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나도나물의 잎,
줄기, 꽃,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청열해독, 소종지통,
소염, 지통, 봄나물용,
지사,
감기, 유옹초기, 정저종통을 다스리는 점나도나물
점나도나물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점나도나물의
학명은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이다. 밭이나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15∼25cm로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자라고 검은 자줏빛이 돌며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끝이 좁으며 잔 털이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흰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꽃이 진 다음 작은꽃줄기 끝이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길이 4.5mm 정도이다. 꽃잎도 5개로서
꽃받침 길이와 비슷하며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는 연한 노란빛을 띤 갈색의 삭과로서 원통형이며
수평으로 달리고 길이 9mm 정도이다. 종자는 갈색이고 사마귀 같은 작은
돌기가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가축의 먹이로도 쓰인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기본종은 이와 비슷하지만
여러해살이로서 꽃받침 길이가 5.5∼6.5mm이고 열매 길이가 8∼10mm이며
북점나도나물(C. holosteoides)이라고 한다.
점나도나물의 여러
가지 이름은
족생권이[簇生卷耳=cù
shēng juǎn
ěr=추 ̄성 ̄쥐앤V얼V,
아앙채:鵝秧菜=é
yāng cài=으어↗양 ̄차이↘: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회편(滙編)], 미미나구사[ミミナグサ=耳菜草: 일문명(日文名)], 이채[耳菜], 파파[婆婆], 지갑채[指甲菜], 섬좀나도나물,
섬점나도나물, 점나도나물
등으로 부른다.
점나도나물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41면 206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아앙채(鵝秧菜)
기원: 석죽과(石竹科: Caryophyllaceae)식물인 족생권이(簇生卷耳=점나도나물: Cerastium caespitosum Gilib.)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0-30cm이다. 줄기에 짧은 유모(柔毛)가 있다. 줄기의 기부(基部)에 있는 잎은 시형(匙形)에 가깝거나 혹은 좁은 도란형(倒卵形)이며 엽저는 점점 좁아지고, 중상부(中上部)의 잎은 좁은 난형(卵形) 내지 피침형(披針形)이고 길이는 1-3cm이며 잎의 양면에 짧은 유모(柔毛)가 붙어서 나고 첩모(睫毛)가 빽빽하며 뚜렷하다. 취산화서(聚傘花序)가 정생(頂生)하고 꽃자루에는 긴 선모(腺毛)가 밀생하며, 꽃받침잎은 5장이고 피침형(披針形)이며 뒷면에 선모(腺毛)가 밀생하고, 꽃잎은 5장이며 백색(白色)이고 도란상(倒卵狀) 구원형(矩圓形)이며 정단(頂端)은 2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 종자(種子)에는 혹모양의 돌기가 있다.

분포: 산지의 숲가나 논가와 길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북방과 장강(長江) 유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지통(消腫止痛).
주치: 감모(感冒: 감기), 유옹초기(乳癰初起), 정저종통(疔疽腫痛).
용량: 15-30g. 외용시(外用時)에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743면.]
점나도나물, 유럽점나도나물을 나물로 해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2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점나도나물 & 유럽점나도나물
석죽과ㅣ두해살이풀
크기: 15~25cm
꽃 피는 때: 4~7월
자라는 곳: 밭, 뜰
줄기와 잎에 털이 많고, 깊게 파인 꽃잎이 다섯장이다. 어린순을 데쳐서 무치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냉이 된장국을 끓일 때 넣어도 맛있다. 이 무렵 막 나기 시작한 부추와 조갯살을 넣고 부침개를 해도 좋다. 벼룩이자리와 같이 먹어도 잘 어울린다. 유럽점나도나물도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
나물 할 때
봄
나물 하는 방법
어린순을 뜯는다.
추천 음식
데쳐서 무침, 된장국, 부침개.]
점나도나물의 종류 및 변종에 대해서 중국의 인터넷 백과사전인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아래와 같은 25종류를 알려주고 있다.
[상관적종(相关的种)
1, 권이[卷耳: Cerastiumarvense L.] 2, 협엽권이[狹葉卷耳:(변종:變種)Cerastium arvense L. var. angustifolium Fenzl] 3, 권이[卷耳: (원변종:原變種)Cerastium arvense L. var. arvense] 4, 무모권이[無毛卷耳:(변종:變種)Cerastium arvense L. var. glabellum (Turcz.) Fenzl] 5, 장백권이[長白卷耳: Cerastium baischanense Y. C. Chu] 6, 육치권이[六齒卷耳: Cerastium cerastoides (L.) Britton] 7, 달오리권이[達烏裏卷耳: Cerastium dahuricum Schrank] 8, 염도엽권이[鐮刀葉卷耳: Cerastium falcatum Bunge] 9, 희천권이[喜泉卷耳: Cerastium fontanum Baumg.] 10, 희천권이[喜泉卷耳: (원아종:原亞種)Cerastium fontanum Baumg. subsp. fontanum] 11, 족생권이[簇生卷耳:(아종:亞種)Cerastium fontanum Baumg. subsp. triviale (E. H. L. Krause) Jalas] 12, 연모권이[緣毛卷耳: Cerastium furcatum Cham. & Schltdl.] 13, 구서권이[球序卷耳: Cerastium glomeratum Thuill.] 14, 화북권이[華北卷耳: Cerastium limprichtii Pax & K. Hoffm.] 15, 자초엽권이[紫草葉卷耳: Cerastium lithospermifolium Fisch.] 16, 대권이[大卷耳: Cerastium maximum L.] 17, 소화권이[疏花卷耳: Cerastium pauciflorum Steven ex Ser.] 18, 모예권이[毛蕊卷耳:(변종;變種)Cerastium pauciflorum Steven ex Ser. var. oxalidiflorum (Makino) Ohwi] 19, 소화권이[疏花卷耳:(원변종:原變種)Cerastium pauciflorum Steven ex Ser. var. pauciflorum] 20, 포경엽권이[抱莖葉卷耳: Cerastium perfoliatum L.] 21, 산권이[山卷耳: Cerastium pusillum Ser.] 22, 세엽권이[細葉卷耳: Cerastium subpilosum Hayata] 23, 사천권이[四川卷耳: Cerastium szechuense F. N. Williams] 24, 천산권이[天山卷耳: Cerastium tianschanicum Schischk.] 25, 악서권이[鄂西卷耳: Cerastium wilsonii Takeda.]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점나도나물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