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서나물 무엇인가?

아프리카 원산의 맛좋는 주홍서나물

 

 

 

 

 

 

 

 

긹긦긫긥?깓긎긏

Dsc06060

 

 

[<<주홍서나물의 잎, 꽃과 열매, 연한잎, 무침나물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붉은서나물의 어린잎, 자란잎, 녹황색의 꽃봉오리, 검붉은 보라색의 꽃봉오리, 검붉은 보라색의 줄기, 흰색의 깃털이 있는 둥근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건비, 소종, 소화불량, 부드러운 잎과 순은 나물용, 생으로나 데쳐서 무침, 된장국, 샐러드용, 비허부종을 다스리는 주홍서나물

주홍서나물은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주홍서나물의 학명은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 Moore>이다. 줄기는 높이 30~100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가는 털이 성글게 달린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장타원형으로 잎의 하반부는 결각상으로 우상으로 갈라지며 상반부는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위쪽의 잎은 양끝이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듬성듬성 톱니가 있다. 7~9월 줄기나 가지 끝에 머리 모양의 주황색 통상화가 총상화서를 이루며 아래를 향해 매달린다. 통상화는 긴 관상으로 아래에는 유백색을 띠고 윗부분은 주홍색을 띤다. 총포는 원통형이며 설상화는 없다.

아프리카 원산인 1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는 1950년대에 일본에서 도입되어 현재 남부지방의 길가나 빈터에서 자란다.

비슷하게 생긴 식물로 <붉은서나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한해살이풀이다.

붉은서나물의 학명은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이다. 북아메리카 원산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 50~15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흔히 깊게 결각상이다. 꽃은 9~10월에 피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위를 향한다. 꽃 윗부분이 엷은 노란색 또는 노란빛을 띤 초록색이다. 중국에서는 붉은서나물을 기황초(饥荒草), 양자채(梁子菜)등으로 부른다.  

주홍서나물과 붉은서나물의 차이점은 붉은서나물은 줄기가 검붉은 자주색의 빛을 띠고 있고 원통형의 두상화 꽃봉오리가 원통형 바깥쪽은 녹색, 또는 검붉은 자주색이며 꽃은 황색이고 쇠서나물과 유사하며 꽃이 하늘을 향해 피고, 식물체가 크고 주홍서나물은 꽃이 땅을 향해 고개 숙이고 피며 꽃잎 끝이 주홍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다. 두가지 모두 <서나물>이라고 하여 함께 나물로 먹는다.

주홍서나물의 여러 가지 이름은
야동호[
野茼蒿=tóng hāo=V하오, 초명채:草命菜: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 베니바나보로기쿠[ベニバナボロギク=홍화람루국=紅花襤褸菊: 일문명(日文名)], 주홍서나물 등으로 부른다.

주홍서나물
의 부드러운잎과 순을 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135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주홍서나물

국화과/한해살이풀

크기:
30~80cm
꽃 피는 때:
8~10월
자라는 곳:
길가, 산, 빈 터

담뱃불 같은 주홍빛 꽃이 핀다. 잎과 줄기에서 향이 난다. 씨앗이 날아갈 무렵에 보면 하얀 솜털이 엉킨 것처럼 보인다. 부드러운 잎과 순을 다른 나물과 같이 데쳐서 무쳐도 좋고, 주홍서나물만 따로 무쳐도 맛있다. 된장국도 끓인다. 속잎은 무침이나 샐러드를 해도 된다.

나물 할 때:
봄~여름

나물 하는 방법:
부드러운 잎과 순을 뜯는다.

추천 음식:
생으로나 데쳐서 무침, 된장국, 샐러드.]

주홍서나물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식물지(中国植物志)>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야동호(野茼蒿)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 Moore 中國植物志>> 第77(1)卷 >> 菊科 Compositae >> 野茼蒿屬 Crassocephalum

1. 野茼蒿 草命菜 圖版67: 1-2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 Moore in Journ. Bot. Btit. For. 50: 211. 1912; S. Y. Hu in Quart. Journ. Taiw. Mus. 19: 205. 1966; 西藏植物志 4: 804. 圖354. 1988; 貴州植物志 9: 224. 1989. 橫斷山區維管植物下冊: 2102. 1994.——Gynura crepidioides Benth. in Hook. f. Fl. Niger. 438. 1849.; 海南植物志3: 417. 1974; 中國高等植物圖鑒 4: 550. 圖6514. 1975.

直立草本,高20-120厘米,莖有縱條棱,無毛葉膜質,橢圓形或長圓狀橢圓形,長7-12厘米,寬4-5厘米,頂端漸尖,基部楔形,邊緣有不規則鋸齒或重鋸齒,或有時基部羽狀裂,兩面無或近無毛;葉柄長2-2.5厘米。頭狀花序數個在莖端排成傘房狀,直徑約3厘米,總苞鍾狀,長1-1.2厘米,基部截形,有數枚不等長的線形小苞片;總苞片1層,線狀披針形,等長,寬約1.5毫米,具狹膜質邊緣,頂端有簇狀毛,小花全部管狀,兩性,花冠紅褐色或橙紅色,簷部5齒裂,花柱基部呈小球狀,分枝,頂端尖,被乳頭狀毛。瘦果狹圓柱形,赤紅色,有肋,被毛;冠毛極多數,白色,絹毛狀,易脫落。花期7-12月。

產江西、福建、湖南、湖北、廣東、廣西、貴州、雲南、四川、西藏。山坡路旁、水邊、灌叢中常見,海拔300-1800米。泰國、東南亞和非洲也有。是一種在泛熱帶廣泛分布的一種雜草。

全草入藥,유
건비(有健脾), 소종지공효(消腫之功效), 치소화불량(治消化不良), 비허부종등증(脾虛浮腫等症)。눈엽시일종미미적야채(嫩葉是一種味美的野菜).
]


[왼쪽 주홍서나물, 오른쪽 붉은서나물, 사진 출처: 경기남부생태교육연구소]


[<<왼쪽 주홍서나물, 오른쪽 붉은서나물, 사진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검색>>]

아프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남부 지방의 길가나 빈터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9~10월에 줄기나 가지끝에 꽃잎이 없는 주홍색 꽃송이 여러개가 한쪽 방향으로 고개를 숙이고 매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이제는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되어 강한 번식력을 이용하여 자라고 있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맛이 좋은 나물로 소문이 나서 연한 줄기와 잎을 살짝 데쳐서 양념과 깨소금을 쳐서 먹는 인기있는 나물로 잘 알려져 있다.

주홍서나물 전초의 효능이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염증을 낫게 하며 소화불량에 좋고 부종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 나물로 해 먹으면 맛과 향이 일품이므로 외래종이지만 남부지방에서는 적당하게 약용 및 나물 또는 장아찌로 활용한다면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주홍서나물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유튜브 주소: https://www.youtube.com/@jdm-sanyacho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붉은서나물 무엇인가?
  2. 주홍서나물 무엇인가?

 

 

※ 아래에 jdm필자가 찍은 주홍서나물 사진도 감상해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