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쑥 무엇인가?

솜털로 쌓인 어린전초를 씹으면 껌처럼 되는 떡쑥

 

 

 

 

 

 

 

 

 

 

 

[떡쑥의 어린잎,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JDM직접 촬영 및 구글 이미지 검색]

▶ 지해작용, 위궤양을 치료하는 작용, 혈압을 떨어뜨리는 작용, 평천지해, 강혈압, 거풍습, 효천, 감모(감기), 만성 기관지염(임상보고), 초기 독정, 무명종독, 대구창(후두부에 생긴 창), 비종에 의한 부종, 백대하, 각슬의 종통, 타박상, 풍한에 의한 감기, 추위로 생기는 기침, 해수에 의한 다담, 일체의 노해수, 옹체흉격비만(흉격이 막히고 답답한 느낌), 후화 제거, 근골동통, 벌레를 제거하는데, 동통을 진정시키는데, 경풍, 여러 가지 체기, 소아의 감, 매독, 하감, 낭풍습양, 한기에 의한 기침, 풍한으로 인한 한열, 추위로 인한 해수와 담, 폐증의 한을 제거, 폐기를 크게 상승시키는데, 비위의 통증, 위기를 고르게 하는데, 원기를 북돋우는데, 설사를 멎게 하는데, 담을 제거하는데, 계절성 사기를 누르고 열수를 제거하는데, 비한한열을 치료하는데, 비전염성 궤양 및 상처를 치료, 해수, 잠두병(급성 용혈성 빈혈), 간염, 근골통, 해수, 가래, 천식, 기관지염, 감기몸살에 효과, 근육통, 요통, 관절염, 위궤양, 피부가려움증을 다스리는 떡쑥

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학명은 <Gnaphalium affine>이다. 괴쑥, 솜쑥이라고도 한다. 들과 밭, 산비탈, 길가,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우리나라 전지역에 분포한다. 줄기는 밑동에서 갈라져 곧게 서고 전체에 흰색 털이 덮여 흰빛이 돌며 높이가 15∼4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쯤 말라죽는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고 주걱형 또는 거꾸로 세운 바소 모양이며 길이가 2∼6cm, 폭이 4∼12m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 부분은 둥글거나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줄기로 흐른다.

꽃은 5∼7월에 노란 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두상화(頭狀花: 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많은 작은 꽃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달리는데, 두상화의 가운데에 통 모양의 양성화가 있고 가장자리에 실 모양의 암꽃이 있다. 총포는 구형의 종 모양이고 길이가 3mm이며, 총포조각은 3줄로 배열하고 누런빛을 띠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다.

열매는 수과이고, 관모는 길이가 2.5mm이고 황백색이 돌며 밑 부분이 완전히 합쳐지지 않는다. 어린 것은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서국초(鼠麴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수, 가래, 천식, 기관지염, 감기몸살에 효과가 있고, 근육통, 요통, 관절염, 위궤양, 피부가려움증에도 사용하며, 혈압을 떨어뜨리는 작용도 한다. <떡쑥>이란 이름의 유래는 이 식물의 전초를 채취하여 쑥처럼 떡을 해먹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떡쑥의 여러 가지 이름은 1,
서국초[鼠麴草=shǔ cǎo=V차오V, 2, 서이초:鼠耳草, 3, 향모:香茅: 본초습유(本草拾遺)], 4, 서이[鼠耳, 5, 무심초:無心草: 명의별록(名醫別錄)], 6, 비부주초[蚍蜉酒草, 유양잡조(酉陽雜俎)], 7, 황화백애[黃花白艾: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8, 불이초[佛耳草: 비위론(脾胃論)], 9, 용모[茸母: 소계자(邵桂子), 설단좌어(雪丹脞語)], 10, 황호[黃蒿: 본초회편(本草會編)], 11, 미국[米麴, 12, 모이타:毛耳朶: 본초강목(本草綱目)], 13, 수국[水菊: 질문본초(質問本草)], 14, 선서두초[線絮頭草, 15, 금비초:金沸草, 16, 지련:地蓮, 17, 황화자초:黃花子草: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18, 수의초[水蟻草: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19, 청명향[淸明香: 천보본초(天寶本草)], 20, 추골풍[追骨風, 21, 청명채:淸明菜: 남경민간초약(南京民間草藥)], 22, 면화채[綿花菜: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23, 파파초[菠菠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24, 면견두[綿繭頭, 25, 관긴초:寬緊草: 민간상용초약휘편(民間常用草藥彙編)], 26, 서밀애[鼠密艾, 27, 수호:水蒿, 28, 파채:粑菜, 29, 백두초:白頭草, 30, 수국:水麴: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31, 융모초[絨毛草, 32, 사면초:絲棉草, 33, 양이타초:羊耳朶草, 34, 묘이타초:猫耳朶草: 35, 해아초:孩兒草, 36, 묘각약초:猫脚藥草, 37, 화불초:花佛草, 38, 모모두초:毛毛頭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39, 황화과[黃花果, 40, 나미반청:糯米飯靑, 41, 면채:棉菜: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42, 황화국초[黃花麴草, 43, 백망초:白芒草: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44, 전애[田艾, 45, 모전초:毛氈草: 광동의약위생과기자료선편(廣東醫藥衛生科技資料選編)], 46, 하하코구사[ハハコグサ=母子草: 일명(日名)], 47, 괴쑥, 48, 흰떡쑥, 49, 솜쑥 등으로 부른다.

[채취]


개화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이물질을 제거하여 건조한 곳에 저장한다.

[약재(藥材)]


말린 전초에는 꽃차례가 있고 줄기는 회백색이며 선모(線毛)가 밀생하고 질이 부드럽다. 잎몸은 양면에 모두 회백색의 선모가 밀생하고 둥글게 쪼그라져 있으며 보드랍고 잘 떨어지지 않는다. 꽃차례는 정생한다. 꽃떡잎은 여러 개이고 달걀 모양이여 적황색이고 막질이다. 꽃턱은 편평하다. 꽃부리는 대개 말라서 떨어진다. 맛은 조금 쓰고 떫다.

중국에서는 주로 강소(江蘇), 상해(上海) 교외 및 절강(浙江) 등지에서 생산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성분]


전초에는 flavonoid glycoside 5%, 정유 0.05%, 미량의 alkaloid와 sterol, 불함첨화물(不鹵僉化物)을 0.58% 함유하는 것 이외에 비타민 B, carotene, chlorophyll, resin, 지방 등을 함유한다. 꽃은 luteolin-4'-β-D-glucoside를 함유한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mouse에 진한 암모니아수를 반복하여 흡입시켜 만성 해수를 일으키게 한 후 서국초(
鼠麴草=떡쑥)의 탕제를 내복시킨 결과 일정한 지해작용이 있었다. [중약대사전]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1, <명의별록>: "맛은 시고 성질은 독이 없다."
2, <본초습유>: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3, <이참암본초>: "성질은 따뜻하며 평하고 독이 없다."
4, <약류법상(藥類法象)>: "기운은 뜨겁고 맛은 시다."

[귀경(歸經)]


<뇌공포제약성해(雷公炮炙製藥性解)>: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담(痰)을 삭이고 해수를 멎게 하며 풍한(風寒)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해수 때의 다담(多痰), 천식, 감기 풍한(風寒), 잠두병
(蠶豆病: fabism: 유전인자에 의해 체내에 모종의 효소가 부족하여 생기는 병, 급성 용혈성 빈혈), 근골의 동통, 백대, 옹양을 치료한다.

1, <명의별록>: "비한한열(痺寒寒熱)을 치료한다."
2, <일화자제가본초>: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원기를 북돋우며 설사를 멎게 하고 담을 제거하며 계절성 사기(邪氣)를 누르고 열수(熱嗽)를 제거한다."
3, <이참암본초>: "비위(脾胃)의 통증을 잘 치료한다."
4, <약류법상>: "추위로 인한 해수와 담을 치료한다. 폐중(肺中)의 한(寒)을 제거하고 폐기(肺氣)를 크게 상승시킨다."
5, <본초품휘정요>: "만성 형한음냉(形寒飮冷) 즉 한냉(寒冷)에 의한 수독(水毒), 담수(痰嗽)를 치료한다."
6, <본초정>: "폐기(肺氣)를 따뜻하게 하고 한기(寒氣)에 의한 기침을 멎게 하며 담기(痰氣)를 풀어주고 풍한(風寒)으로 인한 한열(寒熱)를 풀어주며 설사도 멎게 한다."
7, <본초강목습유>: "낭풍습양(囊風濕
)의 치료에는 달인 물로 씻는다. 소아의 감(疳), 매독, 하감(下疳)의 치료에는 감초(甘草)와 함게 달인 물로 씻는다."
8, <천보본초>: "충(蟲)을 제거하고 동통을 진정시킨다. 경풍(驚風)과 여러 가지 체기(滯氣)를 치료한다."
9, <현대실용중약>: "비전염성 궤양 및 상처를 치료한다. 내복하면 강압제 및 위궤양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10, <남경민간초약>: "술에 담가 복용하면 근골 동통을 치료한다."
11, <민간상용초약휘편>: "후화(喉火)를 제거하고 열을 내리며 독을 제거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2~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로 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찧어서 바른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약류법상(藥類法象)>: "소량을 쓴다. 관동화(款冬花)를 사(使)로 한다. 과도하게 복용하면 눈을 상한다."

떡쑥의 효능과 관련하여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505면 639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국화과]

두해살이풀. 높이 15~40cm. 꽃은 5~7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연한 관모는 길이 2.5mm 가량, 황백색으로 밑부분이 완전히 합쳐지지 않는다.

분포/
전국의 들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필리핀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서국초(
鼠麴草)라고 하며, 화담, 지해, 거풍한(祛風寒)의 효능이 있고, 해수다담(咳嗽多痰), 천식, 감기풍한, 근골동통, 백대하, 옹종을 치료한다.

성분/
꽃에는 luteolin-4'-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쥐에게 진한 암모니아수를 흡입시켜 해수를 일으키게 한 다음 물로 달인 액을 복용시켰더니 지해 작용이 나타났다.

사용법/
전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떡쑥의 전초,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떡쑥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3권 200면 139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서국초(鼠麴草)

기원: 국과(菊科=국화과: Compositae)식물인 서국초(鼠麴草=떡쑥: Gnaphalium affine D.Don)의 전초(全草)이다.

형태:
월년생(越年性) 초본으로 높이가 10-50cm이며 전주(全株)에 백색(白色)의 융모(絨毛)가 밀생한다. 줄기는 기부(基部)로부터 분지하여 다발을 이룬다. 잎은 선상시형(線狀匙形)이고, 기부(基部)의 잎은 꽃이 핀후에 떨어지고, 상부의 잎은 어긋나며 길이가 2-6cm이고 너비가 3-10mm이다. 두상화서(頭狀花序)는 정생(頂生)하며 배열하여 산방상(傘房狀)을 이루며, 총포편(總苞片)은 여러 줄이며 건막질(乾膜質)이고 황금색(黃金色)이고, 꽃은 모두 통상화(筒狀花)이며 황색(黃色)이고, 바깥층은 암꽃이고 암술대는 花冠보다 짧으며, 가운데는 양성화(兩性花)가 달리는데 화관(花冠)은 가늘고 길며 선단(先端)에 5개의 치열(齒裂)이 있고, 꽃밥이 모여있는 수술이 5개이고, 암술머리가 2갈래이다. 수과(瘦果)는 타원형(橢圓形)이고, 관모(冠毛)는 황백색(黃白色)이다.



분포:
밭두렁, 길가, 산비탈의 풀밭에서 자란다. 중국의 화남(華南) 지역 이남에 분포하며 주로 화동(華東)에서 생산한다.

채취 및 제법:
꽃이 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flavonoid glycoside, volatile oils, vitamine B, sterol, alkaloid.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평천지해(平喘止咳), 강혈압(降血壓), 거풍습(祛風濕).

주치:
효천(哮喘), 감모(感冒), 기관지염(氣管支炎), 해수(咳嗽), 잠두병(蠶豆病), 간염(肝炎), 근골통(筋骨痛).

용량:
15-30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5218호 ; 회편(滙編), 상권, 898면.
]

떡쑥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일체의 노해수(勞咳嗽), 옹체흉격비만(壅滯胸隔
痞滿: 흉격:胸隔이 막히고 답답한 느낌)
웅황(雄黃), 불이초(佛耳草: 떡쑥), 아관석(鵝管石), 관동화(款冬花)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1회 1돈식 화로 위에서 태우면서 입을 벌린 상태에서 연기를 목 안으로 흡입한다. [선명논방(宣明論方), 분향투격산(焚香透隔散)]

2, 해수에 의한 다담(多痰)

서국초(鼠麴草: 떡쑥)의 전초 5~6돈, 빙당(氷糖) 5~6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3, 기관지염, 추위로 생기는 기침

서국초(鼠麴草: 떡쑥), 황형자(黃荊子) 각 5돈, 전호(前胡), 운무초(雲霧草) 각 3돈, 천축자(天竺子) 4돈, 제니근(薺尼根) 1냥을 물로 달여서 5일간 계속 복용한다. 보통 1개월간 복용해야 한다. [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4, 풍한(風寒)에 의한 감기

서국초(鼠麴草: 떡쑥)의 전초 5~6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5, 잠두병
(蠶豆病:
fabism: 유전인자에 의해 체내에 모종의 효소가 부족하여 생기는 병, 급성 용혈성 빈혈)
전애(田艾: 떡쑥) 2냥, 차전초(車前草), 봉미초(鳳尾草) 각 1냥, 인진(茵蔯) 반 냥에 물 1,200ml를 넣고 800ml가 되게 달인 후 다시 흰설탕을 가해 차(茶) 대신으로 복용한다. [
광동의약위생과기자료선편(廣東醫藥衛生科技資料選編)]

6, 근골통(筋骨痛), 각슬(脚膝)의 종통(腫痛), 타박상의 치료

서국초(鼠麴草: 떡쑥)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7, 백대하

서국초(鼠麴草: 떡쑥), 봉미초(鳳尾草), 등심초(燈心草) 각 5돈, 토우슬(土牛膝) 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8, 비종(脾腫)에 의한 부종

신선한 서국초(鼠麴草: 떡쑥) 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9, 무명 종독, 대구창(對口瘡: 후두부에 생긴 창)

신선한 서국초(鼠麴草: 떡쑥) 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신선한 잎을 쌀밥과 섞어 찧어서 상처에 바른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0, 초기 독정(
毒疔)
신선한 서국초(鼠麴草: 떡쑥)에 찬 반알과 소금을 조금 넣고 찧어서 바른다. [천주본초(泉州本草)]

11, 만성 기관지염
(임상보고)
73병례와 91병례를 관찰한 결과 유효율은 전체의 81%, 효과가 큰 경우는 각각 20.72%와 29.6%였다.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기침, 천식, 가래에 치료 효과가 있었다.

제법(製法)과 용량(用量):
서국초(鼠麴草: 떡쑥)의 건조품을 1일 1~2냥씩 달여서 농축액을 만들고 이것을 3번에 나누어 복용시키거나 하루 1냥을 2번 달여서 복용시키며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여 연속 2치료 기간을 복용시켰다.

부작용:
첫 복용 시 소수의 환자가 위통, 위부 불쾌감, 오심을 호소하였고 구갈, 현기증, 탈진감을 느꼈으며 변이 붉어진 환자도 있었다. 그밖에 떡쑥에 차전초(車前草) 혹은 연교(連翹) 등을 배합하여 복방으로 치료를 진행하면 더욱 효과가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약대사전]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주진형(朱震亨)>:
"한담수(寒痰嗽)를 치료하는 데는 불이초(佛耳草: 떡쑥)을 쓰고, 열담수(熱痰嗽)를 치료하는 데는 등롱
초(燈籠草)를 쓰는 것이 좋다."

2, <본초강목(本草綱目)>:
"서국초(鼠麴草: 떡쑥)는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 한열(寒熱)을 치료하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고 하였고 이동원(李東
)은 한수(寒嗽)를 치료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그 표면적인 증세를 말한 것이다. 한수(寒嗽)의 대부분은 화(火)가 내부에 울결하여 있고 한(寒)이 외부에 덮여 있는 증상이다."

3, <본초정의(本草正義)>:
"서국초(鼠麴草: 떡쑥)는 맛이 시기 때문에 한사(寒邪)로 인한 기침에 적합하지 못하다."

[비고(備考)]


1, <명의별록(名醫別錄)>:
"서이(鼠耳: 떡쑥)는 밭에서 자란다. 잎은 두껍고 줄기는 기름디다."

2, <본초습유(本草拾遺)>: "서국초(鼠麴草: 떡쑥)는 평탄한 언덕의 경작지에 자란다. 높이는 1자 남짓 되고 잎에는 백색의 털이 있으며 꽃은 황색이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氣)>에 의하면 3월 3일에 서국즙(鼠麴汁)을 취하고 밀(蜜)에 개어서 가루낸 것을 용설미반(龍舌米半)이라고 부르는데 유행병을 제거한다고 하였다. 산남(山南: 현재의 사천성:四川省 가릉강:嘉陵江 유역 동쪽, 섬서성:陝西省 진령:秦嶺, 감숙성:甘肅省 파총산:
嶓塚山 이남:以南), 하남성:河南省 복우산:伏牛山 서남:西南, 호북성:湖北省 연수:水 이서:以西, 사천성:四川省 중경시:重慶市부터 호남성:湖南省 악양:岳陽에 이르는 장강:長江 이북)의 사람은 향모(香茅: 떡쑥)라고 부른다. 꽃을 따서 거피(: 느티나무껍질)를 섞어 의복을 물들이면 옷은 낡아져도 색은 선명하다. 강서(江西: 현재의 장강:長江 하류의 북안:北岸, 회수:淮水 이남)의 사람은 서이초(鼠耳草: 떡쑥)라고 부른다."

3, <본초품휘정요(本草品彙精要)>:
"불이초(佛耳草)는 봄에 생장하고 높이는 1자 남짓 되며 줄기와 잎은 선복(旋覆)과 매우 유사하고 백색의 털이 덮여 있고 꺾으면 애(艾) 같은 선이 있으며 부드럽고 강하다. 경단(莖端)은 분기(分
)하고 작은 황색의 꽃이 십여 개 달려 있고 판(瓣)은 매우 부드럽고 가늘다."

4, <본초강목(本草綱目)>: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의 서국(鼠麴)은 즉 <명의별록(名醫別錄)>의 서이(鼠耳)이지만 당(唐), 송(宋)의 제가(諸家)는 알지 못하여 서이(鼠耳)를 물리쳤고 유명하지만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고(李
)의 <약류법상(藥類法象)>에 불이초(佛耳草)를 쓴다고 했는데 이것 또한 서이(鼠耳)라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 원야(原野)에 매우 많으며 2월에 생장하고 줄기와 잎은 유연하며 잎은 길이가 1치 정도이고 백색의 연한 털은 쥐의 귓털과 같으며 작은 황색의 꽃이 피고 이삭이 달리며 가는 열매를 맺는다."

필자도 시골에서 살 때 떡쑥을 봄철에 춘궁기에 올라오면 생으로 뜯어서 허기진 배를 채운 기억이 난다. 실제 봄나물로 묻혀서 먹기도 하며, 맛이 그런대로 먹을 만하고 부드러우며 씹는맛이 질기기 때문에 늘 입에 씹고 다니면 껌처럼 되어 껌 대용으로 씹고 다니기도 하였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떡쑥 사진 감상: 1, 2, 3,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 http://jdm0777.com.ne.kr

이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ne.kr  클릭하시면 홈으로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