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팝나무 무엇인가?

활짝핀 꽃이 흰쌀밥을 담아놓은 것같이 보이는 이팝나무

 

 

 

 

 

 

 

 

 

 

 

 

[이팝나무의 잎, 꽃, 꽃이 핀 전체 모습, 익은 열매, 종자, 어린가지, 겨울눈, 나무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강장, 흥분, 익뇌, 건위, 활혈맥, 기력이 감퇴되어 일어나는 수족마비를 다스리는 이팝나무

이팝나무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이다.

이팝나무의 학명은 <
Chionanthus retusus Lindl. et Paxton>이다. 산골짜기나 들판에서 자란다. 높이 약 20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약간 난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며 타원형이고 길이 3∼15cm, 나비 2.5∼6cm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 싹의 잎에는 겹톱니가 있다. 겉면은 녹색, 뒷면은 연두색이며 맥에는 연한 갈색 털이 난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피는데, 새가지 끝에 원뿔 모양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4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흰색이며 나비 3mm 정도이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7∼10mm이고 마디가 있다. 수술은 2개로서 화통(花筒)에 붙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로서 타원형이고 검은 보라색이며 10∼11월에 익는다. 번식은 종자나 꺾꽂이로 한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거나 땔감으로 쓰며, 목재는 염료재와 기구재로 사용한다. 민속적으로 보면 나무의 꽃피는 모습으로 그해 벼농사의 풍흉을 짐작했으며, 치성을 드리면 그해에 풍년이 든다고 믿어 신목으로 받들었다. 나무 이름의 연유도 벼농사가 잘되어 쌀밥을 먹게 되는데서 유래한 것이라고 전해지며 입하(立夏)무렵에 꽃이 피기 때문에 이팝나무라고 불렀다는 설과 나무에 열린 꽃이 쌀밥과 같다고 하여 이팝나무라고 불렀다고 하기도 한다.

한국(중부 이남), 일본, 타이완, 중국에 분포한다. 관상적 가치가 풍부하며 잎은 바소꼴이고 꽃잎의 나비가1∼1.5mm인 것을 긴잎이팝나무(var.corena)라고 한다.

이팝나무라는 이름의 연유에 대해서는 몇 가지 추론이 있다.
첫째는 입하(立夏) 무렵에 꽃이 피므로 입하가 이팝으로 변음하였다는 것이고, 둘째는 이 꽃이 만발하면 벼농사가 잘 되어 쌀밥을 먹게 되는 데서 이팝(이밥, 즉 쌀밥)이라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며, 셋째는 꽃이 필 때는 나무가 흰 꽃으로 덮여서 쌀밥을 연상시키므로 이팝나무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자어로는 육도목(六道木)이라 한다. 학명은 Chionanthus retusa LINDL. et PAXTON이다.

높이가 20m에 달하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마주 달리고 타원형·난형·난상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릴 때는 복거치(複鋸齒)가 있다. 표면의 중륵과 뒷면 중륵의 밑부분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추상 취산화서에 달린다. 화서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6∼10㎝이며, 소화경에 환절(環節)이 있다. 꽃받침과 화관은 네 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두 개가 화관통에 붙어 있다. 수꽃에 암술이 없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길이 1∼1.5㎝로서 검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자라지만 해안을 따라 인천 앞바다까지 올라간다.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서림에는 50여 그루가 집단으로 자라고 있다.

전라남도에서는 입하 무렵에 꽃이 핀다고 입하나무 즉 <입하목(立夏木)>이라고 부르고, 못자리를 시작할 때 꽃이 한꺼번에 활짝 피면 풍년이 들고, 잘 피지 않으면 흉년, 시름시름 피면 가뭄이 심하다고 전하여오고 있다.

잎이 피침형이고 꽃잎의 너비가 1∼1.5㎜인 것은 긴잎이팝나무라고 한다. 농민들이 오랫동안 풍년을 점치는 나무로 삼았기에 보호가 잘 되어 노거수들이 많이 있다.

이팝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유소수[流蘇樹=liú sū shù=리우: 하북습견수목도설(河北習見樹木圖說)], 탄율수[炭栗樹: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만피수[晚皮樹: 복건(福建)], 철황형[鐵黃荊, 나미화:糯米花:: 안휘(安徽)], 우금자과수[牛金茨果樹: 운남(雲南)], 여밀화[如密花, 사월설:四月雪, 유공자:油公子: 강소(江蘇)], 백화채[白花菜 섬서(陝西)], 히토츠바타고[ヒトツバタゴ=一つ葉タゴ=一つ葉田子 난쟈몬쟈:ナンジャモンジャ, 타고:タゴ: 일본명(日本名)], Chinese fringetree[영명(英名)], 입하목[立夏木], 육도목[六道木], 니암나무, 뻣나무, 니팝나무, 긴잎이팝나무, 이팝나무 등으로 부른다.

이팝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861호에서는 이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탄율수(炭栗樹)

[기원]
물푸레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Linne. et Paxton의 열매이다.

[효능주치]
강장(强壯), 흥분(興奮), 익뇌(益腦), 건위(健胃), 활혈맥(活血脈)한다.

[임상응용]
기력이 감퇴되어 일어나는 수족마비에 활용된다.
]

이팝나무에 대해서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 258-259면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이팝나무(입하목=立夏木)

이팝나무는 꽃이 활짝 피면 쌀밥을 담아놓은 것같이 보여 이밥나무가 이팝나무로 변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 이 나무의 꽃이 만발하면 풍년이 들고 드문드문 필 때는 가뭄의 피해가 있으며 꽃이 잘 피지 않으면 흉년이 온다는 신앙에 가까운 민속 때문에 이 나무가 쌀밥을 먹고 못먹는 것을 점쳐준다(풍흉=豊凶)하여 이팝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도 있으며 이창복(李昌福) 박사는 <입하절에 꽃이 피기 때문에 입하목(立夏木)이라고 부른 것이 입하나무, 한 걸음 더 나아가 이팝나무가 된 것이 아니겠느냐>고도 말하고 있다. 어떻든 이 나무는 그만큼 꽃이 피는 것이 이 나무의 인상을 대변하고 있는 흥미있는 나무다.

이팝나무는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자생하는 낙엽교목으로 전국에 17주나 되는 노거수가 있다. 이 가운데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도 8주나 있으며 이들은 대개 수령 2백~3백 년 된 노목들이다. 농민들은 이 나무의 꽃이 잘피고 못피는 것을 보고 그 해 벼농사의 풍흉을 미리 점쳐왔는데 이는 현대과학으로서도 이해되는 옛날 선조의 슬기라고 할 수 있다.

입하절이 되면 남쪽에서는 못자리를 만드는데 이때가 이팝나무의 개화기로서 수분이 많으면 꽃이 활짝 피고 가물면 꽃이 잘 피지 못한 것이 오랜 세월을 두고 경험한 농업기상의 산 지식이 되어 전설로 넘게 된 것이다. 그래서 남쪽에서는 이팝나무가 꽃필 때면 풍년을 기원하는 간절한 마음들이 노거수의 개화 상태를 보고 그 해 농사를 점치러 구름처럼 모였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민속신앙이 싹트지 않을 수 없었으며
이팝나무에 치성 드리면 그 해에 풍년이 든다고 믿어 신목으로 받들어 기도, 치성 드린 나무가 전국에 여러 주 있다.

우리나라의 다른 노거수들에 얽힌 민속이나 전설은 곳(지방=地方)에 따라 각양각색이지만 이팝나무만은 어느곳에 있던지간에 한결같이 꽃피는 것으로 농사의 풍, 흉을 점쳤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락없이 맞아들었다는 점도 또한 특색이었으므로 신성시되고 섬김을 받아온 것이다.

천연기념물 44호인 송광사의 2백50년 된 노거수는 농민의 기상표준목 같은 구실을 해 온 대표적인 나무였으나 지금은 쇠약해져 버렸다. 또 부산 양정동에 있는 천연기념물 187호의 이팝나무도 공해 탓으로 1978년같이 일찍이 없었던 큰 풍년이 든 해에도 봄의 개화는 흉년을 알리는 상태의 개화였었다. 이것 역시 과학적인 견해로서 이해되는 일이다.

천연기념물 214호인 전북 진안군 마영면 평지리의 초등학교 옆에 있는 이팝나무 숲은 옛날부터 어린아이들이 죽으면 이곳에 묻어왔기 때문에 이 숲을 다치지 못하여 오늘날도 꽃필 때면 장관을 이룬다.

<광에서 인심난다>는 속담도 있듯이 가정의 평화를 이팝나무에 기도, 치성, 드리는 것도 그 뜻을 끌어다 쓴 것이 아닌지 미소짓게 된다.
]

봄철 나무전체를 흰색꽃으로 덮고 있는 이팝나무의 꽃은 많은 사람들에게 흥미를 자아내게해주고 잠시 멈춰서서 꽃을 바라보게 만든다. 또한 보는이로 하여금 눈을 즐겁게 해준다. 조선시대에는 쌀밥을 '이밥'이라고도 했는데 탐스런 꽃송이가 사발에 소복이 담긴 흰 쌀밥처럼 보여 '이밥나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에 '이밥'이 '이팝'으로 변했다고도 전해진다. 필자도 경남 의령에서 산행을 하다 제법 오래된 이팝나무가 꽃이 피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사진을 기념으로 찍을 수 있었는데, 아래 사진감상 번호를 클릭하면 볼 수 있다. 타원형 열매는 가을에 검푸른색으로 익는데 실처럼 긴자루에 매달려 있다. 열매의 종자는 기름의 원료로 사용되며 꽃이 곱고 향기로으므로 관상용으로 공원, 정원, 유원지, 가로수 등지에 심고 있다. 목재는 가구재, 기구재로 활용되고 있다.

이팝나무와 달리 잎은 버들잎 모양이며 꽃갈래조각(너비 1mm 정도)은 매우 좁은 것이 특징인 '긴잎이팝나무'는 우리나라 제주도의 산지대에서 자라고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이팝나무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이팝나무 사진 상세 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이팝나무 사진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