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결명(망강남) 무엇인가?

멕시코 원산의 약용식물 망강남

 

 

 

 

 

 

 

 

望江南,花开无数黄金钱 img1.jpg img1.jpg

img1.jpg

 

 

[망강남의 꽃, 잎,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배변작용, 사하작용, 청간, 명목, 건위, 윤장, 사충교상(벌레나 뱀에게 물린 상처), 고혈압, 두통, 구강미란, 습관성 변비, 이질복통, 간화가 눈을 침범하여 눈이 빨갛게 부어 오르고 눈이 부시어 강한 빛을 바로 보지 못하거나 혹은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경우, 학질, 만성장염, 종독, 숙폐, 혈림, 일반 외과 염증
[임상보고], 위통, 변비, 천식, 완고성 두통[임상보고], 사두정, 통변, 해독, 목적종통, 소화불량, 복통, 변비를 다스리는 망강남

석결명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석결명의 학명은 <Cassia occidentalis>이다. 멕시코가 원산지인 1년초로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높이는 50∼150cm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3∼6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바소꼴 또는 바소꼴의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에 선체(腺體)가 있으며 턱잎은 줄 모양이다.

꽃은 6∼8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2∼6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달걀 모양의 원형이다. 꽃잎은 5개인데, 위에 달린 3개의 꽃잎은 크고 밑에 달린 2개의 꽃잎은 작다. 수술은 10개인데, 서로 길이가 같지 않다. 암술은 1개이며 씨방에 털이 있다.

열매는 협과이고 편평하며 길이가 10cm이고 양쪽이 튀어나와 있다. 종자는 약으로 쓰고, 민간에서는 잎을 뱀이나 독충에 물린 데 사용한다.

망강남의 여러 가지 이름은
망강남[望江南=wàng Jiāng nán=지앙: 구황본초(救荒本草)], 금화표자[金花豹子: 백초경(百草鏡)], 금두자[金豆子: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양각두[양角豆, 야편두:野扁豆: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산록두[山綠豆, 봉황화초:鳳凰花草, 여차:黎茶: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후백초[喉百草: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대양각채[大羊角菜: 남영시약물지(南寧市藥物誌)], 두훈채[頭暈菜: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저골면[猪骨棉, 대경약:大更藥, 구시두:狗屎豆, 대야명:大夜明, 야관문:夜關門, 가결명:假決明: 남방주요유독약물(南方主要有毒藥物)], 산가배[山咖啡: 복건중약학(福建中藥學)], 하부소우[ハブソウ, 보우코우난:ボウコウナン=望江南: 일문명(日文名)] 등으로 부른다.

망강남의 종자의 다른 이름은
망강남자[望江南子: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괴두[槐豆: 구황본초(救荒本草)], 야계자두[野鷄子豆: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금각자[金角子, 금각아:金角兒: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강남두[江南豆: 중국약식도감(中國藥植圖鑑)], 수조두[水爪豆: 광서약식명록(廣西藥植名錄)], 풍한두[風寒豆, 황강두:黃豇豆: 강소약재지(江蘇약材誌)]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
8월 사이에 줄기와 잎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종자>


<중약대사전>: "
가을에 열매가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종자>


<중약대사전>: "
말린 협과는 원기둥 모양으로 약간 납작하며 길이가 6~10cm이고 양측이 조금 융기하였으며 가장자리가 황갈색이고 가운데에 자갈색의 길고 넓은 띠가 있으며, 뾰족한 끝에서부터 다른 끝에까지 뻗었고 아울러 가름막인 횡격(橫隔)이 돌출하여 형성된 볼록한 세로 무늬가 많이 있다. 표면은 거칠고 백색의 작은 점과 잔털이 성글 게 있다. 기부(基部)에 긴 열매꼭지가 있다. 열매껍질 안쪽에 세로로 나란히 늘어선 갈색 격막(隔膜)이 있다. 종자는 많고 난형인데 약간 납작하며 한쪽 끝이 조금 뾰족하고 지름이 3~4mm이며 편평하고 윗끝에 흑색의 가늘고 긴 종제(種臍)가 비스듬하게 있다. 양면의 둘레는 어두운 녹색이고 한복판에 타원형처럼 생긴 갈색 반점이 있다. 무르익을 때에는 둘레에 희고 가는 그물 무늬가 있으며 저장한 후에 점차 떨어져 매끈매끈하게 된다. 질이 단단하다. 향기롭고 점액이 많다. 협과가 길고 크며 건조하고 쉽게 부서지지 않으며 종자가 있고 열매꼭지가 없는 것이 좋다. 주산지는 강소(江蘇)이다. 절강(浙江), 강서(江西), 복건(福建), 광서(廣西)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
잎에는 dianthronic heteroside가 들어 있다.

뿌리에는 1.8-dihydroxyanthraquinone, α-hydroxyanthraquinone, emodin, queroetin, physcion과 chrysophanol이 결합되어 있는 heterodianthrones 등을 함유하고 있다.

어린 뿌리에는 chrysophanol 등이 들어 있다."

<종자>

<중약대사전>: "
종자에 physcion인 homodianthrone, rhein, chrysophanol, aloeemodin이 들어 있다. 종자유에는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tetracosanoic acid가 들어 있으며 비검화부에는 sterol이 들어 있다. 또 toxiprotein(독단백=毒蛋白), volatile oils도 들어 있다. 과피에는 apigenin의 C-glycoside가 들어 있다."

[약리작용]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
잎, 뿌리, 씨 속에 들어 있는 volatile oils은 많은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으나 어떤 보고에는 항균작용이 없다고 한다. 물 추출물은 몇몇 진균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잎과 줄기의 물로 달인 전제(煎劑)와 알코올 침전 후의 전제(煎劑)는 guinea-pig의 회장, rat의 자궁에 대하여 흥분 작용이 있고 개의 혈압을 낮추며 전자는 rabbit의 적출 심장에 경미한 흥분 작용이 있고 후자는 rat의 뒷다리 관류의 유량(流量: 흐름량)을 뚜렷이 감소시킨다. 아프리카 민간에서 뱀에게 물린 상처 치료에 쓰는데 이 뿌리로 수종을 치료하거나 완화제 혹은 해열제로 쓴다."

<종자>


<중약대사전>: "
종자는 사하작용이 있는데, 이는 종자 속에 들어 있는 emodin과 관계가 있다. 또한 뚜렷한 독성이 있는데 이는 독성단백을 함유한 것과 관계가 있다. 그러나 항원성이 있기 때문에 개가 면역을 얻을 수 있다. mouse, rat, 말 등의 동물에게 종자를 먹이거나 혹은 벤젠 추출물을 주사하면 모두 독성이 나타났다."

[포제(
炮製)]

<종자>


<중약대사전>: "
열매꼭지를 떼 버리고 잡물을 골라낸 다음 작은 토막으로 자른다. 혹은 손으로 비벼서 열매 껍데기를 제거하고 씨를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성미]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구황본초>: "맛이 조금 쓰다."

3, <남영시약물지>: "맛은 씁쓸하고 떫으며 성질은 차다."

4,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수책>: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종자>


1, <중약대사전>: "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있다."

2, <현대실용중약>: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3, <복건민간초약>: "맛은 쓰고 성질은 조금 차며 독이 없다."

4, <광서중약지>: "맛은 조금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5, <복건중초약>: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약효와 주치]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
숙폐(肅肺),청간(清肝),이뇨(利尿),통변(通便),해독소종(解毒消腫)한다. 기침, 천식, 완복비통(脘腹痞痛), 혈림(血淋), 변비, 두통, 목적(目赤), 정창종독(疔瘡腫毒), 벌레나 뱀에게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2, <중국약식지>: "해수, 위병(胃病), 기괴(氣塊), 기창(氣脹)을 치료한다."

3, <복건민간초약>: "살충 해독한다. 독벌레에 쏘인 상처, 사두정(蛇頭
), 혈림(血淋), 두옹(肚癰)을 치료한다."

4, <남영시약물지>: "간화(肝火)를 가라앉히고 눈을 밝게 한다. 열성(熱性) 안통(眼痛)을 치료한다."

5, <남방주요유독약물>: "만성 변비, 천식을 치료한다."

<종자>


1, <중약대사전>: "
청간(清肝)하고 눈을 밝게 하며 위(胃)를 튼튼하게 하고 통변(通便)하며 해독한다. 목적종통(目赤腫痛), 두훈두창(頭暈頭脹), 소화불량, 위통, 복통, 이질, 변비를 치료한다."

2, <본초강목습유>: "정(疔), 옹(癰)을 치료한다."

3, <이승우, 약용식물학>: "위를 튼튼하게 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여 해열하고 보혈하며 이질을 멎게 한다."

4, <현대실용중약>: "건위정장(健胃整腸)한다. 이질로 인한 복통, 만성 변비, 두창(頭脹)을 치료한다."

5, <복건민간초약>: "익간(益肝), 명목(明目)한다. 간화(肝火)가 눈에 침입하여 빨갛게 붓고 눈이 부시어 강한 빛을 바로 보지 못하는 증세를 치료한다."

6, <강서중약>: "위통, 소화불량을 치료한다."

7, <약재학>: "천식을 치료한다. 종자를 볶아 쓰면 학질을 치료한다."

8, <광서중약지>: "청간명목(淸肝明目)하며,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
내복: 7.5~11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또는 짓찧은 즙을 먹는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종자>


<중약대사전>: "
내복: 7.5~11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1.85~3.75g을 갈아서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개어 바른다."


석결명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244면 29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석결명(망강남: Cassia occidentalis L.) [콩과]

한해살이풀. 높이 50~150cm 가량. 꽃은 황색으로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5~6개씩 달린다. 수술은 10개이나 위쪽 3개는 퇴화한다. 열매는 협과로 길이 10cm이고, 종자는 달걀 모양으로 가운데가 오목하다.

분포/
멕시코 원산으로, 전국에서 재배한다.

약효/
종자를 망강남자(望江南子)라고 하며, 청간(淸肝), 명목(明目), 건위, 통변, 해독의 효능이 있고, 목적종통(目赤腫痛), 소화불량, 복통, 변비를 치료한다.

성분/
뿌리에는 emodin, physcion, chrysophanol 등, 종자에 emodin, rhein, chrysophanol, aloe-emodin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알코올 추출물을 대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배변 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사용법/
종자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석결명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72면 11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망강남(望江南)

기원: 두과(豆果=콩과: Leguminosae)식물인 망강남(望江南=석결명: Cassia occidentalis L.)의 줄기와 잎과 종자(種子)이다.

형태: 관목(灌木) 혹은 반관목(半灌木)으로 높이는 1∼2m이다. 잎은 어긋나며 우수(偶數) 우상복엽(羽狀複葉)이고, 잎자루에는 선체(腺體)가 있으며, 소엽(小葉)은 마주 나고 난형(卵形) 혹은 난상피침형(卵狀披針形)이며 가장자리에 가는 털이 있다. 화서(花序)는 산방화서(傘房花序)로 정생(頂生) 혹은 액생(腋生)하며 꽃은 적은 수가 나고, 꽃받침통은 짧고 5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꽃잎은 5장이고, 수술은 10개이지만 앞면의 3개는 자라지 못하고 제일 아랫면에 있는 2개의 꽃밥은 비교적 크다. 열매는 협과(莢果)로 조형(條形)이며 편평하고 봉합된 선을 따라서 튀어나와 있다.



분포: 모래로 된 산비탈 혹은 강변에서 자란다. 중국의 복건(福建), 대만(台灣), 광동(廣東), 해남(海南), 광서(廣西), 운남(雲南), 사천(四川), 귀주(貴州)지방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8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잎은 Dianthronic heteroside.

기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줄기와 잎: 해독(解毒). 종자(種子): 청간명목(淸肝明目), 건위윤장(健胃潤腸).

주치: 줄기와 잎: 외용(外用)으로 사충교상(蛇蟲咬傷). 종자(種子): 고혈압(高血壓), 두통(頭痛), 목적종통(目赤腫痛), 구강미란(口腔糜爛), 습관성 변비(習慣性 便秘), 이질복통(痢疾腹痛), 만성장염(慢性腸炎).

용량: 종자(種子): 10∼15g. 줄기와 잎: 적량(適量).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667호.]

석결명(망강남)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줄기와 잎>


1, 종독

금두자엽(金豆子葉)을 햇볕에 말려 갈아서 가루내어 식초에 개어서 바르면 종기 뿌리가 없어진다. 혹은 술로 7.5~11g씩 먹는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2, 사두정(
蛇頭)
신선한 양각두엽(羊角豆葉) 한 움큼을 백마자(白麻子)와 같이 짓찧어 상처에 붙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3, 뱀에게 물린 상처

신선한 양각두엽(羊角豆葉) 한 움큼을 짓찧어 짜낸 천연즙을 복용하고 그 찌꺼기는 아픈 곳에 바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4, 혈림(血淋)

양각두(羊角豆) 전초 37.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5, 일반 외과 염증
(임상보고)
신선한 잎 적당량을 짓찧어 바르고 전초 37.5g~75g 혹은 종자 18.5~37.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유선염 2례, 봉와직염, 모낭염 각 1례, 비창(鼻瘡) 2례를 치료하였는데 모두 치유되었다. [중약대사전]

6, 완고성 두통
(임상보고)
망강남 잎 1량과 돼지 정육 250g에 식염 적당량을 넣고 물로 달여서 매일 1제(劑)를 복용한다. 간양(肝陽)이 상항(上亢)으로 생긴 두통 18례를 치료하였는데 조기에 치유된 것이 15례, 신허(腎虛)로 생긴 두통 14례에서 12례가 조기 치유되었으며 편두통 10례에서 9례가 조기 치유되었다. 치유된 병례를 반 년이상 추적 관찰하였으나 재발한 병례는 없었다. [중약대사전]

<종자>


7, 간화(肝火)가 눈을 침범하여 눈이 빨갛게 부어오르고 눈이 부시어 강한 빛을 바로 보지 못하거나 혹은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경우

양각두자(羊角豆子) 18.5~37.5g, 빙당(氷糖) 37.5g에 적당량의 끓인 물을 붓고 약한 불에 장시간 고아 먹는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8, 학질

망강남자(望江南子)를 볶은 다음 갈아서 가루내어 1회 7.5~11g을 하루에 2번 먹는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9, 고혈압

망강남자(望江南子)를 누렇게 볶은 다음 갈아서 가루내어 1회 3.75g을 복용하는데 적당량의 설탕을 넣고 끓는 물을 타서 차 대신 마신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비고(備考)]


<남방주요유독약물(南方主要有毒藥物)>:
"종자나 뿌리를 잘못 먹으면 설사, 구토를 일으킨다.

<해독방법>:
중독되면 위세척을 하고 달걀 흰자, 활성탄(약용탄) 혹은 탄닌산 알부민(타날빈)을 복용시킨다. 정맥에 5% 포도당 염수를 적주하는 등 증세에 맞춰 치료를 한다."

[석결명 재배 방법]


1, 기후와 토양:
따뜻한 환경을 좋아하며 추위에 견디지 못하고 기온이 5℃로 내려가면 식물체가 죽기 시작하고 온도가 10℃보다 낮으면 성장이 정지된다. 생장에 적합한 온도는 16~28℃이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사질 토양이 가장 좋다.

2, 심기:
종자 번식한다. 북경(北京) 지역에서는 4월 중순부터 5월 상순 사이에 파종한다. 종자의 싹트기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먼저 물에 2~4시간 담근다. 줄뿌리기하는데 이랑 간격을 60cm로 하여 홈을 파서 뿌린 후 흙을 2~3cm 두께로 덮고 조금 다져 놓는다. 토양이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여 약 10일 지나면 싹이 나온다. 싹의 높이가 10cm일 때 포기 간격을 30~40cm 되게 씨솎음한다. 1무(畝) 당 종자 1.5~2kg을 뿌린다.

3, 경지관리:
씨솎음한 후 바로 흙을 파 일으켜 부드럽게 하고 김매기를 한다. 15일 후에 다시 한 번 흙을 파 일으켜 부드럽게 하고 북주기를 한다. 6~8월에 묽은 똥거름을 덧거름으로 주는데 1무(畝) 당 350~400kg을 준다. 질소 비료를 주는 외에 인산 비료와 칼륨 비료를 더 준다. [중약대사전]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석결명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대만구글+일본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결명자 무엇인가?
  2. 석결명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