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우 무엇인가?

작은키에 흰꽃과 붉은열매가 아름답게 열리는 자금우

 

 

 

 

 

 

 

 

img1.jpg img1.jpg img1.jpg

 

 

[자금우의 잎,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지해작용[기침을 멈추게 하는 작용], 거담작용[가래를 없애는 작용], 평천작용[천식을 가라앉히는 작용], 폐조직의 산소 소비량을 저하시키는 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만성기관지염의 예방과 치료작용, 항결핵작용, 지혈작용, 만성기관지염[임상보고], 폐결핵[임상보고], 궤양 출혈[임상보고], 상호흡기의 염증, 성인 및 소아의 폐렴, 전염성 간염 예방, 혈액순환촉진, 지통, 건위, 지혈, 습열황달, 간염, 급성신염, 방광염, 장티푸스에 장 출혈이 병발한 증상, 혈소판 감소성 자반, 괴사성 소장염, 폐결핵 각혈, 문맥성 고압증으로 인한 식도 정맥파혈, 유행성 출혈열, 폐결핵으로 인한 도한, 무기력, 노상, 근골산통, 월경불순, 부비강염, 강장제, 고환부종, 폐로해혈, 도상출`혈, 무명종독, 소아감적, 이질, 탈항, 습관성 유산, 젖이 적은 증세, 만성신염, 진해, 거담, 이뇨, 활혈, 해독, 돼지의 회충, 개의 회충 및 요충, 말의 회충 및 요충, 유행성 격기를 치료하는데, 풍담을 제거하는 데, 울혈을 없애는데, 냉기로 인한 복통, 기관지염, 촌충을 없애는데, 회충을 없애는데, 기침, 폐결핵에 의한 해수, 토혈, 간염, 고혈압을 다스리는 자금우

자금우(紫金牛)는 쌍떡잎식물 앵초목 자금우과의 상록 소관목이다.

자금우의 학명은 <Ardisia japonica>이다. 키가 작아서 땅에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 앙증맞은 작은키에 흰꽃이 피는 모습도 아름답고 꽃이 지고나서 붉은 열매가 열려 있는 모습은 더욱 아름다워 보는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이런 앙증맞은 작은키로 자라기 때문에 최근에는 화분에 심어 집에서 가꾸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자금우의 잎이 녹나무와 비슷하고 줄기가 짧아서 왜각장(矮脚樟)이라고 부른다. 산속에 사는 사람들은 항상 이것을 파서 화분용으로 시장에 내다 판다. 산지의 숲 밑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줄기가 나오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높이 15∼20cm이다. 어린 가지의 끝에 선모가 있다. 잎은 어긋나지만 위의 1∼2층은 돌려나고 긴 타원형으로 두꺼우며 윤기가 있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양성이며 흰색 또는 연한 홍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밑을 향하여 핀다. 화관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잔 점이 있으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장과로서 9월에 둥글고 붉게 익으며 다음해 꽃필 때까지 남아 있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에 분포한다. 산호수(A. pusilla)는 이와 비슷하지만 톱니가 굵고 양면에 털이 있다.

자금우의 여러 가지 이름은
자금우[紫金牛=
zǐ jīn niú=V니우: 본초도경(本草圖經)], 평지목[平地木, 엽하홍:葉下紅: 이씨초비(李氏草秘)], 엽저홍[葉底紅, 왜각장:矮脚樟: 양춘애경험방(楊春涯經驗方)], 왜다[矮茶, 설리주:雪裏珠, 왜각초:矮脚草, 지다:地茶: 식물명실도고장편(植物名實圖考長編)], 왜다하[矮茶荷: 초본편방(草本便方)], 왜다풍[矮茶風, 지청강:地靑杠: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왜다자[矮茶子: 천보본초(天寶本草)], 천년불대[千年不大: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포지양산[鋪地凉傘, 왜랑산:矮郞傘: 광서약식명록(廣西藥植名錄)], 왜각다[矮脚茶, 음산홍:陰山紅, 영산홍:映山紅, 야비파엽:野枇杷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왜지다[矮地茶: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야부코우지[ヤブコウジ=藪柑子, 쥬우료우:ジュウリョウ=十両: 일문명(日文名)], 천량금 등으로 부른다. 

자금우의 뿌리를
자금우근[紫金牛根: 본초도경(本草圖經)]이라고 하여 함께 약용한다.

[채취]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일년 내내 수시로 채취한다.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뿌리>


<중약대사전>: "1년 내내 수시로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중약대사전>: "전체에 정유(휘발유)가 0.1~0.2% 함유되어 있다. 지방유를 제거한 나머지 물질에서 분리해 추출한, 기침을 멎게 하는데 유효한 성분인 왜다소(矮茶素) 1호는 bergenin이다. 또한 2-hydroxy-5-methoxy-3-pentadephenylbenzoquinon 등의 화합물과 triterpenoid를 함유한다. 잎에는 quercitrin, myricitrin, bergenin, ilex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 전초에서는 결핵에 저항하는 유효성분인 argysine A, B, argysiol
(argysine A), 및  quercetin embelin이 분리되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지해(止咳) 작용: 탕제 및 그의 추출물은 bergenin은 전기로 고양이의 상후두 신경을 자극하여 나타나는 기침 및 암모니아수를 뿜을 때 일어나는 마우스의 기침에 대해 현저한 지해 작용이 있다. 그 중, 특히 bergenin의 작용이 현저한데, 이것은 아마 왜지다(矮地茶)의 주요한 지해 성분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 지해 작용의 강도는 codeine의 1/4~1/7에 상당하며 고양이에게 연속하여 23일간 투약하여도 내성이 없다. 그 지해 작용의 중추 부위는 아마 중뇌(中腦)에 있다고 추정된다.

왜지다(矮地茶)와 bergenin은 rat의 thiopental natrium에 의한 수면 시간에 대하여 현저한 연장 작용이 없으며 개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pentobarbital, natrium의 제량을 감소시키는 작용도 없다. 마우스에 대하여 현저한 지통 작용이 없고 또한 다른 동물에게 대량으로 사용하여도 최면 작용이 없으며 개에게 중독량을 사용해도 현저한 호흡 억제 작용이 없다. bergenin은 nicotiamide을 일으키는 호흡에 대한 현저한 길항 작용은 없다. 이 약제의 해수 중추에 대한 억제는 아마 선택적인 것으로 다른 중추에 대하여서는 뚜렷한 억제 작용이 없다.

2, 거담(去痰), 평천(平喘) 작용:
왜지다(矮地茶)의 탕제를 마우스의 위(胃)에 주입하자 현저한 거담 작용이 있었으며 (phenol red법) 작용의 강도는 같은 양의 길경(桔梗)에 상당하고 복강내 주사가 효과는 강하며 토끼 눈의 결막에 대하여 특별히 자극성은 없었다. 그 거담 작용은 아마 흡수 작용을 통하여 생긴 것이라고 추측된다. 거담 작용에 대한 유효 성분은 flavonoid로, bergenin을 위에 주입하여도 거담 작용은 없으며 또한 현저한 천식 억제 작용도 없다(marmot의 histamine 분무법).

3, 기관-폐조직의 호흡에 대한 영향:
왜지다(矮地茶)에는 rat의 기관-폐조직의 산소 소비량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bergenin은 -sh기(基)를 함유하는 산소계에 작용하기 때문에 조직 호흡을 저하시키지만 그 작용은 강하지 않다.

4,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
argysin은 시험관에서 결핵균을 억제한다. 왜지다(矮地茶)의 탕제는 황색포도구상균과 유행성 감기 바이러스에 대하여 상당한 억제 작용이 있다(계배:鷄胚 실험).

탄닌(tanin)을 제거하면 항균 작용은 없어진다. 정유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배당체는 체외시험관에서는 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지만 체내에서는 유효농도에 도달하기 어렵다.

5, rat의 실험성 만성 기관염에 대한 작용:
매일 이산화유황을 흡입시켜 만성 기관지염을 일으킨 rat에게 bergenin을 내복시키면 상당한 예방과 치료 작용이 있는데 그 때 배상(杯狀) 세포는 감소하고 염증 세포의 침윤, 폐기종 및 폐허탈의 정도는 경감된다.

6, 체내과정:
개와 사람에게 bergenin을 복용시키면 흡수는 빠르지만 완전하지는 않다. 배출도 빠르고 복용 후 한 시간에 소변에 원형 약물이 그대로 나타난다. 개의 근육에 대량으로 주사하면 혈액 농도는 투약 후 1~4시간 후에 최고에 달하며 소변 속의 최고 농도는 2~7시간만에 나타난다. 원형 그대로 소변에 배출되는 약물은 12시간 내에 대부분 배출되지만 투약한 총량의 0.8~4.2%에 지나지 않으며(사람에게서는 복용량의 1%도 되지 않는다). 이 약은 체내에서 대부분 변화되어 신속히 신장을 통과하여 배출된다고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임상에서의 그 작용은 빠르고 짧다.

독성:
마우스에게 복강내 주사를 하였을 경우에 bergenin의 MLD는 10g/kg이다. 정제하지 않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glycoside를 마우스에게 복강내 주사하였을 때의 LD50은 1.31g/kg이며 순수한 flavonid glycoside일 때는 0.84g/kg이다. 내복일 경우 독성은 낮으며 임상 용량의 60~330배에 상당하는 양을 연속 60일간 사용한 아급성 독성 시험은 왜지다(矮地茶)와 bergenin이 rat의 성장 발육과 각 주요 장기에 대하여 독성이 없음을 알려주고 있다."

[성미]


<줄기와 잎 및 열매>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2, <식물명실도고>: "성질은 평하다."

3, <현대실용중약>: "맛은 쓰고 평하다."

<뿌리>


1, <본초도경>: "맛은 맵다."

2, <본초강목>: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줄기와 잎 및 열매>


1, <중약대사전>: "해수를 멈추고 담을 제거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이뇨한다. 만성 기관지염, 폐결핵으로 인하여 생기는 기침, 객혈, 토혈, 탈력노상(脫力勞傷), 근골산통(筋骨酸痛), 간염, 이질, 급성 만성 신염, 고혈압, 산기(疝氣), 종독을 치료한다."

2, <이씨초비(李氏草秘)>: "편타산기(偏墮疝氣)를 치료하려면 짓찧은 즙을 술에 넣어 반 사발 복용한다."

3, <식물명실도고>: "종독(腫毒), 혈리(血痢)를 치료한다. 뱀의 독을 제거하고 중서(中暑)를 막아준다."

4, <초목편방>: "풍습완비(風濕頑痺), 폐위구수(肺
久嗽)를 치료한다. 한독(寒毒)으로 인한 종통(腫痛)에 발라서 치료한다."

5, <분류초약성>: "토혈, 해수, 기통(氣痛)을 치료한다."

6, <현대실용중약>: "강장제이며 지혈 작용이 있다. 폐결핵으로 읺여 생기는 기침 객혈을 치료한다. 술로 복용하면 외상성 손상(traumatic injury), 고환부종 및 동통을 치료한다."

7, <상해상용중초약>: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지통, 이뇨, 건위, 지혈한다. 습열황달, 간염, 급성신염, 방광염, 폐결핵으로 인한 도한, 객혈, 무기력 노상(勞傷), 근골산통(筋骨酸痛), 월경불순, 부비강염을 치료한다."

8, <금화(金華), 상용중초약단방험방선편(常用中草藥單方驗方選編)>: "월경을 통하게 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혈을 서늘하게 하고 해독한다. 폐노해혈(肺
癆咳血), 도상출혈, 무명종독, 월경불순, 소아감적, 이질, 탈항, 습관성 유산, 젖이 적은 증세, 만성신염, 고혈압을 치료한다."

<뿌리>


1, <본초도경>: "유행성 격기(膈氣)를 치료한다. 풍담(風痰)을 제거하는 데 쓰인다."

2, <본초강목>: "해독하며 울혈(鬱血)을 파(破)한다."

3, <사천중약지>: "냉기로 인한 복통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줄기와 잎 및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3~4돈, 대량의 경우는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3~4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자금우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389면 479호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금우

학명/
Ardisia japonica (Thunb.) Bl.

과명/
자금우과

늘푸른떨기나무. 높이 15~20cm.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핀다. 열매는 핵과로 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분포/
제주도 및 남부 해안의 산 숲 속에서 비교적 흔히 자라며,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약효/
줄기와 잎을 자금우(紫金牛)라고 하며, 진해, 거담, 이뇨, 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고, 기관지염, 폐결핵에 의한 해수, 토혈, 간염, 고혈압을 치료한다.

성분/ 지상부에는 bergenin, ardisin A, B, myricitrin, ilexol(baueren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쥐에 대한 실험 결과 bergenin은 지해 작용, ardisin A, B는 항결핵 작용이 있다.

사용법/
줄기와 잎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자금우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55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금우(Bladhia japonica Tunb.(Ardisia japonica Blume)

식물:
높이 약 20cm 되는 사철푸른 떨기나무이다. 잎은 타원형이고 여름철에 잎아귀에 흰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붉게 익는다.

남부와 제주도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자금우):
가을에 캐어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뿌리에는 엠벨린(), 라피논()이 있다. 열매에는 2-히드록시-5-메톡시-3-펜타데세닐벤조퀴논()이 있다.

작용:
라피논과 그의 나트륨염의 0.2% 용액은 시험관에서 돼지 회충을 약 20분 만에 죽인다. 개에게 0.05~0.1g/kg을 한번 먹이거나 말에게 20~30g을 이틀 동안 먹이면 회충과 요충이 없어진다. 단점은 위장 장애 특히 위카타르를 동반할 때가 있으나 단백오줌은 없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뿌리를 독풀이약으로 달여 쓴다.
민간에서는 촌충과 회충을 없애기 위해서 쓴다.
]

자금우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140면 25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자금우(紫金牛)

기원: 자금우과(紫金牛科: Myrsinaceae) 식물인 자금우[紫金牛: Ardisia japonica (Thunb.) Bl.]의 전주(全株)이다.
형태: 아관목이다. 어린 줄기는 미세한 털로 덮여 있다. 잎은 탸원형(橢圓形)에서 타원상(橢圓狀) 도란형(倒卵形)으로 엽연(葉緣)에는 가는 거치(鋸齒)가 있으며 선점(腺點)이 약간 있고, 털이 없거나 혹은 윗면이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꽃은 액생(腋生)하는 산형화서(傘形花序)에 달리며 분홍색(粉紅色) 혹은 백색(白色)이고 꽃잎은 다섯 장이고, 꽃받침은 난형(卵形)이며 외면(外面)에는 털이 없다. 열매는 구형(球形)의 핵과(核果)이다.



분포: 산이나 숲 혹은 대나무 숲에서 자란다. 중국의 장강(長江) 유역 이남과 섬서(陝西)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전연(全緣)에 걸쳐서 채취가 가능하고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ardisinol I, II 등.

기미: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지해화담(止咳化痰), 거풍해독(祛風解毒), 활혈지통(活血止痛).

주치: 폐결핵(肺結核), 소아폐렴(小兒肺炎), 기관지염(氣管支炎), 간염(肝炎), 통경(痛經).

외용(外用): 칠창(漆瘡), 피부소양(皮膚瘙痒).

용량: 15∼30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838면 ; 약학학보(藥學學報), 1권(1981년), 27면.]

자금우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토혈(피를 토하는데)

깨끗이 씻어 짓찧은
엽저홍(葉底紅: 자금우의 지상부) 2냥과 깨끗이 씻은 돼지허파 1개를 준비하여 엽저홍을 돼지허파관 속에 넣고 강물과 우물물 각 세 사발로 오전 3~5시가 될 때까지 충분히 달인 후 엽저홍을 제거하고 즙과 함께 복용한다. [양춘애경험방(楊春涯經驗方)]

2, 폐농양의 치료

자금우 1냥, 어성초(魚腥草) 1냥을 달여서 2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3, 혈리(血痢)의 치료

자금우의 줄기와 잎을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4, 중독 치료

자금우의 줄기와 잎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5, 타박으로 인한 가슴 손상 및 동통의 치료

자금우 전초 1냥에 술과 물을 각 절반씩 넣고 달여 2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6, 만성기관지염의 치료
(임상보고)
왜지다(矮地茶)는 만성 기관지염에 치료에 유효한 약의 일종이다. 비교적 광범한 임상 실험에 의해 그 치료 효과가 비교적 안정되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복방으로 하면 치료 효과가 더욱 증가한다. 호남성(湖南省)에서 일년 동안 단미(單味)의 왜지다(矮地茶), bergenin 및 왜지다(矮地茶)를 주로 한 복방을 이용하여 8,294명을 치료하고 여러 가지 계절에 걸쳐 반복적으로 검증한 결과, 10일간을 1치료 기간으로 한 유효율은 60~80% 전후이며 현효율은 25~35%였다.

치료 기간을 연장하여 항균, 천식 억제 등의 중약(中藥) 또는 양약을 배합한 복방으로 치료를 하면 모든 치료 효과가 증가한다. 왜지다(矮地茶)의 주요 작용은 진해, 거담으로, 천식 억제 작용은 현저하지 않다. 그 외 지해 작용은 매우 빨라서 병례의 2/3는 복용 후 3일 안에 효과가 나타났다. bergenin은 체내에서 흡수가 빠르고 배출도 빨라서 작용하는 시간은 짧지만, 반복해서 사용해도 현저한 내성이 없다. 부작용이 적으며 극히 소수의 환자에게 두통, 목현(目眩) 및 위부 불쾌, 복통, 복부 창만, 설사, 오심, 구갈, 흉민(胸悶) 등 소화기 계통의 반응이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증세가 비교적 가볍고 약물 구복에 영향이 없었다. 비교적 다량을 사용하여 치료해도 심장, 간장, 신장에 뚜렷한 독성은 없다.

용법과 용량

① 왜지다(矮地茶)의 가지 1~2냥을 달여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하고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또는 정제, 시럽제, 과립제로 해서 복용해도 좋다. 하루의 용량을 2냥까지 늘여도 치료 효과는 높아지지 않으며 5돈까지 감소하게 되면 치료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② bergenin은 현저한 진해 작용과 상당한 거담 작용이 있으며 하루에 375mg을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하고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1일 용량을 600mg까지 늘여도 치료 효과는 높아지지 오히려 부작용의 발생율이 현저히 증가한다. [중약대사전]

7, 폐결핵의 치료
(임상보고)
자금우(紫金牛)의 환제를 한번에 3~4돈씩, 1일 3~4회 복용하고 1일의 총량을 1~2냥을 한다. 단용(單用)하든 또는 다른 항결핵약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관찰한 51례 가운데서, 단독으로 사용한 것은 34례로, 현효(공동이 폐합:閉合하거나 혹은 병소가 1/2 이상 흡수된 것)가 5례, 유효(병소의 흡수가 1/2 이하 또는 공동이 축소된 것)가 22례였다. 그밖에 항결핵약을 병행한 것은 17례로 현효가 2례, 유효가 8례였다. 침윤혀 폐결핵의 치료 효과가 더욱 현저하였다. 그러나 병력이 짧을 때에는 치료 효과가 뛰어나지만, 긴 경우에는 떨어진다.

위의 2조의 치료 효과의 차이는 주로 병례의 선택이 다르고 약물을 병행한 조는 병의 경과가 긴 경우에다 대부분은 각종 항결핵약을 써서 치료해도 효과가 없었던 병례였기 때문에 치료 효과는 단독으로 사용한 조보다도 낮다. 장기적인 치료 효과는 앞으로 더 관찰해야 한다. 그 외에 자금우(紫金牛)에 천파석(穿破石), 백부(百部), 백급(白及), 오지우내(五指牛
), 상백피(桑白皮) 또는 발계(菝葜), 백마골(白馬骨), 십대공로(十大功勞), 천동(天冬)을 배합하여 복방으로 치료하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중약대사전]

8, 궤양 출혈의 치료
(임상보고)
일반적으로 50%의 달인 액을 1일 100~200ml씩 복용한다. 구토가 심한 사람에게는 200%의 멸균 주사액 60~100ml(1일분)에 10%의 glucose 주사액 또는 5%의 glucose 생리 식염수를 가하여 정맥에 점적 주사하여 구토가 호전되면 내복으로 바꾼다.

50례의 십이지장 궤양출혈을 관찰한 결과 평균 3.6일 만에 토혈과 흑변이 치료되고 평균 8일 만에 대변에 피가 섞이고 음성으로 전환되었는데, 더욱 짧은 것은 2일 만에 긴 것은 20일 만이었다. 장티푸스에 장 출혈이 병발한 증상, 혈소판 감소성 자반, 괴사성 소장염, 폐결핵 각혈, 문맥성 고압증으로 인한 식도 정맥파혈, 유행성 출혈열 등의 질병에 대해서도 정도는 다르지만 각각 지혈 작용이 있다. 그러나 소화기 출혈에 대한 효과가 더욱 이상적이며 그것도 내복하는 것이 더욱 그 효과가 빠르다.

그 외에 복방 왜지다(矮地茶) 제제는 상호흡기의 염증, 성인 및 소아의 폐렴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가 비교적 좋다. 단미(單味)의 탕제는 또한 전염성 간염의 예방에도 사용된 적이 있다. 다른 보고에 의하면 1례의 환자는 폐결핵 때문에 자금우(紫金牛)를 복용하였는데 한 달 후에 피부가 군데군데 노랗게 되었다(공막:鞏膜은 노랗게 되지 않았다). 검사한 결과, 간장은 정상이었으므로 자금우황피증(紫金牛黃皮證)이라고 하였는데, 복용을 중지하였더니 15일 후에 피부의 황색이 소실되었다고 한다. [중약대사전]

[비고(備考)]


1, <본초도경(本草圖經)>:
"자금우(紫金牛)는 복주(복주: 복건성민후현:福建省
閩候縣)에서 자란다. 잎은 찻잎 모양으로 윗면은 녹색이고 아랫면은 자색이다. 열매는 둥글며 단주(丹朱)처럼 붉은색이다. 뿌리는 엷은 자색이다. 8월에 채취하여 속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파극(巴戟)과 매우 유사하다."

2, <이씨초비(李氏草秘)>:
"잎의 아랫면은 붉은색이고 길이는 5~6치이다. 줄기는 둥글고 잎의 아랫면에 붉은색의 열매가 열린다. 산속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3,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잎의 밑면이 홍색인 작은 나무로 산지에서 자란다. 길이는 1~2자 넘지 않으며 잎은 석남(石楠)과 비슷하다. 4월에 속이 생기고 5~6개의 꽃이 모여나며 지마령(脂麻鈴)의 모양으로 드리워져 있다. 꽃은 청백색이며 6~7월에 천축자(天竺子) 모양의 작은 열매를 맺는다. 서리가 내린 후에는 붉은 색이 되며 마치 천축자(天竺子)가 크게 자란 것 같다. 잎이 장(樟: 녹나무장)과 비슷하고 줄기가 짧아서 왜각장(矮脚樟)이라고 부른다. 산속에 사는 사람들은 항상 이것을 파서 화분용으로 시장에 내다 판다. 별명으로 엽하홍(葉下紅)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제주도를 비롯한 남쪽해안에 저절로 자생하는 난쟁이 키작은 나무의 효능은 위에서 조사된 자료를 통해서 볼 때 실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히 크다고 말할 수 있다. 누구나 화분용으로 집집마다 잘 가꾸고 번식시키며 대량 재배를 통해서 뛰어난 제품이 탄생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자금우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백량금 무엇인가?
  2. 산호수 무엇인가?
  3. 자금우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