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발톱(천규) 무엇인가?

잎이 개구리의 물갈퀴를 닮은 개구리발톱

 

 

 

 

 

 

 

 

 

 

 

 

 

 

[개구리발톱의 잎, 잎뒷면, 꽃, 열매, 덜익은종자, 익은열매,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혈압강하작용, 청열해독, 소종이뇨, 산결. 나력, 제산의 초기로 한열 및 동통이 있으며 음낭 종양이 될 우려가 있는 경우, 각종암(비인암, 식도암, 방광암, 폐암, 유암, 갑상선종양, 설근암, 두부종양, 이하선암, 타액선암, 사선암, 악성임파류 등), 축음증(발기부전), 화농성 종양, 역서, 폐결핵, 허로 해수, 담을 화하는 데, 위열기통, 모저풍, 양간풍, 어린이 천식, 어린이 경기, 외치질, 골절, 안구 혼탁, 소아 상기도 감염(임상보고), 부스럼(임상보고), 유선염, 유통홍종, 유방암이 돌과 같이 굳어졌을 때, 구자양, 이수, 독풀이약, 아픔멎이약, 기침약, 독창창독의 치료와 홍중을 제거하는 처방, 소아 경풍, 소변불리, 림프선염, 피부건조, 독사나 벌레 등에 물렸을 때, 자궁염, 임질, 가려움증, 요로결석, 간질를 다스리는 개구리발톱

개구리발톱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이다. 개구리망, 천규자라고도 한다. 산기슭에서 자란다. 높이 20∼30cm이다. 덩이줄기는 통통하고 검으며 모양은 일정하지 않다. 줄기는 곧게 서며 뿌리에 달린 잎은 윗부분이 녹색이고 뒷면은 흰색을 띠며 긴 잎자루가 있고 3장의 작은잎이 나온다. 작은잎은 잎자루가 짧고 3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4∼5월에 흰색 바탕에 약간 붉은색 꽃이 가지 끝에 1개씩 붙어 핀다. 꽃받침잎은 5개인데 종 모양이며 길이 5∼6mm이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2.5∼3mm이며 밑부분에 통 모양의 짧은 꿀주머니가 있다. 수술은 9∼14개인데, 안쪽에 있는 것 중 몇 개는 헛수술이며 암술은 대부분 3∼5개이다. 열매는 골돌과로 길이 5∼6mm이며 3개가 별 모양으로 달려 6월에 익는다.

한방에서는 소변불리, 요로결석, 림프선염, 치질, 자궁염, 임질, 경기, 간질 등에 처방한다. 민간요법으로는 뱀이나 벌레 등에 물렸을 때 찧어서 상처에 붙인다. 우리나라의 경기, 강원, 충남, 전라, 경남, 제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개구리발톱의 여러 가지 이름은
천규[天葵=
tiān kuí=티엔쿠이: 전남본초(滇南本草)], 자배천규[紫背天葵: 뇌공포구론(雷公砲灸論)], 뇌환초[雷丸草: 외단본초(外丹本草)], 하무종[夏無踪: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소오두[小烏頭: 식물학대사전(植物學大辭典)], 노서시초[老鼠屎草: 강소식약지(江蘇植藥誌)], 한동전초[旱銅錢草: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히메우즈[ヒメウズ=姫烏頭: 일본명(日本名)], 좀매발톱[북한명], 개구리발톱, 개구리망, 섬개구리망, 섬향수풀, 섬향수꽃 등으로 부른다.

개구리발톱 덩이뿌리의 여러 가지 이름은
천규자[天葵子=
tiān kuí zǐ=티엔쿠이V: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자배천규자[紫背天葵子: 의종휘편(醫宗)], 천년노서시[千年老鼠屎: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금모자시[金耗子屎: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지정자:地丁子: 귀주민간약초(貴州民間藥草)], 천거자[天去子, 야오두자:野烏頭子, 계퇴:鷄腿, 산혈주:散血珠: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천규근[天葵根: 강서초약(江西草藥)] 등으로 부른다.  

개구리발톱 종자의 다른 이름은
천년모자시종자[千年耗子屎種子=
qiān nián hào zǐ shǐ zhǒng zi=치엔니엔하오VVV: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라고 부른다.

[채취]


<덩이뿌리>


5~6월에 덩이뿌리를 파서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덩이뿌리>


건조한 덩이뿌리는 대부분이 타원형, 방추형 또는 비꼬인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는 1~3cm이고 너비는 0.5~1cm이며 외면은 짙은 갈색으로 표면이 거칠고 불규칙적인 세로 홈 무늬와 가로의 선무늬가 있다. 덩이뿌리의 끝에는 보통 잎자루의 흔적이 있고 외측은 황갈색의 칼집 모양 비늘이 몇 겹으로 싸여 있으며 수염뿌리 또는 수염뿌리의 흔적이 있다. 질은 비교적 무르며 단면은 평탄하고 인피부는 대체로 백색이며 목질부는 황색이다. 냄새는 약하며 맛은 약간 달고 뒷맛이 떫다. 건조하고 크며 바깥이 검고 속이 희며 수염뿌리 및 불순물이 없는 것이 좋다.

주로 중국에서는 강소(江蘇), 호남(湖南), 호북(湖北)에서 나며 안휘(安徽), 광서(廣西), 귀주(貴州), 운남(雲南), 강서(江西), 절강(浙江) 등지에서도 난다. [중약대사전]

[성분]


<덩이뿌리>


뿌리에는 알칼로이드(alkaloid), lactone, coumarins, phenols 성분이 들어 있고, 아미노산(amino acids)이 함유되어 있다. [중약대사전]

[포제(
炮製)]

<덩이뿌리>


맑은 물로 깨끗이 씻고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중약대사전]

[성미]


<전초>


<상해상용중초약>: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덩이뿌리>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1, <전남본초>: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2, <본초구진>: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3, <절강민간초약>: "성질은 차고 맛은 시며 독이 있다."

<종자>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귀경(歸經)]

<덩이뿌리>


<사천중약지>: "비(脾), 소장(小腸), 방광(膀胱) 3경(三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전초>

부기를 가라앉히고 해독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나력(
瘰癧), 산기(疝氣),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상해상용중초약>: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이뇨한다. 나력, 종독, 뱀에 의한 교상, 요로 결석을 치료한다."

<덩이뿌리>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울결을 풀어주며 이뇨한다. 옹종, 나력, 정창(
疔瘡), 임갈(淋渴), 대하, 폐허(肺虛) 해수, 산기, 전간, 소아 경풍, 치질, 타박상을 치료한다.

1, <전남본초>: "여러 가지 부스럼을 풀어주고 화농성 종양을 치료하며 농을 배출하고 진통하며 나력을 치료한다. 결핵을 소산(消散)시킨다. 부인의 유즙이 비삽(秘澁)하고 젖이 나오지 않으며 적종(赤腫) 동통이 있는 급성 유선염을 치료한다. 유암이 돌 같이 굳어졌을 때에는 이것을 먹으면 흩어지거나 터진다."

2, <백초경>: "열을 내린다. 화농성 종양, 정창(
疔瘡), 나력, 타박상, 광견병, 산기, 치질, 노상(勞傷)을 치료한다."

3, <본초구원>: "내상담화(內傷痰火)를 다스린다. 나력 악창을 제거한다. 술에 담가 쓰면 좋다."

4, <귀주민간방약집>: "소염하고 눈을 밝게 한다. 또는 안구의 혼탁을 제거한다. 또한 풍(風)과 한(寒)을 제거하며 어린이의 경기 및 모저풍(
母猪瘋)을 치료한다."

5, <귀양민간약초>: "열을 내리고 해독한다. 전간(癲癎),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6, <사천중약지>: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임질을 통하게 하며 해독한다. 요산 결석, 소변 임력부청(淋瀝不淸)을 치료한다."

7, <귀주초약>: "경계(驚悸)를 진정시키고 진통하며 천식을 멎게 하고 해독한다."

8, <섬서중초약>: "뱀과 벌레에 물린 상처, 타박상, 요로 결석, 피부 건조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전초>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붙인다.

<덩이뿌리>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가루를 내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받아 눈에 떨어뜨려 넣는다.

<종자>


내복: 3~5돈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덩이뿌리>


<사천중약지>: "비허(脾虛)로 인한 수양성 변(便)이며 소변이 많고 양이 많은 사람은 쓰지 못한다."

개구리발톱의 효능에 관하여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142면 15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개구리발톱(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15~30cm. 꽃은 백색바탕에 약간 붉은빛이 돌고 4~5월에 핀다. 꽃받침잎은 5개로 꽃잎 같으며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5개이다. 열매는 골돌(
蓇葖)로 바늘모양이다.

분포/
제주, 전남(장성), 남쪽 섬(완도, 진도) 및 무등산, 내장산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천규(天葵)하 하며, 소종, 해독, 이수의 효능이 있고, 나력, 산기(疝氣), 종독, 소변불리, 독사교상, 요로결석을 치료한다. 땅 속의 덩이줄기를 천규자(天葵子)라 하며, 해열, 해독, 산결, 소종, 이뇨의 효능이 있고, 옹종, 나력, 종창, 임탁, 대하, 폐허해수, 산기, 치창, 요로결석을 치료한다.

성분/
뿌리에는 알칼로이드류, coumarin류 및 phenol류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veratrine은 혈압 강
작용이 있다.

사용법/
전초 20g에 물 800mL, 덩이줄기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개구리발톱의 효능과 관련하여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288-289면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좀매발톱(Semiaquilegia adoxoides Mak.)

다른 이름:
개구리발톱

식물:
높이 60~100cm 되는 사철 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3개로 갈라진 겹잎이고 뒷면이 가지색이다. 봄철에 가지 끝에 붉은 흰색 꽃이 핀다.

남부의 낮은 산기슭에서 자란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뿌리를 천규근(바꽃속 식물과 비슷한데 작다고 하여 '소오두'라고도 한다)이라 하여, 이수, 독풀이약으로 피부가 마르고 오줌을 누지 못할 때, 임질, 나력에 쓴다. 씨는 아픔멎이약, 기침약으로 쓴다.]

개구리발톱 덩이뿌리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5권 50면 209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천규자(天葵子)

기원: 모간과(毛茛科=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식물인 천규(天葵=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의 괴근(塊根)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5-40cm 이다. 줄기는 총생(叢生)하고 직립하며 분지가 있고 표면에는 백색(白色)의 가는 유모(柔毛)가 있다. 근생엽(根生葉)은 총생(叢生)하며 긴 잎자루가 있는데 1회(回) 3출복엽(出複葉)이고, 소엽(小葉)은 셋으로 갈라지며 잎의 뒷면은 자색(紫色)이고, 경생엽(莖生葉)은 근생엽(根生葉)과 비슷하다. 꽃은 엽액(葉腋)에서 단생(單生)하며, 꽃자루의 중부에 가는 포편(苞片)이 2개 있고, 꽃은 작고 백색(白色)이며, 꽃받침잎은 5장이고 꽃잎모양이며, 꽃잎은 5장으로 꽃받침잎에 비해 약간 짧고, 수술은 항상 10개이고, 암술은 3-4개이며 자방은 좁고 길다. 열매는 골돌로 3-4개이고 꼬투리모양이고 익은 후에 벌어진다.














[개구리발톱의 전초와 열매,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일본구글/대만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숲속, 풀숲 등 음습한 곳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화동(華東), 서남(西南)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섬, 정읍 및 장성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 5-6월에 괴근(塊根)을 캐내어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근(根)- alkaloid, 내지(內脂).

기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이뇨(消腫利尿), 산결(散結).

주치: 옹종(癰腫), 나력(瘰癧), 정창(疔瘡), 임탁(淋濁), 폐허해수(肺虛咳嗽), 산기(疝氣), 전간(癲癎).

용량: 3-10g. 외용시(外用時)에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0662면.]

개구리발톱의 항암작용과 관련하여 상민의 중의사가 펴낸
<항암본초> 100-102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천규(天葵, 개구리발톱)

<전남본초(滇南本草)>: "성질은 차고 맛은 쓰고 맵다. 돌처럼 굳은 유암(乳癌)을 다스린다."

이 약은 미나리아재비과의 개구리발톱으로서 덩이뿌리와 전초를 약용한다. 중국의 양자강(楊子江) 중하류역(中下流域)의 각 성(省)에 분포하고 있다-역자. 덩이뿌리의 주성분은 알칼로이드이다. 덩이뿌리를 천규자(天葵子)라고 부른다.

[역자 주해]


개구리발톱(Semiaquilegia adoxoides)은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중국, 한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의 남쪽 섬과 정읍, 장성 등지에서 자생한다. 높이 10~32cm이다(그림 42).

[항암 약리]


본품은 좀흰생쥐 육류(肉瘤)-180의 억제작용이 있다.

[시용방제]


1, <전국중초약신의료법전람자료선편(全國中草藥新醫療法展覽資料選編)>: "
비인암(鼻咽癌), 식도암(食道癌): 천규자(
天葵子: 개구리발톱 덩이뿌리) 0.5kg을 5kg의 곡주(穀酒)로 7일간 우려내어 50ml씩 하루 3차례 먹는다."

2, <실용항암수책(實用抗癌手冊)>: "
방광암: 천규(
天葵), 소석위(小石葦)-주(註1), 각 15g, 과로황(過路黃)-주(註2), 토복령(土茯)-14, 각 30g을 매일 1첩씩 달여 마신다."

3, <실용항암수책(實用抗癌手冊)>: "
폐암: 천규(
天葵), 석두란(石豆蘭)-주(註3), 각 15g, 야교맥근(野麥根), 포석련(抱石蓮)-주(註4), 각 30g. 하루 1첩씩 달여 복용한다."

4,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
유암: 천규(
天葵) 4.5g, 패모(貝母) 9g, 하모려(煆牡蠣) 12g, 감초(甘草) 3g. 하루 1첩씩 달여 복용한다."

5, <종류적진단여방치(腫瘤的診斷與防治)>: "
악성임파류: 천규(
天葵), 황약자(黃藥子), 홍목향(紅木香)-주(註5), 중루(重樓)-(16-1) 각 15g, 사육곡(蛇六谷)-(198), 30g(2시간 먼저 끓인다). 하루 1첩씩 달여 복용한다."

[역대 평의]


1, <본초강목(本草綱目)>: "여러가지 돌과 오림(五淋)을 내린다. 호사독(虎蛇毒)을 풀고 여러 가지 창증(瘡症)에는 천규(
天葵)의 즙(汁)을 마시며 창처(瘡處)에 바르면 해독하고 지통한다."

2, <본초구원(本草求원)>: "내상담화(內傷痰火)를 주치하고 나력, 악창을 삭이는데 술로 우려내는 것이 좋다."

[편자 주해]


<고금의감(古今醫鑑)>에 천규환(天葵丸)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나력을 주치(主治)하는 것으로서
갑상선종양이나 임파류에 시용(試用) 할 수 있다.

방제는 천규(
天葵) 45g, 해조(海藻), 해대(海帶), 곤포(昆布), 패모(貝母), 길경(桔梗) 각 30g, 해표소(海螵蛸) 15g.

가루로 만들어 술로 풀을 쑤어 벽오동나무 종자 만큼씩 알약을 만든다. 70알씩 식후에 따뜻한 술로서 먹는다.

[역자 주해]


1
, 소석위(小石葦: Pyrrosia assimilis.)는 양자강(楊子江) 이남(以南)에서 난다.

2
, 과로황(過路黃: Lysimachia christiana.), 앵초과의 다년초. 양자강유역(楊子江流域), 산서(山西), 섬서(陝西), 운남(雲南) 등지에서 자란다.

3
, 석두란(石豆蘭: Bulbophyllum radiatum.), 섬서(陝西), 절강(浙江), 복건(福建), 사천(四川) 등지에서 자란다.

동속식물로서 한국의 남쪽섬과 제주도 바위 곁이나 수간(樹幹)에 붙어서 자라는 난초과 상록다년초로서 <콩짜개란>과 <흑란초>가 있는데 효능이 석두란(石豆蘭)과 대동소이하리라고 짐작된다.

4
, 석련(抱石蓮: Lepidogrammitis), 고란초과(양치식물)의 다년초이다. 양자강유역(楊子江流域), 화남(華南) 각지에 분포하고 있다.

5
, 홍목향(紅木香)은 장경남오미자(長梗南五味子: Kadsura longipedunculata)의 뿌리 또는 뿌리 껍질이다. 한국 남쪽 섬에는 동속식물로서 남오미자가 있다.]

지치와 개구리발톱을 함께 응용한 항암작용에 대해 중국 상민의의 <항암본초> 417~418면서는 아래와 같이 알려주고 있다.

[자초근(紫草根: 지치 뿌리)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으며 양혈(
涼血)에 쓰는 성약(聖藥)이다. [명(明), 무희옹(繆希雍)]

이 약은 지치과 식물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 et Z.)의 뿌리이다. 뿌리에는 아세티시코닌(Acetylshikonin), 시코닌(Shikonin), 알칼난(Alkannan), 이소부티릴시코닌(Isobutyryl shikonin) 등이 들어 있다(그림 183).

[항암 약리]


1, 자초(紫草)의 에타놀 추출물과 자초 수전액(水煎液)의 좀흰생쥐 육류(肉瘤)-180 억제율은 30%이다.

2, 본품(本品)은
융모막상피암(絨毛膜上皮癌)과 백혈병세포(白血病細胞)를 억제하는 작용도 있다.

3, 자초제제(紫草製劑)는 좀흰생쥐
자발성유암(自發性乳癌)의 발병율(發病率)을 저하시킨다.

[시용 방제]


1,
자궁융모막상피암(子宮絨毛膜上皮癌), 자궁암(子宮癌): 지치 뿌리 분말 60g에 증류수 500ml를 붓고 30분 동안 정치한 후 끓여 여과한 액을 하루에 25ml씩 4차례 먹는다. [무한중초약전람회편(武漢中草藥展覽匯編)]

"
자궁융모막상피암, 자궁암: 자초근 분말 60g을 물 500ml에 30분 침출하여 걸러서 하루에 100ml씩 4회 나누어서 복용한다." [산동중의험방집금(山東中醫驗方集錦)], [한국항암본초 475면]

2,
설근암, 우측이하선류: 지치, 천규(天葵: 개구리발톱)를 주로 하고 다른 것을 증상에 맞추어 배합한다. [호남중의연구소(湖南中醫硏究所)]

3,
편도선암, 비인암, 갑상선암, 위암, 인상상피암, 악성포도태, 자궁융모막상피암: 지치뿌리 30g, 매일 달여서 10일 반복하여 복용하는 것을 1차의 치료기간(Kur)으로 하며 대체로 4회의 치료기간을 경과하면 효험이 나타난다. [중국복주지구의원(中國福州地區醫院)], [한국항암본초 475면]

4,
식도암: 지치뿌리, 반지련(半枝蓮),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각 30g, 산약 15g, 계내금(鷄內金) 9g, 사삼(沙蔘) 9g, 복령(茯笭) 56g, 백모근(白茅根) 30g, 선복화(旋覆花), 당삼(黨參), 반하(半夏), 진피(陳皮), 목향(木香), 곡아(穀芽), 맥아(麥芽), 하고초(夏枯草) 각 30g, 정향(丁香) 3g, 대조(大棗), 일매를 달여서 복용한다. [무한중초약전람회편(武漢中草藥展覽匯編)], [한국항암본초 475면]

5,
방사성궤양(放射性潰瘍: 방사요법에 의해 발생한): 지치, 당귀(當歸), 백납(白蠟) 각 60g, 백지(白芷) 15g, 경분(輕粉), 혈갈(血竭) 각 12g, 감초 36g을 분말로 만들어서 지마유(芝麻油: 참기름) 500g으로 개어 바른다. [흑룡강중의약(黑龍江中醫藥), (4), 1984], [한국항암본초 475면]

[역대 평의]


1, <약성본초(
藥性本草)>: "악창(惡瘡), 과선(癬) 등을 다스린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반진(斑疹), 두창(痘瘡)을 다스리며 활혈(活血)하고 양혈(
涼血)하며 대장(大腸)을 통리(通利)한다."
3, <직지방(
直指方)>: "두독(痘毒)을 소해(消解)하는 데는 자초(紫草) 3g, 진피(陳皮) 1.5g, 총백(白) 3개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4, <삼십육황방(三十六黃方)>: "신열(身熱)이 높고 몸이 누러지면서 오후에는 서늘해지면서 몸에 붉은점 또는 검은점이 나타나는 증상은 불치지증(不治之症)이다. 수족심(手足心), 배심(背心), 백회(百會), 하렴(下廉) 내(內)에 뜸을 뜨고 자초(紫草), 오람(吳藍), 목향(木香), 황련(黃連) 각 3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편자 주해]


<<
자초와 천규(天葵: 개구리발톱)를 함께 쓰면 두부종양(頭部腫瘍)에 효과가 좋다. 호남중의연구소(湖南中醫硏究所)에서 자초와 천규를 주요한 처방으로 3례의 두부환자[頭部患者: 설근암(舌根癌), 타액선암(唾液腺癌), 사선암]를 치료하였는데 모두 만족한 효과를 얻었다.>>

복주지구의원(福州地區醫院)에서 자초로
비인암(鼻咽癌), 갑상선암(甲狀腺癌), 위암(胃癌), 전이성인상상피암(轉移性鱗狀上皮癌) 등 9례의 환자를 치료한 바 모두 일정한 효과를 보았다. 악성포도태(惡性葡萄胎)와 자궁융모막상피암(子宮絨毛膜上皮癌: 폐:肺에 전이된 것)이 발병한 환자가 지치 뿌리를 하루에 30g씩 달여 먹었더니 40일 뒤에 임상 증상이 호전되었고 X선 광선으로 검사하니 확산된 병세도 대부분 사라졌다는 보고도 있다.]

중국의 호남성에서는 지치뿌리와 개구리발톱을 섞어서 설근암, 이하선암, 구개타액선혼합종(口蓋
液腺混合腫) 각 1례를 치료한 경우도 또한 일정한 치료효과가 얻어졌다고 하는데, 지치 뿌리로 만드는 제제법과 용량 및 용법과 각종암을 치료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중국에서 펴낸 <임상항암중초약(臨床抗癌中草藥)> 137-139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자초근제제(紫草根製劑: 지치뿌리로 만든 제제)

[자초(紫草)]

지치과 자초속식물 자초(紫草: Lithospermum crythorrhizon Sieb et Zucc)의 뿌리이다. 별명으로는 경자초(硬紫草)가 있다.

[주요성분]


shikonin C16 H116 O5, acetylshikonin C18 H18 O6, lithospermin, isobutyrilshikonin C20 H26 O6, dimethylacryloylshikonin, hydroxyisovaleryl shikonin, teracrylshikon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용제제(常用製劑)]


(1) 자초근(紫草根) 시럽:
100ml 가운데의 함유약량은 자초근생약 16g의 성분에 해당한다.

[제조법]


지치뿌리 160g을 취하여, 세정(洗淨)해서 약면(藥面)을 초과할 정도의 증류수를 가하여, 매회 1시간씩 3회 가열추출하여, 여과(
濾過)해서 여과한 액을 합하여 농축한다. 자당(蔗糖: 사탕수수 즙을 끓여 만든 설탕) 100g을 첨가하여 자비용해(煮沸溶解: 펄펄끓여 우려내는 것)하여, 가제로 여과하여, 증류수를 보충하여 1,000ml로 하면 얻어진다.

(2) 자초근분(
紫草根粉: 지치뿌리분말):

[제조법]


지치뿌리 100g을 취하여, 잘 게 썰어서, 약한 불로 거의 타기 직전까지 볶아서, 분쇄(粉碎)하여, 100메슈의 체를 통과시켜, 용기내에 넣어, 섭씨 115도로 30분간 가압가열멸균(加壓加熱滅菌)시켜, 차게 식힌 후, 용뇌(龍腦)의 고운 분말 2g을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하면 얻어진다.

(3) 자초근단(紫草根單), 복방전제(複方煎劑).


[약리작용(藥理作用)]


소열양혈(消熱凉血), 해독투진(解毒透疹)의 작용이 있다. 동물실험결과, 마우스(mouse)의 S-180 및 융모상피암(絨毛上皮癌)에 대한 억제작용이 증명되어, 그 억제율은 약 30% 였다. 또 Epidermophyton floceosum Microsporum canis 등의 피부진균도 억제한다. 달임액에는 완화(緩和)한 해열작용이 있고, 집토끼의 체외분리 또는 체내심장에 대해 분명한 흥분작용을 미친다. 또 분명한 하수체성선자극(下垂體性腺刺戟) 호르몬 작용 및 항융모막성선자극(抗絨毛膜性腺刺戟) 호르몬 작용이 있다.  

[임상응용(臨床應用)]


주로
융모상피암, 폐암, 갑상선암, 편도암, 비인두암, 위암, 간암백혈병에 사용된다. 복주지구(福州地區)의 의료기관에서 일찍이 편도암 2례, 비인두암 1례, 위암 4례, 전위성편평상피암 1례에 사용하여 꽤 좋은 치료효과가 얻어졌다.

<<
호남성(湖南省)에서 본제제를 기타 중초약(中草藥)과 병용(倂用)하여 설근암, 이하선암, 구개타액선혼합종(口蓋
液腺混合腫) 각 1례를 치료한 경우도 또한 일정한 치료효과가 얻어졌다.>> 이밖에 마진(麻疹), 반점상구진(斑點狀丘疹), 간염(肝炎), 변비(便泌)에 쓸 수가 있고, 화상(火傷), 동상(凍傷), 궤양(潰瘍), 옹종(癰腫), 습진(濕疹) 및 장미색 비당진(粃糖疹) 등의 질환에 외용할 수도 있다.

[용법용량(用法用量)]


① 자초근(紫草根) 시럽:
내복, 1회 10ml, 1일 3회 복용한다.

자초근분(紫草根粉: 지치뿌리분말): 외용, 먼저 종양국부(腫瘍局部)를 잘 세정(洗淨)하여 청결케 한 다음, 창면(創面)에 분말제제를 철포(撤布)한다. 1일 1회 사용한다.

③ 자초근단(紫草根單), 복방전제(複方煎劑):
내복 또는 외용한다. 용량은 처방에 따라 정한다.

[부반응(副反應)]


일반적으로 분명한 독성부반응은 없다. 단, 환자에 따라서는 복용한 후 오심, 구토, 하리위부불쾌감이 나타나는데, 그러한 때에는 일시적으로 복약을 중지해야 한다.

[참고문헌(參考文獻)]


1) 신의약자료(新醫藥資料) (4~5):1,1972.

2) 강서(江西) 류병환(劉炳
) 등(等):호남의약잡지(湖南醫藥雜誌) (5):19,1977.]

개구리발톱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초>


1, 나력(
瘰癧)
자배천규(紫背天葵: 개구리발톱) 1냥 5돈, 해조(海藻), 해대(海帶), 곤포(昆布), 패모(貝母), 길경(桔梗) 각각 1냥, 해표소(
海螵蛸) 5돈을 가루내고 술로 개어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지어 1회에 70알을 식후에 따뜻한 술로 복용한다. [고금의감(古今醫鑑), 천규환(天葵丸)]

2, 제산(諸疝)의 초기로 한열, 동통이 있으며 음낭 종양이 될 우려가 있는 경우

여지핵(
荔枝核) 14개, 소회향(小茴香) 2돈, 자배천규(紫背天葵: 개구리발톱) 4냥을 백주(白酒) 2컵으로 쪄서 자주 복용한다. [경험집(經驗集)]

3, 독사에 물린 상처

천규(天葵: 개구리발톱)를 짓찧어 환부에 바르고 약이 마르면 다시 바꿔준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4, 축음증(縮陰症: 발기부전)
천규(天葵: 개구리발톱) 5냥을 계란과 함께 삶아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덩이뿌리>


5, 화농성 종양

신선한
천규근(天葵根) 적당량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강서초약(江西草藥)]

6, 역서(
癧癙)
자배천규자(紫背天葵子)를 1세 당 한알씩
즉어(鯽魚)와 함께 짓찧어 붙인다. [의종휘편(醫宗彙編)]

7, 나력(
瘰癧), 유방암
천규근(天葵根) 5푼, 상패모(象貝母) 2~3돈, 센 불에 구운 모려(
牡蠣) 3~4돈, 감초(甘草) 1돈과 함게 달여서 몇 차례 복용한다. [절강민간초약(浙江民間草藥)]

8, 뱀에 물린 상처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2돈을 짓찧어 붙인다. 1일 1회 바꾸어 붙인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9, 폐결핵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4냥을 큰 저두자(猪
子) 1개와 함께 푹 고아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10, 허로(虛勞) 해수, 담을 화(化)하는 처방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3냥을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11, 위열기통(胃熱氣痛)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2돈을 짓찧어 끓인 물로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12, 모저풍(
母猪瘋), 양간풍(羊癎), 전간(癲癎)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1냥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발작하기 전에 계속하여 3~5회 소주로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13, 어린이 천식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1냥을 소금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가루내어 1회에 5푼씩 생강을 끓인 물로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14, 어린이 경기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5푼을 가루내어 끓인물로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15, 외치

천년모시(千年耗屎) 적당량을 동유(桐油)와 섞어 갈아서 환부에 붙인다. 만약 누관(漏管)이 있을 때는 5돈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16, 골절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 상백피(桑白皮), 수동과수(水冬瓜樹)의 껍질, 옥비파(玉枇杷) 각 1냥을 짓찧어 정골(整骨)한 후 환부를 감싼다. 다시 본품 1냥을 술 1근에 담가 1회에 약주 5돈을 마신다. [귀주초약(貴州草藥)]

17, 안구 혼탁

천년모자시(千年耗子屎)의 뿌리 5개를 짓찧어 즙을 내어 인유(人乳)에 섞어 눈에 넣는다. [귀주민간초약(貴州民間草藥)]

18, 소아 상기도 감염
(임상보고)
100% 천규자(天葵子: 개구리발톱 덩이뿌리) 주사액 2~4ml를 1일 1~2회 근육 주사한다. 체온이 39.5℃ 이상일 때에는 다른 해열제를 적당히 가해야 한다.

96례를 치료하였는데 84례가 완전히 나았다. 5례는 호전되었으며 7례는 효과가 없었다. [중약대사전]

19, 부스럼
(임상보고)
천규자(天葵子: 개구리발톱 덩이뿌리) 적당량을 깨끗이 씻어 짓찧고 적당량의 꿀로 섞어 고제(膏劑)로 한다(사용할 때 조제하는 것이 좋다).

먼저 데운 식염수로 환부를 씻고 볶아서 말린 후 고제(膏劑)를 붙인다. 염증 부위보다 약간 넓게 붙이며 두께는 약 1~2cm로 한다. 1일 2~3회 붙이는데 심할 때에는 밤에도 붙인다.

일반적으로 2~3회면 국소의 동통은 격감되고 염증 범위가 좁아진다. 2~3일 후에 환자의 온몸의 증상이 뚜렷하게 경감되거나 없어진다. 치료한 5례의 옹종(癰腫)은 병소 범위가 지름이 약 4~8cm였으나 약을 14~34회 붙인 후 5~13일만에 치유되었다. [중약대사전]

<종자>


20, 유선염

천년모자시종자(千年耗子屎種子: 개구리발톱 씨) 7돈~1냥을 짓찧어서 끓인 양주(良酒: 좋은술)로 복용하거나 술과 물 절반씩에다 달여서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21, 유통홍종(乳痛紅腫)

천년모자시종자(千年耗子屎種子: 개구리발톱 씨) 5돈의 탕액을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22, 구자양(九子
)
천년모자시종자(千年耗子屎種子: 개구리발톱 씨) 적당량을 저미파(猪尾巴)와 함께 짓찧어서 바른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23, 독창창독(毒瘡瘡毒)의 치료와 홍종(紅腫)을 제거하는 처방
천년모자시종자(千年耗子屎種子: 개구리발톱 씨)를 짓찧어서 바른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24, 홍붕(紅崩), 백대하
천년모자시종자(千年耗子屎種子: 개구리발톱 씨) 5돈을 단술로 달여서 먹으면 백대하를 치료하고 붉은설탕에 달여서 먹으면 홍붕(紅崩)을 치료한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25, 소아 경풍
천년모자시종자(千年耗子屎種子: 개구리발톱 씨) 가루 5푼을 끓인 물로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中藥大辭典)]

<기타>


26, 설근암, 두부종양,
이하선암(우측이하선류), 타액선암(구개타액선혼합종), 사선암
"호남성(湖南省)에서 본제제를 기타 중초약(中草藥)과 병용(倂用)하여 설근암, 이하선암, 구개타액선혼합종(口蓋
液腺混合腫) 각 1례를 치료한 경우도 또한 일정한 치료효과가 얻어졌다." [임상항암중초약(臨床抗癌中草藥) 138면]

"설근암, 우측이하선류: 지치, 천규(天葵: 개구리발톱)를 주로 하고 다른 것을 증상에 맞추어 배합한다." [호남중의연구소(湖南中醫硏究所)]

"자초와 천규(天葵: 개구리발톱)를 함께 쓰면 두부종양(頭部腫瘍)에 효과가 좋다. 호남중의연구소(湖南中醫硏究所)에서 자초와 천규를 주요한 처방으로 3례의 두부환자[頭部患者: 설근암(舌根癌), 타액선암(唾液腺癌), 사선암]를 치료하였는데 모두 만족한 효과를 얻었다." [상민의 항암본초 418면]

복용 및 제조법: 이 글 위쪽으로 가서 <임상항암중초약(臨床抗癌中草藥)> 137-139면을 참조할 수 있다.

참조: 지치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이곳을 클릭: < 지치 무엇인가? >


[비고(備考)]


<전초>


<본초강목습유(
本草綱目拾遺)>: "빈호(瀕湖)는 토규(葵)의 석명(釋名)의 란(欄)에서 <본초도경(本草圖經)>을 인용하여 <토규(葵)는 즉 천규(天葵)이다>라고 되어 있으나 집해(集解)의 란(欄)에서는 <본초도경(本草圖經)>이라는 형상(形狀)을 기재하지 않았으며 정씨(鄭氏)의 <통지(通志)>만을 인용하였다. 생각컨데 이것은 자배천규(紫背天葵)일 것이다. 본품의 잎은 세 가닥으로 갈라졌으며 삼엽산초(三葉酸草) 정도의 크기이다. 뿌리가있고 뿌리 아래에 덩이뿌리가 있으며 오래된 것은 덩이뿌리가 사람의 손가락만하다. 흔히 <천년노서시(千年老鼠屎)>라고 붙이어 그 형상은 쥐의 똥처럼 검고 표면이 거칠다. 따라서 <외단본초(外丹本草)>에서 뇌공초(雷公草)라고 부르는 것은 뿌리 밑에 있는 덩이뿌리가 뇌환(雷丸) 같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규()의 류(類)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단지 규()라는 이름이 붙어 있을 뿐이다."

<덩이뿌리>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 "사천성(四川省)에서 초약(草藥) 채취를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은 천규(天葵)의 뿌리줄기를 채취하여 팔며 고기와 함께 삶은 즙을 먹어 담을 치료했다. 또한 짓찧어 붙여서 양자(
癢子: 가려움증)를 치료했다. 종자도 동통을 제거하는 약으로 쓴다.

최근에 안휘(安徽)의 저현(
滁縣)의 낭아산(琅玡山)에서 흔히 자배천규(紫背天葵)라고 하는 것이 채취되었는데 이것은 같은 종의 식물이었다. 그곳의 사람들은 뿌리줄기와 수퇘지의 전제(前蹄: 앞족발)를 고아 그 국물을 먹으면 폐로병(肺病)이 잘 치료된다고 한다. 짓찧어 붙이면 경부(頸部)의 나력(瘰癧)을 치료할 수도 있다."

[개구리발톱 재배 방법]


1, 기후와 토양:
어둡고 서늘한 곳에서 잘 자란다. 보통 낮은 산의 길가의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토양이 비옥하고 부드러우며 석회질이 많이 포함된 토양이 생육에 적합하다.

2, 번식:
중국의 사천(四川) 지역에서는 9~10월에 파종한다. 천규(天葵)의 어린 모는 가늘고 작으며 생장이 늦기 때문에 먼저 파종하며 육묘하였다가 1~2년 후에 옮겨 심어야 한다. 모판은 너비 1m 되는 높은 두둑으로 하고 땅은 보드랍게 하고 고르게 정지한 후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준다. 그리고 나서 모래를 섞은 종자를 두둑에 고루 뿌린 다음 초목회를 0.6cm의 두께로 덮고 나뭇가지로 약간 눌러주고 그 위에 풀을 덮어 놓는다. 옮겨 심기 전에 땅을 잘 정지하고 너비 1m 되는 높은 두둑을 만들어 충분히 썩혀 곱게 부순 퇴비를 밑거름으로 준다. 이랑 사이 거리 18~25cm, 깊이 6~10cm 되는 세로골을 내고 3cm 간격으로 한 포기씩 옮겨 심는다. 한 개의 골에 교차되게 두 줄로 옮겨 심으며 싹이 위로 향하게 한다. 옮겨 심은 후 흙을 덮고 사람과 가축의 분뇨와 섞은 초목회를 주고 흙을 얇게 덮어 두둑면과 같게 한다. 마지막에 풀을 덮어 놓는다.

3, 경작 관리:
묘(苗)가 나올 때에 덮은 풀을 거두고 세심하게 잡초를 제거하며 희석한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덧거름으로 1~2회 준다. 9~10월에 뿌리를 파서 옮겨 심는다. 옮겨 심어 묘(苗)가 나오면 덮은 풀을 거두고 희석한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덧거름으로 1회 준다. 이 후 김매기를 2~3회 한다. [중약대사전]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개구리발톱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jdm0777.com.ne.kr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ne.kr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