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살나무(회잎나무) 무엇인가?

가지의 날개가 화살깃을 닮은 화살나무

 

 

 

 

 

 

 

 

 

 

 

 

[화살나무의 잎, 꽃, 열매, 줄기, 겨울눈, 날개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암작용, 혈당강하작용, 인슐린의 분비를 늘리는 작용, 당뇨병[임상보고], 파혈, 통경, 살충, 월경이 없는 데, 징가, 산후 어혈 복통, 기생충으로 배가 아픈 데, 여성의 자궁출혈, 복만한출, 중악요복통, 백충을 없애는데, 피부풍독종, 영음중해, 파진혈, 낙태, 파징결, 대하를 멎게 하는데, 산후의 패혈이 없어지지 않는 증상, 어린 아이가 베개를 잘못 베고 자서 목이 뻣뻣하게 된 증상, 통증이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증상, 해산 후의 허한 틈을 타 풍한이 내박하여 불결한 오로가 나오고 배꼽부위가 딴딴해지고 더부룩하게 부어 오르거나 아풀 때, 산후의 혈운으로 기가 끊어질 것 같은 증세, 악주심통, 교자복협, 진드기피부병, 산후의 피멎이약, 통경약, 산후출혈, 적백대하, 어혈, 견배통이 여기저기서 아플 때, 젖이 나오지 않을 때, 학질[말라리아], 종독, 복통을 다스리는 화살나무

화살나무는 각지의 낮은 산에서 자라며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이다.

화살나무의 학명은 <
Euonymus alatus (Thunb.) Sieb.>이다. 높이는 1~2미터까지 자란다. 가지에 2~4줄의 날개가 있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거꾸로 된 달걀형이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잔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회녹색으로 털이 거의 없으며 잎자루가 짧다. 잎 겨드랑이의 취산 꽃차례에 작은 황록색 꽃이 2~3개씩 모여 핀다. 타원형 열매는 붉은색으로 익으면 껍질이 벗겨지면서 주홍색 씨가 드러난다. 가지에 날개가 없는 것을 '회잎나무'라고 부른다.

개화기는 5월이고 결실기는 10~11월이다. 

화살나무속은 전세계에 약 15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약 13종이 분포하고 있다.

화살나무(홑잎나무, 참빗나무), 좀화살나무, 삼방회잎나무, 회잎나무, 좀참빗살나무, 섬회나무, 줄사철나무, 사철나무, 긴잎사철나무, 무룬나무(넓은잎사철나무), 좁은잎참빗살나무(조선회나무), 나래회나무(회나무), 참회나무(회나무, 회둑나무), 회목나무(실회나무, 개회나무), 둥근잎참빗살나무, 회나무(좀나래회나무), 참빗살나무(물뿌리나무), 흰참빗살나무, 버들회나무 등이 자생하고 있다.

화살나무의 다른 이름은
귀전우[鬼箭羽=
guǐ jiàn yǔ=꾸이V찌앤V: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위모[衛矛=wèi máo=웨이마오, 귀전:鬼箭: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신전[神箭: 광아(廣雅)], 육월능[六月凌: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팔수[八樹, 사능봉:四棱鋒, 운양:芸楊, 귀견수:鬼見愁: 중국수목분류학(中國樹木分類學)], 사면봉[四面, 비기시:篦箕柴: 절강중약수책(浙江中藥手冊)], 풍창림[風林: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산계조자[山鷄條子: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사면극[四面戟: 약재학(藥材學)], 천층피[千層皮, 도첨차:刀尖茶, 안영차:雁翎茶, 사능차:四茶: 요녕경제식물지(遼寧經濟植物誌)], 니시키기[ニシキギ=錦木: 일문명(日文名)], 배대회[俳帶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img1.jpg[동의보감(東醫寶鑑)], 회닙[물명고(物名考)], 회잎나무, 화살나무, 참빗살나무, 홋잎나무, 홑잎나무, 홑잎나물, 잎나물, 참빗나무, 참빗살나무, 챔빗나무 등으로 부른다.

※ 참조: 회잎나무와 화살나무는 코르크질의 날개가 없는 것을 회잎나무로 구분하고 있으나 화살나무도
4~5년 지나 줄기가 굵어지면서 코르크가 없어지기 때문에 회잎나무와 종종 혼동을 일으키며 현재로선 화살나무와 회잎나무가 같은 것으로 보는 추세로 가고 있다. 유전적으로 화살나무와 회잎나무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환경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변이로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엄밀히 말해서 아래에 화살나무의 각종 의서의 효능을 회잎나무와 같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은 것으로 사료된다. 

[채취]


<중약대사전>: "일년 내내 채취한다. 가지를 벤 후 너무 어린 가지와 잎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혹은 날개 모양의 부속물을 수집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말린 가지는 길고 동글한 기둥 모양으로 분지가 많으며 길이가 약 40~50cm 내외, 지름이 0.4~1cm이다. 표면은 회갈색이고 세로 주름이 있으며, 네 면에 회갈색을 띈 조각 모양의 날개가 붙었는데 마치 살깃과 비슷하다. 가지는 단단하고 질기며 잘 끊어지지 않는다. 잘라 낸 면은 연한 황색이고 굵은 섬유질이다. 날개의 질은 가볍고 바삭 바삭하며 쉽게 끊어진다. 잘라 낸 면은 비교적 평평하고 어두운 적갈색이며 자잘한 과립성(顆粒性)이다. 약간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씁쓸하고 떫다. 가지가 균일하고 날개 모양의 부속물이 가지런한 것이 좋다. 중국 대부분 지역에서 많이 난다."

[성분]


<중약대사전>: "잎에 epifriedelanol, friedelin, quercetin, dulcitol이 들어 있다. 종자유에는 포화지방산(20%), oleic acid, linoleie acid, linolenic acid, caproic acid, acetic acid와 benzoic acid 등이 들어 있다. 또한 oxaloacetic acid도 들어 있다."

[약리 작용]

<중약대사전>: "혈당강하 작용: 화살나무의 전제(煎劑)에서 추출한 sodiumoxalaterabbit 혹은 alloxan성 당뇨병의 rabbit에 대하여 혈당이나 요당을 강하시키켜 체중을 증가하는 작용이 있다. 마취한 정상적인 개의 정맥에 점적(點適)하면 혈당이 뚜렷하게 낮아진다. rat에게 5~10mg/day40일간 경구 투여하면 저혈당 및 랑게르한스 섬 세포의 증식을 일으키는데 동시에 α-세포는 위축된다. 따라서 sodium oxalateβ-세포를 자극하여 비정상적인 대사 과정을 조정하여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뇨병 환자에게 100~1000mg/day을 복용시키니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동속식물인 구위모(歐衛矛: Euonynus europaeus의 씨에는 cardiacglucoside가 들어 있는데 이 작용은 strophanthin과 비슷하지만 보통 정도의 혈압강하 작용이 있고, 그밖에도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guinea-pig의 창자를 수축시킨다."

[포제(
炮製)]

1, <중약대사전>: "잡물을 제거하고 물에 담갔다가 물기가 충분히 스며 들었으며 꺼내어 토막으로 잘라 햇볕에 말린다."

2, <뇌공포자론(
雷公炮炙論)>: "화살나무를 채취하여 날개의 부분만 사용한다. 빨간 털을 긁어 없애고 소()를 넣고 천천히 볶아서 쓴다. 37g을 수치하는데 소(: 크림 같은 것) 0.37g을 쓰고 소()가 없어질 때까지 볶는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3, <오보본초>: "쓰고 독이 없다."

4, <약성론>: "독이 조금 있다."

5, <일화자제가본초>: "맛은 달고 떫다."

6, <본초강목>: "맛은 시고 떫다."

[귀경(歸經)]


<본초찰요(
本草撮要)>: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파혈(破血), 통경(通經), 살충(殺蟲)하는 효능이 있다. 무월경, 징가(癥瘕), 산후 어체(瘀滯)에 의한 복통, 충적(蟲積)에 의한 복통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여성의 자궁출혈, 복만한출(腹滿汗出)을 치료한다."

3, <명의별록>: "중악복통(中惡腹痛)을 치료하고 백충(白蟲)을 없애며 소피부풍독종(消皮膚風毒腫)하고 영음중해(令陰中解)한다."

4, <약성론>: "파진혈(破陳血), 낙태한다. 중악요복통(中惡腰腹痛)을 다스린다."

5, <당본초>: "여성의 혈기(血氣)를 치료한다."

6, <일화자제가본초>: "월경을 순조롭게 하고 파징결(破
結)하며 자궁출혈과 대하를 멎게 하고 복장충(腹臟蟲)을 죽이며 산후혈교복통(産後血絞腹痛)을 치료한다."

7, <식물명실도고>: "종독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6~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본초품회정요(
本草品滙精要)>: "임신부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화살나무 및 회잎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보물 제 1235, 세종조 1431~1433년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집필하여 85권으로 출판한 북측에서 펴낸 <향약집성방> 5, 33, 455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위모(衛矛: 화살나무껍질)

석묘근(石茆根)과 매우 비슷하므로 잘 구별해서 써야 하는데 잎과 맛이 서로 다르다. 위모(衛矛)를 쓸 때에는 껍질을 벗겨서 겉에 붉은 솜털을 없애고 졸인젖을 발라 천천히 볶아서 쓴다. 포제(炮製)할 때 위모(衛矛) 한량(一兩: 37.5g)에 졸인젖 1(一分: 9.375g)을 발라 젖이 다 없어질 때까지 볶는다.

위모[衛矛: 화살나무껍질, 향명(鄕名): 배대회(俳帶檜)]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붕루(崩漏), 하혈(下血), 배가 그득한 것, 땀이 나는 것 등을 치료하고 사기(邪氣), 귀독(鬼毒: 귀신에 씌인 것), 고주(蠱疰)을 없애며 중악(中惡)과 배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촌백충(寸白蟲)을 몰아내고 피부의 풍독(風毒)과 음부(陰部)가 부은 것도 치료한다. 일명 귀전(鬼箭)이라고도 한다. 산골에서 자라며 음력(陰曆) 8월에 벗겨 그늘에서 말린다.

1, <
약성론(藥性論)>: "귀전(鬼箭)은 사약(使藥)으로 쓰는데 독이 조금 있다. 어혈(瘀血)을 흩어지게 하고 낙태시키며 중악(中惡), 허리나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하며 귀사(鬼邪), 귀매(鬼魅)를 없앤다."

2,
일화자(日華子)>: "귀전우(鬼箭羽)는 맛이 달고 떫다. 월경을 잘 하게 하고 징결(癥結)을 흩어지게 하며 혈붕(血崩)과 대하(帶下)를 멈춘다. 또 배안의 충()을 죽이며 산후 어혈로 뱃속이 비트는 듯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3, <
도경(圖經)>: "음력(陰曆) 3월이 지나 줄기에서 싹이 돋아 4~5자 남짓하게 자란다. 줄기에는 깃 같은 것이 3개 달리는데 화살촉깃 같다. 잎이 산차(山茶) 같기도 한데 푸르다. 음력(陰曆) 8, 11, 12월에 줄기 껍질을 벗겨 그늘에서 말린다. 일명 나무를 구골(狗骨: 개뼈)이라고 한다."]

화살나무 및 회잎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법인문화사에서 신대역으로 발행한 보물 제 1085, 선조 29년 기원 1596~1610년에 편찬하고 광해군 51613년에 25권으로 출판된 허준의 <동의보감> 2021-202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위모(衛矛,  img1.jpg, 화살나무/회잎나무)

성질은 차고, 맛은 쓰며 독은 없다(일설에서는 독이 조금 있다고 하였다). 고독(蠱毒), 시주(尸疰), 중악(中惡)으로 배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사기(邪氣)나 귀신에 씌인 것, 가위 눌리는 것을 없애 주며 뱃속에 있는 충을 죽이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오랜 체증으로 뱃속에 덩어리가 생긴 것을 부수고, 붕루(崩漏), 대하(帶下), 산후 어혈(瘀血)로 아픈 것을 멎게 하며 풍독종(風毒腫)을 삭히고 낙태시킨다.

일명 귀전(鬼箭)이라고도 하는데 곳곳에서 난다. 그 줄기에 세개의 깃이 달려 모양이 화살깃 비슷하다. 음력 8, 11, 12월에 베어 껍질과 깃을 벗겨서 쓴다(본초).

또 귀전우(鬼箭羽)라고도 하는데 사람들은 이것을 태워서 좋지 못한 기운을 물리친다(입문) [본초분류(本草分類), 치조문(治燥門)].]

화살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위모(衛矛) //화살나무껍질, 귀전우(鬼箭羽), 귀전(鬼箭)// [본초]

노박덩굴과(화살나무과: 북측)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인 화살나무(Euonymus elatus Sieb.)의 가지에 붙은 코르크이다. 화살나무(홋잎나무)는 각지의 낮은 산에서 널리 자란다. 아무때나 어린 가제에 붙은 날개 모양의 코르크만을 떼내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혈(血)을 잘 돌게 하고 어혈(瘀血)을 없애며 생리를 잘 통하게 하고 뱃속에 있는 벌레를 죽인다.

약리실험에서 주요 성분인 싱아초산나트륨이 혈당량 감소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주로 월경이 없는 데, 징가(
癥瘕), 산후어혈로 복통, 기생충으로 배가 아픈 데 등에 쓴다. 하루 6∼9g을 달인 약, 알약,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임신부에게는 쓰지 않는다.]

화살나무 및 회잎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455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화살나무

학명: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다른 이름: 회잎나무, 참빗나무

식물: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타원형 잎이 마주 붙는다. 여름철에 흰빛이 도는 풀색 꽃이 핀다. 열매는 납작한 둥근 모양이고 감색으로 익는다.

각지의 낮은 산, 산기슭에서 널리 자란다.

가지, 코르크(귀전우): 줄기에 화살처럼 돋아난 코르크 또는 코르크가 붙은 가지를 잘라 햇볕에 말린다.

성분: 코르크에는 탄닌질이 있다. 뿌리껍질에는 구타페르카와 비슷한 고무질이 있다. 잎과 가지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인 에피프리델라놀 C30 H52 O, 프리델라놀 C30 H50 O가 들어 있다.

열매, , 뿌리 줄기, 특히 씨에서 디기톡시게닌을 게닌으로 하는 강심 배당체가 분리되었다. 또한 열매에는 녹는점 171~174인 결정성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다. 열매에는 알칼로이드인 에보닌 C36 H43 O7, 오이오니민 C32 H47 O16 N, 이소에보닌이 있다.

응용: 코르크와 가지는 동의치료에서 산후의 피멎이약, 통경약으로 산후출혈, 적백대하, 어혈 등에 쓴다. 뿌리껍질은 이 땜질과 의료기구를 만드는 데 쓰는 구타페르카의 원료로 쓸 수 있다.

이 식물은 자원이 많기 때문에 강심약을 비롯한 여러 가지 쓸모를 찾아낼 전망이 있다.

민간에서 열매가루로 고약을 만들어 진드기피부병에 바른다.]

화살나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31438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화살나무 [노박덩굴과]

학명/ Euonymus elatus (Thunb.) Sieb.갈잎떨기나무. 높이 3m 가량. 꽃은 황록색으로 5~6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백색으로 황적색 종자 껍질에 싸여 있다.

분포/ 전국 산기슭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약효/ 가지에 달린 날개를 귀전우(鬼箭羽)라고 하며, 파혈, 통경, 구충의 효능이 있고, 폐경, 산후어혈, 정체복통을 치료한다.

성분/ 잎에는 epifriedelanol, friedelin, quercetin, dulcit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가지에 달린 날개를 달인 액을 포끼에게 투여하면 혈당 강하, 체중 증가 작용이 있다.

사용법/ 가지에 달린 날개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화살나무의 항암작용에 대해서
<한국항암본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항암약리

귀전우의 메탄올 추출물은 mouse에 이식한 S180 복수형에 대하여 미약한 억제작용이 있고 V-79의 배양세포에 대하여도 약간의 억제작용이 있다.

항암임상응용

자궁근종: 귀전우15g,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백작(白芍),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토사자(兎絲子), 산약(山藥) 각 10g, 해조(海藻) 20g, 생관중(生貫衆) 15g, 하고초(夏枯草)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화살나무의 어린순을 봄철에 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366-36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화살나무

(홑잎나물, 홋잎나물)

노박덩굴과갈잎떨기나무

크기: 1~3m
꽃 피는 때: 4~5
자라는 곳:

줄기에 화살처럼 날개가 있어서 화살나무다
. 홑잎나물, 홋잎나물이라고도 한다. 회잎나무와 비슷한데, 화살나무는 줄기에 화살 같은 날개가 있다. 어린순을 따서 생으로 무치거나,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에 어린순을 섞은 뒤 뜸을 들여 나물밥을 해 먹는다. 된장국도 끓인다. 다른 산나물과 데쳐서 무치거나, 볶아도 맛있다.

나물 할 때



나물 하는 방법

어린순을 뜯는다.

추천 음식

무침, 나물밥, 된장국, 데쳐서 무치거나 볶음.]

회잎나무의 어린순을 봄철에 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368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회잎나무

(홑잎나물, 홋잎나물)

노박덩굴과갈잎떨기나무

크기: 1~3m
꽃 피는 때: 4월 말~6
자라는 곳:

홑잎나물
, 홋잎나물이라고도 한다. 화살나무랑 비슷한데, 줄기에 화살 같은 날개가 없다. 어린순을 생으로 무치거나, 쌈에 넣어 먹는다. 다른 나물과 데쳐서 된장이나 간장에 무치거나 볶아도 맛있다. 된장국을 끓이고,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에 잎을 섞은 뒤 뜸을 들여 나물밥을 한다.

나물 할 때



나물 하는 방법

어린순을 뜯는다.

추천 음식

무침, , 데쳐서 무치거나 볶음, 나물밥, 된장국.]

화살나무 및 회잎나무를 중국에서는 같은 종류의 이명으로 기록하는 것과 관련하여 중국의 인터넷 <화훼도편망(花卉图片网)>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위모(衛矛=wèi máo=웨이마오)

위모(卫矛): Euonymus alatus

시간(时间): 2013-07-22 12:08 래원(来源): 미지(未知) 작자(作者): 서엽춘(徐晔春)

중문명(中文名):Chinese Name: 위모(卫矛)

학명(学名):Scientific Name: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영문명(英文名):English Common Name: burningbush

별명(别名):Chinese Common Name: 귀전우(鬼箭羽)

이명(异名):Synonym):Euonymus ellipticus (C. H. Wang) C. Y. Cheng Euonymus sacrosanctus Koidz. Celastrus striatus Thunb. Celastrus alatus Thunb. Euonymus thunbergianus Blume Euonymus alata var. pilosa Loes. et Rehder Euonymus striata Loes. ex Gilg et Makino Euonymus verrucosa var. tchefouensis Debeaux Euonymus alata var. pubescens Maxim. Euonymus loeseneri Makino Euonymus kawachiana Nakai Euonymus subtriflora Blume Euonymus arakiana Koidz. Euonymus alata Rupr. Euonymus alata var. elliptica Chen H. Wang Euonymus elliptica (Chen H. Wang) C. Y. Cheng Euonymus alatus f. angustatus Makino Euonymus alatus f. compactus (Adams) Rehder Euonymus alatus f. striatus (Thunb.) Kitag. Euonymus alatus f. variegatus Nakai Euonymus alatus var. apterus Regel Euonymus alatus var. ciliatodentatus Franch. & Sav. Euonymus alatus var. cornucarpus Koidz. Euonymus alatus var. ellipticus Chen H.Wang Euonymus alatus var. hirtus Koidz. Euonymus alatus var. macrophyllus Nakai Euonymus alatus var. pilosus Loes. & Rehder Euonymus alatus var. rotundatus Makino ex Koidz. Euonymus alatus var. uncinatus Nakai Euonymus arakianus Koidz. Euonymus subtriflorus Blume Euonymus rotundatus (Makino) Nakai Euonymus striatus f. angustatus Makino Euonymus striatus var. rotundatus Makino Euonymus kawachianus Nakai Melanocarya alata Turcz.

과속(科属):Family & Genus: 위모과(卫矛科):Celastraceae위모속(卫矛属)

형태특정(形态特征):Description: 灌木1-3小枝常具2-4列宽阔木栓翅冬芽圆形2毫米左右芽鳞边缘具不整齐细坚齿叶卵状椭圆形窄长椭圆形偶为倒卵形2-8厘米1-3厘米边缘具细锯齿两面光滑无毛叶柄长1-3毫米聚伞花序1-3花序梗长约1厘米小花梗长5毫米花白绿色直径约8毫米4萼片半圆形花瓣近圆形雄蕊着生花盘边缘处花丝极短开花后稍增长花药宽阔长方形2室顶裂蒴果1-4深裂裂瓣椭圆状7-8毫米种子椭圆状或阔椭圆状5-6毫米种皮褐色或浅棕色假种皮橙红色全包种子花期5-6果期7-10

분포(分布):Distribution):除东北新疆青海西藏广东及海南外其他各省均有产生于山坡沟地边沿日本及朝鲜也有

용도(用途):Use: 带栓翅的枝条入中药叫鬼箭羽





引自中国植物志英文版FOC Vol. 11 Page 448

Euonymus alatus (Thunberg) Siebold, Verh. Batav. Genootsch. Kunst. 12: 49. 1830.

卫矛 wei mao| Celastraceae | Euonymus

Celastrus alatus Thunberg in Murray, Syst. Veg., ed. 14, 237. 1784; C. striatus Thunberg; Euonymus alatus var. ellipticus Chen H. Wang; E. alatus var. microphyllus Chen H. Wang; E. alatus var. pilosus Loesener & Rehder; E. alatus var. pubescens Maximowicz; E. ellipticus (Chen H. Wang) C. Y. Cheng; E. striatus (Thunberg) Loesener; E. verrucosus Scopoli var. tchefouensis Debeaux.

Deciduous shrubs, 1-4 m tall; young branches usually with 2 or 4 winglike corks, wings up to 5 mm wide, 1-2 mm thick, twigs 4-angled, green or brown when dry. Petiole sessile or very short, 2-4 mm; leaf blade thinly leathery to papery, obovate or obovate-elliptic, sometimes ovate-elliptic or oblong-elliptic, 4.5-10 × 2-4 cm, base cuneate or attenuate, margin crenulate to serrulate, apex acute, acuminate, or even caudate; lateral veins 5-7 pairs, curving forward and disappearing before reaching margin. Peduncle slender and short, 1-2 cm, typically 1 dichotomous branch with 3 flowers, rarely 2 branches with more flowers; pedicel slender, 5-7 mm. Flowers 4-merous, ca. 9 mm in diam.; sepals suborbicular; petals green, light yellow, or greenish yellow, ovate, base attenuate. Capsule reddish brown when fresh, dark brown or gray when dry, 4-lobed, 1-1.3 cm in diam., only 1-3 lobes developing, lobes ovoid. Aril bright red. Fl. Apr-Jul, fr. Jul-Nov.

Forests, woodlands, scrub; near sea level to 2700 m. Anhui, Gansu, Guangdong, ?Guangxi, Guizhou, Hebei, Heilongjiang, Henan, Hubei, Hunan, Jiangsu, Jiangxi, Jilin, Liaoning, Nei Mongol, Ningxia, Shaanxi, Shandong, Shanxi, Sichuan, ?Yunnan, Zhejiang [Japan, Korea, Russia (Sakhalin); cultivat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This species is widespread, not only as a common shrub in the distribution area but also as a cultivated ornamental in the Old and New Worlds. The leaves change from pinkish to reddish and even purple in late autumn. The distribution reports from Guangxi and Yunnan have not been confirmed. (
责任编辑徐晔春).]

화살나무/회잎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산후의 패혈(敗血)이 없어지지 않는 증상, 어린 아이가 베개를 잘못 베고 자서 목이 뻣뻣하게 된 증상, 통증이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증상, 혹은 해산 후의 허한 틈을 타 풍한(風寒)이 내박(內搏)하여 불결한 오로가 나오고 배꼽부위가 딴딴해지고 더부룩하게 부어 오를 때(아풀 때)

홍람화(紅藍花), 귀전(鬼箭: 심재:심재를 제거한 것), 당귀(當歸: 싹을 없애고 볶은 것) 각 37g. 상술한 약을 굵은 가루로 만든다. 매 복용시 11g을 큰 잔으로 술 1잔을 붓고 7분(分)으로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죽을 먹기 전에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국방(局方), 당귀산(當歸散)]

2, 산후의 혈운(血運)으로 기(氣)가 끊어질 것 같은 증세

당귀(當歸) 37g, 귀전우(鬼箭羽) 74g을 거칠게 짓찧어 체로 친다. 매 복용시 약 11g을 술 한 잔을 붓고 6분(分)으로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상술한 방법대로 하여 다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당귀음(當歸飮)]

3, 악주심통(惡
心痛), 혹은 교자복협(img1.jpg刺腹脇), 혹은 견배통(肩背痛)이 여기저기서 아플 때
귀전우(鬼箭羽), 도인(桃仁: 끓는 물에 담가 껍질과 끝을 버리고 밀기울을 누르스름하게 볶은 것), 적작약(赤芍藥), 귀구(鬼臼: 수염뿌리를 없앤 것), 진귤피(陳橘皮: 끓는 물에 담가 하얀 속을 제거 하고 약한 불에 말린 것), 당귀(當歸: 잘 게 썰어 조금 볶은 것), 계심(桂心), 시호(柴胡: 싹을 없앤 것), 주사(朱砂: 가루낸 것) 각 37g, 천대황(川大黃: 잘게 썰고 가루내어 약간 볶은 것) 74g, 상술한 약을 곱게 찧고 체로 쳐서 가루를 만들고 여기에 주사(朱砂)를 넣고 다시 갈아서 고루 섞는다. 알맞게 태운 술로 3.7g을 아무 때나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귀전우산(鬼箭羽散)]

4, 젖이 나오지 않을 때

귀전(鬼箭) 185g에 물 6되를 붓고 4되가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하루에 세 번, 8홉을 복용한다. 또는 태운 재를 가루내어 물로 약 1g을 하루에 세 번 복용한다. [광제방(廣濟方), 단행귀전탕(單行鬼箭湯)]

5, 학질(말라리아)

귀전우(鬼箭羽), 약성이 남게 태운 능리갑(
鯪鯉갑=천산갑) 0.37g. 상술한 두 약을 찧고 체로 쳐서 곱게 가루낸다. 한 번에 0.925g을 콧속에 불어 넣는데 발작시에 쓴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일자산(一字散)]

6, 당뇨병
(임상보고)
"화살나무 어린 가지를 하루 10~15g씩 물에 달여 2~3번에 나누어 끼니뒤에 먹는다.

임상자료:
당뇨병환자에게 위의 약을 썼는데 혈당과 소변당이 없어지고 자각증상도 나았다. 잎이 돋기전인 4월 중순에 채취한 화살나무의 햇가지 30~4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 방법으로 당뇨병환자 18례(그가운에서 Ⅰ형 인슐린 의존형이 3례, Ⅱ형 인슐린 비의존형이 9례, 나머지는 췌장성 또는 간성, 임신성 당뇨병이었다)를 40~45일동안 치료한 결과 물을 많이 마시는 것, 밥을 많이 먹는 것, 목이 마르는 것, 피로감 등 자각 증상이 16례에게서 없어졌고 혈당도 뚜렷하게 내렸다. 유효율은 86.1%였다.

당뇨병을 일으킨 토끼에게 화살나무 햇가지를 달여 먹인 결과 혈당이 낮아지고 소변당이 없어졌으며 몸질량이 늘었다. 췌장섬세포를 증식시켜 인슐린의 분비를 늘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당뇨병에 쓰는 외에 월경이 없거나 산후 배아픔에도 쓴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고려치료 312면]

"어린가지 4.5-1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혈당을 낮추는 작용, 인슐린의 분비를 늘리는 작용이 있으며 당뇨병, 무월경, 해산 후 복통에도 쓴다." [동의처방대전 제 6권 312~313면]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술(本草述)>:
"
귀전우(鬼箭羽)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의 주치에 있는 것처럼 여자의 혈분(혈분)에 전문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 같다. 또 소송(蘇頌)이 서술한 고방(古方)처럼 악주() 및 중악기(中惡氣)의 독에 의해 혈(血)에 병이 생긴 사람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 비록 방서에서는 여성의 무월경을 치료하는 목단피산(牡丹皮散)에 이것이 들어갔을 뿐만 아니라 남자의 창만(脹滿)을 치료하는 견현환(見丸)에도 이것이 들어갔으며 소송(蘇頌)이 서술한 고방의 주치는 여자에게만 전문적으로 치료된다고 한 말은 아니다. 대체로 그 효능이 혈분(血分)에 효과가 있는 경우 예컨데 여자의 고(固)는 혈(血)을 위주로 하고 남자의 효과보다 더욱 좋다. 소공(蘇恭)이 '여성의 혈기(血氣)를 치료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고 말한 것은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니다."

2, <본경봉원(本經逢原)>:
"귀전(
鬼箭)은 전문적으로 산악혈(散惡血)한다. 때문에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자궁출혈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중악(中惡)에 의한 복통을 치료하고 백충(白蟲)을 없애며 소피부풍독종(消皮膚風毒腫)하는데 이것이, 즉 복만한출(腹滿汗出)의 치료이다. 요즘 사람들은 적풍력절제비(賊風歷節諸痺)를 치료하고 여성의 산후혈훈(産後血暈), 혈(血)이 가슴에 엉기어 맺힌 증세나 옆구리와 아랫배에 치우친 증세를 치료하는데 사물배귀(四物倍歸)에 귀전우(鬼箭羽), 홍화(紅花), 현호색(玄胡索)을 가하여 달여서 복용한다. 이것의 성질은 전문적으로 파혈(破血)하기 대문에 타태(墮胎)한다."

[비고(備考)]


1, <본초도경(本草圖經)>:
"위모(衛矛)는 귀전(
鬼箭)이다. 그의 나무를 또 구골(枸骨)이라고도 한다. <최씨방(崔氏方)>에는 악주()가 심(心)에 있어 아픔을 참지 못하는 증세를 치료하는 약으로 귀전우탕(鬼箭羽湯)이 있다. <집험방(集驗方)>에는 급성 심통, 중악기독통(中惡氣毒痛)을 치료하는 대황탕(大黃湯)에 역시 귀전(鬼箭)을 썼는데 모두 대방(大方)이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유희(劉熙)의 <석명(釋名)>에 이르기를 제(齊)나라 사람들은 전우(箭羽)를 위(衛)라고 한다. 이 물건은 마르고 곧은 날개가 있는데 마치 화살깃과 같기에 이렇게 이름지었다." "귀전은 산에 있는 돌틈에서 자란다. 작은 그루는 뭉쳐 나고 봄에 연한 가지가 자라며 가지의 네 면에 화살깃같은 날개가 있는데 3개의 날개처럼 보인다. 푸른 잎은 야차(野茶) 같은데 마주나고 맛은 시고 떫다. 3~4월에 황록색의 꽃이 핀다. 동청자(冬靑子) 크기 만한 열매가 열린다."

화살나무는 일반적인 나무와는 달리 줄기에 날개를 달고 있는 모습이 참으로 독특하다. 그리고 그렇게 키가 크거나 굵게 자라지 않음으로 인해 각 가정에 화단이나 정원수로 가꾸어도 좋다. 화살나무의 어린잎과 코르크질의 날개가 없는 회잎나무의 봄철 연한 잎을 나물로도 먹을 수 있어 구미를 당기게 한다.

화살나무의 햇가지가 당뇨병에 효험이 있다는 보고로 인해 앞으로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해 본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화살나무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노박덩굴과의 비슷한 종류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노박덩굴 무엇인가?
  2. 미역줄나무 무엇인가?
  3. 화살나무 무엇인가?
  4. 회잎나무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화살나무의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