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이 무엇인가?

열매의 모습이 양치기 목자의 지갑을 닮은 냉이

 

 

 

 

 

 

 

 

img1.jpg

 

 

 

 

[냉이의 봄철 어린잎, 잎의 속눈썹털 확대, 꽃이 핀 모습, 꽃 확대, 푸른 열매, 익은 열매, 열매 속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 자궁수축작용, 항지혈작용,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진정작용, 피응고작용, 심장혈관확장작용, 강압작용, 수면 시간 연장작용, 약간의 해열 작용, 자궁출혈, 출혈성 질병, 부종, 눈이 충혈되면서 붓고 아픈 데, 혈관에 대한 작용,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보고 색이 우유빛으로 나타날 때, 항출혈, 비뇨기, 살충, 마진[홍역] 예방[임상보고], 유미뇨[소변 색깔이 우유빛인 증상][임상보고], 산후 출혈[임상보고], 방부제, 지혈제, 대변출혈, 눈에 충혈이 지고 아픈 것, 해산 후의 전신부종, 산후자궁출혈, 마진, 이질, 수종, 임병, 토혈, 혈붕, 홍역예방, 동통을 동반한 목적, 심장에서 양성근육수축 효능, 자궁의 수축이 증가, 눈아픔, 녹내장, 황달, 항염증, 항궤양, 고혈압, 저혈압, 이뇨, 피부손상 출혈, 코피, 시력을 아주 좋게 하는데, 전통 허브차용, 일반 눈병, 설사, 출혈 정지, 심한 생리[월경과다] 치료, 설사, 방광염을 다스리는 냉이

냉이는 들과 밭에서 자라는 십자화과의 한두해살이 즉 일년생 또는 월년초 즉 두해살이풀이다.

냉이의 학명은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이다. 흔히 '나생이'라고고 부른다. 키는 10~50cm까지 자라며 전체에 털이 있고 뿌리는 곧게 땅속으로 내려간다. 근생엽은 밀생하고 지면에 퍼지며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 위끝의 갈래가 가장 크다. 경생엽은 어긋나고 피침형이다. 밑이 귓불 모양이며 원줄기의 반 정도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깃 모양으로 갈라지나 위로 갈수록 크고 날카로운 이 모양으로 된다. 꽃은 줄기나 가지끝에 총상꽃차례에 십자 모양의 자잘한 흰색 꽃이 촘촘히 달리는데 밑에서부터 피어 올라간다.  

납작한 열매는 역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개화기는 4~6월이고 결실기는 여름이다.

서양에서는 냉이의 열매의 생김새를 보고 '목자의 지갑' 즉 '셰퍼드의 지갑(Shepherd's purse)'이라고 부르는데, 이 이름의 의미는 냉이가 자라서 씨 주머니가 열린 모습이 세모꼴 모양으로 마치 양을 치는 목자(牧者)들이 가지고 다니는 주머니 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냉이는 냉이속의 냉이, 다닥냉이속이 전세계 약 130종이 분포되어 있다. 다닥냉이, 대부도냉이, 미륵냉이, 큰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서양말냉이가 있으며 말냉이속은 전세계에 약 80종이 있다. 또한 황새냉이속은 전세계 온대지방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2종이 있다. 황새냉이, 꽃황새냉이, 애기냉이, 좁쌀냉이, 싸리냉이, 는쟁이냉이, 참고추냉이, 미나리냉이, 논쟁이, 꽃냉이, 두메냉이, 큰황새냉이, 벌깨냉이, 왜갓냉이가 있으며, 고추냉이속의 고추냉이, 나도냉이속의 나도냉이, 개갓냉이속은 전세계에 약 50종이 분포되어있고, 개갓냉이, 좀개갓냉이, 구슬갓냉이, 속속이풀이 있다.

가을부터 겨울철 봄까지 냉이의 신초 어린잎들은 자라는 환경에 따라 모습과 색깔도 다양하고 제각각이며 변화무쌍하다. 그러므로 뿌리잎을 주의깊이 살펴보지 않으면 다른 식물로 오해하기 쉽다. 

이른봄에 방석처럼 퍼진 어린잎과 뿌리를 통째로 캐서 냉이국을 끓이거나 나물로 무쳐 먹으면 대단히 향기롭고 맛이 좋다. 봄철에 냉이는 입맛을 돋구어 주고 냉이국의 향긋한 맛은 춘곤증을 몰아내어 준다.  

냉이를 중국에서는 제채(薺菜)라고 부른다. 냉이는 옛날에 나물보다는 약초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중국에서 펴낸
<본초강목> 에서는 냉이를 경기하는데 좋고 뱃속을 고르게 하며 오장에 이롭다고 했으며 또 겨울에도 냉이죽을 먹으면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간을 도와서 눈이 밝게 해 준다고 했다. 민간요법으로는 냉이의 줄기와 잎을 태운 재를 이질에 사용하였고, 뿌리를 달여 먹으면 눈병을 낫게한다고 했다. 특히 냉이는 자궁의 출혈, 폐출혈의 지혈제로서 이용되었는데 이뇨, 해열, 지열의 효과가 뛰어나다. 냉이 줄기를 검게 태워서 밥에 개어서 유방의 종기에 붙이면 특효약이다.  

가을에 밭에 냉이가 많이 나면 그 해 겨울은 눈이 많이 오고 적게 나는 해는 눈이 적게 온다고 옛사람들은 냉이를 보고 일기예보를 내다보기도 하였다. 냉이는 춘궁기를 이기는 귀중한 구황식량이다. 냉이씨는 허기를 잊게 해주는데, 옛날에 어느 가난한 선비가 글을 읽을 때 냉이씨를 씹어서 허기를 견디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냉이씨는 극히 작으므로 씨주머니를 따 비벼서 물에 저어 풀어 두면 씨가 밑에 가라앉는다. 이때 선비들은 굶주린 배를 물과 함께 냉이씨로 요기하면서 배고픔을 참았다고 전해진다.

냉이씨는 죽에도 넣고 떡에도 넣었다. 냉이를 음력 4월 8일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 것은 풍독사기를 없애는 효과가 있고 눈이 아파 눈물이 흐를 때, 눈이 잘 보이지 않을 때 약효가 있다고 전해진다. 냉이는 단백질과 전분 함유량이 비교적 높아 혈압을 하강시키는 작용도 하고 단백질과 당분은 시금치의 2배, 칼슘은 3배나 더 많이 들어 있다. 청나라때 육식을 하는 사람은 냉이를 먹으면 위장을 씻어 준다고 하여 정장초(淨腸草)라고 불렀다. 현대인의 식생활이 육식으로 바뀌고 있으므로 냉이를 적극적으로 권하고 싶다. 유럽에서도 냉이를 약초로 사용하였다. 코피가 날 때 냉이즙을 먹어서 지혈시켰다. 또한 치통에 오른쪽 이가 아프면 왼쪽에, 왼쪽 이가 아프면 오른쪽에 냉이잎을 붙여 진통제로 유럽에서 사용하였다.

냉이의 여러 가지 이름은
제채[薺菜=
jì cài=차이: 천금, 식치(千金, 食治)], [薺: 명의별록(名醫別錄)], 호생초[護生草: 본초강목(本草綱目)], 천채[芊菜, 계심채:鷄心菜: 의림찬요(醫林纂要)], 정장초[淨腸草: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능각채[菱角菜: 광주식물지(廣州植物誌)], 지미채[地米菜, 계각채:鷄脚菜: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가수채[假水菜: 육천본초(陸川本草)],지지채[地地菜, 연합초:煙盒草: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상사채[上巳菜, 제지채:薺只菜, 포승화:蒲蠅花: 민동본초(閩東本草)], 향선채[香善菜, 청명초:淸明草, 반초두초:飯頭草, 향근낭:香芹娘, 향과낭:香科娘, 향전제:香田薺: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침두초[枕頭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람시채[欖豉菜: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shepherd's purse[영명(英名)], 나즈나[ナズナ=, 펜펜구사:ペンペングサ=ペンペン, 샤미센구사:シャミセングサ=三味線草: 일문명(日文名)], 나이, 내이, 난생이, 나수랭이, 나상이, 나승갱이, 나싱이, 나세, 나상구, 나생개, 나숭개, 나승개, 나새이, 나싱개, 나시, 냉이, 참냉이 등으로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냉이의 옛 이름은
'나이'이다. 냉이는 우리나라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서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조금씩 다르게 부른다. 예를 들어 황해도에서는 '내이', 평안도에서는 '냉이', 경상도에서는 '난생이', '나수랭이', 충청도에서는 '나상이', '나승갱이', '나싱이', 전라도에서는 '나세', '나상구', '나생개',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서 공용으로 '나숭개', '나승개', 충청도 경상도에서 공용으로 '나새이', 충청도 전라도 공용으로 '나싱개',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함경도에서 공용으로 '나시'등으로 부른다.

냉이꽃의 다른 이름은
제채화[薺菜花: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지미화[地米花: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등으로 부른다.

냉이열매 및 씨의 다른 이름은
제채자[薺菜子: 천금(千金), 식치(食治)], [
蒫, 제실:實: 이아(爾雅)], 석명자[菥蓂子: 식성본초(食性本草)], 차실[蒫實: 본초강목(本草綱目)], 종자[粽子: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목자의 지갑, 셰퍼드의 지갑=Shepherd's purse: 서양명(西洋名)] 등으로 부른다.  

[채취]

<전초>

<중약대사전>: "3~5월에 채취하여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종자>

<중약대사전>: "여름에 채취한다. 열매가 성숙하면 열매와 가지를 함께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종자를 비벼서 털어낸다."

[약재]


<전초>

<중약대사전>: "건조한 전초로 뿌리는 수염 모양으로 분지하고 구부러졌거나 일부는 끊어져 없으며 연한 갈색 또는 젖빛이다. 뿌리에서 난 잎은 깃꼴 분열하고 쪼그라져 감겨 있으며 질이 약하여 잘 부스러지고 회녹색 또는 적황색이다. 줄기는 가늘고 분지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구부러졌고 일부는 부러져 있다. 과실은 줄기 끝에 가까이에 소생하고 삼각형이며 연한 황록색의 가느다란 자루가 있다.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싱겁다. 잘 마르로 줄기는 거의 녹색에 가까우며 잡초가 붙어 있지 않은 것이 양품이다."

<종자>

<중약대사전>: "건조한 종자는 작고 길이는 약 0.8mm이며 갈색이다. 확대경으로 관찰하면 편평하고 긴 모양이다. 한쪽 끝은 무딘 원형이고 다른 한쪽 끝은 약간 좁고 백색의 제점(臍點)이 있다. 양면에 긴 고리 모양의 홈이 있고 중앙이 길 게 융기되어 있다."

[성분]


<전초>

<중약대사전>: "제체(
薺菜: 냉이)에는 oxal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pyruvic acid, sulfanilic acid, fumaric acid 등의 유기산과 arginine, aspartic acid, ploline, methionine, leuc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cystine, systeine 등의 아미노산과 saccharose, sorbose, lactose, aminoglucose, sorbitol, mannitol, adonitol 등의 당분을 포함하고 있다.

무기물 중에는 칼륨 34.39%, 칼슘 15.09%, 나트륨 13.44%, / 철 10.24%, 염소 3.70%, / 인산 3.63%, 망간 0.2405%, / 철 10.245, 염소 3.70%, / 인산 3.63%, 망간 0.2405%를 함유하고 있다.

또 choline, acetylcholic acid, acetyl choline, tyramine, brucine, 사포닌(saponin), flavone, 루틴(rutin), hesperidin, luteolin-7-rutinoside, dihydrofisetin, quercetin-3-methlether, gossypetin hexamethyl ether, diosmin, robinetin이 있으며 이외에 또 sinigrin, n-nonacosane과 sitosterol을 함유한다.

식용 부분에는 500g당 단백질 21.2g, 지방 1.6g, 당 24g, 조섬유 5.6g, 회분 7.2g, 칼슘 1.680g, 인 292mg, 철 25.2mg, carotene 12.8mg, 비타민(vitamin) B1 0.56mg, B2 0.76mg, nocotinic acid 2.8mg, 비타민 C 220mg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

<중약대사전>: "녹색의 열매껍질은 diosmin을 함유한다. 종자는 지방유 22.5%를 함유한다."

[약리작용]


<전초>

<중약대사전>: "
1, 자궁에 대한 작용: 제체(薺菜: 냉이)에는 맥각(麥角)과 비슷한 작용이 있다. 그 농축액을 동물의 적출 자궁 또는 장관에 시험한 결과 모두 현저한 수축을 일으켰다. 전초의 알코올 추출물은 옥시토신과 같은 자궁 수축 작용이 있다. 전초의 유효 성분은 마우스, rat의 적출 자궁을 수축시켰다.

탕제와 액체성 엑스(liquic extract)는 모두 동물의 자궁을 흥분시키는데 rat의 적출 자궁(비=非임신), 토끼의 체내 자궁(임신과 비임신), 고양이의 체네 자궁(비임신)에서 모두 그 수축을 강화했다. 생약 0.08~0.8g/kg에 상당하는 양을 자궁 누관(瘻管)을 만든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자궁 수축이 강해지고 근육의 긴장도 및 수축 파수(波數)도 어느 정도 증가했다. 탕제(생약 5.26g/kg에 상당)를 위에 주입해도 같은 작용이 있었다. 자궁을 흥분시키는 유효 성분은 물이나 물이 함유된 알코올에는 용해되지만 무수 알코올, 벤젠, 무스에테르 또는 무수 클로로포름에는 용해되지 않거나 매우 용해되기 힘들다. 제체(
薺菜: 냉이)의 추출물은 교미한적이 없는 모르모트의 자궁에서도 비교적 강한 작용을 나타냈다(신선한 즙과 건조한 약재는 거의 차이가 없다).

2, 지혈 작용: 제체(薺菜: 냉이)에는 지혈 작용이 있는 Burs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 제체(薺菜) 추출물(질산을 포함)을 각종 출혈 환자에게 정맥 또는 근육에 주사(2~4시간마다 1회 2~3ml, 1일 투여량은 최대 15ml)하면 뚜렷한 지혈 작용을 볼 수 있다. 혈우병 환자에서 응혈괴(血塊)의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제체(薺菜)의 탕제를 마우스의 위에 주입하면 소량(생약 0.02g/10g 체중에 상당)에서는 반수 이상 마우스의 출혈 시간이 단축되고 다소 많은 양(생약 0.06g/10g 체중에 상당)에서는 반대로 출혈 시간이 연장된다. 농축 휘발액을 마우스의 복강 내에 주사하면 특히 출혈 시간이 단축된다. 대량 투여의 경우에 현저하다. 농축 휘발액을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액 응고 시간이 단축된다. 대량 투여의 경우에 현저하다. 농축 휘발액을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액 응고 시간이 단축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되는 보고도 있다. 무더운 기후나 사마르칸트와 같은 건조한 토양 조건에서 자란 제체(薺菜)로 10%의 침액을 만들어 래트의 피하에 주사하니 혈액 응고 시간이 뚜렷하게 연장되고 오히려 출혈을 일으켰다. 제체(薺菜)의 10% 추출물 0.1ml은 토끼의 혈액 응고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심장, 혈관에 대한 작용:
제체(薺菜)의 알코올 추출물을 개, 고양이, 토끼, rat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압에 일과성 하강이 나타나는데 이 작용은 80㎍/kg의 아트로핀에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전초의 유효 성분도 쥐, 고양이, 토끼, 개에서 일과성 혈압 하강을 일으키고 아트로핀에 역시 길항되지 않는다.

그러나 proomethanol에 의해 억제된다. 심전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개의 in vivo 심장 및 모르모트 적출 심장의 관상 혈관에 대한 확장 작용을 나타낸다. 또 고양이 적출 심장의 ouabain에 의한 세동(細動)을 억제한다.
제체(薺菜)의 추출물은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나타나지만 아드레날린의 작용을 억제하지 못한다. 제체(薺菜)의 탕제 또는 농축 휘발액에는 마취한 개의 혈압을 극히 단시간 동안 하강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사전에 아트로핀을 쓰면 혈압 하강이 억제된다. 건조한 제체(薺菜)의 침액을 주사하면 개의 혈압을 원래 수준의 40~50%까지 하강시키고 병아리의 혈압도 하강시킨다. 개구리의 하지 혈관에 제체(薺菜) 추출물(20%~50ml)을 관류하여도 작용이 없었다. 건조한 제체(薺菜)의 침제는 고농도(10%)일 때 혈관을 수축시키고 저농도(2% 이하)에서는 혈관을 확장시킨다. 알코올 추출물은 개의 하지 혈관에 대해 확장 작용이 있다. 이전부터 이 혈압을 낮추는 작용은 약에 함유된 콜린과 아세틸콜린과 관계 있다고 생각되어 왔는데 제체(薺菜)의 알코올 추출물 중에 이 두 성분은 없고 아세틸콜린과 다른 한 종류의 제 4급 암모늄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4, 기타 작용:
제체(薺菜)의 추출물은 cyclobarbital에 의한 수면 시간을 연장한다. 마취한 개에게 제체(薺菜)의 탕제나 농축 휘발액을 정맥 주사하면 모두 호흡을 흥분시키고 먼저 아트로핀을 투여해도 이 작용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 보고에 의하면 건조한 제체(薺菜)의 침액은 개의 호흡 운동을 역으로 원래 수준의 20~50%까지 감퇴시키며 때로는 훨씬 강한 작용이 있었다고 한다. 제체(薺菜) 전초의 유효 성분은 기관 및 소장의 평활근을 수축시키다. 먼저 아트로핀을 투여하면 모르모트의 소장이 경도로 억제되고 또 알코올 추출물을 투여하면 장관이 수축되며 그 후에 원상태로 돌아온다. 이밖에 제체(薺菜)의 알코올 추출물을 복강 내 주사하면 래트의 하지에 대해 dextran성, carragenin 부종 및 serotonin에 의한 모세 혈관의 투과성의 증가를 억제한다. Shay 궤양에 대한 억제율은 90%이고 동시에 스트레스성 궤양의 유합을 가속시킨다. 마우스에 대해서는 이뇨 작용이 있다. 인공적으로 발열시킨 토끼에 대하여 제체(薺菜)는 약간의 해열 작용을 나타냈다."

<종자>


<중약대사전>: "
diosmin은 비타민 P와 같은 작용이 있으며 토끼의 모세 혈관 투과성을 낮추는 작용은 루틴(rutin)보다 강하다. 모세 혈관의 취약성 증가에 대한 치료 효과는 루틴(rutin)보다 좋고 독성도 약하다."

[성미]


<전초>

1, <중약대사전>: "
뿌리가 달린 전초의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3, <천금, 식치>: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4, <일용본초>: "맛은 달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꽃>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종자>


<본초강목(本草綱目)>: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귀경]


1, <득배본초>: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2, <본초촬요>: "수소음(手少陰), 태음(太陰),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전초>


1,
<중약대사전>: "비(脾)를 조화시키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지혈하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이질, 수종, 임병, 유미뇨(乳尿; 소변 색깔이 우유빛인 증상), 토혈, 변혈, 혈붕(血崩: 자궁 출혈), 월경과다(생리의 양이 많을 때), 동통을 동반한 목적(目赤)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주로 간기(肝氣)를 이롭게 하고 중초를 조화시킨다."

3, <약성론>: "태워서 재로 하여 복용하면 적백리를 치료한다."

4, <천금, 식치>: "각종 독을 제거한다. 뿌리는 목삽통(目澁痛)을 주치한다."

5, <최우석, 식경>: "심비(心脾)를 보양한다."

6, <일용본초>: "간기(肝氣)를 식히고 눈을 밝게 한다."

7, <본초강목>: "시력을 아주 좋게 하고 위(胃)를 이롭게 한다."

8, <현대실용중약>: "지혈한다. 폐출혈, 자궁 출혈, 유산 출혈, 월경 과다, 두통, 안통(眼痛), 망막 출혈을 치료한다."

9, <육천본초>: "부기를 가라앉히고 해독한다. 창절(瘡癤), 급성 결막염을 치료한다."

10, <남영시약물지>: "유미뇨(乳
尿; 소변 색깔이 우유빛인 증상)를 치료한다."

11, <광서중약지>: "위(胃)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적체를 삭인다."

<꽃>


1, <중약대사전>: "
이질, 자궁 출혈을 치료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그늘에서 말려 가루내어 대추를 달인물로 1일 2돈식 복용하면 구리(久痢: 오래된 설사)를 치료한다."

3, <식물명실도고>: "소아의 유적(乳積)을 제거할 수 있다. 태워서 재로 하면 적백리를 치료한다."

<종자>


1, <중약대사전>: "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시력을 매우 좋게 하는 효능이 있다. 목통(目痛), 녹내장, 예장(翳障: 각막편운=角膜片雲 등)을 치료한다."

2, <오보본초>: "복부 팽만을 치료한다."

3, <명의별록>: "시력을 좋게 하고 목통(目痛)을 주치한다."

4, <약성론>: "청맹(靑盲)으로 물체를 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오장의 부족을 보양한다."

5, <식성본초>: "옹(
)을 주치하고 풍독사기(風毒邪氣)를 제거하며 시력을 아주 좋게 하고 예장(翳障)을 제거하며 해독한다. 장기간 복용하면 물체가 뚜렷하게 보이게 된다."

[용법과 용량]


<전초>


<중약대사전>: "
내복: 3~5돈(신선한 것은 1~2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제, 산제로 하여 쓴다.
외용: 가루를 개어 붙인다. 또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눈에 넣는다."

<꽃>


<중약대사전>: "
내복: 3~5돈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종자>


<중약대사전>: "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배합(配合) 및 금기(禁忌:
주의사항)]

<세계의 약용식물 78면>: "
금기: 지나치거나 장기 연용은 권장하지 않는다."

냉이의 효능과 관련하여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제체(薺菜: 냉이)

○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달며, 독은 없다. 간기(肝氣)를 잘 통하게 하고, 중초(中焦)를 편하게 하며, 오장(五臟)을 편하게 해준다.

○ 밭이나 들에 나는데, 겨울에도 죽지 않는다. 냉이로 죽을 쑤워 먹으면 그 기운이 피를 간(肝)으로 이끌어 가서 눈을 밝아지게 한다.『본초』

○ 음력 8월은 음(陰) 가운데 양(陽)이 포함되어 있는 때이기 때문에 양기(陽氣)가 발생하므로 중추(中秋)에는 냉이와 밀이 다시 살아난다. 『참동계의 주해』

제채자(薺菜子: 냉이씨)
  

○ 제채자(薺菜子)를 일명 석명자(
蓂子)라고 한다. 오장(五臟)의 부족한 기(氣)를 보하고 풍독(風毒)과 사기(邪氣)를 없애며, 청맹(靑盲)과 눈이 아파서 사물을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하고, 장예(障)를 없애며 열독(熱毒)을 풀어주고, 오랫동안 먹으면 사물이 선명하게 보인다. 음력 4월 8일에 받는다.『본초』

제채근(薺菜根: 냉이뿌리)  
 

○ 눈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본초』 

제채경엽(薺菜莖葉: 냉이의 줄기와 잎)
  

○ 태워서 가루내어 쓰는데, 적백이질(赤白痢疾)을 치료하는 데 아주 효과가 좋다.

제체(薺菜: 냉이)

○ 적백리(赤白痢)에 주로 쓴다. 뿌리와 잎을 따서 불에 태워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마시면 극히 효험이 있다.『본초』

석명자(
蓂子: 말냉이씨)

○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은 없다. 눈을 밝게 하고, 눈이 아프며 눈물이 흐르는 데 쓰며, 간(肝)에 쌓인 열(熱)로 눈이 붉어지고 아픈 것을 치료하여 눈에 정기를 나게 한다.   

○ 어느 곳에나 있는데, 이것이 큰 냉이씨다. 음력 4월, 5월에 씨를 받아서 볕에 말린다.『본초』
]

냉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75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제채(薺菜)

[기원]
십자화과의 한두해살이 초본식물인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의 뿌리와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달고, 약성은 평범하다.

[효능주치]
이비(利脾), 이수(利水), 지혈(止血), 명목(明目)한다.

[임상응용]


1. 이질에 효력이 있다.

2. 이뇨작용이 있어서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 못보고 색이 우유빛으로 나타날 때 효력이 있다.

3. 토혈, 대변출혈, 자궁출혈, 생리량이 많을 때에 지혈(止血)반응이 있다.

4. 눈에 충혈이 지고 아픈 것을 다스린다.

5. 해산 후에 전신부종을 치료할 때에 20g씩 쓴다.

[임상연구]
홍역예방에 효력이 입증되었고, 산후(産後)자궁출혈에 40g을 달여서 2회로 나누어 복용하면 효력을 얻는다.

[약리작용]
맥각(麥角)과 유사한 자궁수축작용이 있고, 불식산은 지혈(止血)작용을 나타내며, 일과성의 혈압강하작용이 있고, 진정작용이 나타났다.

[화학성분]
초산, 주석산, 유기산, amino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냉이의 다양한 쓰임새와 관련하여
<한국식품사전 72-73>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냉이[shepherd’s purse]

이명: 제채(薺菜)

학명: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
개요]

겨자과에 속하는 월년생 초본으로 시골 도로변이나 공지의 뜰에서 자생하는 구황식품(救荒食品)이다. 잎과 뿌리 전체를 채취하여 식용으로 하는데 겨울에 잎은 자색으로 쭈글어든 것처럼 되어 있고, 봄에는 녹색으로 변한다.

[
성분]

수분 81.5%, 단백질 7.3%, 지질 0.9%, 당질 4.6%, 섬유 2.0%, 회분 2.7%, Ca 116mg%, P 104mg%, Fe 2.2mg%, 냉이 100g 중 비타민(vitamin) A 효력 2.315 IU, B1 0.51mg%, B2 0.06mg%, 니아신(niaacin) 0.5mg%, C 40mg%로서 비타민(vitamin) A 효력물질과 C는 뜰에서 자생하는 야채로서는 많은 편이다. 그리고 콜린(choline),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푸마르산(fumaric acid), 이노시톨(inositol; Inosit) 등이 있다.

[
이용]

우엉과 흡사한 독특한 향기를 띤 야초이다. 해로운 성분이 없으므로 열탕에 헹구는 정도로 씻고, 나물이나 된장국의 재료로 사용한다.

[
참고]

일본의 일곱 가지 나물과 우리 나라의 오곡밥: 일본의 풍속으로 냉이를 비롯하여 미나리, 광대나물, 떡쑥, 벌꽃, 순무, 무의 7종의 대표적인 봄나물을 음력 17일 도마 위에서 다져 죽에 넣어 먹으면 만병을 예방한다고 한다. 또한 음력 17일에 위의 일곱 가지 푸성귀를 넣어서 죽을 쑤어 먹는다. 그리고 음력 115일에는 일곱 가지 곡식으로 죽을 쑤어 먹는다.

우리 나라에서는 오곡밥(찹쌀에 기장, 차수수, 검정콩, 붉은팥 등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밥)과 여러 나물(고사리, , 고구마대, 무시래기, 가지, , 도라지 등)을 음력 115(정월 보름)에 만들어 먹는 습관이 있다.]

냉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식료품 성분과 림상적용> 282-28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냉이

냉이에는 단백질
3.9%, 지방 0.3%, 당질 2.0%, 섬유소가 1.3% 들어 있다. 또한 광물질이 상당히 들어 있는데 칼슘 694mg%, 마그네슘 113mg%, , , 나트륨, 칼륨 등이 있다. 냉이에는 비타민도 아주 많다. 카로틴이 1.510%(A효력 839 IU)이며 비타민 B1 0.1mg%, B2 0.19mg%, PP 5.9mg%, C17mg%나 된다. 싱아산은 9mg%인데 그중 5mg%는 수용성이다.

[
작용]

동의고전에는 냉이로 죽을 쑤어 먹으면 눈을 밝게 한다고 하였다.

냉이는 동물의 장과 자궁을 수축시킨다. 흰생쥐의 자궁과 토끼 및 고양이의 몸안 자궁에 대한 실험에서는 냉이달임물이나 유동엑스가 다 흥분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냉이는 피응고작용이 있는데 그것은 <브르신산>이 한다. 냉이달임물이나 그 유독엑스를 흰쥐에 먹이거나 토끼정맥에 주사하면 피흐르는 시간과 피응고 시간을 모두 짧게 하였다. 그러나 마른 냉이에서는 이런 작용이 인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냉이는 혈압을 낮추고 호흡의 흥분을 일으킨다.

개에게 냉이의 유동엑스를 정맥주사하면 혈압이 낮아지며 호흡중추를 자극한다. 만일 아트로핀을 주사하면 혈압하강작용이 약해지지만 호흡중추에는 변함이 없다.

이상과 같은 작용에 의하여 냉이를 동의학에서는 지혈약, 혈압하강약, 폐와 자궁 출혈시, 월경과다증, 고혈압병 등에 쓴다. 또한 설사멎이약으로 소대장염과 적리에도 하루 5~10g씩 쓴다. 냉이로는 냉이국이나 냉이나물을 만들어 먹는다.]

냉이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85면
114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제채(薺菜)

기원: 십자화과(十字花科: Cruciferae)식물인 제채(薺菜=냉이: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 혹은 이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40cm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분지한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총생(叢生)하며 우상심열(羽狀深裂)하고 드물게 전연(全緣)이며 윗부분의 열편(裂片)은 삼각형(三角形)이다. 줄기에서 나는 잎은 장원형(長圓形) 혹은 선상(線狀) 피침형(披針形)으로 잎의 양면에 가는 유모(柔毛)가 나 있고 가장자리에는 드문드문 백색(白色)의 긴 첩모(睫毛)가 나있다. 꽃은 많고 정생(頂生) 혹은 액생(腋生)하며 총상화서(總狀花序)를 이루고 꽃받침은 4개이며, 꽃잎도 4장이고 도란형(倒卵形)이고 조()가 있으며 백색(白色)이고 십자형(十字形)으로 벌어지며, 수술은 6개이고 4개가 길며 기부(基部)에는 녹색(綠色)의 선체(腺體)가 있고, 암술은 1개이고 자방은 삼각상(三角狀) 난형(卵形)이며 암술대는 매우 짧다. 단각과(短角果)는 도삼각형(倒三角形)이다.



분포: 중국 전역에 고루 분포하며 화동(華東)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3-5월(月)에 채취해서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여러 종류의 유기산, amino acid, 무기염, flavone .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화비(和脾), 이수(利水), 지혈(止血), 명목(明目).

주치: 이질(痢疾), 수종(水腫), 임병(淋病), 유미뇨(乳尿; 소변 색깔이 우유빛인 증상), 토혈(吐血), 변혈(便血), 혈붕(血崩: 자궁 출혈), 월경과다(月經過多: 생리의 양이 많을 때), 목적동통(目赤疼痛).

용량: 9-15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3328면.]





[냉이의 부위별 전체 모습, 사진 출처: 다음 블로그:
http://m.blog.daum.net/genean47/29]

냉이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 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제채(薺菜) //냉이// [본초]

배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들판이나 길가, 개울가, 밭에서 널리 자란다.  

봄에 꽃이 필 때 전초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간경, 심경, 폐경에 작용한다. 출혈을 멈추고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자궁수축작용, 지혈작용, 심장혈관확장작용, 강압작용 등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자궁출혈, 월경과다, 변혈, 토혈 등 출혈성 질병과 이질, 임증, 부종, 눈이 충혈되면서 붓고 아픈 데 등에 쓴다.

하루 10~15그램, 신선한 것은 30~60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

냉이의 효능에 대해서
<세계의 약용식물> 78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냉이

Capsella bursa-pastoris
shepherd's purse, capsella

식물학적 서술: 잘 알려진 풀(잡초)이며, 장방형, 깊게 찢어진 열편 잎 1-2년생 식물, 흰 꽃은 단독 중앙줄기에서 태어나고 길이는 0.4m정도 된다. 특징적 심장 모양은 전통적 양치기의 지갑과 닮았다(일반 이름은 Shepherd's purse).

원산지:
유럽, 지금은 전세계적으로 분포(cosmopolitan)된 잡초 약용의 천연물질은 동유럽과 아시아에서 야생 수확 한다.

사용부위:
전초(Bursae pastoris herba)

치료영역:
항출혈(autihaemorrhagic), 비뇨기(urinary), 살충, 방부제(autiseptic)

응용과 특성:
허브는 전통적으로 출혈 정지, 심한 생리(월경과다) 치료, 설사, 방광염에 사용했다. 중국의약에서는 일반 눈병과 설사에 사용한다.

처방과 용량:
허브는 전통적으로 차로 먹는다(거의 다른 허브에 배합해서). 내부나 외부용도로 잘게 썰어진 것 3-5g 끓는 물 한 컵에 넣는다. 지혈제로서, 피부손상 출혈과 코피 치료로 코 속에 적하한다. 1일 용량은 10-15g 상업적 팅크제와 정제가 이용된다.

활성인자:
식물은 수많은 플라보노이드(rutin diosmin, hesperidin) amino acids(proline) monoter penoids(camphor), glycosinolates(sinigrin)을 포함한다. 각종 amines의 존재(
acetylcholine, choline, tyramine) 그리고 사포닌이 알려졌고, 세부항목이 증명된 것이다.

약리학적 효능:
동물연구는 항염증, 항궤양, 이뇨, 저혈압, 기타 효능이 나타났다.
Shepherd's purse의 전통이용이 잘 설명되지 않는다. Oxytocin같은 활성을 가진 peptide는 항지혈작용 기능이 있다고 생각된다. 주입시 추출물은 muscarin같은 효능을 보인다. 용량은 혈압의 상승과 감소에 의존한다. 심장에서 양성근육수축(chronotropic) 효능 그리고 자궁의 수축이 증가한다.

금기:
지나치거나 장기 연용은 권장하지 않는다.

주목:
고고학 기록서는 capsella씨가 옛부터 사람에 이용하여 왔따.

의약학적 위상:
Pharm.; Comm. E+.]

냉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초>


1, 이질

1) "냉이의 잎을 약성이 남을 정도로 남을 정도로 태워 꿀물에 타서 복용한다." [일용본초(日用本草)]

2) "냉이 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2, 양증(陽症) 수종

냉이뿌리 37.5그램, 질경이 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3, 종만(腫滿), 복대(腹大), 손발 여윔, 소변이 뿌옇고 혼탁한데

종이 위에 놓고 볶은 감정력(甛葶藶), 냉이뿌리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꿀로 탄알 크기의 환을 지어 1회 1알씩 진피탕(陳皮湯)과 함께 입에 물고 씹어서 삼킨다. [삼인방(三因方), 정력대환(
葶藶大丸)]

4, 내상에 의한 토혈

냉이 37.5그램, 밀조(蜜棗) 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5, 붕루(崩漏) 및 월경 과다

냉이 37.5그램, 짚신나물 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광서중초약(廣西中草藥)]

6, 급성 적안(赤眼)으로 까칠까칠한 느낌이 있고 동통이 있는 증상

냉이뿌리를 찧은 즙을 눈에 넣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7, 익상편(翼狀片)

냉이 적당량을 잘 씻고 약한 불에 쬐어 말려 돌절구에 찧고 다시 곱게 갈아 매일 밤 취침 전에 눈을 깨끗이 싯은 후 쌀 반알 크기로 만들어 양쪽 눈꼬리에 넣는다. 삽통(
澀痛)이 있으나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8, 소아마진(홍역)으로 화성(火盛)한 증상

신선한 냉이 37.5~75그램(마른 것은 30~40그램), 띠뿌리 150~190그램을 물로 달여서 차를 대신하여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

9, 마진(홍역) 예방
[임상보고]
냉이 전초 1,200그램에 물 1,200그램을 넣고 600그램이 되게 달인다. 매주 1회, 1회 100ml씩 복용한다. 예방을 목적으로 실험한 150명 중 발병은 7명이었다. 대조군 130명에서는 56명이 발병하였다. [중약대사전]

10, 유미뇨(乳
尿: 소변 색깔이 우유빛인 증상)[임상보고]
뿌리가 붙어 있는 냉이 190~600그램을 깨끗이 씻고 달여서(기름이나 소금은 넣지 않는다) 돈복하거나 3번에 나누어 복용하는데 1~3개월 계속하여 복용한다. 9례를 관찰한 결과 빠른 것은 복용 후 3~4일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제일 늦은 것은 45일째에 낫기 시작하여 차츰 맑아졌으며 완전히 치유되었다. 9~30개월 관찰했는데 재발되지 않았다.

다른 유미혈뇨(乳糜血尿) 1례에서는 복용한지 4일째에 복통이 경감되고 소변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육안과 현미경 검사). 2개월 동안 계속 치료했는데 1년 동안 재발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

11, 산후 출혈
[임상보고]
신선한 냉이 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1일 1첩을 2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3례의 치료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종자>


12, 황달

냉이씨 37.5~75그램, 대청근(大靑根) 또는 대청엽(大靑葉) 1~2냥(37.5~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꽃>


13, 자궁출혈

신선한 냉이꽃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단삼(丹蔘) 8g, 당귀(當歸) 15g을 가해 그 탕액을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비고(備考)]


<본초강목(本草綱目)>:
"제(薺)는 크기에 따라 몇 종류가 있다. 소제(小薺)는 잎, 꽃, 줄기가 편평하고 맛이 좋다. 그 가운데 제일 작은 것을 사제(沙薺)라고 한다. 대제과(大薺科)는 잎이 모두 크고 맛은 소제(小薺)만 못하다. 줄기는 딱딱하고 털이 있는 것을 석명(
菥蓂)이라고 하는데 맛은 그다지 좋지 않다. 동지(冬至) 후에 싹이 나오고 2~3월에는 줄기가 5~6치가 된다. 작고 흰 꽃이 피는데 밀집되어 있어서 1송이처럼 보인다. 소평(小萍)과 같은 협(莢)을 맺으며 삼각형이다. 협내(莢內)에 정력자(葶藶子: 꽃다지씨)와 같은 작은 종자가 있다. 종자를 차()라고 하며 4월에 수확한다."

[냉이에 콜린(
choline) 성분이 들어 있다는 자료 추적<<2018-2-2 ~ 2018-2-3일 현재: 016가지>>]

1-<중약대사전>: <<이전부터 이 혈압을 낮추는 작용은 약에 함유된 콜린(choline)아세틸콜린과 관계 있다고 생각되어 왔는데 제체(薺菜: 냉이)의 알코올 추출물 중에 이 두 성분은 없고 아세틸콜린과 다른 한 종류의 제 4급 암모늄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2-<한국식품사전 72-73>: <<[성분] 수분 81.5%, 단백질 7.3%, 지질 0.9%, 당질 4.6%, 섬유 2.0%, 회분 2.7%, Ca 116mg%, P 104mg%, Fe 2.2mg%, 냉이 100g 중 비타민(vitamin) A 효력 2.315 IU, B1 0.51mg%, B2 0.06mg%, 니아신(niaacin) 0.5mg%, C 40mg%로서 비타민(vitamin) A 효력물질과 C는 뜰에서 자생하는 야채로서는 많은 편이다. 그리고 콜린(choline),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푸마르산(fumaric acid), 이노시톨(inositol; Inosit) 등이 있다.>>

3-<한국식물대도감, 상권, 332면>: <<냉이의 성분: choline, Acetylcholine, Palmatic acid>>

4-<위키백과>: <<냉이는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은 채소로 철분과 칼슘도 풍부하다. 냉이의 근생엽엔 콜린, 아세틸콜린, 푸마르산, 이노시톨 등이 들어있고, 열매 껍질엔 디오스민, 포도당 등이 들어있다. 잎에는 비타민A가 풍부한데 조리하여도 손실이 적다.[3] 봄철에 캔 냉이로 된장국을 끓여 먹거나[13], 데친 다음 양념과 버무려 나물 무침으로 먹는다.[14] 냉이국은 뿌리를 같이 넣고 끓여야 제맛이 난다.[15]>>

5-<세계의 약용식물 78면>: <<활성인자: 식물은 수많은 플라보노이드(rutin diosmin, hesperidin) amino acids(proline) monoter penoids(camphor), glycosinolates(sinigrin)을 포함한다. 각종 amines의 존재(acetylcholine, choline, tyramine) 그리고 사포닌이 알려졌고, 세부항목이 증명된 것이다.>>

6-<健康食品ストア 美人生活 >: <<なずな:

なずなとはアブラナ科の越年草で道端や土手など日当たりのよい場所に生えています

なずな果実が三味線の撥に似ているので三味線草シャミセングサ)」風に揺れたときの音からペンペン草ともいわれますなずな春の七草のひとつとして古くから邪気を祓い万病をさけるという七草粥の風習にはかかせないものですなずなの春の若苗は茹でておひたしあえものなどにしますまたなずなを生のまま薄くころもを付けて揚げたなずなの天ぷらもオススメです

なずなはカロテンの含有量が多くなずな100g中に5200μg430μgRE野菜類の中でも特に多く含んでいますまたなずなはビタミンC(110mgはレモン以上でありビタミンK(330μgや葉酸180μgも多く含んでいますミネラル類ではカルシウムが多く含まれなずなは全草が薬草としても利用されます

なずなを天日干しにして作ったお茶なずな茶カリウムサポニンなどの効用によって利尿作用便秘改善高血圧予防に優れ古くからそれらの症状の特効薬として利用されてきましたその他、「なずな茶にはジオスミンによる生活習慣病の予防やコリン(코린=콜린=choline)フマール酸の止血作用などがありますですが、「なずな茶には子宮収斂作用があるため妊娠中の妊婦の方は飲むことを控えてください>>

7-<중국백도백과(中國百度百科)>: <<주요가치(主要价值):

[
영양(营养)]

荠菜每百克含水分85.1蛋白质5.3脂肪0.4碳水化合物6420毫克73毫克6.3毫克胡萝卜素3.2毫克维生素B10.14毫克维生素B20.19毫克尼克酸0.7毫克维生素C55毫克还含有黄酮甙胆碱(콜린=choline)乙酰胆碱等[5]

据现代科学分析荠菜不仅味美可口而且营养丰富含有蛋白质脂肪膳食纤维碳水化合物胡萝卜素维生素B1维生素B2尼克酸维生素E维生素C铜和硒等成分[5]

荠菜所含的蛋白质维生素C尤多钙含量超过豆腐胡萝卜素含量与胡萝卜相仿荠菜为野菜中味最鲜美者是因为它富含氨基酸达11种之多[5] >>

8-<피파뉴스방송 201481>: <<냉이의 뿌리에는 콜린이라는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콜린은 간의 지방을 제거해 숙취해소를 도와줍니다. 따라서 간기능이 약한 사람들이 섭취해주면 건강에도 좋아요.>>

9-<울산종합일보 2017314>: <<냉이 뿌리의 쌉쌀한 맛은 식욕을 자극시켜 소화효소 분비를 도우며 콜린 성분이 풍부해 고지혈증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10-<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식문화)>: <<성분은 수분이 81.5%이며 단백질 7.3% 지질 0.9% 당질 4.6% 섬유소 2% 회분 7.3%이다.

특히 채소류 중에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 중 하나이다. 또한 무기질 중에서는 철이 많으며 비타민 중에서는 비타민B1C가 매우 많다. 아세틸콜린, 콜린 등이 있어 약리 효과도 높다. 냉이는 잎과 뿌리를 모두 식용으로 하는데 주로 나물 무침 국 죽 된장찌개 등으로 요리하여 먹는다.>>

11-<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냉이의 영양 및 효능: 냉이는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물이다. 비타민 A, B1, C가 풍부해 원기를 돋우고, 피로 회복 및 춘곤증에 좋다. 칼슘, 칼륨, , 철 등 무기질 성분도 다양한데, 지혈과 산후출혈 등에 처방하는 약재로 사용되며, 간과 눈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냉이를 국을 끓여 먹으면 피를 간에 운반해 주고, 눈을 맑게 해 준다고 기록하고 있다. 잎에는 베타카로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뿌리에는 알싸한 향의 콜린 성분이 들어있어서 간경화, 간염 등 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 거칠어진 피부 개선과 여드름 예방에도 도움을 주며, 생리불순을 비롯한 각종 부인병 완화에 효과가 있다.>>

12-<내일신문 201535>: <<냉이는 콜린 성분이 많아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고>>

13-<사단법인 한국 채소 소믈리에 협회>: <<냉이의 콜린 성분은 간을 튼튼하게 해 숙취해소에도 좋습니다.>>

14-<문화일보 2015311>: <<냉이의 비타민 B1콜린 성분은 음주 후 숙취해소에 좋은 성분이다.>>

15-
<바디세븐 식품정보>: <<냉이의 콜린 성분이 체내의 혈관을 깨끗이 하며 지방을 제거해 주기 때문에 고혈압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16-
<SUNDAY 2010321>: <<특히 냉이에 있는 콜린이란 물질은 간장 활동을 촉진시킨다.>>

◎ 참조:
jdm 필자가 조사한 콜린의 상세한 효능 자료 바로 가기:

http://jdm0777.com/a-yakchotxt/kolrin.htm

어린이 노래인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캐오자"의 가사에 들어있는 것처럼, 가장 흔하고 지천에 널려있는 냉이를 잘 활용한다면 국민건강증진에 큰 유익을 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냉이 사진 감상:
1, 2, 3, 4,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냉이 상세한 사진 웹사이트: 1, 2, 3, 4,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들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갓 무엇인가?
  2. 갯무 무엇인가?
  3. 겨자 무엇인가?
  4. 고추냉이(매운냉이) 무엇인가?
  5. 구슬갓냉이 무엇인가?
  6. 꽃다지 무엇인가?
  7. 냉이 무엇인가?
  8. 늘어진장대 무엇인가?
  9. 다닥냉이 무엇인가?
  10. 대청엽 무엇인가?
  11. 말냉이 무엇인가?
  12. 무 무엇인가?
  13. 미나리냉이 무엇인가?
  14. 배추 무엇인가?
  15. 비트 무엇인가?
  16. 속속이풀(소생한채) 무엇인가?
  17. 순무 무엇인가?
  18. 싸리냉이 무엇인가?
  19. 양구슬냉이 무엇인가?
  20. 양배추 무엇인가?
  21. 장대나물 무엇인가?
  22. 재쑥 무엇인가?
  23. 쪽(청대) 무엇인가?
  24. 콩다닥냉이 무엇인가?
  25. 크레숑(물냉이) 무엇인가?
  26. 황새냉이 무엇인가?

 

 

※ 아래의 jdm 필자가 찍은 냉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