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랭이꽃 무엇인가?

강력한 항암작용하는 패랭이꽃

 

 

 

 

 

 

 

 

 

 

[패랭이꽃의 다양한 색깔의 모습, 사진출처: 대만 및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암작용(방광암, 직장암, 식도암, 위암 등), 이뇨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장관에 대한 흥분 작용, 심혈관에 대한 작용, 간디스토마 억제 작용, 청열이뇨, 파혈통경, 비뇨계통감염, 폐경, 피부습진, 종류, 소변적삽, 융폐불통, 열림혈림, 요폐로 수기가 있고 입이 쓰고 마를 때, 하초에 열이 엉기어 있어 소변이 황적색이고 찔끔찔끔 나오며 아프거나 혹은 피가 나오거나 혹은 대소변을 눌 때 피가 나오는 때, 요폐, 임질, 수종, 조그마한 종기, 목적장예, 침음창독, 관격제융결, 출자, 결옹종, 명목거예, 파태타자, 하폐혈, 양신기, 축방광사역, 지곽란, 장모발, 오림, 출혈이 있는 치루, 소아의 회충, 눈이 붓고 아픈 증상, 침음창, 여성의 음창, 최생, 무월경, 파혈괴, 배농, 이소장, 수종, 요열삽통, 혈림, 어제독창종, 혈이 망행하여 구규에서 모두 피가 나며 약을 복용하여도 멎지 않을 때, 목적종통, 침음 등의 창, 습열로 인한 임증, 소변을 보지 못하는 데, 붓는 데, 부스럼, 종기, 고혈압, 요로결석, 변비, 혈뇨증, 신장염, 방광염, 요도염, 급성 신우신염, 달거리가 없는 데, 결막염을 다스리는 패랭이꽃

패랭이꽃(Dianthus sinensis L.)은 석죽과 패랭이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패랭이꽃속은 전세계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약 6종이 분포하고 있다.  

수염패랭이꽃, 카네이션(꽃패랭이꽃), 패랭이꽃(석죽화), 흰패랭이꽃, 난쟁이패랭이꽃(난장이패랭이꽃), 흰난장이패랭이꽃, 누운패랭이꽃, 갯패랭이꽃, 섬패랭이꽃, 꽃패랭이꽃, 술패랭이꽃, 흰술패랭이꽃, 구름패랭이꽃(구름술패랭이꽃)이 자생하고 있다.

패랭이꽃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Dianthus chinensis L.>이다.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이나 냇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빽빽이 모여나며 높이 30cm 내외로서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밑부분에서 합쳐져서 원줄기를 둘러싸며 줄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화로 6∼8월에 피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붉은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밑은 원통형이다. 꽃잎은 5개이며 밑부분이 가늘어지고 현부는 옆으로 퍼지며 끝이 얕게 갈라지고 짙은 무늬가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끝에서 4개로 갈라지며 9∼10월에 익는다. 밑에 4∼6개의 포가 있다. 꽃과 열매가 달린 전체를 그늘에 말려 약재로 쓰며, 이뇨, 통경, 소염 등에 사용한다. 한국, 중국에 분포한다.

사철패랭이(var. semperflorens)는 꽃이 연중 핀다. 빛깔은 짙은 홍색이며 많은 원예품종이 있다. 일본에서는 도코나쓰[常夏]라고도 하는데, 꽃이 계속 피기 때문에 항상 여름이라는 뜻이다.


개화기는 6~8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패랭이꽃의 채취는 꽃이 피기 전에 전초를 채취해서 깨끗이 씻어서 말린다.

패랭이꽃의 종류 및 변종에 대해서 중국의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아래와 같은 16종류를 기록하고 있다.

1, [
구맥(瞿麥=술패랭이꽃: Dianthus superbus L.]
2
, [석죽(石竹=패랭이꽃): Dianthus chinensis L.]
3, [석죽(石竹):(원변종:原變種)Dianthus chinensis L. var. chinensis]
4, [요동석죽(遼東石竹):(변종:變種)Dianthus chinensis L. var. liaotungensis Y. C. Chu]
5, [고산석죽(高山石竹=난쟁이패랭이꽃): (변종:變種) Dianthus chinensis L. var. morii (Nakai) Y. C. Chu]
6, [장포석죽(長苞石竹):(변종:變種)Dianthus chinensis L. var. longisquama Nakai & Kitag.]
7, [찬엽석죽(鑽葉石竹):(변종:變種)Dianthus chinensis L. var. subulifolius (Kitag.) Y. C[. Ma]
8, [림생석죽(林生石竹):(변종:變種)Dianthus chinensis L. var. sylvaticus W. D. J. Koch]
9, [삼맥석죽(三脈石竹):(변종:變種)Dianthus chinensis L. var. trinervis D. Q. Lu]
10, [흥안석죽(興安石竹):(변종:變種)Dianthus chinensis L. var. versicolor (Fisch. ex Link) Y. C. Ma]
11, [고석죽(高石竹: Dianthus elatus Ledeb.]
12, [다분지석죽(多分枝石竹): Dianthus ramosissimus Pall. ex Poir.]
13, [족경석죽(簇莖石竹): Dianthus repens Willd.]
14, [족경석죽(簇莖石竹):(원변종:原變種)Dianthus repens Willd. var. repens]
15, [모족경석죽(毛簇莖石竹):(변종:變種)Dianthus repens Willd. var. scabripilosus Y. Z. Zhao]
16, [세경석죽(細莖石竹): Dianthus turkestanicus Preobr.]


패랭이꽃(Dianthus sinensis)의 다른 이름은
석죽[石竹=
shí zhú=: 두공부집(杜工部集)], 아모석죽[鵝毛石竹, 수죽:竹: 낙양화목기(洛陽花木記)], 낙양화[洛陽花: 본초강목(本草綱目)], 석주화[石柱花: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세키치쿠[セキチク=石竹: 일본명(日本名)], 패랭이꽃 등으로 부른다.

술패랭이꽃(Dianthus superbus L.)의 다른 이름은
구맥[瞿麥=
mài=마이, 거구맥:巨句麥: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대란[大蘭: 명의별록(名醫別錄)], 산구맥[山瞿麥: 천금방(千金方)], 남천축초[南天竺草: 성제총록(聖濟總錄)], 전융화[剪絨花: 의림찬요(醫林纂要)], 죽절초[竹節草: 산동중약(山東中藥)], 대국[大菊, 거맥:麥: 이아(爾雅)], 지면[地面: 제민요술(齊民要術)], 홍화구맥[紅花瞿麥, 야맥목혈화:野麥木花, 전도화:剪刀花, 십양경:十樣景: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나데시코[ナデシコ=撫子=瞿麦: 일본명(日本名)], 장통구맥, 패랭이, 술패랭이꽃 등으로 부른다.

[약재]


1, 구맥(술패랭이꽃):
구맥의 말린 전초는 길이가 약 30cm이고 줄기는 곧으며 연한 녹색 혹은 황녹색이고 반들반들하며 털이 없고 마디는 약간 부풀어져 있다. 잎은 여러 개가 남아 있고 마주나며 선(線)처럼 가늘고 길거나 실처럼 가늘고 긴 피침형이다. 꽃의 전체의 길이는 약 3~4cm이고 연한 황색을 띤 막(膜)처럼 보드랍고 얇은 숙악(宿
)이 있고 꽃받침통의 길이는 꽃 전체의 약 3/4이다. 꽃받침 아래의 작은 꽃떡잎은 연한 황색이고 길이는 꽃받침통의 약 1/4이다. 꽃부리의 끝은 깊게 갈라져 있으며 선(線)처럼 가늘고 길며 연한 적색이거나 연한 자줏빛이다. 이따금 삭과(蒴果)가 남아있는 것도 있고 긴 타원형 모양이며 겉표면은 쭈글쭈글하고 끝은 벌어져있고 종자는 납작하며 갈색이다. 줄기는 속이 비어있고 질이 무르고 쉽게 꺽어진다. 냄새는 약하고 맛은 약간 달다.

2, 석죽구맥(패랭이꽃):
패랭이꽃의 말린 전초는 술패랭이꽃과 비슷하나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꽃의 전체의 길이는 약 3cm이고 꽃받침통의 길이는 꽃 전체의 약 1/2이고 꽃받침 아래의 작은 꽃떡잎의 길이는 꽃닫침통의 약 1/2이고 꽃부리의 끝이 얕게 갈라졌고 톱니모양을 나타내고 자갈색이거나 황갈색이다. 상술한 두종의 약재는 모두 청록색이며 건조하고 잡초와 뿌리가 없고 꽃이 피지 않는 것이 좋다. 주산지는 하북(河北), 하남(河南), 요녕(遙寧), 호북(湖北), 강소(江蘇)이다. 이밖에 호남(湖南), 절강(浙江), 산서(山西), 섬서(陝西), 안휘(安徽), 감숙(甘肅), 청해(靑海), 신강(新疆), 복건(福建), 운남(雲南), 광서(廣西) 등지에서도 난다. 동북지역에서는 상술한 2종 외에 패랭이꽃과의 식물인 동북석죽(東北石竹: Dianthus amurensis Jacq.), 사엽석죽(絲葉石竹: Dianthus subufolius Kitag.), 흥안석죽(興安石竹: Dianthus versicolor Fisch.) 등의 전초를 구맥으로 하여 쓰고 있다. 또 영하(寧夏)지역에서는 동방석죽(東方石竹: Dianthus orientalis Adams.)을 구맥으로 하여 쓰기도 한다. [중약대사전]

[성분]


구맥의 신선한 전초에는 수분 77.3%, 조단백 2.62%, 무질소 추출물 13.13%, 조섬유 4.95%, 조회분 11.09%, 인산 0.13%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비타민 A류도 함유하고 있는데 그 함량은 비타민 A로서 0.3333%이다. 이밖에 소량의 알칼로이드(alkaloid)도 함유되어 있다. 패랭이꽃은 eugenol, phenylethylalcohol, benzyl benzoate, benzyl salicylate, methyl salicylate 등을 함유하고 있고, 전초에는 사포닌(saponin), 당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뿌리에는 사포닌(saponin)을 함유하고 있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1, 장관(腸管)에 대한 작용:
rabbit의 적출한 장, 마취한 개의 in situ 장관, 개의 장기간에 걸친 장루(장루)의 실험에서 구맥의 전제(煎劑)는 장관에 대하여 현저한 흥분 작용을 가지며 그것은 적출한 rabbit의 장(腸)에는 주요하게 긴장도의 상승으로 나타나고 마취한 개의 in situ의 장관 및 개의 만성 장루에는 장(腸)의 연동 운동의 증강으로 표현되며 장력(張力)에 대해서는 명확한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구맥의 이삭의 작용은 경수(莖穗)의 작용에 비하여 약간 강했다. benadryl, papaverine은 이 작용에 길항한다.

2, 심혈관에 대한 영향:
구맥은 적출한 개구리와 rabbit의 심장에 대하여 아주 강한 억제 작용이 있다. 구맥의 이삭의 전제(煎劑)는 마취한 개에 대하여 혈압강하 작용이 있는데 아마도 심장의 억제에 의해 일어난 것 같다.

3, 주혈흡증에 대한 영향:
10% 구맥의 전제(煎劑)는 in vitro에서 8~12분내에 주혈흡충을 죽인다. 100%의 전제(煎劑) 4ml를 주혈흡충에 감염된 rabbit는 모두 사망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주혈흡충의 잔존률은 보다 낮았고 체중의 저하도 보다 완만하였으며 긴장의 상태도 호전되었다는 것이 알려졌다. 보고에 의하면 구맥에는 in vitro에서 주협흡충을 죽이는 작용이 없고 감염된 중증 및 경증의 모든 mouse에 대해 사망률의 저하 및 성충(成蟲)을 죽이는 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중약대사전]

[포제(
炮製)]

잡물과 잔뿌리를 없애 버리고 잘 씻어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었을 때 얇게 잘라 햇볕에 말린다.

<뇌공포자론>: "사용할 때에는 먼저 근죽력(
䈽竹瀝)에 하룻동안 담갔다가 여과한 후 햇볕에 말려 쓴다."

[성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1,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명의별록>: "맛은 맵고 독이 없다."

3, <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귀경(歸經)]


심(心), 신(腎), 소장(小腸), 방광경(膀胱經)에 들어간다.

1, <본초도경>: "심경(心經)에 들어간다."

2, <본초휘언>: "수소음(手少陰), 태양경(太陽經)에 들어간다."

3, <장사약해>: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 들어간다."

4, <본초재신>: "심(心), 비(脾), 신(腎)의 삼경(三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청열이수(淸熱利水), 파혈통락(破血通絡)하는 효능이 있다. 요폐, 임질, 수종, 무월경, 조그마한 종기, 목적장예(目赤障
), 침음창독(浸淫瘡毒)을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 "
관격제융결(關格諸癃結), 요폐를 치료하며 출자(出刺), 결옹종(決癰腫), 명목거예(明目去瞖), 파태타자(破胎墮子)하고 하폐혈(下閉血)한다."

2, <명의별록>: "
양신기(養腎氣), 축방광사역(逐膀胱邪逆), 지곽란(止霍亂), 장모발(長毛髮)한다."

3, <약성론>: "오림(五淋)을 치료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잎은 출혈이 있는 치루, 소아의 회충, 눈이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고 짓찧어 바르면 침음창(浸淫瘡)과 함께 여성의 음창(淫瘡)을 치료한다. 열매는 최생(催生)하고 무월경을 치료하며 파혈괴(破血塊), 배농(排膿)한다."

5, <본초도경>: "이소장(利小腸)을 아주 잘 한다."

6, <현대실용중약>: "
수종, 요열삽통(尿熱澁痛), 혈림(血淋)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6~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갈아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비(脾), 신기허(腎氣虛) 및 임신부는 복용을 삼가한다.

1, <신농본초경집주>: "사초(蓑草), 목단(牡丹)을 사(使)로 한다. 상표초(
桑螵帩: 뽕나무에 붙은 사마귀 알집)와 는 상오(相惡)한다."

2, <본초품회정요>: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3, <신농본초경소>: "신기(腎氣)가 허하고 소장에 대열(大熱)이 없는 자는 복용을 삼가고 태전산후(胎前産後)의 일체 허약해진 증상, 요폐인자는 원칙적으로 모두 쓰지 못한다. 수종고장(水腫蠱腸), 비허(脾虛)한 자도 쓰지 말아야 한다."

패랭이꽃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99면 9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패랭이꽃(Dianthus sinensis L.) [석죽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30cm 가량. 줄기는 모여 나고 곧게 자라며 전체에 분백색이 돈다. 잎은 마주 나고 바늘 모양이며 밑부분이 서로 합쳐져 짧게 통처럼 된다. 꽃은 6~8월에 갈라진 가지 끝에서 1개씩 핀다. 꽃받침은 짧은 원통형으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장, 밑부분이 가늘고 길며, 현부(舷部)는 옆으로 퍼지며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고 바로 그 밑에 짙은 무늬와 더불어 긴 털이 약간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끝이 4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분포/
전국 각지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이나 냇가의 돌밭에서 자라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채취/
전초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전초를 구맥(
瞿麥)이라고 하며, 소염, 청열, 이수, 파혈, 통경의 효능이 있고, 소변불통, 혈뇨, 신염, 임병, 무월경, 옹종, 목적을 치료한다.

성분/
꽃에는 eugenol, phenylethylalcohol, salicylic acid methyl ester, salicylic acid benzyl ester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물 추출물을 쥐에게 투여하면 요량이 증가되어 이뇨 작용, 장관 수축 작용, 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또 황색포도상구균, 티푸스균, 녹농균, 대장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있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외용에는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참고/
꽃대 1개에 1송이씩 꽃이 달리며, 포(苞)가 꽃받침보다 긴 난쟁이패랭이꽃(D. morii Nakai), 꽃잎 끝이 여러 개로 갈라진 술패랭이꽃(D.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도 약효가 같다.]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L.)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구맥(瞿麥) //패랭이꽃, 석죽화(石竹花), 거구맥(巨句麥), 대국(大菊), 대란(大蘭)// [본초]

패랭이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L.)과 술패랭이꽃(D. superbus L.)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낮은 산은 산과 들판에서 자란다.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다. 방광경, 심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혈(血)을 잘 돌게 하고 월경을 통하게 한다. 달인 약이 이뇨작용과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실험에서 밝혀졌다. 습열로 인한 임증, 소변을 보지 못하는 데, 붓는 데, 부스럼, 달거리가 없는 데, 결막염 등에 쓴다.

하루 12∼16g을 달임 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어 기초(약)제에 개어 바른다. 비기와 신기가 허한 데와 임산부에게는 쓰지 않는다.
] 

패랭이꽃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60면 110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석죽(石竹)

기원: 석죽과(石竹科: Caryophyllaceae)식물인 석죽(石竹=패랭이꽃: Dianthus chinensis L.)의 꽃이 있는 지상부(地上部) 혹은 뿌리이다.

형태: 다년생(多年生) 초본(草本)이며 높이는 약 30cm이다. 잎은 선형(線形) 혹은 관피침형(寬披針形)이며 때로는 설형(舌形)이 되기도 한다. 꽃은 분지의 정단(頂端)에서 나고 단생(單生)하거나 총생(叢生)하는데 때로는 원추상(圓錐狀) 취산화서(聚傘花序)를 이루며, 포편(苞片)은 4∼6장이고, 꽃받침통은 원통혀(圓筒形)으로 악치(萼齒)가 5개이고, 꽃잎은 5장으로 홍색(紅色), 백색(白色) 혹은 분홍색(粉紅色)이고, 꽃잎의 모양은 선상(扇狀) 도란형(倒卵形)이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얕은 치열(齒裂)이 있고 꽃잎의 후부(喉部)에는 짙은색의 얼룩무늬가 있으며 수염털이 성기게 나있고 기부(基部)의 조(爪)는 길며,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각진 원형(圓形)이다. 종자(種子)는 회흑색(灰黑色)으로 난형(卵形)이고 약간 편평하며 가장자리에는 좁은 날개가 있다.



분포: 중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꽃피기 전에 전초(全草)를 베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saponin을 함유한다. 꽃에는 volatile oil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주요성분은 정향분(丁香酚), phenyl acetic acid, Benzyl benzoate 와 수양산갑지(水楊酸甲脂) 등이다.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이뇨(淸熱利尿), 파혈통경(破血通經).

주치: 전초(全草)- 비뇨계통감염(泌尿系統感染), 폐경(閉經), 피부습진(皮膚濕疹). 뿌리인 근(根) - 종류(腫瘤).

용량: 전초(全草)- 5∼7.5g. 뿌리인 근(根)- 10∼50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933면.]

패랭이꽃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61면 110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구맥(瞿麥)

기원: 석죽과(石竹科: Caryophyllaceae)식물인 구맥(瞿麥=술패랭이꽃: Dianthus superbus L.)의 꽃이 달린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多年生) 초본(草本)이다. 줄기는 총생(叢生)하며 상부에서 두갈래로 분지(分枝)하고 마디가 뚜렷하다. 잎은 어긋나고 선형(線形) 또는 선상(線狀) 피침형(披針形)인데 엽저는 짧은 초상(狀)을 이루며 줄기를 감싼다. 꽃은 단생(單生)하거나 혹은 여러송이가 모여 적은 수의 갈래로 분지(分枝)하는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루고, 꽃잎은 5장이고 담홍색(淡紅色), 백색(白色) 또는 담자색(淡紫色)이며 선단(先端)은 심열(深裂)하여 가는 선조(線條)를 이루고, 수술은 10개이며 자방상위(子房上位)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숙존(宿存)하는 꽃받침의 안에 싸여 있다.



분포: 산비탈 또는 숲 속에서 자란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分佈)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과 가을에 꽃이 피기 전에 거두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꽃인 화(花)- eugenol. 전초(全草)- vitamin A 류(類)의 물질을 함유한다.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이수(淸熱利水), 파혈통경(破血通經).

주치: 소변불통(小便不通), 임병(淋病), 수종(水腫), 경폐(經閉), 옹종(癰腫), 목적장예(目赤障翳), 침음창독(浸淫瘡毒).

용량: 5∼10g. 외용시(外用時)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5667호.]

패랭이꽃의 항암작용과 관련하여 중의사 상민의의
<항암본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항암약리

1, 술패랭이 종자 열수침출물은 체외실험 결과 JTC-26 억제율이 90% 이상에 달하였다.

2, 패랭이꽃 뿌리 열수침출물은 JTC-26 억제율이 100%이다. 본품은 정상세포에도 억제율이 66.7%이다.

3, 체내실험결과 패랭이꽃 뿌리의 좀흰생쥐 육류(肉
)-180 억제율은 35.9%였다.{이와 함께 실험한 24종 한약 중에서 패랭이꽃 뿌리의 활성은 짚신나물 버금이었다}.

<중화의학>에서 "패랭이꽃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인체의 분문암(噴門癌), 방광암(膀胱癌) 세포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중성약연구>에서는 "패랭이꽃의 조제침고(粗製浸膏)에 인체 암세포 JTC-26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다"고 알려준다.]

패랭이꽃, 술패랭이꽃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소변적삽(小便赤澁), 융폐불통(
癃閉不通), 열림혈림(熱淋血淋)
구맥(瞿麥), 편축(
萹蓄), 차전자(車前子), 활석(滑石), 산치자인(山梔子仁), 자감초(炙甘草), 목통(木通), 대황(大黃: 밀가루로 싸서 잿불속에 넣고 구운 다음 밀가루를 버리고 얇게 잘라 약한 불에 쬐어 말린 것) 각 500g을 가루로 만든다. 매 복용시 7.4g에 물 한잔, 등심(燈心)을 넣고 2/3쯤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 후 식후 잠자기 전에 따뜻하게 데워서 먹는다. 소아는 체력에 따라 양을 가감하여 준다. [국방(局方), 팔정산(八正散)]

2, 요폐로 수기(水氣)가 있고 입이 쓰고 마를 때

괄루근(栝蔞根) 74g, 복령(茯苓), 서여(薯蕷) 각 111g, 부자(附子: 약한 불에 쬐어 말린 것) 1개, 구맥(瞿麥) 37g을 가루로 만들어, 정제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 열매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 3환을 1일 3회 복용하여도 효과가 없으면 7~8환까지 복용한다. 소변이 순조롭게 나오고 배가 따뜻하면 완쾌된 것이다. [금궤요략(金匱要略), 괄루구맥환(栝蔞瞿麥丸)]

3, 하초에 열이 엉기어 있어 소변이 황적색이고 찔끔찔끔 나오며 아프거나 혹은 피가 나오거나 혹은 대소변을 눌 때 피가 나오는 때

껍질을 없애고 볶은 산치자(山梔子) 18.5g, 구맥(瞿麥)의 이삭 37g, 자감초(炙甘草) 1.11g을 가루로 만든다. 매 복용시 18.5~25.9g에 물 한사발, 수염뿌리가 달려 있는 총근(蔥根) 7개, 등심(燈心) 줄기 50개, 생강 5~7쪽을 넣고 2/3쯤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때때로 따뜻하게 데워서 먹는다. [국방(局方), 입효산(立效散)]

4, 어제독창종(魚臍毒瘡腫)

구맥(瞿麥)을 생유(生油)와 고루 섞어서 섞어서 잘 찧어 바른다. [최씨찬요방(催氏纂要方)]

5, 혈(血)이 망행(妄行)하여 구규(九竅)에서 모두 피가 나며 약을 복용하여도 멎지 않을 때

남천축초[南天竺草: 패랭이꽃 생것] 엄지손가락만한 크기의 한 움큼을 잘 게 썬 것, 씨를 제거한 대추 5개, 생강(엄지손가락만큼 큰 것) 한덩이, 등심초(燈心草: 새끼손가락만큼 큰 것) 한 웅큼, 껍질을 제거한 산치자(山
子) 30개, 볶은감초 18.5g을 잘 게 썰어서 자기(瓷器)에 넣고 물 큰 잔으로 한 사발을 넣고 반 사발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 후 복용한다. [성제총록(성濟總錄), 남천축음(南天竺飮)]

6, 목적종통(目赤腫痛), 침음(浸淫) 등의 창(瘡)

패랭이꽃을 노르스름하게 볶음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눈에는 아연(鵝涎: 거위침)에 개어서 눈두덩에 바르고 창(瘡)에는 짓찧은 즙을 바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7, 방광암

비해(
萆薢), 금전초(金錢草), 호박(琥珀), 저령(豬苓), 지모(知母), 황백(黃柏)등을 배합한다. [항암중약적임상응용, 1987, 282면]

8, 위암

석견천, 백화사설초, 짚신나물, 탱자 익은 열매 말린 것, 불수(佛手: 불수귤) 등을 배합한다. [항암중약적임상응용, 1987, 282면]

9, 방광암

패랭이꽃, 천초(
: 꼭두선이), 까마중, 야포도(野葡萄: 개머루 전초) 각 30g을 물로 달여 마신다. [실용항암약물수책]

10, 직장암

패랭이꽃 뿌리의 가루를 창면(瘡面)에 뿌린다. [중의외과]

11, 식도암, 직장암

1, 패랭이꽃 뿌리 30g 신선한 것은 60g을 물로 달여 2회로 나누어 마신다.
2, 엑기스(우림엿): 반숟가락씩 하루에 1번 더운 물로 먹는다.
3, 직장암 환자에게는 외용을 배합하되 패랭이꽃 뿌리의 가루를 종류창면(腫
瘡面)에 뿌린다.

체질이 약한 사람에게는 사군자탕(인삼, 백복령, 백출, 감초 각 7g)을 배합한다. [중초약통신]

12, 식도암, 직장암

중국 <안휘합비중약제조공장>에서 패랭이꽃의 단방으로서 달임약, 엑기스약, 가루약을 만들어 식도암, 직장암 각 1례를 치료한 결과 효과가 좋았다. [항암본초]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강목(本草綱目)>:
"
고방(古方)의 전문가들은 난산의 치료에 석죽화탕(石竹花湯)을 사용하였고, 구공(九孔) 출혈의 치료에는 남천축산(南天竺散)을 썼는데 모두 본품의 파혈이규(破血利竅)하는 효능을 채용한 것이다."

2,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
구맥은 그의 고신(苦辛)으로 파혈(破血)하고 음한(陰寒)으로 내려가게 하여 하규(下竅)를 통리(通利)하고 소변을 통하게 한다. 그러므로 관격제융결(關格諸癃結), 소장(小腸)의 열이 심하여 생긴 요폐를 치료한다. 한(寒)으로 산열(散熱)하고 신(辛)으로 산결(散結)하기에 결옹종(決癰腫)한다. 축습열(逐濕熱)하기에 명목거예(明目去翳)한다. 신한(辛寒)은 파혈(破血)하기에 파태타자(破胎墮子)하고 하폐혈(下閉血)한다. 신가(腎家)의 열을 제거하기에 양신기(養腎氣)한다고 한다. 축방광사역(逐膀胱邪逆)하는 것도 본품이 설습열(泄濕熱)하기 때문이다. 습열(濕熱)이 중초에 있으면 청탁(淸濁)을 나누지 못하여 곽란으로 되고 습열이 통리(通利)하게 되면 곽란도 저절로 풀린다."

3, <본초정(本草正)>:
"
구맥의 성질은 활리(滑利)하여 통소변(通小便), 강음화(降陰火), 제오림(除五淋), 이혈맥(利血脈)하는 효능이 있다. 량약(凉藥)과 함께 눈의 종통(腫痛)을 치료하고 혈약(血藥)과 함께 통경(通經), 파혈하태(破血下胎)한다. 무릇 하초습열(下焦濕熱)로 인한 통증의 여러 가지 병에 모두 본품을 쓸 수 있다."

4, <본초정의(本草正義)>:
"
구맥의 성질은 음한(陰寒)으로 설강이수(泄降利水)하며, 도습퇴열(導濕退熱)하는 외에 다른 효능은 없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는 명목거예(明目去翳)한다고 했으며 <명의별록(名醫別祿)>에서는 그가 양신(養腎)하면 사열(邪熱)이 없어지게 되고 진음(眞陰)이 회복되기 때문이지 통리품(通利品)이 과연 양음(養陰)하는 것이 아니다. 출자(出刺), 결옹(決癰), 타태(墮胎)하는 힘이 세다. <명의별록(名醫別祿)>에서는 또 구맥이 곽란을 치료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습열이 안에서 가로막아 청탁(淸濁)을 나누지 못할 때에 대하여 본품이 분설축습(分泄逐濕)하는 효능이 있은 것이지, 음한(陰寒)의 곽란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다.<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에서 구맥이 오림(五淋), 무월경을 치료 한다고 했으며, 량약(凉藥)과 함께 안목종통(眼目腫痛)을 치료하고 혈약(血藥)과 함께 쓰면 통경(通經), 파혈하태(破血下胎), 선도하초습열(宣導下焦濕熱)한다고 경악(景岳)이 말했다. 석완(石頑)은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군약(君藥)이라고 말했다.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에서는 또 구맥의 잎은 치루사혈(痔漏瀉血)을 치료한다고 하였으며 종독침음창(腫毒浸陰瘡)에 찧어 바른다. 이상은 어느 것이나 청열이도(淸熱利導)하는 효능이 아닌 것이 없다. 그러나 반드시 실열(실열)이 옹체(壅滯)한 경우에만 적합하다. 구종석(寇宗奭)은 전문적으로 소장(小腸)을 통하게 하고 만약 심경(心經)에 열이 있고 소장(小腸)이 허한(虛寒)한 자는 쓰지 말아야 하는 바 그의 구별은 가장 똑똑하다고 말하였다. 석완(石頑)은 임신, 산후의 요폐 및 비허수종(脾虛水腫)인 자는 쓰지 못한다고 하였다. 생각건대, 노인이나 허(虛)한 사람은 기화불리(氣化不利)가 융폐수소(癃閉溲少)등의 증상이 있는 자는 습열온적(濕熱蘊積)이 아니며 치료할 때에는 선화기분(宣化氣分)하는 것이 좋으며 오령산(五苓散), 팔정산(八正散)은 헛되이 진액을 소모하기 때문에 모두 쓰지 못한다."

[비고(備考)]


1, <뇌공포자론(雷公
炮炙論)>: "구맥은 예각(蕊殼)만을 쓰고 줄기와 잎은 쓰지 않는다. 만약 줄기와 잎을 쓰면 빈속에 목이 막힌 것 같으며 소변실금(小便失禁)한다."

2, <도홍경(陶弘景)>:
"구맥은 오늘날 가까운 곳에서 자란다. 하나의 줄기에 가느다란 잎이 자라고 꽃은 적자색이고 예쁘며 씨와 잎을 함께 베어 채취한다. 씨는 밀과 아주 비슷하기 때문에 구맥이라고 한다. 이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한 가지는 약간 크고 꽃의 가장자리에 결각(缺刻)이 있으며 무엇이라고 하는 지는 모르며 지금 사람들은 모두 작은 것을 쓰고 있다. 다른 한 가지는 잎은 넓고 줄기도 넗으며 털이 있다. 꽃은 늦게 빨갛게 된다. 의방고전에 의하면 실 가운데의 종자는 아주 잘고 건조해지면 종자는 모두 떨어져 버린다. 지금 사람들은 줄기와 잎을 함께 쓰나 실은 빈껍데기이고 종자는 없다."

3, <본초도경(本草圖經)>:
"구맥은 지금 어디에나 있으며 싹의 크기는 약 1자이다. 잎은 끝이 뾰족하고 작으며 청색이고 뿌리는 자흑색이며 모양은 가는 만청(蔓靑)과 비슷하고 꽃은 적자색이며 영산홍(映山紅)과 비슷하다. 2~5월에 꽃이 피고 7월에 열매를 맺고 이삭이 팬다. 열매가 밀인 맥(麥)과 비슷하기에 이렇게 이름을 지었다. 입추(立秋) 후 열매와 잎을 함께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쓴다. 하양(河陽)의 하중부(河中府)에서 산출하는 것은 싹을 쓰기 좋다.
회전(淮甸)에서 나는 것은 뿌리가 가늘고 촌민들은 이것을 채취하여 빗자루로 만들어 쓴다."

4, <본초강목(本草綱目)>:
"
구맥은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에 의하면 별명을 연맥(燕麥)이라고도 하며 두모초(杜姥草)라고도 하는데 틀린 것이다. 연맥(燕麥)이란 곧 작맥(雀麥)이며 작(雀), 구(瞿)의 두 자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잘못 베껴 쓴 것이다. 또 석죽(石竹)의 잎은 지부(地膚)의 잎과 비슷하고 끝이 뾰족하고 작으며 갓 나온 작은 대나무의 잎과 비슷하며 가늘고 좁으며 줄기는 가늘고 마디가 있으며 높이가 1자 남짓되고 끝에 꽃이 있다. 전야(田野)에 나는 것은 꽃이 동전만큼 크며 적자색이고 집에서 재배하는 것은 꽃이 조금 작고 연하며 곱고 연한 백색, 연한 적색, 적자색, 알록달록한 빛깔 등의 몇 가지 색이 있다. 열매는 연맥(燕麥)과 비슷하고 속에 작고 검은 종자가 있으며 그 여린 싹은 기름에 데치고 물에 헹구면 먹을 수 있다."

패랭이꽃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한자로 구맥(瞿麥)은 열매속의 까맣고 납작한 씨의 모양이 보리를 닮았고 또는 씨를 맺을 때의 모습이 마치 보리와 같다고 해서 불여진 이름이다. 또는 꽃이 마치 우단 같아서 전융화(剪絨花)라고 불리며, 줄기마다 대나무 마디 같은 것이 있다고 해서 죽절초(竹節草)라고 부르기도 한다.

패랭이는 옛날 남자들이 쓰던 모자 이름이다. 꽃이 활짝피면 마치
꽃의 생김새가 옛날 사람들이 쓰던 패랭이 모자를 뒤집어 놓은 것 처럼 생겼다고 하여 '패랭이꽃'이라고 불린다. 꽃이 진후 둥근 기둥처럼 생긴 열매가 열린다. 꽃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기르는 품종도 많이 개발되었다. 농약을 치지 않은 유기농이나 청정지역의 야생 패랭이꽃잎을 떼어 샐러드에 넣어 먹는다.

여름철 패랭이꽃이 필 때 마다 꽃을 감상하면서 그 약초의 놀라운 효능을 새삼 느껴 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외래교수 전동명)

패랭이꽃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갯패랭이꽃: 1, 2, 원예종 겹패랭이꽃: 1, 2,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참조: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별꽃 무엇인가?
  2. 동자꽃 무엇인가?
  3. 말뱅이나물(왕류불행) 무엇인가?
  4. 벼룩나물 무엇인가?
  5. 벼룩이자리 무엇인가?
  6. 별꽃 무엇인가?
  7. 술패랭이꽃 무엇인가?
  8. 장구채 무엇인가?
  9. 점나도나물 무엇인가?
  10. 패랭이꽃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