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채(평지) 무엇인가?

봄을 알리는 전령사 아름다운 유채꽃

 

 

 

 

 

 

 

 

 

 

[유채의 어린잎, 줄기를 감싼 잎, 꽃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혈과 기를 파하는 작용, 행혈, 파기, 소종, 엉긴혈을 흩어지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데, 노상토혈, 혈리, 단독, 울결을 풀어주는데, 산후의 혈대 복통, 냉기 제거, 난산, 산후 심와부의 각종 질환, 적단열종, 금창, 허리와 발의 위비, 화상, 허창을 제거하는데, 폐열을 없애는데, 눈을 밝게 하는데, 복부 창만, 대변 울결, 무명 종독, 산후에 오로가 내리지 않고 혈결로 가슴이 찌르는 듯이 아픈 증상, 산후의 혈훈, 대장 풍독, 하혈이 멎지 않는 증상, 협뇌풍, 편두통, 소아 천조, 근골 손상, 골절, 열독창, 유옹, 요각비, 유종, 풍으로 인한 유주성 단종, 산결, 산후혈체복통, 적유진, 산후의 혈풍, 어혈, 징가로 인한 맺힌 혈을 풀어주는데, 표저, 완두창, 장을 통하게 하는데, 토혈, 과로로 내장이 손상되어 생기는 토혈, 제단, 소아 적단, 천화열창에 처음에는 땀띠 같은 것이 돋다가 점점 커지면서 수포로 되고 불로 지지는 듯하며 창이 적색으로 되고 열이 나며 잠시 후에 침음(흐린 액체)이 생기면서 점차 많아지는 증상, 독열종, 여자 유옹, 표저로 수족과 어깨와 잔등에 적소두와 같은 두드러기가 돋고 그것을 벗기면 즙이 나오는 증상, 혈리가 멎지 않고 복중에 급통이 생기면서 정신이 혼미해지는 증상, 혈리, 종독, 치루, 몽설, 아름다운 피부 유지, 스트레스, 자율신경실조증, 변비, 감기 예방을 다스리는 유채

유채(油菜: rapeseed)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한국에서는 1962년부터 기름을 생산하는 본격적으로 재배하였다고 전해진다.

학명은 <Brassica napus L.>이다. 중국 원산의 두해살이풀로 키는 1m 정도이다.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곁가지가 나온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다소 깃처럼 갈라진다. 잎자루의 가장자리에는 이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에 자줏빛이 도는 경우도 있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갈라지지 않으며, 윗부분에 달린 잎은 밑부분이 귀처럼 처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4월경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린다. 꽃의 색은 노란색이며 길이는 6mm 가량이며 꽃받침은 피침상 배 모양이다. 꽃잎은 끝이 둥근 도란형이며 길이 10mm 정도이다.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끝에 긴 부리가 있는 원주형이며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익으면 봉합선이 갈라지며 20개 암갈색의 종자가 나온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

종자에는 38∼45%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15∼20%의 가용성 질소질과 20% 가량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 식용유로서 콩기름 다음으로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쓴다. 꽃은 밀원식물(蜜源植物)이고, 종자에서 분리한 지방유를 연고기제(軟膏基劑), 유성주사약(油性注射藥)의 용제나 기계의 윤활유로 쓴다.

일본, 중국, 한국에 분포하며 국내 전역에 서식가능하나 주로 남부에서 재배한다. 1962년부터 기름을 짜는 작물로 본격적으로 재배하였다.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좋으며 빨리 자라고 추위와 습기에 잘 견디는 것이 우량품종이다. 대표적인 품종은 아사히, 유달, 목포11호, 용당 등이 있다.

※ 참조:
중국에서는 아래의 종류를 운대 즉 유채 또는 승리유채라고 하여 함께 약용하고 있다.

1, 운대
[蕓薹:
Brassica campestris L. var. oleifera DC.]
중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2, 승리유채
[
勝利油菜=유채: Brassica napus L.]
중국 장강 유역에서 많이 재배한다.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많이 재배한다.


유채의 여러 가지 이름은
운대[蕓薹=yún tái=타이: 당본초(唐本草)], 호채[胡菜: 통속문(通俗文)], 한채[寒菜: 백병방(百病方)], 태채[台菜: 비아(雅)], 운대채[蕓薹菜: 일용본초(日用本草)], 대개[薹芥: 패지(沛誌)], 청채[靑菜: 수식거음식보(隨息居飮食譜)], 홍유채[紅油菜: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승리유채[勝利油菜: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유채[油菜=yóu cài=요우차이: 편민도찬(便民圖纂)], 세이요우아부라나[セイヨウアブラナ: 일본명(日本名)], rapeseed[영명(英名)], Brassica napus L.[학명(学名)], 평지[평지나물: 제주도 방언], 삼동추[경상도 방언], 왜배추 등으로 부른다.

유채 종자의 여러가지 이름은
운대자[
蕓薹子: 천금(千金), 식치(食治)], 유채자, 청채자 등으로 부른다.

[채취]


<종자>


4~6월 사이에 종자가 성숙하면 지상 부분을 베어서 햇볕에 말리고 종자를 털어내어 잡질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종자>


종자는 대체로 공 모양이고 지름은 1~2mm이며 씨껍질은 흑색이거나 어두운 적갈색이고 간혹 황색을 띠는 것도 있다. 확대경으로 보면 표면에 가는 망상 무늬가 있고 종제(種臍)가 점 모양이고 물에 담그면 부풀게 된다. 종피를 제거하면 그 속에 황백색의 비후한 자엽이 2개 있는데 주맥(主脈)을 따라 대칭되어 겹쳐졌고 그 사이에 배근(胚根)이 끼여 있다. 냄새가 없고 맛이 싱거우며 기름기가 조금 느껴진다. 포만하고 표면이 반들반들하고 잡질이 없는 것이 양품이다.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재배하는데 장강(長江) 하류 지역의 생산량이 제일 많다. [중약대사전]

[성분]


<어린 줄기와 잎>


소량의 quercitrin(약 0.05%)과 비타민 K(0.005~0.02%)를 함유하고 있으며 전분 모양의 단백(amyloid), 고도의 분지(分枝) 구조를 가진 다당류의 물질 및 12S globulin을 분리해 냈다.

<종자>


종자에는 지방 40-50%, 단백질 23%가 함유되고 crotonyl isothiocyanate를 생성할 수 있는 glucoside가 0.4~0.6% 함유되어 있다. 그 외에 또 루틴(rutin)도 함유되어 있다. 유채(油菜)와 기타 십자화(十字花)과 식물의 종자에는 대량의 erucic acid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 외의 주요 지방산으로는 oleic acid, linolenic acid, eicosenoic acid이다. 그러나 sinapic acid를 함유하지 않은, 인공 재배에 의한 변종도 있다. 종자의 기름에는 일반적으로 sterol 0.5%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β-sitosterol, campesterol, brassicasterol이 가장 많으며 소부분은 cholesterol이다. 운대자의 기름에는 glucosinolate가 약 5% 함유되어 있는데 이 글루코사이드는 효소의 분해를 거쳐 oxazolidinethione를 생성할 수 있다. 종자에는 또 루틴(rutin)과 많은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중약대사전]

참조: 루틴(rutin)의 효능:
혈압을 내리는 작용, 항산화작용, 모세혈관을 강화시키는 작용, 뇌출혈, 방사선 장애, 출혈성 질병 등을 예방하는데,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억제하는데, 혈관이 약해지는 것을 막는데, 혈관보강제, 모세혈관의 지혈제, 고혈압, 뇌일혈, 폐출혈, 망막 출혈의 예방 또는 치료, 혈압이상, 출혈성질병을 다스리는 루틴: [JDM 천연물질대사전]

루틴의 좀더 상세한 작용 보기:
루틴(rutin) 무엇인가?

[성미]


<어린 줄기와 잎>


맛은 맵고 성질은 서늘하다.

1, <천금, 식치>: "맛은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2, <일화자제가본초>: "서늘하다."

<종자>


<본초강목>: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어린 줄기와 잎>


1, <득배본초>: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간다."

2, <본초구진>: "폐(肺), 간(肝),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어린 줄기와 잎>


엉긴 혈을 흩어지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노상토혈(勞傷吐血), 혈리(血痢), 단독, 열독창, 유옹(乳癰)을 치료한다.

1, <천금, 식치>: "주로 요각비(腰脚痺)를 치료하며 또 유종(油腫), 단독(丹毒)을 치료한다."

2, <당본초>: "풍(風)으로 인한 유주성(遊走性) 단종(丹腫), 유종을 치료한다."

3, <본초습유>: "파혈(破血)하는 작용이 있어 임신부가 끓여 복용하면 좋다. 또 짓찧어 적유진(赤遊疹)에 붙인다."

4, <일화자제가본초>: "산후의 혈풍(血風) 및 어혈을 치료한다."

5, <개보본초>: "징가(
癥瘕)로 인해 맺힌 혈을 풀어준다."

6, <본초강목>: "표저(
瘭疽), 완두창(豌豆瘡)을 치료하고 엉긴 혈을 흩어지게 하며 부기를 가라앉힌다."

7, <수식거음식보>: "엉긴 것을 풀어주고 장(腸)을 통하게 한다."

8, <사천중약지>: "토혈을 치료한다."

<종자>


혈(血)을 행(行)하게 하고 기(氣)를 파(破)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울결을 풀어준다. 산후의 혈체(血滯) 복통, 적리(赤痢), 종독, 치루를 치료한다.

1, <천금, 식치>: "몽설(夢泄)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막힌 혈을 배출시키고 냉기를 제거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울결을 풀어준다. 난산, 산후 심와부의 각종 질환, 적단열종(赤丹熱腫), 금창혈치(金瘡血痔)를 치료한다."

3, <안휘약재>: "적리(赤痢), 허리와 발의 위비(
痿痹), 표저(瘭疽), 유옹(乳癰), 치질, 화상 등을 치료한다."

4, <사천중약지>: "허창(虛瘡)을 제거하고 폐열(肺熱)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한다. 복부 창만, 대변 울결을 치료하며 환부에 발라 무명 종독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어린 줄기와 잎>


내복: 끓여 복용하거나 짓찧어 그 즙을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어 붙인다.

<종자>


내복: 1.5~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어린 줄기와 잎>


마진을 앓은 뒤, 창개(瘡疥), 안질 환자는 금해야 한다.

1, <백병방(百病方)>: "액취가 있는 사람이 복용하면 병이 더 중하게 된다."

2, <수식거음식보(
隨息居飮食譜)>: "발풍동기(發風動氣)하므로 허리, 다리, 구강의 각종 질환, 산후, 사두(痧痘), 고질성 창(瘡), 안질, 유행성 감기에는 모두 금한다."

유채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임상 한약대도감> 36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
운대자(
蕓薹子: Brassica Semen)

다른 이름:
유채자, 청채자.
약성: 맵고 달고, 평범하다.
귀경: 간경, 대장경.

이른봄 유채꽃이 대지를 덮을 때가 되면 사람들은 제각기 시인이 된 느낌 속에 살아가게 된다. 대개는 꽃에서 꿀을 따고 씨에서는 기름을 짠다. 페루의 안데스 산맥 3,000m 이상의 고지에서 자라는 마카는 꽃 모양이 유채꽃과 같고 크기도 같으며 단지 잎이 깊게 들어가 있는 것이 다를 뿐이다.

기원:
이 약은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인 유채(Brassica campestris L.)의 씨이다.


성분:
glucobrassicapin, gluconapin, progoitrin, rutin, brassicasterol, 22-dehydrocampesterol, alanie, valine, aspartic acid, lysine, methionine, phosphatidy, ethanolamine, erucic acid 등이 들어 있다.

효능:
어혈 제거와 소염, 윤변 작용으로 산후 어혈부진, 어혈 복통, 월경통, 하혈, 이질 출혈, 관절 종통, 종기, 단독, 유방염, 변비, 장경색을 치료한다.

임상처방 예


1, 어혈성 질환


1) 산후 어혈 복통, 오로부진, 하복통

어혈을 풀어 주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치료한다.

처방: 운대자 10g, 당귀 8g, 천궁 8g, 육계 8g, 작약 8g.

2) 월경통

어혈을 제거하므로 통증을 개선한다.

처방: 향부자 12g, 운대자 10g, 현호색 8g, 계지 8g, 작약 8g, 홍화 6g, 유향 2g, 몰약 2g.

3) 대변 시 출혈이 심하고 그치지 않는 경우

해독, 지혈 작용을 얻는다.

처방: 운대자 10g, 자감초 10g을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2, 전신통


1) 전신 동통

진통, 혈액 순환 촉진 작용으로 회복력을 높인다.

처방: 운대자 10g, 초오 8g, 천남성 8g, 우슬 8g.

2) 요각(腰脚) 동통, 반신 동통

전신에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통증을 해소한다.

처방: 운대자 10g, 감수 20g, 목별자 20g을 가루를 내어 1회에 8g을 복용한다. 허약인과 노인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3) 골절상

처방: 운대자 40g, 좁쌀 2홉, 용골 4g을 가루를 낸 후 식초에 개어 환부에 붙인다.

3, 종기, 단독, 유방염

해독, 살균, 소염 작용으로 효력을 얻는다.

용량


5-10g.

주의사항


빈혈이 있거나 변이 묽으면 복용하지 않는다.
]

유채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84면 114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승리유채(勝利油菜)

기원: 십자화과(十字花科: Cruciferae)식물인 승리유채(勝利油菜=유채: Brassica napus L.)의 종자(種子)이다.

형태: 일년 혹은 이년생의 초본으로 납분(臘粉)이 덮여있고 줄기의 높이는 1.5m이다. 기부(基部)에 나는 잎은 우상심열(羽狀深裂)하는데 잎의 상부(上部)에서 하부(下部)로 가면서 갈라짐이 점차 감소하고 잎의 정단(頂端)에 있는 열편(裂片)은 크며, 기부(基部)와 아랫쪽의 경엽(莖葉)은 몇개의 열편(裂片)이 있고 잎자루가 있다. 윗부분의 줄기에서 나는 잎은 피침형(披針形) 혹은 장원형(長圓形)으로 엽저가 줄기를 반쯤 감싼다. 꽃은 총상화서(總狀花序)에 달리고 황색(黃色)이며, 꽃받침잎은 4장이고 꽃잎은 4장으로 숟가락모양이며, 수술은 6개인데 4개가 길고, 암술은 2개의 심피(心皮)로 이루어졌으며 2개의 측막(側膜) 태좌(胎座)가 있고 가격막(假隔膜)이 2실(室)을 이룬다. 열매는 각과(角果)로 가늘고 길며 종자(種子)는 구형(球形)으로 비교적 크다.



분포: 장강(長江) 유역에서 많이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5-6月에 열매가 익으면 지상부를 잘라 햇볕에 말린 후 두들겨서 종자(種子)를 채집하며 잡질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다.

성분: fatty acid.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행혈(行血), 파기(破氣), 소종(消腫), 산결(散結).

주치: 산후혈체복통(産後血滯腹痛), 혈리(血利), 종독(腫毒), 치루(痔漏).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143호.]

유채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188면 21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
유채(왜배추:
Brassica campestris L. s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십자화과]

두해살이풀. 높이 1m 가량. 꽃은 황색으로 5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 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 꽃잎도 4개이고 십자 모양으로 배열된다. 갓과 비슷하나 잎의 밑부분이 줄기를 감싸고 전체적으로 흰색을 띠는 푸른색이다.

분포/
제주도 및 남부 지방에서 재배한다.

약효/
지상부를 운대(
蕓薹)라고 하며, 산혈, 소종의 효능이 있다. 산후혈풍, 어혈, 토혈, 노상(勞傷), 혈리, 단독, 열독창을 치료한다. 종자를 운대자(蕓薹子)라고 하며, 행혈, 파기, 소종, 산결의 효능이 있고, 산후복통, 산후혈체, 하혈, 혈리, 종독, 치루, 몽정을 치료한다.

성분/
지상부에는 quercitrin, vitamin K, 종자에는 campesterol, brassicasterol, cholesterol, tocopherol, ru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사용법/
지상부는 짓찧어 즙을 내어 한 컵씩 마시고, 종자는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유채의 효능에 대해서 일본에서 펴낸
<건강, 영양식품사전> 957-958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유채꽃

아름다운 피부(皮膚), 자율신경실조증(自律神經失調症), 변비(便秘)


유채과에 속하는 1, 2년초로 봄에 황색(黃色)의 작은꽃을 방상형(房狀型)으로 피운다. 유채씨, 유채꽃의 이름이 있으며, 2~3월경, 일본에서는 구주(九州)나 후소 반도(半島)등의 온난한 토지에서 재배된 것이 많이 눈에 띈다. 종자에서 유채기름을 짜며, 유채씨를 기름을 짜고 남는 찌꺼기인 유채 깻묵은 비료(肥料)로 쓴다. 식용으로는 노란꽃 봉우리가 좋으며, 채도 줄기도 연하고 특유의 냄새가 없다. 살짝 삶아서 데치거나 겨자무침, 또는 가볍게 소금에 절인 것등도 맛이 좋다. 봄다운 색채여서, 3월 3일 열리는 여아 축제쯤에는 안성맞춤의 일품(一品)이 된다.

유채꽃의 영양가는 높으며, 시금치와 비교해 카로틴은 약 반정도(100g중 2200㎍)이나, 칼슘은 3배나 많고, 비타민 C는 생으로는 4배 가까이 높게 들어 있다. 그 외에도 비타민 B2, B2, 나이아신(니코틴산)등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고 식이섬유도 들어 있어서, 얼절이 야채나 살짝 삶아 무친 것은 영양소를 손실하지 않고 식사의 질을 좋게 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야채영양소의 종합적인 효과에 의하면 유채는 탱탱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고, 스트레스, 자율신경실조증, 변비, 감기 등의 예방에 유효하다.
]

유채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어린 줄기와 잎>


1, 과로로 내장이 손상되어 생기는 토혈

홍유채(紅油菜) 1포기(전초)를 끓여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2, 제단(諸丹)

운대채(
蕓薹菜)를 보드랍게 짓찧어 두껍게 붙인다. 열기(熱氣)가 채 가시지 않았으면 3일간 봉하여 둔다. 말라도 봉한 채로 두어 뿌리를 뽑도록 한다. [천금방(千金方)]

3, 소아 적단(赤丹)

운대채(
蕓薹菜)의 즙을 3홉 복용하고 그 찌꺼기는 환부에 붙인다. [천금방(千金方)]

4, 천화열창(天火熱瘡)에 처음에는 땀띠 같은 것이 돋다가 점점 커지면서 수포로 되고 불로 지지는 듯하며 창(瘡)이 적색으로 되고 열이 나며 잠시 후에 침음(浸淫: 흐린 액체)이 생기면서 점차 많아지는 증상

운대채(
蕓薹菜)를 수량에 제한이 없이 짓찧어 즙을 짠다. 망초(芒硝), 대황(大黃), 생철의(生鐵衣)를 같은 양으로 준비한다. 대황을 가루내어 망초(芒硝) 등과 섞고 운대(蕓薹)의 즙으로 묽게 개어 밋밋한 붓대로 창(瘡)에 떨어뜨려 바른다. 마르면 다시 떨어뜨려 바른다. 자주 바르면 효과가 매우 좋다. [근효방(近效方)]

5, 독열종(毒熱腫)

만청근(蔓菁根) 3냥, 운대(
蕓薹)의 어린 싹과 뿌리 3냥을 짓찧어 계자청(鷄子淸)으로 개어 붙인다. 마르면 갈아 붙인다. [근효방(近效方)]

6, 여자 유종(乳腫)

운대채(
蕓薹菜)를 짓찧어 붙인다. [일용본초(日用本草)]

7, 표저(
瘭疽)로 수족, 어깨, 잔등에 적소두(赤小豆)와 같은 두드러기가 돋고 그것을 벗기면 즙이 나오는증상
운대채(
蕓薹菜)를 삶아서 그 즙을 1되 복용한다. 동시에 식사 시에 운대(蕓薹)의 익은 건더기를 소금을 소량 넣어 연속 몇 끼 복용한다. 겨울에는 그 종자를 가루내어 물에 타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8, 완두창(
豌豆瘡)
운대(
蕓薹)의 달인 물로 씻는다. [천금방(千金方)]

9, 혈리(血痢)가 멎지 않고 복중에 급통이 생기면서 정신이 혼미해지는 증상

운대(
蕓薹) 2홉을 짓찧어 즙을 짠 후 밀(蜜: 꿀) 1홉을 섞어 덥혀서 온복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종자>


10, 산후에 오로가 내리지 않고 혈결로 가슴이 찌르는 듯이 아픈 증세, 그리고 산후 심와부의 각종 질환

운대자(
蕓薹子: 볶은 것), 당귀(當歸), 계심(桂心), 적작약(赤芍藥)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한 번에 2돈씩 술로 복용한다. [산유집험방(産乳集驗方), 운대산(蕓薹散)]

11, 산후 혈훈(血暈)

운대자(蕓薹子), 생지황(生地黃)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한 번에 3돈씩 생강 7조각, 술과 물을 사내아이 소변 각각 반컵을 함께 7할이 될 때까지 달여 더운 김에 복용한다. [온씨해상선방(溫氏海上仙方)]

12, 대장 풍독, 하혈이 멎지 않는 증상

운대자(生蕓薹子) 반 냥, 조금 붉은색이 나게 구워 썬 감초(甘草) 반 냥을 짓찧어 곱게 가루내어 산제로 만든다. 1회 2돈을 물 한컵으로 절반이 되도록 달여 식전에 온복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3, 협뇌풍(夾腦風) 및 편두통

운대자(
蕓薹子) 1푼, 천대황(川大黃) 3푼을 짓찧어 곱게 가루내어 산제를 만든다. 한 번에 조금씩 콧구멍에 불어 넣으면 누런 물이 나온다. 완마(頑麻)가 있으면 찐한 식초로 개어 바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4, 소아 천조(天
)
천오두(川烏頭) 가루 1돈, 운대자(
蕓薹子) 3돈을 새로 길어 온 물에 개어 정수리에 바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비급도정고(備急塗頂膏)]

15, 근골 손상과 골절

운대자(
蕓薹子) 1냥, 볶은 소황미(小黃米) 2홉, 용골(龍骨) 소량을 가루내어 식초로 개어 고약을 만들어서 종이에 넓게 펴서 환부에 붙인다. [건곤생의비온(乾坤生意秘韞)]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본초강목(本草綱目)>:
"
운대채(蕓薹菜)는 종자와 잎이 같은 효용이 있고 따뜻하게 하며 흩어지게 할 수도 있어서 행혈체(行血滯), 파결기(破結氣)에 능하다. 따라서 고방(古方)에서는 소종산결(消腫散結)하는 방법으로 산후의 일체 심복 기혈의 동통, 각종 유풍(遊風: 혈관 신경성 부종), 단독(丹毒), 열종(熱腫: 열로 인한 종창), 치질을 치료하는 경우에 각종 약제에 이것을 사용한다. 월경 이후 사물탕(四物湯)에 넣어 복용하면 단산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경풍을 치료할 때 정수리에 붙여 기(氣)가 위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들판에 노란색으로 물들인 유채꽃, 사진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유채(油菜)라는 이름의 뜻은 한자 그대로 <기름을 짜서 쓰는 채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주도 유채꽃은 우리나라에서 널리 알려져 있어 유채꽃이 만발할 무렵 유채꽃밭에서 아름다운 추억이 담긴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더해주고 있다. 우리나라 최남단부터 봄소식을 알리는 전령으로도 유명하다.

유채가 어릴 때 베어서 김치를 만들어 먹거나 나물로 해서 먹으면 맛이 좋다. 남쪽 지방에서는 꽃보기 식물로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갓에 비하여 잎의 밑부분이 넓어지면서 줄기를 감싸는 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유채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참조: 비슷한 식물로 아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갓 무엇인가?
  2. 갯무 무엇인가?
  3. 겨자 무엇인가?
  4. 고추냉이(매운냉이) 무엇인가?
  5. 꽃다지 무엇인가?
  6. 냉이 무엇인가?
  7. 늘어진장대 무엇인가?
  8. 다닥냉이 무엇인가?
  9. 대청엽 무엇인가?
  10. 말냉이 무엇인가?
  11. 무 무엇인가?
  12. 미나리냉이 무엇인가?
  13. 배추 무엇인가?
  14. 비트 무엇인가?
  15. 속속이풀 무엇인가?
  16. 순무 무엇인가?
  17. 싸리냉이 무엇인가?
  18. 양구슬냉이 무엇인가?
  19. 양배추 무엇인가?
  20. 유채 무엇인가?
  21. 장대나물 무엇인가?
  22. 재쑥 무엇인가?
  23. 크레숑(물냉이) 무엇인가?
  24. 황새냉이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