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사나무의
푸른잎, 단풍잎, 꽃, 나무껍질, 덜익은 푸른 열매, 붉게 익은 열매,
열매를 건조하여 썬 것,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모세혈관확장작용,
강압작용, 혈중콜레스테롤감소작용, 강장보호, 혈액순환촉진, 건위, 심장쇠약, 동맥경화, 부정맥, 심장기능강화,
백혈병, 소화 촉진, 고기를 먹고
체한데, 어혈, 촌충, 직장 궤양, 노인 요통 및 각통, 조충병[임상보고],
급성 세균성 이질[임상보고],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임상보고],
강심제, 동맥경화,
심장쇠약, 부정맥, 심계항진, 고혈압초기, 진통, 간담도질병, 빈혈, 비만증, 강장보호, 건위, 복통, 식욕부진, 월경이상,
위염, 위팽만, 유즙부족, 장염, 장 위카타르, 장출혈, 알코올 중독,
진통, 토사곽란, 동상, 소화촉진, 혈괴, 설사, 직장 궤양을 다스리는
산사
산사나무는 장미목
장미과 잎지는 넓은잎 작은 큰키나무이다.
산사나무의 학명은
<Crataegus
pinnatifida ; Hawthorn, Oriental hawthorn, Chinese haw>이다.
높이 3∼6m이며,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가시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6∼8cm, 나비 5∼6cm의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깃처럼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앞면은 반짝이며 양면 맥 위에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2∼6cm이다.
5월경에 배꽃처럼 희고 작은 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둥글고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각각 5장씩임. 꽃밥은 붉은색이다. 이과로, 9∼10월에
지름 약 1.5cm로 둥글고 붉게 익으며 흰 반점이 있고 약용한다. 밀원식물,
조경용으로 심는다.
산사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방에 약 10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3종에
1변종이 살고 있다. 산사는 장미과의 식물인 산사 또는 야산사의 열매이다.
한자 이름을 풀이하자면 산에 자라는 아침의
나무란 뜻을 가지고 있는 나무이다. 밤나무꽃의 특유한 꽃 냄새를 남성에
비유한다면, 산사나무의 꽃 냄새는 여성에 비유할 만하다.
유럽에서도
귀하게 여겼는데, 5월에 만발하는 산사나무의 흰 꽃을 보고 메이플라워(May
flower) 라고 불렀다. 예수그리스도의 가시면류관으로 이야기 되는 몇
개의 식물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산사나무이다. 이 때문에 산사나무가
벼락을 막아주고, 악마를 막아주는 나무라고 신성시했다. 그래서 청교도들이
아메리카대륙으로 타고 떠났던 배의 이름도 메이플라워호였다. 술의
재료로도 유명한 산사는 건위, 소화, 정장 효과가 우수하다. 한방에서는
산사열매를 숙취, 이질, 월경불순, 소화불량, 심장병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사용했고, 과식을 했거나 아기가 젖을 먹다. 체했을 때도 효과가
있다. 열매에 신맛이 있어서 떡, 술, 정과 등 별미 요리에 이용한다.
특히 생선요리를 많이 먹는 일본에서는 산사열매를 많이 이용했다. 유럽에서도
산사열매를 크래테거스(Crataegus) 라고 해서 강심제로 이용한다. 키도
적당하고 잎과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수로 많이 심고 가꾼다. 또
뛰어난 약효 때문에 주로 약재로 많이 재배했다. 햇볕을 좋아하고, 내한성과
내조성이 강해서 생울타리용으로도 적당하다.
개화기는 5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다. 황폐한 산비탈, 개울가, 길가의 관목림속,
강기슭의 모래땅이나 건조하고 모래가 많은 산비탈에서 자란다.
산사나무
및 열매의 다른 이름은 산사[山楂=shān
zhā=싼 ̄짜 ̄: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 구[朹,
계매:檕梅:
이아(爾雅)],
구자[朹子: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서사[鼠査: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양구[羊梂:
도홍경(陶弘景)], 적조실[赤爪實:
당본초(唐本草)], 당영자[棠栐子:
본초도경(本草圖經)], 적조자[赤棗子:
계해우형지(桂海虞衡誌)],
산리홍과[山裏紅果,
산조:酸棗,
비체단:鼻涕團,
시사자:柿摣子:
백일선방(白一選方)], 산리과자[山裏果子: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모사[茅樝:
일용본초(日用本草)], 후사[猴樝: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영산홍과[映山紅果:
구황본초(救荒本草)], 해홍[海紅:
본초품휘정요(本草品彙精要)],
산매자[酸梅子, 산리:山梨: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산사[酸査:
산동중약(山東中藥)], 산자시[サンザシ=山査子,
山樝子:
일문명(日文名)], 당구자[棠毬子],
아가위나무,
야광나무,
동배,
이광,
뚱광,
찔광나무,
산사나무, 산율자,
산당자, 적과자, 산표자, 목도자, 아그배나무, 찔구배나무, 찔배나무,
동배나무, 찔광이
등으로 부른다.
산사나무의
뿌리의 다른 이름은 산사근[山楂根: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산사나무의 목재를 산사목[山楂木: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산사나무의 줄기와 잎을 산사엽[山楂葉: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산사나무의 종자를 산사핵[山楂核:
전남본초(滇南本草)]
이라고 부른다.
[채취]
<열매>
<중약대사전>: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였을 때에 딴다. 산사는 채취한 후 두께가 1.5~3mm되는
얇은 조각으로 가로 썰어서 바로 햇볕에 말린다.
야산사(野山楂)는
채취한 후 그대로 햇볕에 말리거나 눌러서 동글납작한 떡 모양으로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상품으로는 산사편(山楂片)을
북산사(北山楂)라고
부르며 야산사(野山楂)를
남산사(南山楂)라고
부른다."
[약재(藥材)]
<열매>
<중약대사전>:
"1, 북산사(北山楂): 산사(山楂)의 열매로서 공 모양 또는 이형(梨形)이고 지름이 약 2.5cm이다. 표면은 짙은 적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전체에 회백색의 가는 반점이 많이 있고 끝에는 숙악(宿萼)이 있으며 기부에는 열매꼭지의 흔적이 있다. 상품은 보통 3~5cm의 두께로 가로로 자른 것이고 대부분이 쪼그라져서 울퉁불퉁하다. 과육은 짙은 황색 또는 얕은 갈색이고 절단면에 5~6알의 담황색 종자가 보이는데, 종자가 이미 떨어진 것도 있다. 어떤 조각에는 짧은 열매꼭지 또는 아래로 오무라진 꽃받침의 흔적이 있다. 약한 향기가 있으나 맛은 시고 약간 달다. 알이 크고 껍질이 붉고 살이 두꺼운 것이 양품이다.주로 중국의 산동, 하북, 하남, 요녕 등지에서 난다. 섬서, 산서, 강소에서도 난다.
2, 남산사(南山楂): 식물 야산사(野山楂)의 열매로서 공 모양이고 지름이 0.8~1.4cm이며 눌려서 편평해져 동글납작한 떡 모양인 것도 가끔 있다. 표면은 적회색이고 가는 무늬 및 작은 반점이 있으며 꼭대기는 끝이 오목하고 그 가장자리가 약간 돌출하였으며 기부에 열매꼭지의 흔적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핵(核)은 크며 과육이 얇고 적갈색이다. 냄새가 약간 나고 맛은 시고 약간 떫다. 알이 고르고 색깔이 붉고 질이 단단한 것이 양품이다.중국의 강소, 절강, 운남, 사천 등지에서 난다. 그 밖에 아래와 같은 동속 식물의 열매도 일부 지역에서는 산사(山楂)로써 약용한다.
① 산리홍[山里紅: Crataegus pinnatifida Bge.]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3~5개의 깃꼴로 깊이 갈라진다. 열매는 공 모양에 가깝고 지름이 약 1.5cm이며 적색이다. 중국의 동북, 화북 및 섬서, 산동, 강소 등지에 분포한다.
② 호북산사[湖北山楂: Crataegus nupehensis Sarg.] 잎은 달걀 모양 또는 사각원형 달걀 모양이고 중간 부분 이상이 3~5개로 갈라진다. 가시의 길이는 1.5cm이고 열매는 둥근 공 모양이고 지름이 약 1~2.5cm이며 흑적핵이고 작은 뚜렷한 반점이 있다.중국의 중부 및 섬서, 강소 등지에 분포한다.
③ 요산사[遼山楂: Crataegus sanguinea Pall] 잎은 선단이 3~5개로 갈라져 있고 기부는 쐐기 모양이며 꽃밥은 연붉은 빛이거나 자색이며 열매는 산뜻한 홍색이다.중국의 동북 및 산서, 내몽고, 신강 등지에 분포한다.
④ 운남산사[雲南山楂: Crataegus scabrifolia (Franch). Rehd.] 잎몸은 달걀 모양 피침형이거나 달걀 모먕 타원형이며 보통 갈라지지 않으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열매는 공 모양에 가깝고 암적색 또는 황색에 적갈색을 띤 반점이 있다. 중국의 서남 및 광동, 광서 등지에 분포한다."
[성분]
<열매,
종자, 나무껍질>
<중약대사전>:
"야산사(野山楂)에는 oleanolic acid 당류, 산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산리홍(山里紅)의 과실에는 tartaric acid, citric acid, crategolic acid, flabonoid, lactone, 당류 및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야산사(野山楂)의 과실은 citric acid, malic acid, crategolic acid, flabonoid, lactone, 당류 및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야산사(野山楂)의 과실은 citric acid, malic acid, crategolic acid, 탄닌(tannin), 사포닌(saponin), fructose, 비타민(vitanin) C, 단백질 및 지방 등을 함유한다.
유럽 산의 산사(Crataegus oxyacantha) 등의 과실에는 ursolic acid, oleanolic acid, crategolic acid, 탄닌(tannin), hyperin,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cetylcholine, choline, 지방유, sitosterol, tartaric acid, malic acid 등을 함유한다.
종자는 anygdalin, hyperin, 지방유 등을 함유한다.
나무껍질은 aesculin을 함유한다."
<잎>
<중약대사전>: "유럽에서 나는 산사[Crataegus oxyacantha L.]와 단자산사[單子山楂: Crataegus monogyna] 등의 잎에는 quercetin, 루틴(rutin), vitexin, leucocyanidin, flavan polymere 등 여러 종류의 flavone 및 flvonoic gly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crategolic acid, ursolic acid, chlorogenic aicd,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cetylcholine, choline,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열매>
<중약대사전>:
"1, 혈압에 대한 작용: 마취한 토끼에게 산리홍(山里紅) 박편의 에틸알코올 추출물을 정맥 주사하면 혈압을 천천히 지속적으로 하강시키고 3시간 정도 유지시킨다. 두꺼비의 전신 혈관에 관류하면 혈관이 확장된다. 본품은 또 자궁을 수축시키는 작용이 있다.
2, 항균 작용: 초산사(焦山楂: 북경의 약국에서 구입, 품종 미감정)의 탕제는 in vitro시험에서 각종의 적리균 및 녹농균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 작용이 있다. 국외에서는 중국산과 동속으로 종류가 다른 여러 종류의 산사(山楂)를 실험적 동맥 죽상 경화증의 치료 효과의 점에서 중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예산사[五蕊山楂: Crataegus pentagyna]의 유동엑스는 실험적 콜레스테롤성 동맥경화를 일으킨 토끼에 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lecithin 대 콜레스테롤의 비율을 높이고 기관의 콜레스테롤의 심착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동물에 대하여 중추 흥분 작용이 있다. 추출한 사포닌(saponin)에도 유사한 작용이 있다. <Crataegus curvisepala>와 <단자산사(單子山楂: Crataegus monogyna>의 잎에서 추출한 총 flavone은 마취한 동물에 대하여 혈압을 낮추는 작용 및 강심 작용이 있으며 아울러 관상 혈관을 확장시킨다. 후자는 또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에 의하여 일어나는 협심증의 회복을 가속화한다. <단자산사(單子山楂: Crataegus monogyna>도 유사한 작용을 한다."
[포제(炮製)]
<열매>
1, <중약대사전>: "1, 산사(山楂): 잡물을 제거하고 체로 쳐서 핵(核)을 제거한다.
2,
초산사(炒山楂):
깨끗한 산사(山楂)를
약한 불에 표면이 담황색이 되게 술로 볶아 식힌다.
3, 초산사(焦山楂): 깨끗한 산사(山楂)를 냄비에
넣고 겉이 타서 활갈색이 될 때까지 강한 불로 초(炒)하여
맑은 물을 분무하고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4, 산사탄(山楂炭): 깨끗한 산사(山楂)를 냄비로 약성이 남을 정도로 겉이 타서 흑색이 될 때까지 강한 불로 초(炒)하여 맑은 물을 분무한 다음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2, <본초강목>: "9월에 서리가 내린 후 익은 산사(山楂) 열매를 채취하여 핵을 제거한 다음 햇볕에 바짝 말린다. 또는 쪄서 익힌 다음 껍질과 핵을 제거하여 찧어서 떡을 만들어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성미]
<열매>
1, <중약대사전>: "맛은 시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2, <당본초>: "맛은 시며 성질은 냉하고 독이 없다."
3, <일용본초>: "맛은 시고 달며 독이 없다."
4, <본초몽전>: "맛은 달고 매우며 기(氣)는 평(平)하고 독이 없다."
5, <본초강목>: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뿌리>
<분류초약성>: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목재>
<당본초>: "맛은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열매>
1, <중약대사전>: "비(脾), 위(胃), 간경(肝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3, <신농본초경소>: "족양명(足陽明), 태음경(太陰經)에 들어간다."
4, <약품화의>: "비(脾), 간경(肝經)에 들어간다.""
5, <본초경해>: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열매>
1,
<중약대사전>: "식적(食積)을 제거하고 어혈을 없애며 촌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육식으로 인한 적체, 징가(癥瘕), 담음(痰飮), 비만(痞滿), 탄산(呑酸), 설사, 직장 궤양, 요통, 산기(疝氣), 산후 아침통(兒枕痛), 오로가 다 나오지 않았을 때, 영아의 식쳬(食滯)를 치료한다."
2,
<도홍경>: "삶은 즙으로 칠창(漆瘡)을 씻는다."
3,
<당본초>: "즙을 복용하면 매우 이롭다. 머리와 몸에 난 창양(瘡瘍)을 씻는다."
4,
<본초도경>: "이질 및 요통을 치료한다."
5,
<이참암본초>: "소화를 촉진시킨다."
6,
<일용본초>: "식체(食滯)를 삭이고 막힌 기(氣)를 통하게 하며 위(胃)를 튼튼히 하고 흉격을 소통시킨다. 혈비기괴(血痞氣塊)를 삭인다."
7,
<전남본초>: "육식으로 인한 적체를 삭이고 하기(下氣)한다."
8,
<본초몽전>: "결기(結氣)를 순환시키고 음부의 병, 산증을 치료한다."
9,
<영원, 식감본초>: "혈괴, 기괴를 삭이고 혈을 순환시킨다."
10,
<본초강목>: "소화를 촉진시키고 육식으로 인한 적체, 징가,
담음(痰飮), 비만, 탄산(呑酸), 체혈통창(滯血痛脹)을 치료한다."
11,
<본초재신>: "비허(脾虛)로 인한 습열을 치료한다. 음식을
소화시키고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12, <본초촬요>:
"동상에 바른다."
<뿌리>
1, <중약대사전>: "체한 음식물을 제거하고 풍을 제거하며 지혈하는 효능이 있다. 식적, 이질, 관절통, 객혈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체한 음식물을 제거한다. 반위를 치료한다."
3, <분류초약성>: "중격(中膈)의 기(氣)를 삭이고 육적(肉積)을 제거한다."
4, <절강민간초약>: "풍사를 몰아내고 혈액 순환을 촉지한다. 관절통을 치료한다."
<목재>
<당본초>: "수양성 설사, 두풍, 몸의 겨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잎, 꽃, 줄기>
1, <중약대사전>: "잎과 꽃을 차에 담가서 복용하면 고혈압을 치료한다."
2, <주후방>: "줄기와 잎을 달인 물로 칠창(옻이 오른데)을 씻는다."
<종자>
1, <중약대사전>: "식적(食積), 산기를 치료한다."
2, <본초강목>: "이것을 복용하면 소화를 촉진시키고 체한 음식물을 제거하며 퇴산(㿗疝)을 치료한다."
3, <본초종신>: "산기(疝氣)를 치료하고 분만을 촉진한다."
[용법과 용량]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2~4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분말 또는 환을 만들어
먹는다.
외용: 턍약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종자>
<중약대사전>:
"내복: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열매>
1,
<중약대사전>: "비위가 허약한 환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2,
<본초강목>: "생것을 많이 복용하면 번조하고 쉽게 배가
고프며 치아가 손상된다. 충치가 있는 사람은 특히 나쁘다."
3,
<신농본초경소>: "비위가 허하고 적체가 있는 환자는 보약과
함께 쓰지 않으면 안 되고 과도하게 복용하면 좋지 않다."
4,
<수식거음식보>: "많이 복용하면 기를 소모하고 치아를 손상시키며
쉽게 공복감을 느끼게 된다. 공복시 쇠약한 자 또는 앓고 난 환자는
복용해서는 안 된다."
산사자의 효능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사자(山楂子, 찔광이)
식적(食積)을 삭히고 오랜 체기를 풀어 주며 기가 몰린 것을 잘 돌아가게 하고 적괴(積塊), 담괴(痰塊), 혈괴(血塊)를 삭히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이질을 치료하며 종창을 빨리 곪게 한다.
○ 일명 당구자(棠毬子)라고도 하며 산속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선 것은 푸르고 익으면 붉어진다. 절반쯤 익어서 시고 떫은 것[酸澁]을 약재로 쓴다. 오랫동안 묵은 것이 좋다. 물에 씻은 다음 잘 쪄서 씨를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입문].] 산사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사(山査, 酸査)
// 찔광이, 당구자(棠毬子) [본초]
배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인 찔광이나무(Crataegus pinnatifida Bunge.)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찔광이나무(아가위나무, 산사나무,
아그배나무, 찔구배나무, 찔배나무)는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산골짜기나
산기슭, 밭둑, 집 주변에서 널리 자란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음식을 소화시키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하며 비장을
보하고 이질을 낫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알코올추출액은 진정작용을
나타내고 플라보노이드성분은 강심작용을 나타낸다. 그밖에 모세혈관확장작용,
강압작용, 혈중콜레스테롤감소작용이 밝혀졌다. 관상혈관도 확장시키는데
이 성분은 잎, 꽃, 껍질, 줄기, 뿌리에도 있다.
소화장애, 식체
특히 고기를 먹고 체한 데 주로 쓴다. 징가, 산후복통, 이질,
산증, 어린이가 젖을 먹고 체한 데도 쓰며 고혈압병 초기,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장쇠약, 심장기능장애, 심계항진, 부정맥, 혈관신경증
등에도 쓴다. 최근에는 간종대, 비장종대에 써서 효과를 보고
있다. 하루 9~15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산사나무의 효능에 관하여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214면 25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사나무
[장미과]
학명: Crataegus pinnatifida Bunge.
갈잎큰키나무. 높이 5m 가량. 꽃은 백색으로 5월에 산방 꽃차례로 달리고 지름 1.8cm가량이다. 꽃잎은 둥글고 꽃받침잎과 더불어 각각 5개이다. 수술은 20개, 꽃밥은 홍색이다. 암술대는 3~5개이다. 열매는 이과로 둥글고 지름 1.5cm 가량이며 백색 반점이 있고 9~10얼에 붉게 익는다.
분포/ 전국의 산기슭이나 마을 근처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에 분포한다.
채취/ 전초를 가을부터 겨울까지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열매를 산사자(山楂子)라 하며, 식적(食積)을 없애고 어혈을 풀어 주며 촌충구제의 효능이 있고, 육적(肉積), 담음(痰飮), 하리, 장풍(腸風), 요통, 산후여혈을 치료한다.
성분/ 열매에는 hyperoside, quercetin, oleanolic acid, hype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마취시킨 토끼에게 열매 알코올 추출물을 정맥 주사하면 혈압을 강하시켜 3시간 지속되며, 두꺼비의 전신 혈관에 주사하면 혈관이 확장된다. 달인 액은 적리균, 녹농균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고, 유동 엑스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킨다.
사용법/ 열매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에 주의하여야 하며, 생것을 많이 먹으면 치아를 상하게 한다. 열매의 지름이 2.5cm 가량인 넓은잎산사[var. major (N. E. Brown) W. Lee], 산사나무에 비하여 잎의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진 아광나무[C. maximowiczii Schneid.]도 약효가 같다.]
산사나무의 효능에 대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62면 9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리홍(山里紅)
기원: 장미과(薔薇科: Rosaceae)식물인 신리홍(山里紅=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Bge var.major N.E.Br.)의 과실(果實)이다.
형태: 낙엽성(落葉性) 교목(喬木)으로 분지(分枝)가 많고 가시가 있거나 혹은 없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상(三角狀)의 난형(卵形)이고 2∼4쌍의 우상(羽狀)으로 갈라지고 엽연(葉緣)에 중거치(重鋸齒)가 있다. 꽃은 산방화서(傘房花序)에 달리고 백색(白色)이며, 꽃받침통은 종모양이고 꽃받침잎은 5개의 치열(齒裂)이 있으며, 꽃잎은 5장으로 도란형(倒卵形) 또는 원형(圓形)에 가깝고, 수술은 약 20개이며 자방(子房)하위이다. 열매는 이과(梨果)이며 구형(球形)이고 심홍색(深紅色)으로 직경은 2.5cm에 달하고 3∼5개의 소핵(小核)이있다.

분포: 산비탈의 모래땅과 강가의 잡목숲에서 자란다. 중국의 화남(華南), 동북(東北) 지방에 널리 재배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철 열매가 익으면 채취하여 가로나 세로로 절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crataegolic acid, vitamin C.
기미: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 소적화체(消積化滯), 파기산어(破氣散瘀).
주치: 육식적체(肉食積滯), 완복창통(脘腹脹痛), 고혈지증(高血脂症).
용량: 6∼12g.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3권, 146면.]
◆
산사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열매>
1,
모든 식적(食積)의 치료 산사(山楂)
4냥, 백출(白朮) 4냥, 신국(神麯)
2냥을 가루내어 쪄서 벽오동 씨 크기의 환을 만들어 70환을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 [단계심법(丹溪心法)]
2, 고기를 먹고 소화되지
않을 때 산사육(山楂肉)
4냥을 삶아 먹고 또 그 즙을 마신다. [간편단방(簡便單方)]
3,
모든 체(滯)로 인한 복통 산사(山楂)만을
달여서 마신다. [방맥정종(方脈正宗)]
4, 적백리 산사육(山楂肉)을
양에 상관없이 초(炒)해서 가루내어 1회에 1~2돈을 적리에는 벌꿀로
개고 백리에는 홍당(紅糖)과 백당(白糖)을 섞고 적백리에는 벌꿀과 설탕을
각각 절반씩 섞어서 끓인 맹물로 빈속에 복용한다. [의초유편(醫鈔類編)]
5,
직장 궤양 산조(酸棗)의 육(肉)과 핵(核)을 태워서 재로 만들어
미음으로 복용한다. [백일선방(百一選方)]
6, 노인의 요통과
각통의 치료 당구자(棠梂子), 자녹용(炙鹿茸)을 각 같은 양 가루내어서 벌꿀로 벽오동 씨 크기의 환을 지어 1회에 100환을, 1일 2회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7,
한습기(寒濕氣)에 의한 소복의 동통, 외신(外腎)의 편대종통(偏大腫痛)의 치료 회향(茴香), 시사자(柿楂子)를 각각 같은 양, 미세한 분말로 가루내어 매회 1~2돈을 더운 소금물이나 술로 빈속에 복용한다. [백일선방(百一選方)]
8,
산부의 오로가 멎지 못화고 배가 아른 증상 또는 산후 복통 산사(山楂)
110개를 부수어서 달이고 설탕을 약간 가하여 빈속에 데워서 복용한다.
[주진형(朱震亨)]
9,
조충병(임상보고) 신선한
산사(山楂)
2근(말린 것은 0.5근, 소아는 적당히 감량한다)을 씻어 핵을 제거해서
오후 3시부터 조금씩 먹기 시작하여 밤 10시까지 모두 복용한다. 저녁
식사는 금한다. 여름날 아침 빈랑(빈랑) 2냥에 물을 가하여 한 찻잔이
될 때까지 달여서 1회에 모두 복용하고 누워서 휴식한다. 대변을 보고
싶어도 참고 시간을 연장한 다음 대변을 보면 바로 완전히 촉백충을
배출할 수 있다. 겨울에는 온수변통(온수변통)에 앉아 대변을 봄으로써,
충체가 냉기를 받아 오그라들면서 완전한 충체로 배출되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40례를 관찰한 결과 모두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10, 급성 세균성 이질(임상보고) 산사(山楂)의 20% 탕제에 당을 가하여 맛을 좋게 하여 1회에 200ml(소아는 적당히 감량한다)를 매일 3회 복용하며 7~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24례를 치료한 결과 모두 유효하였다.또 산사(山楂) 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여, 정도와 중등도의 세균성 이질 30례를 치료한 결과, 3례가 무효인 것 외에 모두 완치 또는 호전되었다. 또 생것과 익은 산사편(山楂片) 각각 1냥에 물 500ml를 붓고 5분 동안 달여서 2회에 나누어 복용(소아는 적당히 감량한다)하며 4~6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해도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11,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임상보고) 매일 산사(山楂) 1냥과 모동청(毛冬靑) 2냥을 2회에 나누어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20례를 관찰한 결과, 치료 전 평균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 253.2mg%가 되어, 통계학으로 처리해 보니 그 차이는 역력했다. 20례 중, 11례에서 혈청 콜레스테롤이 200mg% 이하까지 내려 갔고 평균 하강은 52.9mg%였다. 이 주요 작용은 산사(山楂)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모동청(毛冬靑)의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는 각지의 관찰 결과를 보면 현재 그것을 인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그룹의 병례 중 4례는 산사(山楂)를 단용하는 것 만으로, 모동청(毛冬靑)을 쓰지 않고도 효과를 얻을 수가 있었고 복용 전의 혈청 콜레스테롤 평균 259.7mg%가 복용 후 6주일 째에 검사한 결과 214mg%까지 내려 갔다. 그 밖에 산사(山楂)의 꽃과 잎을 침제로 하여 복용하면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중약대사전]
<뿌리>
12, 소화 불량, 어린아이의 식적(食積) 야산사(野山楂)의 뿌리와 과실을 각 4돈, 차전초(車前草)를 3돈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3, 관절통 산사근(山楂根), 자등근(紫藤根), 활혈용(活血龍), 계지(桂枝), 낙석등(絡石藤), 인동등(忍冬藤) 각 3~5돈의 탕약을 술에 타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4, 폐결핵으로 인한 객혈 야산사(野山楂)의 뿌리 1~2냥을 물로 달여 놓는다. 백모화(白茅花) 3~5돈을 태워서 재로 만들어 미리 달여 둔 탕약으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5, 세균성 이질 산사근(山楂根) 5돈, 소과축등(小果蓄藤, 칠자매:七姉妹) 뿌리 5돈을 물로 달여서 이것을 1일분으로 하여 2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단방험방조사자료선편(單方驗方調查資料選編)]
<종자>
16, 단단하고 오래된 위적(胃積), 조잡탄산(嘈囃呑酸), 협간적괴(脇間積塊)로 인한 동통 산사핵山楂核: 황색(黃色)으로 초(炒)하여 분말로 한 것] 5돈, 사질려(沙蒺藜) 5돈[배(焙)한 것], 계내금(鷄內金) 5돈[배황(焙黃)한 것]을 가루내어 1회에 1돈씩 끓인 맹물로 복용한다. 생것과 찬 것은 금한다. [전남본초(滇南本草)]
17, 난산의 치료 산사핵(山楂核) 49알을 백초상(百草霜)으로 싸서 술로 삼킨다. [해상방(海上方)]
18, 음신퇴종(陰腎 腫) 감람핵(橄欖核), 여지핵(荔枝核), 산사핵(山楂核) 각 같은 양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미세한 분말로 갈아 1회에 2돈씩 빈속에 회향탕(茴香湯)으로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주진형(朱震亨)>: "산사(山楂)는 음식을 아주 잘 소화시킨다. 만약 위 속에 식적(食積)이 없고 비(脾)가 허하여 소화되지 못하고 먹으려고 하지 않은 사람이 이것을 많이 복용하면 반대로 비위(脾胃)에서 생겨나는 기(氣)를 손상한다."
2, <본초경소(本草經疎)>: "산사(山楂)는 <신농본초경(신농본초경)>에서 맛은 시고 기(氣)는 냉(冷)하다고 하였는데, 능히 식적(食積)을 소화시키고 어혈을 없애는 것을 보면 기(氣)가 냉(冷)한 것이 아니다. 적체가 있으면 설사하고 산후의 오로가 다 제거되지 않아 태음(太陰) 부분에 축적되면 산후 복통이 된다. 산사(山楂)는 비위에 들어갈 수 있어 식적(食積)을 소화시키고 숙혈(宿血)을 푼다. 때문에 수리(水痢) 및 산부 복중의 괴통(塊痛)을 치료한다.
대체적으로 이것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비위(脾胃)를 튼튼히 하며 엉킨 기(氣)를 소통시키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때문에 소아와 산모는 많이 복용하면 좋다. <신본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냉(冷)하다고 잘못 설명하였기 때문에 창양(瘡瘍)을 씻는데 쓴다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
3, <본초통현(本草通玄)>: "산사(山楂)는 맛이 중화하고 기름기가 많은 적체를 소화하기 때문에 소아과에서 쓰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중한 상한의 경우에 장중경(張仲景)은 숙체불화(宿滯不化)한 증상에만 대(大), 소승기탕(小承氣湯)에 썼으며 113방(方)에는 결코 산사(山楂)를 쓰지 않았다. 이는 그 성질이 완하여 중임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핵은 공력이 있으므로 버려서는 안 된다."
4, <본초구진(本草求眞)>: "산사(山楂)는 비(脾)를 튼튼하게 한다고 했는데 이는 그 비에 식적(食積)이 있는 경우에 산사(山楂)의 산함미(酸鹹味)를 써서 소화시키고 행식소담(行食消痰)하고 파기화설(破氣化泄)함을 이르는 말이다. 즉 소화 불량 치료로써 튼튼하게 한 것이다. 산후 복통을 멈추게 하고 두창(痘瘡)이 나오지 않는 것을 나오게 함은 어혈을 없애고 순환시키는 속도가 신속하다는 점을 설명해 준다. 대소 2종류가 있는데, 작은 것은 약에 넣는다. 사용할 때에는 피핵(皮核)을 버리고 짓찧어 환을 지어 양건(陽乾)해서 쓴다. 북(北)에서 나는 것은 큰 것이 좋다."
5, <의학충중참서록(醫學衷中參西錄)>: "산사(山楂)는 감약(甘藥)을 좌(佐)로 하면 어혈을 없애면서 신혈(新血)을 상하지 않으며 울기를 풀면서 정기(正氣)를 상하지 않는다. 그 성질은 특히 화(和)하고 평(平)하다."
[비고(備考)]
<본초강목(本草綱目)>: "적과(赤瓜), 당구(棠梂), 산사(山楂)는 한 가지 것으로서 고방(古方)에서는 적게 사용하였다. 때문에 <당본초(唐本草)>에 적과(赤瓜)가 기재되었지만 후에 사람들은 이것이 바로 그것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주단계(朱丹溪)는 맨 처음 산사(山楂)의 효능을 서술하였으며 이로부터 산사(山楂)는 점차 중요한 약으로 사용되었다. 이 약은 2 가지가 있는데 모두 산 속에서 자란다. 한 가지는 작은 것인데 산중 사람들은 당구자(棠朹子), 모사(茅楂), 후사(猴楂)라고 부르는데 약용으로 할 수 있다. 나무 높이는 수척에 달하고 잎은 5개이며 아간(椏間)에 가시가 있다. 3월에 작고 흰 5출(出)의 꽃이 피며 열매는 적(赤), 황(黃) 2색이고 큰 것은 작은 능금 같고 작은 것은 손가락만하다. 9월에 익는다. 그 핵의 모양은 견우자(牽牛子)와 같고 흑색이며 아주 단단하다. 다른 한 종은 큰 것인데 산중 사람들은 양구자(羊朹子)라고 부른다. 나무의 높이는 1장(丈) 남짓하고 꽃과 잎은 모두 같은데 과실이 좀 크고 황녹색이고 껍질이 깔끄럽고 살이 적은 것이 다르다. 처음에는 아주 시고 떫은데 서리를 맞으면 먹을 수 있다. 효능은 같지만 약을 채취하는 사람들은 이것을 뜯지 않는다. <물류상감지(物類相感誌)>에서 늙은 닭의 질긴 고기를 삶을 때에 산사(山楂) 몇 알을 넣으면 쉽게 연해진다고 했는데 이것으로부터 그 육적(肉積)을 소화시키는 효능을 알 수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산사나무 사진 감상:
1,
2,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산사나무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