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루의
잎, 꽃, 덜익은 열매와 익은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소염작용, 이뇨작용, 항암작용, 거풍지통,
청열이뇨, 외상통, 위장관동통, 신경성 두통, 수술후 동통, 혈림
및 혈뇨, 풍습성 관절통, 양간풍, 갑자기 하는 구토 또는 궐역, 나력,
타박상, 유풍[유선염], 풍안, 피부 습진, 오래 낫지 않는 각렴창, 이옹, 외상
출혈, 황달성
전염성 간염,
남녀의 열림 및 부인 복통, 이질, 적유풍종, 습담유주, 폐옹,
유옹,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번열구갈, 소변불리,
고창을
제거, 관절통, 근육통, 부러진 뼈를 재결합하는데, 식욕부진, 변비, 열이 나면서 갈증이 있는데, 허약체질개선, 신경쇠약,
늑막염, 만성기관지염, 야맹증, 부종, 기관지천식, 종기, 노인성 좌골 신경통,
피부암, 비타민
C가 들어 있으므로 괴혈병의 예방과 치료, 요로감염을 다스리는 머루(산포도)
머루는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덩굴식물이다.
머루의 학명은 <Vitis coignetiae>이다.
줄기는 길고 굵으며, 덩굴손이 나와 다른 식물이나 물체를 휘감는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12~25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적갈색
털이 밀생하고 오랫동안 붙어 있다. 꽃은 작고 황록색이며 5∼6월에
잎과 마주나온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머루라는 이름의 유래는 <멀위>에서
변한 이름이라고 한다.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꽃자루
밑부분에서 덩굴손이 발달한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지름 8mm 정도이며
흑자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술을 담기도 하고 다소 신맛이 있으나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왕머루와 비슷하지만 잎의 뒷면에 적갈색 털이 밀생하는 것이
다르다. 한국의 경우 전국 산야의 표고 100~1650m에서 자라며,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지 산골짜기의 나무숲에서 자란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그대로 먹는다.
구불구불한 줄기는 용을 닮았다고 해서 목룡(木龍)이라고 부르며, 탄력이 좋아 지팡이 소재로 널리 쓰였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머루에는 머루, 왕머루, 새머루, 까마귀머루, 개머루 등 5종이 있는데, 왕머루가 가장 넓게 분포돼 있다. 모두
머루에 포함시켜 함께 약용한다.
흔히 산포도라고 하여 귀중한 천연과일이다. 성분은 잎에 유기산이 들어있고 주성분은 포도산, 레몬산이다. 열매에 아스코르부산, 잎과 어린싹에는 카로틴, 씨에는 알칼로이드, 줄기에는 플라보노이드가 들어있다. 약효로는 흥분성 음료로서 허약체질개선, 신경쇠약 등에 사용한다. 열매를 말려 꿀에 잰 후 졸여서 머루정과를 만들어 복용하면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몸을 튼튼히 한다.
왕머루의 개화기는 5~7월이고 결실기는 9월이다.
머루는 열매 이외에 잎과 줄기, 뿌리를 약으로 쓰는데 몸이 퉁퉁 붓는 부종에는 줄기를 잘게 썰어서 차 처럼 해서 조금씩 마시면 잘 낫는다. 단독에는 뿌리를 짓찧어 바르며 옴이 번져 생긴 종기에는 뿌리를 말려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꿀에 붙여도 좋으며 노인성 좌골 신경통에는 줄기 삶은 물에 목욕을 하면 좋다. 머루를 달여 마시면 폐결핵에 효과가 있으며 부종에 머루나무를 달여 쓰면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열매즙을 피부암, 열매와 잎은 괴혈병 치료약으로 쓴다. 특히 비타민A 결핍증인 밤눈증에 좋다.
참고로
중약대사전의 중국의
산에서 자라는 산포도의 한종류인 <영욱(蘡薁: Vitis thunbergii Sieb. et Zucc.)>의 학명은 <Vitis adstricta Hance>, <Vitis. thunbergii Sieb et Zucc. var. adstricta (Hance) Gagnepl.>, <Vitis. novisinensis>등으로 부른다.
영명은 <Root of Thunberg Grape, Romanet Grape Root>이다.
영욱 산머루는 낙엽 덩굴 식물로 가지는 가늘고 길며 모가 나
있고 어린 가지에는 짙은 회색, 또는 녹색의 가늘고 보드라운 털이 밀생해
있다. 나무 껍질에는 껍질눈인 피목(皮目)이 없고 긴 열편 모양으로
벗겨지며 고갱이는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보통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길이는 약 6~14cm 가량이고 너비도 거의 같으며 기부는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얕고 고르지 못한 거친 톱니 모양이며 윗면은 암록색이고 털이 없거나
잎맥 위에 드문드문 가는 털이 있다. 밑면은 암회색이거나 녹색이고
융모로 조밀하게 덮여 있다. 잎자루 길이는 3~8cm이고 보통 털로 덮여
있다. 원추화서로서 길이는 5~10cm이며 꽃은 양성 및 단성이고 암수딴그루이다.
꽃받침은 원반형이고 밋밋하다. 꽃잎은 녹백색으로 5장, 수술은 5개이고
암술 아래의 꽃받침의 기부에서 나며 암술과 마주 난다. 암술의 아래에
꽃받침이 있고 5개의 밀선이 있으며 씨방은 2실이고 화서는 짧은 원추형이다.
장과(漿果)는 흑색이고 자색의 밀랍 가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형이다. 종자는 1~3개가 있다. 개화기는 7~8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다.
중국의 산비탈의 관목 수풀 속에서 자란다. 복건(福建), 사천(四川),
호북(湖北), 강서(江西), 강소(江蘇), 절강(浙江), 안휘(安徽), 산동(山東),
대만(臺灣) 등지에 분포한다.
산에서
자라는 산머루의 여러 가지 이름은
영욱[蘡薁=yīng
yù=잉 ̄위↘,
산포도:山葡萄=shān
pú
táo=산 ̄푸↗타오↗:
당본초(唐本草)], 욱[薁:
시경(詩經)], 연욱[燕薁,
영설:蘡舌:
광아(廣雅)], 산포도[山葡桃:
본초습유(本草拾遺)],
야포도등[野葡萄藤,
목룡:木龍:
백일선방(百一選方)], 연흑[煙黑:
구황본초(救荒本草)], 접골등[接骨藤: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감고등[甘古藤, 산고등:酸古藤,
화황등:禾黃藤:
중의약실험연구(中醫藥實驗硏究)], 묘안정[猫眼睛: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화화자등[禾花子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묘이등[猫耳藤,
산홍양:山紅羊,
산고과:山苦瓜:
천주본초(泉州本草)], 산등등과[山藤藤果, 산포도:山葡萄: 백도백과(百度百科)], 야마부도우[ヤマブドウ:
일문명(日文名)], 왕머루,
산포도,
산머루
등으로 부른다.
산에서 자라는 산머루 뿌리의 다른 이름은
영욱근[蘡薁根: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 참조:
아래의
내용은 대부분 중약대사전의 영욱인 산머루의 효능에 대한 내용이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자라는 동일한 종류가 없어 산에서 자라는 산머루와 비교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채취]
<산머루의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7~8월에 채취한다."
<산머루의
뿌리>
<중약대사전>: "1년 사게절 채취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과실에는
당분이 10%, tart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등 여러 가지
유기산 및 탄닌(tannin), 지방, 납, 색소, 비타민 등이 들어 있다."
[성미]
<산머루의
줄기와 잎>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산머루의
뿌리>
1,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2, <복건중초약>: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산머루의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습(濕)을 제거하고
이뇨,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임병, 이질, 비통(痺痛), 간증(癎症),
홰역(噦逆),
나력(瘰癧),
유옹(乳癰), 습진, 염창을 치료한다."
2, <당본초>: "홰역(噦逆)의
치료에 효과가 많으며 상한(傷寒) 후의 구홰(嘔噦)에
더욱 효과적이다."
3, <본초습유>: "즙을 눈에
넣으면 열예적장(熱翳赤障)을
치료한다."
4, <본초강목>: "갈증을 멎게하고
소변을 통하게 한다."
5, <복건중초약>: "혈(血)을
식히고 지혈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해독한다."
<산머루의
뿌리>
1, <중약대사전>:
"습열사(濕熱邪)를 제거하고
종독을 제거한다. 황달, 습비(濕痺), 열림(熱淋), 이질, 종독, 나력(瘰癧),
타박상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하초의 열통을
치료하고 종독을 제거한다."
3, <민간상용초약휘편>:
"위통, 치질을 치료하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이뇨한다."
4,
<귀주민간방약집>: "부기를 가라앉히며 고창을 제거한다.
타박상에 외용하면 관절통과 근육통을 치료하고 부러진 뼈를 재결합시킨다."
4,
<복건중초약>: "경락을 통하게 하고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앤다."
[용법과 용량]
<산머루의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내복: 0.5~1냥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또는 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바르거나 즙을 내어 눈, 귀에 떨어뜨려 넣는다."
<산머루의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0.5~1냥(신선한
것은 1~2냥)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바르거나 분말로
만들어 개어서 바른다."
산포도 즉 머루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 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머루(영욱)
//산포도// 동약.
포도과에 속하는 덩굴떨기나무인 왕머루(Vitis
amurensis Rup.)의 익은 열매이다. 우리나라의 각지 산골짜기의 나무숲에서
자란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그대로 또는 말려서 쓴다.
약리실험에서 소염작용, 이뇨작용, 항암작용이 밝혀졌다. 식욕부진, 변비, 열이 나면서 갈증이 있는데, 늑막염,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피부암 등에 쓴다. 비타민
C가 들어 있으므로 괴혈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쓰고 야맹증에도 쓴다. 생것을 그대로 먹거나 말려 가루내서 먹는다.]
왕머루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4권 127면 173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포도(山葡萄)
기원: 포도과(葡萄科: Vitaceae)식물인 산포도(山葡萄=왕머루: Vitis amurensis Rupr.)의 근(根), 등(藤) 및 과(果)이다.
형태: 덩굴성 목본으로 높이는 15m에 이른다. 초기(初期)의 어린가지에는 가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 진다. 잎은 넓은 난형(卵形)으로 잎끝은 예리하고 엽저는 넓은 심장형(心臟形)이며 3-5갈래로 갈라지거나 혹은 갈라지지 않고 잎가장자리에는 세거치(細鋸齒)가 있으며 뒷면의 맥(脈)에는 짧은 털이 있고, 잎자루는 길며 성긴 털이 있다. 원추화서(圓錐花序)는 잎과 마주나며, 화서축(花序軸)에는 백색(白色)의 실모양으로 된 털이 있고, 꽃은 작으며, 자웅이주(雌雄異株)이고, 암꽃에는 5개의 퇴화된 수술이 있으며, 수꽃에는 퇴화된 암술이 있고, 꽃받침은 쟁반모양이며 털이 없다. 장과(漿果)는 구형(球形)으로 직경(直徑)은 약 1cm이고 흑색(黑色)이다.
분포: 산비탈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및 산서(山西), 하북(河北), 산동(山東) 등지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철에 덩굴을 채취한다. 가을철에 뿌리와 과실(果實)을 채취하여 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다.
기미: 맛은 시고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뿌리, 덩굴- 거풍지통(祛風止痛). 열매- 청열이뇨(淸熱利尿).
주치: 뿌리, 덩굴- 외상통(外傷痛), 위장관동통(胃腸管疼痛), 신경성 두통(神經性 頭痛), 수술후 동통(手術後 疼痛). 열매- 번열구갈(煩熱口渴), 요로감염(尿路感染), 소변불리(小便不利).
용량 및 용법: 뿌리, 덩굴- 3~10g. 열매- 10~15g. 뿌리는 10% 추출액(抽出液)을 만들어 매번 10-20ml를 복용(服用)한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71면.] 산에서 자라는 산머루의 한종인 왕머루에 관하여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산포도(山葡萄)
Vitis amurensis Rupr.
中國植物志>> 第48(2)卷 >> 葡萄科 Vitaceae >> 葡萄屬 Vitis
27.山葡萄(東北木本植物圖志)阿穆爾葡萄(江蘇南部種子植物手冊)
Vitis amurensis Rupr. in Bull. Acad. Sci. St. Petersb. 15: 266. 1857; Planch. in DC. Monogr. Phan. 5: 349. 1887; Schneid. Ill. Handb. Laubh. 2: 311. f. 209 d-e. 1909; Rehd. Man. Cult. Trees & Shrubs. ed. 2. 610. 1940; Sosn. in Kom. Fl. URSS 14: 200. t. 38. 1949; Suesseng. in Pflanzenfam. ed. 2. 20d: 292. 1953; 東北木本植物圖志409.圖版CXXXII: 318. 1955; 胡先驌, 經濟植物手冊下冊956. 1957; 江蘇南部種子植物手冊478. 圖778. 1959; 中國高等植物圖鑒2: 770.圖3269. 1972; 俞德浚, 中國果樹分類學176. 圖79. 1979; W. T. Wang in Acta Phytotax. Sin. 17 (3): 87. 1979 in clavi; 內蒙古植物志4: 77.圖版36: 4-8. 1979; 江蘇植物志下冊471.圖1508. 1982; 北京植物志上冊圖707. 1984; 河北植物志2: 113.圖1016. 1988; 河南植物志2: 596. 圖1551. 1988.——V. vinifera L. β amurensis Regel in Gartenfl. 10: 312. t. 339. 1861 et in Mem. Acad. Sci. St. Petersb. ser. 7. 14: 36. 1861.——V. amurensis Rupr. var. genuina Skvorts. in Chin. Journ. Sci. Arts. 15: 200. f. 4. 1931.——V. thunbergii auct. non Sieb. & Zucc. 1845: Hemsl. in Journ. Linn. Soc. Bot. 23: 136. 1886 p. p.; 陳嶸, 中國樹木分類學755. 1937.
27a.山葡萄(原變種)
V.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木質藤本。小枝圓柱形,無毛,嫩枝疏被蛛絲狀絨毛。卷須2-3分枝,每隔2節間斷與葉對生。葉闊卵圓形,長6-24厘米,寬5-21厘米,3稀5淺裂或中裂,或不分裂,葉片或中裂片頂端急尖或漸尖,裂片基部常縊縮或間有寬闊,裂缺凹成圓形,稀呈銳角或鈍角,葉基部心形,基缺凹成圓形或鈍角,邊緣每側有28-36個粗鋸齒,齒端急尖,微不整齊,上面綠色,初時疏被蛛絲狀絨毛,以後脫落;基生脈5出,中脈有側脈5-6對,上面明顯或微下陷,下面突出,網脈在下面明顯,除最後一級小脈外,或多或少突出,常被短柔毛或脫落幾無毛;葉柄長4-14厘米,初時被蛛絲狀絨毛,以後脫落無毛;托葉膜質,褐色,長4-8毫米,寬3-5毫米,頂端鈍,邊緣全緣。圓錐花序疏散,與葉對生,基部分枝發達,長5-13厘米,初時常被蛛絲狀絨毛,以後脫落幾無毛;花梗長2-6毫米,無毛;花蕾倒卵圓形,高1.5-30毫米,頂端圓形;萼碟形,高0.2-0.3毫米,幾全緣,無毛;花瓣5,呈帽狀粘合脫落;雄蕊5,花絲絲狀,長0.9-2毫米,花藥黃色,卵橢圓形,長0.4-0.6毫米,在雌花內雄蕊顯著短而敗育;花盤發達,5裂,高0.3-0.5毫米;雌蕊1,子房錐形,花柱明顯,基部略粗,柱頭微擴大。果實直徑1-1.5厘米;種子倒卵圓形,頂端微凹,基部有短喙,種臍在種子背面中部呈橢圓形,腹面中棱脊微突起,兩側窪穴狹窄呈條形,向上達種子中部或近頂端。花期5-6月,果期7-9月。
產黑龍江、吉林、遼寧、河北、山西、山東、安徽(金寨)、浙江(夫目山)。生山坡、溝穀林中或灌叢,海拔200-2100米。模式標本采自黑龍江上遊。
本種果可鮮食和釀酒。
本種分布廣,變異大,主要表現在葉片分裂狀況、葉下毛被多少和網脈顯著與否,一般葉不裂、淺裂至中裂兼有,葉片分裂者其頂端裂片基部縊縮凹成圓形,稀成鈍角或銳角,在分布區南緣,如浙江天目山等地,葉下面毛被較多,且葉下面網脈顯著,如安徽金寨,被認爲是種的差異,實際上是一個種分部區邊緣所發生的梯度變異或個別性狀的偶然變異,作者用掃描電鏡分析葉表面角質層飾紋表明,存在類似的梯度變異,但基本類型不變。此外,葉基缺凹成圓形者,外側基出脈有時與基缺葉緣靠近或遠離,南北分布區均有此變異。在葡萄屬中是抗寒能力最強的種類,尤其是東北地區的群體;果生食或釀酒,酒糟可制醋和染料,種子可炸油,葉和釀酒後的酒腳可提酒石酸。
27b.深裂山葡萄(變種)百花山葡萄(北京百花山)
V. amurensis Rupr. var. dissecta Skvorts. in Chin. Journ. Sci. Arts. 15: 200. 1931. ——V. amurensis Rupr. var. yanshanensis D. Z. Lu et H. P. Liang in Journ. Beij. For. Univ. 15 (2) : 134. 1993. ——V. baihuashanensis M. S. Kang et D. Z. Lu in Acta Phytotax. Sin. 31 (1) : 70. 1993.
本變種與原變種的區別在於,葉深3-5裂,果實直徑較小,0.8-1厘米。花期5-6月,果期7-9月。
產黑龍江、吉林、遼寧、河北。海拔50-200米。模式標本采自黑龍江(大興安嶺)。
本變種在河北過去被稱爲燕山葡萄,當地稱爲花葉葡萄,在北京百花山地區葉深裂有時裂片又重複分裂爲變異之極端;在東北各省有零星分布。經多年采集和觀察,存在有過渡類型,很難作爲種來處理。對霜黴病有較強的抵抗能力。
1998《中國植物志》第48(2)卷 165頁 PDF.]
◆
산머루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산머루의
줄기와 잎>
1,
혈림(血淋: 혈뇨) 영욱등(蘡薁藤)
5돈, 차전초(車前草) 5돈, 봉미초(鳳尾草) 3돈, 소계(小薊)
3돈, 우절(藕節)
3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중의실험연구(中醫實驗硏究)]
2, 이질 영욱경(蘡薁莖)
1냥을 물로 달인다. 적리(赤痢)에는 백당(白糖), 백리(白痢)에는 홍당(紅糖)
1냥을 가하여 섞어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3, 풍습성
관절통 영욱근(蘡薁根)
1냥 5돈에 술과 물 각각 같은 양의 술과 물을 가해서 달여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4, 양간풍(羊癎風) 신선한
영욱경(蘡薁莖:
굵고 큰 것을 골라서 껍질을 제거한 것) 3냥을 달여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매일 1첩을 만들어 3~5일 연속하여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5, 갑자기
하는 구토, 또는 궐역(厥逆) 영욱등(蘡薁藤)을
썰어 즙을 내서 그릇으로 받아 1되를 마신다. [보결주후방(補缺肘後方)]
6, 나력(瘰癧) 영욱경(蘡薁莖)
및 뿌리 1냥을 물로 2회 달여 매일 식후 각각 1회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7,
타박상 영욱(蘡薁)
전초 2냥에 물과 술을 같은 양 가하여 달여서 복용한다. [천주본초(泉州本草)]
8, 유풍(乳風: 유선염), 풍안(風眼) 건조한 영욱(蘡薁)의
전초, 포공영(蒲公英), 산감초두(山甘草頭) 각 7돈을 맑은 물로 달여
복용한다. [천주본초(泉州本草)]
9, 피부 습진 신선한 영욱엽(蘡薁葉)을
찧어서 짜내어 즙을 환부에 바른다. [천주본초(泉州本草)]
10, 오래 낫지 않는 각렴창(脚臁瘡) 신선한
영욱엽(蘡薁葉)을
찧어서 환부에 바르고 나으면 중지한다. [천주본초(泉州本草)]
11, 이옹(耳癰) 신선한 영욱등(蘡薁藤)을
깨끗하게 씻어 한 마디를 잘라 한 쪽을 환자의 귀에 향하게 하고 다른
한 쪽으로부터 입으로 불어 즙을 귀 안에 떨어 뜨려 넣는다.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
12, 외상
출혈 영욱엽(蘡薁葉)을
햇볕에 말려 분말로 만들어 외용한다. [단방험방조사자료선편(單方驗方調査資料選編)]
<산머루의
뿌리>
13, 황달성 전염성
간염 영욱(蘡薁)의
마른 뿌리 5돈, 백영(白英)의 마른 전초 5돈, 인진(茵陳) 5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4, 관절
풍습통 영욱(蘡薁)의
신선한 뿌리 2~4냥을 물로 달여서 불에 개어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5,
남녀의 열림(熱淋) 및 부인 복통 야포도근(野葡萄根) 7돈, 갈근(葛根)
3돈에 물 1컵을 가하여 7할로 달이고 동변(童便) 3푼을 넣어 빈속에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건곤생의비온(乾坤生意秘韞)]
16,
이질 영욱근(蘡薁根)
1냥을 물로 달인다. 적리(赤痢)에는 백당(白糖), 백리(白痢)에는 홍당(紅糖)
1냥을 가하여 개어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17, 적유풍종(赤遊風腫) 영욱근(蘡薁根)을
짓찧어 진흙처럼 개어서 바른다. [세의통변요법(世醫通變要法)]
18, 습담유주(濕痰流注) 영욱근(蘡薁根)
2냥, 저수육(猪瘦肉)
2냥에 각각 같은 양의 술과 물을 가하여 삶는다. 찌꺼기를 버리고 탕액과
고기를 함께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
19, 폐옹(肺癰) 신선한
영욱근(蘡薁根)
2냥, 신선한 해금사(海金沙) 1냥 반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천주본초(泉州本草)]
20, 나력(瘰癧) 신선한
영욱근(蘡薁根)
2냥을 물로 달이거나 술로 개어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21,
유옹(乳癰) 영욱(蘡薁)
1냥, 향여(香茹)
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22,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영욱근(蘡薁根)
2냥, 황주(黃酒) 탕시(湯匙)로 1숟가락, 돼지 정육 2냥에 물 4냥을 넣고
달여 복용한다. 매일 1첩을 달여 오전에는 한 번 달인 탕액을 마시고
오후에는 다시 한 번 달인 탕액과 고기를 함께 복용한다. 14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모두 95례를 치료한 결과 임상 증상이 없어지는 데는
평균 4.5일, 간장 종대(腫大)가 없어지는 데는 16.8일, 황달 소퇴 시간은
23.7일, GPT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데는 25.4일이 소요되었다. [중약대사전]
[비고(備考)]
1,
<당본초(唐本草)>: "영욱(蘡薁)과
산포도(山葡萄)로는 모두 술을 빚을 수 있다."
2,
<본초습유(本草拾遺)>: "영욱(蘡薁)이라는
것은 산포도(山葡萄)를 말한다. 덩굴을 잘라서 불면 통초(通草)처럼
한쪽으로 공기가 새어 나간다."
3,
<본초강목(本草綱目)>: "영욱(蘡薁)은
수풀이나 교외에서 자라며 삽목 재배할 수도 있다. 덩굴, 잎, 꽃, 열매는
포도와 비슷하나 열매가 둥글며 연한 자색이다. <시경(詩經)>에
'6월에 욱(薁)을 복용한다'라고 했는데 이 욱(薁)이란 영욱(蘡薁)이다. 그
줄기를 불어 공기가 나가면 통초처럼 즙이 있다."
우리가
흔히 즐겨먹는 포도는 주로 재배를 통해서 나오지만 산에서 저절로 자라는
포도는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기 스스로 번식을 하여 나무를 타고
올라가 열리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손을 거치지 않은 순수 조물주의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맛이나 당도 등도 재배한 포도보다 훨씬 더
달면서 맛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머루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참조: 아래에 비슷한 종류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