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정(층층갈고리둥굴레) 무엇인가?

항노화 면역기능증진 고지혈증에 좋은 황정

 

 

 

 

 

 

 

 

 

 

 

 

[황정의 잎과 꽃, 줄기, 짧고 굵은 뿌리, 법제된 뿌리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항노화 작용, 항병원미생물 작용, 항진균 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심혈관계통 작용, 고지혈증 작용, 면역기능영향 작용, 혈당에 영향 작용, 항산화 작용, 강압 작용, 혈당량감소 작용, 동맥경화예방 작용, 간지방 침착 예방 작용, 보중익기, 윤심폐, 허손 한열, 근골 연약, 풍습 동통, 원기회복, 골막염, 회충,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빛이 좋아지며 늙지 않게 되고 배고픈줄을 모르게 되는데, 고혈압, 적백대하, 중초를 튼튼하게 하는데, 심폐를 촉촉하게 하는데, 병후체허식소 풍나선질, 풍사를 몰아내는데, 습사를 없애는데, 오장을 안정시키는데, 오로칠상을 보양하는데, 기아와 한서를 견디게 하는데, 비위를 보익하는데, 정을 보충하는데, 각종 허한 증상을 보하는데, 한열을 멎게 하는데, 정수를 보충하는데, 삼시충을 내려오게 하는데, 기혈을 평하게 하는데, 간헐열, 통풍, 고혈압, 신을 보하는데, 비가 허하여 얼굴이 누런 증세, 폐가 허하여 나는 해수, 근골이 아프거나 마비로 무력한 증세, 산후의 기혈 쇠약, 진액을 생성하는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정수를 보익하며 백발을 검게하는 처방, 정기를 보양하는 처방, 비위의 허약, 신체 무력, 폐로해혈, 적백 대하, 폐결핵, 병후 허약, 소아의 하지 마비, 위열 구갈, 눈을 치료하고 간기를 보익하며 시력을 좋게 하는 처방, 영기가 맑지 못하고 풍이 장기간 맥에 들어가 라로 된 증상, 코가 상하고 색깔이 검어진 증상, 피부가 가렵고 궤란된 증상, 요충병, 폐결핵[임상보고], 진균증[임상보고], 근시안, 수족 버즘, 폐결핵과 만성기관지염, 고지혈증, 관심병, 백혈구 감소증을 다스리는 황정

황정은 피자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황정의 학명은
<
Polygonatum sibirium Redoute>이다. 황정(층층갈고리둥굴레)은 높이가 50~90cm이다. 땅속줄기는 보통 짧게 갈라지고 굵은 둥근기둥꼴 또는 덩이모양의 둥근기둥꼴이며 굵기는 1~2cm이다. 줄기는 곧게 서지만 드물게 덩굴성이기도 하며 털이 없다. 잎은 4~6개로 돌려나기를 하며 잎자루가 없다. 잎 뒷면은 회청색이며 줄모양의 바소꼴이고 털이 없으며 맨끝은 뚜렷하게 말리거나 구부러져 있다. 꽃은 5~6월에 유백색 또는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꽃차례는 우산꽃차례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 2~4개씩 모여 달린다. 싸개잎은 작은 꽃자루 밑쪽에 남아있으며 줄모양의 바소꼴이며 막질이다. 꽃덮이는 둥근통꼴이고 중간부위가 잘록하다. 꽃밥은 수술대보다 더 길다. 열매는 물열매이며 8~9월에 검은빛으로 익으며 씨는 4~7개가 들어 있다.

다년생초본으로 우리나라 북부와 러시아, 중국, 몽골에 분포한다. 황무지의 비탈, 산지의 잡목이나 관목의 주변에서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충북 제천시 덕산에서 많이 재배된다.

꽃생김새꽃은 5~6월에 유백색 또는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꽃차례는 우산꽃차례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 2~4개씩 모여 달린다. 싸개잎은 작은 꽃자루 밑쪽에 남아 있으며 줄모양의 바소꼴이며 막질이다. 꽃덮이는 둥근통꼴이고 중간부위가 잘록하다. 꽃밥은 수술대보다 더 길다.

황정을 우리나라는 <층층갈고리둥굴레>라고 부르는데, 북한에서 <낚시둥굴레>라고 부르는 이유는 황정의 잎끝이 <낚시처럼 구부러지고 마른다>는 것을 보고 지어진 이름이다. .

참조: 중국에서는 아래의 11종류를 황정이라는 약재로 사용한다.

1, 황정[黃精=
낚시둥굴레=죽대둥굴레=층층갈고리둥굴레:
Polygonatum sibirium Redoute]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흑룡강(黑龍江), 길림(吉林), 요녕(
寧), 하북(河北), 산동(山東), 강소(江蘇), 하남(河南), 강서(江西), 섬서(陝西), 내몽고(內蒙古) 등지에 분포한다.

2, 낭사황정[
囊絲黃精: Polygonatum cyrtonema Hua]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산동(山東), 강소(江蘇), 안휘(安徽), 절강(浙江), 호북(湖北), 강서(江西), 호남(湖南), 광동(廣東), 광서(廣西), 하남(河南) 등지에 분포한다.

3, 열하황정[
熱河黃精=다화옥죽:多花玉竹: Polygonatum macropodium Turcz]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동북(東北) 및 화북(華北), 산동(山東) 등지에 분포한다.

4, 전황정[
滇黃精=절절고:節節高=서남황정:西南黃精: Polygonatum kingianum Coll. et Hemsl.]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운남(雲南) 등지에 분포한다.

5,
권엽황정[捲葉黃精=백약자:白藥子=반용칠:盤龍七=산반칠:算盤七=계두삼:鷄頭參=산강:山薑=야날:惹涅=윤엽황정:輪葉黃精=참둥굴레: Polygonatum cirrhifolium (Wall) Royle.]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요녕(
寧), 티베트, 신강(新疆), 섬서(陝西), 감숙(甘肅), 호북(湖北), 사천(四川), 동북(東北) 등지에 분포한다.

6,
매괴홍황정[玫瑰紅黃精: Polygonatum roseum (Ledeb) Kunth]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신강(新疆)에 분포한다.

7,
감숙황정[甘肅黃精: Polygonatum verticillatum (L.) All]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서북(西北)에 분포한다.

8,
만화주황정[彎花柱黃精: Polygonatum curvistylum Hua]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영하(寧夏)에 분포한다.

9,
홍과황정[紅果黃精: Polygonatum erythrocarpum Hua]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청해(靑海), 감숙(甘肅) 등지에 분포한다.

10,
장경황정[長梗黃精: Polygonatum filipes Merr]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절강(浙江), 복건(福建) 등지에 분포한다.

11,
심산황정[深山黃精: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절강(浙江), 강서(江西) 등지에 분포한다.

참조: 우리나라에서는 아래의 3종류를 황정이라는 약재로 사용한다.

1, 황정[黃精=낚시둥굴레=죽대둥굴레=층층갈고리둥굴레:
Polygonatum sibirium Redoute]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과 북한의 평안남도의 낮은 산, 개울가에서 자란다.

2, 진황정[댓잎둥굴레=대잎둥굴레:
Polygonatum falcatum A. Gray]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들판, 산기슭에서 자란다.

3, 층층둥굴레[수레둥굴레=잎이 줄기에 층층으로 윤생하는 둥굴레: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 동북부, 우수리, 우리나라 북부지방과 중부지방, 남부지방, 단양, 제천, 전남 구례에서 자란다.

황정의 여러 가지 이름은
황정[黃精=
huáng jīng=후앙: 뇌공포자론(雷公炙論)], 용함[龍銜: 광아(廣雅)], 태양초[太陽草: 장화(張華), 박물지(博物誌)], 백급[白及, 토죽:兔竹, 수주:垂珠, 계격:鷄格: 포박자(抱朴子)], 녹죽[鹿竹, 중루:重樓: 명의별록(名醫別錄)], 위유[萎蕤, 구격:苟格, 마전:馬箭, 필채:筆菜: 본초도경(本草圖經)], 황지[黃芝: 영지서초경(靈芝瑞草經)], 필관채[筆管菜: 구황본초(救荒本草)], 생강[生薑: 전남본초(滇南本草)], 야생강[野生薑: 본초몽전(本草蒙筌)], 야선강[野仙薑: 광서통지(廣西通誌)], 산생강[山生薑: 본초비요(本草備要)], 옥죽황정[玉竹黃精, 백급황정:白芨黃精: 본초종신(本草從新)], 양작홍[陽雀蕻: 진계지(辰溪誌)], 토영지[土靈芝, 노호강:老虎薑: 초목편방(草木便方)], 산도구[山搗臼: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계두삼[鷄頭參: 산서중약지(山西中藥誌)], 황계채[黃鷄菜, 계두황정:雞頭黃精: 중약지(中藥誌)], 산강[山薑: 호남농촌상용중초약수책(湖南農村常用中草藥手冊)], 낭사황정[囊絲黃精, 열하황정:熱河黃精, 다화옥죽:多花玉竹, 전황정:滇黃精, 권엽황정:捲葉黃精: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조자삼[爪子參: 섬서(陝西)], 계조삼[雞爪參: 감숙(甘肅)], 생강[生薑, 미포:米脯, 토죽:菟竹, 구궁:救窮, 무이지:戊已芝, 선인여량:仙人餘糧, 기정:氣精, 미포:米餔, 백급황정:白及黃精, 양예홍:陽譽蕻, 뇌강:賴薑: A+의학백과(A+醫學百科)], 카기쿠루마바나루코코리[カギクルマバナルコユリ: 일문명(日文名)], 낚시잎둥굴레[죽대둥굴레, 낚시둥굴레: 북한말], 층층갈고리둥굴레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
봄과 가을에 채취하지만 가을에 채취한 것이 질이 좋다. 뿌리 줄기를 캐내어 지상 부분과 수염부리를 제거한다. 흙을 씻어 버리고 시루에 넣어 기름기가 나올 때까지 쪄서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다. 또는 물 속에 넣어 끓인 다음 건져내어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쪼여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
마른 뿌리 줄기는 불규칙한 원뿔꼴이고 형상은 닭의 대가리와 비슷하여 계두황정(鷄頭黃精)이라고 부른다. 생강(生薑)과 비슷한 덩어리 모양을 타나내어 강형황정(薑形黃精)이라고도 부른다. 분지는 적고 짧으며 굵은데 길이는 3~10cm, 지름은 1~3cm이다. 표면은 황백색 내지 황갈색으로 반투명하고 전체에 가는 주름과 약간 융기되어 물결 모양을 나타내는 환절(環節)이 있다. 지상경의 흔적은 원반 모양이고 중심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며 뿌리의 흔적은 대개 점 모양으로 돌기되어 전체에 분포되어 있거나 팽대 부분에 많이 집중되어 있다. 마른 것은 질이 단단하고 쉽게 끊어지지만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것은 부드럽고 질기다. 단면은 담갈색이고 반투명한 각질 모양이거나 납질(蠟質) 모양을 나타내고 황백색의 작은 점이 많이 있다. 냄새는 없고 맛은 약간 달며 점성이 있다. 크고 누렇고 단면이 투명하며 질이 윤택하여 보통 빙당사(氷糖渣)라고 불리는 것이 좋다.주산지는 귀주(貴州), 호남(湖南), 절강(浙江), 광서(廣西), 하북(河北), 내몽고(內蒙古), 요녕(遙寧), 산서(山西)이다."

[성분]


<중약대사전>: "
황정(黃精)의 뿌리 줄기는 점액질, 전분 및 당분을 함유하고 있다.

난사황정(囊絲黃精)의 뿌리 줄기에는 azetidine-2-carboxylic acid, aspartic acid, homoserine, diaminobutylic acid, digitalis glicoside 및 여러 가지 andraguinone 류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잎에는 vitexin, xyloside와 5.4'-dihydroxyflavone의 배당체가 들어 있다.
"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
1, 항균 작용: 황정(黃精)은 시험관 내에서 항산균(抗酸菌)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고 그 탕액은 기니피그에 결핵균을 감염시킴과 동시에 투여한 경우, 감염 후 림프가 부은 다음에 투여한 경우에 모두 뚜렷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건강 상태도 개선되어 그 치료 효과는 이소니아지드와 비슷했다. 장티푸스균에 대해서는 미약한 억제 작용이 있을 뿐이고(항균 최저 농도는 500~100mg%)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항균 최저 농도> 100mg5). 그러나 황정(黃精)의 조제제(粗製劑)와 물추출액에는 상술한 두 가지 세균에 대하여 모두 억제 작용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그 1/10의 농도로는 아데노바이러스 3형에 대해서 연완(延緩) 작용이 있고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억제 작용이 있다.

2, 항진균 작용: 황정(黃精)의 2% 농도 이상의 알코올 추출물의 수용액에는 자색 백선균, 홍색 표피균 등 여러 가지의 진균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고 물 추출물에는 석고 모양의 백선균과 카우프만, 볼프씨 표피균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그러나 그의 10% 탕제는 양모(羊毛) 모양의 소포자균에 대하여 경도의 억제 작용이 있을 뿐이고 기타의 여러 가지 진균에 대해서는 무효하다는 보고도 있다.

3, 혈압을 낮추는 작용: 황정(黃精)의 물 추출물, 알코올 물추출물과 30% 알코올 엑스는 마취된 동물의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포제(
炮製)]

<중약대사전>: "
1, 황정(黃精): 흙을 씻어 버리고 조금 축축한 것을 얇게 썰어 햇볕에 말린다.

2, 주황정(酒黃精): 황정(黃精)을 잘 골라서 씻고 술로서 고루 뒤섞어 그릇에 넣어 밀봉하고 물을 넣은 솥에 놓고 술을 몽땅 흡수할 때까지 약한 불에 푹 삶아서 꺼내어 썰어 햇볕에서 말린다. 황정(黃精) 100근에 황주 50근을 쓴다."

[성미]


1, <중약대사전>: "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3, <사성본초>: "
성질은 차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비(脾), 폐(肺), 신경(腎經)으로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비(脾), 폐경(肺經)으로 들어간다."

3, <옥추약해>: "족태음비(足太陰脾),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으로 들어간다."

4, <본초재신>: 심(心), 비(脾), 폐(肺), 신경(腎經)으로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중초를 튼튼하게 하고 심폐(心肺)를 촉촉하게 하며 근골을 강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허손한열(虛損寒熱), 폐로해혈(肺勞咳血), 병후체허식소(病後體虛食少), 근골 연약, 풍습 동통, 풍나선질(風癩癬疾) 등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중초를 튼튼하게 하고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오장(五臟)을 안정시킨다."

3, <일화자제가본초>: "오로칠상(五勞七傷)을 보양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기아와 한서(寒暑)에 견디게 하고 비위(脾胃)를 보익하며 심폐(心肺)를 촉촉하게 한다."

4, <전남본초>: "원기를 회복시키고 정(精)을 보충한다."

5, <본초강목>: "각종 허(虛)한 증상을 보하고 한열(寒熱)을 멎게 하며 정수(精髓)를 보충하고 삼시충(三屍蟲)을 내려오게 한다."

6, <본초종신>: "기혈(氣血)을 평(平)하게 하고 보양하며 촉촉하게 한다."

7, <현대실용중약>: "간헐열(間歇熱), 통풍(痛風), 골막염, 회충, 고혈압에 쓴다."

8, <사천중약지>: "신(腎)을 보하고 폐를 촉촉하게 하며 원기를 북돋우고 음(陰)을 자양한다. 비(脾)가 허(虛)하여 얼굴이 누런 증세, 폐(肺)가 허(虛)하여 나는 해수, 근골(筋骨)이 아프거나 마비로 무력한 증세, 산후의 기혈(氣血) 쇠약을 치료한다."

9, <호남농촌상용중초약수책>: "신(腎)을 보양하고 비(脾)를 건강하게 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폐를 촉촉하게 하며 진액을 생성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
내복: 3~5돈(생것이면 1~2냥)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오래 약한 불에 푹 삶아서 고(膏)로 만들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달인 액으로 환부를 씻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중초가 한(寒)하여 설사가 나거나 담습비만(痰濕肥滿)으로 기체(氣滯)한 환자는 복용을 기(忌)한다."

2, <본초강목>: "매실(梅實)을 꺼린다. 꽃, 잎, 종자도 마찬가지로 꺼린다."

3, <본경봉원>: "양(陽)이 쇠(衰)하고 음(陰)이 성(盛)한 자가 복용하면 설사를 일으킨다."

4, <득배본초>: "기(氣)가 체(滯)한 환자는 사용함을 금한다."

5, <본초정의>: "습담(濕痰)이 있는 환자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황정의 효능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5장을 편안하게 하고 5로 7상(五勞七傷)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비위를 보하며 심폐를 눅여 준다[潤].

○ 일명 선인반(仙人飯)이라고도 한다. 음력 3월에 돋아나며 키는 1-2자이다. 잎은 참대잎 같으나 짧고 줄기에 맞붙어 나온다. 줄기는 부드럽고 연한데 복숭아나무가지와 거의 비슷하다. 밑은 누르고[黃] 끝은 붉다. 음력 4월에 푸르고 흰빛의 잔 꽃이 피며 씨는 흰 기장(白黍)과 같다. 씨가 없는 것도 있다. 뿌리는 풋생강 비슷한데 빛은 누르다.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뿌리와 잎, 꽃, 씨 등을 다 먹을 수 있다.

○ 잎은 한 마디에 맞붙어 난 것을 낚시둥굴레라 하고 맞붙어 나지 않은 것을 편정(偏精)이라 하는데 약효가 못하다.

○ 낚시둥굴레의 뿌리는 말려도 누긋누긋하며[柔軟] 기름기와 윤기가 있다[본초].

○ 낚시둥굴레는 태양의 정기를 받은 것이다. 약으로는 생것대로 쓴다. 만일 오랫동안 두고 먹으려면 캐어 먼저 물에 우려서 쓴 맛을 빼버리고 아홉번 찌고 아홉번 말려 쓴다[입문].

○ 우리나라에서는 다만 평안도에만 있다. 평상시에 나라에 바쳤다[속방].
]

황정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황정[黃精: 뇌공포자론(雷公炮炙論)]

[기원]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정(Polygonatum sibirium Rep), 진황정(Polygonatum falcatum A. Gray),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의 뿌리줄기이다. 꽃은 5월에 희게 피고 9∼10월에 채취한다.

[성미]
맛은 달고, 약성은 평범하다. 비(脾), 폐(肺),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효능주치]
양음윤폐(養陰潤肺), 보비익기(補脾益氣), 자음전정(滋陰塡精)하므로 음허노수(陰虛勞嗽), 폐조해소(肺燥咳嗽), 비허핍력(脾虛乏力), 식소구건(食少口乾), 소갈(消渴), 요슬산연(腰膝酸軟), 양위(陽츁), 유정(遺精), 이명목암(耳鳴目暗), 수발조백(鬚髮早白), 체허이수(體虛而瘦), 풍나선질(風癩癬疾) 등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음허노수(陰虛勞嗽)·조해(燥咳)
 자음윤폐(滋陰潤肺)시키므로 해수가 오래되고 혹은 신체가 허약한데 오래도록 해수가 그치지 않고 마른기침을 하면서 가래가 적게 나오고, 호흡이 짧고 헐떡이며 기음(氣陰)이 모두 허약한 증상에는 이 약을 단방으로 쓰거나 맥문동(麥門冬), 사삼(沙參), 천패모(川貝母), 백부근(百部根), 행인(杏仁) 각 8g을 쓰고, 기침할 때 만약 피가 섞이면 백급(白及), 아교(阿膠), 한련초(旱蓮草)를 각 8g씩 배합한다.

병후 허약으로 정혈(精血)이 극도로 허약해서 어지럽고 가슴이 뛸 때는 숙지황(熟地黃), 구기자(枸杞子) 각 12g, 당귀(當歸), 하수오(何首烏) 각 8g을 쓴다.

2. 소갈(消渴)
 음허내열(陰虛內熱)로 소갈이 심하면 단방으로 대량을 달여서 복용하면 효력을 얻는다. 만약 열이 심하면 천화분(天花粉) 12g, 지모(知母), 석고(石膏) 각 8g을 쓰고, 음기(陰氣)의 손상 정도가 중증일 때는 생지황(生地黃), 천문동(天門冬), 북사삼(北沙蔘) 각 10g을 쓰고, 소갈이 오래 되었을 때 그 증상이 음손(陰損)과 양손(陽損)이면 숙지황(熟地黃) 8g, 산약(山藥), 산수유(山茱萸) 각 6g, 부자(附子), 육계(肉桂) 각 4g을 써서 음양을 수렴하면서 보(補)하는 효능을 얻는다. 그리고 기음양허(氣陰兩虛)에는 황기(黃쨝), 미국삼(美國蔘), 산약(山藥), 석곡(石斛)을 써서 기음을 모두 보하는 치법을 쓴다.

3. 보비익기(補脾益氣)
 비위기허(脾胃氣虛)하고 권태감이 많으면서 기력이 떨어지고 음식을 적게 먹으면서 변이 묽고 맥박이 허연(虛軟)한 사람은 만삼(蔓參) 15g, 백복령(白茯쫢) 4g, 백출(白朮) 8g을 배합한다. 만약 비위음허(脾胃陰虛)로 입안이 건조하고 식사량이 적으면서 음식의 맛을 모르고 식사를 하는 사람은 신곡(神즿), 맥아(麥芽) 각 6g, 산약(山藥) 10g을 배합한다.

4. 신허정휴(腎虛精虧)
 신장기능허약으로 허리와 무릎이 시큰대고 힘이 없는 증상, 남자의 정력감퇴와 유정증, 머리가 어지럽고 귀에서 헛소리가 들리고, 눈이 침침하며 꽃이 왔다갔다 하는 것처럼 보이는 증상과 머리가 일찍 희어지는 증상, 그리고 어린이가 잘 걷지 못하는 증상에 구기자(枸杞子) 12g과 같이 사용한다. 만약 정혈(精血)이 모두 허약하면 당귀(當歸)를 배합한다.

5. 체허이수
 허약체질에 상용하는데 신체가 허한(虛寒)하면 생강(生薑), 육계(肉桂) 각 4g을 쓰고, 음허(陰虛)한대 열이 있으면 천문동(天門冬) 8g과 꿀을 배합한다. 기음(氣陰)이 모두 허약하면 생지황(生地黃), 황기(黃쨝), 단삼(丹蔘) 각 12g을 쓴다.

[임상연구]

1. 백혈구 감소증
 황정농축액을 복용했을 때 백혈구 개수가 복용전보다 2000개 이상 늘어났으며, 어지럽고 기운이 없는 증상이 호전되었다. 대다수의 환자가 그 후부터 개선되기 시작하였으며 소수의 환자에게서 가볍게 헛배가 부른 증상이 나타났다.

2. 근시안
 황정 45kg, 흑두(黑豆) 5kg, 설탕 5kg 농축액을 매일 20ml씩 12∼25일간 치료하였더니 근시가 크게 개선되었다.

3. 수족 버즘
 황정을 75% 메탄올 250ml에 15일간 담가 밀폐하여 그 여과액을 식초 150ml와 혼합하여 환자의 손발 환처에 발랐더니 치료효과가 높았다.

4. 폐결핵과 만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과 폐결핵에 증상에 따른 배합처방을 하였더니 호전반응을 보였다.

5. 고지혈증
 산사(山
), 상기생(桑寄生) 각 12g을 달여서 복용하였더니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β-지단백에 유효율이 높았다.

6. 관심병
 단삼(丹蔘), 하수오(何首烏), 갈근(葛根) 농축액을 정맥주사하였더니 심전도상에서 유효율이 높았다.

[약리]


1. 항병원미생물 작용
 물로 달인 농축액의 체외실험에서 장티프스균, 황색초도상구균, 개선균, 결핵균 등의 발육을 억제시키고 있었다. 황정다당을 안액(眼液), 내복액(內服液), 주사액으로 토끼의 포진병독성각막염 치료에 사용하였더니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심혈관계통
 황정수침액은 토끼의 심장관상동맥 혈류량을 증가시켰으나 심박과 심근수축력에는 영향이 없었다. 개에게 정맥주사하였더니 혈류량을 증가시켰다.

3. 고지혈증 작용
 실험성 고지혈증 토끼에게 황정 달인액을 1회 5ml, 매일 2회 30일간 투여하였더니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β-지단백, 콜레스테롤치가 현저하게 내려갔다. 그러나 고밀도의 지단백콜레스테롤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황정은 동맥죽상경화 예방과 간지방침윤에 일정한 작용을 보이고 있었다.

4. 항노화작용
 황정 달인액, 20% 농도의 뽕나무잎 침출액으로 누에를 기른 것은 누에 유충기의 작용을 연장시키고 있었다. 황정달인물은 파리의 평균 생존률을 8∼9% 연장시키고 있었다. 그 중 암놈에게 더욱 현저하였다. 달인액을 3g/(kg·d) 연속 1개월 복용으로 생쥐의 심근과 뇌조직 내의 유산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었다.

5. 면역기능 영향
 황정 달인물은 3, 18, 24개월 된 생쥐의 ANAE와 양성임파세포의 백분율을 촉진시키고 있었다. 또 3개월된 생쥐의 체외항체형성 세포 촉진작용이 현저하였다.

6. 혈당에 영향
 토끼에게 황정침출고를 투여했을 때 혈당함량이 처음에는 증가하였으나 점차 하강되었다. 혈당이 잠시 상승되었던 것은 황정침출액 중에 들어있던 탄수화물의 작용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부신피질로 유발된 혈당의 과다상승을 현저하게 억제시킨다.

7. 기타
 항산화작용, 생쥐의 수영시간 연장, 생쥐의 출혈량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용량]
10∼20g

[화학성분]
점액질, 전분, 당, 여러 종류의 amino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주의사항]

비위장(脾胃臟)이 허약하고 습(濕)이 많으며, 기침과 가래, 그리고 설사가 있을 때는 마땅하지 않다.]

층층갈고리둥굴레 및 층층둥굴레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39면 68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층층갈고리둥굴레(
Polygonatum sibiricum Delar)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60~90cm. 잎은 4~5개가 돌려 나며, 줄기에 7~10층을 이루고, 바늘 모양, 길이 8~12cm, 너비 0.7~1.2cm로 끝은 몹시 뾰족하며 갈고리처럼 말리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자루가 없다. 꽃은 연한 황색으로 5~6월에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흑색으로 익는다.

분포/
함경도, 평남(을밀대)의 산과 들판에서 자라며, 만주(용정, 옌벤, 용화)에 분포한다.

채취/
뿌리 줄기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뿌리줄기를 황정(
黃精)이라고 하며, 보중익기(補중益氣), 윤심폐(潤心肺), 강근골(强筋骨)의 효능이 있다. 허손한열(虛損寒熱), 폐로해혈(肺咳血), 풍습동통을 치료한다.

성분/
뿌리줄기의 점액은 falcatan이며, 그 밖에도 polygonaquinone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뿌리 줄기, 잎, 줄기를 물로 달인 액을 토끼나 개에게 투여하면 혈압이 강하하고, 개구리의 적출 심장에 투여하면 심장의 박동을 억제한다. 또 토끼에 투여한 경우 혈당이 감소한다.

사용법/
뿌리 줄기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잎이 넓고 잎 끝이 갈고리처럼 되지 않는 층층둥굴레(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도 약효가 같다.]

황정을 낚시둥굴레라고 하는데 북한의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토죽(兎竹), 녹죽(鹿竹), 계격(鷄格), 중루(重樓)// [본초]

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낚시둥굴레(Polygonatum sibiricum Rehd.)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낚시둥굴레(죽대둥글레)는 평안남도와 평양시의 낮은 산에서 자라며 각지에 심기도 한다. 봄 또는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 폐경에 작용한다. 비위(脾胃)와 폐
(肺)를 보하고 기침을 멈추며 정수(精髓)를 불려준다.

약리실험에서 강압(降壓)작용, 혈당량감소작용, 동맥경화예방작용, 간지방 침착 예방작용 등이 밝혀졌다. 몸이 허약하고 기운이 없는 데, 앓고 난 후에 쓴다. 또한 비위가 허약한 데, 마른 기침, 폐결핵, 당뇨병 등에도 쓴다. 하루 9~15그램을 물로달이거나 고를 만들거나 가루내거나 환을지어 먹는다.
]

황정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제 806-80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낚시둥굴레

학명:
Polygonatum sibiricum Red

식물:
높이 50~10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고 잎은 돌려붙는다. 잎끝은 낚시처럼 구부러지고 마른다.

평안남도의 낮은 산, 개울가에서 자란다.

씨와 뿌리가름으로 번식한다.

뿌리줄기(황정):
봄과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어 물에 씻어 말린다.

성분:
뿌리 줄기에 많은 점액질과 알칼로이드, 스테로이드사포닌이 있으나 그 성분은 밝혀지지 않았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자양강장약으로 병후쇠약에 쓴다.

낚시둥굴레뿌리줄기 달임약(4~12g:200ml):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

낚시둥굴레(황정)
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발행한 <동약처방집> 상권, 98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병없이 오래 살게 하기 위해 쓰는 단방 및 민간요법-낚시둥굴레(황정)

낚시둥굴레(황정):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 버린 낚시둥굴레의 땅줄기를 시루에 여러번 찌고 햇볕에 여러번 말려서 먹거나 그대로 그늘에 말려서 먹는다. 하루에 10~20g씩 먹는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빛이 좋아지며 늙지 않게 되고 배고픈줄을 모르게 된다. 줄기나 꽃, 열매도 쓸 수 있다.

※ 낚시둥굴레에 들어 있는 배당체 성분은 심박동을 빠르게 한다. 낚시둥굴레엑스를 많이 먹으면 일시적으로 혈당량이 많아지는데 이것은 그 엑스에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낚시둥굴레엑스는 또한
혈압을 내리우는 작용도 있다. 결핵균(H37 RV)을 옮겨 실험적 결핵병을 일으킨 동물에게 낚시둥굴레를 먹여 실험한데서는 뚜렷한 치료적 효과가 인정되었다. 약을 먹이는 기간 실험동물은 대조보다 먹이를 잘 먹었고 운동이 활발해졌으며 몸무게가 약을 먹이지 않은 때보다 60%나 더 늘었으며 평균수명이 훨씬 길어졌다.]

황정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225면 42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황정(黃精)

기원: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식물인 황정(黃精: Polygonatum sibiricum Delar. ex Redoute)의 근경(根莖)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근경(根莖)은 가로로 뻗으며 결절은 팽대하고 높이는 50∼90cm이다. 잎은 돌려나는데 각각의 윤(輪)에는 4∼6개의 잎이 있고 잎자루는 없으며 잎모양은 선상(線狀) 피침형(披針形)으로 잎끝은 점점 뾰족해지면서 말려 있다. 꽃은 액생(腋生)하고 아래로 드리워져 있으며 2∼4송이가 모여서 산형화총(傘形花叢)을 이루고, 화피(花被)는 통상(筒狀)이며 백색(白色) 내지 담황색(淡黃色)으로 피침형(披針形)의 열편(裂片)이 6장이고, 수술은 화피통(花被筒)의 1/2이상 되는 곳에 붙어서 난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구형(球形)이며 익은 후에는 자흑색(紫黑色)을 띤다.




분포: 산지의 숲 속에서 관목이 모인 곳이나 산비탈의 반음지에서 자란다. 중국(中國)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화동(華東)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캐내어 햇볕에 약간 말리고 부드러워 질 때까지 뒤집어 비벼서 경심(硬心)을 없앤 후에 햇볕에 말린다.

성분: 황정다당(黃精多糖) 갑(甲), 을(乙), 병(丙)과 황정저취당(黃精低聚糖) 갑(甲), 을(乙), 병(丙).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보비윤폐(補脾潤肺), 익기양음(益氣養陰).

주치: 체허핍력(體虛乏力), 심계기단(心悸氣短), 폐조건해(肺燥乾咳).

용량: 9∼12g.

참고문헌: 중약지(中藥誌), 2권, 57면.]






[<<황정의 독특하게 생긴 뭉친 뿌리의 모습, 사진 출처: 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황정(층층갈고리둥굴레)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익하며 백발을 검게하는 처방
황정(黃精), 창출(蒼朮) 각 4근, 구기근(枸杞根), 백엽(柏葉) 각 5근, 천문동(天門冬) 3근으로 끓인 즙 1섬과 국(淗) 10근, 나미(糯米) 1섬으로 술을 담가서 마신다. [본초강목(本草綱目)]

2, 정기(精氣)를 보양하는 처방
구기자(枸杞子: 겨울에 채취한 것이 좋다), 황정(黃精) 각 같은 양을 따로 가루낸 다음 함께 빚어서 편평한 원반 모양으로 만들어 마르면 다시 찧어서 가루내고 연밀(煉蜜)로 벽오동 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에 50환을 빈속에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기효양방(奇效良方), 구기환(枸杞丸)]

3, 비위(脾胃)의 허약, 신체 무력
황정(黃精), 당삼(黨參), 회산약(淮山藥)을 각 1냥씩 닭고기와 함께 쪄서 복용한다. [호남농촌상용중초약수책(湖南農村常用中草藥手冊)]

4, 폐로해혈(肺勞咳血), 적백 대하
신선한 황정근(黃精根) 2냥과 빙당(氷糖) 1냥을 끓인 물로 푹 삶아서 복용한다. [민동본초(閩東本草)]

5, 폐결핵, 병후 허약
황정(黃精) 5돈 내지 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돈육(豚肉)과 함께 푹 삶아서 먹는다. [호남농촌상용중초약수책(湖南農村常用中草藥手冊)]

6, 소아의 하지(下肢) 마비
황정(黃精) 1냥과 동밀(冬蜜) 1냥을 끓인 물로 푹 달여서 복용한다. [민동본초(閩東本草)]

7, 위열 구갈
황정(黃精) 6돈, 숙지(熟地), 산약(山藥) 각 5돈, 천화분(天花粉), 맥문동(麥門冬) 각 4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산동중초약수책(山東中草藥手冊)]

8, 눈을 치료하고 간기(肝氣)를 보익하며 시력을 좋게 하는 처방
만청자(蔓菁子: 물로 깨끗이 씻음) 1냥, 황정(黃精)을 만청자(蔓菁子)와 함께 9회 찌고 햇볕에 말린것 2근을 보드랍게 찧어 체에 쳐서 가루를 만들어 빈속에 1회에 2돈을 죽에 섞어 마시고 점심과 저녁 식후에 따뜻한 물로 다시 개어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만청자산(蔓菁子散)]

9, 영기(營氣)가 맑지 못하고 풍(風)이 장기간 맥에 들어가 라(癩)로 된 증상, 코가 상하고 색깔이 검어진 증상, 피부가 가렵고 궤란된 증상
황정근(黃精: 껍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는다)을 햇볕에 쬐어 연하게 해서 찜기로 율(栗)과 함께 찐다. 2말의 쌀이 익을 정도가 되면 꺼내어 수시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10, 요충병
황정(黃精) 8돈에 빙당(氷糖) 1냥을 넣어 약한 불에 푹 삶아 복용한다. [복건중의약(福建中醫藥)]

11, 폐결핵(임상보고)
황정(黃精)을 쪄서 햇볕에 말려 씻어서 썰고 부수어 5배의 물을 가하여 24시간 약한 불에 달인다. 찌꺼기를 여과해 버리고 그 액을 계속 저으면서 약한 불에 달여 엑스 모양으로 되게 한다. 그 후 식혀서 병에 넣어 둔다. 일반적으로 5근의 황정(黃精)에서 황정(黃精) 엑스 1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엑스 1ml는 황정(黃精) 2g에 상당한다. 제량은 1일에 4회, 1회에 10ml를 사용한다. 19례에 대해 임상 관찰을 진행하였는데 모두 침윤형 폐결핵이고 그 중 침윤기는 9례, 침윤 연화기(軟化期)는 2례, 연화(軟化) 확산시와 흡수 호전기가 각 1례, 정지기는 5례였다. 폐의 양측에 병변이 있는 병례가 11례이고 공동이 있는 병례가 6례이고 황정(黃精) 엑스의 내복만으로 2개월 후 병소가 완전히 흡수된 병례가 4례, 흡수 호전이 12례, 무변화가 3례였다.

공동이 있은 6례 중 2례는 폐합되고 4례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축소되었다. 검담(檢痰) 검사에서 다수가 음성으로 변전되었다. 혈침(血沈)은 거의 다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체중과 임상 증상도 개선되었다. [중약대사전]

12, 진균증(임상보고)
황정(黃精)을 짓찧어 45% 알코올로 1~2일 침출하고 증류하여 대부분의 알코올을 증발시켜 농축시킨다. 거기에 3배의 물을 가하여 침전시키고 그 여과액을 취하여 또 쪄서 나머지 알코올을 제거하고 묽은 풀모양이 될 때까지 농축시킨다. 이것이 황정(黃精)의 조제액이고 사용시에 1일 2회씩 직접 환부에 바른다. 일반적으로 족선(足癬), 요선(腰癬)에 대하여 일정한 치료 효과가 있고 특히 족선(足癬)의 수포형(水泡形)과 미란형(糜爛形)에 대하여 효과가 가장 좋다. 족선(足癬)의 각화형(角化形)에 대한 효과는 비교적 떨어졌다. 이것은 각화형(角化形)에서는 사상균이 비교적 두터운 표피내에 있고 황정(黃精)이 표피를 박탈하거나 침투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인정된다. 황정(黃精)의 조제액을 바를 때에 고통이 없고 증상이 악화되는 등의 불량한 반응은 없지만 옷을 쉽게 더럽히는 결점이 있다. [중약대사전]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봉원(本草逢原)>:
"
황정(黃精)은 중초를 소통시키고 원기를 북돋우며 오장을 조화시키고 근육을 충실하게 하며 골수를 강하게 하는데 이는 모두 보음(補陰)의 효과이다."

2, <본초편독(本草便讀)>:
"
황정(黃精)은 자양하고 기름진 약이기에 장기간 복용하면 배고프지 않다. 그러나 비(脾)가 허(虛)하고 습이 있는 사람이 복용하면 흉격에서 체기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니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약의 맛은 엿처럼 달고 성질은 평하고 질은 윤(潤)하여 비(脾)를 보양하는 정품(正品)이다."

[비고(備考)]


1, <뇌공포자론(雷公
炮炙論)>: "황정(黃精)은 쓸 때 구문[鉤吻: 마전과(馬錢科) 식물 호만등(胡蔓藤)의 전초]을 써서는 안된다. 양자는 매우 비슷한데 오직 잎에 털갈구리가 2개 있다는 것이 다르다. 만약 잘못하여 복용하면 해롭다. 황정(黃精)의 잎은 참대의 잎과 비슷하다."

2, <명의별록(名醫別錄)>:
"
황정(黃精)은 산골짜기에서 나며 5월에 뿌리를 파서 그늘에서 말린다."

3, <도홍경(陶弘景)>:
"
황정(黃精)은 지금 도처에 다 있다. 2월 초에 싹이 나오고 한 가지에 많은 잎이 나온다. 잎의 형상은 참대아 비슷하고 짧다. 뿌리는 위유(萎甤: 둥굴레)와 비슷하다. 그러나 위유(萎甤)의 뿌리는 적근(荻根) 및 창포(菖蒲)와 비슷하고 마디가 조밀하며 평평하고 곧지만 황정(黃精)의 뿌리는 귀구(鬼臼: 매자나무과 식물 육각련의 뿌리줄기)처럼 마디가 크고 평평하지 않으며 말린 다음에도 유연하고 기름기가 있다. 뿌리, 잎, 꽃,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으며 약술이나 가루 약으로 만들어도 좋다. 황정(黃精)의 잎은 구문(鉤吻)과 비슷하나 다만 줄기가 자색이 아니고 꽃이 누렇지 않은 점이 다르므로 혼동되기 쉽다. 이것은 유사하면서도 다른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사(生死)의 차이까지 있어 기이한 일이기도 하다."

4, <당본초(唐本草)>:
"
황정(黃精)은 비옥한 땅에서 자랄 때에는 주먹만큼 크지만 메마른 땅에서 자라면 엄지 손가락처럼 된다. 위유(萎甤)의 살찐 뿌리는 황정(黃精)의 작은 것과 매우 비슷하고 기리(肌理), 모양, 색깔 모두가 비슷하다. 귀구(鬼臼: 매자나무과 식물 육각련의 뿌리줄기), 황련(黃連)과 비교해도 그다지 비슷하지는 않다. 또 황정(黃精)의 잎은 버들 및 용담(龍膽), 서장경(徐長卿)등과 비슷하며 단단하다. 구문(鉤吻)은 만생(蔓生)하며 이런 종류가 아니다."

5, <식료본초(食療本草)>:
"
황정(黃精)은 생것이 한 섬일 경우 그것이 익으면 3~4말을 얻을 수 있다. 찐 것이 생것 같으면 사람의 목을 찌르는 느낌이 난다. 센 볕에 말리면 썩지 않는다. 뿌리, 잎, 꽃, 열매를 모두 먹을 수 있다. 그러나 마주 나는 것은 황정(黃精)이고 마주 나지 않는 것은 편정(偏精)이라고 한다."

6, <본초도경(本草圖經)>:
"
정(精)은 옛날부터 산출되는 주군의 이름을 적지 않고 다만 산골짜기에서 난다고만 했다. 지금 남북에서 모두 취할 수 있지만 숭산(嵩山), 모산(茅山)의 것이 양품이다. 3월에 싹이 나와 높이가 1~2자 가량 된다. 잎은 대나무 잎과 비슷해서 짧으며 마주 난다. 줄기는 연하고 무르며 복숭아의 가지와 비슷하고 밑은 누렇고 끝은 붉다. 4월에 가는 청백색 꽃이 팥꽃처럼 핀다. 종자는 기장쌀처럼 희지만 종자가 없는 것도 있다. 뿌리는 연한 생강(生薑)처럼 누렇다. 5월에 뿌리를 취하여 쪄서 재빨리 말려 쓴다. 지금은 보통 8월 중에 채취해서 산골 사람들은 9회 찌고 9회 말린 것을 과자로 파는데 매우 맛있고 황흑색이며 강남 사람들은 황정(黃精)의 싹이나 잎은 구문(鉤吻)과 비슷하다고 하지만 구문(鉤吻)은 잎 끝이 뾰족하고 뿌리가 가늘다. <소공(蘇恭)>의 주(注)에 구문(鉤吻)은 덩굴성이고 이런 종류가 아니라고 하였는데 아마 남과 북의 차이인 것 같다. 싹이 처음 날 때에 뜯어서 데치는데 필채(筆菜)라고 한다. 매우 맛이 있으며 채취하려면 이것이 가장 좋다."

7, <본초구원(本草求原)>:
"
황달을 없애려면 황정(黃精)의 잎과 어육(魚肉)을 약한 불로 삶아 복용한다."

[<황정 재배 방법>]


1, <중약대사전>:
<<1, 기후 토양: 추위에 잘 견디며 그늘지고 축축한 땅을 좋아한다. 비옥한 사질이나 점토질 토양이 좋다.

번식:
주로 근경으로 번식시킨다. 늦은 가을이나 초봄 3월 하순에 지하의 뿌리 줄기를 캐서 여린 끝부분을 손으로 꺾어 몇 개로 나누는데 각 부분에 3~4개의 마디가 있게 한다. 이랑 사이의 거리를 22~26cm, 포기 사이의 거리를 10~16cm로 하여 땅 속에 파묻고 3~5cm의 깊이로 흙을 덮은 다음 약간 다져 놓는다. 물을 주어 토양의 습기를 유지해 준다. 4월 중순에 싹이 나온다.

3, 경작 관리:
심은 해에는 1~2회의 덧거름을 주고 다음해부터는 1회씩 구비나 기탄 비료를 준다.>>

둥글레와 황정은 모두 옛부터 우리 몸에 좋은 보약으로 귀중하게 쓰여온 약초이기도 하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황정+층층둥글레+진황정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둥글레(옥죽) 무엇인가?
  2. 진황정(대잎둥굴레) 무엇인가?
  3. 층층둥굴레 무엇인가?
  4. 황정(층층갈고리둥굴레)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황정(층층갈고리둥굴레), 층층둥굴레, 진황정(대잎둥굴레)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