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느릅나무(무이) 무엇인가?

느릅나무보다 잎이 넓고 열매가 큰 왕느릅나무

 

 

 

 

 

 

 

 

 

 

 

 

[왕느릅나무의 잎, 꽃, 푸른열매, 익은열매, 겨울눈, 꽃눈과 겨울눈, 줄기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구충 작용, 항진균 작용, 기침멎이작용, 수렴작용, 항염증작용, 항균작용, 약한 설사작용, 장내 기생충의 구충제, 소화불량 치료제,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데, 부종을 내리는데, 대변을 통하게 하는데, 위장의 열을 없애는데, 종양, 위암, 위궤양, 방광염, 요도염, 마른기침, 기관지염, 어린이 회충증, 가려우면서 잘 낫지 않는 어린이의 부스럼, 적체를 제거하는데, 충적 복통, 어린아이가 영양 장애로 설사를 하는 병증, 비위에 충이 있어서 식후에 얼굴색이 창백해지며 아픈 증상, 성인이나 소아가 회충 때문에 심한 통증을 느끼거나 청황녹색의 물이나 침을 토하는 증상 혹은 충을 토하며 주기적으로 발작하는 증상, 만성 비위기설, 구리가 낫지 않고 기생충이 있으며 탈항을 겸한 증상, 소아가 충간으로 위가 냉해지면서 충이 위로 올라오고 증세가 위중하여 전간과 비슷한 증상, 하혈 결음, 충치통, 제적냉기, 냉리, 옴, 악성 종기, 장풍, 치루, 악창, 개선, 황달, 부종, 소변불리, 변비, 해소, 옹종, 단독, 유선염을 다스리는 왕느릅나무

왕느릅나무는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이다.

왕느릅나무의 학명은 <Ulmus macrocarpa Hance>이다. 수고 10m 에 이르며 수피는 검은빛을 띤 회색으로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작은가지는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털이 덮이고 코르크질의 날개가 있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좁고 양면 모두 만져보면 거친 느낌이 난다. 8~16쌍의 측맥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 털이 있다. 4월에 묵은가지의 잎겨드랑이에 양성화의 꽃이 5~9개씩 취산화서로 달린다. 화피는 녹색으로 4~5갈래로 갈라지고 4~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시과인 열매는 표면에 선모가 덮이고 5~6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산기슭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국외로는 중국, 러시아,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왕느릅나무 및 열매를 발효 시켜 가공한것의 여러 가지 이름은 무이[蕪荑=yí=, 전당::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무이[無夷, 고유:姑楡: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무이인[蕪荑仁: 천금방(千金方)], 산유자[山楡子: 천금, 식치(千金, 食治)], 산유인[山楡仁: 본초습유(本草拾遺)], 백무이[白蕪: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대과유호[大果楡糊: 약재학(藥材學)], 무고[無姑: 이아(爾雅)], 산분유[山楡: 설문(說文)], 산유[山楡: 광아(廣雅)], 병유[楡, 황유:黃楡, 편유:扁楡, 모유:毛楡, 유유:柳楡: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쵸우센니레[チョウセンニレ: 일문명(日文名)], 느릅재기나무, 왕느릅나무, 왕느릅, 느릅나무 등으로 부른다.

왕느릅나무 열매를 메주로 가공하여 만든 것의 다른 이름은
무이장[
蕪荑醬: 명의별록(名醫別錄)] 이라고 부른다.

[채취]


<뿌리 껍질>


1, <동의학사전>: "
이른봄과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은 다음 겉껍질을 버리고 속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2, <약초의 성분과 이용>: "
6월경에 뿌리껍질을 벗겨 겉껍질을 다듬고 햇볕에 말린다."

<열매(무이, 무이인)>


1, <
동의학사전>: "이른 여름 열매가 노랗게 익어 저절로 떨어지기 전에 털어 모아서 며칠 동안 쌓아두어 발효시킨 다음 햇볕에 말린다"

2, <약초의 성분과 이용>: "열매를 따서 꽃, 잎을 섞어서 풀처럼 만들어두면 발효된다. 이것을 네모난 덩어리로 말린다.
"

[제제(製劑)]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중약대사전>: "여름에 왕느릅나무의 열매가 성숙되면 채취하여 볕에 말린 후 문질러서 날개를 제거하고 종자를 얻는다. 얻은 종자를 1회에 55근씩 취하여 물에 담가 발효시킨 다음 가유수피면(家楡樹皮面) 10근, 홍토(紅土) 30근, 국화말(菊花末) 5근을 넣고 또 더운물을 적당히 넣어 구로 섞어서 풀 형태가 되게 한다. 이것을 널판자 위에 평균 4푼의 두께로 펴 놓는다. 사방 2치 정도가 되게 잘라서 볕에 말리면 약재가 된다. 또 음력 4~5월에 열매를 뜯어서 종자를 얻어도 된다. 종자 60%, 이엽패장(異葉敗醬) 20%, 가유수피(家楡樹皮) 10%, 조심토(
竈心土: 아궁이 밑에서 오랫동안 가열처리된 황토인 복룡간) 10%의 비례로 혼합하여 편평한 사각형을 만들어서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중약대사전>: "사각형의 덩어리 모양이고 표면은 황갈색이며 작은 구멍들이 많이 있다. 가볍고 취약하며 단면은 황흑색이고 쉽게 비늘 조각 모양으로 박리된다. 특유한 향기가 있으며 맛은 약간 시고 떫다.

주산지는 중국의 산서(山西), 하북(河北) 등지이다. 동북(東北) 각지에서도 생산된다."

[약리 작용]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중약대사전>: "
1, 구충 작용: 무이(
蕪荑)의 알코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돼지 회충, 지렁이, 메뚜기 등을 죽이는 효력이 모두 강하다. Ether로 추출한 정유를 토끼에게 1g/kg을 경구 투여했으나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폐흡충을 감염시킨 고양이에게 10%의 무이(蕪荑) 탕제 24mg/kg을 경구 투여했지만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한 마리의 고양이는 1치료 기간 후 5일 만에 죽었다. 이것은 내복량이 너무 많아 중독된 것이라고 추정된다.

2, 항진균 작용:
무이(
蕪荑)의 침액(1:2)은 in vitro에서 오즈안 소포자균 등 12종의 피부 진균에 대하여 정도는 다르지만 억제 작용을 한다."

[포제(
炮製)]

<왕느릅나무 열매를 메주 등과 함께 가공하여 만든 장>


<본초강목>: "제조법은 유인장(楡仁醬)의 제조법과 같다. 무이인(
蕪荑仁)을 물에 1복시(伏時) 담갔다가 주머니에 넣어 주물러서 점액을 제거한 후 요즙(蓼汁)을 혼합하여 볕에 말린다. 이상의 방법을 7회 반복하고 발효시킨 보리 누룩과 함께 된장을 반드는 것처럼 소금을 뿌려 볕에 말린다. 무이인(蕪荑仁) 1되에 누룩 4근, 소금 1근, 물 5근을 넣는다."

[성미]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3, <약성론>: "맛은 쓰고 맵다."

4, <해약본초>: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왕느릅나무 열매를 메주 등과 함께 가공하여 만든 장>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2, <당본초>: "맛이 맵다."

3, <본초강목>: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1, <중약대사전>: "비경(脾經)과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폐경(肺經)과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3, <옥추약해>: "궐음간경(厥陰肝經)에 들어간다."

4, <요약분제>: "비경(脾經)과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5, <본초재신>: "심경(心經),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1, <중약대사전>: "기생충을 구제하고 적체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충적(蟲積) 복통, 어린아이가 영양 장애로 설사를 하는 병증, 냉리, 옴, 악성 종기를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오내사기(五內邪氣)를 다스리고 피부 골절 가운데의 음온(淫溫), 독이 퍼지는 것을 제거하며 삼충(三蟲)을 제거하고 식체(食滯)를 제거한다."

3, <명의별록>: "촌충을 구제한다."

4, <약성론>: "적냉기(積冷氣), 심복의 징통(
癥痛)을 다스리고 기부절(肌膚絶) 중풍으로 충(蟲)이 기어가는 듯한 증세를 제거한다."

5, <맹선>: "열창을 치료하려면 짓찧어서 돼지기름에 섞어 바른다. 또한 정제한 벌꿀에 섞은 것은 습선을 치료한다. 사우락(沙牛酪)에 섞은 것은 모든 창(瘡)을 치료한다. 오래 먹으면 오치(五痔)를 치료한다."

6, <식료본초>: "복중기통(腹中氣痛)을 제거한다. 또 마락(馬
)에 섞은 것은 선(癬)을 치료할 수 있다. 체내의 악충의 독을 제거한다."

7, <해약본초>: "냉리의 심기(心氣)를 치료하며 기생충을 구제하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또 자궁 풍허(風虛), 어린아이가 영양 장애로 설사하는 증세를 치료한다."

8, <일화자제가본초>: "장풍, 치루, 악창, 개선을 치료한다."

9, <의림찬요>: "폐기를 사하하고 풍사(風邪)를 몰아내며 습사(濕邪)를 없애고 비(脾)를 조(燥)하게 하며 한식(寒食)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황달을 치료한다. 기생충을 구제하고 회충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10, <중국약식도감>: "담을 제거하고 이뇨하는 효능이 있다."

<왕느릅나무 열매를 메주 등과 함께 가공하여 만든 장>


1, <중약대사전>: "기생충을 구제하고 창선(瘡癬)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2, <명의별록>: "기생충을 구제한다."

3, <당본초>: "삼충(三蟲)을 구제한다."

4, <식료본초>: "무이장(
蕪荑醬)의 효력은 유인장(楡仁醬)보다 더 강하다(각종 벌레를 죽이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심복 악기를 제거함을 가리킨다)."

5, <본초습유>: "오계병(五鷄病)을 치료하고 창선(瘡癬)을 제거한다."

[용법과 용량]


<뿌리 껍질, 열매>


<동의학사전>: "뿌리 껍질
하루 12~30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바른다. 열매 하루 5~9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내어 뿌린다. 비위가 허약한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써야 한다."

<껍질 분말, 열매, 껍질>


<약초의 성분과 이용>: "
느릅나무껍질가루: 방광염, 요도염에 한번에 3~5그램씩 하루 3번 먹는다. 느릅나무열매 달임약: 물 200밀리리터에 2~8그램을 넣고 달여서 벌레떼기약으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느릅나무껍질 달임약: 물 200밀리리터에 유피 20그램을 넣고 달여서 마른기침, 기관지염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중약대사전>: "내복: 1.5~3돈을 물로 달이거나 환제, 산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1, <해약본초>: "가자(訶子), 두구(豆
)을 배합하면 좋다."

2, <본초종신>: "비위(脾胃)가 허(虛)한 경우에는 적(積)이 있어도 쓰면 안 된다."

3, <득배본초>: "비(脾)와 폐(肺)에 조열이 있는 환자는 금기이다."

<왕느릅나무 열매를 메주 등과 함께 가공하여 만든 장>


<식료본초>: "많이 먹으면 머리카락이 빠진다."

왕느릅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64면 5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왕느릅나무(
Ulmus macrocarpa Hance) [느릅나무과]

갈잎큰키나무. 높이 8m 가량. 꽃은 5월에 핀다. 열매는 시과로 달걀 모양이고 길이 10~15mm이며 전체에 털이 있다. 종자는 날개의 밑부분에 몰려 있다.

분포/
충북(단양), 경기(화천) 이북 산기슭에서 자라며, 중국, 만주, 일본에 분포한다.

약효/
꽃, 열매, 잎을 함께 발효시킨 것을 무이(蕪荑)라고 하며, 장내 기생충의 구충제로, 소화불량 치료제로 사용한다.

성분/
구충의 효능 물질은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이다.

약리 작용/
무이를 개에게 투여한 결과 회충이 구제되었고, 종자의 물 추출물은 백선균 및 피부진균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다.

사용법/
무이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왕느릅나무 뿌리인 유근피, 열매인 무이에 대하여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유근피(楡根皮) //느릅나무뿌리껍질, 영유(零楡), 유피(楡皮), 유백피(楡白皮)// [본초]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의 뿌리 껍질을 말린 것이다. 느릅나무는 우리나라 북부와 중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이른봄과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은 다음 겉껍질을 버리고 속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 위경, 폐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부종을 내리며 대변을 통하게 하고 위장의 열을 없앤다. 부종, 소변불리, 변비, 해소, 옹종, 단독, 유선염 등에 쓴다. 하루 12~30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바른다.

무이(蕪荑) //느릅나무열매, 무이인(蕪荑仁), 무고(無姑), 전당(蓎), 의장(藙薔), 고유(姑楡)// [본초]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느릅나무는 우리 나라 북부와 중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이른 여름 열매가 노랗게 익어 저절로 떨어지기 전에 털어 모아서 며칠 동안 쌓아두어 발효시킨 다음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비경, 위경, 폐경에 작용한다. 살충하고 풍습을 없앤다. 회충증, 요충증, 촌백충증, 장출혈, 치질, 악창, 옴 등에 쓴다. 하루 5~9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내어 뿌린다. 비위가 허약한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써야 한다.
]

왕느릅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

다른이름: 느릅재기나무

식물: 높이 약 10미터에 이르는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넓은 타원형이고 톱니가 있다. 봄에 연한 풀색의 작은 꽃이 모여 핀다. 북부와 중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뿌리껍질(유근피, 유백피): 6월경에 뿌리껍질을 벗겨 겉껍질을 다듬고 햇볕에 말린다.
열매(무이, 무이인): 열매를 따서 꽃, 잎을 섞어서 풀처럼 만들어두면 발효된다. 이것을 네모난 덩어리로 말린다.

성분: 껍질에 플라보노이드, 사포닌(용혈지수 1:1,900), 타닌질(3퍼센트), 많은 양의 점액질, 잎에 플라보노이드, 씨에 점액질, 쓴맛물질, 타닌질이 있다.

작용: 뿌리껍질은 작은 창자와 방광평활근의 운동을 강화시키며 기침멎이작용, 수렴작용, 항염증작용을 한다. 열매는 구충작용, 항균작용, 약한 설사작용을 한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껍질을 달여 위아픔, 허리아픔에 먹는다. 염증약으로 고약을 만들어 곪은 상처(젖앓이)에 바른다. 열매(무이)는 회충증, 촌충증, 요충증, 소화가 안 될 때 벌레떼기약, 약한 설사약, 소화약으로 쓰며 피부병에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

민간에서는 열매와 어린가지를 종양 치료에 쓴다. 위암, 위궤양에 느릅나무껍질 30그램에 물 300밀리리터를 넣고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또한 느릅나무껍질과 옥수수수염 각각 30그램에 물 300밀리리터를 넣고 달여서 방광염에 쓰면 좋다.

느릅나무껍질가루: 방광염, 요도염에 한번에 3~5그램씩 하루 3번 먹는다.
느릅나무열매 달임약: 물 200밀리리터에 2~8그램을 넣고 달여서 벌레떼기약으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느릅나무껍질 달임약: 물 200밀리리터에 유피 20그램을 넣고 달여서 마른기침, 기관지염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무이인산: 느릅나무열매 0.3그램, 짚신나물뿌리줄기(낭아) 5그램, 가위톱뿌리 0.1그램을 어린이 회충증에 한번에 0.5그램씩 먹는다.
무이산: 느릅나무열매 3그램, 두루미냉이씨와 백반 각각 10그램, 오수유나무열매 5그램을 가루내어 기름으로 반죽한 것이다. 가려우면서 잘 낫지 않는 어린이의 부스럼에 하루 2번 바른다.]

왕느릅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1, 비위(脾胃)에 충(蟲) 있어서 식후에 얼굴색이 창백해지며 아픈 증상

무이인(
蕪荑仁) 2냥에 밀가루를 발라서 누렇게 개어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2, 성인이나 소아가 회충 때문에 심한 통증을 느끼거나 청황녹색의 물이나 침을 토하는 증상 혹은 충(蟲)을 토하며 주기적으로 발작하는 증상

무이(
蕪荑), 뇌환(雷丸) 각 반 냥, 건칠(乾漆: 부수어서 연기가 없어질 때까지 볶은 것) 1냥을 함께 곱게 가루내어 1회에 3돈씩 온수(溫水) 7/10 컵을 넣어서 복용한다. 수시로 복용해도 좋지만 중증인 경우에는 3회를 초과하면 안 된다. 소아는 1회에 반 돈씩 복용한다. [기효양방(奇效良方), 무이산(蕪荑散)]

3, 만성 비위기설(脾胃氣泄)

무이(
蕪荑) 5냥을 짓찧어 가루낸 후 밥으로 환(丸)을 만들어 매일 점심 전 공복에 묵은 쌀의 미음으로 30~40알씩 복용한다. [통전신방(統傳信方)]

4, 구리(久痢)가 낫지 않고 기생충이 있으며 탈항을 겸한 증상

무이(
蕪荑: 약간 볶은 것) 2냥, 황련(黃連: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약간 볶은 것) 1냥, 염사담(蛇膽: 비단뱀 쓸개) 반 냥을 함께 짓삫어 체로 쳐서 받은 가루를 정제된 꿀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에 30알씩 1일 2회 행인탕(杏仁湯: 살구씨 달인물)으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5, 소아가 충간(蟲癎)으로 위(胃)가 냉(冷)해지면서 충(蟲)이 위로 올라오고 증세가 위중하여 전간(癲癎)과 비슷한 증상

백무이(白
蕪荑), 건칠(乾漆: 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같은 양을 가루낸 후 미음에 2.5푼~1돈씩 넣어 복용한다. [의준(醫準)]

6, 하혈 결음(結陰)

무이(
蕪荑) 1냥을 짓찧어 종이에 싼다. 기름이 종이에 스며들면 다시 가루내어 웅저담(雄猪膽: 숫돼지쓸개)으로 빚어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에 9알씩 1일 5~6회 감초달인 물로 먹는다. [보제방(普濟方), 무이환(蕪荑丸)]

7, 충치통

무이인(
蕪荑仁)을 충치 구멍이나 벌어진 곳에 넣는다.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8, 제적냉기(諸積冷氣)

무이(
蕪荑: 볶은 것) 1냥, 대회향(大茴香), 목향(木香) 각 5돈을 함께 가루내어 홍국(紅麴)으로 풀을 만들어 벽오동씨 그키의 환을 만든다. 매일 아침 3돈씩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느릅나무-왕느릅나무-비술나무, 사진 출처: 다음 블로그, 삼척의 숲]


[왕느릅나무 열매가 열린 모습, 사진 출처: 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1, <뇌공포제약성해(
雷公炮炙製藥性解)>: "무이(蕪荑)의 매운맛은 폐(肺)에 좋고 따뜻한 것은 비(脾)에 좋기 때문에 이 2가지가 모두 효능을 가지고 있다. 풍한습비(風寒濕痺), 대장냉활(大腸冷滑)에는 이것이 중요한 약이다. 기식(氣食)은 모두 한(寒)에 의하여 체(滯)로 되고 제충(諸蟲)은 모두 습(濕)에 의해 생기는데 무이(蕪荑)를 복용하여 이것을 따뜻하고 조(燥)하게 하면 낫지 않는 증(證)이 없다."

2, <신농본초경소(
神農本草經疏)>: "무이(蕪荑)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고 했다. 견권(甄權)은 고(고)를 가하고 이순(李珣)은 온(溫)을 가하였는데 그 효능을 상세히 따지면 당연히 고신온평(苦辛溫平)한 약이라고 해야 한다. 신온(辛溫)이 아니면 오장, 피부, 골절 중의 사독기(邪毒氣)를 제거할 수 없고 고평(苦平)이 아니면 삼충(三蟲)을 제거하고 식적(食積)을 없애며 촌백충을 제거하지 못하고 장중(臟中)이 막히는 천식을 치료할 수 없다. 그 주치를 고찰하면 풍음사기(風淫邪氣)로 생기는 해를 제거할 수 있으며 바로 장위에 진입하여 살제충(殺諸蟲), 소식적(消食積)하는 효능이 있다. 때문에 어린아이가 영양 장애로 설사를 하는 병증에 반드시 써야 할 약이다."

3, <본초휘언(本草彙言)>:
"무이(
蕪荑)는 살삼충(殺三蟲), 축오감(逐五疳)하고 소아의 모든 병을 치료하는 약이다. 옛날의 여러 책에는 제적냉기(諸積冷氣), 장위중벽(腸胃蟲癖), 식징혈비(食癥血痞) 및 피부 골절 중의 풍독제질(風毒諸疾)을 치료한다고 쓰여 있는데 이것은 이 약이 악취가 심하고 잘 뻗어나가는 성질 때문에 체증으로 생긴 식적(食積), 충혈(蟲혈) 등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대개 제질이수(諸疾羸瘦), 결기(結氣)발열, 감노감창(疳勞疳脹), 감리감적(疳痢疳積), 식욕부진에는 모두 이것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병이 치료되면 복용을 중지한다. 오래 복용하거나 다량 복용하면 위기(胃氣)를 상하므로 의사는 반드시 적당하게 조절해야 한다."

4, <본초봉원(
本草逢源)>: "무이(蕪荑)의 매운맛은 잘 흩어지게 하고 오내(五內) 피부 골절의 습열사(濕熱邪)의 병을 제거한다. 요즈음에 와서는 이것이 감(疳)을 제거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며 장풍 치루, 악창, 옴을 지료하는 효능이 있다는 것만 알고 있어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의 취지와는 틀리게 되었다. <천금방(千金方)>에 부인 경대붕림(經帶崩淋)의 병에 택란(澤蘭), 후박(厚朴), 고본(藁本), 백지(白芷), 세신(細辛), 방풍(防風), 백인(柏仁), 석곡(石斛) 등과 함께 써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그 자장(子臟: 종자속 감추어진 것) 중의 풍열(風熱)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능을 이용한 것이다."

[비고(備考)]


<왕느릅나무 열매의 가공품>

<본초연의(
本草衍義)>: "무이(蕪荑)에는 큰 것과 작은 것 2종류가 있다. 소무이(小蕪荑)가 바로 유협(楡莢)이다. 인(仁)을 주물러 빼서 발효시켜 된장 모양으로 만드는데 맛이 매우 맵다. 약으로 쓰는 것은 대무이(大蕪荑)로서 다른 종류이다. 그러나 소무이(小蕪荑)는 발효 시킬 때 대개 다른 것을 섞어 쓰므로 신중하게 고루지 않으면 안 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왕느릅나무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느릅나무(낭유) 무엇인가?
  2. 비술나무(유백) 무엇인가?
  3. 시무나무(자유) 무엇인가?
  4. 왕느릅나무(무이) 무엇인가?
  5. 팽나무(박수) 무엇인가?
  6. 푸조나무(조엽수)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