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화 무엇인가?

중국 각지에서 보편적으로 재배하는 장미 꽃중의 황후 월계화

 

 

 

 

 

 

 

 

 

 

[월계화의 분홍색, 빨간색, 노랑색, 흰색의 꽃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각종 유독가스를 흡착하는 작용, 활혈조경, 소종해독, 활혈소종, 월경부족, 통경, 혈어종통, 옹저종독, 질타손상. 월경부조, 일년 사시절 심한 기침, 각혈, 지혈, 각종 부인병, 대하, 나력을 다스리는 월계화

월계화는 장미과의 늘 푸른 상록관목이다.

월계화의 학명은 <
Rosa chinensis Jacq., 1768>이다. 월계화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상록관목으로 가지는 녹색이고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1-2쌍의 작은잎으로 된 기수 우상 복엽이다. 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5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고 산방상으로 달리며 홍자색 또는 연분홍색이다. 또한 겹꽃도 있으며 향기가 있다. 열매는 둥글고 붉게 익는다.

월계화는 현재 북경<
北京=
běijīng=뻬이V>의 시화(市花)로 선정되어 있다.

원래 서양의 고유장미는 여름 한철에만 피는 여름 장미이다. 일 년에 한번만 꽃을 피우는 장미를 고전장미(Old Rose)라고 한다. 반면에 중국과 한국에는 일 년에 여러 차례 개화를 반복하는 정원장미가 있다. 이를 중국에서는 <월계화(Rosa chinensis)>라 했고 우리나라에서는 <사계화(四季花)>라 불렀다.

중국의 강희안은 그의 <양화소록>에서 “사계화는 세 가지 품종이 있다. 붉은 꽃이 음력 3월, 6월, 9월, 12월에 꽃망울을 터뜨린다”고 하였다. 또 “보통 꽃은 한 해에 두 번 필 수가 없지만, 이 꽃만은 사시(四時)를 독차지하여 환하게 꽃을 피운다. 꽃을 피우려는 마음이 잠시도 쉰 적이 없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문헌에는 월계화에 대한 기록이 있다. “월계화는 물이 흐르는 곳이면 곳곳에 자란다. 인가에서 자주 꺾꽂이로 심는다. 푸른 줄기나 긴 넝쿨이 붙어있고 잎은 장미와 비슷하다. 잎과 줄기에 모두 가시가 나 있다. 꽃은 홍색, 백색, 담홍색 세 색깔이 있다. 달마다 한 번씩 꽃이 피어서 사계절 끊어지지 않는다. 장미의 한 종류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18세기 말 중국의 월계화가 인도를 거쳐 유럽에 전해진다. 이 시기는 영국 등 유럽에서는 원예(園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식물채집가(plant hunter)들이 동양의 희귀식물을 찾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던 시기이다. 1789년 동인도회사에 근무하던 존 리브는 영국 런던의 이름난 정원가인 길버트 슬레이터(Gilbert slate)에게 붉은 색 월계화를 소개한다. 후에 슬레이터스 크림슨 차이나 로즈(Slater’s Crimson China Rose)로 명명되는 이 장미가 기록상 동양에서 서양에 전해진 첫 <월계화 장미>가 된다.

즉 월계화가 유럽으로 건너가 유럽의 고전 장미와 결혼해서 현대장미 사계장미가 된 것이다. 동양의 장미가 현대장미의 어머니인 셈이다. 최근에는 월계화뿐만 아니라 여러 야생장미를 교잡시켜 육종가들은 수많은 사계장미의 품종을 개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찔레꽃, 해당화, 인가목, 돌가시나무, 생열귀나무 등도 야생장미의 일종이다.

베이징에서는 2016년 5월 세계 월계화대회가 열렸는데 송이마다 특색이 다른 2천 300여종의 월계화가 선보였다고 한다. 도로가에서 5월이 아닌 여름과 가을에 장미가 보인다면 이 장미는 그 원종이 사계화나 월계화인 <사계장미>이다.

현대의 장미는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에 걸쳐서 서식하는 수많은 야생 장미들을 교배해서 만들어진 잡종성의 개량종이다. 기원전 2000년경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추정이 되며, 19세기에 들어와서 인위적인 교배가 시작되었다.

꽃이 매우 아름답고 색깔이 다양하며 향기가 대단히 좋아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을 받고 있으며, 영국의 국화로 지정되어 있다.
영국은 야생 장미를 이용하여 대단히 많은 재배 품종을 전 세계에 퍼뜨리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야생의 장미는 원래 봄철 한 계절에만 피던 꽃이었는데, 현대의 장미는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해서 개화가 가능하다고 하여 <사계화(四季花)>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원용으로는 꽃이 크고 탐스러운 하이브리드티 계통의 품종을 택하는 것이 좋고, 공원 등에는 플로리분다 계통을 집단적으로 식재해서 장미화단을 만드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한다.


이영노의
<한국식물도감> 제 1권에서는 <<장미과는 전세계 특히 온대에 약 100속 3,000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33속 135종이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장미(Rose)'라고 하면 서양장미를 떠올린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야생으로 자라는 장미가 있었으며 찔레나무꽃, 생열귀나무꽃, 민둥인가목꽃, 월계화나무꽃, 제주도 등지에 자라는 돌가시나무꽃 등도 야생장미꽃에 속하는 식물들이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에는 서양장미가 들어오기전에 아래의 기록된 22가지 장미속 에 속하는 식물들이 자라고 있어서 야생장미가 저절로 자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장미(薔薇)'라고 이름을 붙인 것에 관해서 주(周: 기원전 1,000년)나라때 '장미(薔
)'라 한 것이 장미에 붙인 최초의 문자라고 알려주고 있다. 또한 이시진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영실장미석명장미(營實薔釋名薔薇)"라 하여 장미의 이름을 풀이하고 담장을 의지하고 자란다고 하여 '장미(薔)'라고 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장미는 야생의 찔레나무꽃이나 생열귀나무 또는 민등인가목 등의 들장미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장미속은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에 약 100종이 분포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 민둥인가목(인가목), 2, 월계화나무(월계수), 3, 생열귀나무(해당화, 뱀의 찔레, 까마귀밥나무), 4, 긴생열귀나무, 5, 흰생열귀나무, 6,  둥근인가목(동굴인가목), 7, 장미(서양장미), 8, 흑산가시나무, 9, 흰인가목, 10, 붉은인가목, 11, 용가시나무(덩굴찔레나무), 12, 왕용가시나무, 13, 털용가시나무, 14, 찔레나무(들장미), 15, 좀찔레, 16, 해당화, 17, 민해당화, 18, 개해당화, 19, 만첩해당화(많첩해당화), 20, 민생열귀나무, 21, 돌가시나무, 22, 홍돌가시나무, 23, 노란해당화 등이 자라고 있다.
>>고 기록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월계화의 변종으로 자월계[紫月季: Rosa chinensis. var. semperflorens], 단판월계[单瓣月季: Rosa chinensis. var. spontanea], 식용장미, 등본월계, 대화향수월계, 풍화월계, 미형월계, 수상월계, 장화월계, 관목월계, 지피월계 등이 자라고 있다.

월계화의 여러 가지 이름은
월계화[月季花
=yuè jì huā=위에후아, 사계화:四季花, 승춘:勝春: 백도백과(百度百科)], 월계[月季=yuè jì=위에, 화중황후:花中皇后, 경신장미:庚申蔷薇: 유기백과(维基百科)], 월월홍[月月红: 강소절강(江苏浙江)], 월월화[月月花, 장춘화:长春花: 길림장춘(吉林长春)], 식용장미[ 등본월계, 대화향수월계, 풍화월계, 미형월계, 수상월계, 장화월계, 관목월계, 지피월계: 중국의 월계화 품종별 분류법], 로사・키넨시스[ロサ・キネンシス: 일문명(日文名)], 월계화 장미, 사계 장미, 사계화 장미 등으로 부른다.

월계화의 상세 내력과 관련하여 <China.com 2015년 6월 15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뻬이찡의 꽃 월계화

중국이 원산지인 월계화는 베이징시 시화로 선정된 꽃이기도 하다. 장미과에 속하는 월계화는 장기간의 인공 재배와 품종 개량을 거쳐 지금은 1년동안 반복적으로 꽃이 핀다. 월계화는 중국에서 달마다 꽃이 핀다 하여 월월홍(月月紅) 이라고도 불리운다.

형태특징

"꽃중의 황후"로 불리우는 월계화는 장미과의 상록 관목이다. 높이는 1~2m로 가시가 드문드문 있고, 가지는 녹색이며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1∼2쌍의 작은 잎으로 된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2.5∼6cm, 너비가 1~3cm이다.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겉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을 띠며 어린 잎은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다. 턱잎은 가늘고 길며 아랫부분이 잎자루에 붙는다.

꽃은 4월부터 가을까지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피는데, 새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겹꽃도 있으며 향기가 있다. 꽃받침통은 타원 모양이며 털이 없고 꽃받침조각은 바소꼴이며 안과 가장자리에 털이 난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듯한 둥근 모양이고 밑동은 흰색이다. 수술은 노란색이고 암술은 우윳빛을 띤 흰색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둥글고 6월~11월에 붉게 익는다.

분포 지역과 주요 품종

월계화는 중국의 호북, 사천, 감숙 등 지역의 산지에 분포됐고 상해, 남경, 남양, 상주, 천진, 정주, 베이징 등 도시에서 많이 재배한다.

월계화는 식용장미, 등본월계, 대화향수월계, 풍화월계, 미형월계, 수상월계, 장화월계, 관목월계, 지피월계 등 품종이 있다.

월계화는 중국이 원산지다. 중국인들은 2000여년전 부터 월계화를 재배했다.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농씨때부터 월계화를 집에 옮겨 심었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으며 한나라 때는 궁중 화원에서 대량 재배했고 당나라 시기에는 더 널리 재배됐다. 중국 장강 유역은 월계화가 자라기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추었기에 옛날 월계화는 주로 장강 일대에 집중됐다.

<화회감상사전> 기재에 따르면 1789년에 중국의 주홍, 중국분, 향수월계 중국황색월계 등 4개 품종이 인도를 거쳐 유럽에 전해졌다. 당시 전쟁을 치르고 있던 영국과 프랑스는 중국의 월계화를 영국에서 프랑스로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해 휴전 협정 까지 체결했고 월계화는 영국 해군의 보호를 받으면서 프랑스 나폴레옹의 아내 조세핀에게 전해졌다고 한다. 그후 월계화는 전세계를 일주하고 200여년후 다시 중국에 돌아왔다.

유럽인들은 월계화를 현지 품종과 교잡시키고 개량종을 배육하기에 힘썼다. 유럽의 많은 나라에서 배육한 현대 월계화는 그 종류가 1만여종에 달하며 재배 수준이 중국 보다 훨씬 앞섰지만 모두 유럽의 장미와 중국의 월계화가 장기간 교잡해 나타난 개량종이다. 때문에 중국의 월계화는 세계 월계화의 원조로 불리운다.

문화

월계화는 중국 전통문화에서 약세지위에 처해있었다. 하지만 고고학자들이 새롭게 발견한데 따르면 월계화는 화하선민 북방계렬, 즉 전설속의 황제 부족의 토템 식물이었다고 한다. 중국 10대 유명한 꽃 중의 하나인 월계화는 "꽃중의 황후"라는 이름을 갖고 있으며 강인한 정신을 상징하며 꽃향기가 오래 남는 특징이 있다. 월계화는 중국에서 일찍 한나라 시기 부터 재배했고 당나라 때에 이르러서는 광범위 하게 재배됐으며 예로 부터 많은 문인들이 월계화를 찬양하는 시구를 남겼다.

당나라 시기 유명한 시인 백거이(白居易)는 "봄이 가고 늦게 피어나지만 정원을 독차지 했구나."라는 시구를 남겼고 송나라 시인 소동파(蘇東坡)는 "꽃이 끊임없이 지고 피며 봄이 가고 또 와도 상관없네. 모란꽃은 늦은 봄에 가장 귀하고 작약은 초여름에 가장 무성하지만 유독 이 꽃은 끝임없이 꽃을 피우고 사시장철 봄이로다."라는 시를 지었다. 또한 북송의 한기(韓琦)는 "모란꽃이 아름답지만 봄바람이 없으면 안된다네. 국화는 늦가을에만 피어난다 불만이로다. 그 무엇도 화사하고 아름다운 이 꽃에 비할수 없구나. 사시장철 꽃을 피우고 진붉은색이 지고 연붉은색이 또 피었구나. "라고 월계화의 아름다움을 찬양했다.

월계화 이야기

옛날 신농산 산기슭에 고씨 성의 일가가 살고 있었다. 집에는 18세의 성격이 온화하고 조용한 딸이 있었는데 이름이 옥란(玉蘭)이었다. 많은 양반집 자제와 왕손들이 혼인을 청했지만 옥란은 모두 거절했다. 옥란은 일년 사시절 심한 기침 때문에 각혈까지 하는 어머니를 모셨는데 좋다는 약은 다 써봤지만 효과가 없었다. 부득이한 상황에서 옥란은 어머니를 업고 이런 공문을 내붙였다.

"저희 어머니의 병을 고쳐준다면 은혜를 갚고저 그 분과 혼인을 하겠나이다."

공문을 보고 장춘(長春)이라 부르는 한 청년이 처방을 내놓았다. 옥란의 어머니는 청년이 지어준 약을 먹고 과연 건강을 회복했다. 옥란은 약속대로 장춘과 백년가약을 맺었다. 결혼하던 날 옥란은 남편에게 그 신기한 처방에 대해 물었다. 이에 장춘은 "월계로다. 기침을 치료하는데 좋은 약이라네. 이것은 조상께서 전해준 밀방인데 얼음설탕과 월계화를 함께 푹 고아서 마시면 기침을 멎게 하고 지혈하는데 신기한 효능이 있고 부인병에 좋다네. "라고 설명했다.

월계화는 높은 관상가치를 자랑하는 한편 각종 유독가스를 흡착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환경을 미화하고 보호하는데 좋은 꽃이다.
]

월계화
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64면 10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월계화(月季花)

기원: 장미과(薔薇科: Rosaceae)식물인 월계화(月季花: Rosa chinensis Jacq.)의 화(花)와 엽(葉)과 근(根)이다.

형태: 소관목(小灌木)이다. 소지(小枝)에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으나 때로는 없다.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이고 소엽(小葉)은 3∼7장으로 관난형(寬卵形) 혹은 난상장원형(卵狀長圓形)이고 잎의 가장자리에는 예거치형(銳鋸齒形)가 있으며 잎의 양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와 축에는 피침(皮針)과 단선모(短腺毛)가 나 있다. 꽃은 항상 여러 송이가 모여 나며 꽃자루도 짧은 선모(腺毛)가 성기게 나 있으며 꽃의 색깔은 홍색(紅色)이며 혹은 장미꽃색이고, 꽃받침잎은 난형(卵形)이고 우상분열(羽狀分裂)을 하며 가장자리에는 선모(腺毛)가 있다. 열매는 장미과(薔薇科)이며 모양은 난원형(卵圓形) 혹은 이형(梨形)이며, 열매 색깔은 홍색(紅色)이다.



분포: 중국 각지에서 보편적으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겨울철에 근(根)을 채취하고 여름과 가을에 반쯤 핀 꽃봉우리를 채취해서 그늘에 말리거나 혹은 약한 불에 쬐어 말린다.

성분: 휘발성 정유(揮發性 精油).

기미: 화(花):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근(根), 엽(葉):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화(花): 활혈조경(活血調經), 소종해독(消腫解毒) 근(根), 엽(葉): 활혈소종(活血消腫)

주치: 화(花): 월경부족(月經不足), 통경(痛經), 혈어종통(血瘀腫痛), 옹저종독(癰疽腫毒), 질타손상(跌打損傷). 근(根): 월경부조(月經不調), 대하(帶下). 엽(葉): 혈어종통(血瘀腫痛), 나력(瘰癧).

용량: 화(花): 3∼6g, 근(根): 10∼5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상권, 973호.]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월계화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들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관자장미 무엇인가?
  2. 금앵자 무엇인가?
  3. 낙악장미 무엇인가?
  4. 노란해당화1(황자매) 무엇인가?
  5. 노란해당화2(단판황자매) 무엇인가?
  6. 다자미 무엇인가?
  7. 대엽장미(소자대엽장미) 무엇인가?
  8. 덩굴장미(십조매) 무엇인가?
  9. 독용장미 무엇인가?
  10. 돌가시(반들가시=광엽장미) 무엇인가?
  11. 둥근인가목(밀자장미) 무엇인가?
  12. 로즈힙(장미 열매) 무엇인가?
  13. 매괴 무엇인가?
  14. 목향화 무엇인가?
  15. 미장미 무엇인가?
  16. 민둥인가목(자장미) 무엇인가?
  17. 붉은인가목 무엇인가?
  18. 생열귀나무(자매과) 무엇인가?
  19. 서강장미 무엇인가?
  20. 소과장미 무엇인가?
  21. 소화장미 무엇인가?
  22. 아미장미(자석류) 무엇인가?
  23. 용가시나무 무엇인가?
  24. 월계화 무엇인가?
  25. 자리 무엇인가?
  26. 장미 무엇인가?
  27. 진령장미 무엇인가?
  28. 찔레꽃(다화장미) 무엇인가?
  29. 편자장미 무엇인가?
  30. 해당화 무엇인가?
  31. 황장미 무엇인가?
  32. 흰인가목(장백장미)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