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소화 무엇인가?

옛날 양반집 마당에만 심었던 능소화

 

 

 

 

 

 

 

 

 

 

 

 

[능소화의 꽃봉오리, 활짝핀 꽃, 미국능소화 붉은색, 남미능소화 황금색, 공주능소화 붉은색, 공주능소화 황금색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청열작용, 혈을 순환시키는 작용, 열이 날 때, 두통, 소아발열, 일체의 옴, 악창, 신장염, 무월경, 자궁출혈, 온몸이 가려울 때, 감기로 인한 요각불수, 대장허냉, 감기로 인한 변비, 통풍, 풍습성 관절통과 반신불수의 치료법, 풍습성, 유사 류머티스성 관절염(임상보고), 급성 이농, 류머티스성 관절통, 손발이 저리거나 맥없이 아픈 증상, 진버짐, 폐에 풍열이 있고 코가 헐어 딱지가 생길 때, 주독이 오른 빨간코(주사비), 간질, 대변을 보고 난 후에 나오는 하혈, 독있는 풀을 잘못 먹어 중독되었을 때, 타박상, 살충, 기관지천식으로 인해 생긴 각기, 해산때 갑자기 의식을 잃는데, 기혼 및 미혼 여성의 무월경으로 배꼽 부위가 꼬이듯이 아픈 증세를 다스리는 능소화

능소화는 능소화과에 속하는 잎지는 덩굴성나무이다.

능소화의 학명은 <
Campsis grandiflora(Thunb.) K. Schum.>이다. 능소화과는 난대에 약 100속 600여종이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능소화속은 북아메리카에 1종이 있고, 중국 중남부에 1종이 분포되어 있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중국남부 각지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살골짜기, 시냇가, 나무가 듬성 듬성 서 있는 숲속에서 자라거나 혹은 나무나 바위를 타고 오르며 꽃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재배되어 많이 심는다. 키는 10m가량 뻗어 나가며 가지에 흡판같은 것이 있어서 벽이나 나무 줄기를 타고 잘 올라간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잔가지는 갈색~적갈색이고 잎자국은 둥그스름하다. 줄기의 마디에서 생기는 붙음뿌리를 벽이나 다른 나무에 붙여 가며 타고 오른다. 잎은 마주나고 깃꼴겹잎으로 길이가 20~30cm이다. 작은잎은 7~9장이며 달걀형~긴 달걀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와 털이 있다. 작은잎 양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는 밑으로 처지며 5~15개의 깔때기 모양의 꽃이 옆을 보고 핀다. 꽃부리는 겉이 등황색이고 안은 주황색이며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주걱 모양으로 넓어지는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꽃받침은 길이 2~3cm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네모지고 끝이 둔하다.

옛날에는 능소화를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어서 '양반꽃'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능소화의 종류 중에 '미국능소화(C. radicans)는 꽃부리의 대롱이 길며 꽃의 지름이 작은 것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개화기는 7~9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능소화의 여러 가지 이름은
능소화[花=líng xiāo huā=샤오후와, 능소:凌: 당본초(唐本草)], 기화[華, 무위:武威, 구능:陵, 능거복:陵居腹, 귀목:鬼目: 오보본초(吳普本草)], 타태화[墮胎花: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등라화[藤羅花: 천보본초(天寶本草)], 자위[紫: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능초[陵: 명의별록(名醫別錄)], 등라초[藤蘿草, 추라:追羅: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도괘금종[倒金鐘: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상수오공[上樹蜈蚣, 쇄골풍:碎骨風: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노우젠카즈라[[ノウゼンカズラ=凌霄花: 일본명(日本名)], 양반꽃, 능소화나무, 금등화, 릉소화 등으로 부른다.

능소화의 뿌리의 여러 가지 이름은
자위근[紫
根: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능소화근[根: 성제총록(聖濟總錄)] 등으로 부른다.

능소화의 줄기와 잎의 여러 가지 이름은
자위경엽[紫
莖葉: 명의별록(名醫別錄)], 능소등[藤, 쟁장풍:爭墻風: 상용중초약배방(常用中草藥配方)], 백구장[白狗腸: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등으로 부른다.

[채취]


<꽃>

<중약대사전>: "7~9월에, 맑은 날을 택하여 갓핀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뿌리>


<중약대사전>: "1년 내내 채취할 수 있다."

[약재(藥材)]


<꽃>


<중약대사전>: "말린 꽃은 주름이 많고 오그라져 있거나 겹쳐져 있다. 완전한 꽃은 길이가 약 6~7cm이다. 꽃받침은 암갈색이며 길이는 2.5cm가량이고 기부(基部)는 합쳐져 대롱 모양으로 되어 있고 윗부분이 5개로 갈라져 있으며 열편(裂片)이 삼각형 모양이고 끝 부분은 길고 뾰족하며 꽃받침통의 표면에 10개의 세로맥이 도드라져 있다. 꽃부리는 대롱 모양이고 황갈색이며 끝부분이 5개로 갈라져 있고 열편(裂片)은 반원형이며 표면에 적갈색의 가는 맥이 있고 아울러 표면에 갈색반점이 드문드문 있다. 질은 얇다. 안쪽에 2개가 길고 2개가 짧은 꼬부라진 수술이 붙어 있으며 '개(
个)'자형의 꽃가루주머니가 달려 있다. 암술 및 꽃받침은 각 1개이다. 약간 향기가 있다. 맛은 약간 쓰고 신맛이 조금 있다. 꽃이 크고 완전하며 황갈색이고 꽃자루가 없는 것이 좋다. 주산지는 중국의 강소(江蘇), 절강(浙江) 등지이다."

<뿌리>


<중약대사전>: "말린 뿌리는 길고 원기둥 모양이며 표면은 짙은 황토색 또는 짙은 토적색이고 세로 무늬가 있으며 군데군데 지근(支根)과 받침뿌리가 끊어진 흔적이 있다. 단면은 섬유성이며 선 모양 물질이 있고 외면은 갈색이며 중심부는 담황색이다."

[성미]


<꽃>


1, <중약대사전>: "
맛은 시큼하고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시큼하며 성질은 약간 차다."

3, <오보본초>: "신농(神農), 뇌공(雷公), 기백(
伯)은 맵다고 하였고, 편작(扁鵲)은 쓰고 짜다고 하였으며, 황제(黃帝)는 달고 독이 없다고 하였다."

4, <이참암본초>: "맛은 맵고 독이 있다."

5, <본초비요>: "맛은 달고 시큼하며 성질은 차다."

<뿌리>


<본초강목>: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차다."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맛은 쓰고 독이 없다."

3, <본초강목>: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꽃>


1, <중약대사전>: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2, <본초강목>: "수족궐음경(手足厥陰經)의 혈분(血分)에 들어간다."

3, <뇌공포제약성해>: "비(脾), 간(肝) 2경(二經)에 들어간다."

4, <본초재신>: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꽃>


1, <중약대사전>: "피를 차게 하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혈체(血滯)에 의한 무월경, 징가(
癥瘕), 혈열풍양(血熱風瘍), 주부코를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 "여성의 산유(産乳: 해산 때 갑자기 의식을 잃는 것)의 후유증, 자궁출혈, 징가(癥瘕), 무월경, 오한과 신열로 인하여 몹시 여위고 쇠약해지는 증세를 치료한다." 

3, <약성론>: "열풍(熱風), 심하게 발작하는 간질, 대소변이 매끄럽게 나오지 않은 증상, 장(腸)속에 단단한 것이 있는 증세를 치료하고 산후의 일정하지 않은 자궁출혈과 임력(淋瀝)을 멎게 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주부코, 열독풍(熱毒風), 자풍(刺風), 여성의 혈격(血膈), 유풍(遊風), 자궁출혈, 대하증을 치료한다."

5, <이참암본초>: "각종 풀독을 없앤다."

6, <의림찬요>: "간풍(肝風)을 완화하며 간열(肝熱)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 간풍(肝風)으로 인하여 정수리가 몹시 아픈 증세를 치료한다."

7, <천보본초>: "행혈통경(行血通經)한다. 타박상, 기관지 천식으로 인하여 생긴 각기를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고 풍사(風邪)를 몰아내며 어혈을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다. 혈열생풍[血熱生風: 혈분(血分)에 열이 있어 풍(風)이 생기는 것으로 모든 병의 근원임], 가려움증, 풍진, 요각불수(腰脚不隨), 통풍(痛風)을 치료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열에 의한 감기로 몸이 가려운 증세, 유풍(遊風), 풍진, 어혈, 대하를 치료한다."

3, <식물명실도고>: "혈을 순환시키는 작용이 있다."

4, <항주약식지>: "산부인과에서 월경을 통하게 하는 약으로 쓴다."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양혈(
血)하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혈열생풍(血熱生風), 가려움증, 풍진, 수족이 쑤시고 무기력하고 저린 증상,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발과 허리를 쓰지 못하는 병인
위벽(痿躄)을 치료하며 원기를 북돋운다."

3, <일화자제가본초>: "잎은 열풍으로 인한 신체의 가려움, 유풍(遊風), 풍진을 치료한다."

4, <본초강목>: "후비열통(喉痺熱痛)을 치료하며 혈(血)을 식히고 새살이 돋아나게 한다."

5, <분류초약성>: "타박상, 풍습성 마비를 치료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어혈을 제거한다."

[용법과 용량]

<꽃>


<중약대사전>: "내복: 3.7~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개어허 바른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2~3돈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가 먹는다."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내복: 하루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배합과
주의사항]


<꽃>


1, <중약대사전>: "기혈(氣血)이 허약한 자 및 임신부는 복용을 삼가한다."

2, <약성론>: "노함(
鹵鹹: 제염할 때 식염을 채취한 후의 액체를 농축시켜 얻은 결정성 고체. 염화 마그네슘, 식염, 유산 나트륨 따위를 함유하고 있음)과 상외(相畏)한다."

3, <본초품휘정요>: "임신부는 복용할 수 없다."

4, <신농본초경소>: "어혈을 없애는 데는 좋지만 혈기(血氣)가 허한 여성은 사용할 수 없으며 임신 전에는 절대 사용할 수 없다."

5, <한국식물도감 제 2권 214면>: "꽃가루에 갈고리 같은 것이 있으므로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함."

<뿌리>


<본초품휘정요>: "임신부는 복용하지 못한다."

<줄기와 잎>

1, <본초품휘정요>: "임신부는 복용하지 못한다."

2, <본초휘>: "투과성이 강하여 머물러 있지 못한다. 사람에게 이롭지 못하므로 허약한 사람은 피햐야 한다."

능소화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능소화(凌花)

[기원]
능소화과의 낙엽성 덩굴떨기나무인 능소화[Campsis grandiflora(Thunb.) K. Schum.]의 꽃이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주치]
청열(淸熱), 해독(解毒), 살충(殺蟲)한다.

[임상응용]


1. 청열(淸熱)작용이 있어 열이 날 때 및 두통과 소아발열에 해열효과가 있고, 일체의 옴이나 버짐, 악창, 가려움증에도 달여서 세척한다.

2. 신장염으로 몸이 부었을 때도 옥수수수염(玉米鬚)과 같이 사용한다.

[화학성분]
apigenin, β-sitosterol 등을 함유하고 있다.]

능소화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능소화[Campsis grandiflora K. Schum.]

식물:
덩굴뻗는 떨기나무이다. 줄기에 기근이 있어서 다른 나무에 덩굴져 자란다. 잎은 깃겹잎이며 쪽잎은 버들잎 모양이다.

중부와 남부에서 꽃보기식물로 심는다.

응용:
민간에서 꽃(자위)을 정혈약, 통경약으로 산후병, 월경불순에 쓴다. 오줌내기약, 열내림약으로도 쓴다.].

능소화의 효능에 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155면 2831호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능소화(凌霄花)
55
기원: 자위과(紫葳科=능소화과: Bignoniaceae)식물인 능소화(凌霄花: Campsis grandiflora (Thunb.) Loisel.)의 꽃이다.

형태: 낙엽성 덩굴식물이다. 차기근(借氣根)으로 다른 식물 위에 기어오른다. 잎은 마주나고 기수우상복엽(奇數羽狀複葉)이며, 소엽(小葉)은 7∼11장이고 난형(卵形)이며 길이는 5∼9cm로 가장자리에는 거친 거치(鋸齒)가 있으며 양면에는 털이 없다. 꽃은 정생(頂生)하고, 화서(花序)는 취산화서(聚傘花序)가 모여서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루며, 꽃받침은 종모양으로 능각(稜角)이 있고, 화관(花冠)은 나팔모양으로 직경은 약 7cm이고 등홍색(橙紅色)이며 안쪽에는 홍색의 맥무늬가 있고, 수술은 4개로 이중 2개가 좀더 길며, 자방은 2실(室)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콩꼬투리처럼 길며 실(室)의 배부(背部)는 벌어져 있고, 종자는 편평하고 양끝에 날개가 있다. 화기(花期)는 7∼9월이다.


[능소화의 꽃,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img1.jpg

[능소화의 아름다운 꽃, 2003년 7월 19일 청도 운문사 JDM 필자가 찍음]


분포: 산계곡, 도랑가, 듬성한 수풀에서 자라거나 정원 안에서 재배한다. 중국의 황하(黃河) 이남의 각 지역에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의 절에서 심고 있다.

채취 및 제법: 맑은 날 처음 개화된 꽃송이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다.

기미: 맛은 시고,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 활혈통경(活血通經), 거풍양혈(祛風凉血).

주치: 혈체경폐(血滯經閉), 습진발양(濕疹發癢), 유선염(乳腺炎).

용량: 하루 3∼6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참고 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3947면, 절약지(浙藥誌), 하권, 1172면.]

능소화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꽃>


1, 기혼 및 미혼 여성의 무월경으로 배꼽부위가 꼬이듯이 아픈 증세 등의 모든 혈증(血症)
자위(
葳: 능소화의 꽃) 75g, 당귀, 술(荗: 봉아출:蓬莪朮) 각 37.5g을 갈아서 가루로 만든다. 빈속에 가루 7.5g을 찬 술에 타서 복용하고 나서 5시간 후에 다시 뜨거운 술에 타서 1번 더 복용한다. [계봉보제방(鷄峰普濟方)]

2, 무월경

능소화의 꽃을 가루로 만든다. 매 복용시 7.5g을 식전에 알맞게 데운 술로 복용한다. [서씨태산방(徐氏胎産方)]


3, 자궁출혈

능소화의 꽃가루 약 1g을 알맞게 데운 술로 1일 3번 복용한다. [광리방(廣利方)]

4, 온몸이 가려울 때

능소화꽃의 가루 3.75g을 술에 타서 복용한다. [의학정전(醫學正傳)]

5, 진버짐

능소화의 꽃, 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각 같은 양에 고반(枯礬)을 적당히 넣고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아픈 곳에 문질어 바른다. [생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6, 폐(肺)에 풍열(風熱)이 있고 코가 헌데 딱지가 생길 때

능소화의 꽃 18.5g(가루), 유황(硫黃) 37.5g(따로 갈아서 가루로 만든 것), 이분(
膩粉: 경분) 3.75g, 호도(胡桃) 4알(껍질을 제거한 것).

먼저 앞 3가지 약물을 고루 섞은 다음 호도살을 넣고 가루를 넣고 함께 갈아 찐득찐득한 상태로 만들어 생견(生絹)에 약을 묻혀 자주 문지른다. [양씨가장방(楊氏家藏方), 자위산(
散)]

7, 주독(酒毒)이 오른 빨간 코

① 능소화의 꽃, 산치자 각 같은 양을 가루로 만들어 매 복용시 7.5g을 식후에 차에 타서 복용하며 1일 2번 복용한다. [백일선방(百一選方)]

② 능소화의 꽃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고 밀타승(密陀僧: 납을 캐는 광산이나 은광석에서 나오는 산화제일납 또는 납을 공기 속에서 가열하여 만든 노란 가루) 가루와 고루 섞어 바른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8, 간질

능소화의 꽃을 가루로 만들어 매 복용시 11g을 알맞게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복용한다. [전신적용방(傳信適用方)]

9, 대변을 보고 난 후에 나오는 하혈

능소화의 꽃을 술에 담가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10, 독있는 풀을 잘못 먹어 중독되었을 때

능소화의 꽃을 검은콩과 함께 쪄서 꽃을 버리고 검은콩 3~5알만 먹는다. [이참암본초(
履巉岩本草)]

<뿌리>


11, 감기로 인한 요각불수(腰脚不隨)

구워 자른 능소화 뿌리를 부수어 체로 쳐서 가루로 만든다. 한 번에 2숟가락씩 공복에 데운 술로 복용한다. [
성제총록(聖濟總錄), 자위산(紫葳散)]

12, 대장허냉(大腸虛冷), 감기로 인한 변비

껍질을 벗기고 씻어 약한 불에 쬐어 말린 능소화 뿌리 3냥, 자른 오약(烏藥), 인삼(人蔘) 각 반 냥, 조협자(
皂莢子) 50개 이상의 4미(味)를 찧어 가루내어 체로 쳐서 꿀로 녹두알 크기의 환을 짓는다. 1회 10~15알씩 더운 물로 하루 2회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능소화근환(根丸)]

13, 통풍(痛風)

능소화근(根) 2~3돈을 술에 담그거나 술로 달여서 복용한다.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14, 풍습성 관절통과 반신불수의 치료법

① 능소화 뿌리 3~5돈을 물로 달여서 붉은설탕, 황주(黃酒)를 적당히 넣어 아침 저녁 2회로 나누어 식전에 복용한다. [소의, 중초약수책(蘇醫, 中草藥手冊)]

② 능소화 뿌리, 포석련(抱石蓮), 낙석등(絡石藤), 백모등(白毛藤) 각 2돈씩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소의, 중초약수책(蘇醫, 中草藥手冊)]

15, 풍습성, 유사 류머티스성 관절염
(임상보고)
신선한 능소화 뿌리 2.5kg에 물 10,000ml를 넣어 달여서 5,000ml로 만들고 다시 졸여 2,000~2,500ml로 만든다. 여기에 0.9%의 생리 식염수를 넣어 삼투액으로 만든 다음 고압 소독하여 보관한다. 한 번에 5ml씩 근육 주사하며 하루에 1~2회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여 실시한 결과 20례 중에서 단기간 내에 치유된 것이 12례, 현효가 6례, 무효가 2례였다. 일반적으로 1~4회 주사하여 동통이 경감되고 홍종(紅腫)이 소실되어 걷기가 편해졌고 체온은 내려갔다. 요통이나 감기로 인한 사지 동통에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줄기와 잎>

16, 급성 이농(耳聾)

능소화 잎을 짓찧어 그 즙을 귓속에 떨어뜨려 넣는다. [두문방(斗門方)]

17, 류머티스성 관절통

쟁장풍(爭墻風) 즉 능소화의 줄기와 잎, 석남등(石南藤), 희렴초(豨薟草) 각 5돈, 위령선(威靈仙), 독활(獨活) 각 3돈을 물로 달여 하루에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상용중초약배방(常用中草藥配方)]

18, 손발이 저리거나 맥없이 아픈 증상

쟁장풍(爭墻風) 즉 능소화의 줄기와 잎 3냥, 대혈등(大血藤) 2냥, 서장경(徐長卿) 1냥 반, 석남등(石南藤) 1냥, 천년건(千年健) 4돈을 질 좋은 소주 3근에 10일간 담갔다가 찌꺼기를 버리고 여과한다. 한 번에 반 냥~1냥을 하루에 3회 복용한다. [
상용중초약배방(常用中草藥配方)]


[능소화 재배법]


1, 기후와 토양:
따뜻하며 습윤한 환경을 좋아한다. 토양에 대한 요구가 까다롭지 않아 사질 토양이거나 점토질에서 잘 자란다.

2, 심기:
① 꺾꽂이 번식- 봄이나 우기에 심는다. 중국의 북경지역에서는 7~8월이 적합하다고 한다. 단단하며 굵은 가지를 10~16cm씩 잘라 모래로 만든 모판에 꽂고 유리를 덮어 온도와 습도를 충분히 유지하여 준다. 일반적으로 23~28℃ 온도하에서는 꺾꽂이 후 20일 만에 뿌리를 내리며, 이듬 해 봄에 큰 밭에 옮겨 심는다. 옮겨심을 때 이랑 간격을 60cm. 포기 간격을 30~40cm로 한다. 남방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봄에 첫해의 새로 난 가지를 잘라서 직접 땅에 꽂아도 뿌리가 내려 자랄 수 있다.

② 휘묻이 번식-
7월에 굵고 단단한 덩굴을 지표에 끌어 당겨 한 끝을 땅속에 묻어서 싹이 나게하여 토양을 습윤하게 유지하여 주면 50일 가량 지나 뿌리가 내린다. 뿌리가 내리면 잘라서 옮겨 심는다. 남방에는 봄에 휘묻이 할 수 있다.

③ 뿌리나무기 번식-
이른 봄에 하는 것이 적당하다. 암나무부근에 있는 움돋은 어린 모를 파내어 옮겨 심는다.

3, 경지관리:
갓 심었을 때에는 물주기, 흙을 파 일으켜 부드럽게 하기, 김매기에 주의하고 5월 중순 또는 6월초에 덧거름을 한 번 주어 꽃이 많이 피게 한다. [중약대사전]

능소화에 대해
<본초강목>에서는 말하기를 "능소화 및 그 뿌리는 달고 시큼하며 차다. 줄기와 잎은 쓴맛이 조금 있고 혈분(血分)에 들어가 피속의 복화(伏火)를 잘 없애므로 산유(産乳: 해산때 갑자기 의식을 잃는 것)와 자궁출혈 따위의 질병 및 혈열생풍(血熱生風)의 증상을 치료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용으로서 정원이나 담벼락 등에 많이 심고 요즘은 고속도로를 낼 때 산을 깍아서 보기 흉한 절개지에 등나무와 함께 능소화를 심어 운치도 있고 차를 몰고 갈 때 꽃보기 식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능소화 사진 감상: 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능소화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