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 무엇인가?

오래살게 하고 젊어지게하는 불로장수약

 

 

 

 

 

 

 

 

img1.jpg img1.jpg

 

 

[구기자의 잎과 보라색 꽃, 붉게 익은 열매, 건조한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자양강장작용, 면역력증진작용, 생장촉진작용, 암세포억제작용, 모세혈관강화작용, 조혈기능촉진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혈압낮춤작용, 혈당낮춤작용, 항지방간작용과 간 기능보호작용, 건위작용, 산화환원작용, 이뇨작용, 활성산소소거작용, 일반 허약자, 병을 앓고 난 다음, 특별한 원인 없이 몸이 여위면서 입맛이 없을 때, 영양실조증, 만성 소모성 질병, 자궁의 중량을 증가시킴, 정액분비량 촉진, 노화방지, 정력체력증강, 피로회복, 스트레스방지, 간장의 강화, 노화방지, 내장기능강화, 견비통, 두통, 고혈압(임상보고), 청년 편평우췌, 심상 및 족저우췌, 범발성 습진(임상보고), 치수염으로 인한 동통(임상보고), 학질(말라리아)(임상보고), 수족절임, 위장기능강화, 노안예방, 만성위축성위염, 저혈압, 동맥경화예방, 암예방, 청년 사마귀, 토혈, 코피, 소변 출혈, 치아 및 잇몸염증의 통증완화, 신경쇠약, 폐결핵, 허리아픔과 당뇨병, 지방간예방, 간보호, 혈액순환, 냉증, 이뇨, 해열, 변비, 가래, 천식, 기침, 빈혈,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유정, 성기능감퇴(음위증, 불감증), 급성 및 만성 간염 등을 다스리는 불로장수약 구기자

구기자는
가지과의 갈잎떨기나무이다.

구기자의 학명은 <Lycium chinense Mill.>이다.
구기자는 덩굴성 관목으로서 높이가 1m 남짓된다. 가지는 가늘고 길며 어린 가지에 모서리가 있고 겉껍질은 회색이며 털이 없다. 일반적으로 잎겨드랑이에 짧은 가시가 있으며 길이가 약 5cm이다. 잎은 어긋나거나 여러 개가 뭉쳐난다. 잎몸은 난형의 마름모 형상이거나 난형의 피침형이며 길이가 2~6cm, 너비가 0.6~2.5cm이고 끝은 뾰족하거나 혹은 무디며 밑부분이 좁은 쐐기꼴이고 전연(全緣)이며 양면에 모두 털이 없다.

꽃은 액생(腋生)하고 일반적으로 하나씩 피거나 또는 여러개가 뭉쳐핀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길이가 3~4cm이고 끝에 분이 3~5개열이 있다. 꽃부리는 깔 때기 모양이고 볼록한 부분의 아랫부분은 뚜렷하게 좁고 위로 향하면서 점차 넓어지며 길이가 약 5mm이고 끝에 5개의 열이 있으며 열편(裂片)이 길쭉한 난형이고 그 길이가 볼록한 부분의 길이와 거의 같으며 자줏빛이고 가장자리에 보드라운 잔털이 드물게 있으며 꽃받침통안에 수술이 붙어 있고 약간 위쪽에 보드라운 털이 돌려 나 있다. 수술은 5개이며 꽃부리안에 붙어 있다. 꽃밥은 'T'자형으로 붙어 있고 2실이며 꽃실은 보통 밖으로 내어 뻗어 있다. 암술은 1개이고 씨방은 타원형 모양이고 암술대는 가늘며 암술머리는 사람의 머리 모양과 같다. 장과(漿果)는 난형이거나 타원형 모양이며 길이가 0.5~2cm이고 지름이 4~8mm이며 진한 적색이거나 황갈색이다. 개화기는 6~9월이고 결실기는 7~10월이다.

산비탈, 논두렁, 구릉지에서 자란다. 영하구기자(寧夏枸杞子:
Lycium barbatum Linne)는 일반구기자에 비해 높이가 2~3m에 달하고 개화기는 5~10월이며 결실기는 6~10월이다. 주로 개울가나 산비탈 혹은 관개수로와 냇가 등에서 자라며 야생 및 재배를 모두 한다. 구기자나무 종류 중에는 가시가 있는 것이 있고 가시가 없는 것이 있다. 구기자는 중국의 서하(西河)지방과 우리나라의 전라남도 진도산이 최상품으로 알려져 있다. 

구기자 열매의 다른 이름은
구기자[
枸杞子=gǒu qǐ zǐ=꼬우VVV, 각서:却暑: 명의별록(名醫別錄)], 구기자[苟起子: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첨채자[甛菜子: 구황본초(救荒本草)], 기자[杞子: 장부약식보정(臟府藥式補正)], 홍청초[紅靑椒, 구제자:蹄子: 하남중약수책(河南中藥手冊)], 구내자[狗子: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구기과[枸杞果: 하북약재(河北藥材)], 지골자[地骨子, 구가가:茄茄: 산서중약지(山西中藥誌)], 홍이추[紅耳墜, 혈구자:血子: 중약재수책(中藥材手冊)], 구지아자[地芽子: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구기두[枸杞豆, 혈기자:血子: 약재학(藥材學)], 구기[枸杞, 구기:忌: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 시경(詩經)], 구계[檵: 모시전(毛詩傳)], 양유[羊乳: 오보본초(吳普本草)], 고기[苦, 구유:乳, 지근:地筋: 광아(廣雅)], 상시순노[象柴純盧, 선인장:仙人杖, 각노:却老, 천정:天精: 포박자(抱朴子)], 지선[地仙: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구극[棘: 본초연의(本草衍義)], 구지아[狗地芽: 본초변방(本草便方)], 영하구기[寧夏枸杞, 홍류류과 석수수:紅榴榴科 石壽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쿠코[クコ=枸杞: 일본명(日本名)], 구기나무 등으로 부른다.

구기자 뿌리의 다른 이름은
지골피[地骨皮=
pí=V, 기근:根, 지골:地骨, 지보:地輔, 지절:地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구기근[枸杞根, 구기근:苟起根: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구기근피[枸杞根皮: 약성론(藥性論)], 산기자근[山杞子根, 첨치아근:甛齒牙根, 홍이추근:紅耳墜根: 하남중약수책(河南中藥手冊)], 산구기근[山枸杞根: 구내자근피:狗子根皮: 산동중약(山東中藥)], 홍류근피[紅榴根皮: 중약재수책(中藥材手冊)], 구지아피[狗地芽皮: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구기나무뿌리 등으로 부른다. 

구기자 잎의 다른 이름은
구기엽[
枸杞葉=gǒu qǐ yè=꼬우VV: 명의별록(名醫別錄)], 지선묘[地仙苗: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첨채[甛菜: 본초도경(本草圖經)], 구기첨[枸杞尖: 전남본초(南本草)], 천정초[天精草: 보수당경험방(保壽堂經驗方)], 구기묘[枸杞苗: 본초강목(本草綱目)], 구기채[枸杞菜: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구기두[枸杞頭: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구기나무잎 등으로 부른다.     

[채취]


<열매>


<중약대사전>: "여름과 가을에 잘익은 열매를 채취한다. 열매 꼭지를 없애 버리고 열매 껍질에 주름이 질 때까기 그늘말림한 다음 다시 또 껍질이 단단해지고 과육이 유연해질 때까지 햇볕에 말린다. 비가 계속 내릴 때에는 약한 불에 쬐여 말린다."

<잎>


<중약대사전>: "봄과 여름에 채취한다."

<뿌리>


<중약대사전>: "입춘 후 또는 입추 후에 채집하여 흙을 씻어내고 뿌리 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열매>


<중약대사전>: "
구기자에는 carotene 3.39mg%, vitamin B1 0.23mg, riboflavine 0.33mg%, nicotinic acid 1.7mg%, ascorbic acid 3mg%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β-sitosterol, linoleic acid도 분리되었다. 일본산 구기자에는 zeaxanthin, betaine과 일종의 vitamin B1 억제물이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physalienol이 함유되어 있다."

<잎>


<중약대사전>: "
일본산 구기엽(
枸杞葉)에 betaine, rutin, vitamin C, β-sitosterol-β-d-glucoside, vitamin B1 억제물(이 억제작용은 cystein 및 vitamin C에 의해 없어진다)이 함유되어 있다. 건조한 잎의 열수추출액에는 inosine, hypoxanthine, cytidyli, acid, uridylic acid, 극소량의 succinic acid, pyroglutamic acid, oxalic acid 및 다량의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serine, tyrosine, arginine이 들어 있다."

<뿌리>


<중약대사전>: "
뿌리껍질에는 계피산(桂皮酸)가 다량의 phenols의 물질, betaine이 함유되어 있다. betaine은 구기자의 잎과 열매에는 함유되어 있지만 뿌리 껍질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뿌리에는 그밖에 vitamin B1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의 억제 작용은 cysteine과 vitamin C에 의하여 해제된다. 지골피로부터는 또한 β-sitosterol,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melissic acid 등도 얻을 수 있다."

[약리작용]


<열매>

<중약대사전>: "
1, 항지방간 작용
영하구기자의 수침액(20%, 1일 8ml를 위에 주입한다)은 사염화 탄소에 중독된 mouse에 대하여 간세포의 지방침적을 경미하게 억제하며 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물추출물의 항지방간 작용은 사염화 탄소에 의한 간기능장애(choline esterase, transaminase의 활성을 지표로 함)를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rat에게 상당히 장기간(75일) 계속하여 구기자의 물추출물 혹은 betaine을 경구투여하면 혈액 및 간장내 인지질 수준이 높아진다. 사염화 탄소에 중독된 rat에게 경구투여하면 간장내 인지질과 cholesterol 총함량이 낮아지고 사전에 혹은 동시에 구기자의 물추출물이나 betaine을 주었을 때 인지질과 cholesterol의 총함량이 증가되었으며 한편 BSP, S-GPT, alkaliphosphatase, choline esterase 등의 시험에서도 호전되는 작용이 있었다. 구기자의 지질대사(脂質代謝)나 항지방간에 대한 작용은 주로 구기자에 함유된 betaine에 의한 것이고, 후자에는 in vivo에서 메틸기 공여체로서의 작용이 보인다.

2, choline양 작용

구기자의 물추출물을 rabbit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압이 낮아지고 호흡이 흥분되는데 아트로핀을 사용하거나 또는 미주신경을 절단하면 이 반응이 억제될 수 있다. 물추출물은 또 적출한 rabbit의 심이(心耳)를 억제하고 적출한 장관(腸管)을 흥분시키며(적출한 guinea-pig의 소장(小腸)에서 8mgimg1.jpghistamine 1mg이라면 그 작용은 diphenhydramine 혹은 atropine에 의해 저지됨), rabbit의 이혈관(耳血管) 등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betaine에는 그와 같은 작용은 없고 rabbit의 이혈관에 대해서는 여그로 확장작용이 보인다. methanol, acetone, ethyl acetate 등의 추출물에도 약간의 혈압강하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구기자의 작용은 betaine 이외의 성분에 의해 일어난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betaine을 내복한 결과 그 작용은 상당히 작고 피하 주사시에는 콜린과 비슷한 작용을 가진다. betaine은 유효한 메틸기 공여체로서 choline과 거의 비슷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betaine에는 유기체에 대하여 독성이 없고 또 유기체에 이용되는 것도 없으며 원형 그대로 체외에 배출되며 그 염산염은 용액중에서 쉽게 염산을 해리한다. 구기자의 추출물에는 그 이외에 유산균의 생장과 산(酸)의 생산을 뚜렷하게 촉진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식료품 공업에서 이용가치가 있다."

<뿌리>


<중약대사전>: "
1, 심장 혈관계에 대한 작용
지골피의 침제, 정제(
劑)와 탕제를 마취한 개, 고양이, 토끼에게 정맥 주사를 하면 명확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심장 박동수가 감소되며 호흡이 빨라진다. 침제(infusion)의 작용은 탕제보다 더 강한 것 같다. 투약을 계속하면 단시간 내에 각각 다른 정도로 내약성이 생긴다. 농축한 정제(劑)를 마취한 개아 고양이에게 근육 주사한 경우나 탕제를 마취하지 않은 쥐(rat)의 위에 주입한 경우에 지속적이고 안정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지골피의 혈압을 낮추는 작용은 중추와 관계가 있으며 또한 말초 교감 신경을 차단하여 혈관을 직접 확장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혈압이 내려가는 동안에 심전도에는 심장 박동수의 감소와 T파의 저하 외에 뚜렷한 변화는 없다. 중독을 일으키는데 충분한 양을 투여하면 guinea pig의 심장 방실 자극 전도의 부분적 내지 완전한 차단을 일으킨다.

2, 혈당 저하 작용

지골피의 탕제를 토끼에게 경구 투여하면 혈당이 짧은 시간에 상승하였다가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하강이 시작되어 4~8시간이 경과하여도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아드레날린의 주사로 인한 고혈당에 대해서는 명확한 저항 작용은 보이지 않는다. 엑스를 토끼에게 피하 주사하여도 혈당은 하강한다. 다른 종류의 가는 가시가 있는 영하구기의 추출물은 rat에 대하여 현저하고 지속적인 혈당 하강 작용을 보였으며 탄수화물 허용량을 상승시킨다. 그 혈당 저하 작용은 함유된 guanidine 유도체로 인한 것이다.

3, 해열 작용

지골피는 인공적으로 발열시킨 토끼에 대하여 현저한 해열 작용이 있다. 지골피의 ether 추출물과 ethanol 추출 후의 찌꺼기를 물로 추출한 부분에는 작용이 없고 etanol 추출 후의 찌꺼기를 물로 추출한 부분에는 작용이 없고 ethanol 추출물, 물 추출물 혹은 ether 추출 후의 찌꺼기를 물로 추출한 부분에서 작용한다. 그 해열 작용은 aminopyrine 보다는 약하고 기타의 해열제와는 효능이 거의 같다.

독성: 지골피의 독성은 비교적 약하며 탕제를 쥐의 복강 내에 주사하였을 때의 LD50은 12.83±1.5g/kg이고 정제(劑)를 1회 혹은 1일 1회 7일간 투약하였을 때의 LD50DMS 4.7 혹은 4.1g/kg이며 체내의 뚜렷한 축적성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탕제 80g/kg을 토끼의 위에 주입하거나 60g/kg을 복강 내에 주사하면 기운이 없어 움직이지 못하게 될 뿐이고 3~4시간 후에는 정상으로 회복된다. 120g/kg을 개의 위에 주입하거나 30g/kg을 복강 내에 주사하면, 즉시 구토하고 사지가 무력하며 엎드려 눕는 상태가 되지만 2~3일 후에는 완전히 회복된다."

[성미]


<열매>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성질은 약간 차고 독이 없다."

3, <약성론>: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4, <식료본초>: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뿌리>

1, <중약대사전>: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3, <명의별록>: "성질은 매우 차고 독이 없다."

4, <본초강목>: "맛은 달고 싱겁고 성질은 차다."

[귀경]


<열매>

1, 중약대사전>: "간(肝), 신(腎) 2경에 들어간다."

2, <본초휘언>: "족소음(足少陰),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3, <본초경해>: "족소음(足少陰), 신경(腎經), 수소음(手少陰), 심경(心經)에 들어간다."

4, <요약분제>: "간(肝), 위(胃)의 2경에 들어가며 겸하여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뿌리>

1, <중약대사전>: "폐(肺), 간(肝),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2, <탕액본초>: "족소음(足少陰), 수소양경(手少陽經)에 들어간다."

3, <뇌공포제약성해>: "폐(肺), 신(腎)의 2경(經)에 들어간다."

4, <본초휘언>: "족소음(足少陰),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열매>

1, <중약대사전>: "자신(滋腎)하고 윤폐(潤肺)하며 보간(補肝)하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 간음(肝陰)과 신음(腎陰)이 모두 부족한 증세,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 쑤시고 연약한 증세, 어지럼증, 눈앞이 아찔한 증세, 눈이 침침하고 눈물이 많이 흘러 나오는 증상, 폐결핵으로 인한 잦은 기침, 소갈증, 유정을 치료한다."

2, <도홍경>: "정기(精氣)를 보충하고 음도(陰道=강:
)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3, <약성론>: "정기(精氣)의 부족을 보충하고 안색을 희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4, <식료본초>: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노화를 방지하고 풍(風)을 없애며 근골을 자양하고 허로(虛勞)를 보양한다."

5, <왕호고>: "심장병으로 목구멍이 건조한 증세, 심장부위가 칼로 후비 듯이 아픈 증세, 소갈증, 신장병으로 인하여 생긴 소갈증을 치료한다."

6, <본초강목>: "자신(滋腎)하고 윤폐(潤肺)하며 눈을 밝게하는 효능이 있다."

7, <본초술>: "음혈(陰血)의 부족으로 인하여 생긴 간풍(肝風), 눈이 벌겋게 충혈되고 아프며 가렵고 침침하여 잘 보이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중풍으로 인한 어지럼증, 허로(虛勞), 혈증(血證)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 기침할 때 피가 나오는 증세, 신체의 어느 부분이 위축되거나 기능을 상실하는 병, 기절, 경련, 유정, 각기, 학슬풍(鶴膝風), 적백탁(赤白濁), 소갈증, 조사(燥邪)에 손상되어 생긴 증상을 치료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열을 제거하고 양혈(凉血)하는 효능이 있다. 피로 쇠약으로 인한 조열(潮熱)과 도한(盜汗), 폐열(肺熱)로 인한 해천(咳喘), 토혈, 비출혈, 혈림(血淋), 소갈(消渴), 고혈압, 옹종, 악성 종기를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오내(五內)의 사기(邪氣), 열중소갈(熱中消渴), 주비(周痺)를 다스린다."

3, <명의별록>: "풍습을 다스리고 흉협기(胸脅氣), 객열(客熱) 두통을 내리며 내상(內傷)으로 인한 쇠약 증상을 보양하고 근육을 견실하게 하고 음정(陰精)을 돋우며 대소장(大小腸)을 이(利)하고 한서(寒暑)에 잘 견디게 한다."

4, <약성론>: "잘게 잘라서 면류(麵類)와 섞어 충분히 끓인 다음 마시면 주로 신가풍(腎家風)을 치료한다."

5, <식료본초>: "골열소갈(骨熱消渴)을 제거한다."

6, <본초별설>: "금창(金瘡)을 치료한다."

7, <이고(李
)>: "신체의 표면에 있어서 다스릴 수 없는 풍사(風邪)와 전호(傳戶: 폐결핵)로 땀이 나는 골증(骨蒸)을 치료한다."

8, <왕호고>: "신화(腎火)를 사(瀉)하고 폐(肺) 속의 복화(伏火)를 내리며 포중(胞中)의 화(火)를 제거하며 해열하고 정기(正氣)를 보양한다."

9, <일용본초>: "상격(上膈: 폐'肺'와 위'胃')의 토혈을 치료한다. 탕액으로 양치질하면 치혈(齒血)을 멎게 하고 골조풍(骨槽風)을 치료한다. "

10, <본초강목>: "하초(下焦)와 간신(肝腎)의 허열(虛熱)을 제거한다."

11, <본초술>: "주로 피로쇠약으로 인한 발열, 왕래한열(往來寒熱), 각종 출혈증, 비출혈, 해수시의 출혈, 해수, 해천(咳喘), 소비(消痺), 중풍(中風), 현훈(眩暈), 경간(痙癎), 요통, 행비(行痺), 각기, 수종(水腫), 허번(虛煩), 동계(動悸), 건망, 소변불통, 적백탁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열매>

<중약대사전>: "내복: 7.5g~1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달여서 엑스트랙트로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 먹는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잎>

<중약대사전>: "내복: 신선한 것 75~296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끓여 먹거나 짓찧은 즙을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아픈 곳을 씻거나 짓찧은 즙을 눈에 떨군다."

<뿌리>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탕액으로 양치질하거나 담가서 씻는다. 혹은 가루를 내어 살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열매>

1, <중약대사전>: "외사(外邪)를 받아 실열(實熱)이 있는 환자, 비허(脾虛)하여 습이 있는 환자 및 설사하는 환자는 복용을 삼가한다."

2, <신농본초경소>: "비위(脾胃)가 쇠약하여 자주 설사하는 환자는 복용하지 못한다."

3, <본초휘언>: "비위(脾胃)에 한담(寒痰)과 냉벽(冷癖)이 있는 환자는 복용하지 못한다."

4, <본경봉원>: "원양(元陽)의 기(氣)가 쇠약하고 음(陰)이 허약하여 유정하는 사람은 복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5, <본초촬요>: "숙지(熟地)와 함께 복용하면 더욱 좋다."

<잎>

<약성론>: "유락(乳酪)과 상오(相惡)한다."

<뿌리>

1, <중약대사전>: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환자는 복용을 금한다."

2, <의학입문>: "철(鐵)은 금기이다."

3, <본초휘언>: "허로화왕(虛勞火旺)하고 비위(脾胃)가 박약(薄弱)하여 식욕 부진이나 설사를 하는 사람은 양을 적게 써야 한다."

4, <본초정>: "가열(假熱)인 사람은 복용하면 안된다."

구기자의 효능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구기자(枸杞子)

성질은 차고[](()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달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내상으로 몹시 피로하고 숨쉬기도 힘든 것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57상을 낫게 한다. 정기를 보하며 얼굴빛을 젊어지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일명 지선(地仙) 또는 선인장(仙人杖)이라고도 한다. 곳곳에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잎을 따고 가을에는 줄기와 열매를 딴다. 오래 먹으면 다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나게 한다.

어린 잎(嫩葉)으로 국이나 나물을 만들어 먹으면 아주 좋다. 빛이 희고 가시가 없는 것이 좋다.

줄기는 구기(枸杞), 뿌리는 지골(地骨)이라 하는데 구기라 하면 줄기의 껍질을 써야 하고 지골이라 하면 뿌리의 껍질을 써야 한다. 그리고 구기자라 하면 그의 벌건 열매를 써야 한다. 이것은 한 식물에서 쓰는 부분이 3가지라는 뜻이다. 그 줄기껍질은 성질이 차고[] 뿌리 껍질은 몹시 차며[大寒] 구기자는 약간 차므로[微寒] 성질도 역시 3가지이다.

섬서(陝西) 지방의 구기자는 앵두(櫻桃) 같으면서 씨가 아주 적어 맛이 매우 좋다[본초].

구기주(枸杞酒)
()한 것을 보()하고 살이 찌게 하며 건강해지게 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나쁜 연기독을 푸는 방법[解烟熏]

마을 사람들이 도적을 피하여 굴 속에 들어갔을 때 도적이 거기에 연기를 피워 취해서 죽게 하려고 하였다. 때문에 그들은 가만이 주변을 더듬어보니 무가 한묶음 있었다. 그것을 씹어서 즙을 내어 먹고 살아났다.

탄 냄새를 맡으면 머리가 아프면서 토하다가 흔히 죽을 수 있다. 이때에 무를 짓찧어 즙을 내서 먹으면 곧 풀린다. 생무가 없으면 무씨를 물에 갈아 즙을 내어 먹어도 풀린다[강목].

구기자술(枸杞子酒)
몸을 잘 보한다.

구기자 5.

위의 약을 청주 2말에 넣고 갈아서 7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찌꺼기는 버리고 먹되 처음에는 3홉을 먹고 그 다음부터는 양껏 먹는다[본초].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眼花]

눈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간()과 신()이 다 허한 것이다[국방].

상초(上焦)가 허하다는 것은 간이 허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하며 귀가 먹는다. 하초(下焦)가 허하다는 것은 신이 허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고 눈알이 아프며 귀에서 소리가 난다[입문].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기()를 상한 것이고 눈만 보이지 않는 것은 혈()을 상한 것이다. 열증(熱證) 때에도 또한 눈이 부셔서 햇빛을 싫어하는데 속이 허한 사람은 햇볕에 나가지도 않으려고 한다[입문].

검은 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신()이 허한 것이다. 5가지 빛의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신이 허한데 열이 침범한 것이다. 푸른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담()이 허한 것이고 붉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은 화가 성한 것이다. 산산히 흩어져서 아득하게 보이는 것은 눈동자가 커진 것이다[입문].

양은 헤치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양이 허하면 눈시울이 당겨서 도첩권모(倒睫拳毛)가 되고 음은 오므리는 것을 주관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눈동자가 커져서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게 된다[동원].

혹 파리가 날아다니는 것 같거나 거미가 공중에 매달린 것같이 산만하게 보이는 것은 다 신이 허하여 내장(內障)이 생긴 증상이다[유취].

신은 뼈를 주관하고 뼈의 정기는 눈동자가 되므로 눈동자가 커지는 것은 신수(腎水)가 허하여 뼈가 마르고 심포락(心包絡)에 화()가 침범하기 때문이다. 치료는 맛이 쓰고 시며[苦酸]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하는 것이 좋고 맵고 성질이 더운약을 쓰는 것은 절대로 삼가해야 한다. 이런 데는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 처방은 위에 있다)이 가장 좋다[동원].

눈 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데는 숙지황환, 삼화오자환, 환정환, 초목환, 주경원(駐景元, 처방은 위에 있다), 보신환(補腎丸, 처방은 위에 있다), 의감환정환(醫鑑還睛丸, 처방은 아래에 있다), 익본자신환(益本滋腎丸, 처방은 위에 있다),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먹고 오담고를 눈에 넣는 것이 좋다.

숙지황환(熟地黃丸)
()이 허하여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석곡,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방풍, 황기, 길짱구씨(차전자), 익모초씨(충위자), 복분자, 육종용(술에 담가 낸 것), 자석(불에 달구어 법제한 것), 댑싸리씨(지부자) 각각 40g, 토끼간(토간, 구워서 말린다) 1.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이나 소금 물로 빈속에 먹는다[유취].

삼화오자환(三花五子丸)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나 파리가 나는 것 같은 것이 보이며 혹 예막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선복화, 단국화(감국), 결명씨(결명자), 구기자, 새삼씨(토사자, 술에 법제한 것), 우엉씨(대력자), 댑싸리씨(지부자),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맥문동을 달인 물로 끼니 뒤에 먹는다[의림].

환정환(還睛丸)
눈 앞에 5가지 빛의 꽃무늬 같은 것이 보이는 것을 치료한다.

족두리풀(세신), 오미자 각각 100g, 인삼, 도라지(길경), 속썩은풀(황금), 찐지황(숙지황), 방풍, 지모, 익모초씨(충위자), 길짱구씨(차전자) 각각 80g, 현삼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찻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초목환(椒目丸)
여러 해 동안 눈 앞에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면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0g, 조피열매씨(椒目, 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쑨 풀로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찻물로 먹는다[입문].

오담고(五膽膏)
눈이 잘 보이지 않고 늘 검은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면서 내장(內障)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푸른 양의 쓸개(靑羊膽) 1, 누런 소의 담즙(黃牛膽汁) 1, 웅담 10g, 잉어쓸개(鯉魚膽) 30g, 뼈 검은 닭의 쓸개(烏骨膽) 5, 우황 20g.

위의 약에서 여러 가지 담즙을 한 데 푼 다음 우황을 가루를 내어 넣고 고루 저어서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담아 약한 불에 졸여 고약을 만든다. 한번에 2g씩 데운 술에 타서 끼니 뒤에 먹고 조금 떼어서 눈에 넣는다[유취].]

구기자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구기자(拘杞子)

가지과의 갈잎떨기나무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와 영하구기자(Lycium barbatum Linne)의 성숙한 열매이다.

뿌리 껍질을 지골피(地骨皮)라고 한다.

성미: 구기자 즉 열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지골피 즉 구기자나무 뿌리 껍질: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구기자: 자신보간명목(滋腎補肝明目), 윤폐(潤肺), 지골피: 청열양혈(淸熱凉血)

해설: 구기자는 ① 간신음허(肝腎陰虛)로 인하여 어지럽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며, 남자는 유정(遺精)이 있으면서 임신을 못 시킬 때 및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을 다스린다. ② 간신(肝腎)의 기능 부족으로 음혈(陰血)이 허약해져서 얼굴빛이 황색으로 되고 머리털이 일찍 희어지며 밤에는 잠을 못 이루는 증상에 쓰인다. ③ 간신의 음기(陰氣)를 보(補)하고 갈증을 그치게 하며 소갈증에도 유효하다. ④ 폐기능 허약으로 인한 오랜 해수에 백부근(百部根) 등과 배합해서 쓴다.

지골피는 ① 몸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조열(潮熱), 식은땀에 효력이 있고, ② 폐결핵으로 인한 해수, 천식에 쓰며, ③ 토혈, 코피, 소변 출혈에 유효하다. ④ 또한 혈당을 내리고 ⑤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난다.

성분: 구기자에는 glycine 등의 다당체와 betaine, physarin, 여러 종류의 amino acid, vitamin B1, B2,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지골피에는 phenol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구기자는 ① 비특이성 면역 증강 작용이 있어서 망상내피 계통이 탐식 능력을 현저하게 높이는 동시에 조절 작용을 보인다. ② 약물 달인 물은 조혈 기능을 촉진시키며, ③ glycine은 생물 자극제로 닭의 사료에 섞어 주면 달걀의 무게와 수를 크게 증가시킨다. ④ 콜레스테롤치의 강하 작용과 항지방간의 작용이 있고, ⑤ 혈압과 혈당을 내리고, ⑥ 생장 촉진 작용이 있다. ⑦ 구기자와 잎은 암세포 억제 작용을 보이며, ⑧ 자궁의 중량을 증가시킨다.

지골피는 ① 심혈관 계통에 작용하여 혈압을 내리고, ② 이 약물 달인 물은 혈당을 지속적으로 하강시킨다.

임상 보고: 구기자는 ① 남성이 매일밤 15g씩 1개월간 복용하여 정액의 분비량을 촉진시켰고, ② 만성위축성위염에 가루로 만들어 20g씩 공복에 3개월간 복용하고 증상이 호전되었다.

지골피는 ① 고혈압에 4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1일 2회로 나누어 복용하였고, ② 청년 사마귀에도 효력을 얻었다. ③ 치아, 잇몸 염증 치료제로 쓰여 통증을 완화시켰으며, ④ 학질에도 유효하였다.

기타: 잎도 차로 달여서 상복하면 면역력을 증강시킨다.]

구기자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452면 56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학 있다.

[
구기자나무 [가지과]]

학명/
Lycium chinense Mill.

갈잎떨기나무. 높이 1~2m.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6~9월에 1~4개씩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꽃통은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길 게 나오고 밑에 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로 긴 달걀 모양이다.

분포/
전국의 마을 근처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채취/
열매를 가을에 뿌리를 수시로 채취하여 말린다.

약효/
열매를 구기자(拘杞子)라고 하며, 자보간신(滋補肝腎), 익정명목(益精明目)의 효능이 있고, 요슬산연(腰膝酸軟), 두운, 목현(目眩), 허로해수(虛
咳嗽), 소갈, 유정을 치료한다. 뿌리껍질을 지골피(地骨皮)라 하며, 청열, 양혈, 청폐열의 효눙이 있고, 도한(盜汗), 해천(咳喘), 출혈을 치료한다.

성분/
열매에는 betaine 0.1%가 함유되어 있으며, 열매 껍질의 색소는 zeaxanthin이다.

약리작용/
구기자는 혈당 강하 작용, 항지간(抗脂肝) 작용 및 혈압 강하 작용이 있다. betaine은 choline의 생체 내 대사 산물이며, choline 대사계의 methyl 공여체로서 항지간 작용으로 설명된다. 혈압 강하 작용은 atropine 및 미주 신경 절단에 의해 차단된다.

사용법/
열매 또는 뿌리 껍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충남 청양에서 많이 재식하고 있으며, 구기자연구소도 있다.] 

구기자는 간의 정기를 길러주고 폐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며 특히 신장의 기운을 돋구어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정력제의 역할도 하고 있다. 구기자는 우리 몸의 중요 부분의 기능을 촉진시켜 주는 놀라운 효험 때문에 구기자와 관련된 재미있는 전설도 많이 있다. 한 참고문헌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전설이 있다.

[옛날 어느 지방에서였다.
어떤 중년 부인이 한 노인과 시비 끝에 그 노인의 뺨을 때리고 있었다.
때마침 그 곁을 지나던 한 사람이 그 광경을 보고 의아해서 물었다.

'어째서 노인을 그처럼 무례하게 때리시오?' 

여인은 그 물음에 대답하기를,

'당신은 가던 길이나 갈 것이지, 왜 남의 일에 참견이요?  이 사람은 내 아들이요.'라고 말했다.

'아들이라니, 당신 나이가 몇인데 저 노인을 보고 아들이라하오?'하고 놀랐는데, 그 여인이 대답했다.

'아들의 나이는 72세이고, 내 나이는 96세요. 어디 잘못 되었소?'

'예 그렇다면 미안합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었어도 그 처럼 혈기가 왕성할 수 있는 어떤 비결이라도 있습니까?'라고 되물었다.

'비결이야 있다 뿐이겠소!' '우리 집에는 선조 대대로 전해오는 [구기자차]라는 불로장수약이 있는데, 이 차로서 모두 장수했다오. 그런데 이 아들놈은 이 차를 마시라고 해도 말을 안들어서 이제 겨우 72세 밖에 안된놈이 나보다도 늙고 허리가 아프다고 해서 이렇게 야단들이요.' 아들보다 나이가 많으면서도 구기자차로 중년이 된 그 여인네는 말하였다.  

거리에서 벌어진 모자간의 다툼을 안 그 사람은 '구기자차, 구기자차'를 되뇌이면서 가던 길을 재촉하였다.

이때부터 모든 사람들은 구기자차의 비방을 터득하고 즐겨 마시게 되었다고 한다.
]

생산지와 채집시기와 관련해서 '구기자'는  구기자라는 나무의 열매이며, 이 나무는 가지과에 속한 낙엽의 작은 관목이다. 이 나무에는 약간의 가시가 돋았으며 잎의 모양은 도란형으로 되어 있다. 나무의 키는 보통 2~3미터가 되며 줄기는 약 4~5미터에 이르는 것인데 가끔 그 이상 더 뻗는 것도 있다.

가지가 많고 잎은 부드러운 편인데 꽃은 잎의 액부에서 나서 1~3개의 꽃을 피운다. 화관은 종 모양으로 되었으며 다섯 갈래로 째어져 있고 봄과 가을에 자색의 꽃이 피며 열매는 빨간 색이 된다. 이 구기자나무의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1년에 두 번 꽃이 피며, 두 번 다 열매를 딸 수 있다는 것이다.

생산지가 일본, 대만, 중국, 한국등 각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이 야산지대에 자생되고 있는 것이 보통인데, 지금은 이의 효율성이 높아지자 인위적으로 재배하는 곳도 적지 않다. 농촌에서는 특히 울담 밑 같은데나 아니면, 정원수로 심어 관상겸 가꾸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렇게 해서 얻어진 열매를 따서 약용으로 쓰여지고 있다.

구기자나무는 열매만이 아니라 그 잎을 따서 차로 끓여 마실 뿐만 아니라 뿌리도 캐었다가 약으로 쓴다. 이처럼 구기자 나무는 열매며, 잎이며, 줄기에서 뿌리에 이르기 까지 우리 몸을 이롭게 하는데 있어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귀중한 약초이다.

가정에서 구기자차를 만드는 방법은 약간의 성의만 있으면 어렵지 않게 복용할 수 있다. 신선하게 건조된 구기자를 약간 볶아서 약탕관이나 스테인리스 주전자에 묽은 농도가 날만큼 적당히 물과 함께 넣어서 천천히 불에 달인다. 이 때 달이는 용기는 질그릇 약탕기가 가장 좋으며 쇠로된 주전자는 피하는 것이 좋다.   

그밖에 구기자를 이용한 여러 가지 민간요법이 있는데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구기자차 외에도 구기자 잎을 장만하여 두었다가 이것으로 차를 끓여 마시며 또한 구기자술을 만들어 마시기도 하는데 그 방법은 대개 술에 구기자와 설탕을 넣어 약 2개월 정도 묵혀 두었다가 마시는 것이다. 구기자를 이용한 것이면 차로 마시든지 술로 마시든지 마시는 사람의 건강과 식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뿐이다.

복용법은 구기자의 맛은 달면서도 약간 쓴 맛이 있으나 독성이 전혀 없으므로 누구나 안심하고 마실 수 있다. 보통 1일 한 사람이 마실 수 있는 양으로는 2~3컵씩 마시는 것이 적당하며 연중 또는 다년간 장기 복용 할수록 효과적이다. 이처럼 구기자차는 우리의 생활주변에서 얻어질 수 있고 그 제조법이 간편하기 때문에 우리 민족이 애용하던 약초이다.

효과면에서 구기자는 특히 남성의 신장의 기능을 보하여 준다는데서 특징 있는 차라 하겠다. 그리하여 간의 정기를 길러주며 폐의 기능을 윤할하게 해주므로써 몸이 튼튼해진다는 것이다. 그밖에 눈이 밝아 질 뿐만 아니라, 정기가 돋아나서 답답한 가슴이 해소되며 대소장 기능을 촉진시켜 준다.

이처럼 이 구기자를 차로 끓여 장기간 복용하면 얼굴빛이 맑아지며 노쇠현상을 예방해 줄 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구갈증을 비롯하여 두통등에서 오는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이와같이 구지자는 우리의 신체적인 여러 가지 기능을 촉진시켜주는 성분이 있으며,
노쇠를 예방하고 특히 남성의 신장의 기능을 돋구어 준다는 데서 두루 권장할 만한 약초이다.

고의서에 보면 몸이 허약한데는 오미자와 구기자를 같이 갈아서 끓는 물에 넣고 3일간을 봉하여 두었다가 차를 마시듯 마시면 효과가 좋다.

얼굴에 검은 점과 기미 그리고 여드름에는 구기자 1.8킬로그램에 생지황 600그램 정도 분량을 만들어서 하루 3번씩 한 숟가락씩 따뜻한 물로 마시면 효험이 있다. 이 약을 오래 먹으면 어린아이 얼굴처럼 맑아진다.

구기자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동의처방대전> 제 6권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구기자

구기자는 우리나라 각지의 마을 주변, 산비탈, 메마른 들판 등에서 저절로 자라며 또 동약생산을 위하여 심어 기르는 구기자나무의 열매이다.

가을에 열매가 익는 차례로 따서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려 쓴다.

구기자에는 알칼로이드, 비타민, 미량원소 등이 들어 있으며 강장작용, 혈압낮춤작용, 혈당낮춤작용, 항지간작용과 간 기능보호작용 등이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구기자는 보약으로 일반 허약자, 병을 앓고 난 다음, 특별한 원인 없이 몸이 여위면서 입맛이 없을 때 쓴다. 이밖에 치료목적으로 영양실조증, 만성 소모성 질병, 신경쇠약, 폐결핵, 허리아픔과 당뇨병, 빈혈,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유정, 성기능감퇴(음위증, 불감증) 등에 쓴다. 또한 간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고 하여 요즘에는 급성 및 만성 간염이 치료에도 쓴다.

구기자를 보약으로 쓰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① 물에 달여 먹는 방법
구기자를 한번에 10~15g을 물에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사이에 먹는다. 또한 다른 보약(새삼씨, 오미자)과 같이 섞어서 달여 먹기도 한다.

② 가루내어 먹는 방법
구기자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3~4g씩 하루 3번 끼니 사이에 먹는다. 가루낸 것을 졸인 꿀에 1:2의 비로 섞어서 10여 일 동안 두었다가 하루 3번 한번에 한 숟가락씩 끼니 사이에 먹기도 한다.

③ 구기자고
구기자, 찐지황, 율무쌀을 가루내어 찔광이엑스에다 섞어 꿀을 넣고 개서 만든 어두운 밤색의 약엿이다.

영양강장작용과 소화작용이 있다. 보약으로 앓고 난 뒤, 몸이 쇠약한 사람, 장수하려는 사람들이 흔히 쓴다. 이밖에 병치료로 신경쇠약, 동맥경화증, 여러 가지 빈혈, 만성 소모성 질병, 만성 소화장애 등에도 쓴다.

한번에 10~20g씩 하루 3~5번 빈속에 먹는다.

④ 술에 우려서 먹는 방법
구기자를 짓찧어 술에 10~15일 동안 두었다가 밭아서 한번에 5~10ml씩 하루 3번 끼니 사이에 먹는다.

구기자는 열매뿐 아니라 뿌리껍질(지골피)과 잎도 약으로 쓴다. 뿌리껍질은 봄 또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쓰는데 여러 가지 출혈, 결핵환자들의 열내림약으로 쓰이며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 고혈압병에도 쓴다. 잎은 푸를 때 뜯어 그늘에서 말려 보약, 혈압낮춤으로 쓴다.]

구기자의 복용 체험담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백년장수에로의길> 217면서는 이러한 글이 실려 있다.

[[증례] 구기자차를 오래 마신 덕인지 10년이나 젊어 보인다.

김○○, 78살, 연로보장


햇볕에 말린 구기자를 가루내어 더운 물에 담그어 만든 차를 식사하기 한시간전에 한번에 한잔씩 하루 3번 마시는 방법으로 25년을 장복하였다.  

그래서인지 나이에 비하여 10년이나 젊어 보이고 입맛도 좋고 잠도 잘 들며 걸음걸이도 패기가 있다. 아픈데도 없고 다만 1993년 12월에 하퇴골절로 한달동안 입원했을 뿐이다. 혈압을 비롯한 모든 검사값이 정상이다.

그는 돋보기 없이도 신문을 볼 수 있다. 구기자열매의 약효의 하나에 눈을 밝게 하는것과 정신적피로감을 해소한다고 하는데 아마 그 덕을 본것 같다.
]

구기자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백년장수에로의길> 224-225면서는 이러한 글이 실려 있다.

[
열매, 잎, 뿌리, 줄기를 다 쓰는 불로장수약 구기자차

오랜 옛날부터
<구기는 하늘이 백성들에게 준 과실>이라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신농본초경>이라는 유명한 약학책에는 365종의 약물이 서술되었는데 그 효능에 따라 상약, 중약, 하약으로 나누었다.  

상약은 계속 먹어도 독성이 없고 불로장수하는 효과가 있는 것들인데 구기는 단연 상약에 속한다.  

그 효능을 보면 <오래 먹으면 근골을 굳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늙어서도 추위와 더위에 견딘다>고 한다.  

봄에 따는 잎은 구기옆으로서
천장초라 하였고 여름에 꽃을 채취한 것은 장생초로 썻으며 가을에 붉게 익은 열매는 구기자로 약효가 또한 좋고 겨울에 캐는 뿌리는 지골피로 한약성분에 들어간다. 구기자잎에는 비타민 비원, 비투, 씨가 많고 잎과 열매에 있는 알칼로이드는 다른 야채의 7~10배나 된다. 구기자잎차는 위강장약, 혈압개선, 동맥경화예방에 좋고 뿌리는 구기자탕, 지골피탕, 청심련자음 등으로 처방하여 고혈압에 쓴다.

구기자의 효능

1,
노화를 막는데 효과가 있고 면역력을 높이며 동맥경화를 막고 노안을 예방한다. 또한 고혈압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다.

2,
자양강정효과, 정력체력증강, 피로회복효과가 있다.

3,
내장기능을 세게 한다. 위장기능을 높여 입맛이 좋아지고 소화가 촉진되며 건위작용이 있고 간에 작용하여 지방간을 예방하고 간을 보호한다.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냉증을 개선한다.

4,
초기 당뇨병때 혈당을 낮추고 이뇨, 해열, 변비, 가래, 천식을 낫게 하고 기침을 멈춘다. 필수 아미노산인 타우린, r-아미노버터산이 포함되어 있다.]

구기자의 식초절임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백년장수에로의길> 225면서는 이러한 글이 실려 있다.

[
구기자 열매 초절임을 권고합니다

구기자 열매에는 비타민 B1, B2가 많고 비타민 C, 루틴, 아르기닌과 글루타민산을 비롯하여 20종의 아미노산, 칼슘과 초산칼륨과 같은 광물질 그리고 베타인 등 특수한 성분들이 들어 있으며 이러한 유효성분들의 호상작용으로 여러 가지 약효가 있다.

구기자는 피흐름을 좋게 하여 위장과 간 등의 내장 기능을 세게하고
낮아 진 시력과 눈의 피로를 개선하며 혈관벽을 유연하게 하여 혈관노화를 막고 수분대사를 조절하여 변비를 예방하며 허약자와 위가 약한 사람, 만성병환자들에게서 강장 및 보신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아미노산과 유기산, 광물질이 많이 들어 있는 자연발효식초로 구기자 초절임을 만들어 먹으면
당뇨병, 고혈압, 시력저하와 노안, 눈아픔, 두통, 어깨아픔, 손발냉한데, 비만증, 식욕부진, 위장허약, 변비 등 여러 가지 병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있다.  

초절임을 만들려면 먼저 깨끗이 씻고 물기를 잘 닦아 낸 밀폐된 용기에 쌀식초나 사과식초와 같은 자연발효식초 500밀리리터를 부은 다음 기호에 따라 꿀 300그램을 넣고 잘 섞는다.

그 다음 구기자 100그램(식초와 5대 1의 비율)을 두고 뚜껑을 덮어 어둡고 서늘한 곳에 놓아 둔다. 하루가 지나면 구기자는 먹을 수 있지만 적어도 10일 정도 지나야 절임액에 감칠맛이 생기며 좋기는 2~3달 정도 놓아 두어야 한다.  

하루에 구기자는 5~6그램(1숟가락 또는 2숟가락)정도 먹으며 절임액은 25밀리리터 정도를 2배 가량의 물에 섞어 마시는 것이 좋다. 구기자 절임은 냉장고가 아니라도 어둡고 서늘한 곳이라면 1~2년 정도 보관해 두고 먹을 수 있다.
]

구기자의 면역력 증진에 대해서
<건강과 장수의 열쇠> 48-5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노화를 방지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구기자열매

① 구기자는 선조들이 일상적으로 먹은 <불로장수약>이다. 구기자 열매는 이미 3,000여년전부터 이용되어왔다. 중국의 가장 오랜 약학서적에도 <오래 먹어도 부작용이 없고 근육과 뼈가 튼튼해지며 몸은 가벼워지고 노화되지 않고 추위와 더위에도 견디어내게 한다.>고 서술되어 있다.

이런 약효과가 있는 구기자의 성분은 지금까지 거의 밝혀지지 않는 상태였다. 그런데 최근에 구기자의 성분과 <불로장수>나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② 필수아미노산도 들어 있다.

놀라운 사실은 구기자속에 약간의 타우린과 Y-아미노락산이 들어 있다는 것이 처음으로 밝혀진 것이다. 다시말하여 가장 품질이 높다고 하는 구기자열매는 0.689%의 타우린과 0.095%의 Y-아미노락산이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참조:
Y-아미노락산이란?: 가바(GABA)라고도 한다. 감마 아미노뷰티르산(gamma-aminobutyric acid)의 약자이다. 감마-아미노낙산 으로도 부른다. 아미노산 신경 전달 물질로서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를 일으킨다. 글루타민산, 글라이신과 함께 포유류의 중추 신경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신경 전달 물질 중 하나이다. [출처: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시그마프레스㈜]

타우린은 자양, 강장효과와 간과 심장의 기능을 높여 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강장 음료제에도 배합되고 있다.

타우린은 낙지나 문어 등 주로 동물의 몸안에 들어있는 아미노산의 하나인데 지금까지 식물에는 없는 것으로 생각하여 왔다.

또한 구기자에는 중추신경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어
신경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Y-아미노락산이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밖에도 구기자에는 강장 음료제나 영양제의 성분으로서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20개나 되는 아미노산의 거의 모든 종류가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람 몸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도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 몸 안에서 합성되지 않고 식료품을 통해서만 섭취할 수 있는 아미노산을 필수아미노산이라고 한다. 이 필수아미노산은 건강증진과 건강유지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기자에는
각종 비타민베타인, 칼슘, 인 등이 들어 있다. 이와 같은 성분들은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며 동맥경화를 막는 작용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기자는 노화방지와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구기자에 대한 연구가 심화됨에 따라 구기자의 약효과가 과학적으로 증명되면서 그 이용가치도 높아지고 있다.
]

구기자의 효능에 관하여
<건강과 장수의 열쇠> 50-51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구기자를 매일 10알씩 먹으면 노화를 방지하고 시력을 개선할 수 있다

구기자를 매일 10알씩 먹으면 온몸이 젊어지고 시력이 개선된다고 한다.

고려의학에서는 구기자가 간이나 콩팥의 기능을 개선시킨다고 보고 구기자를 만성간염이나 간경변 등의 간장질병치료에 쓰고 있다.

구기자는 몸을 덥히지도 않고 차게 만들지도 않으며 단맛이 나면서 성질이 온화하고 영양이 풍부하기 때문에 자양강장의 목적으로 오래 쓸 수 있다.

영양학적으로 보면 구기자에는 단백질, 지방, 알칼로이드, β-카로틴, β-시토스테롤, 비타민 B1, B2, C, 니코틴산외에 철, 망간, 마그네슘, 아연 등 15종 이상의 미량원소가 들어 있다. 이러한 미량원소는 몸안에서 효소나 호르몬, 비타민 등의 생리활성물질의 형성에 관계하며 신진대사를 높여준다. 그 결과 온몸의 세포가 활성화되고 생생해진다. 예를 들면 눈에서는 망막이나 시신경의 활동을 개선시킴으로써 시력을 높여주며 뇌에서는 세포의 위축을 막고 두뇌를 젊게 보존한다.

그리고 구기자는 살결이나 머리칼을 새롭게 만들며 머리칼이 빠지는 것을 막고 흰머리칼을 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구기자는 혈당낮춤작용이나 간의 지방침착을 예방하는 작용을 한다.

구기자는 그밖에도 신경통, 류마티스를 비롯한 질병때 몸의 아픔을 없애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구기자속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여러 가지 광물질류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노화현상은 첫째로 눈의 기능저하, 둘째로 발과 허리의근육 및 관절의 쇠약, 셋째로 성기능 및 정력의 감퇴로 나타난다.

구기자는 대뇌신경과 성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구기자를 섭취하면 뇌의 노화방지와 성기능 장애를 회복키실 수 있다.

그러므로 구기자는 <불로장수약>의 대표적인 약재라고 할 수 있다.

연구 자료에 의하면 91세된 한 노인은 심장질병과 당뇨병을 앓고 있으나 매일 10~15알 정도의 구기자를 먹고 있는데 증상이 그리 심하지 않고 백내장도 정지상태에 있다고 하였다. 65세된 한 여성은 30년 이상이나 어깨가 결려서 애를 먹어 한달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침구치료를 받아왔다. 그런데 1년전부터 구기자를 하루에 10~15알씩 먹기 시작하였더니 먹은지 보름후부터 어깨가 가벼워지고 피곤한 작업을 한 경우에도 어깨가 결리지 않게 되었으며 완고한 좌골신경통도 나아졌다고 한다.

그밖에도 <정력과 활력이 넘쳐나게 되었다.>, <비만증이 개선되었다.>, <머리칼이 까맣게 되었다.>는 등의 자료가 있다.
]

구기나무 및 구기자의 효능에 대해서 일본에서 펴낸
<건강, 영양식품사전> 252-254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구기(
枸杞)나무

피로한 신경을 흥분시키고 강장효과에도 우수하다.

구기나무는 가지과의 낙엽소저목(落葉小低木)인데 일본에서는 본주(本州), 사국(四國), 구주(九州)의 원야(原野)나 수변(水邊)에 자생한다. 고려인삼과 함께 옛날부터 중국에서는 한방약의 상약(上藥)으로서 귀중하게 여긴 역사가 있는 구기는 한방약의 성전이라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그 효능이 기록되고 최근에 그 유효 성분에 대해서도 연구가 추진되어 다른 약초에는 없는 약효가 있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한방에서 이용하는 것은 그 열매인 구기자와 뿌리껍질, 잎 등인데 뿌리나 줄기는 민간약으로 일부에 전승되고 있다.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서 장경(長徑) 1~1.5cm의 붉은 난형의 열매가 매달리는데 일반적으로 구기자라고 하고 구기자술의 원료로 된다.

구기자에는 베타인, 제아키산틴, 필리엔등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알칼로이드는 신경에 작용하고 피로한 신경을 흥분시킨다. 그 결과 정기(精氣)가 넘쳐나오는 느낌이 든다. 특히 베타인은 소화기계의 분비, 운동을 촉진하고 신경의 전달이 원활해지며 위장병에 대해서 간접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이어서 변비의 해소에도 연결된다.

아미노산도 많고 알기닌이나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상 등의 필수 아미노산 5종이 함유되어 있다. 단백질은 시금치의 2배를 함유하고 있지만 그 보다도 알칼로이드에 의한 강장작용쪽이 확실한 것 같다.

구기자술은 건조한 구기자를 설탕, 벌꿀과 함께 소주에 담가두고 몇 달이나 지나서야 숙성시킨 것인데 약용술로서도 시판되고 있다. 강장효과가 있다.

또 구기의 어린 싹이나 어린 잎을 건조시킨 것은 구기차로서 음용되고 있다.

구기차(
枸杞茶)

모세혈관을 강화하고 혈압을 조정한다.

구기(
枸杞)는 가지과의 낙엽소저목(落葉小低木)인데 일본에서는 본주(本州), 사국(四國), 구주(九州)의 원야(原野)나 물가에 자생한다. 고려인삼과 함께 옛날부터 중국에서는 한방약의 상약으로 진중(珍重)히 취급되고, 한방약의 성전(聖典)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도 그 효능이 기재되어 있다. 한방에 이용되는 것은 구기의 열매 구기자(枸杞子), 뿌리, 껍질부위인데, 어린순이나 잎을 건조해서 달인 것이 구기차로서 음용되고 있다.

잎의 주요 성분은 비타민 C, B1, B2, 단백질(蛋白質), 메티오닌, 루틴, 질산칼리등인데 특히 루틴의 효용이 크다. 루틴은 체내의 활성산소소거(活性酸素消去) 작용과 아울러서 모세혈관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고, 고혈압증이니 저혈압증에 듣는다고 말한다. 이것은 혈관이 강화되는 것에 의해 혈행(血行)이 순조로워지기 때문인데, 고혈압증의 증상으로서 나타나는 견비통, 두통, 수족의 절임이 없어지고, 동맥경화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거꾸로 저혈압증에는 루틴의 작용과 비타민 C의 빈혈에 대한 작용으로 이중의 효과가 있는 일도 놓칠 수가 없다.

또한, 잎의 엽록소(葉綠素)에 간장의 해독작용을 도우는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장병의 예방,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엽록소(葉綠素)에 공통의 성질로서 체내에 들어가면 알칼리성으로 작용하고, 체내의 산독증상(酸毒症狀)을 개선하므로 피로회복, 스트레스의 방지, 간장의 강화, 혹은 이뇨작용의 촉진 등에 듣는다. 또, 구기탄닌이라는 구기의 잎에만 함유되어 있는 종류의 탄닌은, 산화환원작용(酸化還元作用)을 가지며, 노화를 방지(防止)하는 동시에 암의 예방에도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

구기자의 열매, 잎, 뿌리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열매>

1, 간신(肝腎)의 쇠약으로 눈이 침침하여 잘 보이지 않거나 또는 눈알이 건조하고 깔깔하면서 아플 때

숙지황(熟地黃), 산유육(山萸肉), 복령(茯
), 산약(山藥), 단피(丹皮), 택사(澤瀉), 구기자(枸杞子), 국화(菊花)를 정제한 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 [의급(醫級), 구기지황환(枸杞地黃丸)]

2, 과로로 생긴 병으로 몸이 쇠약해졌을 때

구기자(
枸杞子) 3되, 얇게 자른 건지황(乾地黃) 1되, 천문동(天門冬) 1되를 보드랍게 짓찧어 햇볕에 말린 다음 체로 쳐서, 꿀에 반죽하여 탄환만한 환으로 만들어 하루에 2알씩 복용한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구기환(枸杞丸)]

3, 콩팥의 쇠약으로 눈이 침침하거나 또는 운예(雲
: 안구 각막병의 후유증으로 남은 얇고 불투명한 상처조직)가 눈알을 가리울 때
구기자 500g을 질 좋은 술에 푹 담가 물기가 충분히 스며들면 넷으로 나누어 150g을 촉초(蜀椒) 37.5g과 함께 볶고 150g을 소회향천(小茴香川) 37.5g과 함께 볶고 150g을 지마(脂麻) 37.5g과 함께 볶고 150g을 천연육(川
肉)과 함께 볶은 것에서 구기자를 골라내고 숙지황, 백출, 백복령 각 37.5g을 넣고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정제한 꿀에 반죽하여 환으로 만들어 하루에 한번씩 복용한다. [서죽당경험방(瑞竹堂經驗方), 사신환(四神丸)]

4, 쇠약해진 것을 보충하고 근육을 튼튼히 하며 안색을 좋게 하고 몸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

구기자 2되를 청주(淸酒) 2되에 담갔다가 두드려 자잘하게 깨뜨린 다음 다시 더 술을 넣고 7일간 담가 두었다가 걸러내 찌꺼기를 제거하고 아무 때나 마신다. [연년방(延年方), 구기자주(
枸杞子酒)] 

5, 허로(虛勞)와 하초의 쇠약으로 약간 갈증이 나고 소변이 자주 마려울 때

구기자 37.5g, 잘게 썬 황기(黃
) 56g, 노두(蘆頭: 인삼, 도라지 따위의 뿌리에서 싹이 나오는 꼭지 부분)를 없애 버린 인삼(人蔘) 37.5g, 계심(桂心) 1.11g, 당귀(當歸) 37.5g, 백작약(白芍藥) 37.5g을 짓찧어 체로 쳐서 가루로 만들어 한 번에 11.1g을 생강(生薑) 0.185g, 대추 3개, 물엿 0.185g과 함께 물 한잔에 넣고 2.22g으로 졸아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식전에 따뜻하게 데워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구기자산(枸杞子散)]

6, 정신을 안정시키고 피를 보충하며 자음(滋陰)하고 양(陽)을 굳게하며 지혜를 늘리고 근골을 튼튼히 하며 근육과 피부에 윤기가 돌게 하고 얼굴을 늙지 않게 하는 방법

꼭지를 떼 버린 구기자 5되, 원안육(圓眼肉) 2.5kg을 새로 길은 물 25kg과 함께 질솥에 넣고 뽕나무로 불을 지펴 가면서 천천히 달이는데 생약의 냄새가 나지 않을 때까지 물을 부어 가면서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약한 불로 달여 엑스로 만들어 사기 그릇에 넣어 잘 봉해 두었다가 시간에 구애 받지 말고 자주 복용하는데 한 번에 2~3 숟가락씩 복용한다. [섭생비부(攝生秘剖), 기원고(
圓膏)]

7, 간허(肝虛) 혹은 바람을 맞아 눈에서 눈물이 흐를 때

구기자 2되를 짓찧어 비단주머니에 넣고 다시 그것을 단지에 넣어 술 1말을 쏟아 붓고 단단히 봉해서 21일간 두었다가 매일 마신다. 취하게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8, 눈이 벌겋게 충혈되고 예(
)가 생겼을 때
구기자를 짓찧은 즙을 하루에 3~5번 눈에 떨군다. [주후비급방(
後備急方)]

9, 여름을 타서 신체가 허약해졌을 때

구기자, 오미자를 아주 곱게 가루로 빻아 펄펄 끓인 물을 부어 3일간 봉해 두었다가 차대신 마신다. [섭생중묘방(攝生衆妙方)]

<잎>

10, 지나친 성행위로 신체가 쇠약해져 오로칠상(五勞七傷)할 때

얇게 자른 구기옆 250g, 멥쌀 2홉을 시즙(豉汁)과 고루 섞은 다음 끓여 죽을 만들어 여러 가지 조미료와 파 등을 배합하여 먹는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구기죽방(
枸杞粥方)]

11, 양기(陽氣)의 쇠약으로 허리와 다리가 시큰시큰 쑤시고 아프며 오로칠상(五勞七傷)할 때

구기엽 500g, 가늘 게 썬 양신(羊腎) 1쌍, 쌀 3홉, 총백(蔥白) 14줄기 상술한 약물을 가늘게 썰어, 여러 가지 맛을 넣고 끓여 죽을 만들어 보통 방법으로 빈속에 먹는다. [성제총록(聖濟總錄), 구기양신죽(
枸杞羊腎粥)]

12, 급성 결막염

구기엽 75g, 계란 1개에 약간의 조미료를 넣고 끓여 하루에 한 번씩 먹는다. [광서(廣西), 중초약의료법처방집(中草藥醫療法處方集)]

13, 눈이 깔깔하면서 아프고 겸하여 예(
)가 있을 때
구기자 75g, 차전엽(車前葉) 75g을 삶아서 즙을 짠 다음 뽕잎 111g으로 두겹 정도 싸서 그늘진 곳에 한달까량 걸어둔 다음 즙을 짜내어 눈에 떨군다. 3~5번 쓰면 치료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구기엽점안방(
枸杞葉点眼方)]

14, 시력감퇴 및 야맹증

구기엽 75g, 병묘초(柄猫草) 37.5g, 야명사(夜明砂) 11.1g, 저간(猪肝) 15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육천본초(陸川本草)]

15, 치질로 염증이 생기고 부어오를 때

신선한 구기자의 줄기와 잎 한 웅큼을 달여 약기운을 쐰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6, 여성의 백대하

구기자 새순으로 반찬을 만들어 계란과 함께 볶아 먹는다. [전남본초(
南本草)]

<뿌리>

17, 골증기열(骨蒸肌熱)을 치료하고 각종의 허번조(虛煩躁)를 풀고 진액을 생성하는 방법

깨끗이 씻고 나무 고갱이를 제거한 지골피 1냥, 줄기의 기부를 제거한 방풍(방풍) 1냥, 볶은 감초 1푼을 곱게 가루내어 1회에 2돈을 물 1컵으로 생강 3편과 죽엽(竹葉) 7편을 함께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유증보제방(類證普濟方), 지선산(地仙散)]

18, 열노(熱勞)

지골피 2냥, 줄기를 제거한 시호(柴胡) 1냥을 찧어 곱게 체로 쳐서 산제로 만들어 1회 2돈을 고갱이를 제거한 맥문동(麥門冬)의 탕액으로 개어서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지골피산(地骨皮散)]

19, 피로 쇠약으로 인하여 갈증이 심하게 나고 관절에 번열(煩熱)이나 한(寒)이 있는 증상

자른 구기근백피(
枸杞根白皮) 5되, 맥문동 2되, 소맥(小麥) 2되를 물 2말로 끓여 맥(麥)이 잘 익었을 때 불에서 내리고 찌꺼기를 제거하여 1회에 1되를 1일 2회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구기탕(枸杞湯)]

20, 소아의 폐성(肺盛)으로 인한 호흡 촉박, 천수

볶은 지골피와 상백피(桑白皮) 각 1냥, 불에 구운 감초 1돈을 잘 게 썰어 분말로 만들어 갱미(秔米) 한줌을 넣고 물을 작은 컵으로 2컵을 가하여 7할이 될 때까지 달여 식전에 복용한다. [소아약증직결(小兒藥證直
), 사백산(瀉白散)]

21, 토혈, 하혈

구기근피(
枸杞根皮)와 구기자(枸杞子)를 가루내어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보제방(普濟方)]

22, 혈림(血淋)

지골피(地骨皮)를 술로 달여서 복용한다. 시선한 지골피가 있으면 물을 넣고 찧어 1회에 찧은 즙 1컵에 술 소량을 넣어 공복에 온복하면 효과가 더욱 좋다. [경험광집(經驗廣集), 지골주(地骨酒)]

23, 소갈증으로 끊임없이 물을 마시고 소변이 자주 나오는 증상

지골피, 토과피(土瓜皮), 괄루근(栝樓根), 노근(蘆根)을 각각 잘게 썬 것 1냥 반, 목심을 제거하고 불에 구운 맥문동 2냥, 핵(核)을 제거한 대추를 마(麻)의 열매 크기로 썰어 1회 4전(錢)을 물 1컵으로 8할이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온복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지골피음(지골피음)]

24, 소갈증으로 입술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증상

껍질을 벗긴 구기근(
枸杞根) 5되, 석고(石膏) 1되, 소맥(小麥) 3되를 썰어서 끓여 맥(麥)이 흐믈흐믈해지면 꺼내어 찌꺼기를 버리고 적당한 온도로 복용한다. [의심방(醫心方), 구기탕(枸杞湯)]

25, 유행성 결막염

자른 지골피 1500g을 물 3말로 3되가 될 때까지 끓인 다음 찌거기를 버리고 다시 소금 2냥을 넣어 1되가 될 때까지 달여 눈을 씻는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지골피탕(地骨皮湯)]

26, 풍(風), 충아통(蟲牙痛)

구기근백피(
枸杞根白皮)를 달인 식초로 입안을 양치질한다. 탕액을 복용해도 좋다. [주후방(後方)]

27, 방광으로부터 열이 소장에 옮겨지고 구내염이 창(瘡)으로 되어 궤란(潰爛)되며 흉위(胸胃)에 열이 스며들며 소화가 되지 않는 증상

시호(柴胡), 지골피 각 3돈을 달여서 복용한다. [난실비장(蘭實秘藏), 지골피탕(地骨皮湯)]

28, 귀가 멀고 고름이 멎지 않는 증상

지골피 반냥, 오배자(五倍子) 1푼을 찧어서 곱게 가루내어 1회에 소량을 귓속에 문질러 넣는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지골피산(地骨皮散)]

29, 표저(
疽)가 수족과 배견(背肩)에 침입하여 적소두(赤小豆)만한 것이 점차로 생기고 터지면 고름이 나오는 증상
구기근(
枸杞根), 동규근(冬葵根), 동규엽(冬葵葉)을 끓인 즙을 엿처럼 달이고 졸여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30, 장풍(腸風)으로 인한 치루(痔漏)로 출혈이 멎지 않는 증상

지골피, 봉안근피(鳳眼根皮: 저백피:樗白皮) 각 같은 양을 함께 조금 누렇게 될 때가지 볶고 찧어서 곱게 가루내어 1회 3돈을 빈속에 온주(溫酒)에 섞어 복용한다. 기름기가 많은 것은 피해야 한다. [경험방(經驗方), 지골피산(地骨皮散)]

31, 치질

신선한 구기자뿌리를 뜯어서 벗기기 쉬운 표면의 붉은 껍질을 떼어 버리고 그 아래의 얇은 백피(白皮)만을 취하여 햇볕에 말리고 고운 체로 쳐서 분말로 만들어 1냥당 찧은 지룡(地龍) 가루 1돈을 넣고 잘 혼합하여, 먼저 뜨거운 제즙(虀汁)으로 환부를 습포하고 나서 마른 약가루를 문질러 넣는다. 1일 3회 정도 실시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구기산(
枸杞散)]

32, 오래된 기위감창(氣
疳瘡)
지골피 적당량을 찧어 곱게 가루내어 종이 노끈에 묻혀서 환부에 발라 넣는다. 몇 번이고 계속하면 새살이 나오며 또한 2돈을 미음으로 개어 1일 3회 수시로 복용한다. [와과정의(外科精義), 응효산(應效散)]

33, 부인의 외음부가 붓거나 창(瘡)이 생기는 증상

구기근(
枸杞根)의 탕액으로 여러 차례 씻는다. [영류검방(永類鈐方)]

34, 고혈압
(임상보고)
매일 선선한 구기근피(
枸杞根皮) 혹은 전근(全根) 100g(말린 것은 50g)을 물로 달여 2회로 나누어 복용하고 30일을 1치료 기간으로 연속 복용하였다. 1~3기의 환자 36례를 관찰한 결과 현효(1964년 난주심혈관회의평정기준(蘭州心血管會議評定基準)에 의한다) 20례, 유효 5례, 무효 11례였다. 그 중에 1기의 3례는 모두 유효하였으며 3기의 치료 효과는 가장 낮고 유효율은 62%였다. 효과가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은 최단 4시간이고 최장 7일이었다. 자각 증상은 모든 병례에서 그 정도가 각각 달랐는데 모두 개선되었다. 체위성(體位性) 저혈압 및 기타의 부작용은 없었다. [중약대사전]

35, 청년 편평우췌(扁平
疣赘), 심상(尋常) 및 족저우췌(足低疣赘), 범발성(汎發性) 습진(임상보고)
지골피로 10%의 주사액을 만들어 1회 2~3ml에 자가(自家)혈액 2ml를 넣어 매주 2회씩 근육 주사를 하는데 10회를 1치료 기간으로 한다. 치료되지 않을 때에는 다시 2치료 기간까지 연장하여도 된다.

청년 편평우(扁平疣)의 치료 7례에서은 6례가 치유되고 1례는 호전되었으며 피부 습진은 대체로 소실되었다. 범발성(汎發性) 습진의 치료 12례에서는 9례가 치유되고 2례는 호전되었으며 1례는 효과가 없었다. 어떤 병례는 2~4회의 치료만으로 뚜렷하게 호전되었고 5~6회로 치유되었다. 일부 환자는 주사 후에 곧 가벼운 두통과 안면 홍조를 호소했다. [중약대사전]

36, 치수염(齒髓炎)으로 인한 동통
(임상보고)
지골피 50g에 물 500ml를 넣어 50ml로 될 때까지 달이고 여과하여 작은 솜에 묻혀 소독한 우식와(齲蝕窩) 안에 넣는다. 치료한 11례는 모두 현저한 지통 효과가 있었다. 어떤 병례는 치료 후 1분 내에 통증이 멎었다. [중약대사전]

37, 학질(말라리아)
(임상보고)
신선한 지골피 50g, 다엽(茶葉) 5g을 달여 발작 2~3시간 전에 돈복한다. 150례 환자에게 처방한 결과 145례는 발작이 억제되고 어떤 환자는 1회의 복용으로 효과를 보았다. [중약대사전]

[구기자나무 재배법-
1]

1, 기후와 토양

구기는 기후와 토양에 대한 요구가 까다롭지 않다. 추위에 잘 견디고 소금기 많은 토질에도 잘 견딘다. 그러나 비료에 대한 요구는 대단히 많다. 비옥하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토양이 좋다. 움푹한 지대에서 재배하는 것은 좋지 않다.

2, 심기

종자번식: 3월 하순에 파종한다. 모판은 반드시 깊게 파 일으키고 밑거름을 충분히 준 다음 너비가 약 1m되는 두둑을 만들어 이랑사이의 거리를 15cm로 얕은 고랑을 파서 거기에 종자를 뿌리고 흙을 덮어 가볍게 다져 놓는다. 물을 끼얹어 습윤하게 한다. 모의 크기가 1m쯤 되면 옮겨 심는다. 이랑사이의 거리와 포기 사이의 거리를 각각 2m내외로 해서 구멍을 파고 밑거름을 충분히 준 다음 매 구멍에 2~3포기씩 심고 흙을 덮어 잘 다지고 물을 끼얹는다.

꺽꽃이번식: 봄에 싹이 트기 전 또는 장마철에 한해살이 새 가지를 골라 길이가 15cm되게 잘라내고 모판에 곧게 또는 비스듬히 꽂는다.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살아나면 옮겨 심는다.

3, 경지관리

① 육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물을 끼얹어 토양의 습윤을 유지하는 것이다. 싹이 7~10cm가량 자라면 반드시 솎아 주어 포기 사이의 거리가 3~7cm되게 한다. 덧거름은 한 번 준다.

② 모를 옮겨 심은 다음에는 흙을 파 일으켜 부드럽게 하고 김매기를 해야 한다(1년에 5~6번). 흙을 파 일으켜 부드럽게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15cm 깊이로 파고 가을에는 30cm 깊이로 파 일으킨다. 햇볕을 잘 받게 하여 토양의 온도를 높이고 또 병충해를 감소시켜야 한다.   

③ 매 년 이른 봄에 흙을 파 일으켜 부드럽게 한 다음 바로 사람의 분뇨나 외양간 두엄을 한 번 준다. 4월 중순 ~ 5월 하순에 덧거름으로 황산 암모늄과 과인산 석회를 1~2번 준다. 또 콩깻묵과 사람의 분뇨도 덧거름으로 주면 좋다. 8월 중순에 다시 한 번 거름을 주어야 한다.

④ 해마다 가지치기를 해야 한다. 모를 옮겨 심은 이듬 해 높이가 1.5cm 되면 분지를 촉진하기 위하여 나무의 끝을 베어 버리고 그 후에는 매 년 가지치기를 2~3번 하되 앞쪽의 끝을 둥글게 한다. 나무가 커서 열매를 맺으면 봄철에 가지 끝을 베어 버리고 가을에 굳은 가지와 마른 가지를 베어 버린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구기자나무 재배법-
2] 

구기자나무는 관상용으로도 좋다. 그래서 집근처 유휴지를 이용해서 기를 만한 것이다. 재배지로서는 우리 나라 어디서나 가능하다. 그러니까 배수가 좋고 통풍과 햇볕이 잘 들면 그다지 비옥하지 않은 사질 양토가 적당하다. 특히 과수원, 뽕나무밭, 황무지 그기고 개간지에 심는 것이 여러모로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번식법으로는 종자 파종법, 포기 나누기법, 휘묻이 법, 꺾꽂이 법 등 여러 가지 법이 있다. 그 중에서 꺾꽂이 법이 이상적이다. 3~4월경이나 9~10월경, 그해 자란 햇가지를 골라서 20여 센티 정도의 길이로 잘라 묘상이나 습기 있는 사질토에 바로 꽂는다. 꺾꽂이는 과수원 뽕나무밭 등 주위에 직접 꺾꽂이 하는 경우도 있고 간단한 묘판을 만들고 그 곳에 꺾꽂이 하였다가 이식하는 경우도 있다. 꺾꽂이 묘판은 0.9~1.8미터 넓이의 두렁을 만들고 12~21센티미터 간격으로 비스듬히 세우고 흙을 덮은 뒤에 약간 밟아 준다.

본토에 직접 꺾꽂이 할 때에는 11월 중순경에 갈고 이랑사이 1.2~1.8미터 정도의 두렁을 만들어 두었다가 다음에 이른 봄에 갈지 않고 그대로 포기 사이 20~90센티 정도의 간격으로 묘상 꺾꽂이를 한다. 비료는 인산 칼륨 등을 질소질 비료와 함께 병용하는 것이 좋다. 그 다음에는 때때로 김매기를 해준다. [익수본초(益壽本草)]

중국의 서하 지방에서는 여인들이 1년 사계절 구기자나무를 먹는다고 알려준다. 그 먹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월의 첫 호랑이날(인일:寅日)에 그 뿌리(지골피:地骨皮)를 채취하여 이를 2월의 첫 토끼날(묘일:卯日)에 달여서 복용하고,

3월의 첫 용날(진일:辰日)에 그 줄기를 끊어서 4월의 첫 뱀날(사일:巳日)에 달여서 먹고,

5월의 첫 말날(오일:午日)에 그 잎을 따서 6월의 첫 양날(미일:未日)에 나물해 먹고,

7월의 첫 원숭이날(신일:申日)에 그 꽃을 채취하여 술을 담아 8월의 첫 닭날(유일:酉日)에 마시고,

9월의 첫 개날(술일:戌日)에 그 열매(구기자:
枸杞子)를 따서 술을 담가 10월에 첫 돼지날(해일:亥日)에 마시고,

11월의 첫 쥐날(자일:子日)에 그 뿌리를 채취하여 12월의 첫 소날(축일:丑日)에 달여서 먹기를 1년 내내 끊이질 않았다고 한다. 이로써 무병 장수(無病長壽)는 물론 아름다운 피부는 한결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였다고 한다.

구기자로 담그는 장수술인 구기주(
枸杞酒)는 이렇게 담글 수 있다.

구기자 다섯 되를 찧어서 열매가 깨어지도록 하여 주머니에 넣어 좋은 술 두 말에 담가 2주일 뒤부터 취하지 않을 정도로 적당히 마시면 간장을 보강하고 피부가 윤택해지며 근골(筋骨)이 튼튼해지고 장수하게 되는 데 이것을 구기주(
枸杞酒)라고 부른다.

젊어지는 불로장수주을 담그는 비결에 대해서
무형문화재 제 6호 전주 이강주 기능보유자인 조정형씨가 지은 <다시 찾아야할 우리의 술> 262-263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불로장수주

이 술은 중국 황실에서 빚던 비법의 술인데 약효가 훌륭한 여러 약초를 섞어 그 속에 든 신비한 성분을 우려낸 술로 정력을 높이기 위한 스테미너의 술이다.

여러 가지 약재는 가능한 한 자연에서 나는 야생에서 구한 것이 훨씬 효험이 있다.

1, 담그기

[약재료]

토사자, 육종용, 파천극, 산수유,
구기자, 복령, 여정자, 쇄양 각 30그램, 우술, 인삼, 차전자, 맥문동, 석창포, 지황, 사상자는 각각 10그램씩, 그 외 오미자 5그램, 용안육 60그램, 대추 250그램, 감초, 육계는 각각 3그램씩

청주 1.8리터

1) 감초, 육계를 제외한 재료를 약탕관에 넣어 청주를 그 위에 뿌리듯이 붓고 한 시간 정도 찐다.
2) 찐 약초는 소쿠리에 옮겨 햇볕에 말린다.
3) 용기에 말린 약재를 넣고 감초, 육계도 넣은 다음 청주 1.8리터를 붓는다.
4) 잘 밀봉하여 어두온 곳에 2~3개월 묵혀 두면 신비의 술 불로장생주가 된다.
5)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시면 건강에 아주 좋다.

2, 참고

1) 약탕관에 쪄서 내린 액은 보약이므로 버리지 말고 마시도록 한다.
2) 가정에서 보약을 다리고 재탕까지 한 찌꺼기도 그 속에 약효가 있어 술 빚기는 아주 좋으므로 버리지 말고 햇볕에 말려 소주나 청주 속에 넣어 우려내어 술로 마시면 일거양득으로 경제적이고 몸 건강에 좋은 술이 된다.
]

남편의 정력이 약해지는 것을 느끼는 가정 주부들은 옛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정력제 처방 중에 하나인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이 있는데 그 처방중에 구기자의 원료가 들어간다는 사실이다. 오자연종환을 아내가 정성껏 만들어 준다면 남편으로부터 더욱 더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 만드는 방법 2가지를 아래에 소개해 본다.

[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1

[조성]
구기자나무열매, 새삼씨 각각 320g, 복분자딸기 160g, 질경이씨 80g, 오미자 40g

[만드는 법과 쓰는 법]
위의 약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6~8g씩 아침, 저녁 빈속에 슴슴한 소금물로 함께 먹는다.

[효능 및 맞음증]
정, 수를 보하며 신기를 세게하고 뇌력을 좋게 한다.
신기가 모자라 양위, 유정, 조루 등과 허리와 다리가 나른하고 시큰 거리고 아프며 몸이 여위고 소변이 잦은 데 쓴다.

[처방풀이]
구기자 나무 열매는 간, 신을 보하고 정기를 늘이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강정한다.

새삼씨는 간, 신을 보하고 신양을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정의 소모를 막으며 뇌력을 좋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복분자딸기는 간을 보하고 신양을 도우며 신기를 세게 하고 소변을 조절하며 음위를 낫게 한다.

오미자는 폐기를 가다들이고 신정을 보하며 진액이 나게 하고 정기를 가다들인다.

질경이씨는 정을 보하고 습열을 없애며 소변이 잘 나가게 하고 유정, 유뇨를 낫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대변을 고르게 한다.

위의 약들은 다 눈, 귀를 밝게 하고 정기를 보하며 정력이 나게 한다. [동의처방대전 제 5권 203면]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2

구기자: 337.5g, 복분자: 187.5g, 오미자 37.5g, 새삼씨 262.5g, 길짱구씨 112.5g위의 약을 가루내어 졸인꿀에 반죽해서 0.3g 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90알씩 아침, 저녁 빈속에 슴슴한 소금물로 먹는다.

[작용]
정, 수를 보하며 신기를 돕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 구기자는 간, 신 특히 신정을 보하고 새삼씨, 복분자는 간, 신을 보하는데 이 약들은 다 근골을 든든하게 하는 외에 앞의 것은 또한 정신을 좋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뒤의 것은 소변보는 기능을 정상화하며 음위증을 낫게 한다. 오미자는 폐기와 신정을 보하고 질경이씨는 습열을 없애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신정을 보한다.이 처방은 일정 기간 쓰면 눈과 귀가 밝아지고 온몸에 기운이 솟는다.

[맞음증]
신기가 모자라서 오는 음위증, 유정, 몽설, 허리아픔과 소변이 잦은 데, 남자불임증(3권 1633면), 그리고 귀와 눈이 밝지 못한 데 쓴다."
[동의처방대전 제 1권 109면]]

구기자의 모든 부분이 소중한 약이 된다는 사실에 대해 중국의
<보수당방(保壽堂方)>에서는 이러한 기록을 볼 수 있다.

[지선단(地仙丹)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 약은 성질이 평하며 늘 복용하면 사열(邪熱)을 제거하고 눈을 밝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한다.'

에 채취한 구기의 잎을 '천정초(天精草)'라 하고,

여름에 채취한 꽃을 '장생초(長生草)'라 하며,

가을에 채취한 열매를 '구기자(
枸杞子)'라 하고,

겨울에 캔 뿌리를 '지골피(地骨皮)'라 한다.

이것들을 모두 그늘말림하여 무회주(無灰酒)에 하룻밤 담갔다가 49일 동안 햇볕에 말리고 이슬에 맞혀 건조해지면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정제한 꿀에 반죽하여 탄환만한 환을 만든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각 1알을 잘게 씹어, 끓였다가 하룻밤 둔 백비탕(百沸湯: 물을 끓였다 식히기를 100번이나 한 것)으로 삼킨다. 본품은 가시가 없고 맛이 단 것을 쓴다. 가시가 있는 것은 복용하여도 무익하다.
]

구기자를 집안뜰이나 텃밭 또는 유휴지가 있다면 누구나 무공해 및 무농약으로 구기자를 직접 재배를 하여 봄에 올라오는 새순을 나물로 먹고 구기자차를 마시며, 잘익은 열매도 차로 마시거나 술에 담가 마시며, 또한 식혜, 발효 효소를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아름다운 꽃도 감상하고 빨갛게 익은 열매를 감상하면서 그 열매로 가족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용도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으로 구기자는 열매, 잎, 줄기, 뿌리 모든 부분이 인체의 면역력을 증강시켜서 무병장수하게 하는 약초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모든 질병을 100퍼센트 완치할 수 있는 약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아마도 인간이 아닌 전능한 신의 영역일 것이다. 하지만 질병을 앓고 있는 환우의 정신상태와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여주는 대체요법, 약초요법, 식이요법, 민간요법, 자연요법 등을 실천하여 질병을 완치하고 생존하는 사람들이 있다. 모든 환우는 첫째 마음가짐이 대단히 중요하다. 항상 웃으며 겸손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자기의 잘못된 생활습관을 바꿀 필요가 있다. 마음을 넓히고 남을 돕는 마음과 베풀수 있는 여유를 가지면 우리 몸속에 있는 자연치유력인 면역계가 튼튼해져 피가 깨끗해지고 임파구의 보체가가 상승하게 된다. 공해없는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 환우에게 큰 헤택을 줄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자라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구기자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구기자뿌리(지골피) 사진 감상: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구기자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