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굴레(옥죽) 무엇인가?

허약체질 자양강장에 좋은 신선의 음식

 

 

 

 

 

 

 

 

img1.jpg img1.jpg img1.jpg

img1.jpg

 

 

img1.jpg

 

 

[둥굴레의 새순, 잎, 꽃, 열매, 뿌리, 무늬둥굴레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강심 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강압 작용, 혈당량감소 작용, 동맥경화예방 작용, 간지방 침착 예방 작용, 허약체질을 강하게 하는데, 발열구갈, 소변삽, 추조상위음[추계의 조사에 의한 위진액상해], 양명습병으로 하리 후에 출한하고 열에 상하여 음을 회복해야 할 때, 음허체감기풍습, 동온해수, 인간담결, 소변임삽통, 남녀허증, 지체산연, 도한, 적안삽통[급성 결막염으로 인한 목삽통], 안견흑화[눈이 부옇고 잘 보이지 않는 것], 적통혼암[눈이 충혈되어 아프고 잘 보이지 않는 것], 허해, 심장쇠약 즉 심부전의 치료[임상보고], 시력과 청력을 아주 좋게 하는데, 강장, 강정, 구갈, 자한, 식은땀, 골증, 당뇨병, 고지혈증을 다스리는 둥글레

둥굴레는 외떡잎식물 아스파거스목
아스파라거스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둥글레의 학명은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이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굵은 육질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줄기는 6개의 능각(稜角)이 있으며 끝이 비스듬히 처진다. 높이는 30∼6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퍼진다. 길이 5∼10cm, 나비 2∼5cm로 긴 타원형이고 잎자루가 없다.

6∼7월에 길이 15∼20mm의 녹색빛을 띤 흰색 꽃이 1∼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작은꽃대는 밑부분에서 서로 합쳐진다. 수술은 6개이고 통부(筒部) 위쪽에 붙으며 수술대에 잔 돌기가 있다. 꽃밥은 길이 4mm로서 수술대의 길이와 거의 같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9∼10월에 검게 익는다.

봄철에 어린 잎과 뿌리줄기를 식용한다. 생약의 위유는 뿌리줄기를 건조시킨 것이며,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번갈·당뇨병·심장쇠약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잎 뒷면에 유리조각 같은 돌기가 있고 꽃의 길이가 2∼2.5cm인 것을 산둥굴레(var. thunbergii), 잎 뒷면 맥 위에 잔 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굴레(var. maximowiczii), 잎은 길이 16cm, 나비 5cm 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굴레(P. koreanum), 전체가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2∼5개씩 달리는 것을 왕둥굴레(P. robustum)라고 한다.

시골에서는 둥글레의 어린순을 나물로 해먹고 뿌리를  된장이나 고추장 속에 박아 장아찌로 해서 먹기도 한다. 흔히 둥글레 뿌리를 살짝 볶아서 차 대용으로 많이 먹기 때문에 가정이나 식당에서 둥굴레차로 많이 달여먹는다. 맛과 향이 은은하여 기분이 좋다. 

둥글레의 여러 가지 이름은
옥죽[玉竹=
zhú=: 오보본초(吳普本草)], [熒, 위위:委萎: 이아(爾雅)], 여위[女萎: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위이[萎img1.jpg: 설문(設文)], 위유[葳蕤, 옥마:玉馬, 절지:節地, 충선:蟲蟬, 오위:烏萎, 오보본초(吳普本草)], 청점[青粘, 황지:黃芝, 지절:地節: 삼국지(三國志)], 위유[萎蕤, 마훈:馬熏, 명의별록(名醫別錄)], 여초[女草, 왜초:草, 여초:麗草: 유양잡조(酉陽雜俎)], 장참[葳參, 옥구:玉求: 전남본초(滇南本草)], 위향[萎香: 본초강목(本草綱目)], 소필관채[小筆管菜: 성경통지(盛京通誌)], 산옥죽[山玉竹: 철영현지(鐵嶺縣誌)], 십양착[十樣錯, 죽칠근:竹七根, 죽절황:竹節黃, 황각계:黃脚鷄, 백해약:百解藥: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산령자초[山鈴子草, 영당채:鈴鏜菜, 등롱채:燈籠菜, 산포미:山包米: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상강[上薑, 황만청:黃蔓菁: 산동중약(山東中藥)], 노리화[蘆莉花: 흑룡강중약(黑龍江中藥)], 미삼[尾參: 호북약물지(湖北藥物誌)], 연죽[連竹, 서죽:西竹: 광동중약(廣東中藥)], 아마도코모[アマドコロ=甘野老: 일문명(日文名)], 두응구라[豆應仇羅→동구레→둥굴레로 변화: 어원 사전], 토황정[土黃精], 편황정[片黃精], 둥굴네, 각시둥굴레, 동구라, 과불꽃, 괴물곳, 괴무릇, 죽네풀, 낚시둥굴레, 산둥굴레, 왕둥굴레, 큰둥굴레, 맥도둥굴레, 애기둥굴레, 좀둥굴레, 제주둥굴레, 둥글레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봄과 가을에 땅을 파서 줄기, 잎, 수염뿌리를 떼어내고 흙을 털어 버린 후 겉면에 점액이 나올 때까지 햇볕에 말린다. 다음 가볍게 두드려 털을 떨어뜨리고 크기 별로 골라놓고 다시 약간 누렇게 될 때까지 햇볕에 말린다. 다시 주무르고 햇볕에 말린다.  유연하게 되고 광택이 나고 단단한 속대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 다음 햇볕에 말린다. 또는 둥굴레 뿌리을 잘 쪄서 유연하고 광택이 있을 때까지 햇볕에 말리면서 주무른다. 다음 햇볕에 말린다. 마른 것을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저장해 두며 곰팡이가 끼고 벌레가 먹는 것을 방지하며 기름이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
마른 뿌리 줄기는 가늘고 긴 원뿔꼴이거나 약간 편평하고 대부분 분지가 적으며 길이는 5~15cm, 지름은 0.5~1cm이다. 표면은 담황색이거나 연한 황갈색이고 반투명하며 약간 거칠고 세로 난 가는 주름 무늬가 있다. 마디가 뚜렷하고 약간 두드러진 물결 모양의 고리를 이루었다. 마디 사이 거리는 보통 1cm 이하이고 마디 위에 가는 뿌리 흔적이 불규칙적으로 있다. 약간 큰 뿌리 흔적은 혹 모양의 돌기를 보이며 때로는 원판 모양의 지상경의 흔적을 볼 수 있다. 마른 것은 질이 단단해서 각질에 가깝고 쉽게 부러진다. 습기를 받으면 유연해진다. 절단면은 과립성을 띠고 황백색이다. 냄새가 약간 나고 맛이 약간 달며 점성이 있다. 긹 살이 두텁고 황백색이며 윤택이 있고 유연한 것이 좋다.중국의 하남(河南), 강소(江蘇), 요녕(遼寧), 호남(湖南), 절강(浙江)에서 주로 나고 안휘(安彙), 산서(山西), 산동(山東), 섬서(陝西), 광서(廣西), 광동(廣東) 등지에서도 난다."

[성분]


<중약대사전>: "
근경에는 convallamarin, convallarin kaempferolglucoside, quercitol과 비타민 A가 들어 있다. 이밖에 전분 25.6~35.6퍼센트와 점액질이 들어 있다.

잎과 근경에는 azetidine-2-carboxylic acid가 들어 있다.
"

[약리 작용]


<중약대사전>: "
1, 혈압에 대한 작용: 줄기와 잎의 침제(浸劑)와 탕제[湯劑: 동북(東北) 옥천(玉泉)에서 채집한 것으로서 일부는 북경(北京)의 약국에서 구입하였고 품질은 감정하지 않았다]등은 토끼에 대하여 일시적인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나타나며 양측의 미주 신경을 절단하며 아트로핀을 주사하였을 때의 강압(强壓) 작용보다 다소 약해진다고 한다. 그러나 청도(靑島) 노산(嶗山)의 옥죽(玉竹)은 양의 다소를 불문하고 토끼의 혈압을 천천히 높이지만 만취한 개에게 소량으로 투여하여도 어떠한 영향이 없었으며 다량으로 투여하였을 때에는 혈압이 일시적으로 낮아진다.

2, 강심 작용: 개구리의 적출 심장에 탕제나 팅크제[노산산(嶗山産)을 사용]를 소량으로 투여하면 심장 박동이 급속이 강하게 되고 다량으로 투여하면 심장 박동이 약하게 되어 정지하게 된다. 근경과 장과는 영란(鈴蘭)에서와 마찬가지로 강심 배당체가 들어 있기 때문에 강심 작용을 갖고 있다.

3, 혈당에 대한 영향: 토끼에게 0.5g/kg의 침제(浸劑)를 근육 주사하며 혈당이 높아지며 그 엑스를 경구 투여하면 혈당이 먼저 높아지고 후에 낮아진다. 또 아드레날린으로 하여 일어나는 고혈당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 작용이 있다. glucose, arachidic acid에 의해 생기는 흰쥐의 고혈당에 대하여서도 억제 작용이 있다.

4, 기타 작용: 옥죽(玉竹)이 2.%% 들어 있는 사료를 실험적 결핵증의 마우스에게 투여하면 사망률이 낮아지지만 병세가 약간 경감될 뿐이다. 사료 속의 함량을 증가하면 오히려 효과가 없어진다. 탕제를 개구리의 전신과 하지에 주입하면 혈관이 수축된다. 개의 혈액 응고에 대하여서는 영향이 없었고 용혈 작용도 없었다. 마우스의 적출 자궁에 대하여서는 약간의 자극 작용이 나타나고 장의 활동에 대하여서는 먼저 증강되고 후에 약해진다. 중국 이외에서 외용하여 피하 출혈과 반진(斑疹)을 치료한 예가 있다."

[포제(
炮製)]

<중약대사전>: "
1, 옥죽(玉竹): 먼저 잡물과 흙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후 안팎의 습도가 같게 누기를 주고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2, 증옥죽(蒸玉竹): 옥죽(玉竹)을 깨끗이 씻고 증기 가마에 넣고 안팎이 검게 될 때까지 증기를 2~3회 쏘인 후 꺼내서 햇볕에 절반쯤 말린다. 그 다음에 썰어서 햇볕에 말린."

[성미]


1, <중약대사전>: "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신농본초경>: "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3, <오보본초>: "<신농(神農)>에서는 쓰다고 하였다. <상군(相君)>, <뇌공(雷公)>, <편작(扁鵲)>은 달고 독이 없다고 하였다. <황제(黃帝)>는 맵다고 하였다."

4, <전남본초>: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평하고 약간 쓰다."

5, <약재학>: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폐(肺), 위경(
胃經)에 들어간다."

2, <전남본초>: "비(脾)에 들어간다."

3, <본초통현>: "신(腎)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음(陰)을 양(養)하고 건조한 것을 윤(潤)하며 번(煩)을 제거하고 지갈(止渴)하는 효능이 있다. 열병음상(熱病陰傷), 해수번갈(咳嗽煩渴), 과로(過勞)한 발열(發熱), 소곡이기[消穀易飢: 식후(食後) 바로 기아감을 느끼는 증세], 빈뇨(頻尿)를 치료한다."

2, <본경>: "
중풍습열(中風濕熱) 운동(運動) 장애, 질근결육(跌筋結肉: 근육의 좌상으로 인한 응어리), 여러 가지 부족되는 증상을 치료한다. 장기간 복용하면 얼굴의 흑간(黑䵟)이 없어지고 혈색이 좋아지며 윤기가 난다."

3, <명의별록>: "
흉복부에 사기(邪氣)의 결취(結聚)에 의한 허열(虛熱), 습독에 의한 요통, 음경이 찬 증상, 눈이 아프로 눈시울이 미란되며 눈물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4, <약성론>: "
신체 내부의 부족을 보하며 과로로 인한 쇠약과 외사(外邪)에 의한 발열을 다스린다. 유행성 한열(寒熱), 두통, 불안을 치료한다."

5, <본초습유>: "
시력과 청력을 아주 좋게 하고 혈기를 조절하며 체질을 튼튼하게 한다."

6, <사성본초>: "
중초를 튼튼하게 한다."

7, <일화자제가본초>: "
번민(煩悶)을 없애고 갈증을 멎게 하며 심폐(心肺)를 적셔주고 오로칠상(五勞七傷)을 보(補)한다. 허손(虛損: 쇠약으로 인한 손상), 요각(腰脚) 동통, 유행성 열병을 치료한다."

8, <이고>: "
간(肝)을 적셔주고 열(熱)을 제거하며 풍음사말[風淫四末: 풍온(風溫)에 의한 사지 말단, 수족의 병]을 치료한다."

9, <전남본초>: "
기혈을 자양하고 중초를 보하며 비(脾)를 튼튼히 한다."

10, <본초강목>: "
풍습, 자한(自汗), 작열, 노학한열(勞瘧寒熱), 비위허핍(脾胃虛乏), 남자의 빈뇨, 유정, 모든 쇠약으로 인한 손상을 치료한다."

11, <광서중약지>: "음기(陰氣)를 자양하고 폐열(肺熱)을 없애며 조(燥)한 것을 적셔준다. 음허(陰虛), 다한(多汗), 조해(燥咳), 폐결핵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
내복: 2~3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또는 달여서 엑스로 하든가 환을 만들어 먹거나 사루내어 먹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위(胃)가 담습(痰濕) 즉 습탁(濕濁), 정체(停滯)하고 기체(氣滯) 즉 기(氣)의 담체(淡滯)가 있는 자(者)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2, <본초종원>: "음병(陰病)으로 신체 내부에 한(寒)이 있는 환자는 절대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3, <본초비요>: "감로(
鹼鹵)와 상외(相畏)한다."

둥글레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옥죽(玉竹) // 둥글레, 위유(萎蕤), 여위(女萎), 토황정(土黃精)// [본초]

아스파라거스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Drud.)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둥글레는 각지의 산과 들에 널리 자란다.

이른봄 또는 늦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어 물에 씻은 다음 김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약간차며 독이 없다. 폐경, 위경에 작용한다. 음(陰)을 보하고 조(燥)한 것을 눅여주며 진액이 생기게 하고 기침을 멈춘다. 

폐(肺), 위(胃)의 조열로 음이 상하여 열이 나고 마른기침을 하는 데, 구갈(口渴), 자한(自汗), 식은땀, 골증(骨蒸) 등에 쓴다. 당뇨병, 심근쇠약, 고지혈증에 쓸 수 있다. 하루 6~12그램을 달이거나 환으로 가루내어 먹는다. 강장, 강정약으로 하루 5~10그램을 물에 달여 마신다. 음이 성하고 양이 허한 데와 비(脾)가 허하여 가슴이 답답하며 습담(濕痰)이 정체된 데는 쓰지 않는다.

※ 현재 우리나라의 건재약방에서 널리 쓰는 '황정(
黃精)'은 진품이 아니고 옥죽(둥글레)이다.]

둥글레와 비슷한 식물로 황정(黃精)이라는 식물이 있다. 황정을 낚시둥글레라고 하는데 북한의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황정(黃精) //낚시둥글레, 토죽(兎竹), 녹죽(鹿竹), 계격(鷄格), 중루(重樓)// [본초]

아스파라거스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낚시둥글레(Polygonatum sibiricum Rehd.)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낚시둥글레(죽대둥글레)는 평안남도와 평양시의 낮은 산에서 자라며 각지에 심기도 한다. 봄 또는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 폐경에 작용한다. 비위(脾胃)와 폐(肺)를 보하고 기침을 멈추며 정수(精髓)를 불려준다.

약리실험에서 강압(降壓)작용, 혈당량감소작용, 동맥경화예방작용, 간지방 침착 예방작용 등이 밝혀졌다. 몸이 허약하고 기운이 없는 데, 앓고 난 후에 쓴다. 또한 비위가 허약한 데, 마른 기침, 폐결핵, 당뇨병 등에도 쓴다. 하루 9~15그램을 물로달이거나 고를 만들거나 가루내거나 환을지어 먹는다.
]

둥굴레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224면 42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옥죽(玉竹)

기원: 천문동과(天門冬科: Asparagaceae)식물인 옥죽(玉竹=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의 근경(根莖)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근경(根莖)은 가로로 뻗으며, 줄기는 단일하고 높이는 20∼60cm이며 한쪽으로 기울면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고 타원형(橢圓形) 내지 난상(卵狀) 장원형(長圓形)이다. 꽃은 액생(腋生)하고 항상 1∼3송이가 족생(簇生)하며, 화피(花被)는 통상(筒狀)이고 백색(白色)이며 선단(先端)은 6갈래로 갈라져 있고 항상 녹색(綠色)을 띠고, 수술은 6개이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구형(球形)이고 익은 후에는 남흑색(藍黑色)을 띤다.





분포: 숲 속 또는 산야의 그늘진 비탈에서 자란다. 중국(中國)의 동북(東北), 화북(華北), 화남(華南)과 감숙(甘肅), 청해(靑海)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과 가을에 캐내어 끓는 물에 약간 삶아서 서늘한 곳에 반쯤 말린 후 투명하고 부드러워질 때까지 비벼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근경(根莖): 일종의 뮤코 다당류(mucopolysaccharide)인 오우더러턴(odoraton)과 아울러 4종의 옥죽과취당(玉竹果聚糖)을 함유한다.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양음윤조(養陰潤燥), 생진지갈(生津止渴).

주치: 건해소담(乾咳少痰), 구조인건(口燥咽乾) 및 당뇨병(糖尿病).

용량: 9∼15g.

참고 문헌: 중약지(中藥誌), 2권 49면.]

둥굴레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발열구갈(發熱口渴), 소변삽(小便澁)
위유(萎蕤) 5냥을 삶아 그 즙을 복용한다. [외치(外治)]

2, 추조상위음[秋燥傷胃陰: 추계(秋季)의 조사(燥邪)에 의한 위진액상해(胃津液傷害)
옥죽(玉竹) 3냥, 맥동(麥冬) 3돈, 사삼(沙參) 2돈, 생감초(生甘草) 1돈을 물 5컵을 넣고 2컵이 될 때까지 달여서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辨), 옥죽맥문동탕(玉竹麥門冬湯)]

3, 양명습병(陽明濕病)으로 하리(下痢) 후에 출한(出汗)하고 열(熱)에 상(傷)하여 음(陰)을 회복해야 할 때
사삼(沙參) 3돈, 맥문동(麥門冬) 5돈, 빙당(氷糖) 1돈, 세생지(細生地) 5돈, 향기 날 때까지 볶은 옥죽(玉竹) 1돈 5푼에 물 5컵을 넣고 2컵이 될 때까지 달여서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찌꺼기에 물 1컵을 넣고 삶아서 복용한다. [온병조변(溫病條辨), 익위탕(益胃湯)]

4, 음허체감기풍습(陰虛體感氣風濕), 동온해수(冬溫咳嗽), 인간담결(咽干痰結)
생위유(生萎蕤) 2~3돈, 생총백(生葱白) 2~3돈, 소박하(蘇薄荷) 1~1.5돈, 구감초(灸甘草) 7푼, 홍조(紅棗) 2개를 달여 복용한다. [통속상한론(通俗傷寒論), 가감위유탕(加減萎蕤湯)]

5, 소변임삽통(小便淋澁痛)
파초근(芭蕉根) 4냥(썬 것), 위유(萎蕤) 1냥(갈아서 부순 것)에 큰 컵으로 2개의 물을 넣고 1잔 3푼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활석분말(滑石粉末) 3돈을 넣어서 잘 저어서 3번에 나누어 식전에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6, 남녀허증(男女虛症), 지체산연(肢體酸軟), 자한(自汗), 도한(盜汗)
위삼(葳蔘) 5돈 단삼(丹蔘) 2돈 5푼을 달여 복용한다. [전남본초(滇南本草)]

7, 적안삽통[赤眼澀痛: 급성 결막염으로 인한 목삽통(目澀痛)]
위유(萎蕤), 적작약(赤芍藥), 당귀(當歸), 황련(黃連)을 같은 양으로 하여 달여서 훈세(훈세)한다. [위생가보방(衛生家寶方)]

8, 안견흑화[眼見黑花: 눈이 부옇고 잘 보이지 않는 것], 적통혼암[赤痛昏暗: 눈이 충혈되어 아프고 잘 보이지 않는 것]
볶은 위유(萎蕤) 4냥을 세게 가루내어 1돈을 취하고 여기에 박하엽(薄荷葉) 2매, 생강(生薑) 한조각, 꿀(소량), 물 1컵을 넣고 7할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식후(食後)에 잠자리에 들기 전에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감노탕(甘露湯)]

9, 허해(虛咳)
옥죽(玉竹) 5돈 ~ 1냥을 돼지고기와 함께 삶아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10, 심장쇠약 즉 심부전(心不全)의 치료(임상보고)
풍습성 심장병, 관장 동맥 죽상 경화성 심장병, 폐심증(肺心症)에 의한 2~3도의 심장쇠약에 옥죽(玉竹)을 주제(主劑)로 하여 치료한 5례를 보면 복약 후 각기 5~10일 내에 심장 쇠약이 나았다. 그 가운데서 3례는 디기탈리스의 과민이 있었고 소량을 복용하여도 즉시 디기탈리스의 과랑반응이 나타나므로 옥죽(玉竹)으로 바꾸어 치료하였는데 심장쇠약이 치료되었고 부작용도 없었다.

용법: 옥죽(玉竹) 5돈을 하루에 1첩씩 달여 복용한다. 5례는 모두 디기탈리스를 쓰지 않고 아미노필릴린(aminophyhllyrin), 하이드로클로티아지드(hydrochlothiazide)만 사용하였다. [중약대사전]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강목(本草綱目)>:
"
위유(萎蕤)는 성질이 평하고 맛은 달며 유연하고 윤기(潤氣)가 있기 때문에 식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굉(朱肱)>은 <남양활인서(南陽活人書)>에서 풍습(風濕), 자한(自汗), 신중(身重), 언어 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 위유탕(萎蕤湯)을 쓰면서 이것을 군약(君藥)으로 하였다. 나 이시진(李時珍)은 언제나 허로한열(虛勞寒熱), 점학(痁瘧)과 일체 생기(生氣)가 부족한 증의 치료에 인삼(人蔘), 황기(黃耆)를 대신하여 썼는데 차갑지도 마르지도 않아 큰 효과를 보았다. 풍열습독(風熱濕毒)을 제거하는데만 그치지 않는 바 지금까지 누구도 천명하지 않았다."

2,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
위유(萎蕤)의 맛에 대하여 제가(諸家)가 주치한다는 것을 상세히 음미해 보면 그 성질은 원래 순량(醇良)하고 기운과 맛이 완화(緩和)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래 쓸 수 있으며 또 유익하다. 이 약물은 오장을 보익하고 기혈을 자양하므로 근본이 치유되면 다른 병도 저절로 제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혈(血)은 음(陰)으로 안색이 가시지 않게 하는 작용이 있는데 기(氣)는 양(陽)으로 신체를 가볍게 한다. 음정(陰精)이 부족(不足)하면 허열(虛熱)을 발(發)하고 신기(腎氣)가 고정되지 않으면 골위(骨痿)와 요각통(腰脚痛)이 나타난다. 허(虛)하여 화염(火炎)하면 두통이 나고 불안하게 되며 눈이 아프고 안각이 문드러지고 눈물이 흘러나온다. 허(虛)하고 고열이 성(盛)하면 번민(煩悶)하고 소갈(消渴)한다. 상성(上盛)하고 하허(下虛)하면 음경이 한(寒)해지고 심하면 오로칠상(五勞七傷)하고 정수(精髓)가 날마다 시들어 허손(虛損) 증상으로 된다. 1종의 약물이 다스리는 곳이 많고 효과가 매우 좋으니 음정(陰精)을 보충하고 양기(陽氣)를 늘이지 않고서야 어찌 이렇게 될 수가 있겠는가? 그 장점을 고찰하면 대개 황정(黃精) 동속에 속한다. 중풍(中風)의 습열, 신체 행동 불능, 질근결육습독(跌筋結肉濕毒) 등 증을 치료하는 것은 모두 여위(女萎)의 용처이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양자를 혼동하여 한 개의 조목으로 하였다."

[비고(備考)]


1, <뇌공포자론(雷公
炮炙論)>: "대체로 위유(萎蕤)에 구문[鉤吻: 마전과(馬錢科) 식물 호만등(胡蔓藤)의 전초]과 황정(黃精)을 써서는 안된다. 이 두가지 약은 위유(萎蕤)와 유사하지만 동일한 것이 아니다. 때로는 잘못 쓰는 병자도 있다. 위유(萎蕤)는 마디 위에 털이있고 줄기에 반점이 있으며 잎 끝에 작은 황색 반점이 있다."

2, <도홍경(陶弘景)>: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여위(女萎)는 있고 위유(萎蕤)는 없다. <명의별록(名醫別祿)>에는 여위(女萎)는 없고 위유(萎蕤)가 있다. 사용함에 있어서는 완전히 동일하다. 여위(女萎)란 즉 위유(萎蕤)이며 오직 이름이 다를 뿐인 것 같다. 지금 여러 곳에 있으며 그 뿌리는 황정(黃精)과 비슷하지만 약간 차별이 있다. 복식(服食)하는 사람들은 이것을 쓴다. 뿌리이 형태(形態)는 속단(續斷)과 비슷하며 줄기는 맛이 매우 쓰고 여청근(女靑根)이라 하며 형주(荊州)에서 난다. 지금 하리(下痢)를 치료하는 처방에 여위(女萎)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양자를 모두 설사를 멎게 하는데 쓰고 있는데 아마 틀렸을 것이다."

[둥굴레 재배 방법]

1, <중약대사전>:
<<1, 기후 토양: 따스하고 습윤한 기후를 즐기며 토층이 약간 두텁고 비옥하며 토질이 부드럽고 배수가 잘 되는 황색 사질토가 좋다.

2, 정지:
33cm 이상의 깊이로 갈고 보드랍게 써레질을 하고 너비 1.3~1.7cm 되는 두둑을 짓는다. 두둑에 너비 약 33cm, 깊이 13~17cm 되는 골을 낸다. 밑거름을 충족하게 주어야 한다.

3, 번식:
근경으로 번식한다. 8월 상순부터 하순 사이에 옥죽(
玉竹)을 수확할 때뿌리 싹이 비대하고 수염뿌리가 많이 달려있는 뿌리줄기를 골라 종근으로 한다. 종근은 선택하느 즉시 심는다. 이랑 사이 거리를 23~33cm으로 하고 깊이를 13~20cm 되게 골을 내고 포기 사이 거리를 6~12cm 으로 하여 종근을 심고 3cm의 두께로 보드라운 흙을 덮는다.

4, 포전 관리:
싹이 나오면 자주 김매기를 해야 한다. 그해 11~!2월에 이랑 사이에 골을 내고 발효된 사람의 똥오줌을 1무에 150kg씩 주고 흙을 덮어준다. 이듬해 봄 같은 방법으로 덧거름을 한 번 준다. 겨울에 포기가 마르면 소똥, 말똥을 풀로 덮어놓고 그 위에 황토를 7cm 두께로 덮어놓는다. 3년째 되는 초봄에 싹이 나온 후 다시 골을 옅게 파고 사람의 똥오줌을 1무(畝)에 300kg씩 주고 흙을 덮어 준다.>>

둥글레차는 커피, 홍차, 녹차 등에 들어 있는 카페인 성분이 들어 있지 않아 신경쇠약이나 불면증 환자에게도 좋다. 

둥글레 및 황정 모두 허약체질에 좋고 폐결핵, 마른기침, 구강건조증, 당뇨병, 심장쇠약, 협심증, 빈뇨증에 좋다. 중초를 튼튼하게 하고 심장과 폐를 촉촉하게 하며 원기를 회복시키고 정을 보충해주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정수를 보익하게 하며 시력과 청력을 아주 좋게 해준다.  

둥굴레 술을 담가 3개월 지난 뒤 복용하면 훌륭한 자양강장에 도움을 준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둥글레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무늬둥글레 사진 감상: 1, 2, 3, 4,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둥글레(옥죽) 무엇인가?
  2. 진황정(대잎둥굴레) 무엇인가?
  3. 층층둥굴레 무엇인가?
  4. 황정(층층갈고리둥굴레)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둥굴레 새싹, 꽃, 뿌리/큰둥굴레 꽃/무늬둥굴레 새싹, 꽃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