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두근(광두근) 무엇인가?

중국에서 자생하는 콩과의 산두근

 

 

 

 

 

 

 

 

 

 

[산두근의 잎, 노란꽃, 푸른열매, 검게 익은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홍콩 구글 이미지 검색]

 

 

 

 

[대만산두근의 잎, 흰꽃, 푸른열매, 검게 익은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홍콩 구글 이미지 검색]

면역항진과 항암작용, 백혈구상승작용, 항균작용, 청화시키는 작용, 소종작용, 독풀이작용, 심장에 수축력 증강, 청열해독, 오랜 기간 쓸 수 있는 항암약, 아픔멎이, 인후종통, 폐결핵, 급성황달성 간염, 치질, 옴, 피부병, 소종지통, 간염, 치창, 인후염, 편도선염, 치은염, 피부종기, 폐열로 인한 해소 및 천식, 병독성간염, 만성기관지염, 심장박동이상, 급성편도선염을 다스리는 산두근

산두근은 중국에서 자라는 콩과의 낙엽성 떨기나무이다.

산두근의 학명은 <
Sophora tonkinensis Gagnep.>이다. 관목으로 어린줄기는 유모로 빽빽히 덮여 있다. 잎은 1 우상복엽으로 난형의 소엽이 1117장이며 잎의 앞면은 짧은 털로 성기게 덮여 있고 뒷면은 유모가 밀착한 채 밀생한다. 총상화서 또는 원추화서가 정생하며 꽃은 황백색이고, 꽃받침은 5조각의 톱니모양으로 갈라지고, 화관은 접형이며, 수술은 10개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암술머리는 두상이며 유모가 밀생한다. 열매는 구슬을 꿴 모양의 협과인데 털이 있다.

석회암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중국의 광서(廣西), 귀주(貴州), 운남(雲南)지방에 분포한다. 산두근을 <광두근(豆根)>이라고 부르게 된 경위에 대해서 중국의 광서성에서 많이 생산되므로 <광두근(豆根)>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대만에서 자생하는 산두근은 노란꽃이 아니라 흰꽃이 피는데 중국에서 대만산두근이라고 하여 함께 약용하고 있다. <대만산두근(
台灣山豆根)>의 학명은 <Euchresta formosana (Hayata) Ohwi>이다.

산두근의 여러 가지 이름은
산두근[山豆根=shān dòu gēn=또우, 광두근:豆根, 고두근:苦豆根, 산대두근:山大豆根: 백도백과(百度百科)], 월남괴[越南塊: 중약지(中藥誌),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등으로 부른다.

산두근의 효능과 관련하여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41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산두근

학명:
Sophora subprostrata Chun et T. Chen

다른 이름:
광두근

식물:
높이 1~2m 되는 떨기나무이다. 잎은 11~17개의 달걀 모양 쪽잎으로 이루어진 깃겹잎이다. 연한 노란색 꽃이 핀다.

중국의 광서성에서 생산되므로 광두근이라고도 한다.

산두근은 970년대의 옛 동의문헌에 처음으로 서술된 이후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기원식물이 이용되고 있다. 중국의 동북 지방에서는 <새모래덩굴뿌리>, 중부지방에서는 콩과의 <Indigofera> 등 많은 식물의 뿌리를 <산두근>으로 쓰고 있다. 아직 산두근의 기원식물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Sophora subprostrata>로 추정된다.

이 식물 뿌리의 성분은 너삼과 비슷하다. 그러므로 식물분류학적으로나 성분으로 보아 <새모래덩굴뿌리>보다는 <너삼뿌리>를 산두근으로 쓰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된다.

성분:
뿌리에 알칼로이드(마트린, 옥시마트린, 아나기린, 메틸시티진), 플라보노이드(소포라딘, 소포라논, 소포라도크로멘, 소포라노크로멘), 기타 ι-마키아인, 게니스테인, 트리폴리신, ι-프테로카르핀, β-시토스테롤, 루페올 등이 있다.

작용:
뿌리의 물 우린액은 결정형 요시다육종 및 결절형 복수간암 흰쥐에서 60%의 치료율을 나타냈다. 종양세포에 대한 직접 파괴작용은 약하지만 백혈구 감소와 같은 부작용이 없으므로 오랜 기간 쓸 수 있는 항암약으로서 전망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뿌리는 열을 내보내며 아픔멎이, 독풀이작용이 있어 인후종통, 급성 편도염, 폐결핵, 급성황달성 간염, 치질, 옴 등에 쓴다. 특히 현삼뿌리, 박하와 같이 인후종통에 쓰면 효과가 좋다. 3~10g을 물에 달여 먹으며 피부병에는 바르고 씻는다.]

산두근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18213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두근(山豆根)/광두근(廣豆根)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월남괴(越南塊=산두근: Sophora tonkinensis Gagnep.)의 뿌리이다.
형태: 관목으로 어린줄기는 유모(柔毛)로 빽빽히 덮여 있다. 잎은 1()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난형(卵形)의 소엽(小葉)1117장이며 잎의 앞면은 짧은 털로 성기게 덮여 있고 뒷면은 유모(柔毛)가 밀착한 채 밀생한다. 총상화서(總狀花序) 또는 원추화서(圓錐花序)가 정생(頂生)하며 꽃은 황백색(黃白色)이고, 꽃받침은 5조각의 톱니모양으로 갈라지고, 화관(花冠)은 접형(蝶形)이며, 수술은 10개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암술머리는 두상(頭狀)이며 유모(柔毛)가 밀생한다. 열매는 구슬을 꿴 모양의 협과(莢果)인데 털이 있다.




[중국에서 자생하는 산두근의 노란꽃, 잎,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홍콩구글 이미지검색]

분포: 석회암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중국의 광서(廣西), 귀주(貴州), 운남(雲南)지방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matrine, oxymatrine, sophocarpine, isoprenyl chalcone .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있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이인(消腫利咽).

주치: 급성 인후염(急性 咽喉炎), 간염(肝炎), 치창(痔瘡).

용량: 39g.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150.]

산두근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산두근(山豆根)


[기원]
콩과의 낙엽성 떨기나무인 광두근(廣豆根: Sophora subprostrata Chun et T. Chen)의 뿌리이나,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wii Max.)는 토두근(土豆根)이라고 하여 대용품으로 사용한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주치]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지통(消腫止痛)한다.

[임상응용]
청화(淸火)시키는 작용이 있어 인후염, 편도선염, 치은염에 소염효과가 있고, 소종(消腫)작용으로 피부종기를 풀어주며, 폐열(肺熱)로 해소, 천식이 있을 때에 유효하다.

[임상연구]
병독성간염, 만성기관지염, 심장박동이상, 급성편도선염에 유효하였다.

[약리]
심장에 수축력을 증강시키고, 면역항진과 항암작용, 백혈구상승작용, 항균작용이 알려졌다.

[화학성분]
matrine, oxymatrine, anagyrine, sophoranochrome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땅비싸리 및 산두근의 효능에 대해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153면 305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땅비싸리 [콩과]

학명/
Indigofera kirilowii Maxim.)

갈잎떨기나무. 높이 1m 가량. 꽃은 홍자색으로 5~6월에 핀다. 열매는 협과로 9~10월에 익고, 종자는 긴 원주형이며 흑자색이다.

분포/
백두산을 비롯한 전국의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며,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뿌리를 산암황기(山岩黃
)라고 하며, 지한(止汗)의 효능이 있고, 내몽고 지방의 민간 약초로서 표허(表虛)로 인한 자한(自汗)을 치료하며, 강장제로도 이용한다.

사용법/
뿌리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중국에서 산두근(山豆根)의 대부분은 산두근(Sophora subprostrata Chun et T.)의 뿌리를 사용하는데, 이것을 광두근(廣豆根)이라고 한다. 인후염, 기침, 폐렴, 황달, 뱀독 치료에 사용한다.]

묏황기의 효능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 제 9권 92면 4196호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암황기(山巖黃芪)

기원: 두과(豆科=콩과: Leguminosae)식물인 산암황기(山巖黃芪=묏황기: Hedysarum alpinum L.)의 뿌리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40∼100cm이다. 뿌리는 굵고 단단하며 어두운 갈색(褐色)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세로로 고랑이 패여 있으며 털이 없다. 잎은 단수우상복엽(單數羽狀複葉)이고 소엽(小葉)은 9∼21장이며, 엽신은 난상(卵狀) 구원형(矩圓形), 좁은 타원형(橢圓形) 혹은 피침형(披針形)이고 잎끝은 둔두(鈍頭) 혹은 약간 첨두(尖頭)이며 엽저는 원저(圓底) 혹은 넓은 쐐기모양이고, 잎가장자리는 전연(全緣)이며, 탁엽(托葉)은 피침형(披針形) 혹은 거의 삼각형(三角形)이고 기부(基部)는 합생(合生)하며 막질(膜質)이고 갈색(褐色)이다. 총상화서(總狀花序)는 액생(腋生)하며 길게 늘어져 있고, 꽃은 여러개이며, 포편(苞片)은 선형(線形)이고 막질(膜質)이며 갈색(褐色)이고, 꽃받침은 짧은 종상(鐘狀)이고 짧은 유모(柔毛)가 있으며 꽃받침잎은 5장이고 삼각형(三角形)에서 좁은 피침형(披針形)까지이며 화관(花冠)은 남자색(藍紫色)이고 기판(旗瓣)은 긴 도란형(倒卵形)이며 정단(頂端)은 약간 함몰되어 있고 익판(翼瓣)은 기판(旗瓣)보다 조금 작고 용골판(龍骨瓣)은 기(旗), 익판(翼瓣)보다 조금 길며 조(爪)와 단이(短耳)가 있고 자방에는 털이 없다. 열매는 협과(莢果)이고 협절(莢節)이 있으며 거의 편평하고 타원형(橢圓形)에서 좁은 도란형(倒卵形)까지이며 양면에는 망상(網狀)의 맥문(脈紋)이 있다.



분포:
하곡의 소택화된 습기가 많은 풀밭, 강변의 소택화한 관목숲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내몽고(內蒙古)에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지역에서부터 북부지방에 걸쳐 자란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효능:
지한(止汗).


주치: 내몽고(內蒙古)의 민간요법으로 표허자한불지(表虛自汗不止), 강장(强壯)에 사용한다.

용량: 9∼15g.

참고문헌:
내몽고약재자원보사선편(內蒙古藥材資源普査選編) 1권, 10, 113, 220면; 내몽고식물지(內蒙古植物誌) 3권, 243면.]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산두근
사진 및 감상: 대만구글+홍콩구글+대만구글: 1, 2, 대만산두근3,

중국 산두근 상세 사진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광대싸리 무엇인가?
  2. 낭아초 무엇인가?
  3. 땅비싸리 무엇인가?
  4. 산두근 무엇인가?
  5. 싸리나무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