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꽃(태자삼) 무엇인가?

원기 보양 폐와 비장을 보하는 개별꽃

 

 

 

 

 

 

 

 

 

 

[개별꽃의 어린잎, 꽃,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어린이 신체허약, 권태, 불면증, 건망증, 폐결핵으로 인한 신체 쇠약, 수종, 담을 삭이는데, 갈증을 멎게 하는데, 진액 생성, 폐와 비장을 보하는데, 해수, 원기 보양, 거담, 심장이 두근거리는데, 소화불량, 신경쇠약, 설사, 병후 체력 쇠약, 구갈(목마름), 식욕부진, 동계, 발한, 정신의 피로를 다스리는 개별꽃

개별꽃은 석죽과 개별꽃속에 속하는 다년생 풀이다.

개별꽃의 학명은 <Pseudosrellaria heterophylla (Miq.) Pax.>이다. 개별꽃은 전세계에 약 1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좁은잎개별꽃, 참개별꽃, 덩굴개별꽃(덩굴들별꽃), 개별꽃(들별꽃), 긴개별꽃, 다화개별꽃, 지리개별꽃, 큰개별꽃(큰들별꽃), 숲개별꽃(가는잎들별꽃)이 자라고 있다. 모두 개별꽃 처럼 함께 약용할 수 있다.

주로 숲속 및 부식질이 풍부한 토양에 자라며 높이는 10~20센티미터이고 방추형의 뿌리는 1~2개씩 달리는데 줄기는 1~2개씩 나오고 흰털이 있다. 잎은 대생 즉 마주나고 피침형이며 길이 1~4센티미터이다. 위쪽 잎은 크고 십자형(十)이며 아래쪽 잎은 좁아져 잎자루 모양이 된다. 가장 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흰색이고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2~3센티미터 꽃받침은 5장이고 꽃잎도 5장이며 도란형에 길이는 6mm 가량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검붉은색이며 암술대는 3개이고 암술머리는 사람 머리 모양이고 땅 가까운 곳에는 폐쇄화가 몇 송이 달린다. 열매는 삭과이고 둥근 난형이며 3개로 갈라진다.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6~7월이다.  

개별꽃의 모든 종류를 봄철에 봄나물로 식용할 수 있다. 뿌리가 인삼의 어린 뿌리인 묘삼을 닮았는데 맛도 인삼 맛이 난다. 

※ 참조:
중국에서는 아래와 같은 2종류를 태자삼이라고 하여 함께 약용하고 있다.

1, 이엽가번루[異葉假繁縷=개별꽃: Pseudosrellaria heterophyll (Miq.) Pax ex Pax et Hoiffm.]

2, 가번루[假繁縷, 봉봉초:棒棒草:
Pseudostellaria maximowicziana (Franch. et Savat.) Pax et Hoiffm.]

개별꽃의 다른 이름은
태자삼[太子蔘=
tài zǐ shēn=타이V: 본초종신(本草從新)], 해아삼[孩兒蔘: 음편신참(飮片新參)], 동삼[童蔘: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이엽가번루[異葉假繁縷: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와다소우[わだそう=和田草: 일문명(日文名)], 들별꽃[북측명], 개별꽃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7월 하순에 채취한다. 흙을 깨끗이 씻고 끓는 물에 약 3~5분간 담갔다가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수염뿌리는 마르면 깨끗이 비벼 없애고 완전히 마를 때까지 햇볕에 말린다. 열탕에 담그지 말고 수염뿌리를 제거한 다음 직접 햇볕에 말려도 된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건조한 덩이뿌리는 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이거나 긴 방추형이며 길이는 2~6cm, 지름은 3~6mm이다. 표면은 황백색이고 반투명하며 가는 주를 무늬와 오목한 수염뿌리의 흔적이 있다. 뿌리의 윗부분은 무딘 원형이고 그 뒤에는 줄기 흔적이 남아 있으며 하단은 쥐꼬리처럼 가늘다. 질은 취약하여 쉽게 부러진다. 단면은 황백색이고 빛이 난다. 직접 햇볕에 말린 단면은 백색이고 가루 성질이다. 냄새는 약하고 맛은 약간 달다. 살지고 황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없는 것이 품질이 좋다.

중국의 강소(江蘇), 산동(山東)이 주산지이며 안휘(安徽) 등지에서도 생산된다.

동속 식물인 가번루[假繁縷, 봉봉초:棒棒草:
Pseudostellaria maximowicziana (Franch. et Savat.) Pax et Hoiffm.]의 뿌리는 소수의 지역에서 본품과 같이 쓰이고 있다."

[성분]


<중약대사전>: "
뿌리에는 과당, 전분, 사포닌이 들어 있다."

[성미]


1, <중약대사전>: "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2, <본초재신>: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3, <음편신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4, <중약지>: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귀경(歸經)]


<본초재신>: "심(心), 비(脾), 폐(肺)의 3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
폐(肺)를 튼튼하게 하고 비(脾)를 튼튼히 하는 효능이 있다. 폐결핵에 의한 해수, 원기 보양, 거담, 소화불량, 신경 쇠약, 설사, 병후 체력 쇠약, 구갈, 식욕부진, 비위(脾胃) 허약에 의한 식욕 부진, 동계, 발한, 정신의 피로를 치료한다."

2, <본초종신>: "원기를 보양한다."

3, <본초재신>: "폐결핵으로 인한 신체 쇠약을 치료하고 비토(脾土)를 보하며 수종을 제거하고 담(痰)을 삭이며 갈증을 멎게 한다."

4, <음편신참>: "비폐원기(脾肺元氣)를 보하고 땀을 멎게 하여 진액을 생성하고 허계(虛悸)를 진정시킨다."

5, <강소식약지>: "위약(胃弱)으로 인한 소화 불량, 신경 쇠약을 치료한다."

6, <중약지>: "폐허해수(肺虛咳嗽), 비위(脾
) 허약에 의한 설사를 치료한다."

7, <섬서중초약>: "기혈(氣血)을 보익하고 비(脾)를 튼튼히 하며 진액을 생성한다. 병후의 체력 쇠약, 폐허해수(肺虛咳嗽), 비허복사(
虛腹瀉), 소아 도한(盜汗), 구갈(口渴), 식욕 부진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2~4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
2014/06/25 來源:中國日報網>: "太子參的副作用: 太子參具有氣陰雙補的作用,用於治療少氣懶言、精神疲憊、稍有活動就汗出較多,面色較紅、夜間汗出較多,心煩、口乾咽燥等症狀。一般用量每天10-30g,大劑量用到60g即可。本品尚未見到明顯的副作用,但沒必要超過60g,避免浪費藥材."

개별꽃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태자삼(太子蔘)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개별꽃[Pseudosrellaria heterophylla (Miq.) Pax.], 다화개별꽃[Pseudosrellaria multiflora Y. Lee], 좁은잎개별꽃[Pseudosrellaria angustifolia Y. Lee]의 뿌리이다.

성미: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보기생진(補氣生津)

해설: ① 비(脾)가 허약하고 위양(胃陽)이 부족해서 늘 피곤하고 힘이 없으며, 입 안이 마르고 식욕이 감소되는 증상에 유효하다. ② 폐의 호흡 기능이 약화되는 해수, 단기(短氣), 적은 양의 가래를 배출하는 증상에 적용된다. ③ 약성은 평범하나 약간 서늘함에 편중되어 있어서 열병 후기의 기허(氣虛), 진액손상, 갈증, 맥박이 가늘고 약하며 혀가 붉은 증상 등에 쓴다.

성분: 전분, 과당,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임상보고: ① 소아의 폐렴이 오래도록 치유되지 않는 증상, ② 간염, 조기 간경화에 유효하였다.]

개별꽃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103면 103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개별꽃

[석죽과]

학명:
Pseudosrellaria heterophylla (Miq.) Pax.

여러해살이풀. 높이 10~18cm. 방추형의 뿌리가 1~2개씩 달린다. 꽃은 백색으로 5월에 피며, 꽃받침잎은 5개,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 모양이고 3개로 갈라진다. 종자에는 작은 돌기가 있다.

분포/
전국의 숲 속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에 분포한다.

약효/
방추형 뿌리를 태자삼(
太子參)이라고 하며, 보폐(補肺), 건비(健脾)의 효능이 있고, 폐결핵의 해수, 신체허약, 식욕부진, 하리, 동계발한(動悸發汗), 정신피로를 치료한다.

사용법/
뿌리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꽃대에 털이 없고, 꽃이 보통 1개이며, 뿌리 1~4개 모여 나고 약간 비후한 큰개별꽃[
Pseudosr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도 약효가 같다.]

개별꽃의 효능에 대해서 북측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들별꽃[
Pseudosr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t Hoffm.]

식물: 높이 10~2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버들잎 모양의 잎이 마주 붙고 줄기 끝에는 4개의 잎이 돌려 붙는다. 봄철에는 가지 끝에 흰 꽃이 피고 여름철에는 줄기 아래에 가지색 꽃이 핀다.

중부와 남부의 깊은 산 나무 아래의 누기진 땅에서 자란다.

뿌리(태자삼): 가을에 캐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녹말(35%), 사포닌, 과당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뿌리는 기를 보하고 위를 튼튼히 하며 열을 내리고 음을 영양하는 약으로 쓰고 있다. 그리하여 병후 허약한 사람과 어린이들의 기를 보하는 데 쓰며, 그 효과는 인삼과 비슷하나 약하다고 한다. 신체허약, 정신피로, 권태, 불면증, 건망증, 밥맛적기, 진액이 부족하여 입 안이 마르고 오줌이 많을 때에 6~15그램을 물에 달여 먹는다. 단너삼뿌리, 석곡, 맥문동뿌리, 감초뿌리와 같이 쓰기도 한다.  

옛 문헌(1760년대)에는 인삼포에서 솎아낸 작은 것(2~3년생)을 태자삼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들별꽃뿌리는 동약 태자삼의 대용품인 것 같다.
]


개별꽃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권 면 110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태자삼(太子參)

기원: 석죽과(石竹科: Caryophyllaceae)식물인 이엽가번루(異葉假繁縷=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et Hoffm.)의 괴근(塊根: 덩이뿌리)이다.

형태: 다년생(多年生) 초본(草本)으로 높이는 1520cm이다. 괴근(塊根)은 육질(肉質)로서 방추형(紡錘形)이며, 줄기는 하나씩 나고, 마디는 팽대되어 있다. 잎은 단엽(單葉)으로 마주나는데 줄기의 하부에 있는 잎은 작으며 도피침형(倒披針形)이고, 위로 갈수록 잎이 접차 커지며 4개의 잎이 밀접하며 윤생(輪生)하는 모양을 이루고, 위쪽에 있는 잎의 모양은 장난형(長卵形) 또는 난상(卵狀) 피침형(披針形)이다. 꽃에는 두가지 형태가 있는데, 지면에서 가까운 곳의 꽃은 꽃받침잎이 4장이며 꽃잎은 없고, 줄기에 있는 꽃은 비교적 크고 꽃받침잎과 꽃잎이 각각 5장이며 꽃잎은 백색(白色)이고 정단(頂端)2개의 톱니모양으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구형(球形)에 가깝다.




[태자삼의 세밀화, 꽃과 줄기, 뿌리의 모습,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및 대만 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산비탈의 숲속과 바위 틈 속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및 하북(河北), 섬서(陝西), 산동(山東), 강소(江蘇), 안휘(安徽)에 분포하며 각지에서 재배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철에 캐내어 끓는 물에 충분히 삶았다가 햇볕에 말린다.

성분: saponin, starch.

기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 자보강장(滋補强壯), 보기생진(補氣生津), 건위(健胃).

주치: 폐허해수(肺虛咳嗽), 심계(心悸), 구갈(口渴), 식욕부진(食慾不振), 간염(肝炎), 신경쇠약(神經衰弱), 소아(小兒)의 병후(病後) 체약무력(體弱無力), 자한(自汗), 도한(盜汗).

용량: 615g.

참고문헌: .]

태자삼의 유래에 대해서 이풍원의
<이야기 본초강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태자삼(太子參)

명나라 때의 유명한 의술가인 이시진은 의학에 더욱 매진해 마침내 <본초강목(本草綱目)>이라는 의학책을 펴내기에 이르렀다. 본초강목은 약초를 소개하는 책으로서 약초의 성미(性味), 효능 등을 자세히 적어 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하루는 그가 원고를 가지고 밤낮을 걸어서 남경(南京)에 도착해 인쇄하는 친구의 도움으로 출판을 하려 하였다.  

친구에게로 가는 도중에 그는 조그마한 주막에 머물렀다. 밤중에 어디선가 아낙네의 신음 소리가 들렸다. 이시진은 신음 소리만 듣고도 무슨 병 때문인지 알 수 있었다.

"여보시오, 주인장! 옆방에서 아낙네의 신음 소리를 들었는데, 무슨 병에라도 걸렸소?"

이시진은 주막 주인을 불러 물었다.

"제 마누라입니다."

"병이 있는데, 왜 의원을 부르지 않는지요?"

"선생님은 잘 모르시겠지만, 제가 이 주막을 하고는 있어도 식구가 입곱이나 되어 먹고 살기도 바빠 의원을 부르기가 힘이 듭니다."

이시진은 동정심이 우러나왔다.

"내가 당신 부인의 병을 봐드리리다."

주막의 주인은 이시진을 안방에 누워 있는 환자에게로 안내했다. 이시진은 맥을 보니 세맥(細脈)이었다.

"요즘, 부인께서 식사는 잘 합니까?"

"며칠 동안을 쌀이 없어 고구마만 먹었습니다. 오늘은 그것마저 떨어져 아이들은 들에서 캐온 나물 뿌리로 배를 채웠습니다."

"들에서 캐왔다는 나물 뿌리를 가져와 보시오."

주인이 나물 뿌리를 가져오자, 이시진은 그것을 씹어 맛을 보며 말했다.

"이것은 약초요. 당신 부인의 병을 치료할 수 있겠소. 이 약초를 어디서 구하였습니까?"

"자금산(紫金山)에서 캐왔습니다."

이시진은 탁자 위에서 은전(銀錢)을 꺼내놓고 말했다.

"내일 날이 밝으면 쌀을 사 오고, 이 약초를 부인에게 달여 먹이시오."

"감사합니다!"

주인은 감격하여 무릎을 꿇고 절을 했다. 이튿날, 부인은 약초를 달여 마시고 과연 병이 치료되어 회복되었다.

"그 약초가 있는 곳으로 나를 안내해 줄 수 있겠소?"

"물론이죠."

주막 주인은 이시진을 안내하여 자금산으로 올랐다. 그곳에는 명나라 주원장(朱元璋)의 아들인 태자(太子)의 묘가 있었다. 묘 주변에 있는 푸른 잔디가 마치 양탄자와 같이 깔려 자랐고, 주막집에서 본 약초들이 여기저기 산개해 있었다. 이시진은 마치 보물을 찾은 듯한 기분으로 광주리 하나 가득 캐어 가지고 왔다.

이 약초를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넣으려 하였으나, 그럴 경우에 사람들이 태자 묘지로 몰릴 것이다. 그렇게 되면 왕법(王法)을 범하면서까지 왕족 묘를 훼손할 것이 뻔하여 이시진은 이 약초를 본초강목에 써 넣지 않았다. 당시의 법으로는 태자 묘에 일반 사람들이 들어 갈 수 없으므로 이시진은 사람들이 약초를 캐러 태자 묘로 들어갔다가 화를 당할까를 염려하였던 것이다.

이 약초의 이름은 명나라 주원장의 태자 묘지에서 자라났기에 '태자삼(太子參)'이라고 불렀다.

태자삼은 기를 보하고 진액을 만들어 주며, 폐와 비장을 보하여 해수에 좋으며, 원기를 보하고, 심장이 두근거리는 심계(心悸)와 땀을 흘리는 자한(自汗)에 효과가 있다. 또 정신 피로에 좋고, 비장이 허하여 식사를 잘 못할 때도 효과가 있다.
]

개별꽃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자한(自汗: 저절로 흐르는 땀)
태자삼(太子參) 3돈(11.25그램), 부소맥(浮小麥) 5돈(18.75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비고(備考)]

<본초종신(本草從新)>:
"태자삼(
太子參)은 삼조(蔘條)처럼 매우 가늘고 짧고 단단하며 노문(蘆紋)이 있다.  

그 효능은 대삼(大蔘)과 같다. <본초종신(本草從新)>, <본초강목습유(
本草綱目拾遺)>, <음편신참(飮片新參)> 등에 의하면 태자삼(太子參)은 원래 오가과(五加科) 식물인 인삼(人蔘)의 작은 것을 말한다. 오늘날 상품으로는 석죽과(石竹科)의 식물 이엽가번루(異葉假繁縷=개별꽃)의 덩이뿌리가 널리 쓰이는데, 자양 보신하는 효능이 있지만 비교적 약하다."

[태자삼(개별꽃) 재배 방법]


1, 기후와 토양:
온화하고 습윤한 기후에 그늘지고 서늘한 곳이 적합하며 강한 빛은 좋지 않다. 비옥하고 배수가 잘되며 부식물이 풍부한 사질 토양이 좋다. 중점토나 불이 고이는 와지에서는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2, 정지:
25~30cm의 깊이로 땅을 갈아 자갈과 풀뿌리를 골라 내고 땅을 고른 뒤 너비 1~1.4m, 높이 20~25cm의 두둑을 만든다. 너비 25cm 정도의 구덩이를 파고 밑거름을 충분히 준다. 비료는 구비, 퇴비, 짐승의 분변이 좋다.

3, 번식:
① 종자 번식: 봄 파종기는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까지이고 여름 파종기는 6월 중, 하순이며 가을 파종기는 9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이다. 봄, 가을에 파종할 종자는 습한 모래 속에 묻어서 서늘한 곳에 저장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발아력을 잃기 쉽다. 줄뿌리기는 두둑 사이를 18~20cm로 하고 종자를 얕은 고랑에 고루 뿌리고 흙을 덮는다. 항상 토양을 습윤하게 해 둘 필요가 있으며 그렇게 하면 발아에 좋다. 또 자연히 떨어진 종자를 이용하여 들에서 종삼(種蔘: 묘삼)을 키울 수도 있다. 종자가 성숙하여 지면에 떨어지면 써레로 곱게 고르고 볏짚으로 덮는다. 이듬해 봄, 4월 중, 하순에 싹이 나오는데 유묘에 2~3쌍의 잎이 나오기를 기다렸다가 이식한다.

② 분주 번식:
재배 시기는 10월 하순부터 11월 상순까지 이다. 튼튼한 정아(頂芽)를 가진 뿌리를 종자용으로 쓴다. 두둑에 10~15cm마다 깊이 6~8cm의 고랑을 파고 포기 사이 거리를 5~6cm로 뿌리를 옆으로 또는 비스듬히 구멍 속에 심는데 비스듬하게 할 때는 꼭대기 싹이 위로 향하게 한다.

흙을 4~6cm의 두께로 덮는다. 

4, 경작 관리:
① 김매기: 모가 어린 동안은 땅을 일구고 김매기를 해야 하지만, 생장기에는 풀만 뽑아 주면 된다.

② 관수:
태자삼(
太子參)은 습기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생장 기간중에는 항상 관수에 주의해야 하지만, 지나치면 안 된다. 이식한 후 또는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은 항상 물을 주어 토양을 습윤하게 해야 한다.

③ 덧거름:
일반적으로 이식 후 뿌리가 내리면 덧거름으로 잘 썩은 사람의 분뇨와 인, 알칼리 비료를 준다. [출처: 중약대사전]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개별꽃 사진 감상:
1, 2, 3, 4, 5, 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에 있는 모든 내용은 사랑과 자비로 자진적인 후원금으로 운영되는 무료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자원하여 소액의 후원금을 기부하시고 사진 및 내용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정성스런 소액의 기부금이 글을 쓰는 필자에게는 큰 힘과 격려가 됩니다~~~^.^

복제시 허락을 받고(출처: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또는 "약초연구가/ 전동명" 또는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 또는 "http://www.jdm0777.com")을 반드시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상업적인 목적으로 운영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게시, 판매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인 책임이 따르게 되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소는 그점에 대해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홈을 자주 방문하여 주시고 여러분들의 통찰력있는 조언과 큰 격려를 통해서 더 나은 약사모(약초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사이트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약사모 자진적인 후원금 입금 계좌번호: 신한은행 405-06-111234 ; 국민은행 102-21-0762-097 ; 부산은행 030-01-045502-7 ; 농협 178275-56-043148 ;  [예금주: 전동명]


아래의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별꽃 무엇인가?
  2. 동자꽃 무엇인가?
  3. 말뱅이나물(왕류불행) 무엇인가?
  4. 벼룩나물 무엇인가?
  5. 벼룩이자리 무엇인가?
  6. 별꽃 무엇인가?
  7. 술패랭이꽃 무엇인가?
  8. 장구채 무엇인가?
  9. 점나도나물 무엇인가?
  10. 패랭이꽃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개별꽃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