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향과
백서향의
붉은꽃과 흰꽃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혈액응고를 저지시키는 작용, 체내의 요산 배출 촉진 작용, 거풍제습, 활혈지통,
인후의
부종과 동통, 치통, 초기 유방암, 풍습통, 좌골 신경통[임상보고],
위통, 독사에 물린 상처,
타박상, 안면부의 각종 정증, 태동 불안, 산후 혈훈, 치질통증, 류마티즘, 인후염,
창양, 통풍을 다스리는 서향나무
및 백서향나무
서향(瑞香)은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늘푸른떨기나무이다. '천리향'
또는 '서향'이라고도 부른다.
학명은
<Daphne odora Thunb.>이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하지만
남부지방의 일부 섬에서는 저절로 자생하기도 한다. 높이가
1∼2m이고,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8cm의 타원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다.
꽃은 암수딴그루이며 3∼4월에
피고 지난해에 나온 가지 끝에 두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의 향기가
강하고,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생겼으며 끝이 4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길이가 6mm이고 바깥쪽은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이며 안쪽은 흰색이다.
수술은
2줄로 꽃받침에 달려 있다. 열매는 장과이고 5∼6월에 붉은 색으로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뿌리와 나무 껍질은 약재로 쓴다. 한국에서 자라는
것은 대부분 수나무이므로 열매를 맺지 못한다. 주로 장마철에 꺾꽂이로
번식한다.
흔히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식물이다. '천리향'이란
이름의 유래는 진한 향기가 진동함으로 천리를 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묵은 가지 끝에 홍자색 또는 흰색 꽃이 둥글게 모여 피는데 향기가 매우 강하다.
서향나무
및 꽃의 여러 가지 이름은 서향[瑞香=ruì
xiāng=루이↘시앙 ̄:
본초강목(本草綱目)], 수향[睡香:
청이록(淸異錄)], 봉래자[蓬萊紫,
풍류수:風流樹,
노갑:露甲,
사낭:麝囊:
군방보(群芳譜)], 설화[雪花,
탈향화:奪香花,
백서향:白瑞香:
광동신어(廣東新語)], 천리향[千里香,
서란:瑞蘭,
설화피:雪花皮,
산면피:山綿皮: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서향화[瑞香花=ruì
xiāng huā=루이↘시앙 ̄후아 ̄:
약성고(藥性考)],
봉래화[蓬萊花:
화경(花鏡)], 야몽화[野夢花,
산몽화:山夢花:
귀주초약(貴州草藥)], 설지개화[雪地開花,
홍총관:紅總管,
설동화:雪凍花: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몽화피[蒙花皮,
모서향:毛瑞香: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신쵸우게[ジンチョウゲ=침정화=沈丁花,
윤정화:輪丁花:
일문명(日文名)], 서향나무 등으로
부릅니다.
서향나무의 뿌리껍질의 다른 이름은 서향근[瑞香根: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한다.
서향나무 잎의 다른 이름은
서향엽[瑞香葉: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이라고 한다.
[성분]
<꽃과
전초>
<중약대사전>:
"전초는
daphnetin-7-glucocide(즉 daphnin) 2~4%, daphnetin-8-glucocide를
함유한다. 이 종류의 성분은 주로 지상 부분에 함유되어 있다. 본품은
또한 다량의 umbelliferone을 함유하고 있다."
<뿌리>
<중약대사전>:
"뿌리는
daphneolone를 함유한다."
[약리 작용]
<중약대사전>:
"daphnin을
토끼에게 30~50mg/kg을 내복시키면 혈액의 응고성을 저하시키는데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것은 2~3일째로 1~3일간 지속한다. thronboplastin
시간은 연장되며 heparin에 대한 혈액의 내성은 저하하고 제 2=Ⅱ, 7=Ⅶ,
10=Ⅹ 인자의 활성은 하강한다. 혈괴탄력도(血塊彈力圖)에서도 반응
시간(r) 및 혈병(血餠) 형성(k)을 연장한다는 사실을 명시(明示)하고
이 종류의 작용은 비타민 K에 의해 길항된다. daphnin은 또한 체내의
요산의 배출을 촉진한다. 동속 식물인 자구서향(紫歐瑞香: Daphne mezereum
L.)의 나무 껍질, 특히 신선한 나무껍질를 백서향피(白瑞香皮: Mezereum)이라
한다. 이 신선한 나무겁질인 백서향지(白瑞香脂: mezerein)를 함유하고
있는데 강열한
발포제가
되며 복용하면 구토, 혈변 등의 증상이 생기고 흡수되어 중독되면 체온
상승, 흥분, 맥이 빨라지고 호흡 곤란을 일으켜 결국에는 허탈(虛脫)로
인해 사망에
이른다."
[성미]
<꽃>
<강서,
초약수책>: "맛은 달고 짜다."
<뿌리>
<본초강목>:
"맛은 달고 짜며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꽃>
1,
<중약대사전>: "인후의
종통(腫痛), 치통, 풍습통을 치료한다."
2, <약성고>: "머리와
눈을 맑게 한다. 치통에는 입에 머금는다."
3, <본초강목습유>:
"천연두를 소실하며 초기 유방암을 치료한다."
<뿌리>
<의학집성>:
"급성 후풍(喉風)을 치료하려면 흰색꽃이 달린 것을 쓰는데 갈아서
그 즙을 목에 흘려 넣는다."
<잎>
1,
<중약대사전>: "창양,
통풍(痛風)을 치료한다."
2, <영남채약록>: "창양을
치료하려면 짓찧어 바른다."
3, <현대실용중약>:
"신선한 잎 또는 말린 잎을 가루내어 창양에 도포하면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내복하면 창양 및 만성 피부병, 통풍(痛風)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꽃>
<중약대사전>:
"내복:
1~2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1~2돈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1~2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도포하거나 가루
내어 개어서 도포하거나 달인물로 씻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강서,
초약수책>: "본품에는 마취성이
있으므로 내복시 주의하여야
한다."
천리향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338면
415호에서는 아래와 같이 알려주고 있다.
[서향나무(Daphne
odora Thunb.) [팥꽃나무과]
늘푸른떨기나무. 높이 1m 가량.
꽃은 암수 딴그루로 백색 또는 홍자색이며 3~4월에 핀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의 겉은 홍자색으로 털이 없고, 안쪽은
백색이다. 수술은 2줄로 꽃받침통에 붙어 있다.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것은 대부분 수그루이므로 결실되는 것이 드물다.
분포/
중국 원산으로, 남부 지방에서 재식하는 귀화식물이다.
채취/
꽃은
활짝 필 때, 잎은 여름에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꽃을 서향화(瑞香花)라 하며, 인후종통, 치통(痔痛), 류마티즘을 치료한다.
뿌리를 서향근(瑞香根)이라고 하며, 인후염을 치료한다. 잎은 서향엽(瑞香葉)이라
하며, 창양, 통풍을 치료하고, 외용에는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성분/
전초에는 daphnin, daphnetin-8-glucoside, umbelliferone, 뿌리에는
daphnelone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daphnin 30~50mg/kg을 토끼에게 투여하면 혈액 응고를 저지시킨다.
사용법/
건조시킨 꽃 5g에 물 3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뿌리는 짓찧어서 즙을 내어 목 안에 흘려 넣는다.
참고/
작은
가지가 암자갈색이며 꽃이 백색인 백서향(D. kiusiana Miquel)도 약효가
같다.]
서향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115면 273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몽화피(蒙花皮)
기원: 서향과(瑞香科=팥꽃나무과: Thymeleaceae)식물인 모서향(毛瑞香=서향: Daphne odora Thunb. var. atrocaulis Rehd.)의 줄기 및 뿌리껍질이다.
형태: 상록 관목으로 높이는 0.5-1m이다. 어린 가지와 오래된 가지는 모두 심자색(深紫色) 또는 자갈색(紫褐色)이며 털이 없다. 잎은 두터운 지질(紙質)이며 타원형(橢圓形) 내지 도피침형(倒披針形)이고 길이는 5-10cm이며 너비는 1.5-3.5cm이다. 꽃은 백색(白色)으로 방향성(芳香性)이 있고, 보통 5-13송이가 정생(頂生)하는 두상화서(頭狀花序)를 이루며, 총화경(總花梗)은 없고, 기부(基部)에는 몇 개의 일찍 떨어지는 포편(苞片)이 있으며, 꽃잎은 통상(筒狀)이고 길이는 약 10mm이며 외측에는 회황색(灰黃色)의 명주 같은 털로 덮여 있고 열편(裂片)은 4장 이며 난형(卵形)이고 길이는 약 5mm이며, 수술은 8개이고 2륜(輪)이며 화피통(花被筒)의 상부 및 중부에 각각 착생(着生)하고, 화반(花盤)은 고리모양이며 가장자리는 파도모양이고 바깥은 담황색(淡黃色)의 짧은 유모(柔毛)로 덮여 있으며, 자방은 장타원상(長橢圓狀)이고 털이 없다. 핵과(核果)는 난상(卵狀) 타원형(橢圓形)이며 홍색(紅色)이다.

분포: 산지의 숲 속에서 자란다. 중국의 호북(湖北), 호남(湖南), 강서(江西), 절강(浙江), 안휘(安徽), 대만(台灣), 광서(廣西), 광동(廣東)에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심고 있다.
채취 및 제법: 연중 채취가 가능하며, 생용(生用)하거나 또는 햇볕에 말린다.
기미: 큰
독성이 있다.
효능: 거풍제습(祛風除濕), 활혈지통(活血止痛).
주치: 풍습관절통(風濕關節痛),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질타(跌打).
용량: 0.6-0.9g.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서 내복(內服)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5138면.]
 [일본에서
서향나무꽃에서 추출한 향수, 2016년 5월 9일 현재, 30ml, 1병 4,100円]
◆
서향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꽃>
1,
인후의 부종과 동통 신선한 백서향(白瑞香)의 꽃과 뿌리 4돈을
사발에 놓고 짓찧은 다음 더운 물을 넣고 갈아 그 즙을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2,
치통 백서향(白瑞香)의 꽃 또는 근피 2돈을 달여 계란 2개를
깨서 넣고 계란이 익으면 계란과 즙을 복용한다. 또는 신선한 서향화(瑞香花)를
절굿공이로 짓찧어 통증이 있는 곳에 넣고 물고 있는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3,
초기 유방암 신선한 서향화(瑞香花)를 짓찧어 계란 흰자위를
조금 넣고 함께 찧어 도포하는데 하루에 한 번씩 갈아 준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4,
풍습통 서향화(瑞香花) 2돈, 계지(桂枝) 3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또는 서향(瑞香)의 나무껍질과 나뭇잎 4~8냥을 달인 물로 환부를 씻는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5, 좌골 신경통(임상보고) 신선한
설동화(雪凍花)를 약한 불에 쬐어 말린 다음 가루내어 캡슐에 1알당
0.4g씩 넣는다. 요오드화 칼륨을 따로 캡슐에 한 알당 0.6g을 복용시에
넣는다.
복용
방법: 설동화(雪凍花)를
넣은 캡슐 2알, 요오드화 칼륨을 넣은 캡슐 3알을 1첩으로 하여 세 번에
나누어 다음과 같이 복용한다. 첫날밤 설동화(雪凍花) 캡슐을 1알 복용하고
둘째날 밤에 요오드화 칼륨 캡슐을 2알 복용하며 셋째날 밤에는 설동화(雪凍花),
요오드화 칼륨 캡슐 각 1알을 복용한다. 연속 2회 복용하는 것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1단계의 치료를 경과하여 효과가 없으면 복용을 중지한다.
병이 오랜 환자는 2단계에 걸쳐 치료를 실행한다. 93례를 치료한 결과
완치가 21례, 호전이 44례, 무효가 28례였다. 일부 환자에게는 복용
후 현기증, 입안이 쓴 증상, 위가 불쾌함 등이 나타나기도 했으나 2~4시간이
지난 후 자연히 사라졌다. [중약대사전]
<뿌리>
6,
위통 서향근(瑞香根) 5냥, 서향화(瑞香花)
1냥을 가루내어 하루에 1회씩, 한 번에 끓여서 식힌 물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7, 독사에 물린 상처 서향근(瑞香根)을
소주에 갈아 농즙(濃汁)을 낸 다음 상처 주위 및 부은 곳에 도포하고
마르면 다시 바른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8,
타박상 서향근피(瑞香根皮) 또는 나무 껍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잎>
9,
안면부(顔面部)의 각종 정증(疔症) 신선한
서향엽(瑞香葉)을 깨끗이 씻어 소량의 봉밀(봉밀: 벌꿀)과 섞어 짓찧은
다음 환부에 바른다. 하루에 1~2번 바꿔 준다. [민남민간초약(閩南民間草藥)]
10,
풍습 서향경엽(瑞香莖葉)을 달인 물에 씻는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11,
태동 유혈, 산후 혈훈(血暈) 서향경엽(瑞香莖葉)
4돈, 호이초(虎耳草) 1냥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
참조:
일본에서는 아래와 같은 서향나무의 종류가 자라고 있다고 한다.
1,
신쵸우게[ジンチョウゲ=침정화=沈丁花=서향나무:
Daphne
odora Thunb.]
2,
세이요우오니시바리[セイヨウオニシバリ: Daphne mezereum]
3,
카라스니키미[カラスシキミ: Daphne miyabeana]
4, 오니시바리[オニシバリ: Daphne pseudomezereum]
5,
간비[ガンピ: Diplomorpha sikokiana]
6, 미츠마타[ミツマタ: Edgeworthia chrysantha]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서향나무(천리향)
사진 감상: 1,
2, 3, 4,
5,
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의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비슷한 종류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