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달래(해백) 무엇인가?

산과 들에서 자라는 야생파 산달래

 

 

 

 

 

 

 

 

img1.jpg

img1.jpg

 

 

 

 

img1.jpg

 

 

 

 

[산달래의 어린잎, 줄기, 꽃봉오리, 꽃이핀 모습, 영근 살눈, 주아인 살눈과 꽃봉오리, 살눈에서 또다시 꽃이핀 모습과 꽃 확대, 살눈에 싹이 난 모습, 살눈안의 인경, 비늘줄기인 인경과 새끼를 친 새로운 인경과 수염 뿌리, 열매, 열매 직경 4mm 삼각형, 3개가 들어 있는 검은 종자, 검은 종자의 돌기가 있는 표면 확대 사진, 사진출처: 일본/중국/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균작용, 통장산결, 행기도체, 흉비동통, 담음해수,설리후중, 건위제, 정장제, 산결, 완비불서, 건구, 사리후증, 창절, 금창, 적리, 적백리, 개선, 폐기로 인한 천식, 곽란으로 헛구역질이 멎지 않는데, 인후종통, 만성비염, 생선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임신 중 태동에 이상이 있고 뱃속이 냉하며 아플 때, 흉비심통이 등에까지 침투하는 증상, 기의 순환을 조절하는데, 흉부를 소통하는데, 장기를 통하게 하는데, 화상을 다스리는 산달래

산달래는 백합과의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 살이 풀이다.

학명은 <
Allium macrostemon Bunge>이다. 돌달래, 큰달래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40∼60cm이다. 포기 전체에서 마늘 향이 난다. 비늘줄기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지름 1.5cm 정도이고 막질(膜質: 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로 덮여 있으며 늦가을에 잎이 나와서 겨울을 지낸다. 꽃줄기 아랫부분에 2∼4개의 잎이 달린다. 잎은 밑부분이 잎집이 되며 단면은 삼각형이고 윗면에 홈이 파인다.

꽃은 5∼6월에 연한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피고 10여 개가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15∼20mm이다. 포(苞)는 2개이며 막질이고 어린 꽃이삭을 완전히 둘러싼다. 화피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4∼6mm이고 끝이 둔하다.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6개씩이고 수술대는 화피갈래조각보다 길다. 암술대는 1개이고 종자는 검은색이며 꽃은 일부 또는 전부가 대가 없는 작은 구슬눈 즉 살눈으로 변하기도 한다. 꽃밥은 자줏빛이고 열매는 삭과이다.

열매로도 번식하고 주아인 살눈으로도 번식하며 비늘줄기인 인경의 뿌리에서도 새로운 인경이 생기면서 번식한다.

연한 포기 전체를 식용하고 비늘줄기를 건위제, 정장제로 쓰며, 화상 치료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산달래의 다른 이름은 해백[白=xiè bái=씨에바이, 교자:蕎子: 본초도경(本草圖經)], [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해근[根: 주후방(後方)], 유두[頭: 육천본초(陸川本草)], 대두채자[大頭菜子: 신강약재(新疆藥材)], 야산[野蒜, 소독산:小獨蒜: 중약형성경험감별법(中藥形性經驗鑑別法)], 소산[小蒜, 택산:宅蒜: 하북약재(河北藥材)], 채지[菜芝: 명의별록(名醫別錄)], 유자[子: 본초강목(本草綱目)], 상곡채[祥穀菜: 철령현지(鐵嶺縣誌)], 해백두[白頭: 약재학(藥材學)], 소근산[小根蒜, 소근채:小根菜: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노비루[ノビル=野蒜: 일문명(日文名)], 산산[山蒜], 꿩마농[드릇마농: 제주 방언], 달리[연변방언], 돌달래, 원산부추, 큰달래, 달래, 달롱게, 산달래 등으로 부른다.

산달래의 잎을
해엽[
葉: 정화본초(政和本草)]이라고 하여 함께 약용한다.

◎ 참고:
산달래를 해백이라고 하여 중국에서는 아래와 같은 종류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1, 소근산[小根蒜: Allium macrostemon Bge.]

경작지 잡초 중에서 섞여 나거나 산지의 비교적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중국에서는 흑룡강, 길림, 요녕, 하북, 산동, 호복, 귀주, 운남, 감숙, 강소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2, 해[
: Allium chinense G. Don.]
산지의 응달 습지에서 자란다.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3, 밀화소근산[密花小根産: Allium macrostemon Bge. var. uratense (Franch) Ariy-Shaw.]

중국의 산동에서 나온다.

4, 장경해백[長梗
白: Allium nerinifolium Bak]
중국의 동북에서 나온다.

5, 천람소근산[天藍小根蒜: Allium coeruleum Pall.]

중국의 신강에서 나온다.

[채취]

<중약대사전>: "중국 북방에서는 대부분 봄에 남방에서는 대부분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서 채취한다. 뿌리째 파내서 줄기, 잎 및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열탕으로 잘 끓여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다. 본품은 건조한 곳에 놓아두어 방습, 방충한다."

[약재]

<중약대사전>: "말린 비늘줄기는 불규칙한 달걀 모양을 나타내고 크기가 같지 않다. 길이는 1~1.5cm이고 지름은 0.8~1.8cm이며 상부에는 줄기의 흔적이 있다. 표면은 황백색 또는 연한 다갈색이고 반투명하며 세로의 홈과 주름이 있고 막질의 비늘이 붙어 있는 것도 있지만 비비면 쉽게 벗겨진다. 질은 단단한 각질이어서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 절단면은 황백색이고 마늘 냄새가 나며 맛은 약간 맵다. 크고 단단하고 알차며 황백색으로 반투명하며 꽃자루가 붙어 있지 않은 것이 양품이다.

주산지는 중국의 동북(東北), 하북(河北), 강소(江蘇), 호북(湖北) 등지이다."

[포제(炮製)]

<중약대사전>: "
1, 해백(
): 불순물을 제거하고 체에 쳐서 수염뿌리를 제거한다.

2, 초해백(炒
): 깨끗한 해백()을 남비에 넣고 약한 불에 표면이 검게 눌을 때까지 볶아서 꺼내어 식힌다."

[성미]

1, <중약대사전>: "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3, <명의별록>: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4, <천금, 식치>: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미끄러우며 독이 없다."

5, <의림찬요>: "맛은 달고 시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귀경]

1, <탕액본초>: "수양명경(手陽明經)에 들어간다."

2, <본초경해>: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비늘줄기>


1, <중약대사전>: "기의 순환을 조절하고 흉부를 소통시키며 양기(陽氣)를 통하게 하고 산결(散結)하는 효능이 있다. 흉비심통(胸痺心痛)이 등에까지 침투하는 증상, 완비불서(脘
痞不舒), 건구(乾嘔), 사리후중(瀉痢後重), 창절(瘡癤)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금창, 창패(瘡敗)를 낫게 한다."

3, <명의별록>: "골(骨)에 들어간다. 한열(寒熱), 수기(水氣)를 제거하고 중초를 따뜻하게 하며 맺힌 것을 푼다. 여러 가지 창(瘡) 중에서 풍한수종(風寒水腫)인 증상에 이것을 바른다."

4, <천금, 식치>: "기육(肌肉)을 생성하고 산부에게 이롭다. 생선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이것을 복용하면 제거된다."

5, <당본초>: "흰 것은 보양하는데 이용하며 붉은 것은 칼 따위에 베인 상처 및 풍을 치료한다."

6, <식료본초>: "부인의 적백 대하를 치료한다."

7, <본초습유>: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며 구리(久痢)가 낫지 않는 증상, 항상 대복(大腹)의 기분(氣分)이 나쁜 증상을 다스린다. 단, 대부분 달여서 복용한다."

8, <본초도경>: "보허(補虛), 해독하며 각기를 치료한다. 달여서 산부가 복용하면 출산이 쉬워진다."

9, <본초연의>: "봉밀(蜂蜜)과 함께 짓찧어 탕화상에 바른다."

10, <용약심법>: "설사, 이질, 후중(後重) 및 하초의 기체(氣滯)를 치료한다."

11, <본초강목>: "소음병(少陰病)으로 인한 궐역(厥逆), 이설(痢泄) 및 흉비자통(胸痺刺痛)을 치료하고 기(氣)를 강하(降下)시키며 혈을 풀어주고 태를 안정시킨다. 온보(溫補)하며 성기능을 강하게 한다."

12, <본초비요>: "규(竅)을 이(利)한다. 폐기(肺氣) 천식을 치료한다."

13, <본경봉원>: "짓찧어 그대로 즙을 마시면 위중(胃中)의 담적(痰積)과 식적(食積)과 충적(蟲積)을 토(吐)하게 할 수 있다."

14, <영남채약록>: "생염(生鹽)과 섞어서 짓찧어 창(瘡)에 바른다. 철침(鐵針)에 의한 상처나 녹이 살 속에 남아 있을 경우에 이것을 바르면 흡출(吸出)시킬 수 있다. 발산시키고 표사(表邪)를 풀어주며 위(胃)를 튼튼히 하고 흉격을 소통시킨다."

15, <남동민간초약>: "짓찧어 외용하면 각종 창절(瘡癤)을 치료한다. 그 외에 야국화(野菊花)의 탕액을 내복한다."

<잎>


1, <주후방>: "개선(疥癬)을 치료하려면 끓인 것으로 씻거나 진흙처럼 짓찧어 바른다."

2, <본초구원>: "폐기(肺氣)로 인한 천식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
내복: 1.5~3돈(신선한 것은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 환제,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르거나 찧은 즙을 바른다."

[배합(配合) 및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
기허(氣虛)한 사람은 복용에 주의한다."

2, <식료본초>: "열이 있는 자는 과다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3, <본초휘언>: "음허(陰虛)하고 발열하는 경우에는 복용하면 안된다."

4, <본초종신>: "활리품(滑利品)이므로 체(滯)가 없는 증상에는 이것을 쓰면 안 된다."

5, <수식거음식보>: "많이 먹으면 발열한다. 금기는 구(
: 부추)와 같다."

달래의 효능에 관하여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24면 666호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5~12cm. 꽃은 백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백색으로 4~5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다.

분포/
충남, 강원 이북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식용하므로 전국에서 흔히 재배한다.

약효/
비늘줄기를 해백(
薤白)이라고 하며, 통양산경(通陽散結), 하기행대(下氣行帶)의 효능이 있고, 건구역질, 설사, 풍한수종(風寒水腫)을 치료한다. 잎을 해엽(葉)이라고 하며, 개선(疥癬)을 치료한다.

성분/
alliin, methylalliin, allic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물로 달인 액은 적리균, 용혈성 포도상구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있다.

사용법/
비늘줄기 20g에 물 8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산달래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0권 186면 492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해백(白)

기원: 백합과(百合科:Liliaceae)식물인 소근산(小根蒜=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의 인경(鱗莖)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60cm이다. 인경(鱗莖)은 구형(球形)에 가깝고 바깥은 백색(白色)의 막질(膜質) 인피(鱗皮)로 싸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반원주상(半圓柱狀) 선형(線形)으로 가운데는 비어있고 길이가 20∼45cm이며 잎끝은 점첨두(漸尖頭)이고 엽저는 쒗狀으로 줄기를 감싼다. 꽃대는 단일하고 화서는 산형화서(傘形花序)가 정생(頂生)하며 아래에는 卵形의 苞片이 있고, 꽃 자루의 길이는 1∼1.5cm이고, 어떤 花序에는 단지 적은 수의 꽃만 있고 그 사이에 다수의 주아(珠芽)가 있으며 심한 것은 전부 주아(珠芽)로만 구성되어 있고, 꽃잎은 6장이며 담홍색(淡紅色) 또는 엷은 자홍색(紫紅色)이고, 수술은 6개이며 꽃잎보다 길고, 자방은 구형(球形)이다. 열매는 삭과(朔果)이며 도란형(倒卵形)이다.



분포:
산비탈의 풀 숲과 들판에서 자란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며 증기로 쪄서 말린다.

성분:
인경(鱗莖)은 volatile oils를 함유하고 유중(油中)에는 다량의 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기미: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통장산결(通腸散結), 행기도체(行氣導滯).

주치:
흉비동통(胸痺疼痛), 담음해수(痰飮咳嗽),설리후중(泄痢後重).

용량:
4.5∼9g.

참고문헌:
약전(藥典), 1985년 제 1권 337면 ; 중약지(中藥誌) 제 2권, 564면.
]

중금속인
납배출과 관련하여 일본의 슈토 히로시가 쓴 <병에 걸리지 않는 식사법> 107면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적혈구를 파괴하는 납은 마늘과 파로 막는다.

납은 빈혈과도 관계가 있다. 납이 몸속에서 과잉 상태에 이르면 적혈구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어느 대학에서 매우 반가운 결과를 내어 놓았다. 납이 몸속에서 과잉 상태일 때, 마늘을 섭취하면 적혈구를 파괴할 확률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유황화합물이 강한 항산화-항균작용, 혈전을 막는 작용, 혈액순환 촉진,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앞에서 이미 말했다. 이와 함께 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유황화합물인 황화알리신은
중금속을 싸서 독성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에 마늘의 다양한 효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적혈구의 파괴율을 낮춰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황화알리신은 마늘 외에 양파나 파에도 함유'
되어 있다. 마늘, 파 등은 셀레늄과 황화알리신, 두 성분의 복합작용을 통해서 유독물질인 납, 수은, 주석, 카드뮴, 비소 등을 제거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산달래를 맛있는 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18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달래

백합과ㅣ여러해살이풀

크기: 40~50cm

꽃 피는 때: 5~6월

자라는 곳:

산과 들시장에서 파는 달래가 대개 '산달래'다. 맛과 향이 좋아 된장찌개에 넣으면 향긋하다. 파나 부추처럼 생으로 무치고, 고추장에 박아 장아찌를 만들기도 한다. 된장찌개 양념이나 양념장에 넣기도 하고, 부침개를 해도 맛있다. 꽃의 일부가 씨가 아니면서 씨 구실을 하는 구슬눈(주아, 살눈)이 되기도 한다.

나물 할 때



나물 하는 방법

잎만 뜯는다.
뽑힌 뿌리는 잎과 같이 먹는다.

추천 음식

무침, 장아찌, 된장찌개 양념, 양념장, 부침개.]

산달래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흉비(胸痺)의 병으로 천식이 있어 해수와 함께 타액이 나오고 흉배(胸背)가 아프며 숨이 차고 촌구맥(寸口脈)이 심지(沈遲)하며 관맥(關脈)이 약간 긴수(緊數)한 증상의 치료

찧은 괄루실(
栝樓實) 1개, 해백() 반 근, 백주(白酒) 7되, 이상 세가지 약을 함께 끓여 2되로 만들어 2회로 나누어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괄루해백백주탕(栝樓薤白白酒湯)]

2, 흉비(胸痺)하여 누울 수 없고 심통(心痛)이 잔등에까지 뻗치는 증상

찧은  괄루실(
栝樓實) 1개, 해백() 3냥, 반하(半夏) 반 근, 백주(白酒) 1말, 이상 네 가지 약을 끓여 4되로 만든다. 1일에 1되를 3회로 나누어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괄루해백반하탕(栝樓薤白半夏湯)]

3, 흉비(胸痺)로 심중비기(心中
痞氣), 기결재흉(氣結在胸), 흉만(胸滿), 협하역창심(脇下逆心)이 생기는 증상
지실(
枳實) 4개, 후박(厚朴) 4냥, 해백() 반 근, 계지(桂枝) 1냥, 찧은 괄루실(栝樓實) 1개, 이상의 다섯 가지 약을 물 5되에 넣어 끓인는데, 먼저 지실(枳實), 후박(厚朴)을 끓여 2되로 만들고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나머지 약을 넣어 달여서 몇 번 비등시킨다. 3회로 나누어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지실해백계지탕(枳實薤白桂枝湯)]

4, 적리

해(
), 황백(黃柏)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습유(本草拾遺)]

5, 적백리

해백(
) 1줌을 썰어서 끓여 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식의심경(食醫心鏡)]

6, 분돈기통(奔豚氣痛)

해백(
)의 찧은 즙을 마신다.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

7, 곽란으로 헛구역질이 멎지 않는 경우

해(
) 1줌을 물 3되로 끓여 절반으로 만들어 돈복한다. 3회 이상 복용해서는 안 된다. [독행방(獨行方)]

8, 구창종통(灸瘡腫痛)

썬 해백(
) 1되, 잘게 썬 저지(猪脂) 1되를 고주(苦酒)에 하룻밤 담갔다가 약한 불에 달여서 휘저어 찌꺼기를 제거하고 바른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9, 수족(手足)의 과창(
瘡) 소수포진(小水疱疹)
해백(
) 생것 1줌에 뜨거운 초(醋)를 넣어 상처를 막는다. [천금방(千金方)]

10, 인후종통(咽喉腫痛)

해근(
薤根)을 식초와 함께 찧어 부은 곳에 바르고 식으면 다시 바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1, 만성 비염

해백(
) 3돈, 목과화(木瓜花) 3돈, 저비관(猪鼻管) 4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육천본초(陸川本草)]

12, 생선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해백(
)을 씹어서 부드럽게 하여 끈으로 묶는다. 끈의 끝을 잡고 뼈가 걸린 곳까지 넘긴 다음 잡아 당긴다. [보결주후방(보결주후방(補缺肘後方)]

13, 임신 중, 태동에 이상이 있고 뱃속이 냉하며 아플 경우

해백(
) 1되, 당귀(當歸) 4냥을 물 5되에 넣어 달여서 2되로 만들어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강목(本草綱目)>:
"총(蔥), 해(
)를 쓰는 경우에는 푸른 부분은 모두 버리고 흰 부분을 쓴다. 흰 부분은 냉(冷)하지만 푸른 부분은 뜨겁다. 따라서 뿌리와 잎을 제거한 해백()을 황백(黃柏)과 함께 달여서 복용하면 그 성질이 냉하여 해독될 수 있다고 한다."

2, <본초연의(本草衍義)>:
"<천금방(千金方)>에서 폐기천급(肺氣喘急)에 해백(
)을 쓰는 것은 그 활설(滑泄) 작용 때문이다."

3, <탕액본초(湯液本草)>:
"하중(下重)은 기체(氣滯)에 기인된다. 사역산(四逆散)에 이것을 가하여 기체(氣滯)를 설(泄)한다."

4, <본경봉원(本經봉원)>:
"해백(
)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는 금창의 창이 터진 경우에 쓴다고 했는데, 이것은 신(辛)이 설기(泄氣)하고 온(溫)이 상처를 유합하기 때문이다."

5, <장초약해(長炒藥解)>:
"폐병(肺病)은 역증(逆證)이고 탁기(濁氣)가 내리지 않기 때문에 흉격(胸膈)이 비색(痺塞)한다. 장병(腸病)은 함증(陷證)이고 청기(淸氣)가 오르지 않으므로 항문이 무겁고 하추(下墜)한다. 해백(
)은 신온(辛溫)으로 통창(通暢)하므로 옹체(壅滯)를 풀어준다. 따라서 비(痺)인 경우에는 밑으로 내려서 조화시키고 중(重)한 경우에는 위로 올려서 경쾌하게 한다. 그 여러 가지 주치(主治)는 설사를 멎게 하고 대하를 치료하며 태임(胎姙)을 안정시키고 창양(瘡瘍)을 풀어주며 칼 따위에 베인 상처를 치료하고 목에 뼈가 걸린 증상을 치료하며 기통(氣痛)을 멎게 하고 인종(咽腫)을 내리는데 이것은 해백()이 의체(凝滯)를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6, <본초구진(本草求眞)>:
"해(
)는 맛이 매운데 신미(辛味)는 풀어주게 할 수 있으므로 상초의 한체(寒滯)를 즉시 제거한다. 또 맛이 고(苦)한데 고미(苦味)는 하강시킬 수가 있으므로 하초에 있는 한체(寒滯)를 즉시 내린다. 기(氣)는 온(溫)한데 온(溫)은 풀어주는 효능이 있으므로 중초에 있는 한체(寒滯)는 즉시 제거된다. 그 질은 활(滑)한데 활(滑)은 통하게 할 수 있으므로 고질성의 한체(寒滯)는 즉시 없어진다. 해백()은 설사를 제거하고 어혈을 없애주며 천급(喘急)을 멎게 하고 수종을 풀어주며 흉비자통(胸痺刺痛)을 낫게 하고 태산(胎産)을 치료하며 화상이나 중악(中惡)의 졸사(猝死)를 구하므로 그야말로 통기(通氣), 활규(滑竅), 조양(助陽)의 양품이다. 효능은 구(: 부추)와 유사한 점이 있다. 그러나 구(: 부추)는 혈(血)에 들어가 기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양(腎陽)을 보양하지만 이것은 오로지 한체(寒滯)를 통하게 하는 동시에 활규(滑竅)하게 하기 때문에 다른 것이다."

[비고(備考)]


1, <당본초(唐本草)>:
"생각컨데 해(
)는 구()의 종류이다. 잎은 총(蔥)과 비슷하지 않다. 해()에는 적(赤), 백(白) 2종이 있다."

2, <촉본초(蜀本草)>, <본초도경(本草圖經)>:
"해백(
)은 형태는 구(: 부추)와 비슷하지만 열매가 없다. 산해(山)는 경(葝)이라고도 하며 경엽(莖葉)이 비슷하고 체성(體性)도 같다. 잎은 모두 겨울에 시들어 버린다. 봄, 가을에 포기 나누기하여 심는다."

3, <본초강목(本草綱目)>:
"해(
)는 8월에 뿌리를 심고 정월에 포기 나누기하는데 비옥한 토양이 좋다. 여러 대가 나오며 그 중 한대가 줄기이고 무성하며 뿌리가 크다. 잎은 모양이 구(: 부추)와 비슷하지만 구(: 부추)의 잎은 속이 충실하고 편평하며 검척(劍脊)이 있지만 해엽(薤葉)의 속은 비어 있고 세총(細蔥)의 잎과 비슷하며 모서리가 있고 냄새도 총(蔥)과 비슷하다. 2월에 가는 자백색(紫白色)의 꽃이 핀다. 뿌리는 소산(小蒜)처럼 1대에 여러 개가 꼭 붙어 있다. 5월에 잎이 푸를 때에 파낸다. 그렇지 않으면 해백(白)이 충분히 자라지 못한다. 수정총(水晶蔥)이라고 하는 일종(一種)은 총엽(蔥葉)이고 산근(蒜根)이며 해()와 비슷하지만 고약한 냄새는 나지 않는다. 이것도 해백()과 동류이다."

봄철에 입맛을 돋구는 달래 및 산달래 전초를 쫑쫑 썰어서 양념간장에 넣고 참기름을 한방울 떨구어 금방한 쌀밥에 비벼 먹으면 꿀맛처럼 느껴진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산달래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산달래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비슷한 식물로 아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코끼리마늘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산달래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