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무릎(우슬초) 무엇인가?

줄기 마디가 소무릎처럼 튀어나온 우슬초

 

 

 

 

 

 

 

 

 

 

 

 

 

 

 

 

 

 

[<<쇠무릎 새순, 자라는 잎과 줄기, 잎 앞면, 잎 뒷면, 어린 줄기, 부풀어 오르지 않은 마디, 소의 무릎처럼 마디가 튀어나온 생김새, 튀어나온 마디의 겨울철 마른 생김새, 줄기에 붙은 마른 열매, 열매 확대, 종자 확대, 뿌리, 뿌리 확대의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자궁수축작용, 자궁경관확장작용, 곤충변태호르몬은 강한 단백질촉진작용, 혈당강하작용, 간기능개선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이뇨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억균작용, 진통작용, 심장혈관에 대한 작용, 장관에 대한 작용, 산어소종, 보간신, 강근골, 요슬골통, 지구련, 산후어혈복통, 산어혈, 소옹종, 임병, 요혈, 무월경, 난산, 포의불하, 요슬산통, 사지구련, 위비, 해표청열, 이습, 외감발열, 인후종통, 번갈, 풍습성관절통, 아후, 이질, 어골경후[목구멍에 물고기 가시가 박혔을 때], 신염수종, 백탁, 정혈약, 오줌내기약, 통경약, 아픔멎이약, 혈액순환촉진, 관절염의 예방 및 억제 효과, 발이 마비되는 증상과 근육경련, 월경불순, 나쁜피, 중풍, 각기, 물고임, 다리의 풍습성 관절염, 요도결석, 혈뇨[피오줌], 편도염, 인후염, 여러 가지 원인의 자궁출혈, 월경과다, 해산때의 약한 진통, 칼에 베인 상처, 요실금, 자궁경관확장의 치료[임상보고], 난산, 산후 어혈에 의한 부종,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풍습성 비통, 요슬통, 만성 학질, 안구에 주관이 생긴 경우, 독사에 물린 상처, 소갈증, 만성학질, 풍습에 의한 마비, 요통으로 무기력한 증상, 학슬풍, 입안 및 혀에 창이 나고 궤란하는 증상, 소변불통, 음경이 몹시 아픈 증상, 무월경, 난산, 산후복통, 산후자궁무력증, 부종, 임증, 부스럼, 질타손상[타박상]을 다스리는 쇠무릎

쇠무릎은 비름과 쇠무릎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쇠무릎의 학명은 <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이다. 비름과는 전세게에 64속 800종이 있으며 쇠무릎속은 전세계에 약 2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쇠무릎>과 길가나 빈터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털쇠무릎(Achyranthes bidentata var. tomentosa (Honda) H. Hara)> 등이 자라고 있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네모진 줄기는 50~100cm 높이로 곧게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에 마주나는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약간 있다. 8~9월에 줄기와 가지 끝의 수상꽃차례에 연녹색 꽃이 모여 달린다. 열매에 뾰족한 털이 있어서 사람의 옷이나 짐승의 털에 잘 달라붙는다.

마디가 두드러져서 소의 무릎처럼 튀어나와 보인다고 하여 '쇠무릎'이라고 부른다. 봄에 돋는 어린순을 나물로 해 먹으면 맛이 좋다. 개화기는 8~9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 참조: 중국에서 우슬로 쓰는 5가지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우슬[牛膝: 비름과 식물 Achyranthes bidentata Bl.]

중국의 하남(河南), 산서(山西), 산동(山東), 강소(江蘇), 안휘(安徽), 절강(浙江), 강서(江西), 호남(湖南), 호북(湖北), 사천(四川), 운남(雲南), 귀주(貴州) 등지에 분포한다.
재배할 수 있고 산과 들의 길가에서 야생하는 것도 있다.

2, 천우슬[川牛膝: 비름과 식물 Cyathula officinalis Kuan.]

중국의 사천(四川), 운남(雲南), 귀주(貴州) 등지에 분포한다.
숲 주변과 풀숲에 야생하거나 재배한다.

천우슬 제품에는 상품으로 2가지를 모두 천우슬로 사용되기도 한다.

1) 천우슬(川牛膝), 첨우슬(甛牛膝)
천우슬을 말린 뿌리이다. 뿌리는 원주상으로서 곧거나 약간 구부러져 있다. 뿌리의 두부는 부풀어 있고 하부는 점점 가늘어지거나 몇 개의 가는 측근을 가지고 있다. 길이는 약 30~70cm이고 지름은 약 1~2cm이다. 전체에 걸쳐 세로주름이 있고 또 측근을 없앤 흔적이 있다. 표면은 황갈색 혹은 회흑색이다. 질은 단단하고 탄력성이 있어 꺾기 힘들다. 절단면은 노르스름한 회색 내지 짙은 갈색이고 색깔이 옅은 작은 점이 많이 보이고 또 기름 성질의 물질을 분비하여 3~8층의 고리를 짓는데 중심의 한 개가 비교적 크다. 맛은 달거나 약간 쓰며 냄새는 없다.

주로 중국 사천(四川)의 아산(雅山), 낙산(樂山), 서창(西昌)에서 자란다.

2) 마우슬(麻牛膝)
식물 두화은초(頭花
草)를 말린 뿌리이다. 성상은 천우슬과 비슷하지만 뿌리가 비교적 짧고 긴 원추형 혹은 원주상의 송곳 모양을 나타내며 양끝의 굵기는 차이가 크고 보통 구부러져 있다. 질은 부드럽고 쉽게 꺾어진다. 그러나 비교적 오래된 뿌리는 꺾기 힘들다. 맛은 달지만 나중에 매우 쓰거나 혀에 마비감이 오게 된다.

주로 중국의 사천(四川) 양산이족자치주(
族自治州) 및 운남(雲南)에서 난다.

3, 두화은초[頭花
草: 비름과 식물 Cyathula capitata (Wall.) Moq.]
중국의 사천(四川), 운남(雲南), 서장(西藏) 등지에 분포한다.
야생하거나 재배한다.

4,
산우슬[山牛膝, 유엽우슬:柳葉牛膝: Achyranthes longifolia (Makino) Makino]
중국의 화동(華東), 화남(華南), 서남(西南)에 분포한다.
산비탈 숲속 또는 잡초 숲속에서 자란다.

5,
도구초[倒扣草, 토우슬:土牛膝: Achyranthes aspera L.]
중국의 화남(華南)에 분포한다.
광야 또는 마을 주변에서 자란다.

쇠무릎 및 우슬의 여러 가지 이름은
우슬[牛膝=
niú xī=니우, 백배:百倍: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회우슬[懷牛膝: 본초편설(本草便說)], 계교골[鷄膠骨: 민동본초(東本草)], 웅토우슬[雄土牛膝: 약감(藥鑑), 재배가 아닌 실한 야생 우슬을 말함], 이노코즈치[イノコヅチ=猪子槌: 일문명(日文名)], 마청초, 쇠무릎풀, 쇄무릅풀, 쇠무릅풀, 우슬초, 털쇠무릎, 산우슬, 산우슬초, 쇠무릎팍, 쇠무릎, 쇠무릅지기 등으로 부른다.

쇠무릎 및 우슬의 줄기와 잎의 다른 이름은
우슬경엽[牛膝莖葉: 본초도경(本草圖經)]이라고 한다.

[채취]


<뿌리>


<중약대사전>: "
우슬: 겨울에 경엽이 시들었을 때에는 뿌리를 파내어 수염 뿌리와 흙은 깨끗이 제거하고 주름살이 잡힐 때까지 볕에 말린 다음 유황(硫黃)으로 몇 번 쏘이고 끝을 잘라 가지런히 해서 다시 볕에 말린다.

천우슬: 천우슬의 뿌리는 가을과 겨울에 캘 수 있다. 재배한 것은 3~4년생이 좋다. 뿌리를 캐면 흙을 깨끗이 제거하고 잔존한 지상경과 수염뿌리를 제거한다. 불에 쬐이거나 햇볕에 말려 반건하면 수분을 낸 다음 또 또 충분히 햇볕에 말린다. 야생한 것은 그늘에서 말리거나 햇볕에 말린다."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7월에 채취한다."

[성분]


<뿌리>

<중약대사전>: "
우슬: 뿌리에 triterpenoid saponin이 들어 있는데 가수분해되면 oleanolic acid가 생성된다. 칼륨염도 많이 들어 있다. 종자에는 뿌리와 마찬가지로 triterpenoid saponin이 들어 있고 또 ecdysterone과 inokosterone이 들어 있다.

천우슬:
뿌리는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뿌리에는 또 여러 가지 ecdysterone이 분리되어 있다. 즉 cyasterone, capitasterone, amarasterone A·B, sengosterone, precyasterone, isocyasterone이다. 이 외에 또 C21 스테로이드인 poststerone도 분리되어 있다."

[약리작용]


<뿌리>

<우슬>


<중약대사전>: "
1, 자궁에 대한 작용: 자궁근에 대한 우슬의 작용은 동물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고 또 임신 여부에 의해서도 다르다. 유동 엑스와 탕제는 적출한 토끼의 자궁(임신 여부를 불문)에 대하여 수축 작용을 일으킨다. 마우스의 수축력이 약한 적출 자궁에 대하여서는 수축력을 강화시킨다. 임신하지 않은 고양이의 자궁에 대하여서는 극히 강한 수축 작용을 일으킨다. guinea pig의 자궁(임신 여부를 불문)에 대하여 많은 경우에 이완 작용을 나타낸다. 개의 자궁에서 작용은 일정하지 않다. guinea pig의 자궁을 수축시키는 유효 성분은 사포닌이라는 설도 있다.

2, 장관(腸管)에 대한 작용:
탕제는 마우스의 적출 장관(腸管)에 대하여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우슬은 모르모트의 장관에 대하여 수축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마취한 개, 토끼 및 정상적인 토끼에 정맥 주사하면 위의 운동에 짧은 흥분 뒤에 억제 작용을 한다.

3, 심장 혈관계에 대한 작용:
마취한 개, 고양이, 토끼에게 탕제 또는 알코올 추출액을 정맥 주사하면 모두 짧은 시간의 강압 작용이 나타나며 혈압이 내려갈 때에 호흡 흥분이 동반되며 급속적인 내성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강압작용은 주로 히스타민의 방출과 관계된다. 강압 작용 외에 심장의 억제, 말초 혈관의 확장 등에서도 일정한 작용을 한다.

4, 진통 작용:
마우스에게 potassium antimonytartrate나 초산을 복강 주사하여 전환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에 의하여 탕제를 복강 주사할 때에는 진통 작용이 있지만 그 작용이 모르핀에 비할 수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5, 기타작용:
마취한 토끼와 개에게 탕제 또는 알코올 추출액을 정맥 주사하면 모두 경한 이뇨 작용을 일으킨다. strychnine, cardiazol, 카페인에 의한 마우스의 강직성경련에 대하여 전제 24g/kg을 복강 주사하니 길항 작용이 일어나지 않았다."

[법제]


<뿌리>

<우슬>


1, <중약대사전>: "우슬(牛膝): 불순물을 버리고 깨끗이 씻어서 연하게 될 때까지 물을 스며들게 하고 노두를 제거한 후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주우슬(酒牛膝): 큰 우슬 토막들에 황주(黃酒)를 고루 분무해서 덮어 놓고 스며들게 한 다음 가마에 넣고 볶아서 꺼내어 식힌다. 우슬 토막 100근당 황주(黃酒) 10근을 쓴다."

2, <뇌공포자론>: "노두와 먼지흙을 깨끗이 제거하고 황정(黃精)의 자연즙에 하룻밤 재운 다음 꺼내어 잘게 썰고 약한 불에 쐬어 말려 두었다 쓴다."

3, <본초강목>: "우슬은 지금 술에 담가서만 쓰고 있는데 하행시켜야 할 경우에는 생것 그대로 쓰고 자양하려면 불에 말리거나 술에 담가 쪄서 쓰는 것이 좋다."

[맛과 성질]


<뿌리>

<우슬>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쓰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시다."

3, <명의별록>: "맛은 시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4, <본초정>: "맛은 쓰고 달며 기는 약간 서늘하다."

<천우슬>


<사천중약지>: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뿌리>

<우슬>


1, <중약대사전>: "간(肝), 신(腎)의 2경에 작용한다."

2, <본초강목>: "족궐음(足厥陰), 소음경(少陰經)에 들어간다."

3, <본초휘언>: "족삼음경(足三陰經)에 들어간다."

<천우슬>

<사천중약지>: "간(肝), 신(腎)의 2경에 들어 간다."

[약효와 주치]


<뿌리>

<우슬>


1, <중약대사전>: "생것 그대로 쓰면 어혈을 가시고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임병, 혈뇨, 월경 중지, 징가(
癥瘕), 난산, 포의불하(胞依不下), 산후의 어혈에 의한 부종 및 동통, 후비(喉痺), 옹종(癰腫), 타박상을 치료한다. 익은 것을 사용하면 간(肝), 신(腎)을 보양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한다. 요슬(腰膝) 골통, 사지 경련, 위비(痿痹)를 치료한다."

2, <본경>: "한습위비(寒濕
痺), 사지의 경련, 무릎 동통 및 굴신 불능, 상열화란(傷熱火爛)을 치료하고 얼킨 혈기를 제거하며 낙태시킨다."

3, <명의별록>: "중초가 상하여 기가 적은 증상, 남자의 신음소모(腎陰消
), 노인의 요실금을 치료한다. 중초를 보양하고 단절된 것을 이어 주며 골수를 보충하고 뇌중통(腦中痛) 및 요척통(腰脊痛)을 제거한다. 월경불통, 혈(血)의 응괴(凝塊)를 치료한다. 정기(精氣)를 돕고 음기(陰氣)에 이로우며 머리가 희는 것을 방지한다."

4, <약성론>: "음위를 치료한다. 신장을 보양하고 정(精)을 보충하며 악혈유결(惡血流結)을 제거하고 12경맥을 돕는다."

5, <일화제가본초>: "허리와 무릎이 무력하고 차거운 것을 치료한다. 징결(
癥結)을 없애고 고름을 뽑아내고 통증을 멎게 한다. 산후에 나타나는 흉복의 동통과 혈훈(血暈)을 치료한다. 낙태시키고 성기능을 강하게 한다."

6, <본초연의>: "종용(
蓯蓉)와 함께 술에 담가서 복용하면 신장을 돕는다. 가시가 살 속에 들어갔을 때에 짓찧어서 붙이면 가시가 나온다."

7, <장원소>: "근육을 튼튼히 한다."

8, <본초연의보유>: "모든 약의 효력을 아래로 내려가게 한다."

9, <전남본초>: "근골의 동통을 멎게 하며 힘줄을 튼튼히 하고 펴지게 하며 허리와 무릎이 시큼시큼 아픈 증세를 멎게 한다. 어혈을 없애고 낙태시키며 결핵과 나력을 치료한다. 옹저, 개라(疥癩), 혈풍, 버짐, 농소를 치료한다."

10, <본초강목>: "만성 학질에 의해 오한과 열이 엇바뀌어 나는 증상, 오림 혈뇨, 음경의 통증, 이질, 후비, 구창, 치통, 옹종 악창, 상절(傷折) 등을 치료한다."

11, <본초정>: "혈열에 의한 수족의 마비, 혈조(血燥)에 의한 경련을 치료하고 방광의 삽비(澁秘)와 대장건결(大腸乾結)을 통하게 하며 골수를 보충하고 정(精)을 채워주며 음혈(陰血)을 돕고 혈액을 잘 순환되게 한다."

12, <본초비요>: "술로 쪄서 사용하면 간신(肝腎)에 유익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요슬(腰膝)의 골통, 족위(足
)와 근육 경련, 음위, 요실금, 오랜 학질, 이질, 중초가 상하여 기(氣)가 적은 것을 치료한다. 생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악혈을 가시게 하고 징결(癥結)을 파(破)하며 심와부의 동통, 임통, 요혈, 월경 중지, 난산, 후비, 치통, 옹저, 악성 종기를 치료한다."

<
천우슬>

1, <중약대사전>: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을 수렴하며 월경을 통하게 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풍습에 의한 요슬(腰膝) 동통, 발이 마비되는 증상과 근육 경련, 혈림(血淋), 혈뇨, 여자의 무월경, 징가(
癥瘕)를 치료한다."

2, <약재자료휘편>: "타박, 칼에 베인 상처를 치료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3, <중약지>: "혈을 파(破)하고 하강시킨다."

4, <중약재수책>: "풍을 제거하고 습을 수렴하는 효과가 크며 나머지는 회우슬(懷牛膝)과 같다."

5, <사천중약지>: "풍을 제거하고 습을 수렴하며 월경을 통하게 하고 엉긴 혈을 풀어준다. 한습(寒濕), 요퇴골통(腰腿骨痛), 족(足)의 마비감과 근육경련, 월경 중지 및 징가(
癥瘕), 임병(淋病), 혈뇨, 음위, 요실금을 치료한다."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한습(寒濕)으로 인한 위비(痿痺), 요슬(腰膝)의 동통, 만성 작질, 임병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한습(寒濕)으로 인한 위비(痿痺), 만성 학질, 임폐(淋閉), 모든 부스럼을 치료한다. 효능은 그 뿌리와 같으며 봄, 여름에 쓰는 것이 좋다."

[용법과 용량]


<뿌리>

<우슬>


<중약대사전>: "
내복: 3~5돈을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그거나 고(膏)로 졸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천우슬>


<중약대사전>: "
내복: 1.5~3돈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그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 그 즙을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서 우려내어 복용한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뿌리>

<우슬>


1, <중약대사전>: "중기(中氣)가 함몰하고 비기가 허하여 설사하며 하원(下元)이 튼튼하지 못하고 몽유실정(夢遺失精)하고 월경이 과다한 증상 및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형화(螢火), 구갑(龜甲), 육영(陸英), 백전(白前)을 꺼린다."

3, <본초품휘정요>: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4, <신농본초경소>: "월경이 정지되고 임신으로 짐작되는 경우에는 써서는 안되며 상초 치료에 약용하지 말아야 한다. 자궁 출혈이 멎지 않는 증상에는 금한다."

5, <본초통현>: "몽유실정(夢遺失精)에는 절대 써서는 안 된다."

6, <본초정>: "장(臟)에 한사(寒邪)가 있어 벼이 활(滑)하고 하원(下元)이 튼튼하지 못한 경우에는 쓰지 못한다."

7, <약품화의>: "하리를 동반하는 비허(脾虛)로 요슬(腰膝)이 산통(酸痛)한 증에는 쓰지 못한다."

8, <득배본초>: "중기(中氣)가 부족하고 소변이 자리(自利)하는 증에는 모두 쓰지 말아햐 한다."

<천우슬>


<사천중약지>: "월경이 과다한 여자, 임신중의 여자, 몽유실정(夢遺失精) 환자 등은 복용해서는 안된다."

쇠무릎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62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우슬(牛膝)

[기원]
비름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Miq.) Nakai.] 우슬[Achyranthes bidentata Bl.]의 뿌리이다.

[성미]
맛은 쓰고 시며, 약성은 평범하다.

[효능주치]
활혈거어(活血祛瘀), 보간신강근골(補肝腎强筋骨), 이뇨통림(利尿通淋), 인혈인화하행(引血引火下行)한다.

[임상응용]


1.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힘이 강하여 생리통, 생리가 없을 때, 생리불순 및 산후(産後)복통과 타박상에 활용된다.

2. 간신(肝腎)부족으로 인한 근육과 골격의 연약증상, 무릎과 다리에 힘이 없으며 통증이 있을 때에 쓴다.

3. 관절을 부드럽게 하므로 다리와 무릎관절의 붓고 아픈 풍습성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관절염 증상을 치료한다.

4. 이뇨작용이 있어서 소변출혈, 소변량이 적으면서 잘 나오지 않을 때 등에 사용된다.

5, 약효를 아래로 내려주어 토혈, 코피가 있을 때에 활용되며,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잇몸이 붓고 아프며 입안과 혀가 헐어 발진이 생겼을 때 쓴다.

[임상연구]


1. 자궁경관확장작용을 이용하여 인공유산에 응용하였다.

2. 기능성자궁출혈에 1일 30∼40g을 달여서 연속 2∼4일 복용하면 지혈(止血)이 되고, 갑자기 나는 코피에 다른 약물과 배합해서 치료한다.

3. 우유빛의 소변에는 우슬(牛膝) 90∼120g, 미나리씨 45∼60g을 물에 달여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약리작용]
곤충변태호르몬은 강한 단백질촉진작용을 나타내고, 자궁흥분작용, 이뇨작용, 혈당강하, 간기능개선, 콜레스테롤 강하작용을 나타낸다.

[화학성분]
Oleanolic acid, ecdysterone, inokostero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쇠무릎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109면 11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쇠무릎[

학명/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과명/
비름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 원줄기는 네모지고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굵어서 쇠무릎이라 한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잎자루는 털이 약간 있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 이삭 꽃차례로 달리며, 꽃이 진 후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 5개, 수술도 5개, 암술과 암술대는 각각 1개이다. 열매는 포과로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종자는 1개씩 들어 있으며 황록색이다.

분포/
평남 이남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대만, 중국, 히말라야에 분포한다.

채취/
뿌리는 가을부터 겨울까지, 줄기와 잎은 봄과 여름에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뿌리를 우슬(牛膝)이라고 하며, 정혈, 이뇨, 통경약으로 쓴다. 생우슬은 산어혈, 소옹저(消癰疽)의 효능이 있고, 임병, 혈뇨, 월경불순, 난산, 산후어혈에 의한 복통, 후비(喉痺)를 치료한다. 줄기와 잎을 우슬경엽(牛膝莖葉)이라고 하며, 한습위비(寒濕
痺), 요슬동통(腰膝疼痛), 만성말라리아, 임병을 치료한다. 효능은 우슬과 같으므로 봄과 여름에는 이것을 쓰는 것이 좋다.

성분/
곤충 변태 호르몬인 ecdysterone, inokosterone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물로 달인 액은 토끼의 자궁과 쥐의 적출 장관을 수축시키고, 쥐에게 투여하면 진통작용이 있다. 에탄올 추출물을 개와 고양이에게 주사하면 혈압이 강하된다.

사용법/
뿌리 또는 줄기, 잎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외용에는 짓찧어서 바른다.

참고/
중국산 회우슬(懷牛膝)은 A. bidentata Blume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으로, 이것이 정품이다. 또 천우슬(川牛膝)은 Cyathula officinalis Kuan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이다.]


우슬초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우슬(牛膝) //쇠무릎풀, 백배(百倍)// [본초]

비름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쇠무릎풀(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과 길섶, 들판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피를 잘 돌 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월경을 통하게 하고 뼈마디의 운동을 순조롭게 하며 태아를 떨군다.

약리실험에서 자궁수축작용, 이뇨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무월경, 난산, 산후복통, 산후자궁무력증, 부정자궁출혈, 부종, 임증(淋證), 부스럼, 타박상(打撲傷) 등에 쓴다. 하루 4~10g을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가서 먹는다. 임신부에는 쓰지 않는다.
]

쇠무릎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222-223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Miquel) Nakai]

다른 이름:
쇠물팍, 백배, 마청초, 쇠무릎지기

식물:
높이 약 9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마디는 부풀어 마치 소의 무릎처럼 생겼다. 타원형 잎이 마주 붙는다.
전국 각지의 산기슭, 길섶, 들판의 습하고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뿌리(우슬):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뿌리에는 물분해하면 올레아놀산과 글루쿠론산으로 갈라지는 사포닌이 있다. 그리고 물에 풀리는 알칼로이드인 아키란틴 C6 H11 O2 N·H2 O과 기타 알칼로이드, 많은 양의 점액이 있다. 물 추출액의 회분은 약 8%이고 그 가운데에서 칼륨염은 24.5%이다.

뿌리에는 또한 곤충변태성 호르몬인 에크디스테론 C27 H44 O7, 이노코스테론 C27 H44 O7이 있다. 이 두 물질은 곤충의 유충이 번데기로 변하는 데 필요한 호르몬이다. 이러한 성분은 뽕나무잎을 비롯하여 수백종의 식물에서 얻는다.

이밖에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아스파라긴산을 비롯한 아미노산과 호박산을 비롯한 다가염기산이 있다.
작용: 뿌리의 알코올 및 물 추출물액은 동물 실험에서 자궁 수축 작용이 뚜렷하다. 그 작용은 특히 수태 말기와 산욕기 자궁에서 세게 나타난다. 작용기전은 평활근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으로 보고 있다. 또한 콩팥사구체의 여과과정을 항진시키고 세뇨관의 재흡수를 억제하므로 이뇨작용도 나타난다.

자궁에 대한 작용은 피투이트린, 맥각의 지속적인 경련성 수축과는 달리 일시적인 강직성 수축을 일으킨다. 그러나 심장과 혈관 계통, 혈압, 장관에 대해서는 부작용이 없으며 피투이트린, 아드레날린과 협력한다.

에크디스테론은 흰생쥐 배 안에 주사하면 간세포의 아미노산 섭취를 촉진하며 알록산당뇨 동물의 혈청 중의 유리지방산을 약 30% 낮춘다.

A. bidentata 뿌리의 알코올 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 관절염의 예방 및 억제 효과가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정혈약, 오줌내기약, 통경약으로 월경불순, 나쁜 피, 중풍, 각기, 물고임에 쓴다. 다리의 풍습성 관절염에 목과, 율무씨, 능소화, 으아리뿌리와 같이 알코올 추출물을 만들어 쓰며 요도결석, 피오줌에 많은 양(15~30g)을 달여 먹는다. 통경약으로 쓸 때에는 당귀뿌리, 함박꽃뿌리, 계심과 같이 쓰며 편도염, 인후염에도 달여 먹는다.

문헌 자료에 의하면 A. bidentata의 뿌리를 중기 임신중절에 써서 좋은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이 식물의 뿌리는 직경 2~11mm로 쇠무릎뿌리보다 굵다. 이 뿌리를 길이 7~8mm로 잘라서 한 끝을 굵은 실로 맨 다음 고압증기로 멸균하고 자궁경 안에 넣으면 팽창되어 자궁경을 확대시키고 또한 자궁 수축작용을 일으켜 임신중절된다. 임신 16주까지는 뿌리 1~2개를 한 번 넣으며 8시간 지나면 충분히 불어나므로 24시간 만에 꺼낸다. 임신 20주까지는 뿌리를 두 번 쓰는데 두 번째에는 뿌리 개수를 늘린다. 임신 20주를 넘은 경우에는(26주까지) 해산촉진 호르몬과 같이 쓴다.

동의치료 경험과 약리작용에 근거하여 산후 자궁무력증, 여러 가지 원인의 자궁출혈, 월경과다, 해산때의 약한 진통에 쓴다.

쇠무릎뿌리 달임약(6~12:200):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통경약, 아픔멎이약, 오줌내기약으로 쓴다.
우슬산, 우슬탕의 처방에 들어간다.

참고:
에크디스테론 추출법: 마른전초 3.5kg을 20리터씩의 메탄올로 3번 끓여서 우려낸다. 추출액이 1리터되게 졸이고 물 1리터를 넣는다. 이때 생긴 앙금을 거르고 거른액을 1리터씩의 에테르로 5번 우려낸다. 물층을 초산에틸로 여러 번 우린다. 초산에틸 추출액에서 용매를 회수한다. 찌꺼기를 적은 양의 알코올에 풀어 100g의 산화알루미늄탑에 흡착시키고 초산에틸-알코올(4:1)로 탈착한다. 탈착액을 졸여 알코올-핵산액으로 결정화시킨다. 이때 약 0.5g의 조결정이 얻어진다. 알코올-핵산액으로 재결정하면 녹는점 242℃(분해)인 에크디스테론 결정을 얻는다.

동약 우슬의 기원식물:
중국에서는 회우슬(A. bidentata Blume), 천우슬(Cyathula officinalis Kuan), 일본에서는 화우슬(A. fauriei Leveille et Vaniot)의 뿌리를 쓴다.]






[<<우슬초의 튀어나온 마디, 열매, 종자,
사진-출처: JDM 촬영>>]

우슬초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34면 4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우슬(牛膝)

기원: 현과(莧科=비름과: Amaranthaceae)식물인 우슬(牛膝: Achyranthes bidentata Bl.)의 근(根)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m에 달하며 뿌리는 가늘고 길며 줄기는 네모지고 성긴 유모(柔毛)로 덮여있으며 마디가 팽대하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椭圓形)이고 전연(全緣)이며 털로 덮여 있다. 수상화서(穗狀花序)의 길이는 10cm정도이고 꽃이 핀 후에 길어지는데, 꽃이 진 다음 밑으로 굽어서 화서축에 붙는다. 막질(膜質)의 포편(苞片)이 1개 있는데 넓은 卵圓形이며 잎끝은 뾰족히 나와서 거친 가시모양을 이룬다. 2개의 소포편(小苞片)은 단단하고 작은 가시모양으로 기부(基部)의 양측에 각각 1개의 난상(卵狀) 막질(膜質)의 소열편(小裂片)이 있다. 녹색(綠色)의 꽃잎은 5개이고 가장자리는 膜質이다. 퇴화 수술은 극히 짧으며 선단(先端)은 꽃밥이 없다. 열매는 장원형(長圓形)의 포과(胞果)이다.



분포: 산과 들판의 길가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한다. 중국의 황하(黃河) 이남(以南)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겨울에 캐내어 수염뿌리를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다.

성분: ecdysterone, inokosterone.

기미: 맛은 달고 쓰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산어소종(散瘀消腫),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强筋骨).

주치: 요슬골통(腰膝骨痛), 지구련(肢拘攣), 산후어혈복통(産後瘀血腹痛).

용량: 9g.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1권, 121면.] 

산우슬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0권 45면 457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우슬(山牛膝)

기원: 현과(莧科=비름과: Amaranthaceae)식물인 유엽우슬(柳葉牛膝: Achyranthes longifolia (Makino) Makino)의 근(根)이다.

형태: 초본으로 식물 그루의 높이는 약 1m이다. 뿌리는 굵고 짧다. 줄기의 마디는 무릎모양처럼 팽대하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어긋나며 피침형(披針形) 또는 좁은 피침형(披針形)이고 길이는 4.5∼15cm 너비는 0.5∼3.5cm이며 잎끝은 녹색(綠色)이고 뒷면은 홍자색(紅紫色)이다. 수상화서(穗狀花序)이며, 꽃잎은 5장이고 수술대의 하부는 合生해서 술잔모양이며, 포편(苞片)은 가시를 가지고 꽃이 핀후에 꺽인다. 포과(胞果)는 장원형(長圓形)이고 열매의 껍질은 얇으며 숙존(宿存)하는 꽃받침에 싸여 있다.



분포: 산비탈 숲속 또는 잡초 숲속에서 자란다. 중국의 화동(華東), 화남(華南), 서남(西南)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겨울철에 근(根)을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전초(全草): 촉탈피치동(促脫皮甾酮=피토스테론), 우슬치동(牛膝甾酮=우시스테론=inokosterone).

기미: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생용(生用): 산어혈(散瘀血), 소옹종(消癰腫). 숙용(熟用):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强筋骨).

주치: 생용(生用): 임병(淋病), 요혈(尿血), 무월경(無月經), 난산(難産), 포의불하(胞衣不下), 산후어혈복통(産後瘀血腹痛), 옹종(癰腫), 질타손상(跌打損傷). 숙용(熟用): 요슬산통(腰膝酸痛), 사지구련(四肢拘攣), 위비(痿痺).

용량: 4∼9g.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1979년판, 2권, 124면 ; 회편(滙編), 상권, 40면.]

토우슬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0권 45면 457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도구초(倒扣草)

기원: 현과(莧科=비름과: Amaranthaceae)식물인 토우슬(土牛膝: Achyranthes aspera L.)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 또는 이년생 초본으로 전주(全株)에 유모(柔毛)가 나 있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마주나며 도란형(倒卵形) 또는 장타원형(長椭圓形)이다. 수상화서(穗狀花序)가 정생(頂生)하며 꽃이 핀 후에 꺽이고, 포편(苞片)은 난형(卵形)이며 실 같은 긴 돌기를 가지고 꽃이 핀 후에 꺽이며, 소포편(小苞片)은 경자상(硬刺狀)이고, 꽃잎은 5장이며, 꽃받침잎은 꽃이 핀후에 딱딱하게 변하며, 수술대는 기부(基部)가 합생(合生)하고 성숙하지 않은 수술의 끝에 유소상(流蘇狀) 털을 가진다. 열매는 포과(胞果)로 벌어지지 않는다.



분포: 광야 또는 마을 주변에서 자란다. 중국의 화남(華南)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철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근(根) 및 종자(種子): oleanolic acid, ecdysterone.

기미: 맛은 달고 담담하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해표청열(解表淸熱), 이습(利濕).

주치: 외감발열(外感發熱), 인후종통(咽喉腫痛), 번갈(煩渴), 풍습성관절통(風濕性關節痛), 아후(蛾喉), 이질(痢疾), 어골경후(魚骨骾喉), 신염수종(腎炎水腫), 백탁(白濁).

용량: 15∼30g.

참고문헌: 약전(藥典), 1977년, 1권, 482면 ; 회편(滙編), 상권, 39면 ; Econ. Bot. 1983년, 3권, 299면 ; 광서민족약간편(廣西民族藥簡編), 65면.

부주(附註): 인도민간용본종적엽화화서치간병(印度民間用本種的葉和花序治肝病).]

쇠무릎(우슬초)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뿌리>

1,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으로 음경이 몹시 아픈 증상, 여자의 혈결(血
)로 인한 복견통(腹堅痛)
잎이 달린 우슬 한줌을 술로 달여서 복용한다.
[주후방(後方)]

2, 처녀가 월경 복통으로 아랫배에 큰 경결(硬
)이 있고 발열 왕래하고 설사가 계속되며 몸이 마르는 혈가증(血證)
곱게 찧어서 연기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볶은 말린 우슬, 술에 하룻밤 담근 우슬 각각 1냥 6돈(모두 가루낸다). 약한 불에 졸여 고(膏)로 한 생지황(生地黃) 4냥 8돈을 개어 벽오동 열매 크기의 환을 만들어 1회 2알씩을 1일 2회 빈속에 미음 또는 알맞게 데운 술로 복용한다. 먹는 횟수, 약량을 마음대로 증가시키지 말아야 하며 증상이 소실되면 바로 중지하여야 한다. [삼인방(三因方)]

3, 뱃속의 돌덩어리가 있는 것 같고 가시가 찌르는 듯 아파 하루 종일 고통스러운 증상

우슬 1,000g을 술 1말에 담가서 밀봉하여 숯불에 올려 약이 우려지게 하여 5홉~1되 정도로 양껏 복용한다. [보결주후방(補缺
後方)]

4, 포의불하(胞依不下)

우슬 8냥, 규자(葵子: 해바라기씨) 1냥을 물 9되로 3되가 되게 달여 3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5, 낙태시키는 처방

웅토우슬(雄土牛膝: 재배산이 아닌 충실한 야생 우슬) 1냥, 진사향(眞麝香) 1돈을 잘 찧은 다음 녹인 납(蠟)에 섞어 막대기 모양으로 만들어 질에 삽입한다. [약감(藥鑑)]

6,
인후염, 일측성 편도선염
신선한 우슬초 뿌리 한줌, 애엽(艾葉) 7편(片)을 짓찧어 사람의 젖과 혼합한 다음 그 즙을 코에 주입한다. 잠깐 있으면 입과 코로부터 담연(痰涎) 같은 즙액이 흘러 나온다. 애엽(艾葉)은 없어도 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7, 이미 궤란된 옹절(癰癤)

우슬뿌리를 껍질은 좀 벗겨 버리고 부스럼에 절반 정도 삽입한 다음 어린 귤엽(橘葉), 지금초(地錦草) 각 1줌을 짓찧어 그 위에 바른다. 마르면 갈아대준다. [진일화경험방(陳日華經驗方)]

8, 입안 및 혀에 창(瘡)이 나고 궤란하는 증상

우슬을 술에 담가서 양치질한다. 술이 없으면 우슬만 입에 물고 있어도 효과가 있다. [시후방(時後方)]

9, 풍소은진(風
瘙癮疹=담마진:麻疹), 골저(骨疽), 나병(癩病), 배류(img1.jpg瘤)
우슬을 가루내어 1회 1방촌비(一方寸匕:
고대 약물의 분말을 재던 기구명칭이다. 그 모양이 마치 적은 숟가락 같은데, 그 크기가 1촌 정방형이므로 이와같이 부르게 되었다. 일방촌비는 약 2.74밀리리터에 해당하며 쇠나 돌 가루를 담으면 약 2그램이고, 풀이나 나무 가루를 담으면 약 1그램이다.)씩 1일에 3회 술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10, 칼 따위의 베인 상처 및 동통

우슬초를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11, 풍습에 의한 마비, 요통으로 무기력한 증상

싹을 제거한 우슬 37.5g, 계심(桂心) 3푼, 산수유 37.5g을 함께 짓찧고 가는 체로 쳐서 그 가루로 분말을 만들어 1회에 7.5g씩 식전에 알맞게 데운 술로 복용한다. [태평성헤방(太平聖惠方)]

12, 습열사(濕熱邪)가 하반신에 들어 두 발이 마비되고 때로는 화끈거리는 느낌이 있는 증상

쌀뜨물에 3일 동안 담갔다가 잘 게 썰어 약한 불에 쬐어 말린 창출(蒼朮) 6냥, 썰어서 술과 혼합하여 약간 볶은 황백(黃柏) 4냥, 노두를 제거한 천우슬(川牛膝) 2냥을 보드라운 가루를 내어 밀가루 죽으로 개어 벽오동 열매 크기로 환을 만들어 1회 5~7~10환씩 복용한다. 물고기, 메밀, 더운 밀국소, 볶은 요리 등을 피한다. [의학정전(醫學正傳), 삼묘환(三妙丸)]

13, 학슬풍(鶴膝風:
무릎 마디가 붓고 아프며 다리와 정강이가 말라서 학 다리처럼 된 병 증세, 류마티스 관절염의 일종)
우슬, 모과, 오가피, 골쇄보, 금은화, 자화지정, 황백, 비해(
萆薢), 감국화 뿌리를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14, 원기를 회복시키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처방 및 운동마비, 만성 학질

우슬초의 탕액을 누룩과 쌀과 함께 술로 빚어 복용하거나 잘 게 부수어 술에 담갔다가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15, 만성의 노학(勞
瘧: 심하지는 아니한 만성(慢性) 학질(瘧疾)의 한 가지. 늘 가벼운 오한(惡寒)과 신열이 있고 몸이 나른함)
야생하는 굵은 우슬 1개를 베어서 물 6되로 2되가 되게 달여 2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첫 번째는 발작 전 한식경에 복용하고 두 번째는 발작 임박에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16, 먼저 출혈한 후에 흰 것이 나오는 하리(下痢)

우슬 3냥을 찧어 부수어 술 1되에 하룻밤 담갔다가 1회 1컵씩 1일 3회 복용한다.
[주후방(後方)]

17, 소갈증이 멎지 않고 하원(下元)이 허손(虛損)한 증상

우슬 5냥을 잘게 썰어 가루를 내어 생지황(生地黃)의 즙 5되에 담근 다음 낮에는 센 햇볕을 쬐고 밤에는 담근다. 이렇게 즙이 거의 다 없어질 때까지 한다. 연후에 벽오동 열매 크기의 꿀로 환을 지어 30환씩 빈속에 따뜻한 술로 복용한다. [경험후방(經驗後方)]

18, 자궁경관 확장의 치료
(임상보고)
지름이 0.2~0.3cm 되는 마른 뿌리를 길이가 7~9cm 되는 막대기 모양으로 자르고 그 앞끝을 둥글게 만든 다음 깨끗이 씻어서 잘 말린 후 긴 실로 꼬리 끝을 매어 고압 증기로 소독하여 두었다가 쓴다. 수술 준비와 조작은 산부인과의 일반 조작법에 의한다. 자궁 경부를 고정한 후 탐침(
針)으로 자궁 경부의 방향과 크기를 관찰한다. 경산부는 일반적으로 자궁구가 이완 상태로 있기에 확장시킬 필요가 없다. 그대로 우슬의 앞끝을 긴 질수술 집게로 집어 6~8cm 밀어 넣는다(반드시 자궁 내구의 1~2cm까지 닿게 해야 한다). 꼬리 부분과 실을 밖에 남겨 두고 무균 가제로 질을 봉한다. 그후에는 환자가 평상시대로 운동할 수 있다. 12~24시간 후에 우슬을 꺼내고 자궁 소파 수술을 진행한다. 78례의 관찰에 의하면 우슬을 삽입한 후 자궁경관에 충혈, 연화, 이완 등 변화가 있고 자궁구가 확대되는 등 변화를 보인다. 부분적인 병례에서는 자궁소파 시에 태반 조직과 자궁벽의 점착도가 약하여 마치 박리현상이 있는 것 같았다. 인공 조기 유산, 임신 5개월 이상 유산, 및 포도태 등에 대하여서는 우슬의 사용은 금속 막대에 의한 경관 확장에 비하여 우월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환자의 고통을 덜어 줄 수 있다. [중약대사전]

<줄기와 잎>


19, 풍습성 비통(痺痛), 요슬통(腰膝痛)

우슬엽(牛膝葉) 1근을 썰어 쌀 3홉과 같이 시즙(
豉汁)에 넣고 죽을 쑤어 소금, 간장을 넣고 공복에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
시즙(豉汁)이란?>: <<시즙(豉汁)이란 담두시(淡豆豉)에 후추, 생강, 파, 소금, 및 물을 넣고 가공한 것인데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만드는 방법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연기가 나지 않게 끓여서 졸인 불순물이 없는 참기름 1되와 양질의 담두시 3말을 섞어서 찐 후에 널어서 식히고 햇볕에 말린 다음 다시 섞어서 찌기를 2회 반복한다. 여기에 소금 1말을 찧어 혼합하고 뜨거운 물을 부어 여과한 즙 3~4말을 가마에 넣고 후추, 생강, 파, 귤사(橘絲: 귤껍질 안쪽의 섬유질)를 넣어1/3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넘치지 않는 넉넉한 용기에 담아둔다.

고전에 시즙은 향기와 맛이 매우 뛰어나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오골계를 넣어 고깃국을 끓이면 그 얼마나 맛이 있겠는가! 또한 후추, 생강, 파 등 매운맛이 곁들여 봄철의 보양식이 되니 금상첨화라 아니 할 수 없다.
>>


20, 만성 학질

우슬경엽(牛膝莖葉) 한 줌을 썰어 술 3되로 복용하되 조금 취할 정도로 복용한다. 발작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연속 복용한다. [주후비급방(
肘後備急方)]

21, 안구에 주관(珠管)이 생긴 경우

우슬경엽(牛膝莖葉)을 짓찧어 짠 즙을 1일 3~5회 점안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22, 독사에 물린 상처

신선한 우슬엽(牛膝葉), 오구엽(烏
桕葉)을 같은 양에 홍당(紅糖), 백주(白酒)를 조금 가하고 짓찧어 붙인다. 1일 2회 갈아 붙인다. 혹은 신선한 우슬엽(牛膝葉), 신선한 오구엽(烏桕葉)을 각 1냥씩 취하여 함께 두드리고 짠 즙에 단맛이 있는 술을 약간 넣어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우슬>

1, <주진형(朱震亨)>:
"우슬(牛膝)은 제약(諸藥)을 이끌어 하행시키기에 아래의 근골에 통풍(痛風)이 있을 때에는 이것을 넣어 쓰면 좋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우슬(牛膝)이 치료하는 병은 대체로 술을 넣으면 간신(肝腎)을 보(補)할 수 있고 생것을 쓰면 악혈을 제거할 수 있는 두 가지이다. 이 약이 요슬(腰膝)의 골통, 족(足)의 마비, 음(陰)의 소실, 실닉(失溺), 오랜 학질, 중초가 허약하고 기(氣)가 부족하여 생기는 모든 병을 치료하는 것과 그의 간신(肝腎)을 보양하는 기능을 이용한 것이 아니겠는가? 이 약이 징가, 심복(心腹)의 모든 동통, 옹종(癰腫) 악창, 금창으로 생긴 상처, 후두와 이빨의 임통(淋痛), 혈뇨, 월경과 태산(胎産)에 관계되는 모든 병을 치료하는 것은 우슬(牛膝)의 악혈을 제거하는 효력을 이용한 것이 아니겠는가?"

[비고(備考)]


<우슬>

1, <도홍경(陶弘景)>:
"우슬(牛膝)은 지금 가까운 길가에서 산출된다. 강소(江蘇)의 것이 제일 좋다. 아주 유윤(柔潤)하며 줄기에 마디가 있고 소의 무릎과 비슷하다. 그러므로 우슬(牛膝)이라고 이름지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것에 암수가 있는데 웅성은 줄기가 자색이고 마디가 큰 것이 좋다고 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우슬(牛膝)은 회주산(懷州産)이 길고 희며 소주(蘇州)의 것은 자색이다."

3, <본초도경(本草圖經)>:
"우슬(牛膝)은 지금 강회(江淮: 강소, 안휘), 민중(
閩中: 섬서)등 지방에 있다. 그러나 회주산(懷州産)의 것과 비하지 못한다. 봄에 싹이 나오고 줄기는 높이가 2~3자 되고 청자색이며 마디가 학의 무릎과 비슷하며 또 소의 무릎과 모양이 비슷하다. 때문에 우슬(牛膝)이라고 하였다. 잎은 전체가 둥글고 끝이 뾰족하여 숟가락과 비슷하며 2개씩 대생하여 있다. 마디에서 꽃이 나와 이삭이 된다. 가을에 아주 작은 열매를 맺는다. 2종이 있는데 줄기가 자색이고 마디가 큰 것은 웅성이고 청색이고 가는 것이 자()이다. 2월, 8월, 10월에 뿌리를 파서 그늘에서 말린다. 뿌리가 매우 길고도 크며 유연한 것이 좋다. 잎도 단독으로 쓸 수 있다."

<천우슬>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천우슬(川牛膝)에 당귀(當歸), 적작(赤芍), 도인(桃仁), 홍화(紅花) 등을 배합하면 부인의 무월경을 치료한다.

구척(狗脊), 기생(寄生), 두충(杜仲), 위령선(威靈仙) 등을 배합하면 요슬골통(腰膝骨痛)을 치료한다.

강활(羌活), 계지(桂枝), 창출(蒼朮), 진구(秦
), 방풍(防風) 등을 배합하면 풍습으로 인한 관절통을 치료한다.

당귀(當歸), 국맥(麴麥), 목통(木通), 활석(滑石), 동규자(冬葵子) 등을 배합하면 해산후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경우와 배 안에 사망한 태아가 있는 경우에 이를 나오게 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줄기의 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두드러지게 튀어나와 '쇠무릎' 또는 한자로 우슬초(牛膝草)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조물주는 우슬초를 만들 때 식물에 그와 비슷한 증상을 보고 사람이 아플 때 활용하기 쉽도록 만들어 놓은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아래의 사진을 감상해보면 왜 '쇠무릎' 즉 '우슬(牛膝)'이라고 표현했는지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참조: 아래에 누구나 프린터할 수 있는 아래한글 문서입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 보다 더 행복하다'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한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입니다. 경제적인 부담(종이값, 잉크, 토너 비용 등)이 되신다면 아래의 문서를 각자의 컴퓨터 및 기타 저장매체에 담아 놓고 볼 수 있습니다. 소중한 자원낭비가 되지 않기 위하여 프린터하기 전에 한번더 개인적으로 결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모두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주어서 더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아래한글문서 14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1, 쇠무릎(우슬초) 무엇인가?

아래한글문서 1쪽 분량을 프린터할 수 있는  사랑과 자비의 서비스: 2, 쇠무릎(우슬초) 무엇인가?

우슬초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우슬초 상세 사진 웹사이트 감상: 1, 2, 3, 4,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
naver.com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우슬초의 자라는 새순과 잎, 튀어 나온 마디, 열매, 종자, 뿌리, 잎 앞면, 잎 뒷면의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