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나무(삼송) 무엇인가?

열매가 하늘을 향해 우뚝 솟아 힘찬 기상을 보여주는 전나무

 

 

 

 

 

 

 

 

 

 

 

 

 

 

[전나무의 전체 수형, 새싹 봉오리, 새싹이 자라는 장면, 잎, 잎 뒷면, <잎끝이 2개로 갈라져 V자 형태로 된 일본전나무>, 암꽃이삭, 수꽃이삭, 열매, 솔방울조각과 종자, 겨울눈, 나무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피멎이작용, 류머티즘, 감기, 욕탕료, 요통, 혈액순환촉진, 상처 치료약, 근염, 척수신경근염, 급성 혈류장애, 감기에 욕탕료, 괴혈병, 각종 잇몸 질환, 풍습증, 캄파원료, 출혈성 상처를 아물 게 하는데, 외용지혈약, 위십이지장궤양, 정원수, 수지, 연고, 양주, 종기, 정유, 치통, 니스, 미안, 통경, 임질심신안정, 고혈압, 두통, 폐결핵을 다스리는 전나무

전나무는 사계절 늘 푸른잎을 자랑하는 소나무과의 늘푸른 바늘잎나무이다.

전나무의 학명은 <Abies holophylla Maxim.>이다. 높이는 30~40미터까지 자라며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추위에 매우 강하여 주로 높은 산에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자라며 나무 모습이 원뿔 모양으로 아름다워서 조경수로 심기도 한다. 눈이 많이 내리는 한겨울철에 고산지대에서 만나는 전나무의 모습은 가지에 얹혀있는 눈과 함께 대단히 아름다운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한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도는 짙은 갈색으로 거칠며, 우리나라에는 평안북도, 함경남도에 가장 많고 북쪽에서는 해발 1,200미터 이하, 남쪽에서는 해발 1,500미터 이하의 계곡 지역에 자라고 있는 한대성의 상록침엽교목이다. 건축재, 펄프제등으로 쓰며 왔으나 오늘날에는 풍치수, 조경수로서 많이 심고 있다. 경북 청도군 운문사 계곡에 울창한 조림지가 있으며, 국립 광릉 수목원에 전나무 숲, 설악산, 오대산 월정사 전나무 숲, 변산반도 내소사 전나무 숲, 해인사 학사대의 전나무, 강원도 양양군의 명주사에 있는 전나무, 전남 화순에 신라 진흥왕 때 진각국사가 심었다는 1,200살의 노거수, 전남 고흥의 전나무등이 있다.

전나무의 끝은 뾰족한데 반해서 일본 전나무는 끝이 둘로 갈라져 V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다르다. 부산 대신 공원에는 아름드리의 일본 전나무가 자라고 있다. 전나무는 열매가 아래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하늘을 향해 우뚝 솟아 있어 아주 힘찬 기상을 보이는 남성적인 열매이다. 하늘을 향해 열매가 달리는 나무로는 전나무, 일본전나무, 분비나무, 푸른열매구상나무, 붉은열매구상나무가 있다.

전나무의 유래에 대해서 <가지가 옆으로 작은 가지와 잎을 내서 퍼져 납작하므로 음식의 전과 같이 착착 포갤 수 있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전나무를 젓나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 유래에 대해서 젓나무에서 하얀 젓과 같은 유즙의 물질이 나온다고 하여 '젓나무'라고 불렀다는 것과 열매가 위로 하늘을 향하는 모습이 여성의 젓꼭지를 닮았다고 하여 '젓나무'라고 불렀다는 속설이 전해지고 있다.

전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삼송[杉松=shān sōng=, 사송:沙松=shā sōng=, 동북삼송:东北杉松, 요동냉삼:遼東冷杉: 백도백과(百度百科), 유기백과(维基百科)], 쵸오센모미[チョウセンモミ=朝鮮樅, 만슈우모미:マンシュウモミ=満州樅: 일문명(日文名)], 종목[樅木], 삼목[木], [檜], 만주종[満州樅], 조선종[朝鮮樅], 고레수기[제주방언], 저수리, 전나무, 젓나무 등으로 부른다.

전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146-14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전나무

학명:
Abies holophylla Maxim.

식물: 높이 40미터 되는 사철 푸른나무이다. 잎은 어긋나게 붙고 납작한 줄 모양이다. 봄에 꽃이 피고 여름에 솔방울 같은 열매가 달린다. 각지의 높은 산지대에서 자란다.  

성분: 가지와 잎에는 정유, 탄닌질,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정유는 잎에 0.7~1.5퍼센트, 가지에 0.4퍼센트, 잎이 달린 윗가지에 0.6~1.5퍼센트 들어 있다. 정유에는 모르닐아세타트 18~40~86퍼센트, 유리보르네올 약 3퍼센트가 들어 있다. 씨 기름에는 1.17~1.60밀리그램 퍼센트의 비타민 E가 들어 있다.  

응용: 생송진은 수증기 증류하여 약으로 쓰는 테레빈유를 만든다. 송진은 고약을 만들어 상처 치료약으로 쓴다. 가지를 건류한 기름은 근염, 척수신경근염, 급성 혈류장애에 고약을 만들어 바른다.

민간에서는 잎 또는 싹과 잎이 붙은 어린가지를
류머티즘, 감기에 욕탕료로 쓰며 괴혈병에도 달여 마신다. 생송진은 출혈성 상처를 아물 게 하고 피멎이작용이 있어 외용지혈약으로 쓴다. 폐결핵에 송진을 먹거나 잎을 태운 연기를 들이 마신다. 또한 잎과 껍질 달임약은 위십이지장궤양 치료에 쓴다.]

전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한국식물대보감> 자원편, 상권, 28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전나무

속명:
전나무

일명:
쵸오센모미(
チヨウセンモミ=朝鮮樅=조선종)

학명: Abies holophylla Maxim.

자원구분: 관상용, 공업용, 약용

용도: 정원수, 수지, 연고, 양주, 종기, 정유, 치통, 니스, 미안, 통경, 임질

이용부위: 잎, 목부

경제성:
성황

독성: 방향

성분: Abienol, Galactoglucomanan,

육상 전장: 상록교목 40미터

생식상 염색체: 자웅동주, 단성화

개화기: 4월

결실기: 9~10월 구과

분포생육지 지세: 제주도, 중부평야, 중부산지, 북부산지, 고산상부

지질토양: 화강암계, 화암편마암계, 현무암계, 변성퇴적암계

내성: 내한성, 내화성, 내충성

일조량: 양수, 장일성

개발방안: 천연하종, 종자촉성발육법, 삽목법적용, 생리적육종법, 취목법, 분주법.]

전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임록재의
<조선약용식물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전나무

전나무과(Abietaceae) 전나무(Abies
* holophylla#  maxim.¥) * 라틴어로 전나무란 뜻. #  갈라지지 않은 잎의 뜻. ¥ 최대의 라는 뜻.

형태: 사철 푸른 바늘잎 큰키나무이다. 높이 40~45미터이다. 가슴높이 직경 1미터 안팎까지 자란다. 잎은 띠모양이며 길이 3~4센티미터, 너비 2~4밀리이고 끝은 뾰족하다. 잎 아래면의 중간잎줄 양쪽에는 흰색의 기공선이 있다. 4~5월에 꽃이 피며 암수한그루이다. 수꽃 이삭은 둥그스름한 통모양이며 누런 풀색이다. 암꽃 이삭은 긴둥근통모양이며 연한 풀색이다. 솔방울열매는 둥근 통모양이고 위로 곧추 선다. 씨앗은 계란모양의 삼각형이고 날개가 있으며 10월경에 여문다. 씨앗이 여물면 솔방울의 열매비늘쪽이 씨앗과 함께 떨어진다.  

분포산지: 우리 나라 북부, 중부, 남부, 제주도의 깊은산 해발 100~1,400미터 사이에서 자란다. 전국 각지에서 원림용으로 많이 심어 기른다. 중국, 러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성분: 잎에 0.7~1.5퍼센트, 가지에 0.4퍼센, 잎달린 윗가지에 0.6~1.5퍼센트의 정유가 들어 있다. 주성분은 보르닐아세타트(18~40~86퍼센트)이다. 그밖에 탄닌질, 플라보노이드 등이 들어 있다.

약재이름: 전나무 가지, 잎(Folium et Ramulus Abiedis holopyllae), 전나무 송진(Resina Abiedis holophyllae)

쓰는부위: 가지, 잎, 송진

채취가공: 아무때나 잎이 붙은 가지를 잘라 그대로 쓰며 줄기에 상처를 내여 진을 받는다.  

쓰는데: 민간에서는 잎 또는 싹과 잎이 붙은 어린가지를 류마티스염, 감기 때에 욕탕료로 쓰며 괴혈병에도 달여 마신다. 전나무 생송진은 수증기 증류하여 약으로 쓰는 테르펜유를 만들며 또한 캄파원료로도 쓴다. 전나무 송진은 고약을 만들어 상처 치료약으로 쓴다. 폐결핵때에 송진을 먹거나 잎을 태운 연기를 들이 마신다.]

전나무의 효능에 관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9권 34면 405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삼송(杉松)

기원: 송과(松科=소나무과: Pinaceae)식물인 삼송(杉松=전나무: Abies holophylla Maxim.)의 엽(葉), 지(枝)이다.

형태: 상록 교목으로 높이는 25∼30cm이다. 흉고직경은 약 50cm이다. 수관(樹冠)은 산형(傘形) 또는 도란형(倒卵形)이고, 큰 가지는 펼쳐지거나 약간 비스듬히 올라가며, 수피(樹皮)는 어릴때 회갈색(灰褐色) 또는 백갈색(白褐色)이고 갈라지지 않으며 성숙(成熟)하면 암갈색(暗褐色)이고 얕게 줄지어 갈라지며, 가지는 회갈색(灰褐色)이고 털이 없거나 오목한 홈 가까이에 털이 소생(疏生)한다. 잎은 선형(線形)이고 잎끝은 돌첨두(突尖頭)이거나 점첨두(漸尖頭)이며 굳고 단단하며 잎조직의 가운데에 수지관(樹脂管)이 있다. 꽃은 자웅동주이고 이년생 가지위에 고르게 달리며, 웅구화(雄球花)는 원통형(圓筒形)이며 엽액(葉腋)에 달리고 아래로 늘어져 있으며, 자구화(雌球花)는 장원통형(長圓筒形)으로 직립(直立)하며 가지끝에 달려 있다. 열매는 구과(球果)이며 녹갈색(綠褐色)이고 원주형(圓柱形)이며, 과린(果鱗)은 신장상(腎臟狀) 부채 모양이며 포린(苞鱗)은 드러나지 않는다. 종자는 작은 삼각형(三角形)이고, 종린(種鱗)은 부채 모양의 횡타원형(橫橢圓形)이다.



분포: 비교적 비옥하고 습윤한 토양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 여름, 가을에 모두 채취할 수 있고 대부분 생용(生用)하거나 햇볕에 말려서 쓴다.

성분: 엽(葉)과 수피(樹皮)에는 탄닌(tannin), 플라본(flavone)을 함유하며 휘발성 정유가 있다. volatile oils은 잎에 0.8%, 수지(樹枝)는 0.43%, 지초(枝梢)는 0.71% 함유한다.

주치: 장백산지구(長白山地區)의 민간(民間)에서는 풍습증(風濕症)에 사용한다.

용량 및 용법: 잎과 가지를 적량을 채취하여 60℃ 가량의 물에 담갔다가 훈증하여 사용한다.

참고문헌: 장백산식물약지(長白山植物藥誌), 169면.]

소나무, 구주소나무, 무고소나무, 프랑스해안송, 리기다소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낙엽송,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의 효능에 관하여 Ben-Erik van Wyk, Michael Wink 공저, 조응자, 한덕룡 공역
<세계의 약용식물> 24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파인(Pine=소나무)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스캇스 파인=Scots pine=스코틀랜드 소나무]


과명:
소나무과(Pinaceae)

학명:
1-구주소나무[
피누스 실베스트리스(Pinus sylvestris L.], 2-무고소나무[Pinus mugo subsp. pumilio(pumilio pine)], 3-프랑스해안송[Pinus pinaster(maritime pine)], 4-리기다소나무[Pinus palustris(pitch pine)], 5-가문비나무[Picea abies], 6-전나무[Abies alba], 7-낙엽송[Larixdecidua], 8-개잎갈나무[Cedrus deodora(히말라야시다=Himalyancedar 또는 잎갈나무=deodar)]   

프랑스명(French):
pin sauvage

독일명(German):
Waldkiefer

이탈리아명(Italian):
pino silvestre

스페인명(Spanish):
pino silvestre  

[식물학적 서술]


특유의 붉은 빛을 띤 갈색 껍질을 지닌 키큰 나무(높이 30m 정도), 바늘 같은 잎과 작고 거의 구형 모양 솔방울이 있다.

여러 종은 정유(수증기 증유)와 테르펜(송진, 올레오레진=oleoresin)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며, 구주소나무[
피누스 실베스트리스(Pinus sylvestris L.], 무고소나무[Pinus mugo subsp. pumilio(pumilio pine)], 프랑스해안송[Pinus pinaster(maritime pine)], 리기다소나무[Pinus palustris(pitch pine)], 가문비나무[Picea abies], 전나무[Abies alba], 낙엽송[Larixdecidua]을 포함한다. 개잎갈나무[Cedrus deodora(히말라야시다=Himalyancedar 또는 잎갈나무=deodar)는 아유르베다 의약에서 인기가 있다.

[원산지]


유럽, 서북아시아, 소나무, 가문비나무속, 전나무는 거의 대부분 북반구에서 자란다.

[사용부위]


신선하고 건조된 어린 가지(소나무싹-Pini turiones), 잎의 정유와 어린 가지(솔잎유-Pini aetheroleum) 혹은 테르펜에서 나온 정유(정화한 테르펜유-Terebinthinae aetheroleum rectificatum), 또한 생전나무 싹(Piceae turiones recentes), 전나무잎 오일(Piceae aetheroleum)이 사용된다. 낙엽송의 경우 줄기에서 발삼(bal-sam)을 채취한다.

[치료영역]


거담제, 표면 자극제
.

[응용과 특성]


솔잎유와 테르펜유는
전통적 거담제이며 상부와 하부 기도의 카타르 치료에 사용했다. 테르펜유는 특히 대량 분비를 하는 기관지 질환에 사용하고, 오일이나 처방제품(tinctures, ointments, gels, emulsions)은 근육통, 신경통, 류마티스 치료로 피부에 바른다. Larix balsam은 흡입제로 사용하고 류마티스, 신경통에도 사용했다.

[처방과 용량]


감기약에 포함
되고 흡입제로 사용한다. 싹은 시럽 혹은 팅크로 먹을 수 있다.

[활성인자]


테르펜유는 주로 α-pinene, β-pinene, camphene, β-phyllandrene, Δ3-carene과 limonene를 포함한다. 솔잎유는 monoterpenoids와 유사하지만, 특이한 향기는 에스테르 때문이며 주로 (-)-bornyl acetate이다.

[약리학적 효능]


테르펜유와 솔잎유는 살충제와 secretolytic이다. 테르펜유나 솔잎유의 국소적 용도는
말초적 순환을 자극한다(충혈 특징).

[의약학적 위상]


Pharm. ; Comm. E+(소나무 싹, 오일, 테레빈유 ; 전나무 싹, 오일 ; larix balsam).
]

[<<잇몸에 좋은 솔방울 활용법>>]

[재료 준비]


종류를 불문하고 침엽수의 모든 솔방울에는 생송진과 테르펜유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것이 살균작용, 항염증작용, 진통작용을 한다. 꿩은 상처가 나면 주둥이에 송진을 묻혀서 상처에 문질러 바른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러한 성분이 잇몸에 작용을 하여 세균을 제거 하고 잇몸을 강화해서 잇몸질환에 대단히 효과가 있다.

봄철 5~6월에 새로 올라오는 푸른 솔방울을 준비한다. 소나무는 가장 흔한 한솔 즉 적송으로 알려진 솔방울이 열매가 부드럽고 채취하기도 쉽다. 하지만 곰솔, 백송, 잣나무, 섬잣나무, 눈잣나무, 가문비나무, 잎갈나무, 종비나무, 솔송나무, 분비나무, 구상나무, 전나무, 금송을 비롯한 외래종 소나무 종류인 구주소나무, 무고소나무, 프랑스해안송, 리기다소나무,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스트로브잣나무, 강철소나무, 풍겐스소나무, 테에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등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소나무 종류의 솔방울을 활용할 수 있다.

[만드는 법]

① 솔방울을 씻고서 솥에 넣고 솔방울이 잠길 정도로 물을 자작하게 붓는다. 혼자 사용할려면 2리터 물에 솔방울 7~8개 정도를 넣고 처음에 센 불에 끓이다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낮춰 천천히 더 끓여 식힌다.

② 천일염 한줌이나 깨끗한 바닷물을 한 컵 넣으면 더욱 효과적이다.

③ 처음에는 팔팔 끓이다가 중불로 다리면 우유와 비슷한 색깔이 우러나온다.

④ 국물이 우유빛깔처럼 우러나오면 솔방울은 건져내고 국물만 따라 놓는다.

⑤ 일반적으로 하루 3번 양치질 후 입안에 머금고 가글을 한 다음 뱉어낸다. 하지만 입안 염증이 심한 사람은 한번에 3번 정도 가글하고 뱉어낸다.

[활용법]

이가 아프거나 흔들림, 잇몸이 붓거나,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하면 달인 솔방울 물을 입에 넣고 2분정도 머금고 뱉어내고를 3번 정도 반복하면 좋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후 보통은 3~4년은 재발이 없다. 상태가 많이 나쁜 치과 질환은 2~3개월의 효과만 있을 수 있으므로 자주 반복하여 기간을 늘려가야 한다. 수차례하다 보면 반드시 좋아진다. 만약에 좋아지지 않는다면, 수일간 반복한다. 예방차원에서는 달인 물을 위의 방법으로 3회를 반복하는데, 시간은 1회에 1분~2분 정도 가글하듯 우글거리다가 뱉어낸다. 입 냄새가 많이 나는 사람도 깜짝 놀랄 정도로 효과를 본다.

옛 조상때부터 민간요법으로 여러 사람들의 임상실험으로 검증된 효과이다. 제주도에 살고 있는 80이 넘은 할머니는 수십년간 이 방법을 실천하고 있는데 모든 치아가 튼튼하고 치아 질환을 앓은 적이 한번도 없다고 한다. 심지어 어떤 사람은 이빨이 흔들릴 정도로 심한 치과질환으로 고생하여 좋아하는 콩국수도 못 먹게 되었다고 슬퍼하다가 이 방법으로 치료 후 콩국수에 각무 김치반찬을 맛있게 먹게 되었다고 한다.

5~6월 정도면 시기적으로 솔방울이 적당한 크기로 자라는 시기인데그 때가 적기이지만 솔방울이 송진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상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냉장고에서도 어느 정도 보관은 된다. 잘 준비해두었다가 입안 염증으로 주위에 고생하시는 분들에게 권하면 좋다.

솔방울을 그대로 냉동실에 얼려 두었다가 활용하면 오랫동안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질에는 전혀 구애 받을 일이 없다. 실수로 삼켜도 해가 없다. 끓일 때 뚜껑을 닫으면 좋은데 송진 성분 때문에 뚜껑이 들러 붙어 뚜껑 열기 어려운 일이 있기도 하다. 그리고 충분히 식은 후에 활용한다. [민간요법, 인터넷 자료에 JDM 해설 추가함]

전나무는 침엽수림으로 공해에 약하며 고온다습한 남부지방과 같은 도시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그리고 음수식물로 대부분의 가지가 햇볕을 향해 뻗지만 전나무 가지는 그늘을 향해 뻗으므로 '음수'라고 부른다. 반그늘이나 음지에서 잘 자라며 비옥한 토양이 적합하다. 처음에는 느리게 자라다가 10년 정도 지나면 비교적 빨리 자란다고 한다. 목재는 재질이 우수하고 가공처리가 잘되어 가구재로 널리 사용하며, 가볍고 나이테의 경계가 뚜렷하며 섬유, 종이의 원료로도 사용한다. 전나무 수형이 우산처럼 아름답고 우리 몸에 좋은 피톤치드(Phytoncide:
피톤치드란 박테리아나 해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뿜어내는 살균 및 살충력을 지닌 방향성 물질로 주성분이 테르펜이며 코에 와닿는 향은 테르펜이 공기 중으로 뿜어내면서 발생하는데, 실내 청정제, 소염, 소독, 심폐기능 강화,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심신을 안정시키며 피로회복에 효험이 있다.)가 많아 삼림욕에 대단히 좋은 나무중 하나이다. 주로 오전 6~12사이에 나무향을 왕성하게 내뿜는 시간으로 오전 10시경이 가장 많이 뿜어낸다고 한다. 숲속 향기를 깊게 코로 들이마셨다가 입으로 배꼽아래 단전까지 숨을 내쉬는 복식호흡을 함으로 간과 폐를 대청소할 수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전나무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전나무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가문비나무 무엇인가?
  2. 개비자나무 무엇인가?
  3.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무엇인가?
  4. 곰솔 무엇인가?
  5. 곱향나무 무엇인가?
  6. 구상나무 무엇인가?
  7. 구주낙엽송 무엇인가?
  8. 구주소나무 무엇인가?
  9. 구주주목 무엇인가?
  10. 나한송 무엇인가?
  11. 낙우송 무엇인가?
  12. 노간주나무 무엇인가?
  13. 눈잣나무 무엇인가?
  14. 눈측백나무 무엇인가?
  15. 늪편백나무 무엇인가?
  16. 단천향나무 무엇인가?
  17. 대왕소나무 무엇인가?
  18. 독일가문비나무 무엇인가?
  19. 리기다소나무(미국삼엽송) 무엇인가?
  20. 무고소나무 무엇인가?
  21. 미국측백나무 무엇인가?
  22. 백송 무엇인가?
  23. 복령 무엇인가?
  24. 분비나무 무엇인가?
  25. 비자나무 무엇인가?
  26. 사비나향나무 무엇인가?
  27. 산곱향나무 무엇인가?
  28. 삼나무 무엇인가?
  29. 서양측백나무 무엇인가?
  30. 소나무 무엇인가?
  31. 소나무겨우살이 무엇인가?
  32. 솔황(소나무 유황) 무엇인가?
  33. 송로버섯 무엇인가?
  34. 송이버섯 무엇인가?
  35. 스트로브잣나무 무엇인가?
  36. 우산소나무 무엇인가?
  37. 유럽주목 무엇인가?
  38. 유황 무엇인가?
  39. 유황오리 무엇인가?
  40. 일본잎갈나무(일본낙엽송) 무엇인가?
  41. 잎갈나무(낙엽송) 무엇인가?
  42. 잣나무 무엇인가?
  43. 전나무 무엇인가?
  44. 주목 무엇인가?
  45. 죽백나무 무엇인가?
  46. 측백나무 무엇인가?
  47. 태평양주목 무엇인가?
  48. 편백나무 무엇인가?
  49. 프랑스해안송 무엇인가?
  50. 향나무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