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박이(천금등) 무엇인가?

잎자루가 잎뒷면 배꼽 지점에 붙는 함박이

 

 

 

 

 

 

 

 

 

 

 

 

[함박이의 잎앞면, 잎뒷면, 암꽃, 수꽃, 덩이 뿌리, 푸른 열매, 붉게 익은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혈압내림작용, 항콜린에스테라아제작용, 장연동운동작용, 진정작용, 진경작용, 근육을 이완시키는 작용, 청열, 해독, 거풍, 수렴, 학질(말라리아), 풍습으로 인한 마비와 통증, 인후의 부종 및 동통, 옹종, 풍습으로 인한 관절염, 복통, 각기로 인한 종창, 다발성 절종, 독사에 물린 상처, 자궁탈수, 지혈, 이질, 설사, 수종, 발진, 복통을 다스리는 함박이

함바기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새모래덩굴과(방기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나무이다.

함박이의 학명은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이다. 줄기가 다른 물체를 감고 오른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형으로 끝이 둔하고 밑 부분은 밋밋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는 방패처럼 잎몸의 기부 안쪽에 붙는다. 암수딴그루로 잎겨드랑이의 겹산형꽃차례에 자잘한 연노란색 꽃이 모여 핀다. 핵과열매는 둥글고 주홍색으로 익는다.

잎자루가 길다. 잎의 길이는 4~12cm, 폭은 3~10cm로 방패 모양의 넓은 달걀 모양이다.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산형(形) 꽃차례로 연한 녹색의 단성화가 핀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중국에서는 산과 들의 구릉지, 풀숲, 관목림 주위에서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의 섬이나 바닷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그리고 제주도의 볕이 잘드는 곳에서 자란다. 한국(제주, 홍도, 남해안, 도서 지역),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함박이의 뿌리는 원기둥 모양이지만 반원형(半圓形) 또는 하수오 뿌리처럼 둥근 덩어리 모양 또는 괴상(塊狀)인 경우도 있다. 중국에서는 함박이가 주로 절강(浙江), 안휘(安徽), 강서(江西), 호북(湖北) 등지에서 자라는데 주로 집산지가 한구(漢口)이기 때문에 <한방기(漢防己)>라고 부른다.

함박이의 다른 이름은
천금등[千金藤
=qiān jīn téng=치앤: 본초습유(本草拾遺)], 금선조오구[金線釣烏龜, 분방기:粉防己: 항주약식지(杭州藥植誌)], 공노서등[公老鼠藤, 야도초:野桃草, 폭죽소:爆竹消: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금선조청와[金線弔靑蛙, 조천약고:朝天藥膏, 합발초:合草, 토번서:土番薯, 야서등:野薯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금분한약[金盆寒藥, 산오구:山烏龜: 사천상용중초약(四川常用中草藥)], 한방기[漢防己, 도지공:倒地拱, 금사조별:金絲鱉, 백목향:白木香: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하스노하카즈라[ハスノハカズラ=蓮の葉葛, 이누츠즈라:イヌツヅラ, 야키모치가즈라:ヤキモチカズラ, 센킨토우:センキントウ=千金藤: 일문명(日文名)], 함바기, 함박이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가을에 채취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뿌리와 지상 부분은 많은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즉 hypoepistephanine, stepholine, stephanoline, homostephanoline, steponine, cyclanoline, metaphanine, protostephanoline, epistephanine, stepanine, insularine, hasubanonine, stebisimine, prometaphanine 등을 함유한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천금등(千金藤)에서 추출한 4급 아민형 알칼로이드의 cyclanoline은 횡문근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하며(rat의 좌골 신경비복근의 표본) 그 작용의 강도는 menisperine의 1/20로 neostigmin에 의해 길항한다. 이것과 천금등(千金藤)에서 추출한 다른 알칼로이드 및 stephanine은 모두 신경절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예를 들면 고양이의 상경부 교감 신경절 전섬유순막, 개의 대동맥 신경-승압, 경부 미주 신경 말초-강압, 토끼의 위와 고양이의 골반 신경-방광, 개의 고색 신경-타액 분비, 니코틴의 승압 반응 등의 표뵨에서는 모두 이러한 반응 경로를 차단하는 작용을 볼 수 있다. 동시에 양자가 모두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실험 동물의 위 수축을 억제한다. 유문을 결찰한 래트의 위액 및 산의 분비에 대해서는 경미한 억제 작용을 한다. 동속 식물 S. hernandifolia (Willd.) Wilp 중에서도 stephanine을 추출할 수 있다. 이것은 임신하지 않은 래트의 자궁에는 아무 작용도 하지 않고 모르모트의 소장에 대해서는 경련을 일으키는 작용을 한다. carbacchol에 의해 일어나는 경련에 대항 작용은 하지 않고 개구리의 적출 심장의 수축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마취를 한 고양이에게 대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은 reserpine보다도 강하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호남약물지>: "맛은 쓰고 성질은 하며 독이 없다."

3, <절강민간상용초약>: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4, <사천상용중초약>: "맛은 쓰고 성질은 하며 독이 조금 있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풍을 제거하고 습을 거둔다. 말라리아, 이질, 풍습으로 인한 마비와 통증, 수종, 임병, 인후의 부종 및 동통, 옹종, 창절(瘡癤)을 치료한다."

2, <본초습유>: "곽란중악(
霍亂中惡), 천행허로(天行虛勞), 말라리아, 담수불리(痰嗽不利), 종저, 광견병, 전(癲), 잡진(雜疹) 등을 다스린다."

3, <호남약물지>: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4, <절강민간상용초약>: "풍을 제거하고 경락(
經絡)을 잘 통하게 하며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수렴하고 지혈한다. 풍습성 관절염, 반신불수, 다발성 절종(癤腫), 이질, 독사에 물린 상처, 자궁탈수, 각혈을 치료한다."

5, <사천상용중초약>: "이뇨하고 통증을 가라앉게 하며 풍을 제거한다. 심위통(心胃痛), 복중비괴(腹中
痞塊: 비장의 비대), 수종, 풍종(風腫), 옹종 및 악성 창을 치료한다."

6, <강서, 초약수책>: "하부의 습열을 제거하고 하부의 습창을 치료한다."

7, <복건중초약>: "열을 내리고 화(火)를 사하(瀉下)하며 습을 거두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인후의 부종 및 동통과 습열 임탁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3~4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바르거나 갈아서 즙을 목에 머금는다."

함박이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154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함박이

[새모래덩굴과]

학명/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

갈잎 덩굴나무. 꽃은 암수한그루로 연한 녹색이고 6~7월에 많이 핀다.

분포/
제주 및 남쪽 섬의 바닷가 산기슭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에 분포한다.

약효/
줄기, 잎, 뿌리 모두를 천금등(千金藤)이라 하며, 청열, 해독, 거풍의 효능이 있고, 수렴지혈, 이질, 수종, 발진, 복통을 치료한다.

성분/
hypoepistephanine, stephanoline, stepholine, homostephanoline, stephonine, cyclanoline, metaphanine, prostephanine, epistephanine, insularine, hasubanoni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cyclanoline은 근육을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는데, 그 강도는 menisperine의 20분의 1이고 neostigmine에 의하여 길항된다.

사용법/
줄기, 잎, 뿌리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중국에서는 S. tetrandra S. Moore의 뿌리를 분방기(粉防己)라고 하여 사용하고 있다.]

함박이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310~311면에서는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함바기(Stephanin japonica (Thunb.) Miers.)

식물:
덩굴뻗는 사철푸른 나무이다. 잎은 방패처럼 생겼고 어긋나게 붙는다.

남부에서 자란다.

줄기, 뿌리(천금등):
가을에 줄기를 베어 잎을 다듬고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뿌리도 캔 다음 잔뿌리를 다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줄기와 뿌리에 비스벤질이소퀴놀린형 알칼로이드인 에피스테파닌 C37 H38 O6 N2, 인슬라린, 히포스테파닌과 아포모르핀형 알칼로이드 스테파닌은 혈압내림작용, 항콜린에스테라아제작용과 장연동운동작용을 세게하는 작용이 있다.

같은 속 식물인 Stephanin glabra의 뿌리에 긴다린, 전초에서 테트란드린과 시클레아닌이 분리되었다. 긴다린은 진정작용, 진경작용이 있으며 그의 염산염 C20 H24 O4 N, HC1을 분리제조하여 고혈압 치료에 쓴다. 뿌리에는 긴다린이 1~2% 들어 있다. 테트란드린도 진경작용이 있다.

응용:
민간에서 각기, 부기, 관절염, 배아픔, 설사, 학질에 쓴다.

[참고]


콜롬보나무(Jateorhiza columba Miers.)


식물은 덩굴뻗는 떨기나무이다. 잎은 손 바닥 모양으로 갈라졌다. 여러 개의 덩이뿌리가 달린다.

아프리카의 동쪽 바닷가에서 자라며 말가슈에서 재배한다.
덩이뿌리에 2~3%의 베르베린계 알칼로이드가 있다. 알칼로이드의 주성분은 팔미틴 C21 H23 O5 N, 야테오리진, 콜룸바민 등이다. 이밖에 1%의 콜룸빈 C21 H24 O7이 있다. 덩이뿌리(콜롬보뿌리)를 쓴맛 건위약으로 가루를 내어 한번에 0.5~1.0g씩 먹는다.

베르베린계 알칼로이드 함유 약초는 다음과 같다.

동인도에서 자라는 새모래덩굴과 식물로는 Coscinium fenestratun Coleb.(목질부에 베르베린 3.5%), Archangelisia flava Merr.(목질부에 베르베린 4.8%), Tinosporacrispa diels, Febraurea chloroleuca Miers. 등이 있다.

대통쿠라레나무(단지쿠라레나무: Chondodendron tomentosum Ruiz. et Pavon.)


식물은 감겨자라는 나무로 남아메리카 북부 특히 아마존 강 유역, 브라질 북부, 페루, 가이아나, 베네수엘라에서 자란다.

쿠라레: 나무껍질 또는 목질부의 물엑스이다. 물엑스를 넣는 그릇에 따라 대통쿠라레(투보쿠라레: Tube curare), 단지쿠라레(Topf curare)라고 한다. 대통쿠라레는 아마존 강 유역, 단지쿠라레는 가이아나에서 생산된다. 쿠라레를 생산할 때에 위의 식물 외에도 마전자과 Strychnos castelnaei Wedd.의 나무껍질도 섞는다.

대통쿠라레에서는 투보쿠라린-d C38 H44 O6 N2 C12, ι-쿠린 C36 H38 O6 N2, 베베린(쿠린의 입체이성체), 단지쿠라레에서는 프로토쿠라린 C19 H21 O3 N, 프로토쿠린 C20 H23 O3 N, 프로토쿠라리딘 C19 H21 O3 N이라는 알칼로이드가 분리되었다. 이 가운데에서도 투보쿠라린과 프로토쿠라린이 매우 센 독성 성분이다.

쿠라레를 동물에게 피하 또는 정맥주사하면 운동신경 말단을 마비시켜 처음에는 사지운동마비가 오고 차츰 가슴과 배, 머리 부분과 호흡이 마비되어 죽게 된다. 개나 고양이에게서 피하주사 치사량은 0.34mg/kg이다. 먹으면 빨리 배설되기 때문에 독성이 약하게 나타난다.

쿠라레는 약리 실험에서 근육이완약으로 쓴다. 그리고 파상풍이나 스트리크닌중독 때의 경련에 0.003~.0.03g을 피하주사한다. 또한 흉복부 수술에 근육이완약으로 쓴다.

옛날에 남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은 화살촉에 발라 짐승을 잡는 데 썼다.


쿠라레가 유럽에 알려진 것은 16세기이다. 쿠라레에 대한 과학 연구 사업은 19세기에 시작되었으며 1828년에 알칼로이드 혼합물인 쿠라린이 분리되고 1935년에 투보쿠라린이 갈라졌다.

쿠라레로는 또한 마전과의 호리병박쿠라레가 있다(마전과 참조).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제비고깔 알칼로이드를 쿠라레와 같은 목적에 쓰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 참조).
]

함박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장학(
瘴瘧)
함박이 뿌리 5돈~1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2, 이질

함박이의 뿌리 5돈을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3, 풍습으로 인한 관절염, 편탄(
偏癱)
먼저 함박이의 뿌리 5돈을 달인 것을 7일간 계속해 복용한다. 그 다음에 함박이의 뿌리 1냥을 소주 1근에 7일 담근 것을 매일 저녁 취침 전에 한 컵씩 10일간 계속해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4, 사기(
痧氣)로 인한 복통
함박이의 뿌리의 청피(靑皮)를 벗기고 햇볕에 말린다. 절반은 누렇게 될 때까지 볶고 절반은 신선한 그대로 취해 함께 가루내어 1회 한돈씩 달여서 끓여 식힌 물로 마신다. [초약수책(草藥手冊)]

5, 복통

함박이 5돈~1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6, 습열임탁(濕熱淋濁)

함박이의 신선한 뿌리 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7, 각기로 인한 종창(腫瘡)

함박이의 신선한 뿌리 5돈, 삼백초(三白草) 뿌리 5돈, 오가피(五加皮) 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8,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함박이의 신선한 뿌리 5돈~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9, 종독

함박이의 잎을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10, 옹종(癰腫)과 절독(癤毒)

함박이의 뿌리를 갈아서 곱게 가루내어 1회 1~2돈을 물로 달여서 끓여 식힌 물로 복용한다. [강서, 초약수책(江西, 草藥手冊)]

11, 다발성 절종(癤腫)

함박이의 전초 1냥, 또는 여기에 당귀(當歸), 야애(野艾: 들쑥) 각 5돈을 넣은 것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2, 독사에 물린 상처
함박이의 말린 뿌리 3~5푼을 가루내어 물로 달여서 끓여 식힌 물을 넣고 복용한다. 따로 신선한 뿌리를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3, 자궁탈수(子宮脫垂)

함박이의 뿌리 적당한 양을 물로 달여서 1일 1회 김을 쏘인다. 또 따로 금앵자근(金櫻子根) 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비고(備考)]


<본초습유(本草拾遺)>:
"천금등(千金藤)에는 수종류(數種類)가 있으며 남북에서 명칭이 다르지만 주로 치료하는 것이 대체로 비슷하므로 모두 등(藤)과 가까울 수도 있다. 북방에서 나는 것은 뿌리의 크기가 손가락만하고 색이 칠(漆)과 비슷하며 남방에서 나는 것은 세신(細辛)처럼 황적색이다. 서(
), 노(盧)[모두 안휘성:安徽省 노강현(盧江懸)의 서:西)의 사이에는 목규(木樛)와 비슷한 등(藤)이 있고 오호등(烏虎藤)이라고 하는 것이 있어 나무에 감기고 겨울에도 푸른데 이것 역시 천금등(千金藤)이다. 또 강서(江西)의 산림 속에는 초생(草生)으로 엽두(葉頭)에 혹이 있고 학슬(鶴膝)과 비슷하며 잎은 버드나무 비슷한 것이 있는데 이것도 천금등(千金藤)이라고 부르고 있다. 또 하엽(荷葉: 연잎)과 비슷한 종류로 동전 크기밖에 되지 않은 것도 천금등(千金藤) 또는 고등(古藤)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설사와 소아의 복부 팽만(膨滿)을 치료한다. 천금(千金)이란 이름은 귀(貴)하다는 뜻에서 그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몇 개의 약재가 동일한 이름으로 형상이 다르고 효능이 같은 것은 어찌된 일인가? 남북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칭에 따르면 어느 것이 그것인지 알 수 없다. 그중에서 초(草)에 대해서는 목질부에 병입(倂入)하여 초부(草部)에서도 되풀이하여 기대되어 있다.

주(註):
"본초습유(本草拾遺)>에 기술되어 있는 '천금등(千金藤)'은 상술한 품종 외에 방기과식물(放棄科植物)의 분기독(糞箕
)와 분방기(粉防己)가 있다. 상세한 내용은 '분기독(糞箕)', '방기(防己)' 조목을 참조하라."

제주도 및 남쪽섬의 산비탈이나 시냇가 또는 길가에서 자라는 함박이는 옛날 조상들이 질긴 줄기로 바구니를 엮어서 사용했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함박이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함박이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댕댕이덩굴(목방기) 무엇인가?
  2. 등칡(큰쥐방울) 무엇인가?
  3. 마두령(馬兜鈴) 무엇인가?
  4. 방기(청등) 무엇인가?
  5. 새모래덩굴(편복갈) 무엇인가?
  6. 이엽마두령(耳葉馬兜鈴) 무엇인가?
  7. 쥐방울덩굴(북마두령) 무엇인가?
  8. 함박이(분방기)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