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나무(매실) 무엇인가?

북풍한설에도 꽃을 피우는 매화나무

 

 

 

 

 

 

 

 

img1.jpg img1.jpg

 

 

 

 

[매화나무의 꽃, 열매, 홍매의 꽃과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균작용, 항진균 작용, 항알레르기작용, 담낭수축작용, 답즙배출작용, 설사가 만성이 되어 멎지 않고 장구(혈농이 섞인 점액변)가 나오는 경우, 유행성 설사로 식사를 못하는 경우, 설사와 갈증이 있는 경우, 혈농이 섞인 설사, 혈변이 멎지 않는 경우, 소변 혈뇨, 부인 혈붕, 소갈증, 가슴이 답답한 증세, 상한 4~5일째에 두통이 있고 고열이 나며 흉중이 답답하고 통증이 있는 경우, 회충이 입, 코에 올라오는 경우, 상한으로 아랫 부분에 닉창이 생기는 경우, 만성 학질로 인한 쇠약, 창육이 나온 경우,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화농성 지두염, 소아 두창이 오래 낫지 않는 경우, 세균성 이질(임상보고), 조충병의 치료[임상보고], 만성 습진의 치료[임상보고], 담낭 수축과 담즙 배출 촉진[임상보고], 담낭염, 나력, 월경이 멎지 않을 때, 인후 부위 폐색감, 심한 두진의 예방, 이미 발진하였거나 아직 발진하지 않고 피부 속에 잠복하여 있는 천연두 및 마증반증[홍역의 발진], 후비유아, 곽란토리, 매핵격기, 궤양이 되었거나 되어 있지 않은 옹저, 금창, 여성의 하초에 생기는 36가지 질병을 치료하고 피임케 하는 처방, 대지[손발톱밑이 곪는 병, 생인손], 적 백이질, 대변 하혈 또는 술로 인한 이질이나 오래 된 이질, 대변이 굳어 불편 할 때, 배가 부어 아플 때나 속이 답답할 때, 타박상으로 인해 출혈할 때, 개에 물렸을 때, 소아 두창, 유황독 제거, 만성 이질, 아메바성 대장염 및 토사통, 월경이나 하혈이 멎지 않을 때, 해수, 각혈, 청량성 수렴약, 열내림약, 기침약, 가래약, 배아픔, 구토, 피로회복, 해열, 해독, 회충, 타박상, 장티푸스, 역리, 소화불량, 식중독, 콜레라, 폐결핵, 만성 장카타르, 개에게 물린데, 유황독 제거, 신경통, 살균, 간기능 활성화를 다스리는 초록빛 6월 보약 매실

매화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매화나무의 학명은 <Prunusmume (Sieb). et zucc.>이다. 키는 3~5미터이며 잎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길게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가는 톱니가 있다. 꽃눈이 있는 가지의 잎은 매끈하고 잎눈이 있는 가지의 잎은 가슬가슬하므로 곧 구별이 된다. 꽃은 이른봄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보통 잎겨드랑이에 1~3 송이가 달리며 꽃 빛은 백색, 담홍색, 홍색 등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이다. 지역에 따라 개화기는 1~4월이고 결실기는 5~7월이다. 꽃잎은 보통 5장이고 향기가 좋다. 열매는 핵과로서 매실이라 하며 흔히 6월경에 익는다. 특히 5월에 딴 매실보다 6월에 딴 매실이
유기산 함유량이 10배 정도 높고 맛과 효능이 더욱 뛰어나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 지방에 잘되며 개성 이북에서는 열매를 맺지 않아 과수로서의 재배가 되지 않는데, 지구의 온난화로 이제는 서울 및 경기도 이북 지역에서도 매실이 탐스럽게 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매화나무의 꽃은 아름답고 그윽한 향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왔다. 매화나무는 화목구품(花木九品)중 일품에 속하는 나무이다. 또한 북풍한설 추운 겨울에 꽃을 피운다고 해서
'설중매(雪中梅)'라는 이름으로 불리운다. 또한 어떠한 어려움도 이기고 견디어 낸다는 절개를 비유할 때 매화나무를 사용한다. 이렇듯 매화에 얽힌 시나 시조들이 수없이 많이 전해내려오고 있다. 봄기운에 매화가 가장 먼저 피고 이어서 앵두나무, 살구나무, 복숭아나무, 배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한다. 매화는 겨울나무이다. 매화는 눈속에서 꽃을 피우며 일찌기 봄을 알리는 나무이다.  

매화나무의 종류는 300종 이상의 품종이 있으며, 야매계(
野梅系), 홍매계(紅梅系), 풍후계(豊後系)의 3가지 계통으로 분류된다. 열매를 채취하는 주된 종류는 풍후계(豊後系)에서 채취된다.

매실은 살구, 자두와 식물학적으로 가까운데 일반적으로 매실은 그 이용형태에 따라 꽃을 관상으로하는 화매(花梅)와 과실을 이용하는 실매(實梅)로 대별되고 개화기의 조만(早晩)에 따라 조, 중, 만생종(晩生種)으로 분류하며 실매(實梅)의 경우 과실크기에 따라 대, 중, 소매(小梅)라 하고, 산미(酸味)의 정도에 따라 산매(酸梅)와 감매(甘梅), 숙기(熟期)에 따라 청매(靑梅)와 숙매(熟梅)로 분류하기도 한다. 목야(牧野)는 실매(實梅)를 다음과 같이 5개 품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1, 야    매(野梅: prunus mume var, typica max)
2, 소    매(小梅: p. mume var. microcarpa. makino)
3, 녹악매(綠棋梅: p. mume viridicalyx makino)
4, 좌론매(座論梅: p. mume var. pleiocarpa max)
5, 풍후매(豊後梅: p. mume var. bungo makino)

매실과 살구는 근연종(近緣種)으로서 형태(形態) 및 생태적(生態的) 상위점(相違点)을 들어 분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매실성에 가까운 품종일수록 살구성(杏性)품종에 비해 개화기가 빠르고 과실이 작은편이며 산미가 높다. 관상용으로 이용하는 꽃매실은 개화기가 빠르고 겹꽃으로 되어 있으며 결실율이 낮다.

매화나무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옥매(산옥매), 백매, 홍매(겹홍매화), 만첩홍매실> 등이 있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쌍매, 수지매, 녹악매, 자매, 동심매, 추지매, 홍매, 주매, 백매, 야매 등으로 불리며 봄을 미리 알리는 나무라고 하여 춘고초(春告草)라고도 부른다. 사군자(四君子)에는 '매란국죽'이 있다. 중국 진나라 때에 문학이 한창 성해졌을 때 매화가 아름답게 꽃피다가 문학이 쇠퇴하여 그 그림자조차 찾아볼 수 없게 되므로 호문목(好文木)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 전해지는데, 문인묵객들의 사랑을 받는 꽃으로 매화를 가리켜 호문목(好文木)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흔히 매화나무라고 하면 꽃을 보기위한 것이고, 열매를 중히 여길 때는 매실나무라고 부른다. 매화나무 매(梅)자를 중국에서는 '메이'라고 부르고, 일본에서는 '우메'라고 부른다. 오매(烏梅)라는 것은 덜익은 열매를 훈제한 것을 말하는데 그 이름의 유래는 훈제한 약재가 마치 '까마귀의 젖은 날개처럼 검고 윤기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본초학이 발달한 동양에서는 다익은 열매보다 덜 익은 풋열매에 약효성분이 많다는 것을 알아 내었다. 산딸기나 오디, 산목련꽃봉오리 등도 완전히 익거나 만개된 것보다
피기 직전이나 익기 직전에 따서 그늘에 말려 약으로 사용하였다. 덜익은 풋매실에는 청산이 들어 있어서 날로 많이 먹으면 중독이 된다. 그런 이유로 매실을 다양한 방법으로 법제하는 기술을 시간이 흐르면서 터득하게 되었다. 황정과는 배합금기이다.

이시진이 쓴
<본초강목>에도 매화를 오과중의 하나로 손꼽았는데, 이것은 오매를 말하며 귀중한 약재료로 사용하였음을 볼 수 있다.

매화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梅=
méi=메이: 시경(詩經)], 춘매[春梅: 본초재신(本草再新)], 우메[ウメ=, 코우바이:こうばい=紅梅: 일문명(日文名)], 매화수[梅花樹], 매화목[梅花木], 매화나무, 매실나무 등으로 부른다.

매화나무의 미성숙한 열매의 여러 가지 이름은
오매[烏梅: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매실[梅實: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훈매[薰梅, 고매육:枯梅肉: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등으로 부른다. 

매화나무의 뿌리의 다른 이름은
매근[梅根: 명의별록(名醫別錄)]으로 부른다.

매화나무 가지의 다른 이름은
매경[梅梗: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이라고 부른다.

매화나무 잎의 다른 이름은
매엽[梅葉: 본초습유(本草拾遺)]이라고 부른다.

매화나무 꽃망울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백매화[白梅花: 본초강목(本草綱目)], 연악매[緣
梅: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연매화[緣梅花: 약재학(藥材學)] 등으로 부른다.

매화나무의 소금에 절인 미성숙한 열매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백매[白梅: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염매[鹽梅: 상서(尙書)], 상매[霜梅: 본초강목(本草綱目)], 백상매[白霜梅: 본초편독(本草便讀)] 등으로 부른다.

매화나무의 종자의 다른 이름은
매핵인[梅核仁: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부른다.

매화나무의 꽃봉오리의 증류액의 다른 이름은
매로[梅露: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라고 부른다.

[채취]


<미성숙한 열매>


5월에 곧 익을 녹색 열매인 청매(靑梅)를 따서 대소를 나누어 따로 구워서 건조한다. 불은 너무 세지 말아야 하며 온도를 40℃ 정도로 해야 한다. 6할 가량 마르면 아래 위로 뒤집어(껍질을 상하지 않도록 한다) 고루 마르도록 해야 한다. 보통 과육이 황갈색이 되고 주름이 생길 정도로 2~3월 계속 굽는다. 다음은 검게 될 때까지 2~3일간 덮고 가온한다.

<꽃망울>


1~2월에 곧 피려는 꽃봉오리를 채취하여 돗자리 위에 펼쳐서 햇볕에 말린다. 비 오는 날이면 숯불에 쬐여 말려도 된다.

[약재(藥材)]


<미성숙한 열매>


건조한 열매는 편평한 구형 또는 불규칙한 구형으로 지름은 1.5~3cm이다. 표면은 흑갈색이거나 흑색이며 주름이 지고 울퉁불퉁하다. 겉껍질이 부서져 씨가 드러난 것도 있다. 열매의 한 끝에 열매 꼭지가 탈락된 흔적이 뚜럿하게 있다. 육질은 부드럽다. 핵은 단단하고 황갈색이며 안에 모양과 냄새가 행인(행인: 은행씨)과 아주 비슷한 연한 황색의 종자가 1알 들어 있다. 이 열매의 냄새는 특이하고 맛은 몹시 시큼하다. 크고 살은 두꺼우며 씨는 작고 겉껍질은 검으며 갈라져서 씨가 드러난 것이 없고 부드럽고 맛은 몹시 시큼한 것이 좋다.

주로 중국의 사천(四川), 절강(浙江), 복건(福建), 호남(湖南), 귀주(貴州) 등지에서 난다.

이외에 광동(廣東), 호북(湖北), 운남(雲南), 섬서(陝西), 안휘(安徽), 강소(江蘇), 광서(廣西), 강서(江西), 하남(河南) 등지에서도 난다.

<꽃망울>

건조한 꽃봉오리는 공 모양이며 지름 4~8mm이고 기부에는 항상 작은 자루가 있다. 꽃떡잎은 3~4층이고 갈색의 비늘 조각 모양이다. 꽃떡잎 내측에는 꽃받침 조각이 5개 있으며 연한 황갈색이고 약간 녹색을 띠었으며 둥근 달걀 모양이고 엎어 놓은 기왓장 모양으로 배열되었으며 기부는 꽃턱과 유착되어 있다. 꽃잎은 5개 또는 여러 개이고 백색 또는 황백색이며 서로 단단히 포개어져 있다. 꽃잎 내측에는 황색인 다수의 실모양 수술이 있다. 씨방은 달걀 모양이고 가늘고 긴 암술대가 있다. 질은 가볍고 방향이 있으며 맛은 담담하면서도 떫다. 꽃은 아름답고 완정하며 봉오리 상태이고 꽃받침은 녹색이며 꽃은 백색이고 향기가 좋은 것을 양품으로 한다.

중국의 주산지는 강소(江蘇), 절강(浙江) 등지이다.

꽃부리가 홍색인 것을 홍매(紅梅)라고 하는데 그 형태는 백매(白梅)와 비슷하지만 백매(白梅)보다 약간 크고 꽃부리는 담홍색이고 꽃잎이 겹쳐졌으며 꽃받침은 적갈색이 난다.

약용으로는 백매(白梅)를 주로 쓰고 홍매(紅梅)는 비교적 적다. [중약대사전]

[성분]


<미성숙한 열매>


열매는 citric acid 19%, malic acid 15%, 호박산, 탄수화물, sitosterol, 납 물질, oleic acid의 성분을 함유한다. 익으면 cyanic acid를 함유한다.

<꽃망울>

꽃봉오리에는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중 중요한 것은 benzaldehyde, isoeugenol, benzoic acid 등이다.

<종자>


아미그달린(amygdalin)이 들어 있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미성숙한 열매>


1, 항균 작용:
탕액(1:1)은 in vitro에서 탄저균, 디프테리아균, 위 디프테리아균, 포도상 구균(황색, 레몬색, 백색), 고초균, 폐렴 구균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α,β연쇄상 구균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 대장균, Sonne's 이질 간균, 변형 간균, 티프스균, 파라티프스균, 녹농균, 콜레라균 등 장내의 병원균에도 효과가 있다. 10% 탕액 즉 평판법(平板法)은 대장균과 포도상 구균 등 다종의 세균에 대해서 억제 작용이 있다. 50% 탕액 즉 지편법(紙片法)은 백일해균과 수막염 구균에 대해서 작용이 가장 강하고 폐렴 구균과 용혈성 연쇄상 구균에 대해서는 중등 정도이며 소형 부르셀라 간균과 디프테리아균에 대해서도 작용이 있으며 인플루엔자균과 녹색 연쇄상구균에는 작용이 없다. 알코올 침출액에는 몇가지 그람 양성균, 음성균 및 인형(人形) 결핵균에 대해서도 뚜렷한 항균작용이 있다. 오매(烏梅) 가루는 샤렛 안에서는 백색 포도상 구균, 고초균, 대장균, 티프스균에 대해서 비교적 강한 작용이 있다. 수침액 1:80(2배 희석법)은 파스퇴르 간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오매(烏梅)는 산성이 상당히 강하며 그 항균 작용이 산성의 강도와 관련이 있는가 여부는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2, 항진균 작용:
탕액은 in vitro에서 모창 백선균, 서경 표피균(Epithermophyton floccosum), 석고양(石膏樣) 소아포균(小芽胞菌) 등의 병원 진균에 대해서 억제 작용이 있다. 유효 농도는 각각 1:160, 1:320, 1:480이다.

3, 항 알러지(allergy) 작용:
탕액(1:1)와 그 합제는 guinea pig의 단백성 쇼크에 의한 동물의 사망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토끼의 적출 소장에 대해서 뚜렷한 억제 작용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동물의 수량이 적고 또한 장관(腸管)에 대한 pH의 영향을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앞으로 연구를 더 진행하여야 한다. [중약대사전]

[포제(
炮製)]

<미성숙한 열매>


1, <오매(烏梅)>:
"불순물을 제거하고 티끌을 체로 쳐서 제거하고 씻어 햇볕에 말린다."

2, <오매육(烏梅肉)>:
"깨끗한 오매(烏梅)에 맑은 물을 쳐서 약간 축축하게 해서 살을 부드럽게 한다. 약간 건조시키고 두드려서 부수고 살을 벗기면 된다. 또는 시루로 문드러질 때까지 충분히 찌고 바구니 안에서 비벼서 씨를 제거하고 살을 취해 뱃볕에 말린다."

3, <오매탄(烏梅炭)>:
"깨끗한 오매(烏梅)를 센 불로 껍질이 부풀도록 볶고 탄반점이 보이면 물을 뿜어 또다시 구워서 건조시키고 꺼내어 식힌다."

<소금에 절인 미성숙한 열매>


<제민요술>:
"백매(白梅)의 제조법은 매실의 씨를 초기에 발라내고 밤에 소금물을 담그었다가 낮에는 햇볕에 쪼인다. 이렇게 10일간 반복하면 된다." [중약대사전]

[성미]

<미성숙한 열매>


맛은 시고 성질은 따뜻하다.

1, <신농본초경>: "맛은 시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독이 없다."

3, <일화자제가본초>: "따뜻하고 독이 없다."

4, <의학계원>: "맛은 시고 기(氣)는 차다."

<잎>

<본초강목>: "맛은 시큼하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꽃망울>

맛은 시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1, <본초강목>: "맛이 약간 시고 떫고 독이 없다."

2, <백초경>: "성질은 차다."

3, <식물의기(食物宜忌)>: "맛은 시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4, <음편신참>: "맛은 쓰고도 약간 달다."

<소금에 절인 미성숙한 열매>


맛은 시고 떫고 짜다. 성질은 평하다.

1, <일화자제가본초>: "따뜻하고 독이 없다."

2, <본초강목>: "맛은 시고 짜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본초종신>: "맛은 시고 떫고 짜며 성질은 평하다."

<종자>

1, <약성론>: "맛은 새콤하고 독이 없다."

2, <본초강목>: "맛은 시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미성숙한 열매>


간(肝), 비(脾), 대장경(大腸經)에 들어간다.

1, <왕호고>: "비(脾),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폐(肺),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3, <신농본초경소>: "간(肝)에 들어간다."

4, <약품화의>: "폐(肺), 위(胃), 대장경(大腸經)에 들어간다."

<꽃망울>

<본초재신>: "간(肝), 폐(肺) 등 2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미성숙한 열매>


수렴하고 진액을 생성하고 회충을 진정시키고 구충하는 효능이 있다. 만성 해수, 허열(虛熱)에 의한 심흉열감(心胸熱感)이나 인후 갈증, 구학(久
), 만성 설사와 만성 이질, 이질, 변혈, 혈뇨, 혈붕(血崩), 회궐(蛔厥)에 의한 급성 복통, 구토, 조충병(釣蟲病), 우피선(牛皮), 노육(肉)을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 "기(氣)를 사하(瀉下)하고 발열에 의한 가슴 번만(煩滿)을 제거하며 마음을 가라앉힌다. 지체통(肢體痛), 반신 불수, 사기(死肌)를 치료하며 청흑지(靑黑
), 악육(惡肉)을 제거한다."

2, <명의별록>: "설사를 멎게 하고 타액을 자꾸 뱉어서 입안이 마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근맥을 잘 통하게 하고 비(痺)를 제거한다."

3, <도홍경>: "상한번열(傷寒煩熱)에는 오매(烏梅)를 물에 담가 그 즙을 마신다."

4, <맹선>: "대변이 통하지 않고 기(氣)의 상충(上衝)으로 하여 죽을 것 같은 증상에는 오매(烏梅) 10개를 달이고 씨를 버린 다음 절구공이로 찧어 대추 크기의 환약을 만들어 좌약으로 쓰면 잠시 후 통한다. 오매(烏梅)를 쪼개어 물에 담가 소량의 꿀과 섞은 것을 복용하면 갈증을 멎게 한다. 곽란(
霍亂)의 심복 불안, 이적(痢赤) 즉 혈리(血痢)와 학질을 치료하는 처방에 많이 쓰인다."

5, <본초습유>: "담(痰)을 제거하고 학장(
瘧瘴)을 치료한다. 갈증을 멈추게 하고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며 냉열리(冷熱痢)를 치료하고 구토를 멎게 한다."

6, <일화자제가본초>: "허로를 제거하고 골증(骨蒸)을 치료하며 가슴이 답답한 증세를 없애고 장을 수렴하여 설사를 멎게 한다. 술로 인한 독을 풀어주고 반신 불수, 피부가 저리는 증상을 치료하며 흑점을 제거하고 숙면을 취하게 한다. 또한 건차(建茶), 건강(乾薑)과 조합하여 환약을 만들어 복용하면 휴식리(休息痢: 오랫동안 설사와 변비증이 반족되는 증상)가 멎게 된다."

7, <본초도경>: "상한 번열, 곽란 조갈, 허로수영(
虛勞瘦嬴), 임산부의 기리(氣痢) 등을 치료하는 처방에 많이 쓰인다."

8, <용약심법>: "폐기(肺氣)를 수렴한다."

9, <본초강목>: "폐와 장을 수렴한다. 만성 해수, 설사, 반위일격(反胃
噎膈), 회충에 의한 구토, 설사를 치료한다. 부기를 가라앉히며 담(痰)을 삭이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어독, 마한독(馬汗毒: 상처 등에 말 땀, 말 털이 섞여 일으킨 장애), 유황독을 해독한다."

10, <본초구원>: "혈뇨, 하혈 등의 여러 혈증, 자한(自汗), 구후건(口喉乾)을 치료한다."

<뿌리>

유주성 관절 풍습퉁, 휴식리(休息痢: 오랫동안 설사와 변비증이 반족되는 증상), 담낭염, 나력을 치료한다.

1, <명의별록>: "유주성 관절 풍습통을 치료한다."

2, <최씨찬요방(崔氏纂要方)>: "매근(梅根), 도근(桃根), 이근(李根)을 함께 달인 물로 갖난 아기를 목욕시키면 창열(瘡熱)이 날 염려가 없다."

3, <일화자제가본초>: "진하게 달인 약액을 복용하여 휴식리(休息痢)와 곽란을 치료한다."

4, <민간상용초약회편>: "매화근(梅花根)은 기혈을 조화시키며 혈분(血分)에 들어간다."

<가지>


<도청집(道聽集)>: "회임한지 3개월만에 유산하는 습관성 유산을 치료하자면 매화나무가지 3~5개를 진하게 달여서 복용하고 용안탕(龍眼湯)을 또 마신다."

<잎>

<일화자제가본초>: "진하게 달여 복용하면 휴식리(休息痢: 오랫동안 설사와 변비증이 반족되는 증상)와 곽란을 치료한다."

<꽃망울>

간기(肝氣)를 이완시키고 위(胃)를 조화시키며 담을 식이는 효능이 있다. 매핵기(梅核氣), 간위기통(肝胃氣痛), 식욕부진, 현기증, 나력을 치료한다.

1, <본초원시>: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폐기(肺氣)를 이롭게 하며 담옹상열(痰壅上熱)를 제거한다."

2, <백초경>: "식욕을 돋우고 울결을 풀어준다. 죽을 쑤어 복용하면 맑은 양기(陽氣)가 상승하는 것을 돕는다."

3, <본초강목습유>: "정신을 안정시키고 두독(痘毒)을 푼다."

4, <음편신찬>: "홍매화(홍매화)는 간기(肝氣)를 맑게 하고 울결을 풀고 두목(頭目) 동통을 치료하며 연악매(緣
梅)는 간위(肝胃)를 조화시키고 완통(脘痛), 두훈(頭暈)을 치료하며 식욕과 소화를 촉진한다."

<소금에 절인 미성숙한 열매>


후비(喉痺), 사리번갈(瀉痢煩渴), 매핵격기(梅核膈氣), 옹저종통(癰疽腫痛), 외상 출혈 등을 치료한다.

1, <도홍경>: "백매(白梅)는 오매(烏梅)와 비슷하며 현재 많은 사람이 백매(白梅)를 약물과 합하여 기미, 사마귀 등에 발라서 없앤다."

2, <본초습유>: "살에 가시가 들어 갔을 때 백매(白梅)를 씹어서 그 위에 붙이면 가시가 나온다."

3, <일화자제가본초>: "도전상(刀箭傷: 칼에 베이거나 화살에 맞은 상처)을 치료하고 지혈한다. 갈아서 붙인다."

4, <본초도경>: "담(痰)을 제거한다."

5, <본초몽전>: "짓찧어 고제로 만들어 바르면 독을 빨아낸다. 급성 유선염을 치료하고 살에 들어간 화살촉을 뽑아낸다. 중기(中氣)로 인하여, 이를 악물고 열지 못할 때에는 급히 백매육(白梅肉)으로 마찰하면 좋다."

6, <본초강목>: "중풍, 경간, 후비(喉痺), 담궐강부(痰厥
僵仆)을 치료한다. 또 사리번갈(瀉痢煩渴), 곽란토하(霍亂吐下), 하혈 혈붕(血崩)을 치료한다. 효능은 오매(烏梅)와 같다."

<종자>


청서(淸暑), 명목(明目), 제번(除煩)하는 효능이 있다.

1, <오보본초>: "명목(明目), 익기(益氣)한다."

2, <약성론>: "제번열(除煩熱)한다."

3, <본경봉원>: "여성의 자장(子臟)안의 풍기적체(風氣積滯)를 없앤다."

4, <본초구원>: "서기곽란(暑氣
亂)을 치료한다."

<꽃봉오리의 증류액>


1, <백초경>: "증류액을 차에 타서 먹으면 지갈생진(止渴生津), 해서척번(解暑
煩)한다."

[용법과 용량]


<미성숙한 열매>


내복: 0.8~1.5돈을 달이거나 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불에 구운 후 갈아서 그대로 뿌리거나 개어서 바른다.

<뿌리>


내복: 11.1~14.8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몸을 씻는다.

<꽃망울>

내복: 0.8~1.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쓴다.

외용: 환부에 바른다.

<소금에 절인 미성숙한 열매>

내복: 달여서 타액으로 삼키거나, 환을 만들어 먹는다.

외용: 이빨을 문지른다. 찧어서 바른다. 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우고 가루내어 조합해서 바른다.

<종자>

내복: 1.85~5.5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미성숙한 열매>


실사(實邪)가 있는 경우는 복용을 금한다.

1, <맹선>: "많이 먹으면 치아를 상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많이 복용하면 뼈가 상하고 비위(脾胃)가 손상을 입으며 열이 난다."

3, <신농본초경소>: "많이 복용하면 좋지 않다. 치통 및 병이 발산되고 있는 경우는 쓰면 안 된다."

4, <약품화의>: "해(咳)의 초기, 기실천촉(氣實喘促), 흉격비민(胸隔
悶), 공산(恐酸)하여 사기(邪氣)가 수반하는 경우는 조심해야 한다."

5, <득배본초>: "학리(
痢)의 초기에는 사용을 금지한다."

<소금에 절인 미성숙한 열매>

<본초종신>: "다량을 복용하면 치아가 손상되고 근육이 상한다."

매실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오매(烏梅)

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 매실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의
덜 익은 열매를 가공한 것이다. 꽃을 매화라 한다.  

성미:
오매의 맛은 시고 떫으며 성질은 따듯하다. 매화는 맛이 약간시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오매는 염폐(斂肺), 삽장(澁腸), 생진(生津), 안회(安蛔). 매화는 개울화중(開鬱和中), 화담(化痰), 해독(解毒)

해설:
오매의 ① 신맛은 폐의 기운이 흐트러진 것을 수렴시켜 오래 된 해수에 지해(止咳) 작용을 나타낸다. ② 오랜 이질, 설사에 지사(止瀉) 작용이 있으며, ③ 진액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갈증에 생진지갈(生津止渴)의 효능을 보인다. ④ 회충으로 인한 복통에 유효하다.  

매화는 ① 신경과민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잘 안 되며, 목 안에 이물질이 걸려 있는 것 같은 증상을 치료하고, ② 나력창독(
瘰藶瘡毒)에도 효력을 보인다.  

성분:
오매에는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tartar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 매화에는 benzoic acid, benzaldehyde, isoeugen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신체 면역 기능을 증강시키며, ② 항균작용이 나타나고, 체외 실험으로 자궁경부암의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임상보고:
① 내치질(內痔疾)에 약침 제제로 활용되었으며, ② 바이러스성간염에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③ 소아의 복통, 설사에 높은 유효율을 보였다.]

매실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성분과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

식물:
잎지는 작은 큰키나무이다. 달걀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이름봄 잎이 나기 전에 흰색 또는 붉은색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여물면 노란색을 띤다. 꽃보기식물로 또는 과수원에 심는다.  

열매(오매):
선열매(덜익은 열매)를 따서 열맷살을 벗겨 그을음이 섞인 연기에 그을려 말린다.  

성분:
열매살에는 레몬산, 사과산, 포도산, 호박산, 시토스테롤, 올레아놀산, 세틸알코올, 씨에는 아미그달린이 있다. 선열매(덜익은 열매)는 레몬산의 원료로도 쓴다. 마른 열매에는 레몬산 19퍼센트, 사과산 1.5퍼센트가 들어 있으므로 약 10퍼센트의 거둠률로 레몬산을 만들 수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청량성 수렴약, 설사멎이약, 열내림약, 기침약, 가래약으로 쓴다. 주로 배아픔, 게우기, 설사 등에 쓴다.

매화열매 달임약(4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살충환:
매화나무열매, 산초나무열매 각각 1.5그램을 가루로 만들어 꿀로 삼씨만한 크기의 알약을 만든다. 회충약으로 한번에 먹는다.

오매환:
매화나무열매, 족두리풀뿌리, 부자덩이뿌리, 계수나무가지, 인삼, 황경피나무껍질 각각 3g, 마른생강 5g, 깽깽이풀뿌리줄기 7g, 당귀뿌리, 산초나무열매 각각 2g으로 둥근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g씩 하루 3번 먹는다.] 

매화나무의
익지 않은 열매를 가공한 것을 오매(烏梅)라고 부르는데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오매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오매(烏梅) //매화열매, 매실(梅實)// [본초]

벗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인 매화나무(Prunusmume Sieb. et Zucc.)의 익지 않은 열매를 가공한 것이다. 매화나무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에서 심으며 지금은 북부 지방에서도 심는다.

이른 여름
익지 않은 열매를 따서 연기에 그슬려 그을음을 올려 온도가 섭씨 40도 정도 되는 건조실에서 말린다. 맛은 시고 성질은 따뜻하다. 간경, 비경, 폐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회충을 없애고 구토, 해소, 설사를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거담작용, 장윤동운동억제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오매 한 가지로만 쓸 때에는 회충을 없애지 못하지만 오매가 주약으로 되어 있는 오매환(烏梅丸)은 회충을 죽인다. 회충증으로 손발이 차고 메스꺼우며 배가 아픈데(회궐),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며 가슴이 답답한 데, 오랜 설사, 이질, 해소, 사마귀, 티눈 등에 쓴다. 하루 3~6그램을 탕약, 산제, 환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눅진한 것을 짓찧어 붙인다.]

매실나무의 미성숙한 열매로 법제한 오매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102면 118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오매(烏梅)

기원: 장미과(薔薇科: Rosaceae)의 식물인 매(梅=매실나무: Prunus mume (Sieb.) S. et Z.)의 미성숙(未成熟) 과실(果實)이다.

형태: 낙엽교목으로 가지 끝은 뾰족하여 가시 모양이다. 잎은 어긋나고 활난형(闊卵形)인데 어릴때에는 양면에 털이 있다가 나중에 뒷면 잎맥 위에만 유모(柔毛)가 있으며, 탁엽(托葉)은 일찍 떨어진다. 꽃은 1-2송가 족생(簇生)하고 잎보다 먼저 피며, 꽃받침잎과 꽃잎 모두 5장이고 꽃잎은 백색(白色)이거나 담홍색(淡紅色)이며, 수술은 여러개이다. 핵과(核果)는 구형(球形)이다.



분포: 중국 전역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5월에 과실(果實)이 익지 않았을 때 따서 연기가 없는 불에 홍배(烘焙)하여 60% 정도 말리는데 살살 뒤집어 고루 건조시킨다. 그 다음 뚜껑을 덮고 2-3일 열을 가하여 색이 흑색(黑色)으로 변하게 한다.

성미: 맛은 시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살충(殺蟲), 생진지갈(生津止渴).

주치: 폐허구해(肺虛久咳), 구사(久瀉), 담도회충증(膽道蛔蟲症).

용량: 6-12g.

참고문헌: 중초약학(中草藥學), 중권, 414면.]

매실 엑기스의 위대한 효력에 대해서 일본의 민간요법
<아까혼>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매실 엑기스의 위대한 효력

매실 엑기스로부터 강력한 항균물질 발견
일본 홍전대학 세균학 연구실에서는 이 매실 엑기스에 대하여 3년 동안이나 연구한 나머지 마침내 항균성 물질의 적출에 성공하고, 이것을 콜레라균, 적리균, 포도상규균, 대장균 등에 시험해 보았다. 이 결과 앞에서 말한 모든 균은 이내 사멸되고 말았으며, 이것을 또 다른 동물에 주사를 해 보아도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음이 판명되었다.

즉 이 매실엑기스는 다른 항생물질과 같이 세균의 발육을 막을 뿐만 아니라, 세균 그 자체를 죽이는 강력한 힘이 있다는 것이 발견된 것이다. 그런데 이 매실엑기스에 다른 물질이 섞여 있을 때는 효력을 나타내지 않으며, 또 복용하는 분량이 적을 때도 효력이 없다. 이 매실엑기스로 폐병의 고열이 내리거나 무좀 또는 버짐 등에도 이상할 정도의 효력이 나타난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

위대한 효력이 있는 매실 엑기스의 체험
이 매실 엑기스는 가정상비약으로서 꼭 갖추어 둘 필요가 있는 약이며, 이것으로 생명을 구제한 사실이 많이 있다. 다음은
<아까혼>의 저자가 히로시마방송국에서 라디오 방송을 한 요지이다.  

병균이 창자안에서 발육하는 까닭
모든 세균은 알칼리성인 곳에서만 생존할 수 있으며, 산성이 용액에 닿으면 사멸하게 된다. 이것은 세균학의 정칙에 속하는 이론이며, 세균을 인공적으로 배양할 때 그 배양기에는 모두 다 알칼리성으로 해 놓고 있다. 그런데 인간의 창자 안의 액체는 약한 알칼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고 있으며, 어떤 학자의 설명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에 있어서도 대변 속에는 20여종의 세균이 살고 있다고 한다.

이들의 세균은 평소 건강할 때는 아무런 해를 끼치지 않고 있으나, 창자가 약해서 소화불량으로 정상적인 발효가 되지 않을 때는 이 세균에 의해 설사가 일어나거나 장염을 일으키거나 한다. 또는 분해독소가 생겨 자가중독을 일으키거나 두드러기가 생기거나 하여 여러 가지 병을 일으키게 된다.

그런데 이들의 병균은 항상 창자에 있었던 것이어서 별다른 큰 탈이 없겠지만 만일 여기에 장티푸스, 콜레라, 적리등과 같은 병균이 침입할 때는 심한 피해를 당하게 될 것은 뻔한 노릇이다.

매실 엑기스가 특효를 나타내는 까닦
창자의 액체가 산성으로 되면 세균이 모두 다 죽게 되는 것은 사실인데, 매실이나 귤 등의 산성식품을 먹고서는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된다. 까닭은 이 정도의 산성식품은 긴 창자를 지날 때 센 알칼리성에 중화가 되어 구실을 나타재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맥실엑기스는 푸른 매실의 즙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매우 센 산성식품이어서, 적당한 양을 복용할 때는 창자 안이 모두 산성화하여 세균이 사멸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매실엑기스는 어떤 중환자에게나 또는 다량 복용해도 아무런 해가 없다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매실 엑기스는 세균의 이상발효로부터 생기는 창자 안의 분해독을 지우는 힘도 센 것이다. 그 증거로는 역리와 같이 피마자기름으로 그 독을 배설시켜야만 구제되는 병에 있어서도, 이 매실엑기스를 다량 복용하면 대개는 낫게 된다.

장티푸스나 역리는 매실엑기스로 낫게 된다.
장티푸스나 역리에서 첫날에는 의사도 무슨 병인가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럴 때는 피마자기름으로 설사를 시킨 다음 매실엑기스를 복용하면 그대로 예방이 되거나 낫게 되는 수도 있다. 이러한 가정의 조기간호를 실시한 다음에 의사에게 가면 더욱 안전하게 된다. 그리고 적기에 있어서는 피마자기름을 복용한 다음 이내 이질풀을 먹으면 완전히 예방되고 또 이 매실엑기스를 복용해도 좋은 효과를 얻게 된다.

역리, 장염, 급성장카타르
역리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알지 못하고 있으며, 창자 안에 생긴 독소가 핏속에 흡수되면 병이 심해진다고 한다. 그런데 이것도 확실한 것이 아니고 일정한 진단법도 없기 때문에 임상에서 조금 심한 것이 역리이고 조금 가벼운 것이 장염이라고 할 정도이다. 이 병은 경중을 불문하고 재빨리 피마자기름과 매실엑기스를 복용하면 구제된다.  그리고 매실엑기스가 없을 때는 피마자기름만이라도 복용하는 것이 좋다.

이 피마자기름은 창자 안의 독소를 배설하고 또 매실엑기스는 이 독소를 없애는 구실을 하는 것이다. 하여간 어린이에 있어서 열이 있을 때는 아직 무슨 병인가를 모르기 때문에 초기에 파마자기름을 복용하여 설사를 시키면 중한 병으로 발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급성 위장카타르에서도 이 피마자기름과 매실엑기스를 1~2회 복용하고서 효력을 보는 경우가 많다.

소화불량증
어린이에 있어서 젖을 뗄 때 단단한 것을 조금 먹으면 이내 설사를 하거나 점액이 나거나 푸른 똥을 누거나 하는데, 이때 초결명과 이질풀을 복용하면 좋아진다. 그러나 이을 중지할 때는 다시 설사하게 되므로 이때 매실엑기스를 팥알 1 개 정도씩 하루에 3 회 3 일 동안 복용하면 깨끗이 낫게 된다.

식이성자가중독
얼굴색깔이 연중 나쁘고, 식중독을 일으키는 일이 많으며 2~3개월마다 식이성의 중독을 일으켜 매우 쇠약해지는 어린이가 많다. 또 때때로 두드러기가 생겨 매우 가볍게 되는데, 이때 매실엑기스를 복용시킨 다음 결명자와 이질풀을 2시간마다 복용시키고, 건강 마찰을 하루에 2회씩 실시하는 한편 일광욕을 열심히 하면 이 난치의 병이 근치된다.

식중독

식중독은 피마자기름으로 설사를 시키면 되고, 매실엑기스를 다량 복용하면 복통도 중지가 되고 뒤끝이 좋아진다. 어떤 중독에서도 그 독소를 지우는 효력이 있으므로 이내 복용시켜도 좋다. 그리고 독충에 쏘였을 때 이것을 바르면 독기가 없어진다.

만성장카타르와 그 외

어떠한 약을 복용해도 설사가 그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는 약을 복용하고 있을 때는 멈추었다가 약을 중지하면 다시 설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대 이 매실엑기스를 복용하면 신기할 정도로 근치된다. 그리고 창자 안의 병균을 죽이고, 창자가 활동하여 위에 충동을 주기 때문에 위하수나 아토니(
수축성 기관의 느즈러짐이나 무기력), 위확장 등에도 어느 정도 효력을 나타낸다. 하여간 뱃병에는 거의 다 듣게 되므로 위장약으로서는 만능에 가까울 정도이다.

간디스토마 완쾌

간디스토마를 죽이는 약은 아직 발명되지 않고 있으며, 벌레가 7~8년 만에 자연적으로 죽게 될 날을 기다리고서 몸을 지탱해 나가도록 힘을 써야 한다. 그 동안 설사나 복통이 생기면 위험하게 되는데, 이때 매실엑기스를 복용하면 원기가 회복되어 위험을 면하게 된다.

폐결핵

페결핵 초기에 매실엑기스를 복용하면 식욕이 생기고 열이 내리게 된다. 이것은 창자 안의 병균을 죽여 소화흡수를 돕고, 또 창자 안에 발생하는 분해살물의 독소를 지우는 힘이 세므로 혈액 성분이 좋아지기 때문인 것이다.

열내림작용

어떠한 병에 있어서도 초기에 피마자기름을 복용한 다음 30분마다 이 매실엑기스를 복용하면 빠를 때는 열이 내린 후 2~3시간만에 돌연 열이 내리게 된다. 천천히 열이 내리는 경우도 있고 하루 뒤부터 열이 내리기도 한다. 그리고 피마자 기름이 없을 때는 우선 매실엑기스를 복용한 다음 피마자기름을 복용하면 독소가 없어지고, 다시 피마자기름을 먹으면 더욱 좋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콜레라가 유행할 때 매실엑기스의 체험

콜레라에 걸리면 맹렬한 설사 때문에 심한 탈수증에 걸리게 된다. 그런데 콜레라가 유행할 시기에 매실엑기스를 복용하면 창자 안에 센 산성방어층이 형성되므로 침해되지 않는다. 요컨대 이 매실엑기스는 창자 안의 세균을 죽이고 또 독소를 해소시키므로 이와 같은 특효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이 매실엑기스에는 오늘날의 과학으로서도 알아낼 수 없는 성분이 있는 것인데, 대변 속의 독소 때문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신진대사병에도 특효를 나타낸다.

매실엑기스의 사용량
급성병일 때는 5 시간마다 3~4개 정도 계속 복용하고 3 일째부터 하루에 3회 복용하면 특효를 나타낼 것이 틀림없다. 장티푸스일 때는 5일 이내, 역리는 발열 2 시간 이내에 복용하고 관장시키면 구제된다.

설사를 중지시키기 위해서 매실엑기스의 사용량은 어른의 1 회 용량은 대개 콩알갱이 2개 정도인 약 2그램이고, 어린이는 이에 준하여 감량하면 된다. 어린이에 있어서 분량을 조금 많이 주어도 해가 되지 않으나 아래의 어린이에게 약을 주는 분량표를 이용하면 안전하다.

어린이에게 주는 약의 분량표
1, 만 1살까지: 어른의 10~20분의 1
2, 만 2살까지: 어른의 8~10분의 1
3, 만 3살까지: 어른의 6~8분의 1
4, 만 4살까지: 어른의 5~6분의 1
5, 만 5~7살까지: 어른의 4~5분의 1
6, 만 8~10살까지: 어른의 3~4분의 1
7, 만 11~14살까지: 어른의 2~3분의 1
8, 만 15~17살까지: 어른의 2~3분의 1
9, 만 18살 이상: 어른과 같은 양

위의 양은 대개 표준인 것이므로 체질의 강약에 따라 적당한 양으로 해서 복용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의약이나 민간약이나 대개 같은 비율로 하면 되나, 민간약초의 분량은 조금 많이 해도 상관없다.

매육 엑기스를 어른은 1회에 0.7~2그램(콩알 2개 정도)을 오브라이드(가루약을 싸서 먹는 찹쌀로 만든 종이)에 싸서 먹는다. 근래에 매실엑기스를 중요시하여 현대의 의사들도 많은 연구를 하게 되었다. 역리나 장염, 티푸스 등의 초기에는 매우 좋은 효력을 나타내며, 성홍열, 단독열 등에서는 열이 내리고, 잠자는 병이 낫게 되고, 폐결핵, 늑막염 등에서는 미열이 내리는 한편 기침이 멈추게 된다.  또 이것을 계속 복용하면 창자 안의 이상발효가 그치며, 식욕이 생기고 소화흡수가 잘 된다. 완선(음부에 생기는 습진), 전풍(어루러기), 무좀 등의 외용에도 효력이 있다.
]

매실의 효능에 대해서 중의사 한성호의
<식품비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매실

매실은 맛이 시다. 매실을 많이 먹으면 치근을 상한다. 그러나 약용으로는 무방하다. 만약 매실을 먹고 이를 상할 때는 호도를 까서 먹으면 낫는다.

불에 그을린 매실을 오매라고 한다. 꿀에 담그거나 설탕에 절이면 오래 보관할 수 있고 술에 담그면 매실주가 되어 풍습마비, 반신불수, 신경통, 토사 등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이질병을 치료하고 상용하면 역병이 예방된다.
] 

[매실 엑기스 및 매실주 만드는법]


1, <식품비방>:
"매실엑기스 만드는 법: 푸르고도 단단한 매실을 도자기에 넣고 으깨어 이것을 기름짜듯이 짠 다음 또 이 즙을 스텐냄비에 넣고 끓여서 조리면 다갈색으로 된다. 양이 줄어짐에 따라 액체가 진득해지고 거품이 일 게 되는데, 이것을 다른 그릇에 옮겨 뚜껑을 덮어 두면 절대로 부패되지 않는다. 또는
매실을 믹서기에 갈아 즙을 짠후 이 즙을 햇볕에 놓고 수분을 증발 시키면 바닥에 암갈색의 농축액이 되는데 이것을 보관해도 된다.

흑갈색으로서 진득한 정도가 많은 것이 상품이 되며, 익어서 연하게 된 매실을 이용하여 만든 것은 진득한 정도가 약하고도 적갈색으로 되며, 이것은 효력이 없으므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덜익은 푸른 매실을 써야 한다."

2, <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면>: "매실엑기스 만드는법: "재료: 푸른 매실 5kg, 따뜻한 물+설탕, 조금씩

1, 푸른 매실 5kg을 흐르는 물에 씻어 물기를 뺀다.
2, 매실 껍질을 벗기고 과육 부분을 강판이나 믹서에 갈아 거즈에 꼭 짠다.
3, 짠 즙을 도자기 냄비에 넣고 약한 불에서 걸쭉해질 때까지 2시간 정도 푹 끓인다.
4, 강판에 갈기가 힘들면 씨를 발라내고 믹서에 갈도록 한다. 도자기 냄비를 사용한다.
5, 조금 쓰고 신맛이 난다. 1회에 1/2큰술 정도를 따뜻한 물에 풀어 마시는데 마시기 어려울 때는 설탕을 넣어도 된다. 하지만 설탕을 넣지 않아도 먹을 만하다."

3, <일본 약용식물대사전>:
"매실엑기스 만드는법: "준비 재료: 덜익은 푸른열매

1, 덜익은 푸른 열매를 물에 씻어서 행주로 물기를 닦는다.
2, 나무 망치 등으로 두드려서 열매를 가르고 씨를 빼낸다.
3, 강판이나 믹서에 갈아서 거즈 등으로 즙을 짠다.
4, 도자기나 유리 등의 비금속 용기에 넣어서 약한 불로 끓인다. 가끔 잘 저어주고 떫은맛을 내는 누런 액을 완전히 걷어낸다.
5, 물엿 상태가 되면 완성된 것이다. 차게 식혀서 유리용기 등에 저장한다."

4, <일본민간요법 아까혼>:
"
매실주를 만드는 법: 상처가 없는 푸르고 단단한 매실을 골라 하룻밤 물에 담가 두었다가 건져 내어 물기를 뺀 다음 30도 넘는 소주나 과실주, 고량주에 담아 놓는다. 약 2개월이 지난 다음에는 먹어도 좋으며, 복통, 설사 등에는 같은 양의 물을 타서 먹는다. 또 모든 부은 곳이나 류머티스, 신경통 등에는 이것으로 냉습포를 하면 잘 듣는다."

매화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미성숙한 열매>


1, 기침이 만성이 되어 멎지 않는 경우

오매육(烏梅肉: 약간 볶은 것), 앵속각(
罌粟殼: 근막을 제거하고 꿀로 볶은 것) 같은 양을 가루로 만들어 매회 2돈을 자기 전에 밀탕(蜜湯)으로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2, 설사가 만성이 되어 멎지 않고 장구(腸
: 혈농이 섞인 점액변)가 나오는 경우
오매육(烏梅肉) 20개를 물 한컵으로 6할로 달이고 2회에 나누어 식전에 마신다. [주후비급방(
肘後備急方)]

3, 유행성 설사로 식사를 못하는 경우

황련(黃連) 1되, 오매(烏梅: 구워서 말린 것) 20개를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바둑 알 크기의 납과 꿀 1되와 합쳐서 약한 불에 쬐어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 2알, 1일에 3회 복용한다. [보결주후방(補缺
肘後方) 즉(卽)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오매환(烏梅丸)]

4, 설사와 갈증이 있는 경우

심을 버린 맥문동(麥門冬) 3냥, 큰 오매(烏梅) 2개를 물을 1되(큰 되)로 절반 남짓 남을 때까지 끓이고 찌꺼기를 짜서 제거하고 식힌다. 조금씩 넘기고 나은 후에도 입에 물고 있는다. [맹선(孟詵), 필효방(必效方)]

5, 혈농이 섞인 설사

오매(烏梅) 1냥의 씨를 제거하고 구워서 가루로 만든다. 매번 2돈을 미음과 함께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6, 혈변이 멎지 않는 경우

오매(烏梅: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운 것) 3냥을 가루로 내고 양질의 식초와 쌀 가루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매회 70알을 빈속에 미음과 함께 복용한다. [제생방(濟生方

7, 소변 혈뇨

오매(烏梅)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구워서 가루로 만든 후 식초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매회 40알을 술로 복용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8, 부인 혈붕(血崩)

오매(烏梅)를 구워서 재를 만들고 가루를 내어 오매탕(烏梅湯)으로 복용한다. [부인양방(婦人良方)]

9, 소갈증, 가슴이 답답한 증세

오매육(烏梅肉: 약간 볶은 것) 2냥을 가루로 만든다. 매회 2돈에 물 2컵을 가하여 한컵으로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두시(豆
) 200알을 가하여 다시 반컵이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취침 시에 복용한다. [간요제중방(簡要濟衆方)]

10, 상한(傷寒) 4~5일째에 두통이 있고 고열이 나며 흉중이 답답하고 통증이 있는 경우

오매(烏梅) 14개, 소금 5홉을 물 1되로 절반이 될 때까지 달인다. 이것을 먹은 후 토해낸다. [매사집험방(
梅師集驗方)]

11, 상한회궐(傷寒蛔厥) 및 만성 설사와 만성 이질

오매(烏梅) 300개, 세신(細辛) 6냥, 건강(乾薑) 10냥, 황련(黃連) 16냥, 당귀(當歸) 4냥, 부자(附子: 센불로 굽고 껍질을 제거한 것) 6냥, 촉초(蜀椒: 출한:出汗) 4냥, 계지(桂枝: 껍질을 벗긴 것) 6냥, 인삼 6냥, 황백(黃柏) 6냥을 각각 찧고 체로 친 후 합친다. 오매(烏梅)는 식초에 하룻밤 담그고 씨를 제거하여 쌀 5말과 함께 찐다. 쌀이 익으면 잘 찧고 기타 약과 잘 섞는다. 절구에 넣고 꿀을 가하여 절구공이로 2000번 가량 찧고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식후에 10알, 1일에 3회 복용한다. 20알까지 점차 증가하여도 된다. 날 것, 찬 것, 점액성인 것, 구린 것 등을 금지한다. [상한론(傷寒論), 오매환(烏梅
)]

12, 회충이 입, 코에 올라오는 경우

오매육(烏梅肉)을 입에 물거나 탕액을 복용한다. [일용본초(日用本草)]

13, 상한(傷寒)으로 아랫 부분에 닉창(
img1.jpg瘡)이 생기는 경우
오매육(烏梅肉) 2냥을 볶아서 말리고 곱게 찧어 체로 쳐서 가루로 만든다. 꿀로 섞어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식전마다 석류근피탕(石榴根皮湯)으로 10알을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4, 만성 학질로 인한 쇠약

오매(烏梅) 14개, 두시(豆
) 2홉, 도지(桃枝), 유지(柳枝) 각 한줌, 감초(甘草) 3치, 생강(生薑) 1조각을 동변(童便) 2되로 달인다. 7홉으로 되면 온복한다. [본초도경(本草圖經)]

15, 창육(瘡肉)이 나온 경우

오매(烏梅)를 구워서 재로 만들고 절구공이로 찧은 가루를 바르면 악육이 없어진다. [
유연자귀유방(劉涓子鬼遺方)]

16,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오매(烏梅) 1냥, 쌍화(雙花) 2냥, 웅황(雄黃) 4돈을 함께 곱게 가루로 만들고 꿀로 이겨서 한알 당 1돈의 환제를 만든다. 1일 3회, 매회 1알을 입에 물고 녹이면서 천천히 넘긴다. [
요녕(遼寧), 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中草藥新醫療法資料選編)]

17, 화농성 지두염

오매육(烏梅肉)에 적량의 식초를 가해서 간 것 또는 오매(烏梅)와 바셀린을 2:1의 비율로 해서 오매(烏梅) 연고를 만들고 1일 1회 바른다. 이것은 동맥염에 의한 손가락, 발까락의 궤양에도 효과가 있다. [초의초약간편험방휘편(
草醫草藥簡便驗方彙編)]

18, 소아 두창이 오래 낫지 않는 경우

오매육(烏梅肉)을 구워서 재로 만들고 부드럽게 갈아 생유(生油)와 함께 섞어 바른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9, 세균성 이질
(임상보고)
오매(烏梅) 18g을 눌러 부수어 향부(香附) 12g과 배합하고 물 150ml를 가하여 약한 불에 달인다. 약액이 50ml로 될 때까지 농축되면 여과하여 아침저녁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치료한 50례 중 48례가 치유되었다. 약을 복용한 후 대변이 정상으로 될 때까지 최단 기간은 1일, 최장 기간은 5일이었다. 발열, 오심 구토, 복통, 이급후증 등의 증상은 모두 1~3일 이내에 소실되었다. 복용 기간은 최단이 2일, 최장은 6일이었다. 치료 중 독성 반응은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치료 효과는 비교적 좋았다. 개별적 환자에 대해서 약의 용량을 증가<오매(烏梅), 향부(香附) 각 1냥을> 시키면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중약대사전]

20, 조충병(
釣蟲病)의 치료(임상보고)
오매(烏梅) 0.5~1냥에 물 500ml를 가하고 120ml로 될 때까지 달여서 아침 빈속에 1회 마신다. 2번째는 탕제를 점심 전에 1회 복용한다. 또는 오매(烏梅)의 씨를 제거하고 약한 불에 굽고 가루로 만들어 물로 환제를 만든다. 이것을 1일 3회, 식전에 1~2돈 복용한다. 치료한 20례에서 복용 일 수는 최소 5일, 최대 23일이었다. 대변 검사 결과 14례가 구충란 음성이었고 6례가 양성이었다. 임상 관찰에 의하면 오매(烏梅)의 탕제는 환제보다 효과가 높았다.

21, 만성 습진의 치료
(임상보고)
오매(烏梅) 5근을 달이고 씨를 제거하여 약 1근의 고약으로 농축한다. 매회 반 숟가락(약 3돈)을 1일 3회 복용한다. 12례를 치료하였고 복용일 수는 1~37일로 같지 않았지만 5례가 기본적으로 치유되었고 4례는 현저히 호전되었다. [중약대사전]

22, 기타 작용
(임상보고)
오매(烏梅)는 담낭에 대하여 수축 작용이 있어 담즙의 배출을 촉진한다. 오매(烏梅)의 복방은 담도(膽道) 회충증의 치료에 쓸 수 있다. [중약대사전]

<뿌리>

23, 담낭염

여러 해 묵은 매화나무 뿌리 74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1제(劑)씩 복용한다. [단방험방조사자료선편(單方驗方調査資料選編)]

24, 나력

신선한 매근(梅根) 37~74g을 술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잎>

25, 월경이 멎지 않을 때

약한 불에 말린 매엽(梅葉)과 종려피회(棕櫚皮灰)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1회 7.4g을 술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꽃망울>

26, 인후 부위 폐색감

연악매(緣
梅) 2돈, 귤병(橘餠) 2개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소의(蘇醫), 중초약수책(中草藥手冊)]

27, 나력(
瘰癧)
계란에 구멍을 내어 막 피어나려 하는 연악매(緣
梅)를 7개 계란 속에 넣고 구멍을 봉한 다음 밥 위에 놓고 찐다. 그런 다음 매화(梅花)를 제거하고 계란만 복용한다. 1일 1개씩 7일간 복용한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28, 심한 두진(痘疹)의 예방

매년 12월의 새벽에 이슬이 낀 연악매(緣
梅)의 꽃봉오리 100개를 따서 백당(白糖)을 가하여 찧어서 작은 떡을 만들어 복용한다. [왕점계(王玷桂), 불약양방(不藥良方)]

29, 이미 발진하였거나 아직 발진하지 않고 피부 속에 잠복하여 있는 천연두 및 마증반증(麻症斑症: 홍역의 발진)

매화(梅花) 1냥 도인(桃仁), 진사(辰砂), 감초(甘草) 각 2돈, 사과(絲瓜) 5돈을 가루내어 1회에 5푼씩 삼소탕(參蘇湯)으로 복용한다. [적수현주(赤水玄珠)]

<소금에 절인 미성숙한 열매>

30, 후비유아(喉痺乳蛾)

① 청매(靑梅) 20개를 소금 20냥에 5일간 묻어 두었다가 매즙(梅汁)에 명반(明礬) 3냥을 넣는다. 길경(桔梗), 백지(白芷), 방풍(防風) 각 2냥, 저아조각(猪牙
) 30개를 미세한 분말로 하여, 매실즙(梅實汁)과 함께 병에 담는다. 1회에 1개를 타액으로 삼킨다. 중풍담궐(中風痰厥), 아관불개(牙關不開)에는 이것으로 문지르면 좋다. [본초강목(本草綱目), 수매환(水梅丸)]

② 백매(白梅)로 신선한 명반 가루를 싸서 환을 만들어 입에 머금거나 삼킨다. [성제총록(聖濟總錄)]

31, 곽란토리(
霍亂吐痢)
염매(鹽梅)를 달여서 조금씩 마신다. [
여선방(如宣方)]

32, 매핵격기(梅核隔氣)

반청반황(半靑半黃)인 매실(梅實) 각 1개에 소금 1냥을 써서 담그었다가 햇볕에 말린다. 수분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 청철(靑鐵) 3개에 매실(梅實) 2개를 끼워 넣고 삼 즉 마(痲)끈으로 묶어서 도기에 넣고 지하에 매장하여 100일 만에 꺼낸다. 1회 1개 입에 머금고 즙이 목에 들어가면 매핵기(梅核氣)가 소실된다. [
공씨경험방(龔氏經驗方)]

33, 궤양이 되었거나 되어 있지 않은 옹저

염백매(鹽白梅)를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우고 가루낸다. 경분(輕紛)을 소량 넣고 참기름으로 조합하여 주위에 바른다. [이간방(易簡方)]

34, 금창

건매(乾梅)를 숯이 되게 태우고 찧어서 가루내어 하룻밤 바른다. 또한 타박상도 치료한다. [천금방(千金方)]

<종자>


35, 여성의 하초에 생기는 36가지 질병을 치료하고 피임케 하는 처방

맥핵인(梅核仁), 신이(辛夷) 각 1되, 갈상정장(葛上亭長) 7개, 택란자(澤蘭子) 5홉, 수소(
疏) 74g, 고본(藁本) 37g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하여 콩알 만한 환을 만든다. 한 번에 2알씩 하루에 3번 식전에 복용한다. 복용량을 아주 조금씩 늘린다. [천금방(千金方), 승택환(承澤丸)]

36,
대지(代指: 손발톱밑이 곪는 병, 생인손)
매핵중인(梅核中仁)을 잘 찧고 순수한 식초에 개어 바른다. [
주후방(肘後方)]

<식품비방에 근거한 처방>


37, 적 백이질, 설사, 또는 갈증

오매를 끓여 차 마시듯 마시면 된다. [식품비방]

38, 적 백이질 복통

씨를 뺀 오매 3.75그램을 구워 가루를 만들고 매번 0.8그램씩 하루 세 번 밥물로 복용하면 된다. [식품비방]

39, 소변 하혈, 대변 하혈 또는 술로 인한 이질이나 오래 된 이질

오매 약 12그램을 잿가루가 되도록 태워 이 가루를 식초와 함께 풀처럼 디게 끓여 녹두알만하게 빚어 놀고 매일 3 차례 식전마다 밥풀과 같이 복용하면 된다. 복용량은 40알 정도면 된다. [식품비방]

40, 대변이 굳어 불편 할 때

오매 10 개를 쪄서 씨를 빼고 대추 크기만하게 빚어 항문에 넣으면 얼마 후 통하게 된다. 통하지 않으면 다시 바꾸면 된다. [식품비방]

41, 구토, 설사

소금에 절인 매실을 삶아 천천히 마시면 된다. [식품비방]

42, 배가 부어 아플 때나 속이 답답할 때

오매 14개를 삶아 그 물을 마시면 된다. [식품비방]

43, 회충

오매를 삶아 자주 마시면 된다. [식품비방]

44, 타박상으로 인해 출혈할 때

오매를 태워 재를 만들어 바르면 된다. [식품비방]

45, 개에 물렸을 때

오매를 가루로 만들어 7.5그램과 술을 함께 3일간 복용하면 독을 뺄 수 있다. [식품비방]

46, 소아 두창

오매를 태워 재를 만들어 바르면 된다. 머리에 진물이 있으면 재를 그대로 바르고 진물이 없으면 참기름에 개어 바르면 된다. [식품비방]

47, 유황독 제거

씨를 뺀 오매 3.75그램, 설탕 2그램을 함께 끓여 마시면 된다. 또 물고기 중독도 없애준다. [식품비방]

48, 만성 이질, 아메바성 대장염 및 토사통(吐瀉痛)

마른 매실잎을 끓여 마시면 된다.  설탕을 넣어도 좋다. [식품비방]

49, 월경이나 하혈이 멎지 않을 때

매실잎을 불에 구워 종려나무 껍질과 같은 양으로 가루를 만들어 따끈한 술로 7.5그램씩 복용하면 된다. 술을 못 하는 사람은 약간의 물을 타서 매일 3 차례 식간마다 복용하면 된다. [식품비방]

50, 해수, 각혈

오매 7 개를 새 기왓장에 놓고 구워 말리워서 가루를 만들어 정종술로 복용하면 된다. 매일 3 차례 식후마다 한 번씩 복용하면 매우 효력이 있다. [식품비방]

51, 강장강화와 눈을 맑게 하는 데

껍질 벗긴 매실 씨를 노랗게 볶아 가루를 만들어 매일 아침 저녁 온수로 복용하면 된다. 오래 계속하면 장이 잘 통하고 변에 이로우며 간이 튼튼하여지고 눈이 밝아진다. [식품비방]

52, 경수가 찔끔찔끔 나서 멎지 않는 것과 하혈이 멎지 않는 것

매화나무 잎사귀를 구워 말려서 종려껍질과 같은 양을 가루로 만들어 매일 2 차례 식간 마다 따끈한 술로 7.5그램씩 복용하면 된다. 술을 못 하는 사람은 온수에 술을 타서 복용한다. 종려가 없을 때에는 매화나무 잎사귀만 가지고도 되나 효력에 차이가 난다. [식품비방]

53, 아기들에게 목욕을 시키면 창이 생기지 않는 탕

매실나무 뿌리와 오얏나무뿌리 속껍질 그리고 복숭아나무뿌리 속껍질을 각각 같은 분량으로 삶아 이 탕에 목욕하면 피부병이 나지 않는다. 더욱이 여름에 자주 목욕하면 이롭다. [식품비방]

54, 매화차

매화차는 얼굴색을 광택나게 하고 정신을 새롭게 해준다. 만드는 방법은 즉 갓 핀 매화와 꿀을 1대 2의 비율로 섞어 담고 이 그릇을 공기가 통하지 못하도록 밀봉하여 2 개월간 두었다가 매화 3 개씩을 끓인 물에 불려서 차로 마시면 좋다. 식후마다 마셔야 한다. [식품비방]

매실을 많이 먹으면 치아와 근육을 상한다.  그러나 약으로 쓰는 데는 유익하다. 만약 매실을 많이 먹고 이가 몹시 아플 때에는 호도를 먹으면 아픈 것이 곧 풀린다. 매실을 소금으로 절여서 바짝 말린 것을 오매(烏梅)라고 한다. 또한 매실은 꿀에 재워 오래 보관할 수 있으며 술에 담그면 오매주(烏梅酒)라고 하여 풍습마비증과 반신불수 신경통을 치료하고 토사를 멎게 하며 모든 이질증을 치료한다. 자주 마시면 방역이 된다.  가정 상비에 좋은 약이다. [식품비방]

55, 이질

오매 마른 것 3 개, 설탕 큰 숟가락으로 하나를 물 한 사발에 달여 반이 되면 식전에 한 번으로 복용한다. 이와 같이 매일 3 차례 식전마다 1 회씩 복용하면 된다. [식품비방]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미성숙한 열매>


1, <왕호고(王好古)>:
"오매(烏梅)는 폐기(肺氣)를 수렴할 수 있다. 소조수(燥嗽)를 치료한다. 폐기(肺氣)를 수렴하려면 산(酸)을 급히 복용하면 된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오매(烏梅)와 백매(백매)가 주치(主治)하는 여러 가지 병은 모두 그 산(酸)에 의핼 수렴된다. 그러나 장중경(張仲景)이 회궐(蛔厥)을 치료하는 오매환(烏梅丸)과 충닉(蟲
img1.jpg)을 구제하는 처방에 그 것을 쓴 것은 벌레가 산미(酸味)를 만나면 바로 제거되어 증상이 치유되는 점을 이용한 것이므로 조금 다른 점이 있다. <의설(醫說)>의 기재에 의하면 '이전에 노공(魯公)이 백날 남짓 혈변성 설사를 하였으나 어의(御醫)는 치료하지 못하였다. 진씨(陳氏)가 소금물에 매육(梅肉) 1개를 넣고 갈아서 납차(臘茶)와 섞고 식초를 넣어 복용시켰는데 한 번에 나았다. 대승량장숙공(大丞梁莊肅公)도 역시 혈변성 설사를 앓았는데 여기에 오매(烏梅), 호황련(胡黃連), 조하토(下土) 등을 각각 가루로 만들고 차와 함께 복용하였을 때 역시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모두 혈(血)은 산(酸)을 얻으면 렴(斂)하고 한(寒)을 얻으면 지(止)하며 고(苦)를 얻으면 삽()하기 때문이다."

3,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매실은 곧 지금의 오매(烏梅)이며 제일 시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 말하기를 열(熱)이 기(氣)를 상하게 하여 사(邪)가 흉중에 침입하면 기(氣)가 역상승하여 답답하고 창만하게 되며 심중이 불안정하게 된다고 하였다. 오매(烏梅)는 맛이 시기 때문에 부열(浮熱)을 수렴할 수 있고 흡기귀원(吸氣歸元)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매(烏梅)는 위로 치밀어 오르는 기를 내리고 열을 제거하고 번만(煩滿)하며 마음을 가라앉힌다. 설사하는 것은 대장이 허탈하기 때문이고 침을 뱉기 좋아하고 입이 마르는 것은 허화(虛火)가 상염(上炎)하여 진액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산(酸)은 허화(虛火)를 수렴하고 진액을 생성하고 장의 허탈을 바로잡아 공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사를 치료할 수 있다. 오매(烏梅)는 지체통(肢體痛), 편고불인(偏枯不仁)을 치료한다. 습기가 경락에 스며들면 근맥은 느슨하게 되거나 동통이나 비(痺)가 생긴다. 간맥(肝脈)은 근(筋)을 다스리고 산(酸)은 간(肝)에 들어가서 근(筋)을 보양한다. 간(肝)이 양(養)해지면 골(骨)은 정(正)해지고 근(筋)은 유연해지며 관절은 통리(通利)하게 되어 상술한 병증이 제거된다."

4, <본초재신(本草再新)>:
"오매(烏梅)는 설사를 멎게 하고 학질을 근절시키며 효과가 빠르다."

5, <본초구진(本草求眞)>:
"오매(烏梅)는 맛은 시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목과(木瓜)와 비슷하지만 폐(肺)에 들어가면 수렴하고 장(腸)에 들어가면 기생충을 구제하며 사기(邪肌), 악육(惡肉), 악지(惡
)에 들어가면 이를 제거하고 가시가 살 속에 들어간 증상에 쓰면 뽑아내기 때문에 만성적인 설사, 기(氣)의 역상에 의한 답답함과 팽만감, 반위 골증(骨蒸: 구토, 조열:潮熱) 등) 등은 모두 오매(烏梅)의 수삽(收)에 의하지 않는 것이 없으므로 하탈상역(下脫上逆)하는 병증을 모두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옹독(癰毒)에 부(敷)할 수 있고 중풍의 아관긴폐(牙關緊閉)를 개(開)할 수 있으며 또한 회충이 위로 공격하여 일으키는 현훈(眩暈) 졸도를 치료할 수 있고 구갈을 멎게 할 수 있다. 이것이 산삽수렴(酸收斂)의 효과가 아니겠는가. 이런 효능은 목과(木瓜)가 전적으로 비위근골(脾胃筋骨)의 습열사(濕熱邪)를 소설(疏泄)하고 비폐(脾肺)가 소모하고 산(散)한 원기(元氣)를 수렴하는 것과는 다르다. 또 기타의 병증에 대해서는 그 효력이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간(肝)은 산(酸)을 좋아하고 수렴을 꺼리므로 산미(酸味)를 오래 복용하면 역시 생기를 벌(伐)한다. 또한 여러 가지 병증의 초기에는 오매(烏梅)를 금한다."

[비고(備考)]


<미성숙한 열매>

1, <본초품휘정요(本草品彙精要)>:
"오매(烏梅)는 나무가 살구나무와 비슷하며 가지와 줄기는 굳세고 무르다. 초봄에 흰꽃이 피고 아주 말끔한 향기가 난다. 꽃이 떨어질 때 잎이 나오기 시작한다. 2월에 콩 같은 열매가 달리며 맛은 시고 맛있으며 사람들은 모두 잘 먹는다. 5월에 살구 크기로 익은 것을 따고 백초(百草)의 연기로 쪄서 검게된 것이 오매(烏梅)이며 소금에 절인 후 볕에 쬐어 건조한 것이 백매(白梅)이다."

2, <수식거움식보(隨息居飮食譜)>:
"오매(烏梅)는 날 것일 때에는 소금에 절여 먹으면 좋고 담(膽)을 덥히고 진액을 생성하기 때문에 임산부가 먹기에 좋다. 소만(小滿: 5월 하순) 전에 살찌고 부드러우며 쓴맛이 없는 것이 좋다. 많이 먹으면 치아가 상하고 담(痰)이 생기고 열(熱)이 나기 때문에 객담 해수, 감고(
疳臌), 비적(痞積), 외감미청(外感未淸), 초경 전 및 월경기, 산전, 산후, 사두(痧痘) 후에는 모두 금기이다."

<가지>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어떤 매경이든지 모두 쓸 수 있지만 꽃받침이 녹색인 것이 좋다. 무릇 매화에는 기조(氣條)가 있는데 새파랗고 그 가지에는 잎이 없고 오직 경(梗)만이 가지의 틈새를 낸다. 설생백(
薛生白)이 말한데 의하면 상하의 격기(膈氣)를 통하게 하는 작용이 있는 것은 이 기조(氣條)이지 경(梗)이 아니다. 잎이 붙어 있고 가지도 된 경(梗)을 약용으로 쓴다."

<꽃망울>

<백초경(百草經)>: "매화(梅花)에는 꽃잎이 적색, 백색, 녹색의 꽃받침이 있으며 겹잎, 홑잎으로 나뉘어 진다. 홑잎으로 녹색의 꽃받침이 있는 것이 약용으로서 우수한데, 꽃망울이 약효가 제일 우수하다."

지금까지 매실에 대한 자료를 종합해 볼 때 매화나무의 놀라운 성분의 위력이 놀랍기만 하다. 우리 민족도 오래전부터 매실을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여 왔다. 그것은 중국이나 일본도 마찬가지이다. 매실장아찌, 매실조청, 매실주, 매실즙, 매실차, 매실차조기장아찌등을 만들어 우리의 생활에서 대단히 실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매실은 완전히 익지 않은 상태를 풋매실 즉 청매라 하고, 온전히 익어 누런빛이 도는 것을 황매, 청매를 소금물에 담갔다가 볕에 말려 색이 바랜 것을 백매, 청매를 짚불에 그을려 검게 태운 것을 오매라고 부른다.  
매실주를 담글 때는 덜익은 청매를 깨끗이 씻고 물기를 밴다음, 유리용기에 담고 흑설탕이나 꿀을 매실의 2분의 1 또는 같은 분량으로 넣고 30도 넘는 소주를 재료양에 3배 정도 부운뒤 밀봉하여 차고 어두운 곳에 3개월 정도 지난뒤 소주잔으로 한잔씩 복용하면 된다.  

[매실조청 만드는 법]


"덜 익은 청매를 물로 깨끗이 씻고 물기를 닦은 뛰 씨를 발라내고, 매실살을 믹서에 갈거나 분마기에 넣어 곱게 으깬뒤 베헝겊으로 꼭짜서 즙을 받은뒤에 질그릇 또는 스텐냄비나 유리용기에 넣고 센불에 한번 끓인 후에 미지근한 불로 꾸준히 저으면서 오래도록 졸여서 조청처럼 끈기가 있으면 완성된 것이다." [일본민간요법 아까혼]

② "재료: 매실 20알

1, 덜익은 청매를 준비하여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물기를 닦은 뒤 씨를 발라낸다.
2, 씨를 발라낸 매실은 믹서에 갈거나 분마기에 넣어 곱게 으깬 다음 베보자기에 싸서 꼭짜 즙을 낸다.
3, 매실즙을 법랑이나 사기 재질의 냄비에 넣고 센불로 한번 끓인 뒤 약한 불에서 저으면서 오래도록 졸인다." [먹으면 치료가 되는 음식 672]

매실차조기장아찌를 만들려면 덜익은 매실 1킬로그램을 깨끗이 씻어 소금 400그램을 뿌려서 하루 정도 절인후에 체에 밭쳐 소금물을 빼내고 서늘한 곳에서 1주일 정도 말린뒤 잘 게 썬 차조기잎 200그램을 켜켜이 쌓은후 소금 800그램을 물1리터에 녹인후 함께 용기에 부어서 밀봉한뒤 서늘한 곳에 1개월 가량 숙성시킨뒤 꺼내어 먹으면 된다.

매실즙을 만드는 방법은 덜익은 청매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같은 양의 설탕과 함께 밀폐된 용기에 켜켜히 재워서 10일 이상 지난뒤 즙이 다 우러나오면 동동 뜨는 매실을 건져내고 즙만 걸러내어 용기에 담아 보관해 두었다가 물에 적당히 타서 마시면 맛있는 매실 음료수가 된다. 

매실은 현대인의 체질개선,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험이 있다. 갱년기장애에 매실 조청을 만들어 먹으면 좋다. 더위를 먹었을 때에는 매실차와 매실 장아찌를 먹으며, 식욕이 없을 때에도 반주로 매실차를 마시면 효험이 있다. 우리의 식생활은 인스턴트식품의 범람과 각종 식품 첨가물, 담배, 과음, 과식, 방부제, 농약, 다이옥신, 매연, 오염된물 등을 섭취함으로 알칼리성 체질에서 산성체질로 바뀌어 질병에 맥없이 무너지고 있다. 매실은 피를 맑게하고 체액을 깨끗하게 해준다. 피로회복, 간기능회복, 몸 안의 각종 독소에 대한 해독작용, 정장작용, 콜레스테롤을 억제하여 혈관의 질병을 치료 및 예방하는 효험이 있다.

매화에 얽힌 도자기, 지명, 시조, 노래 등이 많은데 몇가지만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매화를 그려넣은 조선시대 아름다운 도자기가 많은데 매화문을 그린 보물 제 659호로 지정된 '청화백자진사매수문각병'과 '청화백자매죽문병'이 있다. 전남 신안군 압해면에는 멀리서 보면 섬의 형상이 매화꽃이 피여 있는 것과 같다 하여 '매화도(梅花島)'라고 부른다. 매화도에는 높이가 238미터 되는 매화산이 있다. 또 하나는 강원도 원성군 소초면 학곡리와 횡성군 우천면 조원리 및 안흥면 강림리와의 사이에 위치한 높이 1,085미터 되는 매화산이 있다.  

매화꽃을 대상으로 지은 '매화사'가 고종때 안민영이 지은 8수의 연시조가 있다. 매화타령은 "매화야 옛 등걸에 봄철이 돌아온다. 춘설이 하 분분하니, 필지 말지도 하다마는, 북경사신역관들아 오색당사를 붙임을 하세. 그물 맺세, 그그그물 맺세, 오색당사로 그그그물 맺세, 그물 치세, 그그물 치세, 부벽루 하에 그물 치세, 그그물 치세......"로 시작하여, 매화꽃에 얹어 봄날의 사랑을 갈구하는 내용으로 작자 연대 미상으로 조선조 후기로 추측하고 있다. 또한가지는 경기민요의 '매화타령'이 있다. 후렴을 보면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디여아 사랑도 매화로다."라는 노래로 남녀의 서로 그리워하는 상사의 정을 노래하고 있다.      

모든 국민이 매실을 가정상비약으로 잘 이용만 한다면 무병장수하는데 큰 혜택을 줄 것이다. 매실은 분명히 조물주가 만들어 놓은 완전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매실 사진 감상: 1, 2, 3, 4, 5, 6, 7,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