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의 잎,
꽃, 푸른 열매, 열매 채취한 장면, 반으로 자른 것, 종자, 종자에서
싹이 튼 모습-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일본 스즈끼유리 회원 촬영>>]
▶
이뇨작용,
청열이뇨, 소종,
청열화담, 소옹배농, 수종, 소변불리,
폐열해수, 수기부종천만,
소갈증,
소갈증으로 인하여 물을 자주 마시고 싶고 소변이 지부편처럼
달짝지근하며 60~70일 가량 계속되는 경우, 생후
1~5개월 되는 갓난 아이가 잠깐 추웠다가 잠간 더웠다 하며 목이 마른
증상, 소아갈리, 상한
후의 이질, 주사비[주부코],
오랜동안 진액이 고갈된 증상, 팔다리의 부종, 입이 마르는
증세, 등에
난 종기로 거의 빈사 상태가 된 경우, 치동통, 여름에
난 땀띠, 훈세방[김을 쏘이고 씻은 약],
여러 가지 중독과 물려서 상한 것에 대한 문, 마교방[말에게 물린 데 쓰는 처방],
말의
땀이 창에 들어갔을 때, 물고기에
의한 식중독,
적열사리, 신장염,
요폐, 전신 부종, 소갈로 밤낮 계속 물을 마시며 물을 마시면 곧 소변을 보는 것,
타박상에 의한 요통,
타박상,
해수,
큰 두드러기,
소갈열, 혹은 심신번란,
수종번갈로 소변이 적은 증상,
해수와 미열이 있으며 번만하고 가슴속이 갑착하는 폐농양의 증세,
충수염이 아직 화농하지 않았고 아랫배에 종비가 있고 누르면 임과 같이 아프며 소변은 잘 나오나 때때로 발열하며 식은 땀이 나고 오한이 반복적으로 오며 그 맥이 지긴한 경우,
남성의 백탁,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하는데, 가정 요리용[국이나
김치를 만듦, 스튜, 수프, 카레, 마늘동아지, 정과 만드는 법, 자포
등],
오림,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데, 다이어트[너무 살쪄서 몸을 좀 여위게 하고 가볍게 하면서 건강하게 하는데],
수종병이 처음 생겨 위급하게 되었을 때,
세 가지 소갈병, 피부미용[피부를
윤택하게 하는데, 얼굴빛을 좋아지게 하는데, 얼굴을 광택이 나게 하고
안색을 좋아지게 하는데, 검정반점을 없애는데, 주근깨를 없애는데,
얼굴이 옥같이 깨끗하고 고와지게 하는데, 눈과 얼굴이 깨끗하지 못하고 검푸른 것], 만경풍,
몰린 열을 풀어주는데, 광물성 약재의 독을 없애주는데, 수창, 가슴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하는데, 헌데, 옴, 벌한데 쏘인 독을 없애는데, 여성의 백대하,
소갈증이 멎지 않고 소변이 잦은 증세,
남자의 오로칠상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하는 처방,
진해, 거담, 배농, 소염성이뇨, 양초를
만드는데[열매의
표면에 있는 흰색의 왁스],
부종, 방광염, 신장병, 간경변의 복수, 발열, 당뇨병으로 인한 갈증,
소염성 오줌내기약, 배농약,
부스럼, 치장내옹종[장 속에 옹종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 처방],
소아비적[어린이이 코가 벌겋게 된 데],
마마를 앓는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어머니의 식사요법,
임신때의
식사요법, 서화를 씻는 방법,
의복의 때를 빼는 법, 여러 가지 염증, 물고기
중독, 게 중독, 자라 중독, 내장이 곪은 데, 기침가래약, 겨울철 언 데다 살이 트는 것,
치질, 치루, 상습성 변비, 충수염, 맹장부위가 아프고 단단한 것이 느껴질 때,
폐농양을
다스리는 동아
동아는
동아속 박과의 튼튼한 1년생 넝쿨 식물이다. 동아의 학명은
<Benincasa hispida (Thunb.) Cogn.>이다. 줄기는 길고 크며
튼튼하고 네모졌으며 황갈색의 자모(刺毛)가 빽빽하게 있고 덩굴손은
갈라졌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10cm 되는 긴 자루가 있다. 잎몸은
넓은 난형이거나 신장형에 가까우며 길이가 15~30cm이고 너비는 길이와
비슷하며 5~7개의 모서리가 있거나 얕게 갈라진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기부(基部)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거친 털이
있고 그물맥이 있다. 꽃은 단성(單性)이고 얌수한그루이며 옆겨드랑이에
하나씩 핀다. 수꽃의 꽃자루는 길이가 5~15cm이다. 꽃받침은 대롱 모양이고
5개로 갈라져 있다. 열편은 삼각 모양의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부리는 황색이고 거의 기부(基部)까지 5개로 갈라졌으며 지름이
6~10cm이다. 꽃잎은 바깥쪽으로 퍼져 있고 길이가 3~5cm이다. 수꽃의
수술은 5개인데 연결되어 3개로 되었으며 그 가운데 2개가 비교적 넓고
꽃가루주머니는 2실이다. 다른 한 개는 비교적 가늘며 꽃밥이 1실이다.
암꽃은 꽃자루가 짧아 길이가 5cm도 안 된다. 하위 씨방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보드라운 털로 덮여 있고 암술대가 3개로 갈라졌으며 약간
비틀려 있다. 호과(瓠果)는 육질이고 타원형이거나 직사각형 모양의
타원형인데 때로는 원형에 가까운 것도 있으며 길이가 30~60cm, 지름이
20~35cm이다. 열매 껍질은 연한 녹색이고 표면에 한층의 흰 납질(蠟質)가루가
있다. 과육은 희고 두텁다. 열매 꼭지는 원기둥 모양이고 세로 홈이
있다. 종자는 여러 개이고 백색이거나 황백색이며 난형이거나 긴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흔히 1개의 모서리가 있다. 재배품종에는 가장자리가 반들반들한
것도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6~8월에 익는다.
중국에서는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원산지는 동남아시아, 아마도 태국과 자바가
기원일 것으로 보인다. 또는 인도로 추정되고 있다. 박보다 크고 길쭉하다. 대개 길이가 지름의 2배는 넘으며 큰 것은 길이가 1m에 가깝다. 동아란 이름은 순우리말이다.
박과는 전세계 100속 860종의 식물이 열대와 아열대에 퍼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12속 14종, 3변종이 있으며 그 가운데 9속 10종이 제약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 과의 특수성분은 설사작용이 있는 쓴맛물질인 <쿠쿠르비타신(A,
B, C, D, E)>이다. 이 과의 식물에 일반적으로 들어 있는데 14가지의
쿠쿠르비타신 성분이 분리되었다. 쿠쿠르비타신은 항암작용이 있다는
것이 동물 실험에서 밝혀졌다.
한국에서는 순창군 등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있다. 현재는 먹거나 소비하는 사람도 별로 없어 잊히고 있는 안타까운 채소다. 크기가 커서 운반하기도 힘든데, 알맹이가 잘 썩기까지 한다.
맛을 보면 수박의 하얀 부분과 무의 중간 맛이 나는데, 이런 동아 맛은 박 맛과 거의 비슷하다. 둘 다 박과이기 때문에 무나 박처럼 국물 요리에 넣어 시원한 맛을 낸다. 이처럼 맛이나 요리법에서 동아는 박과 뚜렷하게 차이나는 점이 없다. 박도 식재료 자체의 향미가 강한 편은 아니지만, 널리 알려진 식재료라서 여러 가지 요리법이 연구된 것인데, 동아는 구하기도 힘들어서 대체재가 되기 힘들다.
대만에서는 동아를 동과(冬瓜)라고 부르며 반찬부터 국거리에 넣어먹기도 하고 흑설탕과 함께 녹여서 동과차로 마시기도 한다. 구수하면서 달달한 것이 특징이다. 공차에서 파는 '윈터멜론 밀크티'가 이 동과차이다. 펑리수의 재료이기도 하다. 중국도 대만처럼 동과를 여러 가지 요리에 활용한다.
이순신의 행록에는 이순신이 어린 시절 동네 소경아이를 같이 동아 따러가자고 속인 다음 자기 집 동아를 따게 만든 일화가 실려 있다. 행록의 저자가 이순신의 조카 이분이고 인물 추앙과는 관련 없는 어린 시절 일화라 사실로 보이는데 전근대에는 박만큼이나 흔하게 재배된 색재였을 듯하다.
동아
열매의
여러 가지 이름은 동과[冬瓜=dōng guā=똥 ̄꾸아 ̄, 동과:东瓜, 백과:白瓜, 황해숭:黄楷崧, 백동과피:白东瓜皮, 백동과:白冬瓜, 백과피:白瓜皮, 백과자:白瓜子, 지지:地芝: 유기백과(维基百科), 백도백과(百度百科)], 토우간[トウガン=冬瓜, 토우가:トウガ, 카모우리:カモウリ=氈瓜=加茂瓜=賀茂瓜, 카모리:カモリ=<石川県, 富山県で呼び>, 시무이:シブイ=<沖縄県で呼び>, 토우가시:トウガシ=冬瓜子: 일문명(日文名)], Benincasa cerifera Savi, 1818[Benincasa pruriens f. hispida ; Benincasa hispida (Thunb.) Cogn. 1881: 학명(學名)], 윈터 메론[Winter Melon, 웩스 고어드:Wax Gourd, 화이트 고어드:white gourd, 차이니즈 워터메론:chinese watermelon: 영문명(英文名)], 쿠르주 시루즈[courge cireuse,
courge à la cire: 프랑스어], Wachskürbis[독일어],
zucca della cera[이태리어],
abóbora d'água[포르투갈어],
calabaza blanca[스페인어],
동화, 동아, 동박, 동아 호박, 다모 박, 수지[水芝],
겨울 박 등으로 부른다.
동아 줄기의 다른 이름은
동과등[冬瓜藤: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이라고 부른다.
동아 잎의 다른
이름은 동과엽[冬瓜葉: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이라고 부른다.
동아 열매의
겉껍질의 다른 이름은 동과피[冬瓜皮:
개보본초(開寶本草)]라고
부른다.
동아 과육의 여러 가지 이름은 동과양[冬瓜瓤:
본초도경(本草圖經)], 동과련[冬瓜練:
약성론(藥性論)] 등으로 부른다.
동아 종자의 여러 가지 이름은
동과자[冬瓜子:
당본초(唐本草)], 백과자[白瓜子: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과자[瓜子,
과판:瓜瓣:
금궤요략(金匱要略)],
동과인[冬瓜仁:
명의별록(名醫別錄)], 과서[瓜犀: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등으로 부른다.
[채취]
<열매>
<중약대사전>:
"늦여름과 초가을에 열매가 익었을 때 채취한다."
<줄기>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잎>
<중약대사전>:
"여름에 채취한다."
<열매의
겉껍질>
<중약대사전>:
"동과를 먹을 때 벗겨낸 열매의 겉껍질을 모아 햇볕에 말린다."
<종자>
<중약대사전>:
"동과(冬瓜)를
먹을 때 씨를 받아 씻어서 여문 것을 골라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열매의
겉껍질>
<중약대사전>:
"말린 열매 껍질은 항상 안으로 감겨들어 대롱 모양이거나 쌍 대롱 모양이며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표면은 반들반들하고 연한 화색, 황록색이거나 어두운 녹색이며 가죽처럼 단단하고 질기며 흰 가루가 덮여 잇따. 내표면은 비교적 거칠고 굵은 줄이 조금 붙어 있다. 질이 바삭바삭하고 잘 끊어진다. 냄새가 없고 맛은 싱거우며 껍질이 얇고 길며 회록색이고 흰가루가 있으며 건조하고 깨끗한 것이 좋다.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난다."
<종자>
<중약대사전>:
"말린 종자는 편평하며 길고 둥근 난형이거나 긴 타원형이며 길이가 1cm 정도이고 너비가 6mm이다. 겉껍질은 황백색이고 때로는 갈라진 무늬가 있으며 한쪽 끝이 뭉뚝하고 다른 한쪽 끝이 뾰족하다. 뾰족한 끝에 두 개의 작은 돌기가 있는데 그 가운데서 조금 작은 것이 밑씨이고, 다른 하나는 비교적 큰 데 가 위에 주공(珠孔)이 뚜렷하게 있다. 가장자리가 반들반들하거나 즉 <단변동과자(單邊冬瓜子), 양면이ㅡ 가장자리에 고리 모양의 가장자리가 즉 <쌍변동과자(雙邊冬瓜子)>가 있는 것이 있다. 씨껍질은 벗겨내면 유성(油性)이 있는 유백색의 종인(種仁) 속살이 보인다. 냄새는 미약하게 나며 맛은 조금 달다. 희고 알이 옹골지고 잡물이 없는 것이 좋다.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난다. 사천(四川), 절강(浙江), 강소(江蘇), 하남(河南), 하북(河北), 안휘(安徽) 등지에서의 산출량이 비교적 많다."
[약리작용]
<열매의
겉껍질>
<중약대사전>:
"비신성(非腎性) 수종의 회복기 환자가 동과피의 전제(煎劑: 달임약) 74g을 복용하고 물 1,000ml를 마시면 복용후 2시간 이내에 배뇨량이 대조 군(群)에 비하여 뚜렷하게 증가했으나 2~4시간 사이에는 대조 군(群)에 비하여 감소했다."
[성분]
<열매>
<중약대사전>:
"동과(冬瓜) 500g에는 protein 1.5g, 당분 8g, 조섬유 15g, 회분
1.1g, 칼슘 72mg, 인 45mg, 철 1.1mg, carotene 0.04mg, thiamine 0.04mg,
riboflavine 0.08mg, nicotinec acid 1.1mg, 비타민(vitamin) C 61mg이
함유되어 있다. 암꽃은 수꽃보다 arginine, asparatic acid, glutamic
acid를 비교적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암꽃은 asparagine을 함유하고
있으나 수꽃은 함유하지 않는다."
<종자>
<중약대사전>:
"종자는 사포닌(saponin) 0.68%, fat, urea, citrull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어떤 보고에 의하면 Benincasa cerifera 종자의 fat에는 linoleic acid 62.3%, oleic acid 21.9% 및 포화지방산 15.6%가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또 종자에서 소량의 adenine, trigonelline(N-methylnicotinic acid)등을 분리했다."
[포제(炮製)]
<종자>
<중약대사전>:
"잡물을 제거하고 쓸 때에는 부수어서 쓰거나 또는 약한 불에 황백색이
나게 구워서 건조한 곳에 두고 쓰며, 벌레와 쥐를 주의해야 한다."
[성미]
<열매>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싱거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2,
<명의별록>: "맛은 달고 성질은 조금 차다."
3,
<도홍경>: "성질은 냉리(冷利)하다."
4, <음선정요(飮膳正要)>: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조금 차고 독이 없다."
5,
<전남본초>: "성질은 평하고 화(和)하며 맛은 달고 싱겁다."
6,
<옥추약해>: "맛은 시큼하고 달며 성질은 조금 차다."
<줄기>
<본초재신>: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열매의
겉껍질>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2, <전남본초>:
"성질은 약간 차고 서늘하며 독이 없다."
3, <본초재신>: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며 독이 없다."
<과육>
<약성론>: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종자>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3, <명의별록>:
"성질이 차고 독이 없다."
4, <육천본초>: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귀경(歸經)]
<열매>
1,
<중약대사전>: "폐(肺), 대소장(大小腸), 방광경(胱經)으로
들어간다."
2, <전남본초>: "비(脾), 폐경(肺經)으로
들어간다."
3, <뇌공포제약성해>: "비(脾),
위(胃), 대소장경(大小腸經)으로 들어간다."
4, <옥추약해>:
"수태음폐(手太陰肺),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으로 들어간다."
5,
<본초재신>: "심(心), 비경(脾經)으로 들어간다."
<열매의
겉껍질>
<전남본초>:
"비(脾), 폐경(肺經)으로 들어간다."
<종자>
<득배본초>:
"족궐음경(足厥陰經)으로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열매>
1,
<중약대사전>: "이수(利水)하고 소담(消痰)하며 열을 내리고
해독한다. 수종, 창만, 각기, 임질, 담후(痰吼),
해천(咳喘), 서열번민(暑熱煩悶), 소갈증, 사리(瀉痢), 조그마한 종기,
치루를 치료하며 아울러 어독(魚毒)과 주독을 푼다."
2,
<명의별록>: "아랫배의 수창(水脹)을 치료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지갈(止渴)한다."
3, <도홍경>: "해독하고
갈증을 해소하며 번민을 엾애는데는 짓찧어 짜낸 즙을 먹는다."
4,
<맹선(孟詵)>: "익기(益氣)하고 노화를 방지하며 흉심만(胸心滿)을
제거하고 얼굴의 열을 없앤다."
5, <일화자제가본초>:
"제번(除煩)한다. 흉격열(胸膈熱)을 치료하며 열독옹종(熱毒癰腫)을
없애고 땀띠를 치료한다."
6, <본초도경>: "삼소갈질(三消渴疾)을
주치하고 적열(積熱)을 풀며 대소장(大小腸)을 순조롭게 한다."
7,
<본초연의>: "등에 난 종기 및 모든 악창의 치료에는 깍아낸
큰 덩어리를 창(瘡) 위에 놓고 뜨거워지면 바꾸어 열독기(熱毒氣)를
발산시킨다.>"
8, <일용본초>: "오림(五淋)을
치료한다."
9, <전남본초>: "<담후(痰吼),
천식의 치료에는 강탕(薑湯)으로 먹는다. 또한 원방장기(遠方瘴氣)를
풀고 소아의 경풍(驚風)을 치료한다.>, <윤폐(潤肺)하며 열담(熱痰)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10,
<본초재신>: "청심화(淸心火)하며 사비화(瀉脾火)하고 이습거풍(利濕祛風)한다."
11,
<수식거음식보>: "<열을 내리고 위(胃)를 튼튼히 하며
진액을 생기게하며 더러움을 깨끗이 씻어 없애고 번(煩)을 치료한다.
소옹행수(消癰行水)하며 창만, 사리곽란(瀉痢霍亂)을
치료한다. 어독(魚毒), 주독 등의 독을 없앤다.>, <수종을 치료하며
서습(暑濕)을 없앤다."
<줄기>
1,
<중약대사전>: "폐열담화(肺熱痰火), 탈항을 치료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기미, 부스럼과 옴을 씻어서 치료한다."
3,
<본초강목>: "짓찧은 즙을 먹으면 목이독(木耳毒)을 없애고
달인 물로 탈항을 씻어서 치료한다."
4, <본초재신>:
"경락을 풀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관절을 순조롭게 하고 화혈기(和血氣)하며
풍습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5, <수식거음식보>:
"늦가을에 뿌리를 잘라 병에 꽂아 놓고 즙을 취하여 먹으면 폐열(肺熱),
담화(痰火), 내옹제증(內癰諸症)을 치료한다."
<잎>
1,
<중약대사전>: "소갈증, 학질, 설사 벌에 쏘인 상처, 종독을
치료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종독 및
벌에 쏘인 상처를 치료한다."
3, <본초강목>: "소갈증,
학질에 의한 한열(寒熱)을 치료한다. 또는 약한 불에 쬐어 말려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여러해 된 악창에 바른다."
4, <수식거음식보>:
"청서(淸暑)하며 학질, 이질, 설사를 치료하고 지갈(止渴)한다."
<열매의
겉껍질>
1, <중약대사전>:
"이수(利水)하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수종, 설사,
조그마한 종기를 치료한다."
2, <본초도경>: "효능은
동과(冬瓜)와 같다."
3, <전남본초>: "<지갈(止渴)하고
소담(消痰)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중풍을 치료한다.>"
4,
<본초강목>: "주로 당나귀나 말의 땀이 창(瘡)에 들어가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자면 그늘진 곳에서 말려 가루내어 바른다.
또는 골절로 인한 통증을 치료한다."
5, <본초재신>:
"피부를 주(走)하며 거습추풍(祛濕追風)하고 보비사화(補脾瀉火)한다."
6,
<중경당수필>: "풍열(風熱)을 내리고 부종을 없앤다."
7,
<분류초약성>: "수종, 치질을 치료한다.>"
8,
<강소식약지>: "설사, 족부(足跗:
발등)의
부종을 치료한다."
9, <산동중약>: "이습(利濕)하고
소서(消暑)한다."
<과육>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출혈을 멎게 하며 수(水)를
순조롭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2, <약성론>:
"즙(汁)은 번조열갈(煩躁熱渴)을 멎게 하고 소장(小腸)을 순조롭게 하며 소갈증을 없애고 오림(五淋)을 낫게 한다."
3,
<최우석(崔禹錫), 식경(食經)>: "보중(補中)하고 장위중풍(腸胃中風)을 제거하며 삼충(三蟲)을 없애고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4,
<본초강목>: "얼굴과 몸을 씻으면 기미를 없앨 수 있다."
5,
<안휘약재(安徽藥材)>: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번갈(煩渴)을 없애며 열독옹종(熱毒癰腫)을 치료한다."
6,
<광서중약지>: "화상에 바른다."
<종자>
1,
<중약대사전>: "윤폐潤肺()하고 화담(化痰)하며 소옹(消癰)하고
이수(利水)한다. 담열해수(痰熱咳嗽), 폐농양, 충수염, 임질, 수종,
각기, 치질, 주사비[酒齄鼻:
주부코]를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익기(益氣)한다."
3, <명의별록>: "번만(煩滿)하여
줄기기를 싫어하는 것을 치료한다."
4,
<최우석, 식경>: "이수도(利水道)하며 담수(淡水)를 없앤다."
5, <일화자제가본초>:
"피부의 풍(風)을 없애고 기미를 제거하며 근육과 피부를 윤기있게
한다."
6, <본초강목>: "충수염을 치료한다."
7,
<신농본초경소>: "식욕을 촉진하고 비(脾)의 기능을 북돋운다.>"
8, <본초술>: "심경(心經)의 온열(蘊熱), 소수임통(小水淋痛), 주사비(酒齄鼻)로 삼씨같은 것은 코에 돋아나 아프고 노란 물이 나오는 증상을 치료한다."
9, <본초종신>: "간(肝)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한다."
10, <본초술구원(本草述鉤元)>:
"뱃속의 결취(結聚)를 주치하고 궤농혈(潰膿血)을 없애며, 무릇
장위내옹(腸胃內壅)을
치료하는 가장 중요한 약이다."
11,
<진념조(陳念祖)>: "윤폐(潤肺)하며 가래를 삭이고 익위기(益胃氣)한다."
12, <산동중약>: "신장염,
요도염, 요폐, 각기, 수종을 치료한다."
13,
<중국약식도감>: "치질로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자면 이를
달여서 아픈 곳을 깨끗이 씻거나 혹은 찜질한다."
[용법과
용량]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74~148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약한 불에 푹 삶거나 짓찧은
즙을 먹는다.
외용: 짓찧어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줄기>
<중약대사전>:
"내복: 물로 달여서 먹거나 짓찧은 즙을 먹는다.
외용:
달인 물로 씻는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 갈아서 가루내어 바른다."
<열매의
겉껍질>
<중약대사전>:
"내복: 11.1~37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갈아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과육>
<중약대사전>:
"내복: 37~74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즙을 짜내어 먹는다.
외용:
달인 물로 씻는다."
<종자>
<중약대사전>: "내복:
3.7~14.8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고약으로 만들어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열매>
1,
<맹선>: "열이 있는 자는 먹어도 좋으나 냉증이 있는 자는
먹으면 여윈다."
2,
<최우석, 식경>: "냉증이 있는 자는 먹지 못한다. 먹으면
병이 악화되고 위반병(胃反病)이 생긴다."
3,
<신농본초경소>: "허한신냉(虛寒腎冷), 구병활설(久病滑泄)하는
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
4,
<의림찬요>:
"라(癩) 즉 라두창(癩頭瘡)이 있는 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
<열매의
겉껍질>
<사천중약지>:
"영양불량으로 인하여 생긴 허종(虛腫)이 있는 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종자>
<명의별록>: "오래
복용하면 중[中: 비위(脾胃)]이 한[寒: 찬 것]하다."
제민요술(齊民要術)은 중국에 있어서의 현존하는 종합적 농서(農書)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북위(北魏)의 고양[高陽: 산동성(山東省)] 태수(太守) 가사협(賈思勰)이 편찬한 것으로서 10권이며, 서기 532~549년경에 이루어졌다. 화북의 농업을 중심으로 한나라 이후의 곡물·야채·과수 따위의 경종법, 가축 사육법, 술·된장의 양조법 등이 체계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인용서는 약 160종이며 특히 전한(前漢)의 농서인 《범승지서(氾勝之書)》와 후한의 농서인 최식(崔寔)의 《사민월령(四民月令)》이나 남조의 《식경(食經)》 등 유문(遺文)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 책은 영농생활의 실제에 관해서 농경·축산부터 가공·판매·조리에 이르고, 서술은 엄밀하여 동아시아 건지이경농법(乾地犁耕農法)과 그 농경문화의 정식(定式)이다.
동아에 관한
기록이 허준의 동의보감 보다 무려 1,000년 전인 서력 기원 532~549년경에 저술한
<제민요술>을 2007년 7월 20일 한국농업사학회에서 발행하였고 구자옥, 홍기용, 김영진, 홍은희의 역주인 <제민요술(齊民要術)> 제 654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부과호법(缹瓜瓠法):
동과(冬瓜), 월과(越瓜), 박 즉 호(瓠: 표주박 호)는 털이 아직 떨어지지 않은 어린 것을 쓴다. 털이 벗어진 것은 단단하다.
[원문]
부과호법: 동과, 월과, 호, 용모미탈자, 모탈즉견. 缹瓜瓠法: 冬瓜, 越瓜, 瓠, 用毛未脫者, 毛脫卽堅.]
동아의 효능에
대해서 총 18종류의 처방이 나오는데 기원 1589년 양예수의 <의림촬요(醫林撮要)>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과(冬瓜)
1-종창문[腫脹門], [수종(水腫), 창만(脹滿)을 덧붙임]
○ 식치[食治: 식사요법]: 팥, 콩, 무, 출경[朮莖: 삽주싹], 향유(香薷), 욱리인(郁李仁), 율무쌀죽, 가물치, 잉어, 팥삶은 것, 조기, 청두압[靑頭鴨: 오리고기], 오소리고기, 푹 삶은 쇠고기, 동아.
○ 식사요법(食事療法)에 부종병[浮腫病: 수병(水病)]으로 죽게 된 데는 이어(鯉魚: 잉어) 1마리[600g 이상 되는 것]을 푹 고아 그 물에 총백(蔥白: 대파)과 동과(冬瓜)를 넣고 국을 끓여 먹는다고 하였다.
2-삼소문[三消門: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
○ 또 동과즙(冬瓜汁)으로 환약(丸藥)을 짓는데 이름을 과련환(瓜連丸)이라고 한다. 또 황련(黃連), 과루(瓜蔞)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생지황즙(生地黃汁)으로 환약(丸藥)을 지어 먹는데 역시 과련환(瓜連丸)이라고 한다.
○ 식치[食治: 식사요법]: 좁쌀, 청량미[靑梁米: 푸른찰좁살], 보리, 밀, 율무쌀, 녹두, 청두압[靑頭鴨: 오리고기], 석류, 능금, 붉은팥, 꿩고기, 소의 위, 부추, 배추, 동아 태운 즙, 돼지위, 토끼, 흰수탉, 생우유, 양의 폐, 누런 암탉, 또 <득효방(得效方)>에는 "붕어로 소갈(消渴)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향약방(鄕藥方)>에는 "생칡즙에 꿀을 탄 것, 파초근즙[芭蕉根汁: 파초뿌리즙], 인삼(人蔘) 가루[달걀 흰자위에 갠 것], 동아즙, 소, 양의 생젖, 푸른 찰좁쌀죽, 찹쌀 씻은 물, 오미자차(五味子茶), 누른 암탉고기와 그 국물, 밀밥, 밀죽, 꿩고기와 그 국물, 솔꽃을 물에 타 먹는다"고 하였다.
○ 맥문동탕(麥門冬湯)
소갈(消渴)로 밤낮 계속 물을 마시며 물을 마시면 곧 소변(小便)을 보는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麥門冬), 황련(黃連), 동과(冬瓜) 말린것 각 80g.위의 약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 마른 것이 없으면 생것 한 개가 1.8kg 되는 것을 껍질과 속을 버리고 12쪽을 내서 매번 1쪽씩 하루 3번 먹는다. [옥기미의(玉機微義), 갈문(渴門)]
3-면병문[面病門], [육자<肉刺: 손이나 발에 생기는 무사마귀 비슷한 굳은살을 말하는데, 흔히 티눈이라 하며 계안창(鷄眼瘡)·육자(肉刺)라고도 한다. 일종의 원형 형태의 각질 또는 증식물이다.>, 분자(粉刺: 여드름), 우지(疣痣: 사마귀), 반흔(瘢痕: 흠집)을 덧붙임]
○ 동과세면약(冬瓜洗面藥)
눈과 얼굴이 깨끗하지 못하고 검푸른 것을 치료한다.
동과(冬瓜) 1개를 대칼로 푸른 껍질을 긁어 버리고 썰어 술 1되 반과 물 2되에 넣고 푹 끓여 무명천으로 밭아 찌꺼기를 짜 버리고 다시 베천으로 걸러서 졸여 고약(膏藥)이 된 다음 거기에 봉밀(蜂蜜) 600g을 넣고 다시 졸여 희조[稀稠: 묽고 된 것]가 알맞게 된 다음 다시 새무명천으로 걸러 사기 그릇에 넣어 두고 쓸 때마다 밤알만큼씩 침에 개어 얼굴에 바르고 손으로 문지른다. [향약방(鄕藥方), 세면방(洗面方)]
4-치루문[痔漏門]
○ 또 한가지 처방: 치루(痔漏)에 붙인다.전라(田螺) 1개를 딱지를 짜개고 용뇌(龍腦) 0.4g을 넣어서 하룻밤 두었다가 먼저 동아속 삶은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전라(田螺) 속의 물을 치루(痔漏)에 바른다.
○ 치질(痔疾)을 씻는 약처방(藥處方)은 괴화(槐花), 형개(荊芥), 지각(枳殼), 애엽(艾葉)으로 되었는데 물에 달인 다음 백반(白礬)을 넣어거 김을 쏘인다. 또는 씻기도 한다. 또 한가지 방법은 동과(冬瓜) 달인 물로 씻는 것이다.
5-훈세방[熏洗方: 김을 쏘이고 씻은 약]
○ 오배자(五倍子), 박초(朴硝), 상기생(桑寄生), 연방(蓮房), 형개(荊芥).위의 약들을 달이면서 먼저 김을 쏘인 다음 그 물로 씻는다. 동과엽(冬瓜葉)도 좋다. 그리고 대장열(大腸熱)로 부은 데는 목별자(木鱉子), 오배자(五倍子)를 보드랍게 가루내어서 물에 개어 붙인다. 치질(痔疾) 꼭대기가 위로 향한 것은 대장(大腸)에 열(熱)이 심한 것인데 치질(痔疾)이 작아지면서 위로 향하는 데는 사물탕(四物湯)이나 해독탕(解毒湯)에 지각(枳殼), 백출(白朮), 괴실(槐實: 회화나무 열매), 진구(秦艽)를 더 넣어 쓴다.
6-여러 가지 중독과 물려서 상한 것에 대한 문
○ 자라나 게를 먹고 중독(中毒)된 데는 우즙(藕汁: 연뿌리즙), 대산즙(大蒜汁), 동과즙(冬瓜汁), 자소즙(紫蘇汁)을 쓰는 것이 좋다.
7-마교방[馬咬方: 말에게 물린 데 쓰는 처방]
○ 여연[驢涎: 나귀의 침]이나 마한[馬汗: 말의 땀]이 헌데에 들어갔을 때에는 헌데를 깨끗하게 씻은 다음 동과(冬瓜)를 태워 가루내어 헌데 속에 넣는다.
또 한가지 처방은 동과(冬瓜)의 푸른 껍질을 그늘에 말려 가루내어 붙이는 것이다. 찹쌀을 씹어 붙이기도 한다. 괴화(槐花: 회화나무 꽃)나 괴지(槐枝: 회화나무 가지) 달인 물로 씻고 김을 쏘이며 겸하여 부은데 붙인다.
8-임신식치[姙娠食治: 임신 때의 식사요법]
○ 임신(姙娠) 때에는 출엽[朮葉: 삽주잎], 마, 더덕, 당귀줄기, 도라지, 밤, 포도, 복분자, 여지, 잣, 개암, 무청, 무우, 동아, 낙타, 노루, 사슴, 멧돼지, 기러기, 메추리 고기와 굴조개, 붕어, 숭어, 조기, 홍합, 꿀 등이 좋다.
9-창진유모소식[瘡疹乳母所食: 마마를 앓는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어머니의 식사요법]
○ 꿩, 노루, 사슴, 석화(石花), 토화(토화), 붕어절임, 생조개, 오징어, 숭어, 조기, 토란, 홍합, 은어, 순무, 무우, 동아, 피쌀, 도라지, 붉은팥, 검정콩, 녹두, 보리, 메추리, 마, 현삼, 졸인 젖, 참대순, 포도, 생밤, 곶감 등을 먹는다.
10-치장내옹종[治腸內癰腫: 장 속에 옹종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 처방]
○ 삼인탕(三仁湯)장옹(腸癰)으로 장(腸)이 갑자기 몹시 아픈 것과 번독[煩毒: 옹독(癰毒)]으로 편안치 않거나 배가 불러오르고 그득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고 소변(小便)을 보기 힘든 것을 치료한다. 부인이 산후(産後)에 허열(虛熱)이 있으면 이런 병(病)이 자주 생긴다. 옹(癰)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의심될 때에는 먹는 것이 좋다.
의이인(薏苡仁) 10g, 동과인(冬瓜仁) 8g, 도인(桃仁), 목단피(牧丹皮) 각 6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
11-유모기식[乳母忌食: 유모가 가려야 할 음식]
닭고기, 어미돼지고기, 게, 다섯 가지 매운 것, 쇠고기, 말고기, 아욱, 버섯, 잉어, 토끼고기, 노루고기, 찰진 음식, 굳은 것, 술, 국수, 메기, 송이버섯, 참새고기, 고비, 콩잎, 기름진 것, 불에 구운 고기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 은백산(銀白散)
토(吐)하고 설사(泄瀉)하며 목에서 가래가 끓고 숨이 약간 차며 눈에 흰자위가 많고 놀라서 떠는 것을 치료하는데 위(胃)를 도와주고 풍사(風邪)를 없앤다. 만경풍(慢驚風) 치료에도 두루 쓴다.석련육(石蓮肉), 백편두[白扁豆: 볶은 것], 복령(茯苓) 각 10g, 인삼(人蔘), 천마(天麻), 백부자[白附子: 볶은 것], 전갈[全蝎: 볶은 것], 목향(木香), 자감초(炙甘草), 곽향(藿香) 각 5g, 진창미[陳倉米: 초향(炒香)한 것]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생강(生薑) 1편, 동과자(冬瓜子) 7개와 함께 달여서 먹인다. 혹은 묵은 쌀 미음에 타 먹이기도 한다. [득효방(得效方)]
12-소아비적[小兒鼻赤: 어린이이 코가 벌겋게 된 데]
○ 팔선산(八仙散)허증(虛症)인 만경풍(慢驚風)을 치료한다.
천마(天麻), 백부자(白附子), 백화사육(白花蛇肉), 방풍[防風: 뇌두를 제거한 것], 천남성[天南星: 법제한 것], 반하국(半夏麯), 동과자(冬瓜子), 전갈(全蝎) 각각 같은양.
위의 위의 약들을 한번에 4g씩 물 반잔에 생강(生薑), 대조(大棗), 박하(薄荷)와 함께 넣고 달여 먹인다. 오두(烏頭)를 넣어 쓰면 더욱 좋다.
13-양초법[釀醋法: 식초를 만드는 방법]
○ 육향고(六香膏)
겨울철 언 데다 살이 트는 것을 치료한다.
백단향(白檀香), 침속향(沈束香), 정향(丁香), 영릉향(零陵香), 감송향(甘松香), 팔각향(八角香) 각 4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밀(蜜) 3되에 넣고 아구리를 봉해서 7~10일 동안 두었다가 불 위에 얹어 약간 데워서 체에 걸러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삼내자[三乃子: 보드랍게 가루낸 것] 20g, 용뇌(龍腦) 가루 12g, 동과인[冬瓜仁: 보드랍게 가루낸 것 280~400g을 넣고 고루 저어 다시 센 체로 밭아서 그릇에 담아 두고 쓴다. 찌꺼기는 덩어리를 만들어 불에 태우면 아주 좋은데 강매향(江梅香)이라고 한다. [속방(俗方)].]
동과, 동과등, 동과인, 백동과, 백동과자, 백동과등, 백동과엽, 동과즙 등 동아의
부위별 총 14군데 처방의 효능에 대해서 기원 1,610년 조선시대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과(冬瓜)
1-동의보감, 내경편, 권삼, 대장부(大腸腑)-신대역 동의보감 436면
동과(冬瓜: 동아): ○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해준다. 국이나 김치를 만들어 늘 먹는다[본초].
2-동의보감, 내경편, 권사, 소변(小便)-신대역 동의보감 513면
동과(冬瓜: 동아): ○ 오림(五淋)을 치료하여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즙을 내서 1잔씩 마신다[본초].
3-동의보감, 외형편, 권삼, 육(肉)-신대역 동의보감 815면
동과(冬瓜: 동아): ○ 너무 살쪄서 몸을 좀 여위게 하고 가볍게 하면서 건강하게 하려면 장복해도 괜찮다. 국을 끓여 먹거나 나물을 무쳐 먹으면 좋다. 살찌기를 원하면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4-동의보감, 잡병편, 권삼, 화(火)-신대역 동의보감 1194면
동과(冬瓜: 동아): ○ 너무 살쪄서 몸을 좀 여위게 하고 가볍게 하면서 건강하게 하려면 장복해도 괜찮다. 국을 끓여 먹거나 나물을 무쳐 먹으면 좋다. 살찌기를 원하면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5-동의보감, 잡병편, 권육, 부종(浮腫)-신대역 동의보감 1384면
동과(冬瓜: 동아): ○ 수종병(水腫病)이 처음 생겨 위급하게 되었을 때 동과를 양에 관계없이 임의대로 먹으면 신기한 효험이 있다. 혹 즙을 내서 먹기도 하는데, 오래된 병에는 쓰지 말아야 한다.[강목].
6-동의보감, 잡병편, 권육, 소갈(消渴)-신대역 동의보감 1412면
동과(冬瓜: 동아): ○ 세 가지 소갈(消渴)을 주로 치료한다. 즙을 내어 마신다. 또는 국을 끓이거나 김치를 담아 늘 먹어도 좋다[본초].
동과등(冬瓜藤: 동아덩굴)
7-동의보감, 외형편, 권사, 후음(後陰)-신대역 동의보감 919면
동과(冬瓜: 동아): ○ 치루(痔漏)를 치료한다. 덩굴을 진하게 달이면서 김을 쏘이고, 그 물로 씻어주면 낫는다[단심].
동과인(冬瓜仁: 동아씨)
8-동의보감, 외형편, 권일, 면(面)-신대역 동의보감 601-602면
동과(冬瓜: 동아): ○ 얼굴을 광택이 나게 하고 안색을 좋아지게 하며, 검정반점과 주근깨를 없어지게 한다. 크림처럼 만들어 늘 바르면 좋다. ○ 동아씨 3~5되를 껍질을 버리고 가루를 내서 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든다. 빈속에 30환씩 오랫동안 먹으면 얼굴이 옥같이 깨끗하고 고와진다[본초].
9-동의보감, 잡병편, 권십이, 소아(小兒)-신대역 동의보감 1801면
동과인(冬瓜仁: 동아씨): ○ 만경풍(慢驚風)을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먹이거나 달여 먹이거나 다 효험이 있다[득효].
백동과(白冬瓜: 동아)
10-동의보감, 탕액편, 권이, 채부(菜部)-신대역 동의보감 1937면
백동과(白冬瓜: 동아): ○ 성질은 약간 차고, 일설에는 싸늘하다고 하였다. 맛은 달며, 독은 없다. 세 가지 소갈병(消渴病)을 치료하고, 몰린 열을 풀어주며,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광물성 약재의 독을 없애주며, 수창(水脹)과 가슴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한다. ○ 일명 지지(地芝)라고 한다. 뻗어나간 덩굴에 열매가 달리면 처음에는 청록색이고, 서리가 온 뒤에는 껍질이 분을 칠한 것처럼 하얗게 되므로 백동과(白冬瓜)라고 한다. 열(熱)이 있을 때 먹으면 좋으나 냉(冷)이 있을 때 먹으면 여위게 된다[본초]. ○ 오래된 병이 있을 때와 음(陰)이 허(虛)한 사람은 먹어서는 안된다[단심].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11-동의보감, 탕액편, 권이, 채부(菜部)-신대역 동의보감 1937면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 곧 동과자(冬瓜子)를 말한다. 성질은 평하고 차며, 맛은 달고, 독은 없다.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얼굴빛을 좋아지게 하며 주근깨를 없애주어 얼굴에 바르는 기름을 만들 수도 있다. ○ 서리가 내린 뒤 음력 8월에 따서 내과피는 버리고 씨만 받아서 약간 볶아 쓴다[입문].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12-동의보감, 탕액편, 권이, 채부(菜部)-신대역 동의보감 1937면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 태워서 재를 내어 잿물을 받아 주근깨나 헌데나 옴을 씻어준다[본초].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13-동의보감, 탕액편, 권이, 채부(菜部)-신대역 동의보감 1937면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 벌한데 쏘인 독을 없애준다[본초].
동과즙(冬瓜汁: 동아즙)
14-동의보감, 내경편, 권삼, 소장부(小腸部)-신대역 동의보감 433면
동과즙(冬瓜汁: 동아즙): ○ 소장의 활동을 원활하게 해주는데, 마실 만하다[본초].]
동아를 재배하는 방법
및 그 효능과 관련하여 조선 숙종 때 후기의 실학자 유암(流巖) 홍만선(洪萬選)이 기원 1643~1715년에 지은 농업 책이자 가정생활 책인 <산림경제(山林經濟)> 제 1권 치포(治圃)편, 제 2권 치선(治膳), 소채[蔬菜: 남새], 어육(魚肉), 부(附) 자포(煮泡), 밀전과자법[蜜煎果子法: 정과 만드는 법], 제 3권 구급(救急), 제어독(諸魚毒), 벌에 쏘였을 때, 해독(蟹毒), 서화(書畵)를 씻는 방법, 제 4권 잡방(雜方), 의복의 때를 빼는 법
등 총 9종류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과(冬瓜)
동화, 또 한 가지 이름은 지지(地芝)이고 혹은 백동과(白冬瓜)라고도 한다.
먼저 젖은 볏짚재를 몽근 진흙과 섞어 땅 위에 깔고, 호미로 두둑을 지었다가 3월에 종자를 심는다. <속방>에는 "동아는 서리를 꺼리므로 서리 올 기미가 없어진 뒤에야 비로소 심을 수 있다."했다. 씨알마다 한 치 가량씩 띄워서 심고 젖은 재를 체로 쳐서 덮고서 물을 뿌려준다. 다시 거름물을 주었다가 마르면 물을 주되, 한낮에 싹이 재를 떠받고 나오거든 재를 싹 밑에 내려 놓고 부수어서 뿌리 곁을 북돋아주고는 맑은 거름물을 준다. [<한정록>]
10월에 동아를 거두어 놓고 건조한 곳에 두는 것이 좋은데, 소금, 술, 초와 빗자루, 고양이나 개가 닿는 것을 꺼린다. 꼭지가 꼬부랑하여 속에 들러붙어 있는 것은 암컷이니, 두었다 씨를 해야 한다. [<신은지>]
2-소채[蔬菜: 남새]
산동과[蒜冬瓜: 마늘동아지]는, 큰 동아를 가려 두었다가 동지 전후하여 껍질을 벗기고 씨를 발라 손가락 크기로 썰어, 백반(白礬)을 탄 석회(石灰) 물에 데쳐 건져서 물기를 빼고, 1근 당 소금 2냥과 판자[瓣子: 오이씨] 3냥을 한데 찧어 고루 섞어 자기(磁器)에 넣고, 끓인 좋은 초를 쳐서 담는다. [<신은지>], [<거가필용>]
3-밀전과자법[蜜煎果子法: 정과 만드는 법]
전동과(煎冬瓜: 동아 정과]는, 10월에 딴 서리맞은 동아를 푸른 껍질을 벗기고 껍질 가까이의 살을 조각으로 썰어, 팔팔 끓는 물에 데쳐 숨죽여 식힌다. 석회(石灰) 끓인 물에 4일쯤 담갔다가 횟물을 버리고 꿀 반잔을 사함[砂銜: 사기 냄비]에 넣고 끓이다가 동아쪽을 넣고 잠깐씩 네댓번 끓여 꿀물을 뺀다. 그리고 나서 별도로 큰 잔으로 꿀 한 잔을 넣고 동아 빛이 노리끼할 때까지 삶아서 자기 안에 저장하되, 싸늘하게 식을 때까지 기다려서 뚜껑을 덮어야 한다. [<거가필용>], [<신은지>]
4-어육(魚肉), 부(附) 자포(煮泡)
호견(糊犬)은 누런 것은 크게 보(補)하고, 검은 것은 다음가니, 개 한 마리를 잡아 깨끗이 씻어 뼈를 발라내고, 소금, 술, 초를 끼얹고, 고기 1근에 순주[醇酒: 전내기] 1잔, 초 1잔, 흰 소금 반 냥, 기름장 조금, 고운 양념을 적당히 치고 고루 섞는다. 동과(冬瓜: 동아) 1개를 위를 따서 속을 내고, 고기를 속에 담고는 위를 도로 덮는다. 그리고 대꼬챙이로 꽂아 고정시키고 종이로 단단히 봉하여 김이 새지 않게 한다. 또 볏짚이나 새끼로 동아를 꽊 동여 놓고, 염니(鹽泥)로 고정시키고 반쯤 사그라진 동아를 그 겻불 속에 묻어 하루를 재우고, 그 이튿날 동아를 갈라서 먹으면 그 동아도 먹을 만하다. 이 방법이 가장 좋으나, 동아가 없을 경우에는 오지 항아리에 고아도 된다. [<신은지>]
5-제어독(諸魚毒)
물고기를 먹고 중독이 되었을 때는 동과즙(冬瓜汁)이 가장 효험이 있다. 또 진하게 달인 귤피즙(橘皮汁)을 먹인다. 또 해달피(海獺皮) 바다 반달피, 수달피와 비슷하며 크기는 개만한데 털은 물이 묻어도 젖지 않는다. 바닷속에서 산다. 달인 즙을 마시게 하고, 또 교어피(鮫魚皮), 사어피, 피상(皮上)에 진주(眞珠)의 무늬가 있으며, 감해목(堪楷木)으로 목적(木賊)과 같은데 바닷속에서 난다. 태운 재를 물에 타 먹인다. [<동의보감>]
6-벌에 쏘였을 때
벌에 쏘인 데는 청호(靑蒿)를 씹어 붙여주거나 박하(薄荷)를 비비어 붙여준다. 또 강경[薑莖: 생강줄기]을 비벼서 문질러주거나 동아잎을 비벼서 붙여준다. [<동의보감>]
7-해독(蟹毒)
해(蟹: 게)가 서리를 맞지 않은 것은 독이 있다. 그에 중독된 자는 생우(生藕: 연뿌리)의 즙이나 동과(冬瓜)를 달인 즙이나 마늘즙이 모두 좋다. 또 자소엽(紫蘇葉) 달인 즙을 먹인다. 또 흑두즙, 시즙(豉汁)이 모두 독을 풀어 준다. <동의보감>, <지봉유설>에 "중독되면 혹 죽기도 하는데 급히 동과(冬瓜), 자소(紫蘇), 대황(大黃)을 즙내어 먹여서 해독하면 즉시 낫는다."하였다.
8-서화(書畵)를 씻는 방법
서화가 증습(蒸濕)되어 변색되고 젖은 것은 동과(冬瓜)를 사용하거나 은행(銀杏)이나 마늘을 사용하여 씻어낸다. [<산거사요>]
9-의복의 때를 빼는 법
의복이 누져 변색이 된 것은 동과(冬瓜)나 은행(銀杏), 마늘로 씻어낸다. [<산거사용>].]
동아의 효능 즉 동과, 동과인, 동과즙, 동과자의 효능에 대해서 기원 1808∼1884년에 황도연이 지은 <방약합편(方藥合編)>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과(冬瓜)
동과인은 달고 찬데 열갈증을 멎게 하며 대소장 좋게 하고 광물 약독 풀어 주네
○ 냉증이 있는 사람이 먹으면 몸이 여윈다[본초].
2-어독(魚毒: 물고기 중독)
○ 동과즙(冬瓜汁)이나 진피 달인 물을 먹인다.
3-해독(蟹毒: 게 중독)
○ 연근즙, 동과즙(冬瓜汁), 마늘즙을 내어 먹인다. 또한 자소엽을 달여 먹인다.
4-육향고(六香膏) [내국, 보감]
○ 꿀 1말, 동과자 324g, 삼내자 80g, 용뇌 4g.
겨울에 얼어서 손발이 터진 데 바른다.
○ 위의 약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에 반죽해서 쓴다.]
동아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제 687~688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과(冬瓜)
학명; Benincasa cerifera Savi. (B. hispida Cogniaux).
다른 이름: 동아
식물: 덩굴뻗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5개로 얕게 갈라진 심장 모양이다. 여름철에 노란 꽃이 핀다. 열매는 직경 30~50cm인 타원형이다.
씨로 번식하며 중부와 남부에서 심는다.
씨(동과자, 과자): 씨를 그늘에 말린다.
성분: 열매에 아데닌 C5 H5 N5 • 3H2 O(녹는점 360~365℃ 분해)과 히스티딘 C6 H9 O2 N2(녹는점 287℃ 분해) 등이 있다. 씨에 약 1%의 사포닌도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소염성 오줌내기약, 배농약으로 부스럼과 여러 가지 염증, 내장이 곪은 데 쓴다.기침가래약으로 쓴다.
대황목단피탕: 대황뿌리 2g, 동과씨 6g, 모란뿌리껍질, 복숭아씨 각각 4g으로 달임약 200ml를 만들고 무수황산나트륨 4g을 넣는다. 상습성 변비, 충수염, 맹장부위가 아프고 단단한 것이 느껴질 때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동아의 효능에 대해서 황금택 번역 <세계의 식용식물> 제 85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아, 동아 호박
학명; Benincasa hispida (Thunb.) Cogn.(=Benincasa cerifera Savi) 과명: 박과(Cucurbitaceae)
영어: wax gourd 중국어: 冬瓜=dōng guā=똥 ̄꾸아 ̄ 프랑스어: courge à la cire ; courgecireuse 독일어: Wachskürbis 이태리어: zucca della cera 일본어: 冬瓜=トウガン=토우간 포르투갈어: abóbora d'água 스페인어: calabaza blanca
개요: 튼튼한 일년생 넝쿨 식물로서, 기다랗게 뻗어 자라는 줄기에 얕게 패인 잎이 달린다. 노란색 꽃은 호박 꽃과 흡사하지만, 볼이 기저에 거의 자유롭게 붙어 있다. 분명히 다른 열매 종류(품종 군)가 알려져 있다. 전형적인 동아는 매우 크고(2kg 이상), 둥글거나 길쭉하며, 표면은 하얗고 왁스 칠한 것 같다. 다모 멜론 또는 잔털 멜론(중국어로 마오꾸아:mao gua이며, 식물학적으로는 <Benincasa hispida var. chiehqua>로 알려짐)는 훨씬 작고 오이 같이 생긴 열매가 열리는데, 밝은 녹색이며, 눈에 띄게 털이 나있으며, 실질적으로 왁스가 없다.
기원 및 역사: 동아와 다모 박은 천연적으로 자란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 않은 고대 재배종이다. 정황적인 증거들에 의하면, 동남아시사, 아마도 태국과 자바가 기원일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1,500년 전에 중국에 작물로 도입되었다.
사용 부위: 어리거나 성숙한 열매(때로는 잎과 꽃).
경작 및 수확: 이 식물은 빛이 잘 들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1년 내내 잘 자란다. 열매는 파종 후 90~110일이면 성숙하지만, 종종 녹색인 상태의 것을 다양한 간격을 두고 수확한다.
용도 및 특성: 동아 과육은 일반적으로 채소로서 요리해 먹는다. 품종과 지역 관습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사용된다는 기록이 있다. 예를 들면, 스튜, 수프, 카레 등의 재료이다. 중국에서는 동아(때로는 겨울 박으로 불리는데, 이것은 보존성이 뛰어나기 때문)의 속을 긁어 파내고 특별한 행사 때 장식용 수프 그릇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꽃과 잎은 채소 처럼 익혀 먹을 수 있으며, 스튜와 카레에 넣어 먹을 수도 있다. 다모 박은 대부분 어린 것을 생으로 먹는다(오이처럼).
영양가: 동아는 무기질(칼슘, 칼륨 및 실리콘)이 풍부 하지만, 호박과 비교하면 비타민이 비교적 낮다.
기타 사항: 열매는 약효가 있으며, 표면에 있는 왁스는 양초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동아의 효능에 대해서 의학박사 오꾸다히로미치가 감수한 일본의 <건강, 영양식품사전> 제 936~93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아
이뇨(利尿), 갈증(渴症), 신장병(腎臟病)에 효과(效果)
일반적으로 박과 식물의 과실을 오이라 부르는데 그 종류는 600종 이상이나 있다고 한다. 일본에서 식용으로 하고 있는 것은 동아, 수박, 메론, 오이, 호박, 종구라기박, 수세미여주[⇒별항(別項)]하야토오리등이 있다.
동아는 열대아시아 원산 덩굴성 일년초로 가모우리등의 별명(別名)이 있다. 여름에는 노란 오판화(다섯개의 꽃잎이)가 피며, 열매는 구형 또는 긴타원형, 길이가 50cm 정도의 것도 있다. 잘 익으면 껍질이 단단해지며, 겨울까지 저장(貯藏)할 수 있어서 <동과(冬瓜)>라 불리는 여름철 야채(野菜)이다.
영양성분적으로는 비타민 C가 약간 많은 것 외에도 그다지 특별한 것이 없고, 대부분이 수분(水分)인데, 동과자(冬瓜子)라 불리는 종자(種子)에는 '리놀산'등의 유지방(乳脂肪)이나 사포닌, 단백질을 함유, 예부터 생약으로 이용되어 왔다. 중국의 고전(古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백과자(白瓜子)의 원명(原名)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효과로서는 진해(鎭咳), 거담(去痰), 배농(排膿), 소염성이뇨(消炎性利尿), 수종(水腫)등이 있다.
과육(果肉)도 부종(浮腫)을 없애는 뛰어난 이뇨작용(利尿作用)이 있어서, 방광염(膀胱炎), 신장병(腎臟病), 간경변(肝硬變)의 복수(腹水)등에도 유효하다고 한다. 동아는 주로 끓이거나 양념장으로 만들어서 먹는데, 생으로 짠 즙은 더위먹었을 때, 발열(發熱), 당뇨병(糖尿病)으로 인한 갈증(渴症)에 좋다.]
동아의 효능에 대해서 일본의 '다나까 고우지'가 지은 가정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약용식물 대사전> 제 6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아
과명: 박과 별명: 동과, 백과, 수지 생약명: 동과, 동과자 약용부: 열매 속껍질, 씨앗 약용: 이뇨, 주근깨 이용법: 내복(마시는 약), 외용(고약, 바르는 약, 습포), 요리, 음식
※ 몸에 종기나 부종이 있을 때 햇볕에 말린 열매 속껍질이나 씨앗을 이용한다
생태: 아시아의 열대 또는 인도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부터 재배해 온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땅 위를 기면서 길게 뻗고, 가지가 갈라지는 덩굴손과 털이 있다. 잎은 넓은 심장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약간 갈라져 있다.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황색 꽃이 피고, 원형 또는 긴 타원형의 액과(다육과)가 열린다. 과육은 백색이며 즙이 많다.
유래: 다른 이름으로 <동과(冬瓜)>라고도 하는데, 보통 늦가을에 늦게 성숙하여 서리가 내린 후에 저장하였다가 먹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생겼다. <백과(白瓜)>, <수지(水芝)>등으로도 불린다.
이용 방법: 익은 열매의 겉껍질을 벗겨내고, 속껍질 부분을 적당한 크기로 얇게 잘라서 햇볕에 말린 것을 '동과(冬瓜)'라고 한다. 씨앗을 껴내서 물로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은 '동과자(冬瓜子)'라고 한다.
종기가 생기거나 몸에 수종이 있을 때에 햇볕에 말린 동과룰 1일 2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동과자는 1일 10g이면 된다.
치질에는 동과자를 1일 10g을 물로 달여서 차게 식힌 후 환부를 씻고 냉습포한다.
주근깨를 없애려면, 같은 양의 동과자와 백도화(하얀 복숭아꽃을 햇볕에 말린 것)를 가루로 만든 후, 꿀을 조금 넣고 크림상태로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
동아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4권 192면 187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동과(冬瓜)
기원: 호로과(葫蘆科=박과: Cucurbitaceae)식물인 동과(冬瓜=동아: Benincasa hispida (Thunb.) Cogn.) 의 과피 및 종자이다.
형태: 덩굴성 일년생 초본으로 길이는 약 6m이고 줄기는 굵고 단단하며 종황색(棕黃色)의 자모(刺毛)가 밀생 한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어긋나며 긴 잎자루가 있고 5갈래로 갈라지며 오각상(五角狀) 넓은 난형(卵形)으로 보이고 길이는 15-30cm로 너비와 길이는 서로 같으며 엽저는 깊게 난 심장형(心臟形)이고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의 거친 톱니가 있으며 양면 모두 굵은 털이 나있고 엽액에서 분지하며 덩굴손이 나온다. 꽃은 단성(單性)으로 크고 자웅동주이며 엽액에 단생(單生)하고 황색(黃色)이며, 꽃잎은 5장이다. 열매는 호과(瓠果: 표주박 열매)로 두터우며 구원형(矩圓形) 내지 원형(圓形)에 가깝고, 열매껍질은 담녹색(淡綠色)이며 백색(白色)의 단단하고 날카로운 털과 납질(蠟質)의 분상(粉霜)이 있고, 과육은 백색(白色)이며 즙이 많다. 종자는 많다.

분포: 중국의 각지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동과(冬瓜)의 껍질을 절단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동과자(冬瓜子): urease, 사포닌(saponin).
기미: 열매 겉껍질: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종자: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열매 겉껍질: 청열이뇨(淸熱利尿), 소종(消腫). 종자: 청열화담(淸熱化痰), 소옹배농(消癰排膿).
주치: 열매 겉껍질: 수종(水腫), 소변불리(小便不利). 종자: 폐열해수(肺熱咳嗽), 폐농양(肺膿瘍).
용량: 25-50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하권, 5525호 ; 장백산식물약지(長白山植物藥誌), 1075면.]
동아는 과연 몇키로그램까지 자랄 수 있을까? 중국 항조우의 라오보가 심은 동과는 중국의 1근은 500g임으로 447.8근[447.8근x500g=223.9kg]이나 나가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동과를 생산하였다고 <절강신문(浙江新闻) 2019년 9월 21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447근 항저우 라오보가 심은 이 동과는 아마 전 세계에서 가장 클 겁니다.
북청 넷
북청닷컴 공식 계정 2019.09. 21 21:09
관심을 가지다
원제: 447.8근! 부양의 68세 노백이 심은 이 동과는 아마 전 세계에서 가장 클 것입니다.
 [<<2019년
68세의 라오보가 심은 447.8근x500g=223.9kg의 무게가 나가는 동과>>]
전국이 '중국 농민 풍년 축제'를 축하하는 가운데 항저우시 푸양구 장커우진의 68세 노백도 대풍년을 맞았으며, 그가 심은 동과는 길이 153cm, 폭 72cm, 허리둘레 약 197cm, 무게는 무려 447.8근입니다.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큰 동과가 될 것입니다. 저장성 농업농촌부의 공식 도우인(抖音)이 이 소식을 발표한 후 조회수가 빠르게 100만 건에 육박했고, 대동과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큰 동과를 재배한 텅옌밍 라오보는 이 무게가 예상되었으며 매일 세심하게 관리하고 비료를 주고 잎과 덩굴 보호에 주의를 기울였으며 동과는 잘 자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작년에 390.8근의 동과를 심었고 내년에는 500근 돌파를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푸양구 농업기술보급센터 농업소 채소 전문가 장강밍은 기자들에게 대동과는 과육이 두껍고 맛이 좋아 볶거나 끓이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2018년
67세의 라오보가 심은 390.8근x500g=195.4kg의 무게가 나가는 동과>>]
이 거대한 동과는 일반 동과와 달리 매끄러운 표피입니다. 울퉁불퉁한 혹 모양의 피부를 가졌습니다. 푸양구 농업기술보급센터 농업소 채소 전문가 장강밍은 기자들에게 동과가 '성급하게 자라며' 팽창할 때 '힘'이 고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동과는 저장성에서 가장 큰 농업 기록을 세웠고 '이것은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큰 동과일 수 있습니다. "저장성 농업홍보센터 책임자가 기자에게 말했습니다.
출처: 저장 뉴스 클라이언트 (오황쥐안 통신원)
[중국 원본]
447斤 杭州老伯种的这个冬瓜很可能是全世界最大
北青网
北青网官方账号 2019.09.21 21:09 关注
原标题:447.8斤!富阳68岁老伯种的这个冬瓜很可能成为全世界最大
在全国上下喜迎“中国农民丰收节”之际,杭州市富阳区场口镇一位68岁的老伯也迎来了大丰收,他种出的冬瓜长153厘米、宽72厘米、腰围约197厘米,重量足足447.8斤!很可能成为世界上最大的冬瓜。消息一经浙江省农业农村厅官方抖音的发布,点击量迅速接近百万,大冬瓜着实火了一把。
种出大冬瓜的滕雁鸣老伯表示,这个重量是在意料之中的,他每天精心呵护、细心施肥,注意保护叶片与藤蔓,冬瓜长势很好。去年他就种出了390.8斤重的冬瓜,明年还要努力,争取突破500斤。富阳区农技推广中心农作站蔬菜专家章钢明告诉记者,大冬瓜肉头厚实,风味很好,用来炒或炖都可以。
这只巨大的冬瓜不同于普通冬瓜的光滑表皮。而是拥有了一身凹凸不平的“瘤状”皮肤。富阳区农技推广中心农作站蔬菜专家章钢明告诉记者,这是因为冬瓜“急于长大”,膨胀时“用力”不均造成的。
目前,该冬瓜已经申报浙江农业之最纪录,“这可能是中国乃至世界上最大的冬瓜。”浙江省农业宣传中心负责人告诉记者。
来源:浙江新闻客户端(通讯员 吴黄娟).]
◆
동아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열매>
1,
수기부종천만(水氣浮腫喘滿) 큰 동과(冬瓜)
한 개를 먼저 윗부분의 테두리를 돌려 베어내어 덮개로 하고 속을 파내어
물로 잘 씻어낸 후 그 속에 팥을 가득 넣은 다음 덮개를 덮고 삼끈을
꿴 대꼬챙이로 덮개를 꿰매고 누런 진흙으로 전체를 잘 발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땅을 파서 찰벼의 쌀겨 두 광주리를 넣고 그 속에 동과(冬瓜)를
묻는다. 이런 후 쌀겨에 불을 붙여 태운다. 불이 꺼지면 꺼내어 흙을
털어 버리고 껍질을 벗긴 후 얇게 썰어서 팥과 함께 약한 불에 쬐어
말린다. 위의 것을 가루내어 물을 넣고 끓여 풀모양이 됙 한 후 벽오동
열매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한 번에 50환을 동과(冬瓜)
삶은 물과 함께 수시로 먹으면 소변이 잘 나오게 된다. [양씨가장방(楊氏家藏方), 동과환(冬瓜丸)]
2,
소갈증 동과(冬瓜)
한 개를 축축한 땅에 묻어 1개월이 지난 후 파내어 깨끗한 즙을 취하여
먹는다. [성제총록(聖濟總錄)]
3,
소갈증으로 인하여 물을 자주 마시고 싶고 소변이 지부편(脂麩片)처럼
달짝지근하며 60~70일 가량 계속되는 경우 동과(冬瓜)
1개의 머리 부분을 자르고 속을 파낸 후 황련(黃連) 가루 370g을 넣고
쪄서 황련(黃連)이 익으면 천으로 즙을 받는다. 한번에 큰 숟가락 하나씩
하루에 두 번 먹는다. 2~3개의 동과(冬瓜)를 먹어 치료되면 증지해야
한다. 또는 동과(冬瓜) 즙과 황련(黃連) 가루를 고루 섞어 벽오동 열매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들어 빈속에 동과(冬瓜) 즙과 함께 30환을 하루에
두 번씩 먹는다. 잘 치료되지 않을 때에는 환수(丸數)를 증가할 수 있다.
돼지고기, 냉수와 함께 먹어서는 안 된다. [근효방(近效方)]
4, 생후
1~5개월 되는 갓난 아이가 잠깐 추웠다가 잠간 더웠다 하며 목이 마른
증상 동과(冬瓜)즙을
먹인다. [천금방(千金方)]
5, 소아갈리(小兒渴利) 동과(冬瓜)만을
짓찧은 즙을 마신다. [천금방(千金方)]
6, 상한(傷寒)
후의 이질, 오랜동안 진액이 고갈된 증상, 팔다리의 부종, 입이 마르는
증세 동과(冬瓜)
한 개를 누런 진흙으로 5치의 두께로 싸서 약한 불에 흐물흐물하게 삶은
다음 꺼내어 누런 진흙을 제거하고 즙을 내어 먹는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7, 등에
난 종기로 거의 빈사 상태가 된 경우 동과(冬瓜)를
머리 부분을 잘라내어 창(창) 위에 덮어 둔다. 동과(冬瓜)가 썩으면
썩은 부분을 잘라 버리고 또 덮어둔다. [보결주후방(補缺肘後方)]
8, 치동통(痔疼痛) 동과탕(冬瓜湯)으로
씻는다. [천금방(千金方)]
9, 여름에
난 땀띠 동과(冬瓜)를
얇게 자른 다음 짓찧어 바른다. [천금방(千金方)]
10, 말의
땀이 창(瘡)에 들어갔을 때 말린
동과(冬瓜)를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국부를 깨끗이 씻은 후
바른다. [본초강목(本草綱目)]
11, 물고기에
의한 식중독 동과(冬瓜)
즙을 마신다. [소품방(小品方)]
<잎>
12,
적열사리(積熱瀉痢) 동과(冬瓜)
잎의 연한 중심을 밀가루에 고루 섞어 부꾸미[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둥글고 넓게 하여 번철이나 프라이팬 따위에 지진 떡. 둥그런 반죽 가운데 거피고물이나 팥고물 등을 주먹으로 쥐어서 놓고, 양쪽을 접는다. 서울의 부꾸미가 한 번만 접는 반달형이라면, 전남의 부꾸미는 양쪽을 두 번 접는 원통형이다.]를
만들어 먹는다. [해상명방(海上名方)]
<열매의
겉껍질>
13, 신장염,
요폐, 전신 부종 동과피(冬瓜皮) 22.2g, 서과피(西瓜皮) 22.2g, 백모근(白茅根) 22.2g, 옥촉서예(玉蜀黍蕊) 14.8g, 적두(赤豆) 111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3회 먹는다.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14,
타박상에 의한 요통 동과피(冬瓜皮)를 태워서 가루로 만들어 술 3.7g으로 먹는다.
[생생편(生生編)]
15,
타박상 말린 동과피(冬瓜皮) 37g, 진우피교(眞牛皮膠: 썬 것) 37g을 솥에 넣고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내어 한 번에 18.5g을 고급 술로 뜨겁게 데워서 복용하고 바로 술 한 잔을 마시고 두터운 이불을 덮어 땀을 조금 낸다.
[적원방(摘元方)]
16,
해수 동과피(冬瓜皮) 18.5g, 꿀 적은 양을 함께 달여서 먹는다.
[전남본초(滇南本草)]
17,
큰 두드러기 동과피(冬瓜皮)를 물로 달여서 차대신 마신다.
[강서공주(江西贛州),
초의초약간편험방회편(草醫草藥簡便驗方滙編)]
<과육>
18,
소갈열(消渴熱), 혹은 심신번란(心神煩亂) 동과양(冬瓜瓤) 37g을 햇볕에 말려 찧어 부수고 물 1잔(보통 크기)을 넣고 2.22g으로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9,
수종번갈(水腫煩渴)로 소변이 적은 증상 동과백양(冬瓜白瓤)을 물로 달인 즙을 희석하여 마신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종자>
20,
해수와 미열이 있으며 번만(煩滿)하고 가슴속이 갑착(甲錯)하는 폐농양의 증세 위경[葦莖=갈대 줄기: 얇게 자른 2되에 물 2말을 넣고 달여서 5되를 취하고 찌꺼기를 버린 것], 의이인(薏苡仁) 반되, 도인(桃仁) 30개, 과판[瓜瓣: 지금은 동과인(冬瓜仁)을 많이 쓴다] 반되.
상술한 4가지 약물을 잘게 썰어 먼저 위즙(葦汁: 갈대즙)에 넣고 달여 2되를 취하여 1되를 먹으면 고름과 같은 것을 토하면 치료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천금위경탕(千金葦莖湯)]
21,
충수염이 아직 화농하지 않았고 아랫배에 종비(腫痞)가 있고 누르면 임(淋)과 같이 아프며 소변은 잘 나오나 때때로 발열하며 식은 땀이 나고 오한이 반복적으로 오며 그 맥(脈)이 지긴(遲緊)한 경우 대황(大黃) 148g, 모단피(牡丹皮) 37g, 도인(桃仁) 50개, 과자(瓜子) 250g, 망초(芒硝) 3홉.
상술한 5가지 약물에 물 6되를 넣고 달여서 1되를 취하여 찌꺼기를 버리고 망초를 넣고 다시 펄펄 끓여서 한번에 먹는다. 고름이 있으면 바로 나오고 고름이 없으면 하혈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대황목단탕(大黃牡丹湯)]
22,
남성의 백탁(白濁), 여성의 백대하 묵은 동과인(冬瓜仁)을 볶아서 가루내어 빈속에 18.5g을 미음과 함께 먹는다. [구급이방(救急易方)]
23,
소갈증이 멎지 않고 소변이 잦은 증세 말린 동과자(冬瓜子), 맥문동(麥門冬), 황련(黃連) 각 74g을 물로 달여서 마신다. [적원방(摘元方)]
24,
남자의 오로칠상(五勞七傷)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하는 처방 백과자(白瓜子) 7되를 명주 주머니에 넣고 펄펄 끓는 물속에 3회 넣어 휘저은 다음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그 다음 식초 5되에 하룻밤 담갔다가 다시 햇볕에 말린다. 그런 다음에 가루낸다. 술로 약 1g을 하루에 3회 먹는다. [천금방(千金方)]
[비고(備考)]
<본초도경(本草圖經)>:
"백과자(白瓜子)를 약용으로 쓰려면 반드시 서리가 내린 후에 채취하여 한해 동안 보관해 두었다가 이듬해 열매를 깨뜨려 씨를 취한다. 쓸 때에는 씨를 깨끗이 씻고 불에 쬐어 말린 다음 부스러뜨려 인(仁)을 취하여 쓴다."
[<<동아
재배 방법>>]
1,
<산림경제(山林經濟) 제 1권 치포(治圃)편,
한정록, 신은지>:
"동과(冬瓜): 동화, 또 한 가지 이름은 지지(地芝)이고 혹은 백동과(白冬瓜)라고도 한다.
먼저 젖은 볏짚재를 몽근 진흙과 섞어 땅 위에 깔고, 호미로 두둑을 지었다가 3월에 종자를 심는다. <속방>에는 "동아는 서리를 꺼리므로 서리 올 기미가 없어진 뒤에야 비로소 심을 수 있다."했다. 씨알마다 한 치 가량씩 띄워서 심고 젖은 재를 체로 쳐서 덮고서 물을 뿌려준다. 다시 거름물을 주었다가 마르면 물을 주되, 한낮에 싹이 재를 떠받고 나오거든 재를 싹 밑에 내려 놓고 부수어서 뿌리 곁을 북돋아주고는 맑은 거름물을 준다. [<한정록>]
10월에 동아를 거두어 놓고 건조한 곳에 두는 것이 좋은데, 소금, 술, 초와 빗자루, 고양이나 개가 닿는 것을 꺼린다. 꼭지가 꼬부랑하여 속에 들러붙어 있는 것은 암컷이니, 두었다 씨를 해야 한다. [<신은지>]"
2,
<세계의 식용식물 제 85면>:
"경작 및 수확: 이 식물은 빛이 잘 들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1년 내내 잘 자란다. 열매는 파종 후 90~110일이면 성숙하지만, 종종 녹색인 상태의 것을 다양한 간격을 두고 수확한다.
용도 및 특성: 동아 과육은 일반적으로 채소로서 요리해 먹는다. 품종과 지역 관습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사용된다는 기록이 있다. 예를 들면, 스튜, 수프, 카레 등의 재료이다. 중국에서는 동아(때로는 겨울 박으로 불리는데, 이것은 보존성이 뛰어나기 때문)의 속을 긁어 파내고 특별한 행사 때 장식용 수프 그릇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꽃과 잎은 채소 처럼 익혀 먹을 수 있으며, 스튜와 카레에 넣어 먹을 수도 있다. 다모 박은 대부분 어린 것을 생으로 먹는다(오이처럼)."
3,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한국박과채소연구회>:
"동아의 특성 및 이용:
①
동아의 생육 적온은 25℃ ~ 28℃로 고온 다습한 환경조건을 좋아함 ②
기타 재배는 박재배에 준하여 관리 ③ 표면에 하얀 분말이 생길 때가 수확 적기임 ④
당질, 칼슘, 인과 칼륨의 함유량이 다소 많음 ⑤ 과육이 두껍고 특별한 맛이 없어 요리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맛을 낼 수 있음 ⑥
동아정과, 동아즙, 식초와 장아찌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동아 정과는 궁중 진상품으로 이용된 식품이다.
[박 재배 방법]
<박은 저칼로리 식품으로 이뇨 및 소화 흡수를 돕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웰빙 건강식품이다.>
①
박은 미숙 상태인 과실의 과육부를 먹음 ② 완숙과는 바가지 등의 용기와 공예품으로 활용 ③
발아 및 생육적온: 기온 25~30℃, 지온 20℃ ④ 파종시기: 3월~4월(노지재배 기준) ⑤
심는 시기 : 4월~5월, 본엽 3~4매 전개시 ⑥ 시비 및 이랑 만들기: 정식 2주 전 1,000㎡(300평) 당 퇴비 3,000㎏, 원예용 복비 30~50㎏, 석회 100㎏을 살포하고 토양과 섞은 후, 폭 3~4m로 이랑을 만듦 ⑦
심는 포기수: 1,000㎡(300평) 당 250~350주 ⑧ 재식거리: 3~4×1m(지면유인 재배 기준) ⑨
순 자르기 및 유인: 본엽 4~5매에서 순 자르기 및 아들덩굴 3~4덩굴 유인
[박과 채소 재배 시 주의 사항]
<종자 소독이 안 되어 있을 경우>
①
베노람 또는 지오람 수화제를 종자에 골고루 묻히거나 약 200배액에 1시간 정도 소독(침지) 후 파종
② 전용약제가 없을 경우: 물 1ℓ에 락스 100cc를 섞고 종자를 5분간 담근 후 흐르는 물에 4회 정도 세척하여 파종
③
발아가 잘 안될 경우 종피를 손톱깎이 등으로 살짝 상처를 내서 수분 흡수가 잘 되도록 한 후 파종
④
작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온도를 맞춰 주기
⑤ 재배 토양에 지나친 화학비료 살포 등으로 염류농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
⑥
물 빠짐을 좋게 하고 과다한 물 주기를 하지 말 것
[병충해 방제]
<흰 가루병>
①
잎이나 줄기 표면에 밀가루 같은 하얀 곰팡이가 생기고 심하면 잎 등이 말라 죽음
②
훼나리수화제, 포리옥신수화제 등의 약제를 발병 초부터 10일 간격으로 살포
<역병>
①
잎과 줄기가 고사하고 과실 표면에 하얀 곰팡이가 형성되며 부패
②
메타실엠수화제, 훼나미돈수화제 등을 장마 직전부터 10일 간격으로 살포
<잿빛곰팡이 병>
①
잎과 과실 등에 회색의 곰팡이가 발생
② 디크론, 이프로 수화제 등을 7~10일 간격으로 살포
<진딧물>
①
진딧물 흡즙시 각종 바이러스에 감염 위험
② 밭 조성 시 토양에 코니도 입제를 뿌려주면 약 30일 정도 효과
③
발생 시 적용약제를 7~10일 간격으로 살포 병충해
[방제를 위한 공통사항]
①
병든 잎 등은 제거해 버리고 통풍이 잘 되고 햇빛을 잘 받도록 관리."
4,
<한국원예연구소>: "재배기술:
1) 품종
품종분화는 다른 과채류에 비하여 늦고, 과형을 주체로 분류되고 있다.조생종은 주로 소과이고 편평형 또는 편평형에 가깝고 만생종은 크고 과형이 긴 것이 많다.
① 소형 동아
과실이 작아 1개의 중량이 1~2kg정도이고 과실 형태는 원형 또는 편원형으로 생육 및 결과가 빠르다.
어미줄기 4~6마디에서 착과가 시작되고 그 이후에는 1~2마디씩 건너 꽃이 핀다.
과육은 백색이며, 두께는 4cm 정도로 얇고 생산량은 10a 당 4톤 정도이다.
② 대형 동아
초세가 강하며 생육기간이 길어 과실 1개의 중량이 8~10kg정도이나 이보다 큰 것도 있다.
생육기가 긴 만숙종으로 중국에서의 대표적인 품종은 다음과 같다.
1-기충 동아(基沖冬瓜)
호남성에서 주로 재배되는 만숙 품종으로 어미덩굴 줄기는 9m 정도이며, 굵기는 1.6cm, 절간은 12cm 정도로 24~26 마디부터 암꽃이 생기기 시작한다.
과실 모양은 장원통형이며, 길이 88cm, 폭 10cm 정도이다.과실 1개의 무게는 10~50kg 정도이고 10a당 생산량은 15~25톤 정도이다.
과육이 9cm 이상으로 두껍고 육질이 치밀하여 맛이 좋고 품질이 우수할 뿐 아니라 저장성, 수송성이 매우 강하다.
2-차두 동아(車頭冬瓜)
북경지방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어미줄기 15~20마디에서 착과되기 시작한다.
과실 모양은 원형이며 길이는 21~26cm, 폭은 30~35cm, 1개의 무게는 8~9.5kg 정도이다.
과피 색은 회록색이며 과실 표면에는 납질이 덮혀 있다.
육질은 백색으로 과육의 두께는 4.5cm 내외로 품질이 우수하며 10a당 생산량은 6~7.5톤 정도이다.
3-청피 동아(靑皮冬瓜)
광동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 초세가 강하고 잎은 농록색을 띈다.
첫 번째 암꽃은 16~19 마디에서 착생되며 과실 모양은 장원통형으로 길이가 60~70cm, 폭은 25~30cm정도이다.
과피 색깔은 농록색이며 과피에는 납질(Wax)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과육의 두께는 6~6.5cm로 두꺼우며 1개의 무게는 15~20kg, 10a당 생산량은 7.5톤 정도이다.
2) 묘상설치 및 육모관리
파종시기는 지역에 다라 다소 다르나 정식기기 만상을 피하여야 하므로 4월 하순 ~ 5월 중순에 정식하게 되는데, 육모 기간은 30~40일 정도로 4월 10~20일에 파종한다.
동아 종자는 호박 종자보다 두께는 얇으나 수분흡수가 나쁘고 발아가 늦어지기 때문에 파종전에 싹을 틔워 파종해야 한다.
최아는 종자를 섭씨 30~35℃의 온도에서 젖은 천이나 젖은 모레에 돠두면 3~4일 후에 싹이 튼다.
싹이 트면 곧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거나 파종상자에 파종하는데, 온도가 낮거나, 물 부족, 복토량이 적으면 종피를 쓰고 나오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파종은 육묘 하우스에서 실시하고 온, 습도 관리를 철저히 하면 파종 5~7일 후 싹이 올라온다. 이 때부터 육묘관리는 수박, 또는 호박에 준하여 관리한다.
3) 정식 및 본포 관리
<본포 준비>
최소 정식 2주전에, 300평당 퇴비 3,000kg, 21-17-21 복비 50kg(N: 10.5, P: 8.5, K: 10.5), 석회 100kg을 사용한 후 경운 정지하여, 폭 2~2.5m를 정식 이랑을 만든다.
퇴비 및 비료를 사용한 후 4~5일 후 멀칭을 하는데, 투명비닐이나 배색비닐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는데 투명비닐은 초기 생육은 좋게 하나, 한여름 고온시 과실 및 덩굴손, 줄기 등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있어 대개는 녹색 또는 배색필름을 사용한다.
<정식>
본포에 옮격심기는 서리 피해를 입지 않을 5월 중순경에 300평당 300~400주를 심는다. 재식거리는 2.5X1m, 2X1.5m 정도가 적당하다.
<시비>
동아의 특성상 유묘기부터 줄기가 나오기 전까지는 생장속도가 늦고 비료요구도가 낮으나 그 이후 수분과 양분을 크게 요구함으로 습성에 맞는 시비관리가 필요하다.웃거름은 2차에 걸쳐 주는데, 1차는 정식 후 30일경, 2차는 1차 추비 후 30일경에 시용한다.
시용량은 1차는 요소 10kg, 2차는 요소 10kg, 염화가리 10kg가 적당하다. 만약에 21-복비를 사용할 경우에는 매회 한 포씩(25kg) 사용하면 된다.
<적심과 적과>
순 지르기를 하지 않고 어미줄기와 아들줄기를 동시에 키우는 방법과 순지르기를 하여 아들줄기만 키우는 방법이 있다.
순지르기 방법은 어미줄기 4~5마디에서 순을 지르고 아들 줄기가 40~50cm 자라면 생육이 좋은 아들줄기를 3~4줄기 남기고 제거하여 그 뒤 열매를 달때까지 손자 줄기를 계속 제거해줘야 한다.
그러나 이미 줄기가 엉켜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려운데, 적과 및 적심을 할 때와 하지 않았을 때와의 수확량 차이가 크지 않다는 주장이 있으므로 일손이 부족하면 방임하고, 줄기의 과번무를 막기 위한 순 제거 작업만 해주도록 한다.
과실은 보통 방임했을 때도 한 포기에서 3~4줄기가 자라며 1줄기에 12~14 마디에서 과가 자라며 한 포기에 3개 정도의 과가 달린다. 적과를 해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8월 중순 이후 열린 과실은 상품성이 없으므로 그 이후에 달린 과는 모두 따 주도록 한다.
4) 병충해 방제
동아는 병 발생이 그리 심하지는 않은 편이나, 역병, 줄기마름병, 갈색반점세균병, 균핵병 등 박과채소에 발생하는 병 들이 발생하므로 병충해 예방 및 방제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역병]
<증상>
주로 땅 가장자리의 줄기나 식물체의 지상부를 침해한다. 처음에는 수침상의 병반이 생겨 물러 썩으며 점차 확대되며 병든 부위에는 흰 곰팡이가 생긴다.
<발병유인>
섭씨 28℃ 이상의 고온과 비가 와서 토양 수분이 높을 때 많이 발생되며 어어짓기를 하거나 배게 심었을 때,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었을 때 많이 발생한다.
<방제법>
질소질 편용 지양, 물 빠짐이 좋게 하고, 메타실 동 1,000 배액, 메타실 엠 400 배액을 살포한다.
[연부병]
<증상>
고온 다습시 발생하는 대표적인 세균병으로 처음에는 수침상의 병 무늬가 생기나 점차 확대되어 전체가 흐물흐물하게 물러 썩는다.
<발병유인>
섭씨 30℃ 이상의 고온으로 토양 수분이 높을 때 많이 발생되며 질소질 편중 시용과 토양 곤충 등에 의하여 식물체에 상처가 생기면 병의 발생이 조장된다.
<방제법>
질소질 편용 지양, 병과 일찍 제거,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 재배 및 이어짓기, 농용산 수화제 100 배액을 살포한다.
[줄기마름병]
<병징>
주로 잎, 줄기 등에 발생하는데 줄기에는 작은 반점이 생겨 확대되면서 점차 말라 죽고 잎에는 부정형의 병반이 확대되며 흑갈색으로 된다.
<발병유인>
비가 자주 와서 다습해지면 발병이 많아지며 너무 배게 심어 통풍이 나빠지면 발생하기 쉽다.
<방제법>
배게 심지 않도록 하며 통풍과 환기에 유의하며 돌려짓기를 한다. 지오핀 수화제 1,000 배액, 베노밀 수화제 2,000 배액을 살포한다.
[파 밤나방]
<형태>
성충(나방)은 8~10cm 정도 크기로 황갈색을 띠고 있으며 다자란 애벌레(유충)은 35mm정도이며 몸 색깔은 변화가 심하나 일반적으로 녹색을 띤다.<피해>잎과 줄기 및 과실을 갉아 먹는다.
<방제법>
크게 자란 애벌레는 약제에 저항력이 생겨 방제가 어려우므로 애벌세시기에 중점 방제한다. 비펜스린 수화제(타스타) 100 배액 7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5) 수확
수확은 대체로 9월 하순에서 서리 오기 전인 10월 초순에 하는데 과실을 딸 때는 호박처럼 3~4cm 꼭지가 남도록 딴다.
과실은 대체로 착과 한 지 60일경이면 익는데, 7월 초순에 열린 과도 9월 하순이나 10월 초순에 일시에 수확하는 것이 작업도 편리하고 노동력도 적게 든다.
수량은 품종과 재배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300평당 수확량이 6,000kg 정도이다."
지금까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이 재배하여 다앙햔 음식 재료로 활용하여
왔고 약용으로도 활용하여 온 '동아'의 효능을 살펴 볼 때 그 방대한
내용과 각 부위별로 질병 치료에 이용해왔다는 사실에 새삼 놀라움을
금할길이 없다.
동아와 관련된 이 모든 영예와 영광은 우주의
홍일점인 이 지구상에 우리 인류를 매우 사랑하시어 동아를 직접 만들어주신
위대한 창조주께 그 영예가 돌아가는 것이 마땅하다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동아 사진 및 감상:
1,
2,
3,
4,
네이버+한국구글+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유튜브 주소:
https://www.youtube.com/@jdm-sanyacho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