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엽우피소(비래학) 무엇인가?

중국에서 자생하는 이엽우피소

 

 

 

 

 

 

 

 

 

 

 

 

[이엽우피소의 잎, 꽃, 열매,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대만/홍콩 구글 이미지검색]

보간신, 익정혈, 강근골, 두혼안화, 실면건망, 수발조백, 요슬산연, 건위소적,해독소종, 식적복통,위통,젖을 나오게 하는 데, 나력, 양음보허, 비를 튼튼하게 하는데, 소화를 돕는데, 허손노상,  백대하, 창선, 복창적체, 피부병, 소식적, 보허약, 창독, 어구, 자음양혈, 건비순기, 진정지통, 위통복창, 허로, 신허요통, 성교불능증, 신장염에 의한 수종,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청열해독, 순기지리, 식적포창, 위기통이 오랫동안 낫지 않을 때, 만성위통, 기격일식, 전식, 소아비괴, 소아감질, 격식을 치료하고 아울러 식욕을 돋우며 비를 튼튼하게 하는데, 식학, 소아감적, 이질을 다스리는 이엽우피소

이엽우피소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성 식물로 전체에 약간 부드러운 털이 덮여 있다.

이엽우피소의 학명은 <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재배한다. 덩굴성의 반관목으로 유즙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 내지 난상 장원형이고 엽저는 심심장형으로 양측이 귀모양처럼 안으로 굽어져 있다. 산방상 취산화서가 액생하며 약 30송이의 꽃봉오리가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거의 끝까지 갈라지며, 화관은 백색이고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부화관은 얕은 술잔모양이고, 수술은 5개로 꽃밥은 2실이고 매 실에는 황색의 꽃가루 덩어리 하나가 있으며 밑으로 쳐지고, 암술머리의 끝부분은 2갈래이다. 열매는 골돌과로 쌍생하고, 종자는 난상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날개가 있으며 끝에는 백색의 털이 있다.

중국 각지의 산비탈의 돌 사이나, 도랑가의 축축한 곳에서 자란다.
부탄, 인도, 카슈미르, 네팔, 파키스탄 등에 분포한다. 고도 2800~3600m의 산 중턱의 숲 지대에서 자란다. 꽃은 8-10월에 피며, 결실기는 11월에 맺는다.

이엽우피소의 여러 가지 이름은
비래학[飛來鶴=fēi lái hè=페이라이,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호장등[好漿藤: 천보본초(天寶本草)], 우피동[牛皮凍, 야홍초:野紅苕: 성도(成都), 상용초약치료수책(常用草藥治療手冊)], 우피소[牛皮消, 이엽우피소:耳葉牛皮消=ěr niú pí xiāo=V니우샤오, 격산소:隔山消, 격산효:隔山撬: 사천(四川)], 백하수오[白何首烏, 만수죽:萬壽竹: 강소(江蘇), 강서(江西)], 표표등[瓢瓢藤, 하수오:何首烏: 강소(江蘇)], 백목향[白木香: 절강(浙江)], 노우표:老牛瓢, 칠고연:七股蓮, 양각등[羊角藤: 귀주(貴州)], 토백렴:土白蘞, 만세죽:萬世竹, 전사주:剪蛇珠, 산보호:山步虎, 야번서:野番薯: 중국식물도고(中國植物圖庫)], 백수오[白首烏=bái shǒu wū=바이소우V: 중약지(中藥誌)], 넓은잎큰조롱 등으로 부른다.

이엽우피소 덩이뿌리의 다른 이름은
격산소[隔山消: 본초강목(本草綱目)], 격산효[隔山撬: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격산초[隔山鍬: 천보본초(天寶本草)]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6~8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곰팡이가 끼기 쉬우므로 자주 뒤집으면서 말려야 한다."

2, <중국본초도록>: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덩이뿌리>


<중약대사전>: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줄기와 잎>

<중약대사전>: "말린 줄기와 잎은 전체가 연한 황갈색을 띤다. 줄기는 가늘고도 길고 원기둥 모양이며 세로 달린 가는 선이 많고 속이 비었다. 질은 푸석푸석하여 부러지기 쉬우며 횡단면은 황백색이고 섬유 모양이며 인피부와 목질부가 탈피되었다. 목질부의 조직이 푸석푸석하고 작은 구멍이 많고 중심이 비어 있다. 잎은 주름살이 많은 녹갈색이며 얇고 취약하다. 맛은 달고 약간 맵다. 마르고 불순물이 없으며 연한 녹색인 것이 상등품이다.

산지는 중국 강소(江蘇), 강서(江西) 등지이다."

<덩이뿌리>


<중약대사전>: "말린 덩이뿌리는 원기둥 모양이고 조금 굽어 있다. 길이는 10~20cm 가량이다. 겉표면은 황갈색이다. 코르크층은 거칠고 가로와 세로 주름이 뚜렷이 있다. 껍질눈은 가로로 길게 돌출해 있고 코르크층이 터진 곳은 황백색의 물관부가 노출되어 있다. 질은 매우 단단하고 단면층이 연한 황갈색이다. 분질(粉質)이고 방사상의 꽃무늬와 선명한 황색의 둥근 점이 있다. 냄새는 없고 맛은 처음에 쓰고 후에는 달다. 사천(四川), 강소(江蘇), 강서(江西) 등지에서 난다. 본품은 강소(江蘇)에서 백수오(白首烏)로 쓰인다."

[성분]


<줄기와 잎>

<중국본초도록>: "phosphatidylcholine 등."

<덩이뿌리>


<중약대사전>: "뿌리에는 starch 44%가 함유되어 있고, 사포닌(saponin)도 함유되어 있다."

[성미]


<줄기와 잎>

1, <강서초약>: "맛은 달고 조금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2, <중국본초도록>: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3, <전국중초약휘편(全國中草藥彙編)>: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조금 있다."

<덩이뿌리>


1, <귀양민간약초>: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2, <섬서중초약>: "맛은 달고 조금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줄기와 잎>

1, <천보본초>: "젖을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2, <강서중약>: "나력(瘰癧)을 치료한다. 오래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3, <중국본초도록>: "보간신(補肝腎), 익정혈(益精血), 강근골(强筋骨), 두혼안화(頭昏眼花), 실면건망(失眠健忘), 수발조백(鬚髮早白), 요슬산연(腰膝酸軟)."

4, <전국중초약휘편(全國中草藥彙編)>: "건위소적(健胃消積),해독소종(解毒消腫), 식적복통(食積腹痛),위통(胃痛),소아감적(小兒疳積), 이질(痢疾)"

<덩이뿌리>


1, <중약대사전>: "양음보허(養陰補虛)하고 비(脾)를 튼튼하게 하며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다. 허손노상(虛損勞傷), 이질, 감적(疳積), 위통포창(胃痛飽脹), 백대하, 창선(瘡癬)을 치료한다."

2, <본초강목>: "복창적체(腹脹積滯)를 치료한다."

3, <초목편방>: "식초와 함께 갈아서 피부병에 바른다."

4, <분류초약성>: "소식적(消食積), 하유(下乳), 보허약(補虛弱)한다."

5, <귀주민간방약집>: "외용하여 창독, 어구(魚口)를 치료한다."

6, <섬서중초약>: "자음양혈(滋陰養血), 건비순기(健脾順氣), 진정지통(鎭靜止痛), 최유(催乳)한다. 위통복창(胃痛腹脹), 허로(虛勞), 신허요통(腎虛腰痛), 성교불능증, 소아비괴(小兒痞塊), 백대하, 젖의 부족을 치료한다."

7, <남방주요유독식물>: "신장염에 의한 수종,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을 치료한다."

8, <강서초약>: "청열해독(淸熱解毒), 순기지리(順氣止痢)한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
한국소비자원>: "시중에 유통 중인 32개 백수오 제품의 원료를 조사한 결과, 21개 제품은 백수오 대신 이엽우피소만을 원료로 사용하거나 섞어서 제조했는데, 이엽우피소는 백수오와 비슷하지만 간독성, 신경쇠약, 체중감소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

2, <식품의약품안전처>:
"이엽우피소: 부위: 전체, 식용여부: 불가능, 공전등재: 아니오. 식용근거: -식기- 280호(2013.1.18): 이엽우피소는 약용으로 사용된 이외에 국내 식용근거가 없는 등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아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없음.

img1.jpg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이엽우피소 검색 자료, JDM 화면 복사 옮김]

최종수정일: 2013-05-23 15:08."

[용법과 용량]

1, <중약대사전>: "내복: 3~5돈(7.4~11g)을 신선한 것은 18.5~37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시 찧어서 바르거나 갈은 즙을 바른다."

2, <중국본초도록>: "뿌리 하루 6∼12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3,
<전국중초약휘편(全國中草藥彙編)>: "뿌리 3~5돈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시에는 신선한 뿌리 혹은 전초를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이엽우피소의 효능
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151면 775호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백수오(白首烏)

기원: 라마과(蘿藦科=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식물인 이엽우피소(耳葉牛皮消: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의 괴근(塊根: 덩이뿌리)이다.

형태: 덩굴성의 반관목으로 유즙(乳汁)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卵形) 내지 난상(卵狀) 장원형(長圓形)이고 엽저는 심심장형(深心臟形)으로 양측(兩側)이 귀모양처럼 안으로 굽어져 있다. 산방상(傘房狀) 취산화서(聚傘花序)가 액생(腋生)하며 약 30송이의 꽃봉오리가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거의 끝까지 갈라지며, 화관(花冠)은 백색(白色)이고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부화관(副花冠)은 얕은 술잔모양이고, 수술은 5개로 꽃밥은 2실(室)이고 매(每) 실(室)에는 황색(黃色)의 꽃가루 덩어리 하나가 있으며 밑으로 쳐지고, 암술머리의 끝부분은 2갈래이다.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쌍생(雙生)하고, 종자는 난상(卵狀) 타원형(橢圓形)으로 가장자리에는 날개가 있으며 끝에는 백색(白色)의 털이 있다.




분포:
산비탈의 돌 사이나, 도랑가의 축축한 곳에서 자란다. 중국 각지(各地)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phosphatidylcholine 등.

기미: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 보간신(補肝腎), 익정혈(益精血), 강근골(强筋骨).

주치:
두혼안화(頭昏眼花), 실면건망(失眠健忘), 수발조백(鬚髮早白), 요슬산연(腰膝酸軟).


용량: 하루 6∼12g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2권, 328면.]


이엽우피소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백도백과(百度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비래학(飛來鶴)

원명(原名): 우피소(牛皮消),별명(別名): 이엽우피소[耳葉牛皮消], 격산소[隔山消: 사천(四川), 귀주(貴州)], 우피동[牛皮凍, 하수오:何首烏, 표표등:瓢瓢藤, 노우표:老牛瓢, 칠고연:七股蓮]

랍정문명(拉丁文名):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蘿藦科、鵝絨藤屬蔓性半灌木;宿根肥厚,呈塊狀;莖圓形,被微柔毛。葉對生,膜質,被微毛,寬卵形至卵狀長圓形,頂端短漸尖,基部心形。聚傘花序傘房狀,花萼裂片卵狀長圓形;花冠白色,輻狀,裂片反折,內面具疏柔毛;副花冠淺杯狀,裂片橢圓形,肉質,鈍頭,在每裂片內面的中部有1個三角形的舌狀鱗片;花粉塊每室1個,下垂;柱頭圓錐狀,頂端2裂。蓇葖雙生,披針形,種子卵狀橢圓形;種毛白色絹質。花期6-9月,果期7-11月。[1] (文中圖片均取自中國植物圖庫)[2]

中文學名: 飛來鶴
拉丁學名: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別 稱: 隔山消、隔山撬、白何首烏、野紅苕、羊角藤、土白蘞、萬世竹
界: 植物界
門: 被子植物門
科: 蘿藦科
屬: 牛皮消屬
種: 飛來鶴
分布: 區域江蘇、江西等地

目錄

1, 簡介
2, 形態特征
3, 生長習性
4, 地理分布
5, 分類學
6, 屬下種類
7, 藥用價值

1, 간개(簡介)


飛來鶴爲蘿藦科植物耳葉牛皮消的莖葉。生長於山坡樹林下或路旁。分布於中國長江流域各省,南至廣東均有分布。產江蘇、江西等地。具有健胃消積,解毒消腫的功效。用於食積腹痛,胃痛,小兒疳積,痢疾;外用治毒蛇咬傷,疔瘡。

【별명(別名)】격산소[隔山消, 격산효:隔山撬: 사천(四川)], 백하수오[白何首烏: 강소(江蘇), 강서(江西)], 야홍초[野紅苕, 양각등:羊角藤, 토백렴:土白蘞, 만세죽:萬世竹, 전사주:剪蛇珠, 산보호:山步虎, 야번서:野番薯]

【래원(來源)】爲蘿藤科牛皮消屬植物飛來鶴(耳葉牛皮消)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以根或全草入藥。

【성미귀경(性味歸經)】甘、微苦,平。有小毒。

【공능주치(功能主治)】健胃消積,解毒消腫。用於食積腹痛,胃痛,小兒疳積,痢疾;外用治毒蛇咬傷,疔瘡。

【용법용량(用法用量)】 3~5錢;外用適量,鮮根或全草搗爛敷患處。

【비주(備注)】

(1).過量發生中毒症狀和解救方法:中毒後有流涎、嘔吐、癲癇性痙攣,強烈抽搐,心跳緩慢等症狀。在未出現痙攣前,可催吐、洗胃及導瀉;內服蛋清、牛奶或活性炭,並服鎮靜劑預防痙攣發生;如已經發生痙攣則可針刺人中、合穀、湧泉等穴位,注射苯巴比妥或可樂靜,用水合氯醛灌腸,同時靜脈滴注5%葡萄糖鹽水,必要時給氧和對症治療。
(2).江蘇省部分地區以本鍾作何首烏用。
(3).近緣植物日本牛皮消Cynanchum caudatum Maxim.主產日本,我國不產,過去國內文獻記載有此種,多系誤定。

【적록(摘錄)】《全國中草藥彙編》

2, 形態

特征

蔓性半灌木;宿根肥厚,呈塊狀;莖圓形,被微柔毛。葉對生,膜質,被微毛,

牛皮消[2]

寬卵形至卵狀長圓形,長4-12厘米,寬4-10厘米,頂端短漸尖,基部心形。聚傘花序傘房狀,著花30朵;花萼裂片卵狀長圓形;花冠白色,輻狀,裂片反折,內面具疏柔毛;副花冠淺杯狀,裂片橢圓形,肉質,鈍頭,在每裂片內面的中部有1個三角形的舌狀鱗片;花粉塊每室1個,下垂;柱頭圓錐狀,頂端2裂。蓇葖雙生,披針形,長8厘米,直徑1厘米;種子卵狀橢圓形;種毛白色絹質。花期6-9月,果期7-11月。

3, 생장습성(生長習性)

生長於從低海拔的沿海地區直到3500米高的山坡林緣及路旁灌木叢中或河流、水溝邊潮濕地。

4, 지리분포(地理分布)


產於山東、河北、河南、陝西、甘肅、西藏、安徽、江蘇、浙江、福建、台灣、

牛皮消[2]

江西、湖南、湖北、廣東、廣西、貴州、四川、雲南等。印度也有。模式標本采自印度。

5, 분류학(分類學)

飛來鶴,原名:牛皮消,別名:耳葉牛皮消、 隔山消(四川、貴州);牛皮凍、何首烏、瓢瓢藤、老牛瓢、七股蓮,拉丁文名: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被子植物門;雙子葉植物綱;捩花目;蘿藦科;鵝絨藤屬;飛來鶴。[1]

6, 속하종류(屬下種類)


牛皮消(救荒本草)飛來鶴(植物名實圖考);耳葉牛皮消(中國藥用植物志);
牛皮消[2]隔山消(四川、貴州);牛皮凍(湖南);何首烏(南京);瓢瓢藤、老牛瓢、七股蓮(江蘇) 圖版109(10-15)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Contr. Bot. Ind. 58. 1834; Schneid. in Sarg. Pl. Wils. 3: 346. 1916; Court. in Mem. Hist. Nat. Emp. Chin. 6, 1: 78. 1920 et in Mus. Heude Not. Bot. Chin. 2: 84. 1933; Tsiang in Sunyatsenia 4: 108. 1939, in Fang, Ic. Pl. Omei. 1 (2): Pl. 86. 1944;中國高等植物圖鑒, 3: 473, 圖4899. 1974; Tsiang et P. T. Li in Acta Phytotax. Sinica 12: 87. 1974. ——Diploglossum auriculatum Meissn. Gen. Comm. 176. 1840. ——Endotropis auriculata Decne. in DC. Prodr. 8: 546. 1844.——Vincetoxicum auriculatum O. Kuntze, Rev. Gen. Pars 1: 424. 1891. ——Cynanchum boudieri Lev. et Van. in Bull. Soc. Bot. France 51: 144. 1904. ——Cynanchum caudatum seusu auctt. , non (Miq. ) Maxim. : Hand. -Mazz. Symb. Sin. 7: 996. 1936; Rehd. in Journ. Arn. Arb. 18: 239. 1937;徐炳聲等, 黃山植物的研究, 163. 1965.[1]

在國內一些標本室和一些文獻書籍均將本種誤定爲:Cynanchum caudatum Maxim.(=C. maximoviczii Pobed.),唯後者的葉片先端尾尖狀,花序傘形,呈圓頭狀,花較小,產於日本,在我國尚未見分布。[1]

7, 약용가치(藥用價值)

藥用塊根,養陰清熱,潤肺止咳,可治神經衰弱,胃及十二指腸潰瘍、腎炎、

牛皮消[2]水腫等。[1] 詞條圖冊

更多圖冊 ◆ 詞條圖片(5張)
1/1

참고자료(參考資料)

1, 우피소(牛皮消), 비래학(飛來鶴).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 [인용일기(引用日期) 2014-12-6] .

2, 우피소(牛皮消), 중국식물도고(中國植物圖庫) [인용일기(引用日期) 2014-12-6].
]

이엽우피소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A+의학백과(醫學百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비래학(飛來鶴)


[이엽우피소의 흑백세밀화]


별명(別名): 隔山消、隔山撬[四川]、白何首烏[江蘇、江西]、野紅苕、羊角藤、土白蘞、萬世竹、剪蛇珠、山步虎、野番薯、奶漿藤、牛皮凍

공효작용(功效作用): 健胃消積,解毒消腫。用於食積腹痛,胃痛,小兒疳積,痢疾;外用治毒蛇咬傷,疔瘡。

영문명(英文名):

시재어(始載於): 《植物名實圖考》

독성(毒性): 유독(有毒)(일설무독:一說無毒)

귀경(歸經):

약성(藥性): 평(平)

약미(藥味): 감(甘), 고(苦)

《전국중초약휘편(全國中草藥彙編)》: 비래학(飛來鶴)

【拼音名】 Fēi Lái Hè

【別名】 隔山消、隔山撬[四川]、白何首烏[江蘇、江西]、野紅苕、羊角藤、土白蘞、萬世竹、剪蛇珠、山步虎、野番薯

【來源】 為蘿藤科牛皮消屬植物飛來鶴(耳葉牛皮消)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以根或全草入藥。秋季采根;夏、秋採收全草,洗淨泥土,晒乾備用。

【原形態】 多年生蔓性草本,長可達3米,全株被柔毛。地下宿根肥厚呈塊狀,外皮黑褐色。莖纏繞,下部木質化,上部多分枝。葉對生,葉柄扁圓形,長3~5厘米;葉片寬卵形或寬心形,長4~10厘米,寬3.5~9厘米,先端尖,基部心形,兩側呈耳狀,全緣,上面綠色,下面白綠色。夏、秋於葉腋開多數黃白色小花,集成傘房狀聚傘花序,花萼近於5全裂,裂片條狀披針形,花冠5深裂,裂片廣披針形,均向下反折;副花冠5裂,與雄蕊基部連合呈鑽狀披針形,高出柱頭之上,內外均有突起的附屬物;雄蕊5,花絲連合成管狀,花藥著生在柱頭周圍,先端有白色呈半圓形的薄膜蓋覆柱頭,藥有2室,每室各有一黃色卵形花粉塊,鄰接2藥的各室中的一花粉塊以一載粉塊器的二臂相連;雌蕊1,子房上位,為2分離心皮所組成。蓇葖果細長角狀,長約11厘米,寬約1.2厘米,兩端窄尖,熟時一側開裂。種子多數,頂端有一簇白色長毛。

【生境分布】 生於山地林緣或路旁。常纏繞其他植物生長。我國長江下游地區均有分布。

【化學成份】 含痙攣性的蘿藦毒素(cynanchotoxin)。

【性味】 甘、微苦,平。有小毒。

【功效與作用】 健胃消積,解毒消腫。用於食積腹痛,胃痛,小兒疳積,痢疾;外用治毒蛇咬傷,疔瘡。

【用法用量】 3~5錢;外用適量,鮮根或全草搗爛敷患處。

【備註】

1、過量發生中毒症状和解救方法:中毒後有流涎、嘔吐、癲癇性痙攣,強烈抽搐,心跳緩慢等症状。在未出現痙攣前,可催吐、洗胃及導瀉;內服蛋清、牛奶或活性炭,並服鎮靜劑預防痙攣發生;如已經發生痙攣則可針刺人中、合谷、湧泉等穴位,注射苯巴比妥或可樂靜,用水合氯醛灌腸,同時靜脈滴注5%葡萄糖鹽水,必要時給氧和對症治療。

2、江蘇省部分地區以本種作何首烏用。

3、近緣植物日本牛皮消Cynanchum caudatum Maxim.的根中,過去認為含有蘿藦毒素,後經研究,證明含有強心甙,由牛皮消甙元(cynanchogenin C27H40O6)與D-加大麻糖(D-cymarose)組成;並含另一種甙,分解生成潘奴波甙元(penupogenin)。因此,飛來鶴中所含的蘿藦毒素是否亦是強心甙,只得進一步研究。主產日本,我國不產,過去國內文獻記載有此種,多系誤定。

【摘錄】 《全國中草藥彙編》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비래학(飛來鶴)【出處】 《植物名實圖考》

【拼音名】 Fēi Lái Hè

【別名】 奶漿藤(《天寶本草》),牛皮凍、野紅苕(成都《常用草藥治療手冊》)。}

【來源】 為蘿藦科植物耳葉牛皮消的莖葉。6~8月采,晒乾。本品易生蟲霉,宜勤翻曬。

【原形態】 多年生纏繞草本,全體有微柔毛。莖圓柱形,上部多分枝。葉對生,有長柄;葉片廣卵形,寬5~11厘米,先端尖,全緣,基部深心形,兩側呈圓耳狀下延或內彎。聚傘狀花序臃生,花黃白色;萼與花冠各5深裂,裂片向下反卷;副冠5,鑽狀披針形,高出柱頭;雄蕊5,著生於花冠基部,花絲連成筒狀,藥附著於柱頭周圍;雌蕊由2心皮組成。蓇葖果長約11厘米,寬約1.2厘米,成熱時沿一側開裂。種子卵形而扁,褐色,先端有一束白亮的長絨毛。花期8~10月。果熟期11月。

【生境分布】 生長於山坡樹林下或路旁。我國長江流域各省,南至廣東均有分布。產江蘇、江西等地。

【性狀】 乾燥莖葉,全體呈淡黃褐色。莖細而長,呈圓柱形,具多數細縱線,中空;質脆易折斷;橫斷面黃白色,纖維狀,皮部與木質部脫離,木質部組織疏鬆,有多數小孔,中心為孔洞。葉多皺縮,綠褐色,質薄而脆,味甘微辛。以乾燥、無雜質、顏色淡綠者佳。

【性味】 《江西中藥》:"甘微辛,溫,無毒。"

【功效與作用】 《天寶本草》:"下乳。"

《江西中藥》:"治瘰癧,久服有效。"

【用法用量】 內服:煎湯,3~5錢。

【摘錄】 《中藥大辭典》.
]

[백수오, 하수오, 박주가리와 이엽우피소 구별법(인터넷 네이버 검색 자료)]


[백수오와 이엽우피소 비교, 사진 출처: 한국소비자원]



<왼쪽은 백수오, 오른쪽은 이엽우피소>


<왼쪽은 하수오(적하수오), 중간은 백수오(백하수오), 오른쪽은 이엽우피소>


<잎의 특징: 백수오, 하수오,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이엽우피소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덩이뿌리>


1, 이질

이엽우피소(
耳葉牛皮消) 뿌리 37g을 물로 달여서 1일 1회 복용한다. [강서초약(江西草藥)]

2, 식적포창(食積飽脹)

격산소(隔山消) 3.7g을 가루내어 끓인 물로 1일 1회 먹는다. [귀주(貴州), 상용민간초약수책(常用民間草藥手冊)]

3, 위기통(胃氣痛)이 오랫 동안 낫지 않을 때

격산소(隔山消) 7.4g을, 만년교(萬年蕎) 3.5g을 가루로 만들어 1일 3회, 1회에 3.7g을 끓인 물로 복용한다. [귀주(貴州), 상용민간초약수책(常用民間草藥手冊)]

4, 만성위통

격산소(隔山消) 37g, 계시등(鷄屎藤) 18.5g을 돼지고기와 함께 뭉근한 불에 푹 삶아 먹는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5, 기격일식(氣隔
噎食), 전식(轉食) 
격산소(隔山消) 74g,
계돈피(鷄肫皮) 37g, 우담(牛膽), 남성(南星), 주사(朱砂) 각 37g, 급성자(急性子) 7.4g을 가루내고 겨울에 딴 꿀에 반죽하여 소두(小豆)만한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 3.7g을 묽은 생강탕으로 먹는다. [손천인집효방(孫天仁集效方)]

6, 소아비괴(
小兒痞塊)
격산효(隔山撬) 37g에 백당(白糖)을 넣고 달여서 갈증이 날 때 차대신 매일 3~5회 마신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7, 소아감질(小兒疳疾), 격식(隔食)을 치료하고 아울러 식욕을 돋우며 비(脾)를 튼튼하게 하는 처방

격산소(隔山消), 고교두(苦蕎頭), 계시등(鷄屎藤), 마제초(馬蹄草), 어추관(魚鰍), 측이근(側耳根)을 가루내고 석감자엽(석柑子葉), 계내금(鷄內金)을 넣고 쪄서 달걀로 먹는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8, 식학(食
)
격산소(隔山消: 가루) 1.85g,
지고편(地牯片: 머리와 밑을 제거하고 눌게 구워서 가루낸 것) 3개를 섞어 미즙(米汁)으로 먹는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9, 최유(催乳)하는 처방
격산효(隔山撬) 37g을 고기와 함께 뭉근한 불에 푹 삶아 먹는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이엽우피소 재배방법]


1, 기후와 토양:
토양에 대한 조건은 까다롭지 않다. 비옥하고 푸석푸석하고 토층이 깊고 배수가 잘 되는 모래 섞인 땅이 비교적 좋다.

2, 번식:
종자와 뿌리로 번식한다.

① 종자 번식:
육모하여 이식한다. 사천(四川) 지방에서는 3~4월에 파종한다. 정지해서 너비 1.3m되는 두둑을 지은 다음 두둑 면에 가로 홈을 만든다. 홈 사이 거리를 33cm, 홈 깊이를 약 7cm로 하여 가로 홈을 낸다. 파종 사이의 거리는 10~13cm이다. 거름은 인분이나 축분을 준다. 무(畝)당 종자 500g씩 재와 인분이나 축분과 함께 고루 섞어서 홈에 심고 종자가 보이지 않게 재를 덮는다. 2~3년 지나서 이식해도 좋다. 이식은 가을에 모가 쓰러질 때부터 이듬해 봄 싹이 트기 전까지 한다. 먼저 땅을 파서 엎어 배수로를 만든 다음 1.3m 너비의 두둑을 만든다. 그 다음 묵은 줄기가 달린 덩이뿌리를 파내어 이랑 상이 거리와 포기 사이 거리를 각각 33cm로 하여 구멍을 판 다음 한 포기씩 이식하고 흙을 덮어서 다져 놓는다. 다진 뒤에 물을 준다.

② 뿌리 번식:
겨울에 파낼 때 눈이 있는 뿌리를 골라서 이식할 포기로 한다. 심는 방법과 관리 방법은 육모 이식에서와 같다.

3, 경작 관리:
싹이 트면서부터 자주 잡초를 뽑아 버리고 봄 가을에 한 번씩 인분이나 축분 덧거름을 낸다. 이식 후에는 덩굴의 길이가 약 33cm도 되었을 때와 가을에 모가 쓰러진 후, 각각 한 번씩 사이갈이와 김매기하고 웃거름을 준다. 거름은 인분이나 축분이 좋다. 심은 후 이듬해부터 덩굴의 길이가 33cm 되면 감아 오르기 쉽게 받침대를 세운다.

4, 병충해의 예방 퇴치:
진딧물에 의한 충해는 로고르로 방지한다. [중약대사전]

최근들어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백하수오로 불리는 백수오와 비슷하게 생겨서 이엽우피소를 사용하다가 큰 파문을 일으키기도 한 식물이다. 하수오와 이엽우피소는 간독성의 부작용이 있어 정해진 용량을 사용해야 하며 독성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법제를 통하여 사용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들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이엽우피소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나도하수오 무엇인가?
  2. 덩굴모밀(화탄모초) 무엇인가?
  3. 박주가리(라마) 무엇인가?
  4. 백수오-1(백하수오) 무엇인가?
  5. 백수오-2(대근우피소) 무엇인가?
  6. 삼도하수오 무엇인가?
  7. 이엽우피소(비래학) 무엇인가?
  8. 하수오(적하수오) 무엇인가?
  9. 홍약자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