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개나무 무엇인가?

봄철 흰꽃과 가을철 독특하게 생긴 열매를 맺는 헛개나무

 

 

 

 

 

 

 

 

 

 

 

 

[헛개나무의 봄철 새순, 잎, 꽃, 푸른열매, 익은 열매, 종자, 나무껍질, 겨울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이뇨작용, 청열이뇨, 지갈제번, 해주독, 혈액순환촉진, 음주로 인해 발적하거나 혹열(극심한열)로 인한 증훈[증병, 조열이 나타나는 증상], 건위, 열병번갈, 애역, 자양보혈, 오장의 진액이 마르고 혈읍소변이 많으며 기육이 소연되고 찬 음식만을 좋아하는 증상, 주색 과도, 피로 토혈, 소아 경풍, 수족경련, 소아 황수, 남녀의 허약, 수족 무력증, 노상으로 인한 토혈, 액취(겨드랑이 냄새),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을 때, 번열이 나면서 입안이 마른는 데, 사지무력증, 토혈, 구토, 알코올중독(주취, 주독, 술독), 각종 간장질환, 지방간, 간염, 치질, 딱꾹질, 갈증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해독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게하는데, 배뇨장애를 다스리는 헛개나무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 헛개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헛개나무속은 전세계에 여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자생하고 있다.

학명은 <
Hovenia dulcis Thunb.>이다. 키는 10미터 이상 자라며 산 중턱 이하의 숲속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난형이며 3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잎의 너비는 6~14cm이고 길이는 10~20cm이다. 꽃은 흰색이며 취산화서이고 잎겨드랑이에 또는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갈색인데 자루는 울퉁불퉁한 육질이고 단맛이 난다.

개화기는 6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저절로 산에서 야생하는데 마구잡이로 베어가는 바람에 현재는 주로 재배를 많이 하고 있다.

헛개나무 및 열매의 다른 이름은
지구자[枳椇子=
zhǐ zǐ=VVV: 당본초(唐本草)], 목밀[木蜜, 구골:枸骨: 능기(陵璣), 시소(詩疏)], 수밀[樹蜜, 지구:枳椇, 목당:木, 백석목:白石木: 최표(崔豹), 고금주(古今注)], 백석목자[白石木子: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밀제화구[蜜穧禾敂, 교가지:交加枝: 뇌공포자론(雷公炮炙)], 배홍자[背洪子, 겸궁:兼穹: 주자대전(朱子大全)], 밀굴률[蜜屈律: 태평광기(太平廣記)], 계거자[鷄距子, 나한지두:癩漢指頭: 소심양방(蘇沈良方)], 병공[栟栱: 비아(埤雅)], 괴조[拐棗: 구황본초(救荒本草)], 천등[天藤, 환양등:還陽藤: 전남본초(滇南本草)], 목산호[木珊瑚, 계조자:鷄爪子, 계귤자:鷄橘子, 결유자:結留子, 조공조:曹公爪, 자구:棘枸, 이조수:梨棗樹: 본초강목(本草綱目)], 백석조[白石棗: 의림찬요(醫林纂要)], 만수과[萬壽果: 약물출산변(藥物出産辯)], 계조이[鷄爪梨, 첨반야:甛半夜, 용조:龍爪: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벽구자[碧久子: 광주식물지(廣州植物誌)], 금구구[金鉤鉤, 산조:酸棗: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계조과[鷄爪果: 남영시약물지(南寧市藥物誌)], 지조[枳棗: 중약지(中藥誌)], 전뉴자[轉子: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枸: 시경(詩經)], 지구[枳枸: 장자(莊子)], [椇: 예기(禮記)], 금구목자[金鉤木子: 여지지(輿地誌)], 길구수[桔枸樹: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금과수[金果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켄보나시[ケンポナシ=玄圃梨: 일본명(日本名)], 허깨나무, 호깨나무, 헛깨나무, 헛개나무 등으로 부른다.

헛개나무의 뿌리의 다른 이름은
지구근[枳椇根: 요가성(姚可成), 식물본초(食物本草)]이라고 한다.

헛개나무의 껍질의 다른 이름은
지구목피[枳椇木皮: 당본초(唐本草)]라고 한다.

헛개나무의 나무줄기에서 흘러나온 즙액의 다른 이름은
지구목즙[枳椇木汁: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고 한다.

헛개나무의 잎의 다른 이름은
지구엽[枳椇葉: 요가성(姚可成), 식물본초(食物本草)]으로 부른다.

[채취]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중약대사전>: "10~11월에 열매가 성숙되었을 때 열매 꼭지와 열매를 함께 따서 햇볕에 말리거나 열매 껍질을 벗기고 씨앗을 털어 내어 햇볕에 말린다."

<뿌리>


<중약대사전>: "9-10월에 채취한다."

[약재(藥材)]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중약대사전>: "
1, 열매 꼭지가 달린 건조된 열매: 열매 꼭지는 비대하고 다육질(多肉質)이며 많이 분지되어 있고 구부러져 있으며 모양은 닭의 발톱과 같고 분지 및 구부러진 부준은 마디 모양으로 부풀어 있으며 분지는 대개 T자형이거나 서로 수직을 이루고 길이는 3~5cm 혹은 그보다 더 길고 지름은 4~6cm이다. 표면은 다갈색이고 세로 주름이 있으며 약간 광택이 있고 회백색의 점(點) 모양 껍질눈도 간혹 볼 수 있다. 분지의 선단에 한 개의 둔한 삭각형의 둥근 공 모양의 열매가 달리고 열매 껍질은 종이질이어서 매우 얇으며 3실로 되어 있고 각 실에 씨앗이 1개씩 들어 있다. 열매 꼭지는 질이 취약하여 쉽게 끊어진다. 절단면은 약간 평평하고 각질과 같으며 담적갈색 내지 적갈색을 띤다.

냄새는 미약하고 맛은 담담하나 약간 달다.

2, 말린 씨앗:
납작한 원형이고 뒷면은 조금 불룩하게 튀어나와 있으며 복면은 비교적 평평하고 지름은3~5mm, 두께는 2mm이다. 표면은 적갈색이고 매끄럽고 광택이 있으며 기부에는 타원형의 점(點) 모양 종제(種臍)가 있다. 정단에는 약간 돌출된 합점(合點)이 있고 복부에는 세로로 융기된 종척(種脊)이 1개 있다. 씨껍질은 단단하고 두께는 약 1mm이다. 배젖은 젖빛이고 기름 성질이며 그 속에는 담황색 내지 초록색이고 기름 성질인 자엽이 2개 들어 있다. 냄새는 미약하고 맛은 쓰고 떫다.

중국에는 주로 섬서(陝西), 광동(廣東), 호북(湖北), 절강(浙江), 강소(江蘇), 안휘(安徽), 복건(福建)에서 산출된다. 그 외 강서(江西), 호남(湖南), 사천(四川), 운남(雲南), 귀주(貴州), 하북(河北), 서장(西藏)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중약대사전>: "열매에는 다량의 glucose와 calcium malate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


<중약대사전>: "뿌리껍질에는 polypeptido alkaloid인 frangulalin, hoven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또 hovenoside도 함유되어 있다."

<줄기에서 흘러나온 즙>


<중약대사전>: "목질부에 hovenic acid를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중약대사전>: "열매는 토끼에 대하여 현저한 이뇨 작용이 있으며 부작용은 전혀 없다."

[성미]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2, <당본초>: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본초재신>: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뿌리>


<중경초약>: "맛은 떫고 성질은 따뜻하다."

<나무껍질>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줄기에서 흘러나온 즙>


<본초강목>: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1, <본초재신>: "심(心), 비(脾)의 2경(經)에 들어간다."

2, <본초촬요>: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1, <중약대사전>: "주취(酒醉), 번열, 구갈,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2, <형초세시기>: "충독을 제거한다."

3, <당본초>: "두풍(頭風), 아랫배의 경련을 치료한다."

4, <본초습유>: "갈증을 해소하고 번조를 제거하고 오장을 촉촉하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횡격막 상부의 열을 제거하며 꿀과 같은 효능이 있다."

<뿌리>


1, <중약대사전>: "허로토혈(虛勞吐血), 풍습으로 인한 관절통과 근육통을 치료한다."

2, <요가성, 식물본초>: '얼굴에 갑자기 개선상(疥癬狀)의 적흑단(赤黑丹)이 생겨서 바로 치료하지 않아 전신에 퍼져 사망에 이르게 되는 증세에는 달인 즙을 복용한다."

3, <중경초약>: "기(氣)의 순환과 혈의 순환을 촉진시킨다. 노상해수(
癆傷咳嗽), 토혈, 풍습성 관절통과 근육통을 치료한다."

<나무껍질>


1, <당본초>: "오치(五痔)를 치료하고 오장을 조화시킨다."

2, <섬서중초약>: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근육과 힘줄을 풀고 식적(食積)을 치료하며 철봉추(鐵棒錘)의 독을 제거한다."

<줄기에서 흘러나온 즙>


<위생이간방>: "액취(腋臭: 겨드랑이 냄새)를 치료한다. 헛개나무에 구멍을 뚫고 즙을 1~2사발 받아서 청목향(靑木香), 도(桃), 류(柳), 인유(人乳)와 함께 달이고 1~2번 비등시켜 식기 전에 환부를 씻는다."

<잎>


1, <요가성, 식물본초>: "사태(死胎)가 나오지 않는 경우의 치료: 헛개나무잎 14편(片)에 물과 술 각 1컵을 넣고 8할이 되도록 달여서 복용한다."

2, <섬서중초약>: "헛개나무잎의 달인 즙을 진하게 졸여서 복용한다. 효능은 열매 꼭지와 같으며 구토를 멎게 하고 주독(酒毒: 알코올 중독)과 철봉추(鐵棒錘)의 독을 해독할 수 있다."

[용법과 용량]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술에 담그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뿌리>


내복: 신선한 것 4~8냥을 물로 달여 복용하거나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나무껍질>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는다.

<잎>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득배본초>: "비위(脾胃)가 허한(虛寒)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중경초약>: "습열한사(濕熱寒邪)가 풀리지 않은 환자는 복용을 금한다."

헛개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지구자(枳椇子) //헛개나무열매, 호깨나무열매// [본초]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헛개나무는 각지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가을에 열매를 꼭지채로 따서 말린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심경, 비경에 작용한다. 갈증을 멈추고 번열(煩熱)을 없애며 해독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번열이 나면서 입안이 마른는 데, 구토, 배뇨장애 등에 쓴다.

하루 9~15그램을 달이거나 환을 지어 또는 약술의 형태로 먹는다.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데는 쓰지 않는다.
]

헛개나무의 종자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지구자((枳椇子)

갈매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의 종자이다.  

성미: 맛을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청열이뇨(淸熱利尿), 지갈제번(止渴除煩), 해주독(解酒毒)

해설: ① 열병으로 번열(煩熱) 증상이 있는 것을 치료하고, ② 딸꾹질과 구토에도 효력을 나타내며, ③ 소변을 잘 못 볼 때, ④ 알코올 중독에 유효하다. ⑤ 민간에서는 간장질환 치료제로 널리 쓰인다.

성분: 다량의 glucose가 함유되어 있다.]

헛개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허깨나무(Hovenia dulcis Thunb.)

다른 이름: 지구, 호깨나무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다. 이른 여름에 연한 풀색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붉은색을 띠며 꼭지는 가을철에 굵어진다. 열매와 꼭지는 단맛이 있다.

중부와 남부의 산기슭,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성분: 열매꼭지에 자당, 포도당, 과당, 카탈라아제, 페록시다아제가 있다. 총당은 약 13%이고 포도당과 자당은 거의 같은 양 들어 있다. 당은 겉껍질 아래와 물관속 주위에 있다.

목부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인 호베니산 C30 H46 O3이 있다. 잎에는 루틴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열매 또는 씨, 흔히 꼭지가 붙은 열매(지구자)를 오줌내기약, 독풀이약으로 술독을 풀고 토하는 것을 멈출 목적으로 구역질에 쓰며 오줌을 누지 못하는 질병에도 쓴다. 술에 열매와 꼭지를 넣으면 알코올 함량이 낮아진다고 한다.

헛개나무의 종자와 열매줄기의 효능에 관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108면 68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괴조(拐棗)

기원: 서리과(鼠李科=갈매나무과: Rhamnaceae)식물(植物)인 지구(枳椇: 헛개나무: Hoveniadulcis Thunb.)의 종자(種子) 및 과경(果梗)이다.

형태: 낙엽교목이다. 잎에는 긴 자루가 있고 난형(卵形) 혹은 심상(心狀) 난형(卵形)이며, 엽선(葉先)은 점차로 날카로워지고, 엽저(葉底)는 넓은 난형(卵形)이며 3개의 맥(脈)이 있다. 꽃은 담녹색(淡綠色)으로 정생(頂生) 또는 액생(腋生)하는 복취산화서(複聚傘花序)에 달린다. 과실(果實)은 구형(球形)에 가까우며 회갈색(灰褐色)이고 비후(肥厚)하게 자라며 굽어져 있고, 자루위에 육질(肉質)의 화서(花序)가 있다. 종자(種子)는 원형(圓形)이며 편평(扁平)하고 심갈색(深褐色)이며 광택(光澤)이 있다.



분포: 반야생식물이다. 중국의 화북(華北), 화동(華東), 중남(中南), 서북(西北), 서남(西南)에 분포(分布)한다.

채취 및 제법: 성숙과(成熟果)를 재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과각(果殼)을 부숴 종자(種子) 및 과경(果梗)을 모은다.

성분: 다량(多量)의 포도당(葡萄糖) 및 Calcium malate.

기미: 종자(種子)-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종자(種子)- 청열이뇨(淸熱利尿), 지갈제번(止渴除煩), 해주독(解酒毒). 과경(果梗)-건위(健胃), 보혈(補血).

주치: 종자(種子)- 열병번갈(熱病煩渴), 애역(呃逆), 구토(嘔吐), 소변불리(小便不利), 주정중독(酒精中毒). 과경(果梗)- 자양보혈(滋養補血).

용량: 종자(種子)- 12g. 과실(果實)은 술에 담구었다가 찐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425면.]

헛개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과실 꼭지가 달린 열매와 종자> 

1, 음주로 인해 발적(發積)하거나 혹열(酷熱: 극심한열)로 인한 증훈[蒸燻: 증병(蒸病), 조열(潮熱)이 나타나는 증상], 오장의 진액이 마르고 혈읍소변(血泣小便)이 많으며 기육(肌肉)이 소연(消煉)되고 찬 음식만을 좋아하는 증상

헛개나무 열매 75g, 사향(麝香) 3.75g을 가루내어 풀로 벽오동씨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1회 30환씩 빈속에 염탕(鹽湯)으로 복용한다.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지구자환(枳椇子丸)]

2, 주색 과도, 피로 토혈(疲勞 吐血)

헛개나무 열매 150g, 홍감자(紅甘蔗) 1개를 돼지심장, 돼지허파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중경초

3, 소아 경풍

헛개나무 열매 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4, 수족경련(手足痙攣)

헛개나무 열매 19g, 사필와(四匹瓦) 19g, 뱀딸기 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5, 소아 황수(黃
)
헛개나무 열매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뿌리>


6, 남녀의 허약, 수족 무력증
헛개나무 뿌리 75g, 암백채(岩白菜) 75g, 계순초(鷄
草) 75g을 닭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중경초약(重慶草藥)]

7, 노상(
癆傷)으로 인한 토혈
헛개나무 뿌리 300그램을 돼지의 대퇴부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중경초약(重慶草藥)]

<줄기에서 흘러나온 즙>

8, 액취(腋臭: 겨드랑이 냄새)

헛개나무에 구멍을 뚫고 즙을 1~2사발 받아서 청목향(靑木香), 도(桃), 유(柳), 인유(人乳)와 함께 달이고 1~2번 비등시켜 식기 전에 환부를 씻는다."고 적고 있다.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잎>


9,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을 때
헛개나무잎 14개에 물과 술 각 1컵을 넣고 8할이 되도록 달여서 복용한다. [요가성(姚可成), 식물본초(食物本草)]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의방유취>:
"미산지방의 계영신이라는 사람이 키는 7척이나 되고 말술을 마시는 호탕한 사람이었는데, 갑자기 소갈병에 걸려 온갖 약을 다 썻으나 효험이 없어 곧 죽게 되었는데 장립덕이라는 의원이 처방해준 헛개나무 달인 물을 먹고 곧 나았다."

2, <
맹선의 식료본초>: "지구목으로 집을 수리하다가 잘 못하여 나무토막을 하나 술독에 빠트렸더니 술이 모두 물이 돼 버렸다."

3, <소송의 도경본초>:
"호깨나무를 기둥이나 서까래로 써서 집을 지으면 그 집안에 있는 술이 모두 물이 되고 만다."

4, <주진형의 본초보유>:
"한 남자가 30년 동안 술을 계속해서 마시고 또 여색을 몹시 밝혀서 열이 심하게 나고 몸이 극도로 쇠약해졌다. 그래서 먼저 기혈을 보하는 약을 먹인 다음에 술독을 풀기 위해 칡뿌리를 먹였으나 땀만 약간 날 뿐 효험이 없었다. 이는 기혈이 쇠약해 진 데에 칡뿌리를 썼기 때문이다. 술을 많이 마셔 기력이 약해진 데에는 호깨나무 열매를 넣는 것이 가장 좋다. 마침내 그 사람한테 호깨나무 열매를 달여 먹였더니 병이 곧 깨끗하게 나았다."

헛개나무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속 어디든지 골고루 잘 분포되어 있다. 많이 심고 가꾸어 아름드리 헛개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열매를 많이 수확하고 오래된 헛개나무에서 고로쇠처럼 수액을 받아 먹을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토종약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헛개나무
사진 감상: 1잎과 잔가지, 2잎과 잔가지, 3지리산 백소령-묵은줄기와 잎가지, 4잎과잔가지, 5, 6목심, 7열매, 8열매, 9열매, 10열매, 11열매,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헛개나무 사진 일본 상세 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