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대풀(택칠) 무엇인가?

옛날 등잔을 다는 등잔걸이와 닮은 풀 등대풀

 

 

 

 

 

 

 

 

 

 

[등대풀의 전초, 잎 뒷면, 꽃,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해열작용, 이뇨작용, 사하작용, 축수소종, 산결, 살충, 간경화복수, 신홍성 피부염, 결핵균 생장 억제, 행수, 소담, 살충, 해독, 전신이 부었을 때, 복수가 찼을 때, 수기로 전신이 크게 붓고 수족의 힘이 없어지며 천식으로 불안정하여 배에서 소리가 나고 창만하며 눈이 보이지 않는 증상, 수종이 전신에 퍼지고 기급천수(기침이 나고 숨이 가쁜증상), 소변이 피처럼 붉고 탁한 증상, 수기, 폐원성 심장병, 심하에 공기 크기의 종기가 생기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상, 각기적종으로 걸으면 아픈 증상, 나력, 골수염, 선창유충, 신경성 피부염, 결핵성 누관[임상보고], 세균성 이질[임상보고], 식도암[임상보고], 유행성이하선염의 예방과 치료[임상보고], 무황달형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천식, 기침, 수종, 해소, 임파선결핵, 피부열, 정력부족, 대소장을 이롭게 함, 눈을 밝게 함, 학질(말라리아), 기생충 구제, 무명종독, 매독, 이질, 유행성볼거리염을 다스리는 등대풀

등대풀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두해살이풀이다.

등대풀의 학명은 <
Euphorbia helioscopia L.>이다. 전초에 유즙이 들어 있어 마치 옻나무액처럼 흘러나온다고 하여 <택칠(澤漆)>이라고 부른다.

산골짜기, 길가, 습지, 거친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둥근 기둥 모양이고 뭉쳐나며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높이는 25∼35cm이며, 윗 부분에 긴 털이 있고 줄기를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주걱 모양의 거꾸로 선 달걀 모양 또는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다. 길이 1∼11cm, 나비 6∼20mm이고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가지가 갈라지는 끝부분 밑에서 5개의 잎이 돌려난다. 가는 톱니가 있다.

총포(總苞) 잎은 넓은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고, 꽃이삭에는 많은 배상꽃차례(杯狀花序)가 달린다. 작은 총포는 황록색이고 합쳐져서 단지처럼 되며, 위쪽만이 4개의 포(苞)조각으로 되고 총포 안에는 1개의 암꽃과 몇 개의 수꽃이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종자는 갈색으로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8mm이다. 표면에 망상 무늬가 있고 익으면 갈색이 된다. 개화기는 4~5월이다.

우리나라 제주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경기도 등지에 분포한다.

등대풀의 여러 가지 이름은
택칠[澤漆=
qī=: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칠경[漆莖: 광아(廣雅)], 묘아안정초[猫兒眼睛草, 오봉령지:五鳳靈枝: 이참암본초(履岩本草)], 오봉초[五鳳草, 녹엽녹화초:綠葉綠花草: 본초강목(本草綱目)], 양산초[傘草: 질문본초(質問本草)], 오잔등[五盞燈, 오타운:五朶雲: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백종유초[白種乳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오점초[五點草, 오등두초:五燈頭草, 유장초:乳漿草: 강소식물지(江蘇植物誌)], 종수과[腫手棵, 마호안:馬虎眼: 산동중약(山東中藥)], 도독산[倒毒傘, 일파산:一把傘: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유초[乳草: 천주본초(泉州本草)], 용호초[龍虎草, 철골산:鐵骨傘: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토우다이구사[トウダイグサ=燈台草: 일문명(日文名)], 등대대극, 등대초, 등대풀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약대사전>: "4~5월에 개화기에 채취하여 뿌리와 흙모래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약재]


<중약대사전>: "마른 전초는 몇 토막으로 잘라져 있으며 때로는 황색 육질의 주근이 섞여 있는 경우도 있다. 뿌리는 두부에 조밀한 고리 무늬가 있고 외표에는 불규칙한 세로무늬가 있으며 단면은 백색이고 목질부는 방사상(放射狀)이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선명한 황색 내지 황갈색이며 표면은 광택이 있고 매끄럽지만 선명하지 않은 세로무늬가 있으며 어긋나고 갈색의 선(線) 모양 엽흔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잎은 짙은 녹색이고 보통 주름이 있으며 부서져 있거나 탈락해 있다.

줄기 선단에 다수의 작은 꽃 및 회색 삭과가 있다. 총포는 녹색이고 보통 부서져 있다. 냄새는 시고 특잏며 맛은 담담하다. 건조되고 뿌리가 없는 것이 품질이 좋다."

[성분]


<중약대사전>: "quercetin-5, 3-di-D-galactoside, phasin, triterpen, butyric acid, helioscopiol, C21 H44 O, β-dihydrofucosterol, 포도당, 과당, 맥아당 등을 함유한다. 유즙에는 m-hydroxy-phenylglycine, 3, 5-dihydroxy benzoic acid가 함유되어 있고 건조한 유즙에는 caoutchouc(polyterpene) 13%, 수지 62%, 수용성 물질 25%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수분 7.74%, 지방유 32.61%, 단백질 17.43%, 셀룰로오스 33.82%, 당과 글루코시드 2.18%가 함유되어 있다. 지방유는 건성이고 강한 사하작용이 있다."

[약리작용]


<중약대사전>: "택칠은 in vitro에서 결핵균에 대해 작용하지 않지만 매우 높은 농도(1:50~100)에서 결핵균의 생성을 억제한다. 이밖에 택칠과 스트렙토마이신, 이소니아지드 등과의 협력 효과를 실험했지만 농도가 너무 높았기 때문에 실제적인 가치는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다. 경엽의 탕제 5.4g(생약)/kg을 위에 주입하면(주사한 경우는 작용이 뚜렷하지 않다) 인공적으로 발열시킨 토끼에 대해 체온을 내리는 작용이 약간 있고 뿌리의 제제에는 뚜렷한 작용은 없고 퇴열 작용은 하수체-부신계와 그다지 관곅 없는 것 같다. 뿌리의 제제는 토끼의 적출한 귀에 대하여 혈관 확장 작용이 있고 토끼, guinea pig, mouse의 적출한 장관에 대하여 흥분 작용이 있으며 히스타민의 guinea pig에 대한 독성에 길항할 수 없으나 혈관의 투과성을 낮게 할 수 있다. 이 약의 독성은 매우 적다. mouse의 위에 125g/kg을 주입해도 죽지 않는다. 토끼에게 10~20% 택칠 엑스의 수성 현탁제를 경구 투여하면 자극성이 있다. 택칠고(澤漆膏: 1g은 생약 5g에 해당한다)와 피마자유(아주까리기름: 10:1)를 조합한 유고(油膏)는 mouse에 주혈흡충 유충의 기생을 예방하는 작용이 있다. 유액은 자극성 나무진을 함유하여 국소에 접촉하면 피부가 빨갛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짓물러서 사마귀를 부식시킨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있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3, <명의별록>: "맛은 맵고 독이 없다."

4, <당본초>: "독이 조금 있다."

[귀경]


1, <중약대사전>: "대장(大腸), 소장(小腸), 비경(脾經)에 들어간다."

2, <득배본초>: "수양명(手陽明), 태양경(太陽經)의 기분(氣分)에 들어간다."

3, <본초촬요>: "수족태양경(手足太陽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담(痰)을 삭이며 살충,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수기(水氣) 부종과 창만, 담음천해(痰飮喘
), 학질, 나력(瘰癧), 선창(癬瘡), 결핵성 루관(瘻管), 골수염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주로 피부열, 대복수기(大腹水氣), 수족이나 얼굴의 부종, 남자의 정력 부족을 치료한다."

3, <명의별록>: "대소장(大小腸)을 이롭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4, <약성론>: "기열(肌熱)을 제거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5, <당본초>: "수기(水氣)를 제거한다."

6, <일화자제가본초>: "학질을 멎게 하고 담을 제거하며 열을 내린다."

7, <본초비요>: "지해(止咳), 기생충을 구제한다."

8, <식물명실도고>: "달여서 고제(膏劑)를 지어 무명종독에 바른다."

9, <귀주민간방약집>: "내복하면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10, <사천중약지>: "모든 악독, 매독을 치료한다."

11, <강서, 초약수책>: "림프절 결핵을 치료한다."

12, <고원중초약치료수책>: "골수염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1~3돈을 물로 달이거나 졸여서 고제(膏劑)를 만들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끓여서 고제(膏劑)를 만들어 바르거나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배합과 금기
(주의사항)]

1, <신농본초경집주>: "소두(小豆)를 사(使)로 한다."

2, <득배본초>: "기혈(氣血)이 허(虛)한 환자는 복용하면 안 된다."

등대풀의 효능에 관해서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865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택칠(澤漆)

[기원]
대극과의 두해살이 초본식물인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L.)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약성은 따뜻하다.

[효능주치]
행수(行水), 소담(消痰), 살충(殺蟲), 해독(解毒)한다.

[임상응용]


1. 전신이 부었을 때와 복수(腹水)가 찼을 때에 이뇨작용이 강력하다.
2. 담음(痰飮)이 쌓여서 천식, 해소를 일으킬 때도 유효하며, 골수염, 결핵성누관염, 임파선결핵에도 쓰고, 이질에도 효력이 나타난다.

[임상연구]


1. 결핵성누관염에 달인물을 농축시켜 고약(膏藥)상태로 만든 다음 환처에 1일 1회 붙여서 치료한다.

2. 세균성이질에 현저한 반응을 나타냈고, 식도암에 약침제제로 유효성을 나타냈다.

3. 유행성볼거리염에도 40g을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복용하여 효력을 보였다.

4. 전염성황달형간염에도 고약(膏藥)상태로 만들어 물에 타서 복용하고 간장(肝臟)의 비대와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약리]
결핵균의 생장을 억제시키고, 달인물은 해열작용을 보인다.

[화학성분]
Quercetrin-5, 3-di-D-galatoside, phas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등대풀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면 164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택칠(澤漆)

기원: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식물인 택칠(澤漆=등대풀: Euphorbia helioscopia L.)의 뿌리이다.

형태: 일년생(一年生) 혹은 이년생(二年生) 초본(草本)으로 높이는 30cm에 달하며 털은 없고 흰색의 유즙(乳汁)을 낸다. 잎은 어긋나고 도란형(倒卵形) 혹은 숟가락 모양이며 길이는 2∼3cm 너비는 1∼1.8cm로서 잎 끝은 둔원두(鈍圓頭)이거나 미요두(微凹頭)이고 엽저(葉底)는 넓은 설형(楔形)이며 잎 가장자리는 상부에 거치(鋸齒)가 있고, 잎모양의 포편(苞片) 5개가 줄기 끝에서 난다. 여러 갈래로 나뉘는 취산화서(聚傘花序)가 정생(頂生)하며 배상화서(杯狀花序)는 종모양이며 황갈색(黃綠色)이고, 총포(總苞)는 4조각으로 나뉘고 그 사이에는 신장형의 선체(腺體)가 4개 있으며 자방(子房)은 3실(室)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털이 없다.



분포: 길가, 들, 도랑가에서 자란다. 중국의 영하(寧夏) 및 화동(華東), 중남(中南), 서남(西南)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 여름, 가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함해피소(含檞皮素)-3, 5-이반유당대(二半乳糖甙), phasin등.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며 독이 있다.

효능: 축수소종(逐水消腫), 산결(散結), 살충(殺蟲).

주치: 수종(水腫), 간경화복수(肝硬化腹水), 균이(菌痢) ; 외용(外用)- 임파선결핵(淋巴腺結核), 신홍성 피부염(神紅性 皮膚炎).

용량: 3∼9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469면.]

등대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수기(水氣)로 전신이 크게 붓고 수족의 힘이 없어지며 천식으로 불안정하여 배에서 소리가 나고 창만하며 눈이 보이지 않는 증상

택칠근(澤漆根) 뿌리 10냥, 이어(魚鯉: 잉어) 5근, 적소두(赤小豆) 2되, 생강 8냥, 복령(茯
) 4냥, 인삼(人蔘), 맥문동(麥門冬), 감초 각각 2냥을 잘게 썬다. 물 1말 7되로 먼저 이어(魚鯉: 잉어)와 적소두를 고아서 7되로 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기타 약재를 넣고 4.5되가 되게 끓인다. 1회에 3홉씩, 1일 3회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환자는 2홉을 쓰며 기(氣)가 내리고 천식이 멎도록 4홉까지 복용할 수 있다.

1주일이 지나면 소변이 나오고 종기(腫氣)가 감소되거나 소당(小
)이 내린다. [천금방(千金方), 택칠탕(澤漆湯)]

2, 수기(水氣)

여름에 택칠(澤漆)의 어린 잎 10근을 채취하여 술 1말에 넣고 갈아서 즙을 약 2말 받아서 약한 불에 물엿처럼 고아서 도기(陶器)에 넣는다. 매일 공복에 알맞게 데운 술로 개어서 1찻숟가락씩 치유될 때까지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3, 수종이 전신에 퍼지고 기급천수(氣急喘嗽: 기침이 나고 숨이 가쁘다), 소변이 피처럼 붉고 탁한 증상

약간 볶은 등대풀잎 5냥, 노랗게 구워서 잘게 썬 상근백피(桑根白皮) 3냥, 백출(白朮) 1냥, 온탕(溫湯)에 담그고 피(皮), 선단, 쌍인(雙仁)을 제거하고 볶은 행인(杏仁: 살구씨) 1.5냥, 탕(湯)에 담가서 흰 것을 제거하고 볶아서 말린 진규리(陳橘피) 1냥, 인삼(人蔘) 1.5냥을 거칠게 찧어서 체로 친다. 1회 5전비(錢匕)를 물 1.5컵과 대추 크기의 생강 1개를 두드려 으깬 것과 함께 8할 정도로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온복한다. 누런 물 3되 및 소변이 나오면 복용을 중지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택칠탕(澤漆湯)]

4, 폐원성(肺原性) 심장병

신선한 등대풀의 줄기와 잎 2냥을 깨끗이 씻고 잘게 썰어 물 1근과 계란 2개를 넣어 푹 끓여서 껍질을 제거하고 구멍을 뚫어 다시 몇 분간 끓인다. 먼저 계란을 먹고 다음에 탕(湯)을 마신다. 1일 1첩을 복용한다. [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5, 심하(心下)에 공기 크기의 종기가 생기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상

달인 정력(
葶藶) 2냥, 대황(大黃) 2냥, 등대풀 4냥을 찧어서 체로 치고 밀환(蜜丸)과 함께 섞어서 절구에 1,000회 찧는다. 1회에 벽오동씨 크기의 환제 1환을 1일 3회 복용한다. 약간 양을 늘려 복용해도 된다. [보결주후방(補缺後方)]

6, 각기적종(脚氣赤腫)으로 걸으면 아픈 증상

썰어서 짓찧은
묘아안정초(猫兒眼睛草: 등대풀) 적당량, 노사등(
鷺鷥藤), 봉과(蜂窠) 각각 같은 양을 1회 1냥에 물 5사발을 붓고 3사발이 되게 달여서 뜨거울 때 환부를 쐬고 씻는다. [이참암본초(履岩本草)] 

7, 나력

묘아안정초(猫兒眼睛草: 등대풀) 1~2 묶음에 우물물 2두레박을 붓고 1두레박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1사발이 되게 다시 달여서 병에 넣는다. 매회 초(椒), 총(蔥), 괴지(槐枝)를 달여 창(瘡)을 깨끗이 씻고 고제(膏劑)를 바른다. [편민도찬(便民圖纂)]

8, 골수염

등대풀, 추모단근(秋牡丹根), 철선련(鐵線蓮), 포공영(蒲公英: 민들레), 자근(紫菫), 감초를 달여서 복용한다. [고원중초약치료수책(高原中草藥治療手冊)]

9, 선창유충(癬瘡有蟲)

묘아안정초(猫兒眼睛草: 등대풀)를 햇볕에 말리고 가루내어 참기름으로 개어서 바른다. [위생이간방(衛生易簡方)]

10, 신경성 피부염

신선한 등대풀의 백장(白漿: 흰유액)을 선(癬) 위에 바르거나 저수엽(楮樹葉)을 찧어서 섞어 바른다. [형제성시중초약단방험방신의료법선편(兄第省市中草藥單方驗方新醫療法選編)]

11, 결핵성 루관(瘻管)
(임상보고)
묘아안정초(猫兒眼睛草: 등대풀)를 깨끗이 씻고 잘게 썰어서 2~3회 비등하게 달여서 황갈색의 전즙(煎汁)을 여과하고 그것을 다시 약한 불에 달여서 흑갈색의 액체성 엑스(liquid extract)로 만든다. 엑스를 가제에 바르고 1일 1회 환부에 붙인다. 또는 액체성 엑스(liquid extract) 2~3방울을 10~12ml이 증류수로 묽게 하여 가제 조각에 묻혀 루관(瘻管)에 삽입한다. 1일 1회 교환한다. 경부 림프절 결핵, 요(腰), 천추(荐
) 결핵(서혜부의 종기가 곪아 터진 것) 및 액하 림프절 결핵이 곪아 터진 증상 등, 각각 1례에 사용한 결과 치료 기간 18~88일에 모두 치유되었다. 어느 보고에 의하면 등대풀 엑스로 결핵성 치루를 치료한 58례에서 단순형은 22례, 복잡형은 36례이었고 수술하여 관도(管道)를 절개하고 부패한 조직을 절제한 후, 비교적 작은 상처 부위에는 골고루 바르고 비교적 큰 상처 부위에는 등대풀 엑스를 바른 가제를 붙여서 15~120일 치료한 결과 모두 치유되었으며 재발한 경우는 단 1례도 없었다. 그러나 엑스의 자극성이 비교적 크고 각기 정도가 다른 통증이 있으므로 진통제를 적당히 써야 했다. 새 상처 부위에는 소량을 쓰고 상처가 부패하고 분비물이 많은 경우에는 양을 많이 쓴다. [중약대사전]

12, 세균성 이질
(임상보고)
① 농축 탕제: 등대풀 1kg을 깨끗이 씻고 잘게 썰어서 2회 달이고 여과하여 1,000ml로 농축시키고 방부제를 적당량 넣는다. 성인은 1회 5ml를 1일 3회 복용하고 아동은 적당히 감량한다.

② 충제: 1g이 신선한 등대풀 13g에 상당하게 조제한다. 성인은 1회 2~3g씩 1일 3회 복용하고 소아는 적당히 감량한다.

급성 세균성 이질 79례를 치료한 결과 현효는 44례, 유효는 13례였다. 만성 세균성 이질이 급성 발작한 1례는 무효였다. 만성 천연성 세균성 이질 2례에서 현효가 1례, 무효가 1례였다.

체온의 정상 회복 일수는 1.55일, 대변 횟수의 정상 회복 일수는 2.17일, 복통의 소실 일수는 2.68일, 우측 하복부 압통 소실 일수는 2.46일, 이급 후중의 소실 일수는 1.97일, 대변 성형 2.7일이었다. 실험실에서의 세균 억제 실험에서 증명된 것은 등대풀의 농축 탕제는 이질 간균에 대해 어느 정도의 세균 억제 작용이 있었는데 그 효능은 신토미신보다 낮다. [중약대사전]


13, 식도암
(임상보고)
20% 등대풀 중성 사포닌 주사액을 1일 1회, 1회 2ml를 근육 주사하고 15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병례의 관찰은, 초진시의 식사 정황에 따라 5급으로 나누었다. 즉 전혀 식사를 못하는 환자, 우유를 먹을 수 있는 환자, 죽을 먹을 수 있는 환자, 진밥을 먹을 수 있는 환자, 된밥을 먹을 수 있는 환자이다. 치료 후 식사 상태가 1단계가 높아진 것을 호전, 2단계가 높아진 것을 현효, 어떤 음식물이나 먹을 수 있게 된 것을 임상 치유로 보았다.

이와 같은 기준으로 관찰한 64례 중에서 임상 치유는 10례, 현효는 18례, 호전은 30례, 무효는 6례였다.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시간은 보통 투약 후, 3~5일이었다. 그러나 바륨 죽에 의한 식도 X-선 사진 검사에 의하면 식도암 종양의 축소와 임상 식사 상태의 개선은 그다지 일치하지 않았다. 이것은 등대풀의 중성 사포닌이 종양을 부드럽게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험실 검사에서 용혈 현상과 간장, 신장의 장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혈액상에도 이상한 변화는 없었다.

이미 방사 치료를 실행했거나 국소의 조직 검사를 한 경우 및 국소 부식성 약물을 사용한 경우는 효과가 없었다. [중약대사전]

14, 유행성이하선염의 예방과 치료
(임상보고)
등대풀 50g(마른 것은 25g)에 물 300ml를 넣고 달여서 150ml로 농축시켜 1회 50ml, 1일 3회, 병이 나을 때까지 복용한다. 치료를 받은 140례는 평균 3~7일에 치유되었고 합병증이 생긴 예는 없었다. 열이 높은 어린이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대증(對證) 치료를 같이 했다. 유행 기간 중 밀접히 접촉한 자에 대해 예방용으로 쓰기 위해서는 보통 상술한 투여량을 연속 3일간 복용시킨다. [중약대사전]

15, 무황달형 전염성 간염
(임상보고)
등대풀로 정제나 엑스를 만들어 복용한다. 정제는 1회 6~8회(1개의 함량은 0.2g), 엑스는 1회 2g, 평균 1일 3회, 식후에 복용 후 끓인물을 많이 마시고 약간 휴식하면 좋다. 25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보통 병례는 1치료 기간의 치료를 거치면 된다.

기간이 비교적 굳어지거나 간장 기능에 뚜렷한 변화가 있는 환자는 2~3치료 기간이 필요하다. 100례의 관찰에서 1치료 기간 내의 치유(증상의 소실, 간장 기능의 정상 회복)가 1례, 기본 치유(증상이 기본적으로 소실되고 간 비대가 1cm 이내이며 간장 기능이 기본적으로 정상인 것)이 10례, 무효가 31례이다. 대조군(양약)의 치료 효과보다 좋다.

본품은 증상의 소실과 개선, 간비(肝脾)의 반발 및 간장 기능 회복에 대해 상당한 치료 효과가 있다. 장기적인 효과는 아직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관찰해야 한다. 치료 기간 중 일부 환자는 구갈과 다뇨를 호소했지만 다른 나쁜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본초강목(本草綱目)>:
"등대풀은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대극(大戟)과 비슷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줄기에 백즙(白汁)이 있는 것을 보고 대극(大戟)이라고 오인하는데 대극(大戟)의 뿌리와 싹은 모두 독이 있고 설사하게 하지만, 등대풀의 뿌리는 단단하고 쓰지 않으며 싹도 독이 없어 나물로 먹을 수 있으며 남자의 음기를 성(盛)하게 한다."

2, <본초휘언(本草彙言)>:
"등대풀은 주치 효능이 대극(大戟)과 같고 대극(大戟)과 비교하여 약간 완화하며 원기를 그다지 상하게 하지 않는다. 그러나 성질은 주설(走泄)하기 때문에 위허(胃虛)한 사람은 소량을 쓰는 것이 좋다."

3, <본초술(本草述)>:
"등대풀이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것은 대극(大戟)과 비슷하지만 이시진(李時珍)은, 대극(大戟)은 사람을 설사하게 하고 등대풀은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남자의 음기를 돕는다고 하였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도 남자의 음기 부족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의방고전(醫方古典)에 수(水)는 음기(陰氣)라고 하였다. 주(注)에 사수(邪水)의 음(陰)은 진음(眞陰)이 아니라고 했으며 이것을 생각할 때, 만약 그 특성이 이수(利水)라면 왜 사수(邪水)를 행(行)하게 하지 못하겠는가. 또한 진음(眞陰)이 상하지 않는 일은 있을 수 없다. 단지 사수(邪水)를 행(行)하여 진음(眞陰)이 반대로 보익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처방책에서 이 미(味)는, 수종상기(水腫上氣)와 이후부종(痢後浮腫)에는 반드시 백출(白朮), 상백피(桑白皮), 욱리인(郁李仁)과 함께 쓰고 이렇게 하면 반드시 익조비(益助脾)하며 화기(化氣), 개결(開結)하는 것은 또한 서로 돕는 이치이며 특히 도약(導藥)으로써의 효과를 낸다. 즉 이후종만(痢後腫滿), 기급천해(氣急喘咳), 혈(血)과 같은 소변을 치료하고 축제대(逐諸隊)하기 위해 다시 삼(參), 출(朮)을 같이 행(行)하게 하면 명현제(暝眩劑)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치수용(治水用)으로는 이 미(味)가 좋다."

4, <장사약해(長沙藥解)>:
"등대풀은 성질이 고한(苦寒)하며 설수(泄水)하기 때문에 담음조격(痰飮阻格)의 해수를 치료한다."

[비고(備考)]


<본초강목(本草綱目)>:
"<명의별록(名醫別錄)>, 도씨(陶氏)는 모든 택칠(澤漆)은 대극묘(大戟苗)라고 하였고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는 대전화(大戰花)이고 그 묘(苗)는 먹을 수 있다고 하였지만 대극묘(大戟苗)는 사람을 설(泄)하게 하여 나물로 쓸 수 없다. 오늘날 <토숙본초(土宿本草)>, <보장론(寶藏論)>의 제서(諸書)를 살펴보면, 택칠(澤漆)은 묘아안정초(猫兒眼睛草: 등대풀)라고도 하며 강호(江湖) 지방의 원택(原澤), 평륙(平陸)에 많이 있다. 봄에 모가 생기고 1개가 분지하여 뭉쳐나며 어린줄기은 마치현(馬齒
: 쇠비름)과 같고 푸른 잎은 목숙(苜蓿: 자주개자리=알팔파)과 같으며 잎은 둥글고 황록색이며 묘정(猫睛: 고양이 눈동자)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묘아안(猫兒眼)이라고 한다. 줄기 윗부분은 대개 5엽(葉)이고 중간 정도에서 갈라지며 작은 줄기 5가지가 뻗어나오고 가지마다 작은 꽃이 피고 청록색이다. 또한 작은 잎이 이것을 받치고 있으며 1개처럼 정연하기 때문에 오봉초(五鳳草), 녹엽녹화초(綠葉綠花草)라고도 한다. 초경(莖)에는 흰 즙이 있고 찐득찐득하며 뿌리는 백색이고 경골(硬骨)이 있다.

이것을 대극묘(大戟苗)라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이것에 의하면 택칠(澤漆)은
묘아안정초(猫兒眼睛草: 등대풀)이고 대극묘(大戟苗)는 아니다. 오늘날 방가(方家)는 수고각기(水蠱脚氣)를 치료하는 데 쓰고 유효하며 특히 신농(神農)의 본문과 같다. 한 대(漢代)의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 대극묘(大戟苗)라고 잘못 썼기 때문에 제가(諸家)는 이것을 답습하고 있다. 잘 살펴서 써야 한다."

등대풀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모습이 옛날 등불을 올려 놓는 등잔걸이와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등대풀>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등대풀 사진 감상: 1, 2, 3, 4, 5, 6,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의 비슷한 식물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개정향풀(나포마) 무엇인가?
  2. 대극 무엇인가?
  3. 감수(개감수) 무엇인가?
  4. 등대풀(택칠) 무엇인가?
  5. 망종화 무엇인가?
  6. 복수초 무엇인가?
  7. 부자 무엇인가?
  8. 은방울꽃(영란) 무엇인가?
  9. 정향풀(수감초) 무엇인가?
  10. 천오두 무엇인가?
  11. 천웅 무엇인가?
  12. 초오두(투구꽃) 무엇인가?
  13. 협죽도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등대풀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