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괴불주머니 잎, 꽃이핀
전초, 노란꽃, 푸른 열매, 검게 익은 열매, 검은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한국/일본/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 아픔멎이작용,
항균작용, 살충, 청열, 해독, 소종, 옹창열절, 살충, 이뇨,
옴, 버짐, 종기, 이질, 복통, 뱀에 물린데, 벌레에 물린데, 폐결핵으로 인한 각혈,
탈항증,
소아
경풍에 의한 경련, 인사 불성, 개선,
선창, 이습, 창독종통, 목적, 서열사리, 폐병해혈, 무명종독, 풍화안통,
각막충혈을
다스리는 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는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양귀비과의 2년초이다.
괴불주머니의 학명은 <Corydalis
pallida (Thunb.) Persoon>이다. 2년초로 줄기는 총생하며 높이 30~50㎝이고 다소 분백색을 띠며
연약하다. 잎은 대생하고 엷은 질이며 2회 우상으로 세열하고 소엽은
넓은 난형으로 깊이 갈라지며 다시 약간 결각이 있다.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많은 꽃이 달린다. 포는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종종 결각이 있고 소화경은 5~12㎜이며 화통은
한쪽으로 거가 있고 과실은 삭과로 선형이며 약간 만곡하고 현저한 염주
모양으로 되고 종자는 흑색이며 원추상의 돌기가 밀포한다.
산괴불주머니는
산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작은잎은 다디 새깃꼴로 잘 게 갈라진다.
마지막 갈래조각은 좁은 타원형이다. 4~6월에 줄기 윗부분에 노란색
꽃이 촘촘히 모여 핀다. 꽃잎은 기다란 원통형으로 앞부분은 입술 모양이며
뒷부분은 기다란 꿀주머니로 되어 있다. 기다란 삭과열매는 씨가 들어
있는 부분이 볼록 튀어나와 염주 모양과 비슷하다.
염주괴불주머니는
바닷가 모래밭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40~60cm 높이로 자라며,
전체가 흰빛을 띤다. 줄기는 약간 굵고, 자르면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2~3회 3출엽으로 전체가 세모꼴이다. 작은 잎은
세모진 달갈형으로 결각이 있다. 4~5월에 노란색 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삭과열매는 고르지 않은 염주 모양으로 씨가 들어
있는 부분이 볼록 튀어나오며 7월에 익고, 씨는 검은색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괴불주머니, 산괴불주머니, 염주괴불주머니, 갯괴불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큰괴불주머니, 눈괴불주머니 등이 자라고 있다.
'괴불주머니'란 뜻의
유래는 <어린아이가 주머니 끈 끝에 차는 세모 모양의 조그만 노리개>란 뜻을 가진 말에서
유래하였다
괴불주머니의
여러 가지 이름은 황근[黃菫=huáng
jǐn=후앙↗진V,
황화어등초:黃花魚燈草,
분통초:糞桶草:
절강천목산약식지(浙江天目山藥植誌)], 단장초[斷腸草: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석련[石蓮:
하남중초약수책(河南中草藥手冊)], 황근[黃菫,
하북황근:河北黃菫, 국화황련:菊花黃連, 소화황근:小花黃菫: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미야마키케만[ミヤマキケマン=深山黄華鬘: 일문명(日文名)], 뿔꽃,
산뿔꽃,
큰뿔꽃,
누운뿔꽃,
큰괴불주머니,
누운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
산괴불주머니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중약대사전>:
"전초에는 프로토핀과
dl-테트라히드로팔마틴이 함유되어 있다."
[성미]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2, <절강천목산약식지>: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3, <절강민간상용초약>:
"맛은 약간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살충,
해독, 해열, 이뇨의 효능이 있다. 개선(疥癬), 창독(瘡毒), 종통(腫痛),
목적(目赤), 유화(流火: 족부:足部의 단독:丹毒), 서열사리(暑熱瀉痢),
폐병 해혈(咳血), 경풍을 치료한다."
2, <절강천목산약식지>:
"해독, 기생충을 구제한다.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3,
<절강민간상용초약>: "해열, 해서(解暑), 이뇨, 지사한다."
4,
<강서, 초약수책>: "창독(瘡毒)과 개선(疥癬)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2돈(신선한 것은 약 0.5~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짓찧어 즙을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도포하거나
뿌리에 술과 식초를 가하여 갈은 즙으로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강서,
초약수책>: "일반적으로 내복약으로는 쓰지 않는다."
자주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에 대해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182~183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 (Thunb.) Persoon] [양귀비과]
두해살이풀. 꽃은 홍자색
또는 백색으로 5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고 밑으로 처지며,
흑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분포/
제주도, 전라도 및 함북의 산기슭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 또는 뿌리를 자화어등초(紫花魚燈草)라
하며, 살충, 해독의 효능이 있고, 개선, 선창, 탈항증을 치료한다. 외용으로만
사용하는데,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성분/
전초에 protopine, sanguinarine, coptisine, corysamine, corynoloxine,
corynoline, isocorynoline, pallidine 등의 알칼로이드(alkaloid)가
함유되어 있고, pallidine은 저농도에서 그람양성 및 음성균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는데, 그 작용은 술파제보다 강하다.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Thunb.) Persoon] [양귀비과]
두해살이풀. 높이
30~50cm. 꽃은 황색으로 4~5월에 핀다. 열매는 삭과로 바늘 모양이고,
약간 구부러지며 염주 모양이다.
분포/
제주도, 지리산, 전라도, 강원, 경기 및 함남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약효/
뿌리를 봄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국화황련(菊花黃連)이라
하며, 청열, 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개선, 선창, 종독, 풍화안통(風火眼痛)을
치료한다.
성분/ 전초
또는 뿌리에 pallidine, kikemanine, protopine, capaurimine, capaurine,
sinoacutine, corydaline, isoboldine, tetrahydropalmatine, cryptopine
등의 알칼로이드(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사용법/
외용으로만 사용하며, 환부에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내어 바른다.
참고/
산괴불주머니에 비하여 종자 앞면에 원추상의
돌기가 많다.]
큰괴불주머니,
누운괴불주머니, 괴불주머니, 산괴불주머니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337~338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큰뿔꽃(Corydalis
gigantea Trautv. et Meyer)
다른
이름: 큰괴불주머니
식물:
높이 약 1.5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1~2번 깃겹잎이고 쪽잎은
버들잎 모양이다. 이른 여름에 보라색 꽃이 줄기 끝에 모여 핀다.
북부(부전고원,
낭림산)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에 알칼로이드가 있다. 뿌리에는 모르핀계
알칼로이드가 2.35%, 뿌리줄기에는 프로토핀계 알칼로이드가 있다는
자료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전초의 총알칼로이드 함량은 1.03%이고,
프로토핀 함량은 0.03%이다.
작용:
전초에서 얻어낸 총알칼로이드는 동물 실험에서
아픔멎이작용이 있다.
응용:
식물은 자원도 많고 재배도 잘 되므로 앞으로 쓸모를 밝힐 필요가 있다.
누운뿔꽃(Corydalis
ochotensis Turcz.)
다른
이름: 누운괴불주머니
식물:
높이 50~7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약간 누워 자란다. 잎은
1번에 3갈래씩 갈라진 겹잎이고 쪽잎은 타원형이다. 이른 여름철에 노란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핀다.
각지의 산기슭, 개울가, 습한 곳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에
아우로테신, 크립토카빈, 오코테시민, 오코텐신, 프로토핀 등이 있다. 전초에
들어 있는 총알칼로이드는 0.31%, 프로토핀은 0.09%, 산구이나린은 0.01%,
켈레리트린은 0.03%이다.
응용:
민간에서 전초를 아픔멎이약으로 쓴다.
요즘은
프로토핀과 산구이리트린을 만드는 원료로 쓴다.
뿔꽃(Corydalis
pallida Persoon.)
다른
이름: 괴불주머니
식물:
높이 15~50cm 되는 두해살이풀이다. 잎은 1~2번 깃겹잎이고 쪽잎은 달걀
모양인데 깃처럼 갈라졌다. 봄철에 노란 꽃이 가지 끝에 이삭 모양으로
모여 핀다.
각지 특히 중부와 남부의 산지대에서 자란다.
성분:
프로토핀, 카파우리딘, 카파우린, 카파우리민,
d-dl-테트라히드로팔미틴, 코리달린 등이 있다.
총알칼로이드는
0.34%, 프로토핀은 0.13% 들어 있으며 산구이나린, 켈레리트린이 확인되었다.
작용:
전초를 아픔멎이약으로, 프로토핀과 산구이리트린을 만드는 원료로 쓴다.
산뿔꽃[Corydalis
speciosa Maxim.(C. pallida var. speciosa C. maximowiczians)]
다른
이름: 산괴불주머니
식물:
높이 약 50cm 되는 두해살이풀이다. 잎은 2~3번 깃겹잎이다. 쪽잎은
다시 깃처럼 갈라졌고 흰가루를 뿌린 듯하다. 봄과 이른여름철에 노란
꽃이 핀다.
각지 산지대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에 알칼로이드와 사포닌이 있다. 알칼로이드는
이소퀴놀린 계통인 코리달린, 카파우리딘, 카파우리민, 스코울레린,
d-, dl-테트라히드로팔미틴, 카파우린, 프로토핀 등이 있다.
작용:
전초에서 갈라낸 알칼로이드는 모르모트의 자궁평활근을 긴장시키고
심장의 활동을 세게 한다. 그리고 중추신경 계통을 자극한다. 독성은
적다.
응용: 민간에서
전초를 아픔멎이약으로 쓴다.
씨로 잘 재배되며 한 해에도 크게 자라기
때문에 불보카프닌 비슷한 의약품을 만드는 원료로서 전망이 있다.]
괴불주머니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1141, 1643, 3129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국화황련(菊花黃連)
기원: 현호색과(玄胡索科: Fumariaceae)식물인 황근(黃菫=괴불주머니: Corydalis pallida (Thunb.) Pers.)의 뿌리이다.
형태: 초본(草本)으로 털은 없다. 직근(直根)을 가지며 줄기의 높이는 18-60m이다. 잎은 난형(卵形)으로 뒷면에는 흰가루가 있으며 길이는 20cm에 이르고, 2-3회(回) 우상(羽狀)으로 전열(全裂)하며 열편(裂片)은 난형(卵形) 혹은 능형(菱形)으로 천열(淺裂)하며 소열편(小裂片)은 난형(卵形) 혹은 협난형(狹卵形)이다. 총상화서(總狀花序)는 길이가 25cm이고 포편(苞片)은 협난형(狹卵形) 내지는 선형(線形)이며, 꽃받침잎은 작고, 꽃잎은 담황색(淡黃色)이며 거원통형(距圓筒形)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구슬을 꿴 것같은 모양이고, 종자(種子)는 흑색(黑色)으로 편구형(扁球形)이고 작은 돌기가 빽빽히 나있다.

분포: 구릉지대나 산지의 숲 속 혹은 도랑가의 습한 곳에 자란다. 중국의 절강(浙江)과 강소(江蘇)에 분포(分佈)한다.
채취 및 제법: 봄에 캐내어 씻은 뒤에 햇볕에 말린다.
성분:
pallidine, kikemanine 등 다종의 alkaloid를 함유한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消腫).
주치: 옹창(癰瘡), 열절(熱癤), 무명종독(無名腫毒), 풍화안통(風火眼痛).
용량: 적량(適量)을 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132면; 회편(滙編),
하권, 738면.
하북황근(河北黃菫)
기원: 현호색과(玄胡索科: Fumariaceae) 식물(植物)인 하북황근(河北黃菫: Corydalis pallida (Thunb) Pers. var. ~chanetii^ (Levl.) S.Y.He)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이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25∼60cm이며 회녹색(灰綠色)이고 주근(主根)을 가진다. 엽편(葉片)은 난형(卵形) 혹은 협난형(狹卵形)이고 2∼3회 우상전열(羽狀全裂)이며, 일회열편(一回裂片)은 5∼7개이고, 2∼3회 열편(裂片)은 난형(卵形) 혹은 협난형(狹卵形)이며 엽저는 보통 천열(淺裂)이 있고 양면에 털이 없다. 화서(花序)는 총상화서(總狀花序)이고 6∼15송이의 꽃을 가지며 황색(黃色)이고, 포편(苞片)은 피침형(披針形)이며, 꽃받침은 작고 광난형(廣卵形)이며 막질(膜質)이고 가장자리는 시열상(撕裂狀)이며, 거(距)를 포함한 위에 있는 꽃잎의 길이는 1.8∼2.1cm이고, 거(距)는 원통형(圓筒形)이며 아래로 약간 굽어 있고, 아래의 꽃잎은 기부(基部)에 소돌기가 없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선형(線形)이고 길이는 3∼4cm이다. 종자는 사이가 축소된 천구상(串球狀)이며 편구형(扁球形)이고 흑색(黑色)이며 유두상(乳頭狀)의 소돌기가 밀집하여 난다.

분포: 구릉 혹은 산비탈의 숲속, 개울가의 습지에 자란다. 중국의 요녕(遼寧), 하북(河北), 산동(山東), 산서(山西)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pallidine, protopine등.
기미: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消腫).
주치: 옹창열절(癰瘡熱癤), 무명종독(無名腫毒), 각막충혈(角膜充血).
용량: 5∼10g. 외용시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신화본초강요(新華本草綱要), 1권, 232면.
소화황근(小花黃菫)
기원: 앵속과(罌粟科=현호색과: Fumariacede)식물인 소화황근(小花黃菫: Corydalis racemosa (Thunb.) Pers.)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일년생 초본이며 높이는 15∼55cm이다. 잎은 삼각형(三角形)이고 길이는 4∼13cm이며 2∼3회(回) 우상(羽狀)으로 전열(全裂)하는데 1회(回) 열편(裂片)은 3∼4쌍이고, 2∼3회(回) 열편(裂片)은 넓은 난형(卵形)이며 얕게 갈라지거나 깊게 갈라지고, 말회(末回) 열편(裂片)은 좁은 난형(卵形)이다. 화서(花序)는 총상화서(總狀花序)이고, 포편(苞片)은 좁은 피침형(披針形) 또는 송곳모양이며, 꽃받침잎은 난형(卵形)이고, 꽃잎은 황색(黃色)이고 구란상(矩卵狀)이며 길이는 1∼2mm이다. 삭과(蒴果)는 선형(線形)이고 길이는 2∼3cm이며, 종자는 흑갈색(黑褐色)이고 편구형(扁球形)이며 작고 오목한 점(點)이 밀생한다.

분포: 도랑가 또는 음습한 돌무덤에서 자란다. 중국의 주강(珠江) 유역과 하류 각 지역, 북쪽으로 섬서(陝西), 하남(河南)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에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protopine, dltetrahydropalmatine.
기미: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이습(利濕).
주치: 개선(疥癬), 창독종통(瘡毒腫痛), 목적(目赤), 서열사리(暑熱瀉痢), 폐병해혈(肺病咳血), 소아경풍(小兒驚風).
용량: 3∼6g. 외용시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155면.]
◆
괴불주머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우피선(牛皮癬: 건선), 완선(頑癬) 괴불주머니의 뿌리에 술과
식초를 가하여 갈은 즙을 바른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2.
창독 종통(瘡毒 腫痛) 신선한 괴불주머니의 전초 5돈을 물로
달여 복용하고 동시에 신선한 잎을 짓찧은 즙을 환부에 바른다. [절강천목산약식지(浙江天目山藥植誌)]
3,
독사에 물린 상처 신선한 괴불주머니의 짓짛은 즙을 바른다.
[절강천목산약식지(浙江天目山藥植誌)]
4,
목적 종통(目赤 腫痛) 괴불주머니의 신선한 전초에 소량의 식염을
가하여 짓찧은 다음 감은 눈 위에 얹어 2시간 정도 누워 있는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5,
유화(流火) 괴불주머니의 전초 1냥에 황주(黃酒), 홍당(紅糖)을
가하고 물로 달여 3일간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6,
서열설사(暑熱泄瀉), 이질 괴불주머니의 신선한 전초 1냥을 달여
며칠간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7.
폐병 괴불주머니의 신선한 전초 1~2냥을 짓찧어 그즙을 복용한다.
달이면 효과가 없어진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8,
소아 경풍(驚風)에 의한 경련, 인사 불성 신선한 괴불주머니
1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천목산약식지(浙江天目山藥植誌)]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 괴불주머니 사진 감상: 괴불주머니1, 2,
산괴불주머니3,
4,
5,
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 괴불주머니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 홈주소: http://jdm0777.com
※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 이메일: jdm0777@naver.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