黄,紫心金蕊,艳丽非凡,宛如出水芙蓉。开花时有蜜蜂采蜜。主枝和侧枝均开花结果,果实形似棉花的棉铃,果角有5棱,果角外表面有白色绒毛,其内裹着一粒粒比绿豆略小酱褐色的种子,形似猪腰。每果角有籽粒80~120粒。到12月打霜时,全株枯死。春种秋收,用种子繁殖,全生育期100 多天。

2, 금화규의 생물학 특성


금화규는 금화규 3종류 중 1종이다. 금화규는 황촉규(黄蜀葵)와 같은 동속(同属)이다. 심산 절벽 사이로 높이 2m 이상, 최고 높이 2.7m까지 자라며, 관경 1.5~2m로 자란다. 굵은 육질의 뿌리를 가지고 70cm 이상 깊이 땅속에 들어간다. 줄기는 굵고 기단부는 목질화되고, 잘 넘어지지 않으며, 가장 큰 줄기는 지름이 4cm에 이른다. 줄기는 50여 개의 마디가 자라며 마디마다 1엽씩 3~6cm씩 자란다. 잎사귀는 서로 마주보며, 손바닥 모양을 하고, 깊이 갈라지지 않으며, 아주까리 잎사귀와 비슷하다. 가장 큰 잎은 너비 52cm, 길이 31cm, 잎자루 길이 36cm이다. 개화기 7~9월, 비수 조건이 좋은 10월 상중순에도 꽃이 핀다. 한 그루에 30~60송이의 꽃이 피는데, 꽃은 그릇만큼 크고 화관은 지름이 13~16cm이다. 각각의 꽃은 무게가 6g정도 나가며, 윗부분의 잎 겨드랑이 사이에만 핀다. 황금색의 화관, 황금색의 암술과 자심(紫心), 화사함이 마치 물결처럼 아름답다. 꽃이 필 때 꿀벌이 꿀을 빨아 모은다. 주 가지와 곁가지가 모두 꽃을 피우고 열매가 솜처럼 생겼으며 면은 열매의 모서리에 5각이 있고, 과각 바깥 표면에 흰색 털이 나 있으며, 그 안에는 녹두보다 약간 작은 장갈색의 씨앗이 들어 있다. 각 과각에는 씨알갱이 80~120알이 들어있다. 12월에 서리가 내릴 때쯤에는 온 그루가 말라 죽는다. 봄에 파종하고 추수하고 씨앗으로 번식하며 생육기간은 100일을 넘게 산다.

3, 金花葵的价值


3-1, 药用价值


金花葵花药食兼用,《本草纲目》已记载黄蜀葵的药用价值,能清热、凉血、解毒,其花无毒,具有清利湿热、消炎镇痛之功效,内服主治五淋、水肿,外用治疗汤水烫伤。果实、种子具有补脾健胃、生肌功效,治疗消化不良、不思饮食、跌打损伤等。《嘉佑本草》记载: 黄蜀葵花主治小便淋漓及催生、治诸恶疮。现代医学研究表明,该花的总黄酮有镇痛、抗脑缺血和治疗口腔溃疡等作用。其所含全价蛋白质、高聚糖胶、膳食纤维、微量元素硒、锌、多种不皂化物等,具有显著调节人体内分泌、免疫力,增加人体抗力,改善心脑血管及微循环功能,增强机体抗氧化能力,抗心脑缺血、缺氧、抗炎、镇疼,抗疲劳、抗衰老、抗癌、防癌、降血脂功效。此外,其丰富的天然植物雌激素,对于延长女性青春期,减轻或避免中老年更年期综合症也有奇效。金花葵也含有丰富的金丝桃苷成分,而金丝桃苷具有明显的抗炎作用,有较强的止咳作用、同化作用,另外,还具有较强的抑制眼醛糖还原酶的作用。

3, 금화규의 가치


3-1, 약용가치


금화규 꽃은 식용 및 약용을 겸용하고 있는데, <본초강목(本草纲目)>에는 이미 황촉규(黄蜀葵=닥풀)의 약용 가치가 기록되어 있으며, 열, 냉혈, 해독, 그 꽃에는 독이 없고, 청리습열, 소염진의 효능이 있다. 열매, 씨앗은 비장의 건위, 생기(生肌)의 효능, 소화불량 치료, 음식 생각 안하기, 질타손상(跌打损伤=타박상)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가우본초(嘉佑本草)>에는 황촉규(黄蜀葵) 꽃은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분만을 촉진하며, 악성 종기를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대 의학 연구>에 따르면 이 꽃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진통, 항뇌결혈, 그리고 구강 궤양을 치료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전가 단백질, 올리고당글로불린, 식이섬유, 미량원소 셀렌, 아연, 다양한 불비누화물 등이 함유되어 인체 내분비, 면역력을 현저하게 조절하고 인체 내력을 증가시켜 뇌혈관 및 개선 또한 천연식물인 에스트로겐이 풍부해 여성의 청춘기를 연장시키고 중장년층 갱년기 증후군을 경감하거나 피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금화규(金花葵)도 카리프라진 성분이 풍부하고 카리프라진은 항염작용이 뚜렷하여 기침을 멎게 하고 동화작용이 강하며 또한 안알데히드 당 환원 억제 효소의 작용이 강하다.

3-2, 食用价值


金花葵的嫩果可食,富含人体所需的多种氨基酸和微量元素,所含的雄性激素较高,是被称为植物伟哥补肾草物(即黄、红秋葵)的1.6倍,常食对提高男性中老年的性功能具有显著效果。金花葵非但无毒、无异味、无副作用,而且芳香扑鼻,味美可口,可直接入口鲜食、凉拌、热炒、做汤或掺面食食用,或以花泡水代茶、泡酒或炒鸡蛋食用,还可与其他食品原料搭配制作各种美味菜肴、馅料、冷食、冷饮等。金花葵的根、茎、叶可全部粉碎过细目筛后做成称为“榆皮面”的面粉,营养价值很高,经常食用可预防心脑血管疾病。令人奇特叫绝的是,金花葵鲜花入口后人们马上就会有一种奇、鲜、爽、香、心旷神怡的感受,一切劳累、困顿很快烟消云散,具有明显的缓解紧张情绪,助人放松的调整心态功能。由于它的生物酮含量较高,泡水、泡酒或做成茶叶对扩张血管非常有利,是心脑血管疾病患者的首选饮品。

3-2, 식용가치


금화규의 연한 과일은 식용이 가능하며, 인체에 필요한 다양한 아미노산과 미량원소가 풍부하고, 남성 호르몬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물 비아그라 보신초물[즉, 황금, 홍추규(红秋葵)]의 1.6배이다. 금화규는 독이 없고, 맛이 담백하며,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아로마 향이 좋고, 입맛이 좋으며, 바로 먹을 수 있는 신선한 음식, 무침, 뜨거운 볶기, 국 만들기 또는 밀가루 음식을 섞어서 먹거나, 꽃으로 물을 우려내어 먹는다. 금화규의 뿌리, 줄기, 잎은 모두 잘게 분쇄 분말로 만들어 '유피면(榆皮面)'이라 불리는 밀가루로 만들어 영양가가 높으며, 자주 먹으면 심뇌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특이한 것은, 금화규 꽃을 먹은 사람들은 신기하게도, 신선하고, 상쾌하고, 향기로운 기분을 느낄 수 있고, 모든 피로, 답답함이 빠르게 연기처럼 사라지고, 긴장을 완화시키고, 도움을 주는 것이 분명하다. 이 바이오케톤 함량이 높기 때문에 물에 달이거나 술을 담그거나 찻잎처럼 우려서 먹으면 혈관을 확장하는 데 유리하고 심혈관 질환을 앓는 사람들에게 가장 좋은 음료이다.

3-3, 观赏价值


金花葵既可庭院孤植、丛植,生活小区、街道、机关、厂矿、医院、学校、幼儿院等地行植、片植,也可园林、大田产业化、商品化大面积栽培;还可做成盆景,或以香味植物出售,典雅高贵,具有很高的观赏价值。

3-3, 관상가치


금화규는 정원에 심거나, 총식, 생활단지, 거리, 기관, 공장광장, 병원, 학교, 유아원 등에서 식재, 편식, 원림이 가능하며, 밭에 심어 산업화를 할 수 있다.

상품화 대면적 재배: 분재를 만들어 아름다운 경관 조성, 향기식물 출품, 우아하고 고급스러움, 대단히 높은 관상가치가 있다.

3-4, 经济价值


金花葵的油脂除能食用外,还可作为高档润滑油,也是加工化妆品的高级原料用于制药对烧伤烫伤的治疗具有显著效果。其作为美味蔬菜上市,667m2产1000kg,销售价格30元/kg,产值30000元以上;作为珍稀花卉,667m2育2万苗,每苗按2~4元,产值4~7万;作为简单加工品饮用茶上市,重量6g的12朵精品金花葵花所含天然生成状态的生物黄酮含量384mg相当于96g银杏叶的含量,目前市场价68元,按此计算,667m2产值10万元以上。

金花葵作为一朵美丽鲜花,一道美味蔬菜,一味济世良药,一项生命、健康产业堂皇上市,既可绿化、美化、彩化、香化生活,也可演绎生命健康奇迹,无疑是当今世界最有希望、最有活力、最被看好的诱人产业。金花葵的全身是宝,是市场的“宠儿”、闺中“千金”。不管做何用途,667m2地除去种子、化肥和农药等收入万元不成问题。目前因资源极少很难进行深加工开发,因此具有极高的社会经济价值。

3-4, 경제적 가치


금화규의 유지방은 먹을 수 있는 것 외에 고급 윤활유로도 사용되며 가공 화장품의 고급 원료로 화상, 탕화상 치료에 효과적이다. 667m2에 1000kg, 30원/kg에 30,000원 이상 판매하며, 희귀 화훼로 667m2에 2만 묘, 묘당 2~4위안을 생산한다.

아름다운 꽃, 맛 좋은 채소, 제세양약, 생명건강산업이 버젓이 출시되어 녹화, 미화, 채화, 향화 생활을 할 수 있으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건강의 기적을 연출할 수 있다. 금화규는 식물 전체가 보물로 시장의 '총아(宠儿)', 규중 '천금(千金)'이다. 어떤 용도로 쓰든 종자 비료 농약 등을 667m2에서 빼고 만 원을 버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현재는 자원이 극히 적어 심가공 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가치가 높다.

4, 金花葵的栽培管理


金花葵适应性较强, 南北各地均可种植。它喜温暖及阳光充足的环境,较耐寒、耐热、喜湿、耐盐碱,能耐40℃高温和-10℃低温。对土壤要求不严,在酸性红壤上也能正常生长,但在肥沃、深厚、排水良好的壤土上生长良好,特别是以排水良好的沙壤土为佳。在临近水边的肥沃沙质壤土中生长繁茂,开花较多。但其既怕水涝,又不宜栽在过分干旱的地方。在华北地区以宿根越冬,北方严寒地区冬季堆土越冬或掘取移入温室内越冬。金花葵为种子繁殖,南方可于4月上旬,北方5月上中旬将种子直播于露地苗床,可穴插或条插,萌芽生长较快,温度在18℃以上时约10~15天即可出苗,2个月便可上盆或土栽上市,也可先育苗,当长至3~4片真叶时移栽,行距50cm,株距30cm。667m2需要种子4000~5000粒。667m2用3~5t农家肥和50~100kg氮磷钾复合肥作基肥,生长期可追施液肥3~5次。同时要注意田间排水,及时拔除杂草,适时追施肥料。在生长旺季,要及时除去靠近地面的分枝,以利通风透光。当年夏季开花,果实8~10月陆续成熟,籽粒成熟时易脱落,应及时分批采收留种。金花葵全生育期无任何病虫害,是天然绿色植物。在北方,开花期怕冰雹袭击。(收稿;2008-06-270.)

4, 금화규의 재배관리


금화규는 적응성이 뛰어나고, 남북 각지에서 재배할 수 있다. 그것은 따뜻하고 햇볕이 잘 드는 환경을 좋아하며, 비교적 추위, 열, 희습에 강하고, 알칼리성이며, 40℃ 고온과 -10℃ 저온에도 견딜 수 있다. 토양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지 않아 산성 붉은 땅에서도 정상적으로 자라지만 비옥하고, 깊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고, 특히 배수가 잘 되는 모래땅이 좋다. 물가에 인접한 비옥한 토질의 땅속에서 무성하게 자라 꽃이 많이 핀다. 그러나 침수를 두려워할 뿐 아니라 지나치게 메마른 곳에 심는 것은 좋지 않다. 화북지역에서는 숙근으로 월동하고, 북방의 혹한 지역에서는 겨울에 퇴토를 쌓거나 굴취를 해서 온실내 월동으로 옮겨간다. 금화규는 씨앗 번식을 위하여 남방에서는 4월 상순, 북방에서는 5월 상중순에 씨앗을 노지 묘상에 심을 수 있고, 구멍을 파서 심거나 꽂을 수 있다. 어린 싹은 성장이 빠르며, 온도가 18℃ 이상에서 약 10~15일이면 싹이 나온다. 667m2는 씨앗이 4000~5000알이 필요하다. 667m2는 3~5t의 농가비와 50~100kg의 질소인 인칼륨 복합비료를 밑거름으로 하며, 생장기에는 액비 3~5회까지 추시할 수 있다. 아울러 논밭의 배수에 유의하여 잡초를 제때 뽑고 적시에 비료를 추수해야 한다. 성장 성수기에는 지면에 인접한 가지를 제때 제거하여 통풍이 잘 되도록 해야 한다. 그해 여름에 꽃이 피고 열매가 8~10월이 되면 씨알이 익을 때 떨어지기 쉬우므로 제때에 나누어 받아 남겨야 한다. 금화규는 전체 생육기간에 병충해가 없는 천연 녹색 식물이다. 중국 북방에서는 개화기에 우박이 떨어져 피해가 날 수도 있어 두렵다.

(수고: 2008-06-27.)
]

금화규와 같은 속에 속하는 닥풀인 황촉규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 명나라때 이시진이 52권으로 1596년에 편찬한
<본초강목> 초부(草部) 제16책(第十六冊) 제 5권 272-274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황촉규[黃蜀葵: 송가우(宋嘉祐)]

학명(學名):
Abelmoschus manihot Medic.(Hibiscus manihot L.)

과명(科名):
금규과(錦葵科)

[교정(校正)]


채부(菜部)에서 여기로 이입(移入)한다.

[석명(釋名)]


시진왈(時珍曰):
황촉규(黃蜀葵)는 별도(別途)의 일종(一種)으로서 당연(當然)히 초부(草部)에 편입(編入)되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우본초(嘉祐本草)에서는 과감하게 채부(菜部)에 편입(編入)했으나, 그것은 명칭(名稱)이 촉규(蜀葵)와 동일(同一)하고 기미(氣味), 주치(主治)도 역시 동일(同一)하니 번거로웠던 탓이리라. 본서(本書)에서는 여기에 옮겼다.

[집해(集解)]


우석왈(禹錫曰):
황촉규화(黃蜀葵花)는 근도(近道)의 도처(到處)에 있다. 봄에 묘엽(苗葉)이 생기고 자못 촉규(蜀葵)와 유사하며 엽(葉)의 끝이 좁고 결각(缺刻)이 많다. 늦은 여름에 천황색(淺黃色)의 꽃이 핀다. 육(六), 칠월(七月)에 채취(採取)해서 음건(陰乾)한다.

종석왈(宗奭曰):
황촉규(黃蜀葵)와 촉규(蜀葵)는 별종(別種)이다. 이것은 촉규(蜀葵) 가운데 황색(黃色)의 일종(一種)이 아니다. 엽심(葉心) 밑에 있는 자단색(紫檀色)인 부분(部分)을 따서 발라내고 햇볕에 말린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유란(濡爛)한다.

시진왈(時珍曰):
황규(黃葵)는 이월(二月)에 씨를 내리며 혹은 땅 속에 있던 구자(舊子: 묵은씨)에서 자연(自然)히 자라나서 여름까지 성장(成長)한다. 엽(葉)의 크기는 피마엽(萞痲葉)만하고 심녹색(深綠色)인데 아자형(丫字型)의 분기(分岐)가 열리고 오첨(五尖)이 되어 사람의 손톱 같은 모양으로 곁에 소첨(小尖)이 있으며, 육월(六月)에 꽃이 핀다. 그 꽃은 아황색(鵞黃色)으로 크기가 주발함하고 심(心)은 자색(紫色)으로 육판(六瓣)을 거느리며 아침에 피고 정오(正午)에 시들어 저녁에 떨어진다. 세간(世間)에서는 측금잔화(側金盞花)라고 부르고 있다. 꽃이 떨어지는 데 따라서 각(角)을 맺는다. 그 각(角)은 길이 이촌(二寸)가량되고 굵기는 무지(拇指)만한데 본(本)이 굵고 끝이 뾰족하며, 육릉(六稜)으로 털이 있고 노숙(老熟)하면 검게 되어 능(稜)이 저절로 탄(綻)한다. 그 속에는 지마방(芝麻房)과 같은 육개(六個)의 방(房)이 있으며, 방(房) 안에 씨가 차 있고, 그 씨의 모양은 맹마자(莔麻子)와 같으며 색(色)이 검다. 이 초(草)의 경(莖)은 길이가 육(六)~칠척(七尺)이 되는데 껍질을 벗기어 새끼줄을 만든다.

<< 꽃 >>


[기미(氣味)]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미끄럽고 독이 없다.

[주치(主治)]


1, <가우(嘉祐)>:
"소변림(小便淋) 및 분만(分娩)을 최촉(催促)하고 모든 악창(惡瘡)을 치료(治療)한다. 농수(膿水)가 오래도록 낫지 않는 데는 분말을 만들어 바르면 치유(治癒)된다. 창환자(瘡患者)에 대한 중요(重要)한 약(藥)이다."

2, <시진(時珍)>:
"옹종(癰腫)을 소(消)한다. 기름에 담가서 탕화상(湯火傷: 끓는물에 데인 화상)에 바른다."

[부방(附方)]


<신팔(新八: 새로운 여덟가지 처방)>


1, <보제방(普濟方)>:
"사석임통(沙石淋痛):
황촉규화(黃蜀葵花) 1냥을 볶고 분말을 하여 미음(米飮: 쌀을 묽게 쑨 죽)으로 1돈씩을 복용한다. 이것을 <독성산(獨聖散)>이라 칭(稱)한다."

2, <산보감(産寶鑑)>:
"난산(難産)에 분만(分娩)을 최촉(催促): <여성산(如聖散)>-태장(胎藏)의 건삽(乾澀)으로 심한 난산(難産)에는 삼복(三服)을 동시(同時)에 먹이는 것이 좋다. 약이 뱃속에 들어가면 기(氣)가 관(寬)해지니 태(胎)가 미끈둥해져서 바로 내려온다. 황규화(黃葵花)를 불에 쬐어 말려서 분말하여 숙탕(熟湯)으로 2돈을 조(調)하여 복용한다. 꽃이 없을 때는 씨 반합(半合)을 분말해서 술로 일고, 찌꺼기를 제거한 후 복용한다."

3, <산보감(産寶鑑)>:
"태아사망(胎兒死亡): 죽은 태아가 내려오지 않으면 위의 기술한 처방을 홍화주(紅花酒)로 복용한다."

4, <직지방(直指方)>:
"옹저종독(
癰疽腫毒): 황촉규화(黃蜀葵花)에 소금을 뿌리고, 자기(器)에 넣어 밀봉(密封)해서 두면 해를 넘겨도 변하지 않는다. 그것을 바르면 저절로 평안(平安)해지고 저절로 궤란(潰爛)된다. 화(花)가 없을 때에는 근엽(根葉)을 쓰는 것도 좋다."

5, <주후방(肘後方)>:
"소아(小兒)의 구창(口瘡): 황규화(黃葵花)를 구워서 분말하여 바른다."

6, <직지방(直指方)>:
"소아(小兒)의 목설(木舌): 황촉규화(黃蜀葵花)를 분말 1돈, 황단(黃丹) 5푼을 바른다."

7, <경험방(經驗方)>:
"탕화상(湯火傷: 끓는 물에 데인 화상): 병(甁)에 마유(麻油: 삼씨기름)를 가득히 담아 피어 있는 황규화(黃葵花)를 젓가락으로 따서 그 병(甁) 속에 넣고 밀봉(密封)해 둔다. 직접(直接) 손이 닿으면 안 된다. 부상자(負傷者)가 있을 때 그 기름을 바르면 심히 묘(妙)하다."

8, <보제방(普濟方)>:
"소아(小兒)의 독창(禿瘡): 황촉규화(黃蜀葵花), 대황(大黃), 황금(黃芩) 각각 같은 분량으로 분말을 하여 향유(香油: 참기름)로 조(調)하여 환부(患部)를 미감(米泔: 쌀뜨물)으로 세정(洗淨)한 후에 바른다."

<< 종자 및 뿌리 >>


[기미(氣味)]


맛은 달고 성질은 차고 미끄러우며 독이 없다.

[주치(主治)]


<시진(時珍)>:
"옹종(癰腫), 소변(小便)을 이롭게 한다. 오림(五淋), 수종(水腫), 난산(難産), 유즙(乳汁)을 통(通)하게 한다."

[발명(發明)]


송왈(頌曰):
동규(冬葵), 황규(黃葵), 촉규(蜀葵)는 형상(形狀)은 제 각각 동일(同一)하지 않으나 성질은 모두 차며 미끄럽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된 치료의 대증(對症)도 별 차이가 없다.

시진왈(時珍曰):
황규자(黃葵子)는 고방(古方)에서는 쓰였던 일이 드물었으나 지금은 분만(分娩)을 최촉(催促)하고 소변(小便)을 이롭게하는 중요한 약으로 되어 있다. 혹은 단용(單用)하고 또는 탕(湯), 산(散)에 넣어도 좋다. 대개 그 성질이 활(滑) 즉 미끄럽다는 점(點)에서 동규자(冬葵子)와 동일한 효능이 있는 까닭이다. 꽃, 씨, 뿌리 모두 성질과 효능이 같기 때문에 호용(互用: 서로 넘나들며 이쪽으로도 쓰고 저쪽으로도 씀)하여도 좋다. 꽃이 없으면 씨를 쓰고, 씨가 없으면 뿌리를 쓴다.

[부방(附方)]


<구이(舊二: 옛 처방 2가지)>


1, <시진(時珍)>:
"임산최생(臨産催生): 종석왈(宗奭曰): 임산(臨産)때에 사십구립(四十九粒)을 연란(硏爛)하여 온수(溫水)로 복용하면 잠시 후에 분만(分娩)하게 된다. <경험방(
經驗方)>에서는 씨를 불에 쬐어 말려 분말하여 3돈을 정화수(井華水: 첫 새벽에 떠온 우물물)로 복용한다. 씨가 없으면 뿌리를 달여서 즙(汁)을 복용한다."

2, <영류검방(永類鈐方)>:
"변옹(便癰: 화농성 서혜 림프절염)의 초기(初期): 회지방(淮지방)에서는 황촉규자(
黃蜀葵子) 70알, 조각(皁角) 반정(半廷)을 분말하여 석회(石灰)와 초(醋)로 조(調)하여 바른다."

<
신이(新二: 새로운 처방 2가지)>

1, <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옹종(癰腫)이 파(破)하지 않는 것: 황규자(黃葵子)를 술에 갈아서 복용한다. 1알에 한 개의 두(頭)가 붙는다. 그 효과가 신효(神效)하다."

2, <
해상방(海上方)>: "타박상손(打撲傷損): 황규자(黃葵子)를 술에 갈아서 2돈을 복용한다."

[각주(脚註)]


실용(實用)과 관상용(觀賞用)의 둘로 재배(裁培)되는데 실용(實用)으로는 근피(根皮)로 제지용(製紙用) 호(糊: 풀)를 만든다.

황촉규(
黃蜀葵)를 원식물(原植物)로 취급하는 생약(生藥)은 현재 통상적인 중국(中國)의 생약시장(生藥市場)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엽심(葉心)은 화판(花瓣)의 중심(中心)을 말한다.

황촉규(
黃蜀葵)의 뿌리는 유럽산(産) <Althaea> 뿌리에 대용(代用)된다. 그 전제(煎劑) 또는 황촉규사이별[黃蜀葵舍利別=국방(局方)]을 점활약(粘滑藥)으로서 위장(胃腸) 카타르 등에 쓰고, 진해약(鎭咳藥)이나 환제정제(丸劑錠劑)의 부형약(賦形藥)으로도 쓴다. 또한 공업용(工業用)으로 제지용(製紙用)의 호료(糊料: 풀재료)로서 다량(多量)이 사용(使用)된다. 성분(成分)은 뿌리에 약 16% 점질물(粘質物)을 함유하는데 그 대부분(大部分)은 아라반, 갈락탄, 암노잔 등이 들어 있다.

황촉규(
黃蜀葵)의 뿌리에는 점액(粘液) 약 16%를 함유하는데 주로 rhamnose와 galacturonic acid의 중합물(重合物)로 이루어져 있다. 종자(種子)에는 지방(脂肪)이 약 17%를 함유(含有)한다.

대관(大觀)에는 방자(方字) 위에 후자(後字)가 있다.

변옹(便癰)은 변독(便毒), 즉 횡현(橫痃)이다.

◎ jdm 첨부:

1, <한국전통지식포탈>: "변옹(便癰): 혈산(血疝), 변독(便毒)과 같음. 왼쪽 서혜부(鼠蹊部)에 생긴 옹저(癰疽), 성교에 너무 힘을 썼거나, 혹은 욕정을 참고 배설하지 못하여 정(精)과 혈(血)이 뭉쳐 중도(中途)에 막혀 있거나, 심하게 화를 내어 간(肝)을 손상하여 경락에 기혈이 막혀 생기거나, 양매창이 전염되어 생기기도 함. 초기에 살구씨 만하다가 커져 오리알 만해지고 몹시 딴딴하며 벌겋게 붓고 화끈거리며, 아프거나 아프지 않으며 열도 나지 않음. 곪아서 터진 후 구멍이 잘 아물지 않아 생선 주둥이 같다 해서 어구(魚口) 또는 어구창(魚口瘡)이라고 함."

2, <한의학대사전>: "변옹(便癰): 옹(癰)의 하나. 자개미(서혜부)에 생긴 옹을 말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변옹을 변독(便毒) · 혈산(血疝), 또는 과마옹(跨馬癰)이라고도 하였다. 변옹은 족궐음경맥(足厥陰經脈)에 열사(熱邪)가 몰리고 혈(血)이 뭉쳐서 생긴다. 초기에는 살구씨만한 것이 생겼다가 점점 커져서 주먹만하게 되는데 몹시 단단하다. 벌겋게 붓고 화끈 달아오르며 아픈 것도 있고 벌겋지도 않고 아프지도 않으며 열도 나지 않는 것도 있다. 자개미의 어느 한쪽이나 양쪽에 다 생기기도 한다.

변옹이 곪아 터진 다음 잘 아물지 않는 헌데 구멍이 생기는데 그 모양이 물고기 입 같다고 하여 어구(魚口) 또는 어구창(魚口瘡)이라고도 하였다. 초기에는 삭아 없어지게 하고 곪은 뒤에는 오령산(五苓散)에 대황(大黃)을 더 넣어 쓰거나 쌍해산(雙解散) ·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소방산(蘇方散) · 소독음 (消毒飮) 등을 증상에 따라 가감하여 쓴다. 겉에는 산약(山藥: 생것)을 사탕과 함께 짓찧어 붙이고 곪아 터진 뒤에는 옹저(癰疽)와 같이 치료한다.

※ 화농성 서혜 림프절염에 해당된다고 본다."
]


금화규와 같은 속에 속하는 닥풀의 효능에 대해서 일본에서 펴낸 <약용식물대사전> 50면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닥풀

뿌리는 피부나 내장점막 등의 짓무른 곳을 감싸서 치료를 돕는 점활약으로 이용한다.

과명: 아욱과
별명: 황촉규, 황추규, 황촉규근
생약명: 황촉규근, 황촉규자
약용부: 뿌리
약용: 점활, 진해

이용법: 외용(고약, 바르는 약, 습포), 요리, 음식

생태/ 중국 원산의 한해살이풀(온난지에서는 여러해살이)로 각지에서 재배한다. 높이는 약 1.5cm이다. 뿌리는 우엉뿌리처럼 굵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전체에 뻣뻣한 털이 있다. 잎은 손바닥모양이고 5~9개로 깊게 갈라지며, 긴 잎자루가 있고 어긋난다. 8~9월에 크고 꽃잎이 5장인 노란 꽃이 피고, 꽃이 지면 5개로 모가 난 타원형의 열매를 맺는다.

유래/ 닥나무로 한지를 만들 때 뿌리의 점액을 풀로 이용했기 때문에 닥풀이란 이름이 생겼다. 닥풀은 뿌리에 점액이 많기 때문에 제지용 점성 물질로 사용한다. 한자 이름인 황촉규는 황색 꽃과 촉(: 쓰촨성(四川省)의 별명)을 가리키는 것으로 즉, 쓰촨성에서 난 아욱이란 의미로 추측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이용 방법/ 10월경 뿌리를 파서 땅 윗부분을 제거하고, 물로 씻어서 겉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것을 <황촉규근(黃蜀葵根)>이라고 한다. 점액질, 당류를 함유하고 있다. 내장점막 등의 짓무른 곳을 감싸서 보호하고 치료를 앞당기는 점활약(粘滑藥: 얇은 막을 형성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약)으로, 위염, 위궤양 등에 이용한다.

민간에서는 목이 붓거나 아플 때, 편도선염 등에 황촉규근을 110g을 달여서 적당히 양치질한다. 어린 열매는 오크라처럼 살짝 데쳐서 먹어도 좋다.

씨앗은 <황촉규자(黃蜀葵子)>라고 하는데 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유즙 분비를 도우며, 타박상에는 가루로 만들어 술에 타서 마신다.]



[중국에 자라는 금화규와 황추규의 열매, 종자 비교 사진, 사진 출처: 중국 금화규 재배 육성 기지]

[2020년 10월 18일 현재 중국 인터넷에서 금화규를 이용한 다양한 판매 제품들]


1, <<금화규 꽃을 따서 말린 꽃 차>>


2, <<금화규 잎을 따서 말린
잎 차>>


3, <<금화규 잎을 따서 말린
잎 분말>>


4, <<금화규 줄기를 채취하여 말린
줄기 분말>>


5, <<금화규 뿌리를 채취하여 말린
뿌리 분말>>


6, <<금화규 각 부위별로 만들 수 있는
금화규주>>


7, <<금화규 종자로 기름을 짜서 만든 
금화규유>>


8, <<금화규 열매 종자를 빼고 남은
열매껍질>>


9, <<금화규 줄기를 잘게 썰어서 말린
건조 줄기>>


10, <<금화규 뿌리를 잘게 썰어서 말린
건조 뿌리>>



11, <<금화규 전초에서 추출한
콜라겐 원액 화장품>>

[중국 금화규 상품에 대한 사진 출처: 중국 금화규 배육 기지
홈 페이지:
http://www.jhkui.com/]

닥풀[꽃, 뿌리, 줄기, 잎, 종자=금화규도 같은과로 효능은 비슷함]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꽃>


1, 사석림(砂石淋)

황촉규화(黃蜀葵花) 1냥을 볶아서 체로 쳐 가루내서 1회에 1돈을 식전에 미음에 섞어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독성산(獨聖散)]

2, 옹저종독(癰疽腫毒), 악성 종기

황촉규화(黃蜀葵花)와 식염을 섞어 그릇에 넣고 밀봉하여 두면 시간이 오래 지나도 변하지 않는데 이것을 환부에 바른다. [인재직지방(
仁齋直指方), 촉규고(蜀葵膏)]

3, 화상

병에 참기름을 넣고 젓가락으로 황규화(黃葵花)를 집어 병안에 넣되 사람의 손을 대지 않는다. 밀봉하여 두고 화상 환자가 있으면 이 기름을 바른다. [경험방(經驗方)]

4, 소아 구창(口瘡)

황규화(黃葵花)를 태워 가루내어 바른다. [주후비급방(
肘後備急方)]

5, 소아 목설(木舌: 혀의 부종 및 경화)

황촉규화(黃蜀葵花) 1돈, 황단(黃丹) 5푼을 바른다. [인재직지방(
仁齋直指方)]

6, 소아 독창(禿瘡)

황촉규화(黃蜀葵花), 대황(大黃), 황금(黃芩)을 같은 양으로 가루내어 환부를 쌀뜨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향유로 개어 바른다. [보제방(普濟方)]

<뿌리>

7, 임질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5돈~1냥 5돈을 달여 복용한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8, 부스럼을 제거하고 고름을 뽑는 처방

황촉규근(黃蜀葵根)을 짓찧어 바른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9, 감정(
疳疔), 치질
황촉규근(黃蜀葵根)의 달인 액으로 씻는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10, 폐열(肺熱)로 인한 해수

황촉규근(黃蜀葵根) 7돈을 달여 빙당(氷糖)을 적당히 넣고 풀어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11, 젖의 분비를 촉진하는 처방

황촉규근(黃蜀葵根) 1냥을 황두(黃豆) 혹은 돼지 족발과 함께 고아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12, 유행성 이하선염
(임상보고)
황촉규근(黃蜀葵根) 5돈(건조품)과 등황(藤黃) 3돈을 각각 갈아서 다시 함께 곱게 갈아 95%의 에틸알코올 500ml 안에 넣어서 사용시에 그 장액(漿液)을 환부이 부은 곳에 매일 2~3회 바른다. 263례의 병례 중 1~2일 내의 치유가 75%, 3~4일 내의 치유가 255례였다. 발병 초기 약을 바른 경우의 치료 효과가 가장 좋았다. 이 약액은 독이 심하므로 사용시 반드시 주의해야 하며 절대 입에 넣어서는 안된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13, 중이염
(임상보고)
황촉규(黃蜀葵: 말린 것, 뿌리, 줄기, 열매의 껍질도 된다) 3g에 300ml의 물을 가하고 100ml로 될 때까지 달여 여과한다. 1일 3회, 1회 2~3방울을 귀에 떨어뜨리는 데 2주간 계속한다. 약을 떨어뜨려 넣기 전에 외이도의 분비물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한다. 고막 천공으로 분비물이 나오는 중이염 60례를 치료한 결과 치유가 25례, 호전이 12례, 무효가 9례였다. 전신 치료와 결합하면 효과가 더욱 좋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줄기>

14, 기혈(氣血)이 허(虛)한 증상

밀자(蜜炙)한 황촉규경(黃蜀葵莖)이나 뿌리 1냥, 성숙채(星宿菜) 2돈을 돼지 정육으로 삶아 복용한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15, 산욕열의 예방과 치료

황촉규(黃蜀葵)의 줄기나 뿌리 1냥을 닭을 끓인 국으로 달여 복용하거나 물로 달인 액으로 계란 2개를 삶고 첨주(甛酒)를 조금 넣어 복용한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16, 화상

황촉규(黃蜀葵)의 껍질을 기름에 담가 문지른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잎>


17, 옹저(癰疽)

신선한 황촉규엽(黃蜀葵葉) 한 줌을 깨끗하게 씻고 동규(冬葵)와 함께 짓찧어 환부에 바르는데 1일에 2~3회 바꾼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8, 화상

신선한 황촉규엽(黃蜀葵葉)을 찧어 바른다. [
복주군구(福州軍區),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종자>


19, 요폐(尿閉)

황촉규자(黃蜀葵子) 30~40알을 갈아서 끓인 맹물에 타서 즙 한 잔을 짜내어 한 번에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20, 옹종이 터지지 않는 증상

황규자(黃葵子)를 갈아서 가루 내어 술로 복용한다.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21, 초기 변옹(便癰)

황촉규자(黃蜀葵子) 17알, 조각(
皂角) 반 알을 가루내어 석회(石灰)와 식초롤 개어서 바른다. [영류검방(永類鈐方)]

22, 타박상

황촉규자(黃蜀葵子)를 갈아서 가루내어 2돈을 술로 복용한다. [질박손상(
跌撲損傷)]

23, 분만을 촉진하는 처방

볶은 황규자(黃葵子) 70알을 짓찧어 술로 복용한다. [해상방(海上方)]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본초강목(本草綱目)>:
"황규자(黃葵子)를 옛 처방에서는 적게 썼지만 지금은 최산, 이뇨의 주요한 약이 되고 있으며 탕제 또는 산제로 쓸 수 있다. 그 성질이 활(滑: 미끄러울활)하여 동규자(冬葵子: 아욱의 씨앗)와 효능이 같다. 꽃, 종자의 성질과 효능은 뿌리와 같으며 꽃이 없을 때에는 종자를 써도 되고 종자가 없으면 뿌리를 써도 된다."

금화규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명나라 헌종 성화연도 <순덕부지(顺德府志)>에는 순덕부에 특산식물인 금화규(金花葵)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제외하고는 중국내 현대 문헌 자료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금화규는 중국에서 1984년 중국 전국의 농업 자원센서스는 금화규 식물을 찾지 못해 생물계에서 멸종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다가 2003년 8월 초 중국 농과원연구원인 당익웅(唐益雄) 교수가 허베이성 싱타이시에서 식물자원을 답사하던 중 우치큐현 경내 오마허 강둑에서 자라는 식물 한 조각이 특이하다는 사실을 발견한 결과, 이것이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 <금화규(金花葵)>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금화규는 닥풀과 같은과로서 그 쓰임새나 효능이 거의 같기 때문에 금화규의 효능을 고대 의서에서 인용하는데, 명나라때 이시진이 기록한 <본초강목>에 <닥풀>인 <황촉규>의 효능을 동일하게 적용시키고 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이미 알려진 같은과의 닥풀의 약용명인 <황촉규(黃蜀葵)>의 약용 가치가 기록되어 있는데, <꽃은 무독하며 해열, 양혈(凉血), 해독, 습열, 소담진통>에 효능이 있고 <오림(五淋), 부종, 화상> 등에 처방하며 종자는 <위와 비장을 튼튼하게 하여 소화불량을 치료하고, 근육을 발달시키며, 타박상을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금화규를 국가차원에서 연구개발하여 이미 다양한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천연힐링시대에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식물로 인류의 건강 증진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중국에서 금화규 종자를 들여와 농민들이 대량으로 심고 있어 약초, 식품, 의약품, 화장품, 술, 관상용 등 중국처럼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 글을 쓰는 jdm 필자도 날 것으로 꽃을 따서 먹어보았는데 씹는 맛이 좋았고 말린 꽃을 차로 마셔 보았는데 담백한 맛에 목넘김이 매우 부드럽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제 <황금꽃 해바라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금화규(金花葵)>라는 대단히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식물을 누구나 재배하고 가꾸어서 사람키 보다 훨씬 크게 자라는 금화규를 텃밭, 화단, 아파트 베란다 등 도시 농촌을 막론하고 심고 가꾸어서 또 다른 창조물의 신비를 만끽하면서 누구나 아프지 않고 건강미 넘치는 삶과 행복을 누릴 수 있기를 간절히 고대해 본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금화규 사진 및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금화규(金花葵) 무엇인가?
  2. 닥풀(황촉규) 무엇인가?
  3. 무궁화 무엇인가?
  4. 부용 무엇인가?
  5. 수박풀 무엇인가?
  6. 아욱 무엇인가?
  7. 어저귀 무엇인가?
  8. 히비스커스(로젤)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금화규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