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갈 무엇인가?

신경독의 단백질 독성을 함유한 전갈

 

 

 

 

 

 

 

 

 

 

[전갈의 다양한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베트남/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경련작용, 심장 혈관 계통에 대한 작용, 진정작용, 진경작용, 호흡중추억제작용, 용혈작용, 경풍, 경간, 전간[임상보고], 마비와 동통[임상보고], 림프절 결핵[임상보고], 열상[임상보고], 급성편도선염[임상보고],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데, 파상풍, 수전증, 진전, 반신불수, 말을 못하는 데, 연주창, 헌데를 다스리는 전갈

전갈은
전갈과에 속하는 전갈을 말린 것이다.

전갈의 학명은 <
Buthus martensii Karsch>이다. 전갈의 몸길이는 약 6cm 이고 머리, 가슴 및 복부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머리, 흉부는 비교적 짧고 7마디이며 분절은 명확하지 않다.

배부는 두흉갑(頭胸甲)으로 덮여 있고 앞의 양측에 각 1개씩 홑눈이 있다. 두흉갑의 배부 가운에데는 또  1싸의 겹눈과 비슷한 것이 있다. 두부에는 부지(附肢) 2쌍이 있는데 1쌍은 집게발로 매우 작다. 다른 1쌍은 강한 각촉각(脚觸角)으로 모양은 게의 집게발과 비슷하다. 가슴에는 걷는 다리 4쌍이 있고 다리는 7마디로 나위어 있으며 끝에는 각각 구조(鉤爪)가 2개씩 붙어 있다. 복부는 매우 길고 앞배와 뒷배 2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전복부는 넓고 총 7마디로 제 1마디의 복면에는 생식절이 1개 있고 그 내부에 생식기가 있다. 제 2마디의 복면에는 즐판(櫛板)이 1쌍이 있고 위에 16~25개의 톱니가 있다. 제 3~6마디의 복면에는 각각 폐서공(肺書孔)이 1쌍식 있다. 후복부의 각 마디에는 모두 과립이 줄지어 이룬 세로 모서리가 여러 개 있다. 꼬리는 갈고리 모양이고 위로 구부러졌으며 속에 독선이 있다. 난(卵)은 태생(胎生)한다.

대개 구멍 속에 사는데 돌 틈이나 낙엽 밑에서 즐겨 서식하며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이면 나와 곤충, 거미 등의 동물을 포식한다. 중국에서 전갈의 서식지는 장강(長江) 이북 지역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전갈의 여러 가지 이름은
전갈[全蝎:
quán xiē=취앤시에, 이기:img1.jpg: 촉본초(蜀本草)], [蠆: 시경(詩經)], [img1.jpg, 채미충:尾蟲: 설문(說文)], 두백[杜伯, :img1.jpg: 광아(廣雅)], 주부충[主簿蟲: 유양잡조(酉陽雜俎)], 전충[全蟲: 중약형성경험감별법(中藥形性經驗鑑別法)], 복배충[茯背蟲: 산서중약지(山西中藥誌)], 사소리[サソリ=, :: 일문명(日文名)], 꼰 보 깝[Con bọ cạp: 베트남어]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야생하는 전갈은 중춘(仲春: 음력 2월)부터 초가을에 걸쳐 채취한다. 4월 초순부터 하순을 전후하여 채집한 것을 '춘갈(春蝎)'이라고 한다. 이때는 아직 흙을 먹지 않아 품질이 좋다. 여름에 비교적 포획량이 많고 이때 채집한 것을 '복갈(伏蝎)'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미 흙을 먹었으므로 품질이 떨어진다. 사육하는 전갈은 2년에 한번씩 포획한다. 보통 가을밤에 등불빛으로 유인하며 잡는다. 전갈이 나오기를 기다려 참대 젓가락으로 집어서 매끄러운 사기 그릇 대접 안에 넣거나 구멍 입구에 대접을 놓아 받은 후 뒤집어서 항아리에 넣는다. 포획 후 먼저 맑은 물에 담가 흙을 토하면 꺼내어 비등시킨 물이 든 솥 안에 넣고 소금을 조금 가해 끓인 다음 맑은 물에 헹구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말린다."

[약재]


<중약대사전>: "말린 전갈은 두 가슴과 전복부가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후복부는 꼬리 모양이다. 완전한 것은 길이가 약 6cm이다. 전체는 녹갈색이고 복부 및 다리는 황색이며 꼬리의 끝은 갈색을 띤다. 흉부를 절단하면 내부에 흑색 또는 황갈색의 잔여물이 보이지만 후복부는 속이 비어 있다. 몸은 가볍고 질은 연약하며 냄새는 약간 비리고 맛은 짜다. 황색이고 완전하며 뱃속에 불순물이 적은 것이 양품이다. 후복부만을 단독으로 쓰기도 한다. 이것을 '갈미(蝎尾)' 또는 '갈초(蝎梢)'라고 한다.

중국에서 주산지는 하남(河南), 산동(山東), 호북(湖北), 안휘(安徽) 등지이다."

[성분]


<중약대사전>: "전갈의 독이라고 하는 일종의 뱀독과 유사한
신경독(神經毒)의 단백질을 함유한다. 이외에 trimethylamine, betaine, taurine, palmitic acid, stearic acid, cholesterol, phoshatidyl choline 및 암모늄염 등을 함유한다. 유럽 및 북아프리카산 전갈(Androctonus australis)의 독액 중에는 신경독(神經毒) Ⅰ 및 Ⅱ를 함유하고 있는데 신경독(神經毒) Ⅱ는 64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1개의 연쇄상 펩티드이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항경련 작용: 마우스에게 전갈과 지네 말린 가루 같은 양을 혼합해 만든 '지경산(止痙散)'을 1일 1g, 연속 1일간·3일간·9일간 경구 투여한 결과 펜테트라졸, strychnine 및 니코틴에 의해 일으킨 경련에 대항하는 효과가 현저하고 니코틴이 그 다음이며 펜테트라졸에는 더욱 나쁘고 코가인에는 효과가 없었다. 전갈과 지네를 나누어 단독으로 1일 1g 사용해도 효과가 있었지만 전갈의 효과는 지네보다 약간 못했다.

2, 심장 혈관 계통에 대한 작용:
전갈의 침제 및 탕제를 정맥 주사하면 토끼, 개의 혈압을 일시적으로 하강시키지만(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있다) 곧 회복되고 이어서 천천히 지속적으로 혈압을 하강시켜 1~3시간 이상 지속된다. 위내 주입 또는 근육 주사로 투약한 경우에도 현저한 지역적인 혈압 하강 작용이 있고 중복하여 약을 사용해도 즉시 약물에 대한 내성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하강 원리는 혈관 운동 중추를 억제하고 혈관을 확장하며 심장을 직접 억제하고 에피레나민의 승압 작용에 대항하기 때문이며 각성한 동물에 대해 명확한 진정 작용이 있지만 동물을 잠들게 하지는 않는데 이는 필시 혈압을 낮추는 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전갈로부터 분리 추출한 갈산(蝎酸) 나트륨(Katsu acid Na)을 마취한 토끼에게 정맥 주사한 결과 일시적인 혈압하강이 나타났다. 그러나 개루이의 적출 심장에 대해서는 흥분 작용을, 개구리의 뒷다리 및 토끼의 적출 귀혈관에 대해서는 수축 작용을 나타냈다.

독성:
전갈독(Buthotoxin, 원명:原名: Katsutoxin)의 주요 작용은 호흡 마비로 그 MLD는 토끼에 대해서는 0.07mg/Kg, 마우스에서는 0.5mg/Kg, 개구리에서는 0.7mg/Kg이다. 토끼의 중독 증상은 사지의 강직성 경련, 침흘림, 호흡 정지, 또한 혈압 상승이 있으며 개구리에서는 사지의 근육 섬유의 위축, 마우스에서는 흥분 상태에 이어 사지 및 호흡의 마비이다. katsutoxin에는 용혈 작용 및 응혈 작용은 없다. 개구리의 적출 심장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이 있고 개구리의 뒷다리 혈관에 대해서는 수축 작용이 있으며 토끼의 적출 창자 및 개구리의 방광에 대해서는 모두 흥분 작용이 있다.

갈자탕(蝎子湯)의 실험 동물의 파상풍에 대한 치료 효과:
전갈 15g, 적작(赤芍) 12.5g, 대황(大黃) 10g, 감초 7.5g로 200ml의 탕제를 만든 것이 갈자탕(蝎子湯)이다. 1~10%의 갈자탕과 파상풍균을 섞어서 60~90분간 경과해도 항균 작용은 없었지만 배양기에 혼입하여 배양하면 상당한 억제 작용이 있다. 파상풍 toxin에 대해서는 중화 작용이나 파괴 작용이 없다. 갈자탕을 경구 투여해도 피하 주사를 하여도 모르모트 또는 마우스의 실험성 파상풍에 대해서는 모두 치료 효과나 예방 효과가 없다. 마우스에게 갈자탕 0.1~1ml를 경구 투여하거나 피하 주사 또는 정맥 주사하거나 모르모트에게 0.2~5ml를 경구 투여하거나 피하 주사하여도 명확한 중독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법제]


1, <중약대사전>: "청수(靑水)로 헹구어 염분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에 말려 사용한다."

2, <본초강목>: "다리를 제거하고 약한 불에 쬐어 말려 약재로 한다."

3, <본경봉원>: "진한 식초에 담가 짠맛을 제거하고 볶아 말려서 사용한다."

[맛과 성질]


1, <중약대사전>: "맛은 짜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있다."

2, <일화자제가본초>: "성질은 평하다."

3, <개보본초>: "맛은 달고 매우며 독이 있다."

4, <의림찬요>: "맛은 맵고 시고 짜며 성질은 차다."

[귀경]


<본초강목>: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경락을 통하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경풍추축(驚風抽搐: 근육 경련), 전간(癲癎), 중풍, 반신 불수, 안면 신경 마비, 편두통, 풍습에 의한 마비통, 파상풍, 림프절 결핵, 풍진, 창종을 치료한다."

2, <개보본초>: "모든 풍은진(風
癮疹) 및 중풍, 반신 불수, 안면 신경 마비, 어삽(語澁: 언어가 똑똑하지 못한 증상), 수족 경련을 치료한다."

3, <본초도경>: "소아 경축(驚搐: 경풍, 근육 경련)을 치료한다."

4, <본초회편>: "파상풍에는 전갈, 방풍(防風)을 주(主)로 쓰는 것이 좋다."

5, <본초강목>: "성인의 해학(咳
), 이롱(耳聾: 청력 장해), 산기(疝氣), 제풍창(諸風瘡), 여자의 백대하, 음탈(陰脫: 자궁 탈출)을 치료한다."

6, <본초정>: "풍담(風痰)을 제거한다."

7, <옥추약해>: "근골을 투과하고 풍습을 제거한다."

8, <산동중초약수책>: "풍을 제거하고 경락을 토앟게 하며 경련을 진정시킨다. 혈전 폐색성 동맥염, 림프절 결핵, 골관절 결핵, 유행성 이하선염을 치료한다."

전갈의 효능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잇다.

[전갈(全蝎) [본초]

전갈과에 속하는 전갈(Buthus martensii Karsch)을 말린 것이다.

봄부터 가을 사이에 잡아서 물에 담가 흙을 게우게 한 다음 끓는 물에 죽여서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린다. 또는 소금에 절여서 말리기도 한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독이 있다. 간경에 작용한다. 경련을 멈추고 독을 푼다.

약리실험에서 진정 및 진경작용을 나타냈다.

전갈독소는 호흡중추억제작용, 용혈작용을 나타낸다 100℃에서 30분이면 파괴된다.

경풍, 경간,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데, 파상풍, 반신불수, 말을 못하는 데, 연주창, 헌데 등에 쓴다.

하루 2~5g을 달임약,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내서 기초(약)제에 개어 바른다.
]

전갈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213면 297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전갈(全蝎)

기원: 겸갈과(鉗蝎科 전갈과:全蝎科: Buthidae)동물인 동아겸갈[東亞鉗蝎: Buthus marthensi Karsch)의 건조된 전체(全體)이다.

형태: 성체(成體)의 길이는 약 60mm이고 몸통의 가장자리는 갈색(褐色)이며 꼬리는 토황색(土黃色)이다. 두흉갑(頭胸甲)의 배갑(背甲)은 계단모양이다. 측안(側眼)은 3쌍이다. 흉판(胸板)은 삼각형(三角形)이다. 촉지(觸肢)는 집게 모양이다. 제 3, 4쌍의 보족경절(步足脛節)은 거(距)를 가지고 있다. 생식(生植)은 2개의 반원형(半圓形) 갑편(甲片)으로 조성되어 있다. 즐상(櫛狀) 기(器)에는 16-25매의 치(齒)가 있다. 후복부(後腹部)의 전(前) 4절(節)은 각각 10개의 융척선(隆脊線)이 있고 제 5절(節)은 단지 5개의 선(線)만 있으며 제 6절의 독침하방(毒針下方)에는 거(距)가 없다.



분포: 돌 밑 혹은 돌 틈의 축축한 그늘에 서식하기를 좋아한다. 중국의 주로 하남(河南), 하북(河北), 산동(山東), 요녕(遼寧)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에서 가을까지 잡아 깨끗한 물에 익사시키고 염수가 든 솥에 넣어 끓여 배부에 홈이 패이고 복부가 찌그러들면 꺼내어 그늘에서 말린다.

성분: buthotoxin, 우광산(牛磺酸).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있다.

효능: 진경(鎭痙), 식풍(熄風), 공독(攻毒).

주치: 경간추(驚癎抽搐), 중풍(中風), 반신불수(半身不遂), 구안괘사(口眼喎斜), 파상풍(破傷風), 창양종독(瘡瘍腫毒).

용량: 1-5g.

참고문헌: 중국약용동물지(中國藥用動物誌), 1권, 57면.]

전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수전증, 손의 떨림(진전)
몸의 일부가 여러 가지 형태로 떨리는 상태를 진전이라고 하며, 주로 손가락에 가장 많이 일어난다. 진전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는데 빈도가 높고 평소에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생리적 진전, 파킨슨 진전, 본태성 진전, 날개짓 진전이다.

1) 생리적 진전: 불안, 공포, 긴장, 한랭 등으로 일어나는 작고 빠른 손의 떨림이며 자율신경 가운데 교감신경의 기능과잉이 원인이다. 동공의 산대, 빈맥, 식은땀 등을 동반하는 일이 많다. 스트레스, 피로, 격한 감정, 불안, 저혈당, 갑상선 기능항진증, 카페인(커피 약 5잔 이상), 천식약, 스테로이드의 복용과 알코올 및 신경안정제 등의 금단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그 원인을 제거하거나 경감시켜주면 진전은 사라지게 되므로 자세한 악화요인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

2) 파킨슨진전: 파킨슨병과 파킨슨증후군 때에 볼 수 있는 손의 떨림으로 지폐를 세거나 환약을 뭉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한다. 안정하고 있을 때나 정신적으로 긴장해 있을 때에 떨림이 강하며 몸을 움직이고 있을 때에는 가벼워진다.

3) 본태성진전: 손의 떨림 이외의 증세는 볼 수 없는 것으로 혈연관계의 가족 가운데에도 같은 증세인 사람이 있는 일이 많다. 술을 마시면 떨림이 가벼워지는 경향이 있다. 젊은 사람에게 많은데 노인이 되면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노인성 진전). 떨림은 비교적 크고 빠르며 리드미컬한 것이 특징이다. 떨림이 가벼우면 치료할 필요가 없으나, 떨림이 심하고,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신경안정제의 사용 등 약물요법이 시행된다.

4) 날개짓 진전: 손을 뻗으면 손목 부위에서 날개짓을 하는 듯한 떨림이며 간성뇌증, 윌슨병, 요독증 등에서 볼 있고 의식장애를 동반합니다.

5)
대사성 진전: 그레이브스병 등의 갑상선기능항진증 때에 볼 수 있는 것으로서, 항상 손이 잘게 떨리며 정신적으로 긴장하면 떨림이 심해진다. 발한, 빈맥, 전경부의 종창, 안구돌출 등의 증세를 동반한다.

6
) 중독성 진전: 만성알코올중독증, 니코틴중독, 카페인중독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서 큰 떨림이 특징이다. 특히 하지가 떨리는 일도 있다.

7) 적핵성 진전: 중뇌의 장애가 원인으로 일어나는 것이며 크고 비교적 느린 떨림이 된다.
안정하고 있거나 어떤 자세를 유지하려고 하거나 무슨 동작을 하려고 했을 때에 일어난다.

8
) 기도 진전: 무슨 동작을 하려고 했을 때, 이를테면, 컵의 물을 마시려고 하면 손이 몹시 떨려서 마실 수가 없다. 컵을 든다, 컵을 입으로 가까이 가져간다는 식으로 목적의 최종단계에 가까워짐에 따라 떨림이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소뇌(뇌관, 특히 dentatorubrothalamic tract의 병변, 유출성 소뇌질환, 윌슨씨병)의 장애와 결합조직의 장애(다발성 경화증)가 원인이다.

[진전의 양방치료]

증강된 생리적 진전의 치료는 원인에 의해 좌우된다. 갑상선기능항진증, 알코올 금단의 경우 기저 질환을 치료하면 된다. 만성 불안증이 동반된 진전의 치료는 benzodiazepine (diazepam 2~10mg, lorazepam 1~2.5mg 또는 oxazepam 10~30mg)을 하루 3~4회 경구 투여한다. 이런 약제에 습관성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양성 본태성 진전, 약물이나 급성 불안증(공포증)에 의한 증강된 생리적 진전의 치료에는 propranolol 20~80mg, 하루 4회 경구 투여가 때로는 효과적이다. Propranolol에 효과가 없거나 약물에 견디지 못할 때는 primidone을 50~250mg씩 하루 3회 경구 투여한다. 생리적 진전의 어떤 경우에는 소량의 알코올이 효과적이다. 소뇌 진전에는 효과적인 약물은 없으며 물리치료(침범되는 사지에 힘을 주거나 환자로 하여금 활동시 근위부 사지를 긴장시키도록 교육시킨다)가 가끔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전증에 관한 한의학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풍(肝風)

원인: 간화왕(肝火旺)의 체질을 가진 자에 많다. 간은 근(筋)을 다스리므로 간양(肝陽)이 항성해지면 양동(陽動)으로 인하여 내풍(內風)이 일어나며, 풍을 따라 근이 움직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일반 증상: 지속적인 수전, 어지러움, 두통, 번조, 불면, 설홍, 태소, 맥현삭유력 또는 침세삭.

증상감별: 갑자기 발작, 격렬.

치법: 평간식풍, 지전(止顫)

처방: 영양구등탕 또는 천마구등음

(2) 음허풍동(陰虛風動)

원인: 음허내열(陰虛內熱)의 체질이거나, 열사(熱邪)가 오래 하초(下焦)에 정체하여 간신(肝腎)의 음액(陰液)이 모손된 것으로, 음허로 인하여 양기를 잠장하지 못하여 간양이 망동, 내풍(內風)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일반 증상: 손떨림이 미약하며, 피로감, 동계, 입마름이나 목마름, 형체가 마르고, 설홍강, 소태 혹은 무태, 맥세삭.

증상감별: 열병 후기에 다발. 진전은 완만.

치법: 자음식풍, 지전

처방: 이갑복맥탕

(3) 풍담(風痰)

원인: 경락내에 담음(痰飮)이 심복(深伏)하기 때문이다.

일반증후: 손떨림과 함께 뻣뻣함, 흉협이 가득하고 팽팽한 감이 든다, 헛구역질, 속이 미식거림, 입에 침이 많이 돌고, 때로 번조하면서 화를 잘 내고, 태백니, 맥현활.

증상감별: 외풍의 침습으로 일어난다.

특징은 평소부터 비만, 안면허부한 사람에 많고, 때때로 손가락 끝이 뻣뻣하고, 쥐었다 폈다 하기가 힘들고, 목구멍에 뭐가 걸린 것 같은 느낌이 들고, 설체는 비대, 설태는 백니하다. 증상이 발생된 후 마목감이 따르고, 특히 노인층에 많다.

치법: 거풍화담

처방: 도담탕과 죽력

(4) 풍한(風寒)

원인: 풍한사(風寒邪)가 직접 손에 침입하여 영위불화(營衛不和)가 되기 때문이다.

일반증상: 손떨림 겸 통증, 찬 기운이나 바람을 싫어하고, 경항부가 뻣뻣하고 뭉치고 결리고 아픈 느낌이 들고, 자한 또는 무한, 태박백, 맥부 혹은 현긴하다.

증상감별: 기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떨림과 함께 동통이 있고 풍한표증을 동반한다. 청소년에 다발한다.

치법: 거풍산한

처방: 황기 계지 오물탕과 갈근

(5) 비허(脾虛) 풍동(風動)

원인: 비허가 된 틈에 간풍(肝風)이 내동(內動)하여 발생한다.

일반증상: 손떨림이 느리고 완만하며, 손에 힘이 없고, 사지가 무러우며, 배는 더부룩하고 변이 퍼지듯이 무르게 나오고, 설체는 커져 있고, 설담, 태박백, 맥침완무력 또는 현완하다.

증상감별: 진전은 간헐적, 악력이 떨어지고, 피로감, 식욕부진 등 비허의 증후를 동반.

치법: 건비정풍

처방: 육군자탕에 조구등, 당귀, 백작약, 방풍 등을 첨가

(6) 혈허(血虛) 풍동(風動)

원인: 만성병에 의한 소모로 심간(心肝) 혈허(血虛)가 됨으로써 발생한다.

일반증후: 손떨림과 뻣뻣함, 안색이 좋지 않고, 어지러움, 동계, 불면, 순설담백, 태박백, 맥세무력

증상감별: 손떨림과 함께 뻣뻣한 감, 저린감, 피부소양, 어지러움, 현기증, 동계, 불면 등 혈허의 증상이 나타난다.

치법: 양혈식풍, 지전

처방: 진전환(천마, 진교,
전갈, 숙지황, 생지황, 당귀, 천궁, 작약, 방풍, 형개, 백출, 황기, 위령선)

(7) 기타

<소아의 경우>

- 놀람과 공포로 인하여 간신을 손상, 근맥의 기능이 실조되어 발생.

- 증상감별: 지속적으로 진전, 거상하면 진전이 더욱 심해짐, 척맥허, 설홍, 무태

- 치법: 보신양간

- 처방: 육미환 합 청아환에 구기자, 국화, 맥문동, 오미자 등을 첨가

제 경험으로는 한약의 경우 자율신경계를 안정시켜주고 심담의 기운을 북돋아주는 처방계열을 사용했을 때 양효한 효과를 본 경우가 많다.

생리적인 진전의 경우에는 자율신경, 특히 교감신경의 과잉작용이며, 이 경우 손발에서 땀을 많이 흘리는 증상이나 과도한 긴장, 가슴두근거림 등이 함께 동반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런 증상으로 비춰볼 때 심담이 허겁한 사람이나 비위의 기능이 좋지 않고 몸이 마르고 신경이 예민한 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고, 이를 치료하는 처방을 사용했을 때 손떨림의 증상도 많이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출처: 일침명의, 2006.10. 26.]


[전갈 사육 방법]


사육 방법에는 산에서 기르는 방법과 우리에서 기르는 방법이 있는데, 산에서 기르는 법은 포획이 불편하므로 대개 우리에서 기르는 법을 채용한다.

1, 사육 우리 및 설비:
비교적 높은 지역을 선택하여 높이는 약 2m로 하고 길이와 너비는 약 3m 되는 단층집을 짓는다. 주위는 흙벽돌을 쌓아 벽을 만든다. 우리의 안쪽에 나무로 된 문을 내고 창문은 만들지 않는다. 야간의 빛과 공기의 소통 및 전갈의 출입이 편하도록 입구의 양측과 뒷벽에 지상으로부터 약 15cm 떨어진 곳에 높이 25cm, 너비 6cm 되는 작은 구멍을 낸다. 우리 안에는 내벽을 따라 꼭대기까지 흙벽돌을 쌓아올린다. 벽돌과 벽돌 사이에 5cm 정도의 틈을 남겨 놓아 전갈의 서식 장소로 한다. 우리 한 가운데의 빈 곳은 사람이 다니는데 사용한다. 사육 우리의 주위에 벽으로부터 약 30cm 떨어진 곳에 깊이와 너비가 각각 30cm 이상 되는 홈을 판다. 이것은 시멘트나 석회(石灰)로 만들고 물이 새지 않게 해야 한다. 홈의 벽쪽 가장자리는 직접 벽으로 연결되는 경사판을 만든다. 홈 안에 계속 물을 갈아 새로운 물을 보충해서 마르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전갈에 마실 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도망치지 않도록 방지한다.

2, 번식:
전갈의 종류를 선택하여 사육 우리 안에 넣는다. 한 우리에 약 5kg 전후를 사육하되 암컷을 많게 하고 수컷을 적게 한다. 그 비율은 수컷 1/3 또는 1/4, 암컷 2/3 또는 3/4이 좋다.

이렇게 교배 번식시키는 것을 '하종(下種)'이라고 한다. 전갈은 번식력이 매우 강해서 어미 전갈 한 마리는 한 번에 새끼 전갈 18~40마리를 낳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여름철이 되면서부터 낳는다.

3, 사료:
전갈은 육식성 동물로서 체액이 많고 몸이 연한 곤충을 즐겨 먹는다. 모기, 파리, 사마귀, 메뚜기 등은 모두 대단히 좋은 사료이다. 그 외에 알칼리 흙 및 밀, 밀기울 등도 먹는다. 여름밤에 사육 우리의 문을 열고 안에 기름 등잔을 놓아 곤충을 유인하여 사료의 일부로 해도 된다. 겨울에는 전갈이 이미 동면에 들어가므로 먹이를 줄 필요가 없다. [중약대사전]

주로 사막지대에 많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갈은 그 독성이 엄청 세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전갈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베트남구글: 1, 2, 3, 4, 5, 6,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