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머위 무엇인가?

잎이 두껍고 광택이 있어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은 털머위

 

 

 

 

 

 

 

 

 

 

 

 

 

 

[털머위의 어린잎, 어린잎과 줄기 나물용, 푸른잎, 무늬종잎, 꽃봉오리, 활짝핀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해열작용, 해독작용, 활혈작용, [주의: 간암을 일으키는 작용과 간장과 폐장에 독성 작용], 소종, 감기, 임파선염, 유행성 감기, 편도선염, 부인의 유옹 초기, 정창 궤양, 나력, 습진, 곪은 상처, 설사, 물고기먹고 체한데, 타박상, 목이 붓고 아픈데, 인후염을 다스리는 털머위

털머위는 국화과의 사철 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털머위의 학명은 <
Farfugium japonicum (L.) Kitamura>이다. 우리나라 제주도와 다도해 여러 섬 남부의 바닷가 해변 바위틈에서 자란다. 잎은 둥글고 두꺼우며 윤기가 나고 온몸의 연한 갈색 빛의 솜털이 나있으며 뿌리로부터 잎이 자라난다. 센 향기가 있으며 10월에서 12월에 꽃대가 나와 노란 꽃이 여러개 핀다.  

약간 씁쓰름한 맛이 나는 봄나물인 머위와 비슷한 잎 모양을 가졌지만 잎 뒷면에 털이 많아 털머위 또는 갯머위 라고 부르며, 곰취와 똑같은 꽃을 피우기 때문에 '말곰취'라고 부르기도 한다.

잎이 두껍고 광택이 있어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높은데, 겨울에도 푸르고 매끈한 잎을 자랑하는 상록성으로서 넓은 콩팥 모양의 잎도 예쁘지만 초겨울까지 피는 화려한 노란 꽃도 매우 아름답다.


털머위의 여러 가지 이름은
연봉초[連蓬草=lián péng cǎo=리앤차오V: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탁오[橐吾, 독각연:獨脚蓮: 질문본초(質問本草)], 하엽출[荷葉朮, 하엽삼칠:荷葉三七, 암홍:岩紅, 독족연:獨足蓮, 철동반:鐵銅盤, 야금조:野金爪: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대오풍초[大吳風草: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츠와부키[ツワブキ=石蕗, 염로:艶蕗: 일문명(日文名)], 털머위, 말곰취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쓰거나 신선한 상태 그대로 쓴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말린 근경의 형상은 불규칙적이며 외표는 갈색이고 질이 단단하고 섬유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잎은 근경의 끝에서 속생하고 잎자루의 기부에 황갈색의 길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말린 잎자루는 갈색이고 선모로 빽빽하게 덮여 있다. 잎몸은 대부분 주름이 잡혀 쪼글쪼글하고 녹갈색이며 털이 있는데 질이 약해서 잘 부서진다. 중국의 복건(福建)에 난다."

[성분]

<중약대사전>: "뿌리와 잎에는 pyrrolididine(azosin) 알칼로이드(alkaloid)가 있는데 신선한 뿌리에 0.0003%, 건조한 잎에 0.004%가 들어 있다. 뿌리에는 또 furanoeremophilane-6β-10β-diol, 10β-hydroxy-6-β-methoxyfuranoeremophilan 10β-hydroxyfuranoeremophilane-6β-yl-2' ε-methylbutanoate 등의 furanosesqiterpene류가 들어 있다. 근경에는 furanosesquiterpenefarfugin Afarfugin B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senkirkine의 작용은 기타의 pyrolididine 유도체와 유사하여 간과 폐에 대해 현저한 독성이 있고 간암을 일으킨다. 실험 연구에 의하면 갓 태어난 rat는 수유 중인 rat보다 민감하고 성장한 rat보다 더욱 민감하다. 그러므로 pyrrolididine류는 간장 내에서 미립자가 독성 대사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갓 태어난 rat의 간장에는 대사 효소가 없다) 체내에서 상응하는 epoxide형으로 변하여 독성 작용을 일으키는 것이다."

[성미]

1, <복건민간초약>: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2, <
절강민간상용초약>: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쓰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혈()을 잘 순환시키는 효능이 있다. 풍열(風熱) 감기, 인두(咽頭) 부종 및 동통, 옹종(癰腫), 정창, 나력(瘰癧), 타박상을 치료한다."

2, <
질문본초>: "잎을 무명 종독에 바르는데 소금 몇 알 혹은 미초(米酢)를 조금 가하여 짓찧어 바른다."

3, <
복건민간초약>: "()을 제거하고 울결을 풀고 담화(痰火)를 제거한다."

4, <
절강민간상용초약>: "열을 내리고 해독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통증을 멎게 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3~5(신선한 것은 1~2)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
CD-ROM 한국의 약초>: "흰쥐 실험에서 흰쥐의 간장과 폐장에 독성 작용을 일으킨다."

2, <한국의 약용식물>: "
약리 작용/ senkirkine의 작용은 기타의 pyrrolidine 유도체와 유사하며, 폐와 간에 대하여 독성이 있고, 간암을 일으킨다.

참고/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털머위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말곰취

다른 이름:
털머위

민간에서는 물고기독을 푼다고 하여 잎을 달여서 먹는다. 그리고 습진, 곪은 상처에 잎을 짓찧은 다음 불에 달궈서 붙인다.
]

털머위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연봉초(蓮蓬草)

[기원]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L.) Kitamura)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맵고, 약성은 따뜻하다.

[효능주치]
청열해독(淸熱解毒), 활혈(活血)한다.

[임상응용]


1. 풍열(風熱)로 인한 감기와 인후염에 효력을 보인다.

2. 종기에도 짓찧어 외용한다.

3. 타박상에도 효력이 있다.

[약리 작용]
흰쥐 실험에서 흰쥐의 간장과 폐장에 독성 작용을 일으킨다.

[화학성분]
Senkirkine, furanoeremophilone-6β, 10β-diol, farfugin A 등을 함유하고있다.]

털머위의 효능에 관하여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0463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털머위 [국화과]

학명/ Farfugium japonicum (L.) Kitamura늘푸른 여러해살이풀. 높이 30~80cm, 뿌리 줄기는 굵다. 꽃은 황색으로 9~10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5~6mm이다.

분포/ 제주, 전남, 경남, 울릉도의 바닷가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연봉초(連蓬草)라고 하며, 청열, 해독, 활혈의 효능이 있고, 풍열감기, 인두종통, 옹종, 나력, 타박상을 치료한다. 잎은 생선 중독 또는 부스럼에 사용한다.

성분/ 뿌리와 잎에 senkirkine, furanoere-pophilane-6β-diol, 뿌리줄기에 farfugin A, B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senkirkine의 작용은 기타의 pyrrolidine 유도체와 유사하며, 폐와 간에 대하여 독성이 있고, 간암을 일으킨다.

사용법/ 전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외용에는 짓찧어서 바른다.

참고/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털머위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감기, 유행성 감기
대오풍초(大吳風草: 털머위) 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2, 인후염, 편도선염
대오풍초(大吳風草: 털머위)의 뿌리 2~3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3, 부인의 유옹(乳癰) 초기
씻은 신선한 독각련(獨脚蓮: 털머위)에 홍당(紅糖)을 가하여 짓찧어 뜨겁게 하여 바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4, 정창 궤양
신선한 독각련(獨脚蓮: 털머위)의 잎에 은바늘로 빽빽하게 구멍을 뚫어 미음 혹은 뜨거운 물로 부드럽게 한 후 환부에 붙인다. 12~3회 갈아 붙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5, 나력(瘰癧)
신선한 독각련(獨脚蓮: 털머위)의 뿌리 2~3냥 혹은 하고초(夏枯草: 꿀풀) 1냥을 가한다. 황주(黃酒)와 물을 각각 절반씩 넣고 반 공기 되게 달여 졸인다. 12, 식후에 복용한다. 혹은 잎을 달걀과 같이 볶아서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6, 타박상
신선한 대오풍초(大吳風草: 털머위)의 뿌리를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또는 2~3돈 정도의 썬 뿌리를 씹어서 12회 황주(黃酒)로 충복한다. 중상자는 연속 8~9일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4월부터 6월까지 새로 올라온 연한 잎줄기를 가볍게 데쳐서 껍질을 벗겨 알맞게 잘라 간을해서 국에 넣어 먹거나 나물로 먹을수 있다. 또는 밀가루 반죽을 입혀 튀김으로 먹는다. 

남쪽 지방에서 잘 자라는 털머위는 겨울에도 푸른 잎을 자랑하는 생명력이 질긴 약초이다. 탄닌 성분과 클로로필(chlorophyll: 엽록소)이 염증을 가라앉히고 세균의 침입을 막으며, 짓무른 곳을 보호하여 상처를 빨리 낫게 한다. 민간에서는 항암제로 적당량을 달여 먹기도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털머위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털머위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털머위, 황금무늬털머위, 꽃, 열매, 종자, 잎 앞 뒷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