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나무 무엇인가?

스스로 소리내어 우는 자명괴 괴화

 

 

 

 

 

 

 

 

 

 

 

 

 

 

[회화나무의 새싹, 어린잎, 잎 앞면, 잎 뒷면, 꽃이 핀 모습, 꽃 확대, 푸른 열매, 종자, 푸른 가지와 잎 자국, 겨울눈, 나무껍질, 묵은 나무껍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혈압내림작용, 모세혈관 강화작용, 항히스타민작용과 비타민 C와의 협력작용, 항암작용, 피응고 촉진작용, 항경련작용, 항궤양작용, 항방사능작용, 사하작용, 혈당 상승작용, 항균작용, 간과 동맥 및 혈중 콜레스테롤 내림작용, 동상의 예방과 치료, 건선 즉 마른버짐[임상보고], 목덜미에 생긴 림프절 결핵[임상보고], 서절[임상보고], 회화나무꽃을 소아가 먹고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때[임상보고], 중풍에 의한 실성증, 양매창, 면화창독 및 하감의 초기 감염 혹은 독이 성하고 오래되어 치료 하기가 어려운 것, 부스럼, 정창종독, 일체의 등에 난 악창의 화농여부를 불문하고 치료하는데 오직 심한 통증만 있는 경우에는 모두 치료할 수 있다, 적백리, 혀에서 피가 멎지 않고 계속 나오는 것, 일명 설뉵, 토혈이 멎지 않을 때, 백대하가 멎지 않을 때, 자궁출혈, 혈림, 요혈, 여러 가지 치질에 의한 출혈, 폭열하혈, 장독, 주병, 변혈, 대장하혈, 양혈지혈, 청간사화, 청열, 윤폐, 양혈, 혈열로 인한 대변출혈, 치질출혈, 소변출혈, 자궁출혈, 각혈토혈, 코피, 간열로 눈에 충혈이 지고 머리가 아프면서 어지러운 증상, 피부창진, 치질출혈, 대변출혈, 부인들의 자궁출혈, 소변출혈, 여름철 피부질환, 피부개선, 습진, 고혈압의 예방, 핏줄이상항진증, 피나기, 강심, 오줌내기에 효험있고 행복을 가져오는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교목이다.

회화나무의 학명은 <Sophora japonica L.>이다. 영문명으로 'Chinese scholar tree' 라고도 한다. 높이 25m에 달한다. 가지가 퍼지고 작은가지는 녹색이며 자르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뒷면에는 작은잎자루와 더불어 누운털이 있다. 꽃은 8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꼬투리는 길이 5∼8cm이고 종자가 들어 있는 사이가 잘록하게 들어가며 밑으로 처진다.

꽃봉오리를 괴화(槐花) 또는 괴미(槐米)라고 하며 열매를 괴실(槐實)이라 하는데, 모두 약용으로 한다. 열매는 협과로 원기둥 또는 염주 모양이다. 괴화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에 쓰고 맥주와 종이를 황색으로 만드는 데 쓴다. 괴실은 가지 및 나무껍질과 더불어 치질치료에 쓴다. 정원수나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회화나무는 콩과 도둑놈의 지팡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도둑놈의지팡이속은 전세계에 약 2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도둑놈의지팡이(고삼, 능암), 회화나무(괴화, 홰나무)가 자라고 있다.

높이 15~25m 까지 자란다. 원산지는 중국으로 마을 근처나 정원, 공원에 심어 기르며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나무껍질은 진한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지고 어린 가지는 초록색으로 자르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로 달걀형~긴 달걀형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짧은 누운 털이 있다.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누른빛이 도는 흰색 꽃이 핀다. 기다란 꼬투리열매는 모양이 울룩불룩하다.

개화기는 7~8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회화나무의 꽃을 괴화(
槐花), 뿌리를 괴근(槐根), 여린 가지를 괴지(槐枝), 뿌리 껍질 및 나무껍질의 체관부를 괴백피(槐白皮), 잎을 괴엽(槐葉), 열매를 괴각(槐角), 나무의 진을 괴교(), 회화나무의 기생하는 목이버섯을 괴이(槐耳)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에서는 보리수(菩提
)처럼 <
회화나무>도 신성하게 여긴다.

◈ 참조: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에서 신성시하는 나무 삼대성수(三大聖樹) 즉 삼령수(三霊樹) 및 칠목(
七木)은 아래와 같다.

1,
무우수[無憂樹, 파라차수:波羅叉樹: ], Saraca indica Linn.[Saraca asoca (Roxb.) Wilde: 학명(學名)], 애사커[Ashoka: 영명(英名)], 아소카노키[アソカノキ or 아쇼-카노키:アショーカノキ=阿輸迦の木, 아쇼-카쥬:アショーカジュ=阿輸迦樹: 일문명(日文名)]

2, 인도보리수
[印度菩提樹], 보리수[菩提樹], 깨달음을 준 나무, 접시보리수, 석가모니 보리수, 인도보리수나무, 보리수고무나무, 보리수[
菩提樹=pú tí shù=푸, 필본라수:畢本羅樹, 사유수:思維樹, 신성지수:神聖之樹, 천축보리수:天竺菩提樹, 인도보리수:印度菩提樹, 불수:佛樹, 각수:覺樹, 도수:道樹, 도장수:道場樹, 사라쌍수:娑羅雙樹, 무우수:無憂樹, 보리용:菩提榕: 유기백과(維基百科)],브르드히 트리[Bldhi Tree, 보우 트리:Bo Tree, 피펄:Peepal, 파이펄:Pipal, 애솨써 트리:Ashwattha Tree, 에이커드 피그:Sacred fig: 영명(英名)], Pipal[힌디어], Pippala[ashwattha: 산스크리트어], 핍팔라[pippala, aśvattha: 범어(梵語)], 카쿠쥬[かくじゅ=覚樹, 도오쇼오쥬:どうじょうじゅ=道場樹, 인도보다이쥬[インドボダイジュ=印度菩提樹, 텐지쿠보다이쥬:テンジクボダイジュ=天竺菩提樹: 일문명(日文명)], 보우디 비아아케이에세이치[bodhi vrksh=बोधि वृक्ष=菩提樹: 힌디어], 피쿠스 릴리지오사[Ficus religiosa L.: 학명(學名)]

3,
사라수[娑羅樹, 사라쌍수:沙羅雙樹, 발라차수:缽羅叉樹, 파라차수:波羅叉樹, 마가사라수:摩訶娑羅樹, 사라수:沙羅樹, 학림:鶴林, 곡수:鵠樹, 무수:無憂樹: 유기백과(维基百科)], 사라소우쥬[サラソウジュ=沙羅双樹=娑羅双樹: 일문명(日文名)], 소어리어 로부스터[horea robusta: 학명(學名)]

4, 망고
[
망과[杧果=máng guǒ=망↗꾸오V, 마몽:馬蒙, 말맹과:抹猛果, 망과:莽果, 망과:望果, 밀망:蜜望, 밀망자:蜜望子, 망과:莽果: 백도백과(百度百科)], 망고-[マンゴ-: 일문명(日文名)], 꾸아 쏘아이[Quả xoài: 베트남 북부어], 짜이 쏘아이[Trái xoài: 베트남 남부어], Mangifera indica L.[학명(學名)]

5, 회화나무
[
홰나무, 과나무, 회나무, 괴화목[木], 괴목[木], 회화목[櫰花木], 엔쥬[エンジュ=槐, 에니스:エニス=恵爾須: 일문명(日文名)], 재퍼니즈 파고다 트리[Japanese Pagoda Tree: 영명(英名)], Sophora japonica L.[학명(學名)]

6, 낚시찌바링토니아[
바둑판다리나무, 이글라야자, 바다독나무, 물고기독나무, 상자열매나무], 배링토니아 아시아티카[Barringtonia asiatica], 열대함박꽃나무, 열대자귀꽃나무, 빈옥예[濱玉蕊, 간정육종:墾丁肉粽, 기반각:棋盤腳, 마귀수:魔鬼樹, 대만금도목:臺灣金刀木, 대만옥예:臺灣玉蕊: 백도백과(百度百科)], 기반각수[碁盤腳樹: 대만(臺灣)], 인디안 배링토니아[Indian barringtonia, 피쉬 포이전 트리:Fish Poison Tree, 퓨텃:Putat, 시 포이전 트리:Sea Poison Tree: 영명(英名)], 고반노아시[ゴバンノアシ=碁盤の脚: 일문명(日文名)]

7, 대포알나무
[캐논볼나무, 포탄수[砲彈樹
=pào dàn shù=파오, 포탄과:砲彈果, 포탄화:砲彈花, 조과수:吊瓜樹, 조등수:吊燈樹, 엽자미수:葉子媚樹: 백도백과(百度百科), 유기백과(維基百科)], 호우간노키[ホウガンノキ=砲丸の木: 일문명(日文명)], 캐논 볼 트리[cannon ball tree: 영명(英名)], Couroupita guianensis Aubl.[학명(學名)]

회화나무 꽃송이 혹은 꽃봉오리의 다른 이름은
괴화[槐花=huái huā=화이후아: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괴예[槐: 본초정(本草正)], [槐: 이아(爾雅)], 두괴[豆槐, 백괴:白槐, 세엽괴:細葉槐, 금약수:金藥樹, 호방수:護房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카이카[かいか=槐花: 일문명(日文名)], 회화나무꽃, 홰나무꽃 등으로 부른다.

회화나무 다른 이름은 괴화목[木], 괴목[木], 회화목[櫰花木], 엔쥬[エンジュ=槐, 에니스:エニス=恵爾須: 일문명(日文名)], 재퍼니즈 파고다 트리[Japanese Pagoda Tree: 영명(英名)], 홰나무, 과나무, 회나무, 회화나무 등으로 부른다.

회화나무 뿌리를
괴근[槐根: 명의별록(名醫別錄)], 회화나무뿌리, 홰나무뿌리 등으로 부른다.

회화나무 여린가지의 다른 이름은
괴지[槐枝: 명의별록(名醫別錄)], 회화나무가지, 홰나무가지 등으로 부른다.

회화나무
뿌리 껍질 및 나무껍질의 체관부의 다른 이름은 괴백피[槐白皮: 약성론(藥性論)], 괴피[槐皮: 주후방(肘後方)], 회화나무뿌리속껍질, 홰나무가지속껍질 등으로 부른다.

회화나무 잎의 다른 이름은 괴엽[槐葉: 식료본초(食療本草)], 회화나무잎, 홰나무잎 등으로 부른다.

회화나무
열매의 다른 이름은 괴각[槐角: 본초비요(本草備要)], 괴실[槐實: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괴자[槐子: 도홍경(陶弘景)], 괴두[槐豆: 본초원시(本草原始)], 괴연등[塊連燈, 구연등:九連燈, 천두:天豆: 하남중약수책(河南中藥手冊)], 괴연두[連豆: 중약재수책(中藥材手冊)], 회화나무잎, 홰나무잎 등으로 부른다.

회화
나무 진의 다른 이름은 괴교[膠: 가우본초(嘉祐本草)], 회화나무진 등으로 부른다.

회화나무에 기생하는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 (L. ex Hook.) Underw.]의 다른 이름은
괴이[
槐耳, 괴균:槐菌: 당본초(唐本草)], 괴목수[槐木需: 천금방(千金方)], 괴계[槐: 촉본초(蜀本草)], 괴아[槐鵝: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괴아[槐蛾: 본초강목(本草綱目)], 적계[赤: 본초강목(本草綱目)] 등으로 부른다.

[채취]

<꽃송이 및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여름철, 꽃이 활짝 피었을 때 딴 꽃송이를 '괴화(槐花)'라 부르며 꽃이 아직 벌어지지 않았을 때 딴 꽃봉오리를 '괴미(槐米)'라고 부른다. 잡물을 제거하고 바로 그날로 햇볕에 말린다."

<잎>


<중약대사전>: "봄과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열매>


<중약대사전>: "동지(冬至) 후에 열매가 여물었을 때 따서 가지와 열매 꼭지 등의 잡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약재]

<꽃송이 및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
1, 괴화(槐花): 말린 꽃송이이고 꽃잎은 대부분 듬성듬성 떨어져 있으며 완전한 꽃은 나는 새모양이고 지름이 1.5cm이며 꽃잎은 5개이고 황색이거나 연한 갈색이며 쪼글쪼글하고 말려 오그라들어 있다. 밑부분의 꽃받침통은 황록색이고 끝에 얕게 갈라진 5개의 열이 있다. 수술은 연한 황색이고 수염 모양이며 이따금 구부러져 있다. 씨방은 부풀어 커져 있다. 질은 가볍고 냄새는 약하며 맛은 조금 쓰다. 빛깔이 황백색이고 가지런하며 꽃가지와 꽃자루 등 잡물이 없는 것이 좋다.

2, 괴미(槐米):
괴화미[槐花米: 의방이간(醫方易簡)]라고도 한다. 말린 꽃봉오리로 난형이거나 길쭉한 타원형 모양이고 길이가 2.5~5mm, 너비가 1.5~2mm이다. 겉표면은 황록색이거나 황갈색이고 약간 쪼글쪼글하며 아랫부분은 종모양의 꽃받침이고 끝에 그리 뚜렷하지 않은 톱니처럼 갈라진 열이 있으며 간혹 짧은 자루가 있고 윗부분이 벌어지지 않은 꽃부리이며 크기가 다르고 꽃받침과 꽃부리의 겉면에 희고 짧고 부드러운 털이 성글게 나 있다. 질은 바삭바삭하고 부드럽다. 냄새는 약하고 맛은 조금 쓰다. 꽃봉오리가 튼튼하고 꽃받침의 빛깔은 노색이며 두텁고 자루와 가지가 없는 것이 좋다. 중국 대부분 지역에서 많이 난다. 하북(河北), 산동(山東), 하남(河南), 강소(江蘇), 광동(廣東), 광서(廣西), 요녕(遼寧) 등지가 주산지이다."

<뿌리>


<중약대사전>: "말린 뿌리는 굵고 튼튼하며 두리 기둥 모양이고 약간 구부러져 있다. 겉표면은 황색이거나 황갈색이다. 질은 단단하고 단면은 황백색이며 목질이고 섬유성이다."

<열매>


<중약대사전>: "말린 협과(莢果)는 원기둥 모양이고 간혹 구부러져 있으며 종자 사이는 바싹 움츠러져 구슬꿰미처럼 되어 있고 길이가 1~6cm이며 지름이 0.6~1cm이다. 표면은 황록색, 갈색이거나 흑갈색이고 한쪽 가장자리의 등쪽 이음선은 황색이다. 끝에 돌기한 암술대의 흔적이 남아 있고 밑부분에 보통 열매 꼭지가 있다. 과육은 육질이고 부드러우며 찐득찐득하고 건조해지면 쪼글쪼글해진다. 속에 1~6개의 씨가 들어 있다. 종자는 신장형이고 길이가 8~10mm, 너비가 5~8mm, 두께가 약 5mm이다. 표면은 반들반들하고 갈색이거나 흑갈색이며 한쪽에 타원형의 밑씨가 있고 그 곁에 둥근 주공(珠孔)이 있으며 다른 쪽에 약간 돌기한 종척(種脊)이 있다. 씨껍질은 가죽처럼 단단하고 질기며 떡잎은 2개이고 황록색이며 씹으면 콩같은 비린내가 난다. 크고 길며 황록색이고 옹골진 것이 좋다. 전국 각지에서 모두 산출되며, 주산지는 하북(河北), 산동(山東), 강소(江蘇), 요녕(遼寧) 등지이다."

[성분]

<꽃송이 및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루틴(rutin)이 들어 있는데 꽃봉오리에 많이 들어 있고 꽃이 활짝 핀 후에는 함량이 적어진다. 또한 말린 꽃봉오리에서 triterpenoid saponin을 0.4% 얻었고, 이를 가수 분해하여 betulin, sophoradiol, glucose, glucuronic acid를 얻었다. 그 밖에 꽃봉오리에서 괴화미(槐花米) A소(素)(14%), 괴화미 B소(1.25%), 괴화미 C소(0.35%)를 얻었는데 A소는 루틴(rutin)과 다른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이고 B소와 C소는 스테롤(sterols)이었다. 또 탄닌(tannin)은 신선한 꽃에 0.66%가 들어 있으며 괴화탄(槐花炭)에서의 탄닌(tannin)의 함량은 신선한 꽃의 함량보다 4배가 많다.

턱잎은 낫 모양이고 일찍 떨어진다. 원추화서(圓錐花序)가 줄기 끝에 나며 꽃은 유백색이고 길이가 1.5cm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얕게 갈라진 5개의 열(裂)이 있다.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고 기판(旗瓣)은 넓은 심장형이며 짧은 손톱 같은 것이 있고 맥(脈)은 희미한 자줏빛이다. 수술은 10개이고 따로따로 떨어져 있으며 길이가 각기 다르고 씨방은 대롱 모양이며 가늘고 긴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구부러져 있다. 협과(莢果)는 길이가 2.5~5cm이고 마디가 있으며 염주 모양이고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육질이며 벌어지지 않았고 종자사이는 긴밀하게 수축되어 있다. 씨는 1~6알이고 진한 갈색이며 신장형이다. 개화기는 7~8월이고 결실기는 10~11월이다. 중국에서는 산비탈, 평원에 저절로 자라거나 혹은 정원에 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중국에서 들어와서 오래전부터 심겨지고 있다."

<뿌리>


<중약대사전>: "d-maackiain, monon-β-d-glucoside와 dimaackiain이 들어 있다."

<가지>


<중약대사전>: "루틴(rutin)이 들어 있다."

<잎>


<중약대사전>: "루틴(rutin)이 소량에서 4.48%(~6.4%)까지 함유되어 있다."

<열매>


<중약대사전>: "9개의 flavonoid와 isoflavonoid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genistein, sophoricoside, sophorabioside, kaempferol glucoside-C, sophoraflavonoliside 및 루틴(rutin) 등이 있는데 루틴(rutin)의 함량은 매우 높아 어린 열매 속의 함량은 46%에 달한다. sophoricoside의 함량은 1.5~2.0%이고, sophoraflavonoliside의 함량은 0.8%이며, sophorose의 함량은 0.4%이다. 종자에는 오일(oil) 9.9%가 들어 있는데 유리 또는 결합지방산중에는 oleic acid가 12%이다."

[약리작용]


<꽃송이 및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
1, 모세혈관에 대한 작용: 괴화 속에 들어 있는 루틴(rutin) 및 그 genin인 quercetin은 모세혈관의 정상적인 저항력을 유지시켜주며 혈관의 투과성을 감소시키거나 취성(脆性)이 증가하여 출혈하기 쉬운 모세혈관의 탄성을 정상상태로 회복시킨다. quercetin은 guinea-pig 및 rat의 피부 모세혈관의 저항력을 강화시켜주고(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heparin으로 응고성을 약화시킨 동물의 피부에 울혈점(鬱血點)을 나타나게 하는 방법에 의함), 혈관의 투과성을 낮추며(rabbit-chloroform법), 그 모세혈관의 안전성에 대한 작용은 루틴(rutin)에 비하여 1/3정도 강하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quercetin 등의 flavonol을 Arthus's phenomenon(동물에게 항원을 피하 주사하면 국부적으로 부종 및 괴사를 일으킴)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flavonoid 화합물중 flavan-3,4-diol 유도체는 guinea-pig 및 사람에 있어서 모세혈관의 저항력에 대하여 이상적(二相的) 작용(作用)을 갖는다. 조기에 일시적으로 모세혈관의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그 후에도 강하고 장시간인 작용이 며칠간 계속되지만, 다른 flavonol은 모세혈관에 대하여 단지 단상적(單相的)인 반응만을 나타낼 뿐이다. 루틴(rutin) 및 quercetin을 연속하여 대량을 쓰면 감압(減壓)에 의하여 생긴 mouse의 폐출혈을 멎게 할 수가 있다.

2, 항염 작용:
루틴(rutin) 및 quercetin은 rat의 히스타민, 난백, serotonin, formaldehyde, polyvinylpyrrolidone으로 일으킨 족척(足
)의 부종 및 hialonidase에 의한 발회목부분의 부종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루틴(rutin)은 rat의 창상성부종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 작용이 있고 결막염, 외이도염, 폐수종의 진전을 저지하며 allylisothiocyanate에 의해 생긴 rabbit의 결막수종에 대하여는 경미한 억제 작용만 있을 뿐이다. 그러나 만약 propanediol에 루틴(rutin)을 녹여서 쓰면 염증의 예방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루틴(rutin)을 정맥 주사하면 마혈청(馬血淸)에 생긴 rabbit의 피부 및 관절의 알레르기성 염증 및 Arthus's phenomenon을 억제시킨다. 이는 아마도 모세혈관벽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고 모세혈관을 촘촘하게 하여 그 곳에서의 삼출(渗出)할 소치를 억제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루틴(rutin) sulfate ester의 sodium salt는 개에게 terpentine oil을 주사하여 생긴 뒷다리의 혈전성정맥염의 회복을 빠르게 한다. 루틴(rutin) 등의 플라본(flavon) 화합물들의 항염원리에 대하여는 많은 견해가 있다. 예를 들면, 부신피질을 자극하여(rutin 유도체를 투약한 후 부신 속의 비타민 C 및 cholesterol 함량은 낮아지고 혈장 속의 sterol류는 뚜렷하게 증가한다) 혈액 속의 adrenaline이 증가하고(아마도 COMT 혹은 MAO에 경쟁적으로 억제된 까닭에 발생한 것일지도 모른다) 간접적으로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억제하며 혈관의 전괄약근(前括約筋)의 장력(張力)을 증강시키고 모세혈관이 충혈할 때의 총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hiauronidase의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견해도 있다. 또 비만세포를 파괴 및 탈과립하는 것을 보호함에 의하여 기염성아민(preinflammatory amines)의 방출을 억제하고 adrenaline이 분해한 두 가지 요소가 통합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생화학방면에서의 견해는 루틴(rutin) 등의 flavon류가 여러 가지 효소의 -SH기를 단절시키고 또한 효소중의 주요 금속이온과 복합하기 때문에 항염증 작용을 나타낸다고 말한다. 그 항수종(抗水腫)의 작용에 대해서는 hiauronic acid의 점도(黏度)를 증가하고 세포막의 ATPase를 억제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3, 해경(解痙) 및 항궤양 작용:
quercetin은 장(腸) 및 기관지평활근의 장력을 저하시키는데, 그 진경(鎭痙) 작용은 루틴(rutin)에 비하여 5배 더 강하다는 것이 X선을 쓴 연구에서 증명되었다. 루틴(rutin)은 rat의 위운동 기능을 저하시키고 염화 바륨으로 일으킨 소장(小腸)의 평활근 경련을 해소시키지만 염화 바륨으로 일으킨 소장(小腸)의 평활근 경련을 해소시키지만 그 효력은 겨우 khelin의 1/14밖에 안 된다. 루틴(rutin) 5~10mg/kg을 피하주사하면 rat의 유문(幽門)을 결찰하여 생긴 위궤양의 병소수(病巢數)는 대폭 감소한다. 반사성 위궤양에 대한 효력도 khelin에 비하여 크다. 괴화액(槐花液: rutin이 아주 조금 들어 있다)을 rabbit의 장강(腸腔)내에 주입하면 장점막을 자극하여 삼출액을 증가시킨다.

4,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괴화액은 적출한 개구리 심장에 대하여 가벼운 흥분 작용이 있고 심장의 자극전도에 대하여 저해작용을 갖는다. 루틴(rutin), quercetin, quercitrin도 적출 및 체내의 개구리 심장의 수축력과 수출량을 증가시키고 심박수를 감소시킨다. 루틴(rutin)은 두꺼비 뒷다리 및 rabbit의 귀혈관을 수축시킨다. quercetin은 심장혈관을 확장시키고 심근의 순환을 개선시킨다. 괴미 400mg/kg을 연속 3일간 mouse에게 복용시키면 관상혈관의 혈류량이 증가한다(Rb85 trace법). 뇌하수체후엽홀몬이 일으킨 rabbit의 관상동맥수축(T파는 높아진다)에 대하여 경미한 길항작용이 있다. rat의 심근 산소 소모량을 낮춘다(Warburg's manoneter법). 현재 인공 합성한 많은 flavone 유도체는 대부분 관상혈관을 확장하는 작용 및 항부정맥 등의 작용을 갖는다. 괴화액, 괴화 팅크는 마취한 개 및 고양이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뚜렷한 혈압저하작용을 가지며, 루틴(rutin) 및 그 제제도 강압작용을 갖고 있다.또 quercetin에도 짦은 시간동안 강압시킨다.

5, 혈액중의 지질에 대한 영향:
cholesterol 30mg/kg 및 6-methylthiouracil 90mg/kg을 음식에 혼합하여 rat를 사육하면 고 콜레스테롤(cholesterol)혈증을 일으키는데 이 때 동시에 quercetin 10mg/kg을 피하 주사하면 간장, 대동맥(大動脈) 및 혈중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양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었고 아울러 콜레스테롤(cholesterol)과  단백질 복합물의 안정성을 증가하였으며, 실험적인 동맥경화증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다.

6, 기타 작용:
루틴(rutin) 및 quercetin은 in vitro에서 몇몇 세균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다고 하기도 하고 없다고 하기도 한다. 바이러스 및 진균에 대해서는 in vitro에서 억제 작용이 나타났다. 루틴(rutin)dms rat의 sarcoma-45 및 mouse의 폐선류(폐선류)에 대하여 모두 억제 작용이 없다. 그러나 일본의 학자는 몇몇 종양에 대하여 억제 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루틴(rutin)과 quercetin은 또한 많은 종류의 효소에 대하여도 영향이 있다. 이밖에 루틴(rutin)은 엑스선 조사(조사)에 대하여 보호작용(mouse의 잔존률은 대조 그룹에 비하여 높았다)이 있고 아울러 치사량의 nitromin을 접수한 mouse이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회화나무는 혈구응집소를 함유하고 있어 혈구에 대한 응집작용을 갖는다. 대량의 괴화팅크는 몇몇 중추반사 기능을 억제한다. 일반적으로 루틴(rutin)을 내복하면 흡수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고, 이 때문에 이것을 내복한 경우에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내복 하면 흡수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rat의 위에 quercetin을 주입하면 1시간 후에는 혈액중에 나타나고 3시간 후에 최고에 달한다. 혈장단백질과의 결합율은 70% 전후이다."

<열매>


<중약대사전>: "
1, 혈당상승작용: rabbit에게 괴각엑스를 주사한지 1시간 후에 혈당이 높아지고 동시에 요당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은 일시적인 것이므로 주사 후 하루면 정상을 회복한다.

2, 항균 작용:
괴각은 살균성분을 함유하므로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항한다.

3, 독성:
괴두인(槐豆仁: 회화나무 열매의 씨)과 씨껍질이 붙은 괴두인으로 엑스를 만들어 rabbit에게 피하 주사하면 적혈구가 감소되는데, 씨껍질이 붙은 괴두인 쪽이 더 심하다. 이것은 괴각중에 일종의 적혈구를 파괴하는 물질이 들어 있음을 설명하여 준다. 괴각 엑스를 청개구리, 도마뱀 및 mouse에게 주사한 결과 모두 중독되어 사망하였는데 이것은 괴각에 독이 있다는 것을 설명해주기에 충분하다. 괴두인에서 추출한 액은 rabbit, 돼지, 사람의 적혈구를 응집시키고 씨와 꼬투리, 과육에는 모두 항 A, 항 B, 항 H 응집소가 들어 있다. 또 소련에서 보고한 바에 의하면 회화나무의 꽃, 열매, 잎 각부분으로 만든 팅크제의 독성은 아주 크며, 소량에서 중추신경계통의 흥분성을 높이고 호흡을 흥분시키며 혈압을 경미하게 낮추고, 대량투여에서는 일부의 반사 기능을 억제시킨다."

[포제(
炮製)]

<꽃송이 및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
괴화탄(槐花炭): 깨끗한 회화나무 꽃을 가마에 넣고 약성이 남게 새까맣게 볶아 맑은 물을 치고 꺼내어 그늘진 곳에서 말린다."

[성미]


<꽃송이 및 꽃봉오리>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2, <일화자제가본초>: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3, <전남본초>: "맛은 씁쓸하고 떫으며 성질은 차다."

4, <본초강목>: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5, <본초구원>: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차다."

<가지>


<본초강목>: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뿌리 및 줄기 속껍질>


1, <약성론>: "맛은 쓰고 독이 없다."

2, <본초강목>: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여 독이 없다."

<잎>


1, <일화자제가본초>: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2, <본초강목>: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꽃송이 및 꽃봉오리>


1, <중약대사전>: "간(肝), 대장경(大腸經)에 들어간다."

2, <본초휘언>: "수양명(手陽明),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3, <약품화의>: "폐(肺), 대장(大腸)의 2경(經)에 들어간다."

4, <본초경해>: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에 들어간다."

<잎>


<득배본초>: "족궐음(足厥陰), 양명경(陽明經)에 들어간다."

[약효과 주치]


<꽃송이 및 꽃봉오리>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피를 차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암치질에 의한 변혈, 치혈(痔血), 요혈, 혈림(血淋), 자궁출혈, 비혈, 적백리, 풍열목적(風熱目赤), 옹저창독(癰疽瘡毒)을 치료한다. 아울러 중풍 예방에 쓰인다."

2, <일화자제가본초>: "다섯 가지의 치질, 속이 쓰리고 아픈 병, 결막염으로 눈이 빨개지는 병을 치료하고 뱃속의 벌레 및 열을 제거하고 피부풍(皮膚風)과 함께 양풍사혈(陽風瀉血), 적백리를 치료한다."

3, <의학계원>: "대장(大腸)의 열을 내린다."

4, <본초강목>: "향기가 날 때까지 볶아 자주 씹어 먹으면 실성증(失聲症) 및 후비(喉痺)를 치료한다. 또한 토혈, 코피, 자궁대출혈과 조금씩 오랫동안 계속되는 자궁출혈을 치료한다."

5, <본초정>: "대장(大腸)을 차게하고 감충(감충)을 없애 버리는 효능이 있다. 옹저창독(癰疽瘡毒), 음창습양(陰瘡濕
), 치루를 치료하고 양매악창(楊梅惡瘡), 하감복독(下疳伏毒)을 없앤다."

6, <의림찬요>: "설폐역(泄肺逆), 사심화(瀉心火), 청간화(淸肝火), 견신수(堅腎水)하는 효능이 있다."

7, <본초구진>: "별혈과 요혈, 혀에서 피가 나는 병을 치료한다."

8, <본초구원>: "피를 차게하는 중요한 약이다. 급성 위완통(胃脘痛)을 치료하고 회충을 없애 버리는 효능이 있다."

9, <동북약식지>: "당뇨병에 의하여 생긴 망막염을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치질, 후비(喉痺: 급성 인후염 따위로 목이 부어 음식을 삼킬 때 심한 통증이 있는 증상), 회충병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후비(喉痺)와 한열(寒熱)을 주치한다."

3, <의림찬요>: "치질을 씻고 살충하는 효능이 있다."

4, <곤명약식조사보고>: "위(胃)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가지>


1, <중약대사전>: "자궁출혈과 대하증, 속이 쓰리고 아픈 것, 눈이 빨개지는 병, 치질, 옴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창(瘡) 및 음낭습양(陰囊濕
)을 씻는다."

3, <당본초>: "부드러운 회화나무 가지로 포위(
炮熨)하면 전갈의 독을 해독한다."

4, <본초습유>: "가지를 태워서 재로 만들어 쓰면 머리카락을 자라게 한다."

5, <본초도경>: "봄에 새로 돋아난 가지를 채취하여 불에 태워 까만 재로 만들어 이를 닦으면 충치를 없앤다. 푸른 가지를 태울 때 흘러 나오는 즙을 옴에 바른다."

6, <전남본초>: "피부의 옴을 씻고 피부가 가려운 풍(風)을 제거한다."

7, <본초강목>: "결막염으로 눈이 빨개지는 병, 자궁출혈을 치료한다."

<뿌리 및 줄기 속껍질>


1, <중약대사전>: "풍(風)을 제거하고 습기를 없애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멎게하는 효능이 있다. 풍사외중(風邪外中), 몸이 뻣뻣해지는 증세, 근육과 피부의 감각이 마비되어 둔한 증세, 열병으로 인하여 생긴 구창(口瘡), 아감(牙疳), 후비(喉痺), 직장 궤양 출혈, 악성 종기, 치질, 난창(
爛瘡), 음부가 가렵고 아픈 증세, 화상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난창(
爛瘡)을 치료한다."

3, <약성론>: "진하게 달인 즙을 음낭의 타종(
墮腫), 기통(氣痛)에 뿌린다. 구치풍감닉혈(口齒風疳䘌血)을 치료하자면 달인 장수(漿水)로 달여서 입가심한다. 또한 남성의 음산난종(陰疝卵腫)을 치료하자면 달인 즙으로 씻는다."

4, <일화자제가본초>: "중풍으로 피부의 감각이 마비되어 둔한 증세, 후비(喉痺)를 치료한다. 오치(五痔)와 함께 모든 악창, 여성의 음부가 가렵고 아픈 증세, 화창(火瘡)을 치료할 경우에는 담가서 씻는다. 달여서 고약으로 만든 것을 바르면 통증이 멎고 새살이 돋아나며 조그마한 종기를 치료한다."

5, <본초도경>: "하혈을 치료한다."

<잎>


1, <중약대사전>: "경간(驚癎), 장열(壯熱), 직장 궤양 출혈, 요혈, 치질, 옴, 습진, 정종(
疔腫)을 치료한다."

2, <식료본초>: "사기(邪氣), 난산, 절상(絶傷)을 주치한다. 또한 은진(
癮疹), 여러 가지의 풍치를 치료한다."

3, <일화자제가본초>: "달여서 복용하면 소아의 경간장열(驚癎壯熱), 옴 및 정종(
疔腫)을 치료한다."

4, <전남본초>: "그늘에서 말려 가루내어 쓰면 일체의 변혈과 요혈을 치료하고, 혹은 치질로 인하여 아프고 피고름이 계속나오는 때에는 등초(燈草)를 달인 물로 복용한다."

[용법과 용량]


<꽃송이 및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내복: 7.5~18.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37~74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는다."

<가지>


<중약대사전>: "내복: 18.5~37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술에 담궈 먹거나 혹은 가루약으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약기운을 쐬거나 태워서 나온 즙을 바른다."

<뿌리 및 줄기 속껍질>


<중약대사전>: "내복: 7.4~18.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 양치질을 하거나 달인 물로 약기운을 쐬거나 가루내어 뿌린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18.5~37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가루약으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 짓찧어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꽃송이 및 꽃봉오리>


<중약대사전>: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사람은 신중하게 복용해야 한다."

회화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6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괴화(槐花)

[기원]
콩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의 꽃봉오리이다. 가지는 괴지(槐枝)라 하고, 잎은 괴엽(槐葉)이라 한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약간 차다.

[효능주치]
꽃은 양혈지혈(凉血止血), 청간사화(淸肝瀉火)하고, 과실은 청열(淸熱), 윤폐(潤肺), 양혈(凉血)한다.

[임상응용]


1. 꽃은 혈열(血熱)로 인한 대변출혈, 치질출혈, 소변출혈, 자궁출혈, 각혈토혈, 코피 등에 양혈지혈한다. 그리고 간열(肝熱)로 눈에 충혈이 지고 머리가 아프면서 어지러운 증상에 차로 달여서 마시고, 피부창진을 치료한다.

2. 과실은 치질출혈, 대변출혈에 쓰고, 부인들의 자궁출혈, 소변출혈 등에 지혈효과가 있다.

[임상연구]


1. 자궁출혈에 다른 약물과 배합해서 지혈(止血)효과를 얻었고, 치질출혈에도 지혈(止血)반응을 나타냈다.

2. 여름철 피부질환에는 달인물로 세척하여 양호한 효과를 거두었다.

3. 목 주위 임파선결핵, 과민반응을 일으키므로 주의해야 한다.

4. 가지는 자궁출혈에 쓰고, 잎은 피부개선(皮膚疥癬), 습진에 생것을 환부에 붙인다.

[약리작용]


1. 꽃은 출혈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태워서 쓰면 그 반응이 더욱 현저하다.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실혐용 개의 혈압을 내렸으며, 간과 동맥 및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내리고, 항경련, 항궤양작용을 보였다. 항방사능작용과 동상(凍傷)의 예방과 치료에도 관여하며, 완만한 사하(瀉下)작용을 나타낸다.

2. 과실은 혈당을 상승시키고, 포도상구균, 대장균에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화학성분]
azukisaponin Ⅰ, Ⅱ, Ⅴ, soyasaponin Ⅰ, Ⅲ, kaikasaponin Ⅰ, Ⅱ, Ⅲ, quercetin, rutin, isorhamnetin, betulin, sophoradiol, lauric acid, dodecenoic acid, myristic acid, tetradecenoic acid, tetradecadienoic acid, palmitic acid, hexadecenoic acid, stearic acid, octadecadienoic acid, octadecatrienoic acid, arachidic acid, β-sitosterol 등을 함유하고 있다.]


회화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회화나무(Styphnolobium japonicum Schon{Sophora japonica L.})

다른 이름: 홰나무, 괴화나무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버들잎 모양의 쪽잎이 6~8장 모인 깃겹잎이다. 이른 여름 가지 끝에 연한 노란색 꽃이 핀다. 열매는 염주 모양으로 달린 꼬투리이다.
산지대를 제외한 각지에서 심는다.

꽃봉오리(괴미): 부풀어난 꽃봉오리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동의치료에서는 핀꽃을 괴화라 하여 쓴다.

열매(괴실, 괴각): 여문 열매를 따서 말린다.

성분: 꽃봉오리에 루틴 10~28%, 적은 양의 캠페롤, 쿠에르세틴, 소포로시드와 게니스테인 배당체가 있다. 또한 푸로사포게닌과 비슷한 물질이 0.4%(물분해하면 베툴린 C30 H50 O2, H2 O과 소포라디올 C30 H50 O2, 포도당, 글루쿠론산이 된다)있다.

꽃의 루틴 함량은 꽃봉오리 때 가장 높고 꽃이 핀 다음에는 크게 낮아진다. 꽃이 진 다음 씨앗집에는 40%까지의 루틴이 있다.

꽃봉오리를 따서 방안에 놓아두어 수분을 날려보내면 꽃을 딴 지 24시간에 루틴 함량이 가장 높아진다. 이때 수분은 약 50%가 날아가고 유리환원당의 함량은 반대로 낮아진다. 이것은 말리는 과정에 생합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에 꽃봉오리에서 소포린 A C29 H36 O17 약 14%, 소포린 B C27 H45 O10 1.2%, 소포린 C 약 0.4%를 분리했는데 소포린 A는 플라보노이드, B와 C는 스테로이드 화합물이다.

열매에는 루틴, 쿠에르세틴, 게니스테인, 소포리코시드 C21 H20 O10, 소포라비오시드 C27 H30 O14, 글루코시도글루코실-3, 5, 7, 4'-테트라히드로플라본 C27 H30 016, 소포라플라보놀로시드 C27 H30 O16와 같은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화합물인 에니솔 C14 H12 O7이 있다. 에니솔은 신선한 열매에 배당체로 들어 있다. 선열매에는 루틴 5%, 소포리코시드 1~2% 들어 있다.

뿌리에는 d-마키아인-글루코시드(소포야포니신), dι-마키아인이 있다.
식물 전체에 알칼로이드가 있으며 씨에 0.35% 있다.  알칼로이드는 시티진, N-메틸시티진, 소포카르핀, 마트린이다.

씨에는 기름 18~24%, 갈락토만난이 분리되었다. 나무속살에는 이소플라바논인 소포롤이 있다.
잎에는 루틴이 1.5~4.4% 있다.

작용: 꽃 달인액은 마취한 개에게서 짧은 시간 뚜렷한 혈압내림작용이 있다. 떼낸 개구리 심장을 약간 흥분시킨다. 루틴은 모세혈관 강화작용이 있으며 고혈압의 예방, 핏줄이상항진증, 피나기 등에 쓴다. 루틴은 핏줄벽에 작용할 뿐 아니라 몸 안에서 아드레날린을 산화시키는 효소의 작용을 세게 하므로 결국 아드레날린의 분해가 촉진되어 아드레날린 고혈압을 낮춘다. 이때 루틴의 산화 생성물인 퀴논형의 물질이 루틴보다 센 작용을 나타낸다. 루틴, 쿠에르세틴, 미리시트린은 또한 강심, 오줌내기, 항히스타민작용과 비타민 C와의 협력작용, 피응고 촉진작용이 있다.
d-마키아인-β-D-글르코시드는 항암 활성이 있다.

응용: 꽃봉오리는 루틴 원료이다.

동의 치료에서는 핀 꽃(괴화)을 염증약, 수렴약, 설사멎이약, 피멎이약으로도(열매도 피멎이약으로 쓴다) 장과 자궁의 염증성 출혈, 각혈, 코피, 치질에 물에 달여서 쓴다. 열매는 피부 또는 점막의 염증에 쓰는 약을 만든다.

괴화염증약: 여문 열매를 물로 씻고 압착하여 즙을 만든다. 즙을 말려 물 또는 물-알코올에 0.5~5% 되게 풀거나 고약을 만들어 습진, 피부가려움증에 바른다.
루틴과 쿠에르세틴을 분리하여 알약 또는 가루로 만들어 염증 알레르기 과정에 또는 핏줄의 투과성과 취약성이 높아진 때에 먹는다.
]

회화나무의 구구한 유래에 대해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로서 우리나라에 있는 노거수들은 대개가 기념으로 심겨진 것임을 중국의 고사로 미루어 알 수 있다. 이는 중국의 문화나 풍습에 영향받았음을 대변해 준다.

중국에서는 회화나무를 괴수(槐樹)라 하며 길상목(吉祥木)의 하나로서 매우 귀히 여긴다. 그 기원은 주나라때 삼괴구극(三槐九棘)이라 하여 조정의 외조(外朝)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고 우리나라의 3정승에 해당되는 삼공(三公: 태사:太師, 태전:太傳, 태보:太保)이 이에 마주보고 앉았다. 또 좌우에 각각 아홉 그루의 극(棘: 가시나무)을 심어 오른쪽에는 고경(孤卿), 대부(大夫), 왼쪽에 공(公), 후(侯), 백(伯), 자(子), 남(男)이 앉는 제도가 있었다. 이 회화나무를 심는 고사로부터 삼공(三公)의 위(位)를 괴위(槐位)라 하였으며 대신(大臣)의 별칭을 괴문(槐門)이라고도 했다. 따라서 회화나무를 심으므로서 출세(出世)하며 또 출세할 때마다 이 나무를 심는다고도 한다. 과거에 급제하면 회화나무를 심었다고 하며, 관리가 공명을 얻은 후 관직에서 퇴직할 때면 기념으로 심는 것도 회화나무였다 한다. 이 풍습이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현재 있는 노거수(老巨樹)의 대부분이 다른 수종의 노수(老樹)에 비해 비교적 식재된 내력이 밝혀진 것이 많은 것으로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있는 노수(老樹)들은 대개가 고궁(古宮)이나 서원(書院), 문묘(文廟), 벼슬하던 대가(大家)의 뜰 등에 심어져 있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회화나무가 이토록 신성한 나무로서 숭상받는 것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 괴(槐)는 허정(虛精)의 정(精)으로서 노괴(老槐)는 불(火)을 잘 만들며 신선(神仙)이 깃들어 있어서 그 신기함을 귀히 여겨야 한다고 했다.

신흉(神凶)을 알리는 것은 아직 버리지 않았다는 증거게 얽힌 고사가 있다. 옛날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 때 궁전 뜰앞의 높이 20길이 넘는 회화나무 거수가 있었는데 바람도 불지 않았는데 뿌리채 뽑혀 거꾸로 섰더라고 한다. 신하들은 서로 마주보고 모두 두려워 떨며 흉조라고 했는데 광무제(光武帝)는 하늘이 알려주는 뜻이라고 오히려 기뻐하며 이때부터 가난한 백성에게 재물을 털어 구제하고 남는 것으로 부족함을 도왔더니 이 회화나무는 하룻밤 사이에 본래의 모습대로 바로 섰다 하며 잎사귀 한 장도 마른 것이 없었다는 것이다.

특히 옛날에는 판관(判官)이 송사를 들을 때 반드시 회화나무를 가지고가 재판에 임했다 하며 이는 이 나무의 정(精)으로 하여금 진실에 이르도록 한다는 데 그 뜻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세월이 흐른 후에는 회화나무 3그루를 집 정문 안에 심어두면 그 집에 행복(幸福)이 찾아온다고 믿어 즐겨 심는 정원수가 된 민속의 나무다.

중국에서 주나라 때는 묘지에 심는 5종의 관인수종(官認樹種)이 있었는데 군주(君主)의 능에는 「소나무」를 왕족(王族)의 묘지에는 측백(側伯)을 고급관리의 묘지에는 「회화나무」를 학자(學者)의 무덤에는 「모감주나무」를 서민의 무덤에는 「사시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고관의 무덤에 회화나무를 심은 것은 삼괴(三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밖에 후수(候樹) 혹은 후괴 일리(1里)후라 하여 이정(里程)을 표시하는 나무로 심기도 했다.

자명괴(自鳴槐)의 전설이 있는데 회화나무마다 스스로 소리가 나는 자명괴가 한 송이씩 있다 하며 마귀가 늘 이 자명괴를 따먹고 괴화(회화나무)의 정을 힘입어 길흉을 알아서 흉사가 생길 집을 향해 까까 짓는다는데, 회화나무 꽃이 피려고 할 때 큰 망태를 메고 한 송이도 땅에 떨어뜨리지도 말고 빼놓지도 않게 허실됨이 없이 따모아 여러 합에 나누어 담고 밤에 자지 않고 지키면 반드시 그릇 속에서 은은히 쇠붙이가 부딪히는 소리가 난다. 그 그릇의 회화나무 꽃을 다시 여러그릇에 나누어 담아 지난밤처럼 반복하기를 한 송이씩 담을 수 있을 때까지 여러 날 계속하여 소리나는 자명(自鳴) 회화나무 꽃 괴화(槐花)를 삼키면 스스로 영통하여서 천상(天上)과 인간사를 모를 바가 없이 신통력을 얻는다는 것인데 자명괴는 반드시 땅에 떨어져서 쉽게 얻어지지 않는다고 태을통독(太乙通讀)에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 있는 노거수(老巨樹)에 얽힌 고사나 전설은 수없이 많다. 대개가 신목(神木)으로 받들던 것들로서 병이 나면 치성드려 병이 낫는다든가 전염병이 유행할 때 기도하면 예방할 수 있다든가 동리의 안녕평강을 기도한다든가 또는 침해하면 악질(惡疾)에 걸리거나 병사한다는 등 생명에 관계된 전설들이 대부분이다.

6월 15일 유두날(流頭日)에 수단(水團)을 먹는 뜻은 지봉유설에 이르되 옛날 괴화 잎을 냉수에 띠워 먹던 괴엽냉(槐葉冷)의 풍속의 뜻과 같다고 하는데 이는 나쁜 액운을 떨쳐 버리기 위함이라 한다.
]

눈을 밝게하고 머리카락이 빠지며 흰머리를 예방하는 비방

기원 7세기 당나라 시대에 손사막이 지은
<비급천금요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괴자(槐子) 즉 회화나무씨를 소의 담낭(膽囊) 속에 담가 백일간 그늘에 말려 식후에 회화나무씨를 한알씩 먹으면 10일이 되면 몸이 가볍고 30일에는 백발이 검게되며 100일에 가서는 영묘자재(靈妙自在: 신령하고 오묘하여 스스로 존재)하게 된다.]

회화나무에 기생하는 목이 버섯(Auricularia auricula 'L. ex Hook.' Underw)을 가리켜 <괴이>, <괴목수>, <괴균>, <괴계>, <괴아>, <적계>라고도 부른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다섯가지의 치질, 속이 쓰리고 아픈 증세, 여성의 음부가 가렵고 아픈 증세, 변혈, 탈항, 회충으로 속이 쓰리고 아플때, 자궁출혈을 치료한다.

하루 7~11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약성이 남게 태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중국의
<당본초>에서는 말하기를 [괴이는 회화나무에 나는 버섯이다. 단단해졌을 때 채취하는데 뽕나무에서 자라는 목이과 비슷하다. 통째로 구워분말하여 고약을 만들어 붙이면 전갈의 독을 해독한다.]

회화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꽃송이 및 꽃봉오리>

1, 대장하혈(大腸下血)

괴화(槐花), 형개수(荊芥穗)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술로 약 3.7g을 복용한다. [경험방(經驗方)]

2, 장독(臟毒), 주병(酒病), 변혈

괴화(槐花: 18.5g을 볶은 것, 그리고 18.5g은 신선한 것), 산치자(山梔子: 껍질을 제거하고 볶은 것) 37g을 가루내어 1회 7.4g을 새로 길은 물에 타서 식전에 복용한다. [경험양방(經驗良方), 괴화산(槐花散)] 

3, 폭열하혈(暴熱下血)

신선한 저장(猪臟) 1개를 깨끗이 씻어 매달아 말리고 볶은 괴화(槐花) 가루를 가득 채워 넣고 꽉 동여매어 가마에 넣고 푹 삶아질 정도로 미초(米醋)로 볶아 갈아서 탄알 만하게 환을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1회 1환을 당귀(當歸)를 달인 물이나 술에 녹여 빈속에 복용한다. [
영류검방(永類鈐方)]

4, 여러 가지 치질에 의한 출혈

괴화(槐花) 74g, 지유(地楡), 창출(蒼朮) 각 55.5g, 감초(甘草) 37g을 함께 약간 볶아 갈아서 가루내어 아침 저녁으로 각 식전에 7.4g을 복용한다. 기치(氣痔: 과로로 중기:中氣가 손상되어 피가 나는 것)인 경우에는 인삼탕(人蔘湯)에 타서 복용하고 주치(酒痔: 주독이 과다하게 쌓여 피가 나는 것)인 경우에는 진피(陳皮), 건갈탕(乾葛湯)에 타서 복용하며, 충치(蟲痔: 안에서 벌레가 움직여 가렵고 피가 나는 것)인 경우엔 오매탕(烏梅湯)에 타서 복용하고 맥치(脈痔: 노동으로 손상되어 치규:치규에서 피가 실처럼 계속 나오는 것)인 경우에는 아교탕(阿膠湯)에 타서 복용한다. [
두씨가초방(杜氏家抄方)]

5, 요혈

괴화(槐花: 볶은 것), 울금(鬱金: 불에 구운 것) 각 37g을 가루내어 1회 7.4g을
담시탕(淡豉湯)으로 복용한다. [협중비보방(篋中秘寶方)]

6, 혈림(血淋)

괴화(槐花)를 태워서 화독(火毒)을 제거하고 절굿공이로 빻아 가루낸다. 1회 3.7g을 물이나 술로 복용한다. [
전남본초(滇南本草)]

7, 자궁출혈

오래 묵은 괴화(槐花) 37g, 백초상(百草霜) 18.5g을 가루내어 1회 11~19g을 알맞게 데운 술에 타서 복용한다. 만약 정신이 몽롱하여 인사불성일 때에는 저울추를 빨갛게 태워 담금질한 술에 타서 복용한다. [
양붕회집(良朋滙集), 괴화산(槐花散)]

8, 백대하가 멎지 않을 때

괴화(槐花: 볶은 것), 모려(牡蠣: 불에 구운 것),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1회 11g을 술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적원방(摘元方)]

9, 코피가 멎지 않을 때

괴화(槐花), 오적골(烏賊骨) 각 같은양을 절반쯤 볶아 가루내어 콧속에 불어 넣는다.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10, 토혈이 멎지 않을 때

괴화(槐花)를 양의 다소를 막론하고 약성이 남게 태워서 곱게 가루내고 여기에 사향(麝香)을 조금 넣어 고루 섞는다. 1회 약 11g을 찹쌀로 쑨 따뜻한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 [성체총록(聖濟總錄), 괴향산(槐香散)]

11, 혀에서 피가 멎지 않고 계속 나오는 것, 일명 설뉵(
舌衄)
괴화(槐花)를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혀 위에 바르거나 혹은 불에 볶아 화독(火毒)을 제거하고 가루내어 바른다. [기효양방(奇效良方), 괴화산(槐花散)]

12, 적백리

괴화(槐花: 약간 볶은 것), 11g, 백작약(白芍藥: 볶은 것) 7.4g, 지각(枳殼: 밀기울로 볶은 것) 3.7g, 감초(감초) 1.8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13, 정창종독(
疔瘡腫毒), 일체의 등에 난 악창의 화농여부를 불문하고 치료하는데 오직 심한 통증만 있는 경우에는 모두 치료할 수 있다.
괴화(槐花: 약간 볶은 것), 도핵인(桃核仁) 각 74g, 무회주(無灰酒) 1종(鍾)을 천여번 펄펄 끓여 뜨거울 때 복용한다. [의방적요(醫方摘要)]

14, 부스럼

괴화(槐花) 2홉, 금은화(金銀花) 18.5g을 술 2사발로 달여서 복용하고 땀을 낸다. [의학계원(醫學啓源), 괴화금은화주(槐花金銀花酒)]

15, 양매창(楊梅瘡), 면화창독(棉花瘡毒) 및 하감(下疳)의 초기 감염 혹은 독이 성하고 오래되어 치료하기가 어려운 것

괴화예(槐花蕊: 잡물을 깨끗이 가려 없애고 볶지 않은 것)을 매 식전에 청주로 11g 쯤을 복용하는데 아침, 점심, 저녁으로 하루에 3번 복용한다. [경악전서(景岳全書)]

16, 중풍에 의한 실성증

볶은 괴화(槐花)를 삼경(三更: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의 동안)후에 반듯이 누워 씹어 삼킨다.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

17, 건선(마른버짐)
(임상보고)
괴화(槐花)를 노르스름하게 볶아 갈아서 가루내어 1회 3.7g을 하루에 2회 식후에 미지근 한 물로 복용한다. 또는 회화나무꽃으로 밀환(蜜丸)을 만들어 복용하는데 복용량은 위와 같다.

임상 관찰한 53례 중 완쾌 6례, 뚜렷한 호전 22례, 호전 19례, 무효 6례였다. 이 약은 위장도(胃腸道) 질병이 있는 환자에 대하여 일정한 부작용이 있는데 복약시 비타민 B1, B6를 가하여 복용하면 완화된다. 또한 일부 환자가 설사를 하기 시작하였으나 며칠 후에 저절로 없어졌다. 그러므로 복약은 우선 적은 양으로부터 시작하여 2~3일 후에 전량을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18, 목덜미에 생긴 림프절 결핵
(임상보고)
괴미(槐米) 0.74g, 찹쌀 0.37g을 노르스름하게 볶아 갈아서 가루내어 매일 아침 빈속에 2숟가락(약 10g)을 복용한다. 복약기간에 설탕 같이 단 것을 금한다. 임상 치료한 30여례가 모두 치유되었다. [중약대사전]

19, 서절(暑癤)
(임상보고)
말린 괴화미(槐花米) 37~74g에 물 1,500ml를 붓고 달인 즙을 솜에 묻혀 국부를 씻는다. 약즙을 반복해서 가열하여 하루에 2~3번씩 씻는다. 동시에 약찌꺼기를 진흙처럼 짓찧어 아픈 곳에 바른다. 일반적으로 약을 쓴지 1~2일 후에 국부의 부기가 가라앉으면서 낫는다. [중약대사전]

20, 회화나무꽃을 소아가 먹고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때
(임상보고)
이전에 보고된 1례를 보면 소아가 회화나무꽃을 먹은 후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는데 열이 나고 얼굴, 목덜미 및 팔다리의 피부가 빨개지고 표면에 크기가 다른 구진이 빽빽이 돋아나 눌러도 없어지지 않으며 가렵고 바늘로 찌르듯이 쿡쿡 쑤시고 뺨 및 목앞에 지름이 약 0.5cm 되는 둥굴게 도드라진 흰 물집과 조각 모양의 진물러진 곳이 있고 아울러 적은 삼출액이 있었다. 반첩(斑貼) 시험에서 양성이었다. 초기에 베나드릴(Benadryl)을 썼으나 효과가 좋지 않았고 나중에 경화고적속(
氫化考的松)으로 바꿔 치료하였더니 점차 회복되었다. [중약대사전]

<뿌리>


21, 다섯 가지 치질

회화나무 뿌리를 달인물로 씻는다. [
요승탄집험방(姚僧坦集驗方)]

22, 여성의 치질

회화나무 뿌리 74g, 갈균(葛菌) 74g을 돼지 큰창자와 함께 푹 삶아 복용한다. [중경초약(重慶草藥)]

<가지>


23, 오래된 것이나 갓앓은 것이나를 불문하고 자궁출혈과 적백대하

회화나무 가지를 태운 재 약 1g을 식전에 술로 복용한다. [매사집험방(梅師集驗方)]

24, 치핵(痔核)

회화나무 가지를 진하게 달여서 먼저 치질을 씻고 바로 그 위에 7장 정도의 쑥뜸을 뜨는데 효과가 있을 때까지 뜬다. [전신방(傳信方)]

25, 아홉 가지 심통(心痛)

신선한 회화나무 가지 한 줌을 양끝을 잘라 버리고 가늘게 썰어 물 3되를 붓고 1되로 졸아들게 달여서 한번에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26, 대풍위비(大風
痿痺)
괴눈벽(槐嫩蘗)을 달인 즙을 술로 빚어서 복용한다. [당본초(唐本草), 괴지주(槐枝酒)]

<뿌리 및 줄기 속껍질>


27, 중풍으로 몸이 뻣뻣하게 굳어 굽히거나 폈다 할 수 없을 때

괴피(槐皮: 황백색인 것)를 잘 게 썬 다음 술과 물 6되를 넣고 2되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미지근하게 하여 조금씩 복용한다. [주후방(肘後方)]

28, 파상풍으로 인사불성이 되고 위급한 상태에 처해있으며 기(氣)가 끊어졌지만 흉복부가 따뜻할 때

괴수지피(槐樹枝皮)를 칼로 돌려가면서 한덩이를 깍아내고 거친 껍질을 바깥쪽으로 하여 상처에 대고 그 위에 몇 번 쑥뜸을 뜬다. 상처가 아픈 경우에 뜸을 떠도 아프지 않으므로 아프지 않는 자는 아플 때까지 뜸을 놓고 그런다음에 뜸불에 문지른다. [보제방(普濟方)]

29, 열병으로 인하여 생긴 구창(口瘡)

수염뿌리를 제거한 황련(黃連) 0.37g, 괴백피(槐白皮) 18.5g, 감초근(甘草根) 18.5g. 상술한 약물을 잘 게 썬 다음 물 1잔(큰 것)을 넣고 반잔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데워 입가심하고 토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30, 치통

괴백피(槐白皮) 1움큼, 형개수(荊芥穗) 18.5g. 상술한 약물에 식초 1되를 넣고 5홉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식염을 조금 넣고 뜨겁게 데워 입가심하고 토하며, 병이 치유될 때까지 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31, 맥치(脈痔)에 기생충이 있거나 또는 피고름이 날 때

괴백피(槐白皮) 1kg을 잘 게 썬 다음 물 1말 5되를 넣고 1말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대야에 쏟아 붓고 대야에 걸터앉아 약기운을 쐰다. 식으면 다시 덥혀서 상술한 방법과 같이 하면 기생충은 대변과 함께 배출된다. 또는 괴백피(槐白皮)를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솜으로 3.7g을 싸서 항문에 넣는다. [성제총록(聖濟總錄), 괴백피탕(槐白皮湯)]

32, 저창(疽瘡)을 씻어 독기를 없애고 고름을 제거하며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처방

괴백피(槐白皮) 37g, 상백피(桑白皮), 강진향(降眞香), 방풍(防風) 각 18.5g을 잘 게 썬 다음 물 3되를 넣고 반되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저제탕(猪蹄湯) 대신으로 씻는다. [위제보서(衛濟寶書), 괴백피탕(槐白皮湯)]

33, 음부의 습양(濕癢)이 창(瘡)으로 되었을 때

저제(猪蹄)의 2개, 얇게 자른 괴백피(槐白皮) 500g을 달인 물로 하루에 5~6회 창(瘡)을 씻는다. [구급방(救急方)]

34, 음창(陰瘡)으로 음부의 주위에 좁쌀같은 것이 돋고 짓무르거나 가려울 때

괴백피(槐白皮) 한 움큼과 식염(3손가락으로 움킨 양)에 물 2되(큰 것)을 넣고 1되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미지근하게 하여 하루에 3~5회 아픈 곳을 씻는다. 만약 여행을 갔다와서 풍(風)이 침습한 것 같으면 쌀가루와 함께 바른다. [맹선(孟詵), 필효방(必效方)]

35, 화상

괴근(槐根)의 두 번째 껍질이나 꽃을 불에 말려 갈아서 가루내어 바른다. [강서(江西), 중초약학(中草藥學)]

<잎>


36, 곽란으로 구토 설사를 하고 심번민란(心煩悶亂)하는 것

감초(甘草: 약간 빨갛게 구워서 썬 것) 0.37g, 괴엽(槐葉) 37g, 상엽(桑葉) 37g을 찧고 체로 쳐서 가루를 만든다. 1회 11.1g을 물 1잔(보통 잔)으로 3/5쯤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아무 때나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37, 치질, 하혈, 직장 궤양 출혈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하는법

부드러운 회화나무 잎 500g을 빻아 가루내어 물로 달여서 마신다. [식의심경(食醫心鏡)]

38, 만성 습진

신선한 회화나무 잎을 끓는 물에 넣고 깨끗이 씻은 다음 진흙처럼 짓찧어, 먼저 끓인 물로 아픈 곳을 깨끗이 씻고 찧은 회화나무 잎을 아픈 곳에 바르고 붕대 따위로 싸맨다. 하루에 1번 바꾸어 준다. [중의잡지(中醫雜誌)]

39, 코막힘으로 호흡이 곤란한 것

회화나무 잎 5되, 총백(蔥白) 썬 것 1되, 시(豉: 메주) 1홉을 물 5되로 3되가 되게 달여서 3번에 나누어 복용하는데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비고(備考)]


<본초도경(本草圖經)>:
"회화나무는 요즘 곳곳에 있으며 그 나무에 키가 아주 큰 것도 있다. <이아(爾雅)>에 의하면 회화나무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잎이 크고 까만 것을 회괴(
槐)라고 부르며 낮엔 벌어졌다가 밤에 오므라지는 것을 수궁괴(守宮槐)라 부르고 잎이 가늘고 청록색인 것만을 회화나무라 부른다 하였고 그 효능의 차이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4~5월에 꽃이 피고 6~7월에 열매가 열리며 7월에 어린 열매를 따서 짓찧어 짜낸 즙을 달여서 복용하고 10월에 딴 잘 성숙한 과실은을 약용으로 쓰며 껍질과 뿌리는 아무 때나 채취하여 쓴다. 요즘 의사들은 회화나무를 많이 사용한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 회화나무는 높이가 14.6m에 달하는데, 1982년 11월 4일 천연기념물 제 316호로 지정되었다가 생육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보호관리가 어렵다 해서 1993년 4월 16일 지정이 해제되었고 현재는 부산광역시의 보호수로 지정된 나무이다. 괴정동(槐亭洞)이란 이름의 유래도 회화나무 그늘아래 쉬고 놀 수 있는 정자가 많은 동네라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괴정동의 회화나무는 수령이 600년이 넘으며 나무높이 14.6m, 가슴높이 줄기둘레 6.4m이고, 가지퍼짐은 동쪽 6m, 서쪽 5.3m, 남쪽 10.2m, 북쪽 17m이다. 이 곳의 회화나무는 땅 위 1m 높이에서 줄기가 3갈래로 갈라져 있다.

괴정동의 전설에 대해서
<부산시청 홈 페이지>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괴정동(槐亭洞)은 사람들이 살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서 조선시대부터 사람들이 취락을 이루고 살아온 곳이다.  괴정동의 뒷 줄기인 속칭 ''아래머리'' 구덕산을 ''용호부리''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낙동강쪽으로 뻗어내린 줄기를 이렇게 부르며 풍수지리설에서 온 이름인 듯하다.  

구덕산의 강안(江岸)에 뻗은 말맥(末脈)이 병풍처럼 둘러져서 세찬 폭풍과 낙동강을 불어 내려온 강풍을 막아주고, 동쪽에는 시약산이 솟고, 남쪽에는 금티산이 솟아 그 줄기가 서쪽으로 나지막한 구릉을 이루어 해풍을 막아주는 방파제 구실을 하고 있다.   

지금의 괴정동을 옛날에는 목장리라 했다. 괴정동 주위는 조선시대에는 국마(國馬)를 기르는 목장이었는데 이 괴정동의 목장이 가장 규모가 크고 목장으로서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다대진 관하의 목장으로는 괴정동의 목장이 가장 규모가 컸던 모양이니 괴정동을 목장리라고 부르게까지 되었고, 지금의 희망촌 일대를 마꼴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때 다대포첨사가 목장을 감독하는 감목관이었는데 어느 감목관 때 감목행위가 너무 지나치게 가혹해서 마을사람들이 팔정자나무 아래서 그 감목관을 성토하다가 비참한 죽음을 입었다고 한다. 그  팔정자나무의 하나가 지금 부산시 보호수로 지정된 회화나무인데 이 나무가 있는 정자를 괴정이라 했고, 이 괴정으로 괴정동이란 마을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1914년 대티동 일부를 편입하였으며, 그때 부산부에서 동래군 사하면으로 편입되었다. 1942년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부산부에 편입되었으며, 1959년 괴정1,2동으로 1965년 시조례에 의해 괴정1동을 괴정1,3동으로 분동하였다. 1979년 8월 괴정1동이 괴정1,4동으로 분동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고분들마을, 괴정마을, 대티마을, 신촌, 양지마을, 희망촌이 있었다.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주민들은 행복을 가져오는 회화나무를 빈터를 잘 활용하여 가꾸고 보전함으로 과거 옛날의 회화나무정자의 마을이라는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회화나무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화나무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회화나무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