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 무엇인가?

신맛이 입안에 침을 돌게 하는 수영

 

 

 

 

 

 

 

 

img1.jpg

 

 

 

 

[수영의 어린잎, 암꽃, 수꽃, 열매, 열매 확대, 줄기,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진경작용, 항진균작용, 해독, 진통, 신석증, 황달, 장무력증, 위염, 위궤양, 소화불량, 발한, 비타민 결핍증, 자궁출혈, 해열, 이뇨, 양혈, 살충, 열리, 소변불통, 악창, 개선(옴), 폐결핵, 기생충 구제, 임질, 봄나물용, 만성변비, 피부습진, 화상, 설사, 소변불통, 토혈, 악창, 류마티스성 관절염, 요통, 관절염, 뱀 및 동물에 물렸을 때, 피부병을 다스리는 수영

수영(
Sorrel=소렐)은 마디풀과(여뀌과) 소리쟁이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수영의 학명은 <Rumex acetosa L.>이다. 소리쟁이속은 전세계에 약 200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수영(괴싱아), 애기수영(애기괴싱아), 묵밭소리쟁이(묵밭송구지, 묵밭소), 호대황(넓은잎송구지, 진들대황), 소리쟁이(참송구지, 소루장이), 개대황(들대황), 금소리쟁이, 돌소리쟁이가 자라고 있다.

들판과 산기슭의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잎몸은 긴 타원형으로 밑 부분이 심장저이다.  둥근 줄기는 30~80cm 높이로 곧게 자라고 세로줄이 있으며 붉은 빛이 돈다. 줄기에 어긋나는 넓은 피침형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다가 나중에는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암수딴그루이다. 줄기 윗부분의 원추꽃차례에 녹색 또는 녹자색의 작은 꽃이 모여 핀다.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 조각과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대는 3개이며 암술머리가 잘 게 갈라진다.

수영의 개화기는 5~6월이고 결실기는7~8월이다. 뿌리잎을 캐서 나물로 먹는데 신맛이 난다.
새콤한 신맛이 입안에 침을 돌게 하는 식물이다. 시골 사람들은 곧잘 들판에서 자주 날로 뜯어 먹는 식물이며 필자도 어린 시절 시골에서 배가 고플 때 곧 잘 뜯어먹던 기억이 지금도 눈앞에 생생하다.

수영은 녹색종과 자주색 품종이 있다. 유럽과 아시아 북부가 원산지로 수영은 고대부터 삶아 먹는 나물(이집트인, 그리스인, 로마인들도 사용)과 이른 봄 수프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흔한 야생 식물이다.

용도 및 특성으로 수영 잎은 수산이 있기 때문에 시고 쓴 맛이 있다. 이것은 요리 재료로 다양하게 쓰이는데, 특히 프랑스 전통 요리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잎은 일반적으로 잎자루를 제거하고 시금치처럼 요리한다. 이것을 잘게 잘라 퓨레 형태로 만드는데, 크림이나 화이트 소스나 화이트 루(white roux)로 맛은 내기도 한다. 어리고 연한 생 잎을 샐러드에 넣어 먹는다. 외국에서는 수영은 전통적으로 물고기, 송아지고기, 계란 요리 등과 함께 먹는다. 이것을 오믈렛과 벨루테 수프(veloute soup)에 넣어 먹는다고 한다.

기타 사항으로 수영 주스는 아마포(linen)에 묻은 얼룩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


수영의 다른 이름은
산모[
模=suān mó=쑤안: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鬚, 손무:薞蕪: 이아(爾雅)], 산대황[山大黃, 당약:當藥: 본초습유(本草拾遺)], 산양제[山羊蹄, 산모:酸母: 본초강목(本草綱目)], 우이대황[牛耳大黃, 산탕채:酸湯菜, 황근근:黃根根: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산강[酸薑, 산불류:酸不溜, 산유유:酸溜溜: 동북토농약지(東北土農藥誌)], 모채[莫菜, 산목통:山木通: 중국토농약지(中國土農藥地)], 계조황연[鷄爪黃連: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전계각[田鷄脚, 수우설두:水牛舌頭, 대산칠:大山七: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스이바[スイバ=酸い葉, 스칸보:スカンポ, 산모:サンモ=酸模: 일본명(日本名)], 소렐[Sorrel, 가든 소렐:garden sorrel: 영명(英名)], 수영, 시금초, 괴승애, 괴싱아 등으로 부른다.

수영 잎의 다른이름은
산모초엽[酸
模草葉: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이라고 한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1, <중약대사전>: "
뿌리와 과실: 뿌리는 탄닌 7.6~27.5%, chrysophanein 193mg% 및 hyperin을 함유한다. 과실은 quercetin과 hyperin을 함유한다."

2, <중약대사전>:
"잎과 줄기: 잎은 vitexin, quercetin-3-galactoside, violaxanthin 및 비타민 C 63mg%, 탄닌 17.3~36.7%를 함유한다. 줄기와 잎은 potassium oxalate, tartaric acid을 함유한다. 신선한 것은 oxalic acid 0.82%, 탄산칼륨 63%, 비타민 C 86~108mg%를 함유한다."

3, <세계의 식용식물 331면>: "
영양성분:
수영 잎은 열량이 낮으나(100g 당 25kcal 밖에 안 됨), 영양가가 높다. 이것은 비타민A(3.5mg)와 비타민C(47mg)의 함량이 높고, 칼륨과 마그네슘이 풍부하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potassium oxalate 및 어떤 종류의 tartaric acid를 함유하기 때문에 신맛이 난다. 또 oxalid acid의 함유량 과다에 의한 중독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문헌에는 소아가 수영의 잎을 먹고 사망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물 추출물은 항진균 작용이 있다."

[성미]


<뿌리>

1, <중약대사전>: "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집주>: "맛은 시다."

3, <일화자제가본초>: "맛은 시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4, <본초강목>: "약간 쓰다."

<잎>


<본초습유>: "맛은 시다."

[약효와 주치]


<뿌리>


1, <중약대사전>: "
해독, 이뇨하고 혈을 식히며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열리(熱痢), 임질, 옴, 설사, 소변불통, 토혈, 악창, 개선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집주>: "옴을 치료한다."

3, <본초습유>: "갑자기 열이 나는 복창증을 치료하고 생것을 찧어 즙을 복용하면 설사를 치료하며 피부의 소충(小蟲)을 죽인다."

4, <일화자제가본초>: "소아의 심한 열을 치료한다."

5, <본초강목>: "한반(汗斑)을 제거한다. 자평(紫萍)과 함께 짓찧어 수일간 바르면 없어진다."

6, <귀주민간방약집>: "변이 잘 통하게 하고 해열, 이뇨하며 오림(五淋)을 치료한다."

7, <본초추진>: "이질, 설사 초기의 이급후중(裏急後重)을 치료하고 대변이 잘 나가지 않을 때에 가벼운 사하제로 쓴다."

<잎>


<귀주민간약집>: "외용하면 상종(傷腫), 창독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개선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1, <중약대사전>: "
내복: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수영과 애기수영을 봄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수영⊃애기수영

마디풀과ㅣ여러해살이풀

크기:
30~80cm

꽃 피는 때:
5~6월

자라는 곳:
들, 산기슭

줄기와 잎을 먹으면 신맛이 난다. 싱아랑 맛이 비슷해서 개싱아, 괴싱아라고도 한다. 소리쟁이와 닮았는데, 어린잎은 붉은빛이 돈다. 잎과 잎자루를 다른 나물과 섞어 샐러드로 만들거나 무쳐 먹는다. 초무침을 해도 맛있다. 줄기는 그냥 먹기도 하고, 뿌리는 위장 질환이나 관절염 약으로 쓴다. 관절염 약으로 쓴다.

애기수영도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

나물 할 때




나물 하는 방법


잎-부드러운 잎을 뜯는다.

줄기-연한 줄기를 꺾는다.

추천 음식


샐러드, 초무침, 무침.
]

수영의 효능과 관련하여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91면 9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수영 [여뀌과]

학명:
Rumex acetosa L.

여러해살이풀. 높이 30~80cm. 꽃은 5~6월에 피며, 꽃잎은 없다. 수꽃은 6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세모진 타원형이며 길이 3mm 가량이고 흑갈색이다.

분포/
전국의 산과 들, 풀밭에서 자라며, 전세계에 분포한다.

약효/
뿌리를 산모(酸
)라고 하며, 청열, 이뇨, 양혈, 살충의 효능이 있고, 열리, 임병, 소변불통, 요폐(尿閉), 토혈, 악창, 옴을 치료한다. 잎을 산모엽(酸模葉)이라고 하며, 창종, 창독을 치료한다.

성분/
뿌리에는 chrysophanein, hyperin, 열매에는 quercetin, hyperin, 잎에는 vitexin, hyperin, violoxanthin이 함유되어 있다.

사용법/
뿌리 15g에 물 700mL를 넣고 복용하고, 잎은 외용으로만 사용하는데,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참고/
식물체가 작고 잎이 창검 모양이며 뿌리줄기가 길고 열매 밑의 꽃덮이가 서는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도 약효가 같다.]

수영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괴싱아(Rumex acetosa L.)

다른 이름: 산모

식물: 여러해살이풀이다. 긴 타원형 또는 버들잎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줄기는 발간보라색을 띤다.  
전국 각지의 들판, 길섶에서 자란다.

뿌리, 뿌리줄기(산모근): 가을에 캐어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뿌리와 뿌리줄기에 유리형 및 결합형 크리소파놀, 에모딘, 옥시메틸안트라퀴논인 루미신, 크리소파네인, 크리소판산, 신선한 뿌리에 크리소파놀안트론, 탄닌질, 네포딘과 그 배당체 네포시드가 있다.

전초에는 산성 싱아산칼륨 1.1%, 마른잎에 아스코르브산 750~1,200mg%(꽃피기 직전에 제일 높다. 신선한 잎에 125~145mg%)가 들어 있다. 잎에는 또한 카페산, 몰식자산, 프로토카테킨산, 클로로겐산, P-쿠마르산, 페룰라산, 쿠에르세틴, 델피니딘, 시아니딘, 루틴, 히페로시드, 사포닌, 철염, 루미신이 있다.

작용: 네포딘과 네포시드는 파파베린과 비슷한 센 진경작용이 있다.

응용: 뿌리 달임약은 설사, 적리, 장무력증, 위염에 먹으며 설사약, 오줌내기약, 땀내기약으로도 먹는다.

전초는 신석증, 황달, 비타민 결핍증에 쓴다. 피멎이약으로 자궁출혈, 열내림약으로 열병과 폐결핵에 쓰며 잎즙은 아픔멎이약으로 류마티즘, 허리아픔에 쓴다. 뱀이나 동물에 물렸을 때 염증약으로 그리고 여러 가지 피부병과 습진에 쓴다.

동의치료에서는 뿌리를 짓찧어 옴을 비롯한 피부병에 바른다.  

민간에서는 회충증, 요충증, 십이지장충에 다음과 같이 하여 쓴다. 생전초 1kg에 같은 양의 물을 넣고 2시간 끓여서 거르고 거른액을 졸여 한번에 먹는다. 마른 전초는 200g을 약 10배의 물과 함께 2시간 동안 끓이고 걸러서 50~200ml 되게 졸인다. 약을 먹은 다음 1시간 지나서 황산마그네슘을 먹는다.
]

수영의 효능에 관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4권 60면 160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모(酸模)

기원: 요과(蓼科=마디풀과: Polygonaceae)의 식물(植物)인 산모(酸模=수영: Rumex acetosa L.)의 뿌리인 근(根)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m에 달한다. 뿌리는 비후(肥厚)하고 황색(黃色)이다. 줄기는 직립(直立)하고, 보통 분지(分枝)하지 않는다. 근생엽(根生葉)은 긴자루가 있고 엽편(葉片)은 넓은 난원형(卵圓形)이고 선단(先端)은 원둔두(圓鈍頭)이거나 급첨두(急尖頭)이고 엽저는 전형(箭形)이고 전연(全緣: entire=잎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거나 또는 톱니나 가시 등이 없고 매끄러운 모양)이다. 화서(花序)는 원추상(圓錐狀)이며, 꽃은 단성(單性)이고 장웅이주(雌雄異株)이며, 꽃잎는 6장이고 2륜(輪)이며, 수꽃의 외륜(外輪)의 꽃잎은 비교적 작고 수술은 6개이며, 암꽃 내륜(內輪)의 꽃잎은 결실기(結實期)에 커지고 원형(圓形_이며 전연(全緣)이고 외륜(外輪)은 작고 뒤로 휘어져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고 붓모양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타원형(橢圓形)이고 암갈색(暗褐色)이며 3개의 능각(稜角)이있고 광택이 있다.






[수영의 전초, 잎 앞면과 뒷면, 세밀화, 뿌리,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및 일본 위키백과사전]

분포: 길가, 산비탈 및 습지에서 자란다. 중국각지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chrysophanein, hyperin등.

기미: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淸熱), 이뇨(利尿), 양혈(凉血), 살충(殺蟲).

주치: 열리(熱痢), 임병(淋病), 소변불통(小便不通), 토혈(吐血), 악창(惡瘡), 개선(疥癬).

용량: 15-20g.

부주(附註): 본품의 잎도 역시 약으로 피부습진(皮膚濕疹)과 개선(疥癬)등에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5288호.]

수영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뿌리>


1, 만성 변비

수영이 전초 11g, 망초(芒硝) 15g, 지각(枳殼) 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상용중초약배방(常用中草藥配方)]

2, 소변 불통

수영 뿌리 11~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3, 토혈, 변혈

수영 6g 소계(小계), 지유탄(地楡炭)각 1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산동중초약수책(山東中草藥手冊)]

4, 목적(目赤)

수영 뿌리 3.75g을 가루내어 모유로 개어서 쪄서 눈 주위에 도포함과 동시에 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5, 창개(瘡疥)

수영의 뿌리를 짓찧어 환부에 바르고 문지른다.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잎>

6, 피부 습진과 화상

수영 전초, 춘근백피(椿根白皮) 각 75g, 안수엽(
樹葉) 37.5g, 동청엽(凍靑葉) 37.5g을 함께 가루내어 기름으로 개어서 바른다. [상용중초약배방(常用中草藥配方)]

<기타>

7,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에 수영을 술에 담궈 먹는다. 수영에 들어 있는 활성 수산이 치료효과를 발휘하며 뿌리를 캐서 잘 씻은 다음 소주에 일주일 쯤 두어 노랗게 우러나면 하루 3∼4잔씩 한번에 마신다. 또는 청정지역에서 채취한 신선한 수영전초를 설탕과 1:1을 넣고 맨위에 설탕으로 덮어 발효시킨다. 3일이나 일주일 간격으로 3~5차례 골고루 잘 뒤집어 저어준다. 100일이 지나 찌꺼기를 걸러내고 효소액만을 항아리에 넣고 다시 2차 발효시켜 200일 후에 사용한다. 발효된 액을 적당량 물에 희석해서 하루 서너컵 정도 먹는다.

또는 수영 말린 전초 10~20g을 물에 달여 먹거나 엿질금을 넣어 식혜를 담궈 먹어도 좋다.
수영은
해독, 진통, 신석증, 황달, 장무력증, 위염, 위궤양, 소화불량, 발한, 비타민 결핍증, 자궁출혈, 해열, 이뇨, 폐결핵, 기생충 구제, 열리(熱痢), 임질, 옴, 만성변비, 피부습진, 화상, 설사, 소변불통, 토혈, 악창, 류마티스성 관절염, 요통, 관절염, 뱀 및 동물에 물렸을 때, 피부병, 개선을 다스린다. [민간요법]

[비고(備考)]


1,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
손무(薞蕪)는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과 비슷해서 가늘고 맛은 시며 먹을 수 있다."

2, <본초습유(本草拾遺)>:
"산모엽(
模葉)은 시고 맛이 좋다. 소아는 그 꽃을 먹는다. 잎은 양제(羊蹄: 소리쟁이)와 비슷한데, 이것이 산대황(山大黃)이다."

3, <일화자제가본초(
日華子諸家本草)>: "산모()는 어디에나 있으며 산에서 자란다. 형태는 양제(羊蹄: 소리쟁이)와 비슷하고 잎이 작고 황색이며 줄기가 가늘고 마디 사이에 충울자(茺蔚子: 익모초 종자)와 같은 열매가 맺힌다."

4, <본초강목(本草綱目)>:
"산모(
)는 평지에도 있으며 뿌리, 잎, 꽃의 형태는 양제(羊蹄: 소리쟁이)와 비슷하다. 그러나 잎이 작고 맛이 신 것이 다르다. 뿌리는 적황색이다."

[수영 재배법]


경작 및 수확은 수영은 씨앗이나 꺾꽂이나 포기나누기로 쉽게 번식한다. 이것은 흔히 가정 채소밭에서 재배하지만, 외국에서는 신선 채소 시장에서도 구입하기도 한다.

수영은 새로 올라오는 잎을 나물로 해먹으며 잎을 날 것으로 먹으면 신맛이 나오면서 침이 금방 입안에서 돈다. 소리쟁이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자세히 관찰해 보면 잎이 수영 및 애기수영은 하트형으로 깊게 파인 모습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입에 넣어 신맛이 나는 것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수영 사진 감상: 1, 2, 3, 4, 5, 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수영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2,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신맛이 나는 아래의 약초들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괭이밥 무엇인가?
  2. 까치수염(낭미파화) 무엇인가?
  3. 며느리배꼽 무엇인가?
  4. 수영 무엇인가?
  5. 애기수영 무엇인가?
  6. 적소렐(붉은줄기 서양 수영) 무엇인가?
  7. 큰까치수염(진주채) 무엇인가?
  8. 호장근 무엇인가?

 

 

※ jdm필자가 찍은 수영 사진도 함께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