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골나물 무엇인가?

골짜기에 많이 자라는 등골나물

 

 

 

 

 

 

 

 

 

 

 

 

[등골나물의 어린잎, 자란잎, 꽃봉오리, 꽃이 핀 전초, 꽃, 꽃확대,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바이러스작용, 유행성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작용, 화습[거습], 거서[해서], 조경, 한열두통, 완비불기, 월경불순, 여름철 습이 비위에 정체되어 일어나는 소화불량, 복부창만, 건위, 발한, 이뇨, 비색증, 신경성 두통, 전염성 열병, 복통, 결석, 비단구감, 5월 곰팡이의 습사, 예탁한 기, 추후복서로 새 증상이 촉발되는 경우, 초기의 열병, 몸에 고열이 나며 등에 약간의 오한이 있고 열이 나며 한기가 없고 구갈이 몹시 나고 땀이 많이 나고 또한 낯이 불결하고 칭가 마르며 심번오뇌한 증상, 구토, 설사, 습열로 인한 소화장애, 산나물용, 설태가 끼고 갈증과 소갈증, 피로회복, 보온, 부인병, 뱀에 물린것다스리는 등골나물

등골나물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등골나물의 학명은 <Eupatorium chinense var. simplicifolium Kitamura>이다.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선점(腺點)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맥은 6~7쌍으로서 올라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은 흰 자줏빛으로 두상꽃차례[頭狀花序]를 이루고 7∼10월에 핀다. 총포(總苞)는 원통형이고 선점과 털이 있으며, 갓털은 흰색이고 4mm 정도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11월에 익는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방과 민간에서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에 약재로 쓰인다.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주로 골짜기의 시냇가 또는 들판의 습지에서 야생하거나 재배한다. 등골나물 이름의 유래는 <골짜기에서 많이 자란다>고 하여 또는 <줄기와 잎을 말리면 등나무 꽃향기가 난다>고 하여 또는 <잎맥 가운데 골이 도드라져 있다>고 하여 '등골나물'이라고 부른다. 꽃말은 '주저', '망설임'이다.  

등골나물의 꽃을
천금화[千金花=
qiān jīn huā=치앤후아: 본초승아반게(本草乘雅半偈)]라고 하여 함께 약용한다.

등골나물의 여러 가지 이름은
패란[佩蘭=pèi lán=페이: 본초재신(本草再新)], [蕑: 시경(詩經)], [蘭: 모시전(毛詩傳)], 난초[蘭草, 수향:水香: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도량향[都梁香: 이당지(李當之), 약록(藥錄)], 대택란[大澤蘭: 뇌공포자론(雷公炮炙論)], 연미향[燕尾香, 향수란:香水蘭: 개보본초(開寶本草)], 해아국[孩兒菊, 천금초:千金草: 속고금고(續古今考)], 성두초[省頭草: 당요경험방(唐瑤經驗方)], 여란[女蘭, 향초:香草: 본초강목(本草綱目)], 성두초[醒頭草: 득배본초(得配本草)], 석판[石瓣, 침미봉:針尾鳳: 광동중약(廣東中藥)], 난초[蘭草: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히요도리바나[ヒヨドリバナ=鵯花, 히요도리바나바이스우타이:ヒヨドリバナバイスウタイ, 오오히요도리바나:オオヒヨドリバナ: 일문명(日文名)], 난택향년초[蘭澤香年草], 산란, 택란, 등골나물, 벌등골나물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여름에 줄기와 잎이 무성하고 꽃이 피기 전에 지상 부분을 끊어서 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그늘에서 말린다."

[약재]


<중약대사전>: "말린 전초는 대부분 줄기가 곧고 분지가 적으며 원기둥 모양이거나 납작하며 지름은 1.5~4mm이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황록색이고 세로무늬와 뚜렷한 마디가 있으며 마디는 팽대하지 않았다. 질은 취약하여 잘 끊어지며 단면은 대체로 백색인데 인피부의 섬유가 뻗어져 나온 것이 보이고 목질부에 구멍이 성글 게 있으며 중앙에 고갱이가 있고 속이 빈 것도 있다. 잎몸은 주름이 많고 부서져 있으며 완전한 것도 대부분 3개로 갈라졌고 중앙의 열편은 비교적 크고 그 변두리에는 예리한 톱니가 있다. 양면에 모두 털이 없고 어두운 녹색 또는 녹색에 약간 황색을 띠며 얇고 취약하여 잘 부서진다. 미약한 향기가 있고 맛은 조금 쓰다. 마르고 잎이 많으며 녹색으로서 줄기가 적고 꽃이 피지 않았으며 향이 진한 것이 품질이 좋다.

중국의 서장(西藏)에서 쓰는 패란(
佩蘭)은 국화과 식물 대마엽택란(大麻葉澤蘭: Eupatorium Cannabinum L.)의 전초이다."

[성분]


1, <중약대사전>:
"난초의 전초는 정유 1.5~2%를 포함한다. 정유 중에는 P-isopropyl toluene(p-cymene), nerylacetate, 5-methyl thymol ether가 들어 있는데 앞의 양자는 influenza virus에 대하여 직접 억제 작용이 있다. 잎은 coumarin, ocoumaric aicid, thymohydroquinone을 함유하고 있다.

대마엽택란(大麻葉澤蘭)의 잎, 꽃에는 eupatoriopicrin과 sesquiterpene lactone을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또 eupatolin이 함유되어 있다.

상술한 두 가지 식물의 뿌리에는 모두 euparin이 함유되어 있다. 대마엽택란에는 또 dammaradienyl acetate, taraxzsterol, stigma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2, <약용식물대사전 65면>:
"배당체 쿠마린(cumarin) 이외에 티모히드로퀴논(thymohydroquinone)과 미네랄 등을 함유한다."

[포제(
炮製)]

<중약대사전>: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깨끗이 씻으며 꺼내어 밀폐하여 약간 축축하게 하고 나머지의 뿌리를 제거한 다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미]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3, <이고(李
)>: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4, <의림찬요>: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서늘하고 독이 없다."

5, <본초재신>: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서늘하고 독이 없다."

<꽃>


<
본초승아반게(本草乘雅半偈)>: "맛은 쓰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비(脾),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2, <본초강목>: "족태음(足太陰),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3, <뇌공포제약성해>: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4, <신농본초경소>: "수태음(手太陰), 족양명경(足陽明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줄기와 잎>


1, <중약대사전>: "서기(暑氣)를 제거하고 예(穢)를 배출시키며 습을 배출시키고 월경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다. 감수서습(感受暑濕), 한열(寒熱)두통, 온사내온(溫邪內
), 완비불기(腕不飢), 구감태이(口甘苔),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주로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고독(
毒)을 제거한다."

3, <뇌공포자론>: "혈을 생성하고 기(氣)와 영(榮)을 조절한다."

4, <명의별록>: "흉중(胸中)의 담벽(痰癖)을 제거한다."

5, <개보본초>: "달여서 목욕하면 풍을 치료한다."

6, <이고(李
)>: "진액을 생성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 기육(肌肉)을 촉촉하게 한다. 소갈증과 담(膽: 담자는 '비:脾'자를 잘못 적은 것이라고 짐작된다), 단(癉: 악성부스럼이나 황달)을 치료한다."

7, <본초강목>: "부스럼을 제거하며 월경을 조절한다."

8, <현대실용중약>: "방향성(芳香性) 건위, 발한, 이뇨약이다. 위한성(胃寒性) 두통, 비색증, 신경성 두통, 전염성 열병, 복통, 요신병(腰腎病), 결석 등을 치료한다."

9, <중약지>: "표사(表邪)를 발산시키고 습을 제거하며 중초를 조화시키고 탁기(濁氣)를 제거한다. 상서(傷暑) 두통, 무한(無汗) 발열, 흉민복만(胸悶腹滿), 구중첨이(口中甛
), 구취(口臭)를 치료한다."

<꽃>


<
본초승아반게(本草乘雅半偈)>: "꽃을 술로 달인 것은 체리(痢: 적리:赤痢의 한 종류)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
내복: 1.5~3돈(신선한 것이면 3~5돈)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배합과 금기
(주의사항)]


<중약대사전>: "
음허(陰虛), 기허(氣虛)한 증에는 복용을 금한다. 위기(胃氣)가 허(虛)한 사람은 쓰지 못한다."

등골나물의 효능
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패란(佩蘭)

[기원]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등골나물(Eupatorium chinense var. simplicifolium Kitamura)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맵고, 약성은 평범하다.

[효능주치]
화습(化濕), 거서(祛暑)한다.

[임상응용]


1. 여름철에 습(濕)이 비위(脾胃)에 정체되어 일어나는 소화불량, 복부창만, 구토, 설사 등에 응용된다.

2. 습열(濕熱)로 인한 소화장애 및 설태가 끼고, 갈증과 소갈증에도 활용된다.

[임상연구]
뱀에 물렸을 때 짓찧어 환처에 붙인다.

[약리]
유행성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작용이 있다.

[화학성분]
α-amyrin acetate, α-amyrin, friedelin, β-sitosterol, coumarin, palmitic acid, caryophyllene oxide, caryophyllene, elemene, humulene, borneol, myrtenal, bergamotene, α-bergamotene, β-farnesene, borioyl acetate, cubebene, γ-cadinene, α-cadinol, β-bisabolene, nerolidol, hexene-1-ol, pinene, camphene, benzaldehyde, myrcena, bornylene, phellandrene,ρ-cymene, pinocarveol, limonene, linalool, linalool oxide, ρ-cymene-α-ol, α-terpineol, geranial, carvacrol, eugenol, β-boulbonene, dibutylphthalate, hexadecanoic acid, n-nonanal 등을 함유하고 있다.
]

img1.jpg
[등골나물의 세밀화, 사진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벌등골나물, 등골나물, 골등골나물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03면 63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벌등골나물(Eupatorium fortunei Turcz.)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1.5m 가량.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8~9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백색이며 길이는 3mm 가량이다.

분포/
중부 이남의 냇가나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패란(
佩蘭)이라고 하며, 해서(解暑), 거습(祛濕), 조경(調經)의 효능이 있고, 한열동통, 완비불기(脘不飢),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성분/
p-cymene, nerylacetate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p-cymene, nerylacetata는 influenz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줄기에 꼬부라진 털이 있어 깔깔한 등골나물(E. chinensis L.), 잎에 잎자루가 없고 맥이 3개 있으며 끝이 둔하고 때로는 3개로 깊게 갈라지는 골등골나물(E. lindleyanum DC.)도 약효가 같다.]

벌등골나물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203면 880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패란(佩蘭)

기원: 국과(菊科=국화과: Compositae)식물인 난초(蘭草=벌등골나물: Eupatorium fortunei Turcz.)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70-12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중부의 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고 통상 3개로 심열(深烈)하며 열편(裂片)은 장원상(長圓狀) 피침형(披針形)이고 잎가장자리에는 거치(鋸齒)가 있고, 상부잎은 비교적 작고 통상 분열되지 않는다. 두상화서(頭狀花序)가 취산화서(聚傘花序) 형태로 나타나고, 총포편(總苞片)은 10개인데 2-3열(列)로 배열하고, 각 두상화서에는 꽃이 4-6송이가 달려있으며, 꽃은 양성이고 전체는 통상화(筒狀花)이며 백색(白色)이고 선단(先端)에는 5치열(齒裂)이 있고, 수술은 5개이고 취약(聚藥)이다. 과실(果實)은 수과(瘦果)로 5개의 능선이 있고 성숙시에는 흑갈색(黑褐色)이다.



분포: 시냇가나 평원의 습한 곳에서 나고 또한 재배하기도 한다. 중국의 하북(河北), 광동(廣東), 사천(四川)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줄기와 잎이 무성하게 생장하고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성분: p-cymene, nerylacetate.

기미: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발표거습(發表祛濕), 화중화탁(和中化濁).

주치: 상서두통(傷暑頭痛), 무한발열(無汗發熱).

용량: 5-10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841.]

벌등골나물의 효능에 대해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03면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벌등골나물(Eupatorium fortunel Turcz.)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0.5m 가량.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8~9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백색이며 길이는 3mm 가량이다.

분포/
중부 이남의 냇가나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패란(佩蘭)이라고 하며, 해서(解暑), 거습(祛濕), 조경(調經)의 효능이 있고, 한열두통, 완비불기(脘
痞不肌),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성분/
p-cymene, nerylacetate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p-cymene, nerylacetate는 influenz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참고/
줄기에 꼬부라진 털이 있어 깔깔한 등골나물(E. chinensis L.), 잎에 잎자루가 없고 맥이 3개 있으며 끝이 둔하고 때로는 3개로 깊게 갈라지는 골등골나물(E. lindleyanum DC.)도 약효가 같다.]
 

등골나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비단구감(脾
口甘)
난초(蘭草: 등골나물)를 물로 달여서 먹는다. [소문(素問)]

2, 5월 곰팡이의 습사(濕邪), 예탁(
穢濁)한 기(氣)의 치료
상사화뿌리를 보드랍게 짓찧은 즙액을 상처에 바른다. [시병론(時病論), 방향화탁법(芳香化濁法)]

3, 추후복서(秋後伏暑)로 새 증상이 촉발되는 경우의 치료

곽향엽(藿香葉) 1.5돈, 패란엽(
佩蘭葉) 2돈, 박하엽(薄荷葉) 1돈, 동상엽(冬桑葉) 2돈, 대청엽(大靑葉) 3돈, 신선한 죽엽(竹葉) 30개를 청약엽(靑葉) 1냥, 활수노순(活水蘆筍) 2냥의 턍액으로 달여 복용한다. [증보평주온병조변(增補評註溫病條辨), 칠엽노근탕(七葉蘆根湯)]

4, 초기의 열병, 몸에 고열이 나며 등에 약간의 오한이 있고 열이 나며 한기(寒氣)가 없고 구갈이 몹시 나고 땀이 많이 나고 또한 낯이 불결하고 치아가 마르며 심번오뇌(心煩懊
)한 증상
곽향엽(藿香葉) 1돈, 박하엽(薄荷葉) 1돈, 패란엽(
佩蘭葉) 1돈, 하엽(荷葉) 1돈을 비파엽(枇杷葉) 1냥, 수노근(水蘆根) 1냥, 신선한 동과(冬瓜) 2냥의 탕액으로 달여 복용한다. [중정광온열론(重訂廣溫熱論), 오엽노근탕(五葉蘆根湯)]

등골나물의 꽃에 대해서 중국의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에서는 말하기를 "천금화(千金花)는 맛이 쓰고 향기로우며 술에 담그면 이수도(利水道)하고 통기(通氣)하여 사방에 퍼지게 하는 효능이 있기에 체하(적리의 한 종류)를 치료한다."고 적고 있다.

위염 등으로 몸에 부종이 있으면, 하루 등골나물 10g에 물 2컵(360~400cc)을 넣어 반이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식사 사이에 3회 나누어 마시면 이뇨작용을 돕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골나물 1~2웅큼을 헝겊주머니에 넣어 목욕제로 사용하면, 보온효과가 있고, 어깨결림, 신경통 등의 통증을 줄여주며 피로회복에 좋다.

등골나물의 유래는 꽃이 등나무색을 띠고 등나무꽃의 향과 같아서 이름이 '등골나물'이 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기름과 섞어서 여성의 머리카락에 윤기를 내는 데 사용하였기 때문에
난택향년초(蘭澤香年草)라 불렀으며, 이것이 줄어서 한자이름인 '난초(蘭草)'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등골나물 사진 감상: 1, 2, 3, 4, 5, 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등골나물 상세 사진 일본 웹사이트: 1, 2, 3,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볼 수 있습니다.

 

 

  1. 골등골나물 무엇인가?
  2. 등골나물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등골나물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