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무엇인가?

아름다운 꽃을 채소 대용으로 먹을 수 있는 무궁화

 

 

 

 

 

 

 

 

 

 

 

 

 

 

 

 

[무궁화의 잎, 다양한색깔의 꽃과 붉은색 하와이 무궁화, 선열매, 익은열매, 털목도리를 두르고 있는 듯한 종자, 겨울눈, 줄기,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균 작용, 항진균 작용, 치민작용, 혈액순환촉진, 폐결핵, 수종, 부인 백대하, 가래삭임, 심신안정, 관절윤활, 황달, 두면전선[백선], 우피선[신경성 피부염], 우피선라, 선창, 소갈[당뇨병], 치질에 의한 종통, 만성기관지염[임상보고], 세균성 이질[임상보고], 대장 탈항, 청열, 이습, 해독, 부종, 해수, 지사, 위장염, 위장카타르, 장출혈, 대하, 탈항, 피부질환, 폐옹, 장옹, 피부병, 설사, 적리, 백리, 토혈, 하혈, 출혈성대장질환, 점활지사약, 위장염, 목마름, 장출혈, 이질, 꽃[채소 대용으로 먹는 식용], 탈항, 대하, 옴, 무좀, 풍담옹역, 반위를 다스리는 무궁화

무궁화는 아욱과에 속하는 사철푸른나무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기후조건이 맞지 않아서 갈잎떨기나무이다.
따뜻한 중국 남부와 인도가 원산지이다. 아욱과는 전세계에 약 1,500여종이 있으며 아욱과 무궁화속은 전세계에 약 250종이 분포되어 있다. 높이는 3~4m까지 자란다. 우리나라 국화로 지정되어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무궁화의 학명은 <Hibiscus syriacus L.>이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형~마름모 모양의 달걀형으로 윗부분이 3개로 얕게 갈라지며 밑 부분에 3개의 큰 잎맥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뒷면 잎맥 위에 털이 있다. 잎겨드랑이에 분홍색 꽃이 한 송이씩 피는데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는 꽃잎을 말아 닫고는 진다. 수많은 꽃송이가 피고 지기를 계속 반복하여 '무궁화(無窮花)'라고 부른다. 무궁화의
종자길이는 3.2±0.5mm, 종자폭은 4.3±0.4mm, 종자두께 2.1±0.6mm, 종자무게 13±6mg이다. 무궁화의 열매 속에 들어 있는 종자를 꺼내보면 둥근 모양의 종자 가장자리에 무수하게 많이 붙어 있는 가느다란 솜털이 마치 사림이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목도리'를 하고 있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

분홍색 꽃잎은 5장이 밑 부분에서 붙어 있고 안쪽이 진한 홍색이다. 길 게 벋는 암수술대에 많은 수술이 붙고 끝의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지면서 씨가 나오는데 씨는 동글납작하고 긴 털이 빙 둘러 있다. 많은 품종이 개발되어 심어지고 있으며 '하와이무궁화(H. rosa-sinensis)'는 미국 하와이 주에서 많이 개발된 원예 품종으로 암수술대 윗부분에 수술이 모여 달리고 끝의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진다.

개화기는 7~9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무궁화 및 무궁화의
줄기껍질 및 뿌리 껍질의 여러 가지 이름은 목근피[木槿皮=
jǐn pí=V: 본초강목(本草綱目)], 근피[槿皮: 구급방(救急方)], 천근피[川槿皮: 양생경험합집(養生經驗合集)], 목근[木槿, :, :: 이아(爾雅)], [舜: 시경(詩經)], 조균[朝菌: 장자(莊子)], 일급[日及: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번리초[蕃籬草: 인제직지방(直指方)], 근수[槿樹, 평조수:平條樹, 백모단:白牡丹, 청명리:淸明籬, 목계화수:木花樹, 채화수:菜花樹, 이연수:籬沿樹, 금칠수:金漆樹, 백포리:白布籬: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무쿠게[ムクゲ=木槿: 일문명(日文名)], [槿], 무궁화나무 등으로 부른다.

무궁화
뿌리의 여러 가지 이름은 목근근[木槿根: 본초강목(本草綱目)], 번리초근[蕃籬草根: 인제직지방(
直指方)]등으로 부른다.

무궁화
의 다른 이름은 목근엽[木槿葉: 이참암본초(履
岩本草)]으로 부른다.

무궁화
열매의 다른 이름은 목근자[木槿子: 본초강목(本草綱目)], 조천자[朝天子: 음편신참(飮片新參)], 천근자[川槿子: 약재학(藥材學)]등으로 부른다.

무궁화
의 여러 가지 이름은 목근화[木槿花=
mù jǐn huā=V후아: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이매화[里梅花: 영외대답(嶺外代答)], 조개모락화[朝開暮落花: 본초강목(本草綱目)], 학자화[子花: 군방보(群芳譜)], 이장화[障花, 나팔화:喇叭花: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백옥화[白玉花: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번리화[蕃花, 저유화:猪油花: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타완화[打碗花: 강서중약(江西中藥)], 등잔화[燈盞花: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백반화[白飯花, 백면:白面: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무궁화[無窮花]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줄기 및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4~~5월에 채취한다. 줄기껍질 또는 뿌리껍질을 벗겨서 씻은 다음 햇볕에 말린다."

<열매>


<중약대사전>: "9~10월에 채취한다. 열매가 황록색이 되었을 때 따서 햇볕에 말린다."

<꽃>


<중약대사전>: "대서(大暑)부터 처서(處暑) 사이 즉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 사이에 개인 날을 택해 이른 아침 꽃이 절반 피었을 때 뜯어서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줄기 및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말린 줄기껍질 또는 뿌리껍질은 반원통 모양이거나 원통 모양이고 길이는 15~25cm이다. 너비와 두께는 일치하지 않지만 너비는 보통 0.7~1cm이고 두께는 약 2cm이다. 외주(外周)는 거칠고 회갈색을 띠며 세로로 난 주름과 가로로 향한 약간 돌기된 껍질눈이 있다. 내표면은 옅은 황녹색이고 실모양 섬유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잘 부러지지 않고 가벼우며 질이 거칠다. 냄새는 약하고 맛은 싱겁다. 가늘고 길며 너비가 넓고 두꺼우며 부서진 조각이 적은 것이 좋다.

중국의 사천(四川)에 분포한다."

<열매>


<중약대사전>: "말린 삭과는 달걀 모양이거나 둥그스름한 네모 모양이고 길이는 약 2cm, 지름은 약 1.6cm이다. 끝은 짧고 뾰족하며 5쪽으로 갈라진 것도 있다. 외면은 황록색을 띠고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기부에는 5개로 갈라진 꽃받침이 남아 있고 외면에는 별 모양의 털이 있다. 꽃받침 조각 밑에는 좁은 실 모양의 꽃떡잎이 6~7개 있으며 그것들은 나란히 1개의 고리를 이루거나 부분적으로 탈락되어 있으며 꽃자루가 남아 있다. 삭과는 5실이다.

종자는 삼각형의 달걀 모양이거나 대체로 신장형이고 편평하며 회갈색이고 광택이 없다. 아랫단에 긴 실 모양의 제(臍)가 있으며 주위에 여러 개의 유백색 내지 회백색의 부드러운 털이 조밀하게 나 있는데 길이가 약 3mm이다. 잘 마르고 황색이며 꼭지가 녹색이고 안에 종자가 모여 있는 것이 양품이다.

중국이 강소(江蘇), 광서(廣西) 등지에 분포한다."

<꽃>


<중약대사전>: "말린 꽃은 말려 들어 달걀 모양 또는 원기둥 모양의 덩어리 모양으로 길이는 약 3cm이며 지름은 1.5cm이다. 밑부분에 회녹색의 꽃받침이 있고 표면에는 가늘고 작으며 부드러운 털이 조밀하게 나 있으며 가장자리는 5개로 갈라져 있다. 꽃받침의 외면에는 회녹색을 띤 실 모양의 꽃떡잎이 몇 개 있다. 대부분 짧은 꽃자루가 붙어 있다. 꽃잎은 희고 5개이거나 혹은 여러 개가 몇 겹으로 겹쳐 있고 주름이 잡혀 말려들어 있다. 중간에 노란 꽃술이 있고 여러 개의 수술이 모여 원통형으로 되어 암술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질은 가볍고 약간 향기가 있으며 맛은 달다. 꽃이 크고 흰 것이 좋다.

중국의 강소(江蘇), 호북(湖北), 사천(四川), 하남(河南), 하북(河北), 섬서(陝西) 등지에 분포한다."

[성분]


<줄기 및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근피에는 탄닌, 점액이 들어 있다."

<뿌리>

<중약대사전>: "목근(木槿)의 근피(根皮)에는 탄닌, 점액이 들어 있다."

<열매>


<중약대사전>: "종자에는 기름 성분이 들어 있다. 기름 성분 중에 들어 있는 비알칼리화물에는 α-, β- 및 δ-tochopherol, β-cytomaterel, capesterol 등이 있고 알칼리화물에는 stercu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꽃>


<중약대사전>: "saponarin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뿌리>

<중약대사전>: "뿌리와 줄기의 에틸알코올 침투액은 in vitro에서 그람(Gram) 양성균, 적리균, 장티푸스균을 억제한다."

<열매>


<중약대사전>: "동속 식물인 Hibisus escalentus의 열매의 물추출물을 마우스에게 복강 주사(LD50의 1/2)하면 Ehrlich 복수암(ascites carcinoma)에 대해 상당한 억제 작용을 한다."

<꽃>


<중약대사전>: "꽃은 대장균 및 적리균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 작용은 보이지 않는다. 꽃의 탕제를 토끼에게 경구 투여하였더니 그 독성은 크지 않았다. 동물 실험에서는 화분에 치민(致敏) 작용(sensitization)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포제(
炮製)]

<줄기 및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그어서 수분이 스며즐 게 한 다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미]


<줄기 및 뿌리껍질>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2, 본초습유>: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일화자제가본초>: "성질이 서늘하다."

4, <본초몽전>: "맛은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5,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6, <남영시약물지>: "맛은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약간 독이 있다."

<뿌리>

1, <일화자제가본초>: "성질은 서늘하다."

2,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平)하고 활(滑)하며 독이 없다."

<잎>

1, <본초품휘정요>: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2, <본초휘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열매>


1,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펴앟고 독이 없다."

2, <음편신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꽃>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2, <일화자제가본초>: "성질은 서늘하다."

3, <전남본초>: "맛은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차고 평하다."

4,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활(滑)하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줄기 및 뿌리껍질>

1, <중약대사전>: "대장(大腸), 간(肝),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2, <득배본초>: "수양명(手陽明), 태양경(太陽經)에 들어간다."

3, <회약의경>: "심(心), 폐(肺), 비(脾), 위(胃)의 4경(經)에 들어간다."

4, <본초촬요>: "수족태음(手足太陰), 궐음경(厥陰經)에 들어간다."

<꽃>


1, <본초재신>: "비(脾), 폐(肺)의 2경(經)에 들어간다."

2, <본초촬요>: "수족태음(手足太陰), 궐음경(厥陰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줄기 및 뿌리껍질>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습(濕)을 배출시키며 해독, 지양(止痒)한다. 장풍사혈(腸風瀉血), 이질, 탈항, 백대하, 옴, 치질을 치료한다."

2, <본초습유>: "장풍사혈(腸風瀉血)을 멎게 하고 설사 후의 열갈(熱渴)에는 음료로 복용하면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볶아서 복용하기도 한다."

3, <본초강목>: "적백대하, 종통, 옴을 치료한다. 눈을 씻어 밝게 한다. 건조한 것을 촉촉하게 하고 혈액 순환을 조절한다."

4, <의림찬요>: "보폐삼습(補肺渗濕)하고 열을 제거하며 심신을 안정시키고 관절을 윤활하게 한다. 폐옹(肺癰), 장옹(腸癰), 비출혈(鼻出血), 소갈(消渴), 심번불면(心煩不眠)을 치료한다."

5, <음편신참>: "황달을 치료한다."

6, <섬서중약지>: "달인 물로 씻으면 치질을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습(濕)을 배출시키며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해수, 폐옹(肺癰), 장옹(腸癰), 장풍사혈(腸風瀉血: 출혈성 대장 질환류), 치질로 인한 종통, 백대, 옴을 치료한다."

2, <본초습유>: "장풍사혈(腸風瀉血), 이후열갈(痢後熱渴)을 치료한다. 이것을 복용하면 안면을 취할 수 있다. 볶아서 사용한다."

3, <전남본초>: "적백대하, 종통, 옴을 치료한다., 눈을 씻으면 눈을 밝게 한다. 또한 건조한 것을 촉촉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4, <본초강목>: "적백대하, 종통, 옴을 치료한다. 눈을 씻으면 눈을 밝게 한다. 또한 건조한 것을 촉촉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5, <의림찬요>: "폐옹(肺癰), 장옹(腸癰)을 치료하고 하행(下行)시킬 수 있다."

6, <민간상용초약휘편>: "폐결핵을 치료한다."

7, <남영시약물지>: "뿌리줄기는 열을 내리고 지해(止咳)한다."

<잎>

1, <본초품휘정요>: "장풍(腸風), 설사 후의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증세를 다스린다."

2, <본초휘언>: "모든 열을 제거하고 이질을 치료하며 적체(積滯)를 내려가게 한다. 적백 적리, 건삽불통(乾澁不通), 하타(下墮)하여 풀리지 않는 증세를 치료한다. 짓찧은 즙에 생백주(生白酒)를 타서 마신다."

<열매>


1, <본초강목>: "편정두풍(偏正頭風)을 치료하는 데에는 태운 연기로 환부를 쏘인다. 또 황수농창(黃水膿瘡)을 치료하는 데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 저골(猪骨), 저수(猪髓)로 개어서 바른다."

2, <음편신참>: "폐기를 맑게 하고 가래를 삭인다. 폐풍(肺風), 담천, 해수로 인한 음음(音
)을 치료한다."

<꽃>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습(濕)을 제거하며 혈분에서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2, <일화자제가본초>: "장풍사혈(腸風瀉血: 출혈성 대장 질환류), 적리, 백리 등을 치료하려면 구워서 사용한다. 즙을 만들어 차 대용으로 마시면 풍(風)을 치료한다."

3, <본초강목>: "창종을 제거하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습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4, <본초휘언>: "모든 열을 잘 제거하고 활리(滑利)하며 적체된 것을 나가게 한다. 적리와 백리를 치료한다. 건삽불통(乾澁不通), 변의(便意)가 있어도 나오지 않는 증세를 치료한다. 짓찧은 즙을 생백주(生白酒)와 함께 데워서 복용한다."

5, <본초봉원>: "적색인 것은 장풍(腸風), 적리(赤痢)를 치료하고 백색인 것은 백대하, 백리를 치료한다."

6, <안휘약재>: "피부병을 치료한다."

7, <강서중약>: "백화(白花)와 산아작(山雅雀)을 함께 달여서 먹으면 비출혈(鼻出血) 즉 코피를 멎게 한다."

[용법과 용량]


<줄기 및 뿌리껍질>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술에 담그었다가 바르고 문지른다. 혹은 달여서 약기운을 쏘인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신선한 것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여서 약기운을 쏘인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신선한 것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태운 연기로 쏘이거나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낸 후 개어서 바른다."

<꽃>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신선한 것은 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0.5~1돈을 갈아서 복용한다."

무궁화
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334면 41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무궁화
[Hibiscus syriacus L.] [아욱과]

갈잎떨기나무. 높이 3~4m. 꽃은 보통 분홍색으로 안쪽에 짙은 홍색 무늬가 있고 8~9월에 1개씩 핀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 5실이며 5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편평하며 긴털이 있다.

분포/
중국 원산으로, 평남 및 강원도 이남에서 재식하는 귀화 식물이다.

채취/
줄기 껍질 또는 뿌리 껍질은 수시로, 잎은 여름에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줄기 껍질 또는 뿌리 껍질을 목근피(木槿皮)라고 하며, 청열, 이습, 해독, 지양(止痒)의 효능이 있고, 장풍사혈(腸風瀉血), 탈항, 개선, 치질, 소갈, 심번불면을 치료한다. 잎을 목근엽(木槿葉)이라고 하며, 해열의 효능이 있고, 적체, 적백적리를 치료한다.

성분/
줄기 껍질에는 malvalic acid, sterculic acid, saponarin, spigenin-7-glucoside, taxifolin-3-glucoside, betulin, canthin-6-one,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등, 뿌리 껍질에는 syringaresinnol, E-N-feruloytyramine, Z-N-feruloyltyram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뿌리와 줄기의 에탄올 엑스는 적리균, 티푸스균 등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고,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e acid는 항진균 작용이 있으며, syringaresinol, E-N-feruloytyramine은 세균인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eus aureus, 곰팡이 Trichophyton mentagrophytes, Fusarium oxysporium 효모인 Candida albicanns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다.

사용법/
줄기 껍질 또는 뿌리 껍질 10g에 물 700mL, 잎 50g에 물 1,200mL를 넣고 각각 달여서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에탄올 추출액과 benzoic acid를 합하여 무좀 치료약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무궁화 뿌리껍질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목근피(木槿皮) //무궁화뿌리껍질// [본초]

무궁화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인 무궁화(Hibiscus syriacus L.)의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을 말린 것이다. 무궁화는 각지에서 심는다.  

봄에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간경, 비경, 대장경, 소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해독하고 살충한다.

또 혈을 잘 돌 게 하고 출혈을 멈춘다. 장출혈, 이질, 탈항, 대하, 옴, 무좀, 치질 등에 쓴다.

하루 3~9g을 탕약으로 먹는다. 외욕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술에 우려서 바른다.
]

무궁과꽃 및 뿌리껍질의 효능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무궁화(Hibiscus syriacus L.)

식물: 사철푸른 떨기나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 잎이 진다. 잎은 달걀 모양이고 3개로 얕게 갈라졌다. 여름철에 연한 가지색 또는 흰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긴 타원형이다.
각지에 심는다.

꽃(목근화): 핀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꽃에 사포나린 C27 H32 O15·2H20이 있다. 물분해되면 사포나레틴과 포도당으로 된다. 그리고 식물 전체에 점액이 있다. 뿌리껍질에 탄닌질, 점액, 씨기름에 말르발르산, 스테르쿨린산, 디히드로스테르쿨린산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청열, 이습, 독풀이, 점활지사약으로 위장염, 이질, 치질, 옴, 탈항, 토하는 데 쓰며 목마름을 치료한다. 뿌리껍질(목근피)도 같은 목적으로 쓴다.

무궁화꽃 달임약(6~10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뿌리껍질 10% 팅크에 안식향산, 살리실산을 넣어 무좀에 바른다.
]

무궁화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한미허브연구소에서 펴낸 <원색세계약용식물도감> 제 373면 104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무궁화나무

과명: 아욱과
학명: Hibiscus syriacus L.
영명: 로우즈 오브 새런[Rose of sharon]
일명: 무쿠게[ムクゲ=木槿=Mukuge]
한명: 무궁화(無窮花)

낙엽 관목으로 높이 2~4m로 자란다.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4~8cm, 폭 2~5cm 가장자리는 3열 되고 결각상 거치가 있고 탁엽은 선형으로 길이 6mm이다. 꽃은 정상에 단생이나 액생하고 꽃통은 종상으로 7~8월에 담자색으로 개화한다. 과실은 삭과로 난원형이고 황자색 털이 밀생 10월에 성숙한다.

분포: 인도,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과 아메리카 대륙에 자란다.

약효: 지사, 위장염, 위장카타르, 장출혈, 대하, 탈항, 피부질환을 치료한다.

사용법: 수피, 근피 20g을 물 1리터로 또는 잎 40g을 물 1리터로 달여 하루 2~3잔 마신다. 외용약으로는 피부를 씻고 찜질한다.]

무궁화꽃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0권 110면 473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근화(木槿花)

기원: 금규과(錦葵科=아욱과: Malvaceae)식물인 목근(木槿=무궁화: Hibiscus syriacus L.)의 꽃이다.

형태: 낙엽 관목이다. 어린 가지에는 털이 없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어긋나며 난형(卵形)이거나 마름모 또는 좁은 타원형(橢圓形)이며 대개 3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거치(鋸齒)가 있으며 양면에는 털이 없거나 매우 성긴 성상모(星狀毛)가 있고, 탁엽(托葉)은 선형(線形)이다. 꽃은 엽액에서 단생(單生)하며 담자색(淡紫色), 담홍색(淡紅色) 또는 백색(白色)이고, 소포편(小苞片)은 선형(線形)이며 이생(離生)하고,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꽃잎은 5장이고 겹꽃이며, 수술은 여러개이고 합생하여 단체(單體)를 이룬다. 삭과(蒴果)는 긴 원형(圓形)이고 성상모(星狀毛)가 있다.



분포: 재배된다. 중국의 장강(長江) 이남에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평남 및 강원도 이남에서 재식한다.

성분: 화(花)- saponarin.

기미: 맛은 달고 담담하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습열(淸濕熱), 양혈(凉血).

주치: 이질(痢疾), 복사(腹瀉), 치창출혈(痔瘡出血), 월경부조(月經不調), 폐열해수(肺熱咳嗽), 백대하(白帶下). 외용(外用)- 창절(瘡癤).

용량: 3∼9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부주(附註): 본종의 줄기 껍질, 뿌리 껍질, 열매도 함께 약용한다.

참고문헌: <약전(藥典)> (1977), 1, 86면 ; <중약대사전>, 상권, 0731호 ; <광서민족약간편(廣西民族藥簡騙)>, 94면.]

무궁화 꽃, 접시꽃, 마쉬멜로우 꽃을 채소 대용으로 먹을 수 있는 것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전세계의 먹는 꽃 이야기> 261~263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채소 대용으로 먹을 수 있는 무궁화
& 접시꽃 & 마쉬멜로우 꽃

아욱과 낙엽활엽 소교목:
Hibiscus syriacus 2~4m

중국, 인도가 원산인 무궁화는 꽃의 식용 여부가 꾸준히 연구되었다. 유럽에서는 이미 아욱과의 마쉬멜로우 꽃을 중세 이전부터 식용한 기록이 있으므로 그와 같은 맥락에서 접근한 것인데 의외로 굉장히 먹을 만한 꽃이 무궁화이다.

무궁화는 높이 2~4m 정도로 자라고 꽃은 8~9월에 핀다. 꽃의 지름은 6~10cm 정도이고 원종은 분홍색이지만 개량종은 흰색, 겹꽃 품종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꽃잎은 5개, 수술은 많고, 암술머리는 5개이다. 꽃은 식용이 가능한데 보통 꽃잎을 떼어내 식용한다.

무궁화처럼 식용할 수 있는 꽃은 마쉬멜로우(Althaea officinalis)가 가장 유명한데 우리나라에서는 <말로우>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원 온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와이무궁화(Hibiscus rosa-sinensis), 시골 농가에서 즐겨 키우는 접시꽃(Alcea rosea)도 꽃의 식용이 가능한 유명한 식물이다.

이들 꽃들은 보통 조리해서 먹는다. 도시공원에서 즐겨 심는 부용의 꽃은 일반적으로 식용하지 않는다.

[꽃의 맛]


무궁화 꽃은 날 것으로 먹으면 질간 섬유질 같은 식감이 있고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좋지 않은 인상을 받는다. 뜨거운 수프에 넣어 먹으면 뜨거운 온도에 의해 꽃잎이 연해지면서 쫀득하고 아삭한 식감을 보여주면서 매력적인 맛이 탄생한다. 채소 대용으로 먹을 만한 꽃이다.

[먹는 방법]


무궁화 꽃은 각종 채소 대용으로 아주 좋다. 단, 푹 익히기보다는 가열된 열에 스스로 익혀지도록 뜨거운 요리에 넣어 먹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무궁화 꽃은, 마쉬멜로우 꽃, 접시꽃, 히비스커스 꽃을 아예 양념을 가미해 살짝 볶거나 조리해 먹기도 한다. 이들 꽃들은 맵고 강한 양념에도 섬유질 식미가 살아 있으므로 채소 대용으로 즐길 수 있다. 히비스커스(Hibiscus)속에 속하는 식물들의 80%는 꽃을 식용할 수 있고, 이 중 무궁화와 하와이무궁화를 가장 높이 쳐준다. 날 것으로 먹을 수 있는 꽃으로는 접시꽃이 가장 좋은데 꽃잎을 잘 게 썰어 샐러드로 먹는다.

[약성]


무궁화의 꽃, 잎, 뿌리, 뿌리껍질을 약용한다. 이질, 해독, 항문탈출, 해열, 종기, 두통 등에 효능이 있다.

[번식]


무궁화는 10월에 종자를 채취한 뒤 땅에 묻어두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봄에 싹이 틀 때 꺾꽂이로 번식시킨다.

[키우기]


1-꽃집에서 무궁화 묘목이나 접시꽃 묘목을 구입한다.
2-양지에서 잘 자란다.
3-비옥한 토양을 좋아한다.
4-수분은 보통으로 공급한다.
5-겨울에 노지에서 월동한다.
]


[<<미국 하와이주의 주화(州花)로 꽃색은 선홍색, 흰색, 황색, 연분홍색, 적색, 주홍색 등의 각 품종과 꽃잎수도 홑꽃과 겹꽃이 있으며 반겹꽃도 있다. 2023년 6월 9일 금요일 부산 '대연수목전시원' <아열대식물체험관> 내에 피어 있는 붉은색꽃과 연분홍색꽃 2장, 사진-출처: JDM 촬영>>]

무궁화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줄기 및 뿌리껍질>

1, 대장 탈항
무궁화줄기껍질 혹은 잎을 달여서 약기운을 쏘이고 백반(白礬) 5배의 분말을 만들어 바른다. [구급방(救急方)]

2, 적백 대하

무궁화뿌리껍질 75g을 썰어서 백주 한 사발 반에 넣어 한 사발이 될 때까지 달여서 공복에 복용한다. [찬요기방(纂要奇方)]

3, 두면전선
(頭面錢癬: 백선:
사상균(絲狀菌)의 하나인 백선균(白癬菌)에 의(依)하여 일어나는 전염성(傳染性)의 피부병(皮膚病). 표피(表皮) 또는 진피(眞皮)의 변화(變化)로 피부(皮膚)의 빛깔이 변(變)하거나 또는 동전 만한 크기의 반문(斑紋)이 생겨 점점 커져 연회색(鉛灰色)의 비듬 같은 것으로 덮이면서 머리털이 빠짐. 두부(頭部) 백선ㆍ안면(顔面) 백선ㆍ수포성(水疱性) 백선 등(等)으로 구분(區分)함. 아이들에게 잘 생김)
무궁화줄기껍질 가루를 식초로 개어 약한 불에 끓여서 아교 상태로 만들어 바른다. [왕중면경험방(王仲勉經驗方)]

4, 우피선(牛皮癬: 신경성피부염)

무궁화줄기껍질 37.5g, 반하 19g, 목풍자(木楓子)의 종자 15개를 잘 게 썰어 강물과 우물물 각 한 사발에 7일 밤 담갔다 꺼낸다. 여기에 경분(輕粉) 3.75g을 넣어 물 속에 넣어 둔다. 이렇게 한 것을 붓게 조금씩 묻혀서 바르고 청의(靑衣)로 덮는다. 여름에 치료할 때 특히 좋다. 그러나 며칠간 목용해서는 안 되며 약액에 취기(臭氣)가 있는 물방울이 있으면 더욱 효과가 있다. [부수정방(扶壽精方)]

5, 우피선라(牛皮癬癩)

무궁화뿌리껍질 600g을 열을 가하지 않고 햇볕에 말려 가루낸 후 질 좋은 소주 1kg에 유면(楡面) 150g을 가하여 7일간 담근다. 이것을 수시로 묻혀서 바른다. 20~30년 동안 앓는 환자는 1년된 뿌리를 잘라서 문질러 바른다. 무궁화뿌리껍질이 없을 때는 토근(土槿)으로 대용해도 된다. [양생경험합집(養生經驗合集)]

6, 선창(癬瘡)

무궁화줄기껍질을 달인 물에 비조(肥
)를 담가 환부에 자주 문질러 바른다. 혹은 껍질을 담근 즙으로 웅황(雄黃)을 갈아 이것을 문질러 바른다. [간편단방(簡便單方)]

7, 만성기관지염
(임상보고)
신선한 무궁화 뿌리 또는 줄기 껍질 200g을 씻어 썰어서 2회 달인다. 여과액을 합쳐서 100ml로 농축한다. 이것을 2회로 나누어 복용하되 10일을 1 치료 기간으로 하여 계속해서 복용한다. 치료 177례 중에서 임상 치유가 2례(1.13%), 현효가 25례(14.13%), 호전이 72례(40.68%)였다. 총유효율은 55.94%였다. 본품은 심한 부작용은 없으나 심번(心煩), 두민(頭悶), 복부 고창(鼓脹) 등의 부작용 증세가 나타나는데 자연적으로 소실되기 때문에 특별히 조치할 필요가 없다. [중약대사전]

<뿌리>

8, 소갈(消渴: 당뇨병)

무궁화뿌리 37.5~75g을 물로 달여서 차 대신 항상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福建民間草藥)]

9, 치질에 의한 종통

무궁화뿌리을 물로 달여서 환부에 그 약기운을 쏘인다. [인재직지방(
直指方)]

10, 수종

신선한 무궁화뿌리 37.5g, 등심초(燈心草) 37.5g을 물로 달여서 1일 2회 식전에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福建民間草藥)]

11, 부인 백대하

신선한 무궁화뿌리 37.5~75g을 무게가 약 600g되는 수탉의 배(내장을 제거하고 씻어 놓은 것)에 채워 넣고 뜨거운 물을 적당히 넣어 약한 불에 2시간 삶는다. 이것을 2~3회 나누어 식전에 고기와 국물을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福建民間草藥)]

<잎>

12, 정창절종(
疔瘡癤腫)
무궁화 신선한 잎과 식염을 섞어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꽃>

13, 설사 금구(
口)
적색 무궁화꽃의 딱지를 제거하고 그늘에서 말려 가루낸다. 밀가루떡 2개를 구워 이 가루를 찍어서 복용한다. [제급선방(濟急仙方)]

14, 적리, 백리

무궁화꽃 37.5g(소아는 절반)을 달여 정제한 벌꿀 3푼을 섞어서 복용한다. 적리에는 붉은꽃을 쓰고 백리에는 무궁화 흰꽃을 쓴다. 산(酸)과 냉(冷)을 꺼린다. [운남중의험방(雲南中醫驗方)]

15, 토혈, 하혈, 적리, 백리

무궁화꽃 9~13개에 더운 물과 빙당(氷糖)을 적당히 가해 반 시간 정도 삶는다. 이것을 1일 2회씩 식전에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福建民間草藥)]

16, 풍담옹역(風痰壅逆)

무궁화꽃을 햇볕에 말려 불에 구운 후 가루내어 1회 1~2방촌비(
일방촌비(一方寸匕): 고대 약물의 분말을 재던 기구명칭이다. 그 모양이 마치 적은 숟가락 같은데, 그 크기가 1촌 정방형이므로 이와같이 부르게 되었다. 일방촌비는 약 2.74밀리리터에 해당하며 쇠나 돌 가루를 담으면 약 2그램이고, 풀이나 나무 가루를 담으면 약 1그램이다.)를 공복에 더운 물로 복용한다. 흰꽃이 가장 좋다. [간편단방(簡便單方)]

17, 반위(反胃)

흰색의 무궁화꽃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낸 후 이 가루를 진미(陳米)의 미음으로 3~5일 동안 복용한다. 호전되지 않으면 다시 미음으로 더 복용한다. [근화산(槿花散), 수진방(袖珍方)]

18, 부인백대하

무궁화꽃 7.5g을 가루내어 산모의 젖을 섞은 후 밥 위에 놓고 잘 쪄서 복용한다. [전남본초(
滇南本草)]

19, 정창절종(
疔瘡癤腫)
신선한 무궁화꽃 적당량을 첨주(甛酒)를 조금 넣고 짓찧어서 바른다. [강서초약(江西草藥)]

20, 세균성 이질
(임상보고)
무궁화꽃을 씻어서 햇볕에 말려 가루낸 후 1회 2g씩(소아는 양을 줄인다) 2시간마다 복용한다. 3~5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치료한 300례 중에서 유효율은 96.3%였다. 일반적으로 복용 후 체온이 바로 내래가고 대변이 2~3일 내에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중약대사전]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줄기껍질 및 뿌리껍질>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목근(木槿)은 기(氣)가 평(平)하고 독이 없으며 맛이 쓰고 성질이 차서 열을 내리고 활리(利)하는 약이라고 하였다. 장풍사혈(腸風瀉血: 출혈성 대장 질환류)은 습열사(濕熱邪)가 안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생긴다. 설사 후의 갈증은 여열(餘熱)이 경(經)에 있어 진액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긴다. 밤에 잠이 오지 않는 것은 심경(心經)이 온열(蘊熱)하여 허번(虛煩)하고 불출녕(不出寧)하기 때문이다. 고(苦), 한(寒)은 열을 제거하고 활리(滑利)하는 성질은 적체(積滯)를 내려가게 하므로 앞의 증세를 다스리는 것이다."

<꽃>

<의림찬요(醫林纂要)>:
"목근화(木槿花) 중에서 흰 것은 폐열, 해수, 토혈액이 있는 증세에 좋으며 동시에 폐옹을 치료하는데 그것은 감보담삼(甘補淡渗)의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색인 것과 백색인 것은 각각 적리, 백리를 치료한다. 대장과 폐, 소장과 심(心)은 각각 표리(表裏)의 관계이며 대개 이(痢)라고 하는 것은 이장(二腸: 대장과 소장)의 습열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활(滑)하게 하여 거체(去滯)하면 즉시 치유된다."

※ 참조: 20여종의 다양한 무궁화에 대해서 일본의 <위키백과사전>에서는 무궁화 원예품종(園芸品種)을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1, 宗旦(そうたん) - 茶花として良く利用される。花は白地に赤である。
2, 日の丸(ひのまる) - 白地に底赤で、一重の大輪。これは宗旦に含められることもある。
3, 白一重(しろひとえ)
4, 大徳寺一重(だいとくじひとえ)
5, 大徳寺花笠(だいとくじはながさ)
6, 赤花笠(あかはながさ)
7, 白花笠(しろはながさ)
8, 角倉花笠(すみのくらはながさ)
9, 光花笠(ひかりはながさ)
10, きじばと
11, 赤祇園守(あかぎおんのまもり)
12, 白祇園守(しろぎおんのまもり) - 八坂神社の粽の代用とされる白祇園守は内弁があり、半八重咲と称する。この品種は、御茶事の花、生け花として、もとは源氏の武士の間で広く栽培されていた。
13, 紫盃(しはい)
14, 大紫盃(だいしはい)
15, 夏空(なつぞら)
16, シングルレッド
17, ブルーバード
18, レインボー
19, ピンク・デライト
20, レッド・ハート

[무궁화 재배방법]


1, 기후와 토양:
기후에 대한 적응력은 비교적 강해 고산 지대 및 평지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볕이 잘 들고 비옥하며 배수가 잘 되는 사질토가 좋다.

2, 번식:
삽목법으로 육묘하여 이식한다. 사천(四川) 지역에서는 2~3월에 지름이 약 1cm 이상되는 견실한 가지를 골라서 15~20cm 길이로 잘라 삽목한다. 꽂기 전에 땅고르기해서 너비가 1.3cm되는 두둑을 지어 묘판으로 한다. 그 후 두둑 위에 도랑 폭이 33cm, 깊이 13~16cm되게 파서 도랑 벽에 경사지게 삽목한다 끝부분이 두둑 표면에 조금 나오도록 각 도랑에 20개씩 꽂아 흙을 덮은 뒤 단단히 다지고 물을 준다. 1~2년 키운 후에 묘의 높이가 1m 전후가 되면 이식할 수 있다. 겨울에 1m로 해서 구멍을 파고 각각의 구멍에 1포기씩 심어 흙을 덮고 다진다. 다시 지면보다 높게 올라 올 정도로 흙을 덮은 후 물을 뿌린다.

3, 경작 관리:
삽목이 뿌리를 내린 후 김매기하고 1번 덧거름을 준다. 그 후 6월, 8월, 10월에 각각 1회씩 얕게 밭을 일구고 1회 김매기한다. 8월 중에 김매기한 후 동시에 1회 덧거름을 주지 않으면 안 된다. 거름은 인축분뇨를 주로 사용하지만 질소 비료도 사용하면 좋다. [출처: 중약대사전]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무궁화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금화규(金花葵) 무엇인가?
  2. 닥풀(황촉규) 무엇인가?
  3. 무궁화 무엇인가?
  4. 부용 무엇인가?
  5. 수박풀 무엇인가?
  6. 아욱 무엇인가?
  7. 어저귀 무엇인가?
  8. 히비스커스(로젤)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무궁화 꽃 및 종자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http://www.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