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나무(박수) 무엇인가?

대나무 통에 열매를 넣고 팽 쏘았다고 하여 팽나무

 

 

 

 

 

 

 

 

 

 

 

 

 

 

 

 

[<<팽나무의 햇잎, 잎 앞면, 잎 뒷면, 암꽃, 양성화와 수꽃, 푸른열매, 황적색 및 등황색으로 익은 열매, 흰막으로 쌓여 있는 종자, 흰막을 제거한 종자, 겨울눈, 나무껍질, 뿌리, 맛과 향이 좋고 아삭아삭 씹히는 식감으로 밥, 국, 무침, 조림, 볶음 등의 요리에 어울리는 팽나무버섯의 황갈색 끈기가 있는 갓 표면, 항종양, 혈전 용해, 콜레스테롤 감소 작용, 면역력 향상, 비만 억제, 간장 및 소화기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는 팽나무버섯의 연한 황색의 갓 뒷면 주름살, 자루 표면에 벨벳과 같은 털로 덮여 있는 팽나무버섯의 모습, 사진-출처: JDM 촬영>>]

▶ 항암작용, 소염작용, 생리조절작용, 이뇨작용, 가려움증, 원인모를 두드러기, 폐렴, 폐결핵, 혈액순환촉진, 생리량 조절, 각종암[폐암과 간암, 대장암 등], 여성 냉대하, 갱년기 장애, 관절염, 허리통증, 조경, 지통, 이습, 담마진, 대하, 대변불통, 정신안정[히스테리를 완하], 불면증, 숙면, 발모, 이뇨, 변비, 나물, 차, 술, 탈모예방, 피부염, 요통, 폐농양, 가구재, 운동기구재, 칠창[옻이 오른데], 월경을 고르게 다스리는 팽나무 

팽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이다.

팽나무의 학명은 <
Celtis sinensis Pers.>이다. 마을의 편평한 곳, 길옆, 강언덕, 인가 근처의 평지에서 자란다. 줄기가 곧게 서서 높이 20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넓게 퍼진다. 수피는 회색이며 가지에 잔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에서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꽃은 잡성화로 5월에 피며 새로 자란 가지의 밑부분에 수꽃이 취산꽃차례로 달리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3개의 암꽃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며 수꽃에는 4개의 수술과 퇴화한 1개의 암술이 있다. 암꽃에는 짧은 수술과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고 지름은 4~7mm의 적갈색 또는 등황색으로 10월에 익으며 맛이 달다. 표면에는 그물 같은 주름이 있다. 씨방은 달걀 모양이다. 옛날부터 방풍림이나 녹음을 위해 심었다. 목재는 가구재, 운동기구재로 이용되며, 도마의 재료로 가장 좋다.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어린 잎이 자주색에서 자줏빛을 띤 녹색으로 되는 것을 자주팽나무(for. purpurascens), 잎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의 바소꼴이고 늙은나무에 있어서 잎의 길이가 11cm인 것을 섬팽나무(for. magnifica), 잎이 둥글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는 것을 둥근잎팽나무(for. rotundata)라고 한다.

우리나라 대표적으로 오래 묵은 팽나무는 경북 예천 금남리 황목근[천연기념물 제 400호, 수령 500년], 제주도 성읍리 느티나무 팽나무군[천연기념물 제 161호, 수령 600년], 부산 구포동 당숲[천연기념물 제 309호, 수령 500년] 등이 있다. 팽나무는 기본적으로 잎의 상반부까지만 톱니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거의 없는 것도 있고 하반부까지 나 있는 것도 있다. 대개는 톱니가 무딘 편이지만 잎이 날카롭고 잎끝이 길게 뾰족한 것도 발견된다. 잎의 모양에 있어서도 팽나무는 매우 다양한 변이가 나타나고 있다.     

팽나무의 껍질을
박수피[
朴樹皮], 잎을 박수엽[朴樹葉]이라고 하여 함께 약용한다.

팽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박수[朴樹=shù=V: 중국약식도감(中國藥植圖鑑)], 사박[沙朴, 청박:靑朴, 발수:撥樹, 천립수:千粒樹, 박유:朴楡, 상자:桑仔, 박자수:朴子樹, 소엽우근수:小葉牛筋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에노키[エノキ=えのき=榎の実, 에노미:エノミ, 에노미노키:エノミノキ, 요노키:ヨノキ, 요노미:ヨノミ, 아부라기리:アブラギリ: 일문명(日文名)], Celtis sinensis Pers.[학명(学名)], Chinese Hackberry[영명(英名)], 폭낭[제주도 방언], 좀풍게나무[경기 방언], 풍게나무[북부 방언], 푸조나무, 좀왕팽나무, 달주나무, 자주팽나무, 동글팽나무, 매태나무, 폭나무, 포구나무, 평나무, 섬팽나무, 둥근팽나무, 게팽나무, 팽나무 등으로 부른다. 

[채취]


<껍질>

<중약대사전>: "여름에 채취한다."

<뿌리껍질>


<중국본초도록>: "
봄철에 벗겨내서 진흙을 깨끗이 씻은 후 거친 껍질은 제거하여 햇볕 말린다."

[성분]


<중약대사전>: "알칼로이드(alkaloid)와 사포닌(saponin) 반응이 있다."

[성미]


<뿌리껍질>


<중국본초도록>: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
다."

[약효와 주치]


<껍질>


1, <중국약식도감>: "월경을 고르게 하고 담마진을 치료한다."

2, <강소약재지(江蘇藥材誌)>: "폐농양을 치료한다."

<잎>


<중약대사전>: "잎의 즙은 칠창(漆瘡)을 치료한다."

<뿌리껍질>


<중국본초도록>: "
지통(止痛), 이습(利濕), 요통(腰痛), 칠창(漆瘡)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껍질>

<중약대사전>: "내복: 2~3냥씩 달여서 복용한다."

<뿌리껍질>


<중국본초도록>: "내복:
5∼1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팽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61면 52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팽나무

느릅나무과[Celtis sinensis Pers.]

갈잎큰키나무. 높이 20m 가량. 꽃은 잡성화로 5월에 핀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7~8mm이며 10월에 등황색으로 익는다.

분포/
전국의 산기슭이나 냇가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타이, 라오스에 분포한다.

약효/
줄기 껍질을 박수피(朴樹皮)라고 하며, 조경(調經), 담마진, 폐농양을 치료한다. 잎을 박수엽(朴樹葉)이라고 하며, 즙액은 칠창(漆瘡)을 치료한다.

성분/
줄기 껍질에서 알칼로이드(alkaloid)와 사포닌(saponin)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법/
줄기 껍질 10g에 물 75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잎은 즙을 내어 환부에 바른다.

참고/
우리 나라에는 팽나무속으로 8종(좀팽나무, 좀풍게나무, 검팽나무, 장수팽나무, 노랑팽나무, 풍게나무, 왕팽나무, 팽나무)과 2변종(둥근왕팽나무, 산팽나무)이 있다.]

팽나무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279호에서는 아래와 같이 알려주고 있다.

[
박수피

[기원]
느릅나무과 식물 팽나무(Celtis sinensis Pers.) 산팽나무(Celtis aurantiaca Nakai)의 나무껍질이다.

잎을 박수엽(朴樹葉)이라 한다.

[효능주치]
조경(調經)하고, 담마진(蕁痲疹), 요통(腰痛)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박수피는 생리조절작용이 있고, 담마진(蕁痲疹) 치료에도 활용되며, 요통에도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2. 박수엽은 요통을 치료한다.

[화학성분]
alkaloid, sapo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팽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7권 33면 305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박수(朴樹)

기원: 유과(楡科=느릅나무과: Ulmaceae)식물인 박수(朴樹=팽나무: Celtis tetrandra Roxb. subsp. ~sinensi (Pers.) Y.C. Tang)의 뿌리껍질이다.

형태:
교목으로 높이가 12m에 이른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어긋나며 난상(卵狀) 타원형(橢圓形)이고 길이는 4∼9cm, 너비는 3∼5cm이며 잎끝은 짧은 점첨두(漸尖頭)이고 엽저는 설저(楔底)인데 약간 치우친 모양이며 잎가장자리의 상부에는 거치(鋸齒)가 있고, 잎 앞면에는 잎맥의 무늬가 움푹 들어간 곳에 짧은 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짧은 털이 밀생한다. 꽃은 잡성(雜性)이고 자웅동주로 1∼3송이가 엽액(葉腋)에 취생(聚生)하며, 꽃잎은 4장이고 털로 덮여 있으며, 수술은 4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이며 상위자방이다. 핵과(核果)는 구형(球形)에 가깝고 직경은 약 5mm이며 익으면 황갈색(黃褐色)이 된다.



분포:
숲속, 개울 주변에서 자란다. 중국의 남방 각지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철에 벗겨내서 진흙을 깨끗이 씻은 후 거친 껍질은 제거하여 햇볕 말린다.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지통(止痛), 이습(利濕).

주치:
요통(腰痛), 칠창(漆瘡).

용량:
5∼10g.

참고문헌:
귀주중초약명록(貴州中草藥名錄), 87면 ; 사천식물지(四川植物誌), 3권, 162면.
]

팽나무의 상세 유래에 대해서 무우(无尤) 김종원의 '주변에서 늘 만나는 식물' <한국 식물 생태 보감> 제 1권 588-59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팽나무

과명: 느릅나무과(Ulmaceae)
학명:
Celtis sinensis Persoon
영명:
Chinese hackberry
일명:
에노키(エノキ)
중명:
박수(朴树)

[형태분류]


줄기:
낙엽활엽교목으로 수피는 흑회색이며 약간 거칠고, 잘 벗겨지지 않는다. 어린 잔가지에는 잔털이 밀생한다.
잎: 어긋나며 즉 호생(互生), 약간 두꺼우며, 상반부에 톱니 즉 거치(鋸齒)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난다. 잎자루에는 부드러운 털 즉 연모(軟毛)가 있고, 가을의 단풍은 밝은 황색이다. [비교: 풍게나무(Celtis jessoensis) 잎은 엽질이 약간 얇고, 광택이 없다.]
꽃: 4월에 잎과 동시에 새 가지 즉 신지(新枝)에서 피며, 그 기부의 잎 겨드랑이 즉 엽액(葉腋)에서 수꽃이, 끝부분에서는 암꽃이 핀다.
열매:
9~10월에 알갱이열매 즉 핵과(核果)로 익고, 둥글며, 등황색으로 달콤한 맛이 난다. 동물(주로 조류)에 의해 산포한다.
염색체수:
2n=20


[생태분류]

서식처: 산비탈 암석 계곡, 충적 대지, 해안 산기슭, 강 제방 등, 반음지~양지, 적습(適濕)
수평분포: 전국 분포(개마고원 이남)
수직분포: 산지대 이하
식생지리: 난온대, 중국(동부, 남부, 남서부 등), 대만, 일본(혼슈 이남) 등
식생형: 삼림식생(충적지 삼림식물군락)
종보존등급: [Ⅲ] 주요감시대상종

팽나무는 누기(漏氣) 있는 땅과 마른 땅의 경계에 주로 산다. 강과 육지의 경계인 자연제방이나 바다와 육지의 경계인 해안 충적 구릉지에서 자주 발견된다. 우리나라 중남부지방의 온화한 마을 어귀나 중심에서 마을나무나 당산나무로 자리 잡아 전통 민속경관을 특징 짓는 대표 종이다. 해안지역에 더욱 흔하고,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성한 공간인 당집과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
장수하는 유전적 특질과 새들의 먹이인 열매를 풍성하게 생산히기 때문에 영육(靈肉)의 생명 부양 나무로서 소중한 역할을 한다.


[<<울산 태화강 옛날 제방에 살아남은 팽나무(2002년 8월)>>]

팽나무는 느티나무처럼 1,000여 년 살지는 않지만, 500여 년을 예사로 사는 장수 종이다. 속명 셀티스(Celtis)는 고대 희랍어로‘열매가 맛있는 나무’란 뜻으로, 열매가 달콤해서 새들이 무척 좋아한다. 오랜 세월 동안 한 장소에서 많은 생물을 부양하는 셈이다. 팽나무처럼 장수하는 종은 매우 천천히 성장하기 때문에 노거수(老巨樹) 수형(樹型)이나 건강상태로부터 지역의 자연사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노거수가 여러 가지 이유로 급격히 감소되었고, 그로 인해 농촌의 전통 경관이 크게 변하고 말았다.


[<<팽나무가 황적색 및 등황색으로 익은 열매>>]

팽나무는 물과 공기가 잘 통하는 모래자갈땅에서도 약간 비옥한 곳을 더욱 좋아한다. 느티나무 서식처와 중첩되기도 하지만, 느티나무는 내륙 쪽에 치우쳐 분포한다. 팽나무는 바닷바람을 쐴 수 있는 곳에 치우쳐 산다.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섬지역이나 제주도에서 팽나무 노거수가 적지 않게 관찰되는 까닭이다. 식물사회학적으로 팽나무는 난온대와 냉온대 남부, 저산지대의 식생지역에서 하천 자연제방이나 단애지(斷崖地)를 특징 짓는 여러 종류의 잠재자연식생구조성요소 가운데 하나다. 팽나무와 형태가 많이 닮은 풍게나무는 산지 숲속의 더욱 서늘한 곳에서 살기 때문에 함께 사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팽나무의 오래 묵은 나무껍질>>]

한글명 팽()나무
은 한자 팽목(憉木), 박수(朴樹) 등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달주나무라고도 하며, 한자로 청단(靑檀)이라고도 한다. 나무의 ''은 '다' 즉 이삭이 패다, 꽃이 피다가 어원인 말이다. 팽나무는 영육의 생명 부양 나무로 다산과 풍요 그리고 안녕을 보살피는 민속적 관계로부터 설명될 수 있다. 한자명 <V> 즉 박수(朴樹=pǔ shù=푸V)는 샤먼(무당, 점 즉 복(卜)을 치는 사람)의 나무 즉 목(木) 또는 신령스런 나무라는 의미다. 박수무당(朴树巫堂)이라는 것도 팽나무 즉 박수(朴樹)로 대표되는 마을 당산나무 아래에서 굿을 하는 남자무당을 말한다. 이처럼 팽나무는 오래전부터 우리 인간에게 신목(神木)으로 인식되었던 민족 식물이다. 일본명 에노키[餌の木 또는 가(榎)]에는 두 가지 유래가 있다. 그 하나는 풍성한 열매에서 유래한다. 팽나무 열매는 먹이를 뜻하는 일본말 에사 즉 이(餌)의 '에' 처럼 야생 조류의 먹이다. 다른 하나는 여름철 즉 하(夏)에 오지랖 넓은 그늘을 만드는 나무 즉 목(木)의 수형(樹型)에서 유래한다.


[<<팽나무의 양성화 및 양성화와 수꽃>>]

[참조 각주]

북촌(北村), 촌전(村田) (1982)
정은재, 김종원 (2007)
삼(森) (1921), 정태현 등 (1937)
이우철 (2005)
삼(森) (1921), 한진건 (1982)
서정범 (2000)
FOC (2009)
국립국어원 (2009)
북촌(北村), 촌전(村田) (1982)

사진:
이창우, 최병기, 김종원.
]

팽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국내 의료정보 포털사이트 <메디업 2020년 8월 10일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5대 거목인 팽나무의 효능

옻독을 해독하고 탈모치료에 도움이 되는 국내 자생 5대 거목인 팽나무의 효능

느릎나무과에 팽나무는 키가 커고 오래 자라서 마을의 수호신으로 수백년을 사는 거목이다.

팽나무
어린잎은 봄철에 나물로 식용할 수 있고 가을에는 황갈색으로 익는데 열매는 생식이 가능하고 기름을 짜서 복용하기도 한다.

팽나무 줄기껍질을 박수피, 잎을 박수엽이라고도 한다. 평온하고 약간 쓴 성질로 독은 없습니다.

팽나무라는 이름은 열매를 작은 대나무 대롱에 넣고 공기총처럼 밀어내면 팽하고 날아간다고 해서 팽나무라고 한다.

팽나무는 느릎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수피는 흑회색이며 약간 거칠고 잘 벗겨지지 않는다. 어린 잔가지에는 잔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며 즉 호생(互生), 약간 두꺼우며, 상반부에 톱니 즉 거치(鋸齒)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난다. 잎자루에는 부드러운 털(軟毛)이 있고, 가을의 단풍은 밝은 황색이다.

꽃은 4월에 잎과 동시에 새 가지 즉 신지(新枝)에서 피며 그 기부의 잎겨드랑이 즉 엽액(葉腋)에서 수꽃, 끝부분에서는 암꽃이 핀다.

열매는 9~10월에 알갱이 열매 즉 핵과(核果)로 익고, 둥글며, 등황색으로 달콤한 맛이 난다.

동물(주로 조류)에 의해 산포한다. 주로 산비탈 암석 계곡, 충적 대지, 해안 산기슭, 강 제방 등 반음지~양지등에 분포한다.

팽나무는 느티나무처럼 1,000여년을 살지는 않지만 500여년을 거뜬히 사는 장수목이다.

속명 셀티스(Celtis)는 고대 희랍어로 ‘열매가 맛있는 나무’란 뜻으로 열매가 달콤해서 새들이 무척 좋아한다.

오랜 세월 동안 한 장소에서 많은 생물을 부양하는 셈이다. 팽나무처럼 장수하는 종은 매우 천천히 성장하기 때문에 노거수(老巨樹) 수형(樹型)이나 건강상태로부터 지역의 자연사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노거수가 여러 가지 이유로 급격히 감소되었고 그로 인해 농촌의 전통 경관이 크게 변하고 말았다.

팽나무는 물과 공기가 잘 통하는 모래자갈땅 에서도 약간 비옥한 곳을 더욱 좋아한다. 느티나무 서식처와 중첩되기도 하지만 느티나무는 내륙 쪽에 치우쳐 분포한다면, 팽나무는 바닷바람을 쐴수 있는 곳에 치우쳐 산다.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섬지역이나 제주도에서 팽나무 노거수가 적지 않게 관찰되는 까닭이다. 팽나무와 형태가 많이 닮은 풍게나무는 산지 숲속의 더욱 서늘한 곳에서 살기 때문에 함께 사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혈액순환이 잘되게하고 여성의 생리를 조절하고 허리통증을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팽나무는 칠해목과 함께 옻으로 인한 독을 해독하는데 최고의 약초이다.

폐결핵, 폐농양을 치료하며 관절염과 여성의 냉대하증, 대변불통, 이뇨증에 효과가 있다. 팽나무는 탈모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빠진머리를 다시 나게하고 탈모를 예방한다. 팽나무 잔가지, 줄기껍질, 열매를 말려서 다려서 복용하며 머리에 발라주면 탈모를 예방한다. 불면증과 히스테리를 완하시킨다. 술을 담궈서 복용하면 관절염과 불면증, 여성의 냉대하, 소변불리에 효과가 있다.

또한 팽나무는 낙엽활엽수종으로 이소플라본의 일종인 소포리코사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열매를 식초로 만들어 섭취하면
갱년기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회화나무를 비롯 은행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왕버들은 수명이 수백년에 이르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5대 거목이다.

기본적인 약재 이용은 줄기껍질, 열매말린 것을 15-30g씩 달여 복용한다.
]

팽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네이버 블로그(마도로스고다)>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팽나무의 효능과 특징(항암작용, 가려움증 등에 좋은 약초)

오늘은 항암작용, 가려움증, 원인모를 두드러기 등에 좋은 약초이면서 마을 어귀나 중심에서 마을나무나 당산나무로 자리잡은 팽나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팽나무의 주요 특징입니다. 팽나무는 느티나무처럼 1,000여 년을 살지는 않지만 500여 년을 사는 대표인 장수 정자나무입니다. ​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입니다. 팽나무라는 이름은 열매를 작은 대나무 대롱에 넣고 공기총처럼 밀어내면 팽하고 날아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꽃은 4-5월에 피며 잎은 윤기가 납니다. 열매는 작고 둥글고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으며 달콤한 맛이 나서 새들이 아주 좋아 합니다.

성질은 평하고 맛은 약간 쓰며 독성은 없습니다. 주요 성분으로는 인삼의 사포닌, 알칼로이드, 베타시토스테롤, 스카톨, 인톨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줄기껍질을 벗겨 박수피라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민간에서는 허리통증과 관절염, 변비, 화상, 가슴 두근거림, 피부질환, 불면증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우석대학교 연구에서 항종양 효능과 소염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폐암과 간암, 대장암 등의 각종 항암치료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팽나무 주요 효능입니다.
각종 암세포 사멸, 소염작용, 폐렴, 폐결핵, 폐농양 효능, 혈액순환 촉진, 관절염 효능, 생리량 조절, 여성 냉대하 효과, 관절염, 허리통증 효능, 습진, 고질적인 가려움증 치료, 원인모를 두드러기 속행 개선, 옻독 해독 탁월, 정신안정, 불면증, 숙면 효능, 이뇨작용, 대 소변 효능, 탈모예방, 발모 등의 효능이 있습니다.

팽나무 이용방법입니다. 팽나무는 껍질 뿐만 아니라 가지와 잎, 열매 등을 채취하여 약재나 차로 음용해서 먹을 수가 있습니다.

팽나무는 주로 나무껍질에 약효가 있고 사철 채취하여 사용 가능하지만 보통 여름과 가을에 약효가 가장 좋습니다.

껍질은 채취하여 일주일 정도 잘 말려 사용하면 되고 잎과 열매는 적당히 익은 것을 채취해 그늘에 말려 사용하면 됩니다.

(나물) 봄철 어린 잎은 데쳐서 나물이나 샐러드로 식용할 수 있습니다.

(차) 건조한 팽나무 줄기껍질, 열매 10-20g을 물 1리터에 넣고 달여 하루 2-3회 복용하면 되고 맛은 달면서 약간 씁니다.

(술) 술은 건조한 나무껍질, 잔가지, 열매 150-200g에 소주 1.8리터 정도를 붓고 6개월이상 오랫동안 묵혀서 소주잔으로 하루 1-2잔 정도 마시면 됩니다. 관절염, 불면증, 여성의 냉대하, 소변불통 등에 효능을 볼 수 있습니다.

(탈모예방) 팽나무 줄기껍질, 잔가지, 열매 30-50g을 달여 머리에 발라주면 2주 정도면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피부염) 팽나무 달인 물을 환부에 발라 주면 습진, 가려움증, 원인모를 두드러기 등이 빨리 개선된다고 합니다.

복용시 주의사항입니다. 팽나무는 특별한 부작용은 없으나 미량의 알칼로이드 독성이 들어 있어 과다 복용하면 오히려 탈이 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적정량을 준수하여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항암작용, 가려움증, 원인모를 두드러기 등에 좋은 약초 팽나무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

팽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요통의 치료

팽나무껍질 4~5냥, 고삼(苦蔘) 2~3냥을 달여 황주(黃酒)에 타서 홍당(紅糖)을 넣어 아침 저녁 빈속에 1회씩 복용한다. [절강천목산약식지(浙江天目山藥植誌)]

[민간 약술 84/ 약이 되는 민간 약술/ 대변과 소변 불통에 좋은 '팽나무주']


약술 담그는 법


1, 전국 산지의 개울과 계곡 등에서 직접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약효는 주로 나무껍질에 있으므로 연중 수시로 채취가 가능하지만, 여름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2, 알코올 도수 30도 이상의 소주에 생나무껍질 230그램을 넣은 다음 잘 흔들어 사용한다. 이때
시중에서 대부분 팔고 있는 희석식 화학 소주를 사용해서는 절대 안되고, 증류식 소주를 사용해야 한다. 화학 소주는 석유의 폐기물에서 성분을 추출해서 합성한 에틸 카바메이트를 희석시켜 만든 것으로 몸에 해롭다.

3, 밀봉해서 6~10개월 정도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숙성시킨 다음 섭취하는 것이 좋다.

적응증


1) 대하(帶下): 여성의 생식기에서 붉은색, 흰색, 무색 등의 액체 분비물이 많이 흘러나오는 현상을 말한다. 주로 골반(骨盤)과 하복부(下腹部)를 둘러싸고 있는 대맥(帶脈)이라는 경락의 기운이 약해진 것이 원인이다. 이때에는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3~4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2) 대변불통(大便不通): 대장 질환이나 기타의 질환 등으로 인해 대변을 2일 이상 보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이때에는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5~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심하면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3) 이뇨(利尿): 배설 필요량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오줌의 양이 적은 상태 또는 소변이 아예 나오지 않을 때의 처방이다. 화약 약 등의 복용으로 신장부에 화학 독소가 쌓여 급성신부전이나 방광염, 전립선질환 등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이때에는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주의점


1,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하는 것이 좋다.

2, 건강을 위해 육류 음식, 인스턴트 가공식품, 패스트푸드, 밀가루 음식, 기름에 튀기거나 익힌 음식, 커피, 담배, 화학 양약 등을 삼간다. [출처: 권혁세/민간요법 연구회/ 전통의학비방 2015년 4월호 82-83면]

[팽나무 기르는 방법]


1, <
庭木図鑑 植木ペディア>: <<・日当たりが良ければ土質は選ばない。乾燥地でも湿地でも育つが、基本的には湿気を好み、かなりの湿度にも耐える。このため、水際の添景や海辺の防風にも使われる。=・햇빛이 좋으면 토질은 가리지 않는다. 건조지에서나 습지에서나 자라는데 기본적으로는 습기를 좋아하고 상당한 습도를 견딘다. 이 때문에 물가의 첨경이나 바닷가 방풍에도 쓰인다.

・枝分かれが多く、繁茂しやすい。芽を出す力が強く、剪定に耐えるが、大木であり、自然樹形を楽しむには広いスペースが必要。他の木とバランスを取るのが難しく、狭い庭でこじんまりと管理することはできない。・가지가 갈라지는 경우가 많고, 번무하기 쉽다. 싹을 틔우는 힘이 강해 가지치기를 견디지만 큰 나무로 자연수형을 즐기려면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다른 나무와 균형을 맞추기 어려워 좁은 마당에서 아늑하게 관리할 수는 없다.
>>

열매는 맛이 달아서 시골 어린이들이 즐겨 먹는다. 필자도 먹어 보았는데, 달달한 맛을 느낄 수 있었다. 봄철에 올라온 연한 잎인 새순도 식용할 수 있다.

옛날 대나무통을 만들어 팽나무열매를 넣고 총이나 포처럼 열매를 쏘았다고 하여, 포구 또는 팽으로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열매가 검게 익는 것을 '검팽나무(C. choseniana)'라고 한다. 검팽나무는 잎 양면에 털이 없으며 열매자루가 긴 편이고 열매가 좀더 크다. 이와 비슷한 풍게나무(C. jessoensis)는 열매의 크기는 팽나무와 같으나 잎 가장자리의 아랫쪽까지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열매가 검은색으로 익고 열매자루가 긴 점은 검팽나무와 같으나 풍게나무는 잎 뒷면 맥위에 털이 있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검팽나무와 풍게나무의 경계가 모호하게 느껴진다. 경상도와 충청도 이북에서 자라며 잎이 끝이 뾰족해지고 위쪽이 결각 모양인 것은 '산팽나무(C. aurantiaca)'라고 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팽나무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팽나무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느릅나무(낭유) 무엇인가?
  2. 비술나무(유백) 무엇인가?
  3. 시무나무(자유) 무엇인가?
  4. 왕느릅나무(무이) 무엇인가?
  5. 팽나무(박수) 무엇인가?
  6. 푸조나무(조엽수)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팽나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