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풀(천명정) 무엇인가?

담배 대용으로 쓰던 두해살이풀

 

 

 

 

 

 

 

 

 

 

 

 

[담배풀의 어린싹, 잎앞뒷면, 전초,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 구충작용, 강온퇴열작용, 거담, 청열, 파열, 해독, 살충, 종기, 타박상, 촌충 구제약,
인후부종으로 막혔거나 목에 담즙이 차는 증상, 물을 마실 수 없는 증상, 전후풍[인두 및 하함 림프선 염증, 갑상선 및 경부 림프선 염증], 토혈, 산후의 갈증, 숨이 차거나 얼굴에 붉은 반점이 생기는 증상, 설사, 요폐, 행혈, 이뇨약으로 효과를 보지 못하는 증상, 정창종독, 풍독나력, 적종이나 경결의 통증, 등에 생긴 종양의 초기 증상, 악창,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임상보고], 급성 신염[임상보고], 피부 소독의 용도[임상보고], 만성 하퇴 궤양의 치료[임상보고], 각종 기생충에 의한 소아의 질병으로 복중 동통, 종취가 발작하고 이것이 상하로 왕래하며 계속 아픈 증상, 또 지르는 것 같은 심와부 동통이 있으며 심하게 구토하고 침을 흘리는 증상, 또는 물만 토하고 수족이 약하며 안색이 청황색으로 되고 음식을 먹지만 피부에 생기가 없으며 한기와 발열감이 있고 기분이 침침한 증상, 회충에 의한 동통, 대장에 충이 계속 나오고 번식하여 자유롭게 행동할 수 없는 증상, 치통, 구충증[임상보고], 급성편도선염, 봄나물[봄철 어린순 식용], 급성간염, 경련, 지혈, 기생충 구제, 후비, 학질[말라리아], 코피, 혈림, 피부가려움증을 다스리는 담배풀

담배풀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담배풀의 학명은 <Carpesium abrotanoides L.>이다. 들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뿌리는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며 목질이다. 줄기는 높이가 50∼100cm이고 많은 가지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잔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크지만 꽃이 필 때쯤 말라서 없어진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고 줄기 밑 부분의 잎은 넓은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잎맥 위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두 빛이고 선점(腺點)이 있다. 줄기 위로 올라가면서 잎은 작아지고 긴 타원 모양이며 잎자루가 없어진다.

꽃은 8∼9월에 노란 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지름 1cm의 두상화[頭狀花: 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많은 작은 꽃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 모양으로 달린다. 두상화에 자루가 없는 점이 같은 속의 다른 종과 구별할 수 있는 뚜렷한 특징이다. 총포는 둥근 종 모양이고 갈라진 포 조각은 3줄로 배열하는데, 겉에 있는 것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운데 있는 것과 안쪽에 있는 것은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둥글다. 개화기는 6~8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가 3.5mm이고 선점이 있어 점액을 분비하는데, 이 점액 때문에 열매가 동물의 몸에 붙어 멀리 퍼져 나간다. 봄철 어린순을 식용한다. 한방에서 잎은 천명정(天名精)이라 하여 촌충 구제약으로 쓰고, 또 잎의 즙은 종기, 타박상에 쓴다. 한국[경기, 황해, 경북 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담배풀의 이름의 유래는 옛날 재배하던 담배가 매우 비쌀 때 담배 대용으로 쓰던 풀이라는 뜻에서 또는 실제 넓적한 살아있는 담뱃잎과 비슷해서 생긴데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긴 줄기에 붙은 꽃과 열매도 담배를 피울 때 사용하는 긴 담배 파이프인 <곰방대>를 연상케 한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담배풀, 좀담배풀, 긴담배풀, 주걱담배풀, 왕담배풀, 애기담배풀, 두메담배풀, 우단담배풀 등이 자라고 있다. 대부분의 담배풀 종류는 봄철 어린잎을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담배풀의 여러 가지 이름은
천명정[天名精=tiān míng jīng=티앤, 맥구강:麥句薑, 하마람:蝦蟆藍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열진[茢薽, 시수:豕首: 이아(爾雅)], 천무청[天無菁: 소품방(小品方)], 천문정[天門精, 옥문정:玉門精, 체로:彘顱, 섬서란:蟾蜍蘭,:覲, 지숭:地菘, 천만청:天蔓菁: 명의별록(名醫別錄)], 규송[葵松, 녹활초:鹿活草: 당본초(唐本草)], 두우슬[杜牛膝: 성제총록(聖濟總錄)], 추면초[皺面草: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추면지숭초[皺面地菘草: 위생가보방(衛生家寶方)], 학슬초[鶴虱草: 상한온요(傷寒蘊要)], 모저개[母猪芥: 손천인집효방(孫天仁集效方)], 가파초[蚵蚾草: 경효제세양방(經效濟世良方)], 토우슬[土牛膝: 본초숭원(本草崇原)], 계과자초[鷄踝子草: 본초정의(本草正義)], 야연[野煙, 산연:山煙, 야엽자연:野葉子煙, 나격보초:癩格寶초: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나사초[癩蟴草: 중국식물도감(中國植物圖鑑)], 공이초[控耳草, 나두초:癩頭草, 나합마초:癩蛤蟆草, 취초:臭草: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야부타바코[ヤブタバコ=藪煙草: 일문명(日文名)], 담배나물, 담배풀 등으로 부른다.

열매의 여러 가지 이름은
학슬[鶴虱, 곡슬:: 당본초(唐本草)], 귀슬[鬼: 본초숭원(本草崇原)], 북학슬[北鶴: 중약지(中藥誌)] 등으로 부른다.

[채취]


<뿌리, 줄기, 잎>


<중약대사전>: "봄부터 가을까지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종자>


<중약대사전>: "가을에 과실이 성숙한 다음 채취한다. 햇볕에 말려 껍질층, 불순물을 제거한다."

[약재(藥材)]


<종자>


<중약대사전>: "건조한 과실은 원기둥 모양이고 가늘며 길이는 3~4mm이고 너비는 1mm가 못 되며 털이 없고 표면이 황갈색이며 다수의 세로난 모서리 및 홈이 있다. 정단은 수축하여 선 모양의 짧은 부리 모양을 하고 끝에는 회백색의 고리가 있다. 횡단면은 원형에 가깝고 종인(種仁)은 황백색으로 기름 성질이다. 냄새가 조금 있고 맛은 약간 쓰며 점성이 있다. 알이 균일하고 충실하며 점성이 있는 것이 좋다. 중국의 주산지는 하남(河南), 산서(山西), 귀주(貴州), 섬서(陝西), 호북(湖北) 등지에서도 생산된다."

[성분]


<뿌리, 줄기, 잎>

<중약대사전>: "열매는 carpesia lactone, carabrone 등의 각종 lactone 화합물을 함유한댜.

이런 성분은 중추 신경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열매에는 또한 n-hexanoic acid, oleic acid, 우회전성 linolenic acid, hentriacontane, stigm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

<중약대사전>: "
천명정(天名精)의 과실에는 valic acid, n-caproic acid, oleic acid, d-linoleic acid, hentriacontane, stigmasterol, carpesia lactone, carabrone 등의 lactone류가 들어 있다. 과실은 정유 약 2%를 함유하는데 그 중에는 geraniol(대부분 초산 에스텔) 약 30%, L-sabinene 20%, 일종의 polyhydroazulene 종류의 이환식 sesguiterpene C15 H24 7.7%, β-nppinene 등이 들어 있다.

또 geraniol acetic acid ester라고 하는 것은 긴 사상자 종자의 정유 중의 주요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50%에 달한다. 과실의 정유의 성분은 산지에 따라서 차이가 크며 그 중에는 linalool, α-pinene, eimonene, bergamotene, daucene, elemicin, α-curcumene, camphene, α-terpinene, terpinene-4-01, α-terpineol, bornylacetate, γ-decanolactone, β-selinene, α-gurjunene, coumarin, daucol, carotol 등이 들어 있다.

또 재배한 홍당무의 과실에도 정유 0.6~2.1%가 들어 있다. 과실 중에는 또 flavanol당, 4급 생체 amine(acetylcholin으로 추측 됨), amino acid, daucusin, sterol, 관상 혈관을 확장시키는 성분이 들어 있다.

천명정(天名精)의 과실에는 정유가 1.4% 들어 있다. 정유의 주요 성분은 cadinene과 torilene이다. 또한 기름도 약 10% 함유하고 그 중의 지방산에는 petroselin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 들어 있다. 또 torilol과 torilolone도 들어 있다고 한다.

종자에는 torilin이 들어 있다. 동북학슬(東北鶴
虱: Lappula echinata Gilib) 종자의 함유량은 19.48%이다."

[약리 작용]

<뿌리, 줄기, 잎>

<중약대사전>: "carpesia lactone 등은 중추 신경 계통에 뚜렷한 작용을 일으키며 마우스에 먹이면 단시간에 흥분된 후 곧 억제되고 사지 근육이 느슨해 지며 마취 상태가 된다. 양이 많으면 발작성 경련을 일으켜 죽는다. 마우스에게 복강 주사하였을 때의 LD50은 약 0.1mg/g이다. amino cordin(coramine)과 stychnin으로 인한 경련 작용에 길항한다. barbitals류와 뚜렷한 협력 작용을 한다. 신경 말초에는 curare 같은 작용이 없었고 고양이의 척추 중간 신경에도 작용하지 않았다. 주요 작용 부위는 연수 및 뇌간 부분일 것이다. 이 외에 강온 퇴열 작용을 한다. 토끼, 고양이에게 20~30mg/kg을 정맥 주사하면 혈압이 낮아지는데 atropine은 이 작용을 차단할 수 없다. 개, 쥐의 뇌조직의 호흡에 억제 작용을 한다."

<종자>


<중약대사전>: "1,
천명정(天名精)의 과실에는 구충 작용이 있다. 1%의 천명정(天名精) 과실의 팅크 5방울을 생리 식염수 25ml를 가하여 37℃로 가열한 다음, 개의 촌백충을 넣었더니 1~2분 안에 죽었다.

2, 천명정(天名精)의 종자의 알코올 추출물의 수용성 부분에는 2종의 4급 생체 amine이 있다. 1종은 화학적 및 약리적으로 choline이라고 확정되었다. 그러므로 수용물은 choline과 같은 성질을 갖고 있지만 다른 1종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동물 실험(몰모트의 적출 솽, 쥐의 자궁, 고양이의 기관지, 개구리의 적출 심장 등)에서는 또 papaverine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또 종자는 flavone류를 함유하고 관상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협심증 환자에게 유효하다고 인정된다. 종자 중의 glycoside성 성분은 마취된 개에 대하여 단시간 혈압을 낮추고 호흡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고 있으며 또 쥐, 토끼의 소장과 비임신 자궁을 이완시킨다. 그(잎이라고 인정된다) 추출물은 고양이와 모르모트의 임신 및 비임신 자궁에 대하여 수축 작용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과실의 열 에틸알코올 추출물은 관상 동맥(고양이의 적출 심장)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는데 이 점은 theobromine과 비슷하다. 재배종 홍당무의 종자에서 추출된 정유는 마취된 개에 대하여 소량의 때에는 호흡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시적으로 혈압을 낮출 수 있으며 대량 투여하면 지속적으로 혈압을 낮추고 호흡도 억제한다.

이 정유는 개구리의 심장이나 개의 생체내 심장에 대해서도 직접 억제 작용을 한다. 쥐에 대해서는 진통 작용은 없지만 중추 신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정유는 strychnine과 cardiazole에 의하여 일어난 경련(개구리)에 대하여 경도의 보호 작용이 있고 적출한 쥐와 토끼의 소장, 쥐의 자궁의 평활근을 이완시키며 또 적출된 개구리의 횡분근 표본의 acetylcholine에 의한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3, 동북학슬(東北鶴
虱: Lappula echinata Gilib)의 과실은 시험관 내에서 지렁이, 돼지의 회충이나 거머리에 대하여 살충 작용이 있다. 학슬(鶴)의 10%의 알코올 추출물 1ml에서는 시험관 내에서 돼지의 회충 두부에 대한 작용이 뚜렷하지 않으며 25ml를 가하여야 비로소 경련의 수축을 시켜 활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50% 및 25% 농도의 학슬(鶴)액은 체외 실험에서는 20시간 후에 소수의 쥐의 요충 aspicularis tetraptera가 죽었을 뿐이었다."

[성미]


<뿌리, 줄기, 잎>

1, <중약대사전>: "맛은 매우며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3, <명의별록>: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4, <개보본초>: "맛은 짜다."

5, <본초강목>: "맛은 약간 맵고 달며 독이 조금 있다."

<종자>

1, <중약대사전>: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있다."

2, <당본초>: "맛은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있다."

3, <본초강목>: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약간 있다."

4, <의림찬요>: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귀경(歸經)]


<뿌리, 줄기, 잎>

1, <중약대사전>: "간(肝), 폐경(肺經)에 들어 간다."

2, <본초재신>: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3, <본초촬요>: "수족양명(手足陽明), 궐음경(厥陰經)에 들어 간다."

<종자>


<본경봉원>: "궐음간경(厥陰肝經)에 들어 간다."

[약효와 주치]


<뿌리, 줄기, 잎>

1, <중약대사전>: "담(痰)을 삭이고 열을 내리며 어혈을 잘 없애고 지혈하며 해독하고 기생충을 구제한다. 급성 편도선염, 후비(喉痺), 말라리아, 급성 간염, 급만성 경련, 기생충으로 인한 복내경결(腹內硬結),
혈가(血瘕), 코피, 혈림(血淋), 정종창독(疔腫瘡毒), 피부양진(皮膚痒疹)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주로 어혈, 혈까(血瘕)를 치료한다. 하혈, 지혈하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3, <명의별록>: "소충(小蟲)을 제거하고 거비(去痺)하며 흉충(胸蟲)의 열결(熱結)을 제거하고 번갈을 제거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구토 설사를 멎게 한다."

4, <약성론>: "창(瘡)을 치료한다. 지혈하고 코피가 멈추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5, <당본초>: "주로 어혈을 잘 없애고 살을 돋게 하며 지갈하고 소변을 나오게 하며 삼충(三蟲)을 죽인다. 여러 가지 독으로 인한 부종과 정창(疔瘡), 치루, 금창내사(金瘡內射)를 제거한다. 몸이 가렵고 습진이 잘 낫지 않는 경우에 이것을 바르면 즉시 좋아진다."

6, <개보본초>: "주로 칼 따위에 베인 상처를 치료한다. 지혈하고 벌레나 뱀에 물린 독을 빼려면 짓찧어 바른다."

7, <본초강목>: "담을 토하게 하고 지학(止瘧)하며 치통으로 인한 구긴(口
), 후비(喉痺)를 치료한다."

8, <본초비요>: "급성 편도선염, 사림(砂淋: 방광 겷석으로 소변 중에 작은 알갱이가 배출되고 동통이 있는 증상), 혈림(血淋)을 치료한다."

9, <야생약식도설>: "어린 잎을 짓찧어 붙이면 각선(脚癬)을 치료한다."

10, <항주약식지>: "강한 살충약으로서 회충, 촌백충을 죽인다. 쇠약으로 인한 황달을 치료한다."


<종자>


1, <중약대사전>: "살충 작용이 있다. 장기생충에 의해서 일어나는 복통을 치료한다."

2, <당본초>: "회충, 요충을 다스린다. 가루내어 1방촌비(方寸匕)를 기름진 고기국물로 복용한다. 또 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쓴다."

3, <일화자제가본초>: "오장의 충(蟲)을 죽인다. 학질을 치료한다. 악성 창(瘡)에 바른다."

4, <개보본초>: "심통(心痛)에는 묽은 초를 섞어서 반 숟가락을 복용한다."

5, <본경봉원>: "역기(逆氣)를 잘 조절한다. 담이 응결되어 일어나는 기체(氣滯)를 치료한다.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6, <영남채약록>: "악성 창(瘡)을 치료하고 사독(蛇毒)을 제거한다."

7, <현대실용중약>: "복통을 치료하고 촌백충, 요충, 회충의 구제약이다."

8, <약재자료휘편>: "만성 설사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뿌리, 줄기, 잎>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짓찧어 즙을 내거나 환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쓰기도 한다.

외용: 짓찧어 붙이거나 탕액으로 환부를 씻는다."

<종자>


<중약대사전>: "내복: 3~5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또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뿌리, 줄기, 잎>

1, <신농본초경집주>: "원의(
垣衣: 오래된 담장 북쪽 그늘진곳의 푸른 이끼)를 사(使)로 쓴다."

2, <촉본초>: "지황(地黃)을 사(使)로 쓴다."

3, <신농본초경소>: "비위(脾胃)가 한박(寒薄)하며 원래 냉한 것을 싫어하고 설사하기 쉬우며 갈증이 나지 않는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 된다."

담배풀의 효능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제 497면 626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담배풀

학명:
Carpesium abrotanoides L.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70~100cm. 꽃은 황색으로 8~9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3.5mm 가량이며 선점과 길이 0.7mm 가량의 부리가 있다.

분포/
황해도, 경기도, 경북(울릉도) 이남 산기슭의 숲 언저리에 자라며,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천명정(天名精)이라고 하며, 거담, 청열, 파혈,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고, 급성편도선염, 급성간염, 경련, 구충, 피부소양증을 치료한다. 열매를 학슬(鶴)이라고 하며, 구충 작용이 있다.

성분/
뿌리에는 2,3-dihydroaromaticin, carabrone, telekin, carpesiolin, carabrol, 11(13)-dehydroivaxillin, ivalin, 열매에는 carpesialactone, carabrone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
뿌리, 열매에 함유된 성분들은 L1210, A549, SK-OV-3, SK-MEL-2, XF498, HCT15 등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특히 telekin은 sarcoma 180 세포를 쥐에 이식한 실험에서 생명 연장 효과가 있었다.

사용법/
전초 또는 열매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서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담배풀 및 좀담배풀을 봄나물로 먹는 것과 관련하여 이영득의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126-127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담배풀 & 좀담배풀

국화과ㅣ여러해살이풀

크기: 50~100cm

꽃 피는 때: 8~10월

자라는 곳: 산기슭, 산의 숲 가장자리

담배 만드는 담배라는 풀을 닮아 담배풀이다. 꽃은 곰방대를 닮았다. 열매는 익으면 기름기가 있어서 사람 옷이나 동물 털에 달라붙어 자손을 퍼뜨린다. 어린잎을 데쳐서 된장이나 간장, 고추장으로 무치고, 쌈으로 먹는다. 된장국도 끓인다. 전체를 지혈제와 이뇨제 따위로 쓴다. 좀담배풀도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

나물할 때




나물 하는 법


어린잎을 뜯는다.

추천 음식


데쳐서 무치거나 쌈, 된장국.
]


담배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뿌리, 줄기, 잎>


1, 인후부종으로 막혔거나 목에 담즙이 차는 증상, 물을 마실 수 없는 증상

지숭(地菘: 담배풀)을 짓찧어 받은 즙을 거위털에 묻혀 목에 흘려 넣어주면 거담에 특효이다. [상한온요(傷寒蘊要)]

2, 전후풍(纏喉風: 인두:咽頭 및 하함:下
림프선 염증, 갑상선 및 경부:頸部 림프선 염증)
가파초[蚵蚾草: 담배풀)를 부드럽게 가루내어 신선한 꿀에 섞어 탄알 크기로 환을 짓고 한두알을 입에 물고 있는다. 만약 신선한 것이 없을 때에는 마른 것을 가루내어 신선한 꿀에 섞어 환을 짓는다. 환을 탄알보다 더 크게 만드는 것이 좋다. [경효제세방(經效濟世方), 구생환(救生丸)]

3, 토혈(吐血)

추면초(皺面草: 담배풀)를 양에 관계없이 부드럽게 가루내어 1회에 1~2돈씩 모화포탕(茅花泡湯)으로 개어 수시로 복용한다. [이참암본초(履巉岩本草)]

4, 산후의 갈증, 숨이 차거나 얼굴에 붉은 반점이 생기는 증상, 설사, 요폐(尿閉), 행혈(行血), 이뇨약으로 효과를 보지 못하는 증상

천명정(天名精: 담배풀)의 뿌리와 잎을 진하게 달여서 고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이것을 복용한 후 하혈하고 소변(小便)이 나오면 치료된 것이다. [본초종신(本草從新)]

5, 정창종독(
疔瘡腫毒)
학슬초엽(鶴虱草葉: 담배풀잎), 부주조(浮酒糟)를 함께 짓찧어 붙인다. [손천인집효방(孫天仁集效方)]

6,
풍독나력(風毒瘰癧), 적종(赤腫)이나 경결(硬結)의 통증
지숭(地菘: 담배풀) 1근을 진흙 모양으로 짓찧어 나력(瘰癧) 위에 바르고 마르면 즉시 바꾸어 붙인다. 이렇게 나올 때까지 계속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7, 등에 생긴 종양의 초기 증상

지숭(地菘: 담배풀)을 절굿공이로 짓찧어 1되의 즙을 만들어 1일 2회씩 복용한다. 치료될 때까지 복용한다. [상한류요(傷寒類要)]

8, 악창(惡瘡)

지숭(地菘: 담배풀)의 즙을 1일 2~3회 복용한다. [필효방(必效方)]

9, 급성 황달형 전염성 간염
(임상보고)
천명정(天名精: 담배풀) 뿌리, 줄기, 잎을 포함한 것 200g, 생강 2편(片: 약 5g)에 물 1000ml를 넣어 300ml가 될 때까지 달여서 오전과 오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기간 중에는 신 것, 매운 것, 고기의 지방분은 먹지 말아야 한다. 10례를 치료하였는데 9~41첩을 복용시켰다. 평균 20첩을 복용한 후 9례는 완전히 치료되었고 1례가 호전되었다. 먹은 후 오줌량이 증가되며 자각 증상이 개선되었다. 평균 복용 15.4일에 황달 지수가 7단위 이하로 낮아졌다. 19.4일이 되니 GPT치가 정상으로 되돌아가고 11일 만에 자각 증상 즉 피로감내외(疲勞感內外)가 소실되었다. 간(肝), 비(脾)의 비대와 압통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개선되었다. 치료 과정에서는 부작용이 없었다. [중약대사전]

10, 급성 신염
(임상보고)
신선한
천명정(天名精: 담배풀) 100~150g을 깨끗이 씻어 짓찧고 소량의 홍당(紅糖)이나 소금을 조금 넣어 잘 저어 배꼽에 붙인다. 붙일 때 위에 기름 종이를 덮어 약의 성분이 발산되지 않게 해야 한다. 1일 1회 바꾸는데 4~7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필요할 때에는 2치료 기간도 계속하여 붙인다. 치료 기간 중에는 침대에 누어 휴식하며 싱거운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급성 신염에 걸린 소아 31례의 치료에서 29례의 수종이 3일 이내에 없어지고 2례는 5~7일 내에 소실되었다. 소변 검사에서는 2~7일 내에 단백 및 요원주(尿圓柱)가 소실되고 적혈구, 백혈구가 감소되었다. 혈압은 4일 이내에 대부분이 낮아져 정상으로 되었다. 1~6일의 추적 관찰에서 임상 증상의 재발은 1례도 없었고 단지 3례만이 오줌 속에 적혈구, 백혈구 및 투명 요원주(尿圓柱)가 보였다. 치료 과정에 소수의 소아 환자는 붙인 지 5일 후에 국소에 피부염이 생겼고 수포와 미란도 나타났다. 국소에 피부 홍종(紅腫)이 나타나면 즉시에 약을 중지해야 한다. [중약대사전]

11, 피부 소독의 용도
(임상보고)
100% 신선한 야연(野
煙: 담배풀)의 탕액을 수술 전의 손씻기, 수술 범위의 피부 소독에 쓴다. 지금까지 담낭 조루술, 복부 검사 개복술, 헤르니아 봉합술, 지방 종양 절제 및 지방 절제, 장선 포매(包埋) 요법 등의 크고 작은 수술 297례를 시행하여 성공하였다. 그 가운데 292례의 절개구가 1단계에 유합되었으며 전체의 98.3%를 점한다. [중약대사전]

12, 만성 하퇴 궤양(ulcus cruris)의 치료
(임상보고)
50% 야연(野
煙: 담배풀) 탕액을 100ml 취하여 덥혀 환부를 1일 3회, 1회에 10~30분간 씻는다. 11례를 치료한 중에서 2례는 이전에 '920'(gibberellin) 농약을 습포한 적이 있고 1례는 만성 골수염 환자를 수술하여 괴사한 골(骨)을 꺼내었다. 병력이 제일 긴 경우는 30년이고 제일 짧은 경우는 2개월이었다. 궤양 면적이 제일 큰 경우가 23x4cm이고 가장 작은 경우가 1x1cm였다. 치료 기간이 가장 긴 경우가 4개월이고 가장 짧은 경우가 5일이며 대다수가 1~3개월 이내였다. 치료된 경우가 6례이고 그 외의 환자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호전되었다. 치료 후 상처의 분비물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만성 골수염과 대은(大隱) 정맥 종양에 의해 생긴 만성 하퇴 궤양(ulcus cruris)은 죽은 뼈인 사골(死骨)과 대은(大隱) 정맥을 꺼내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치유되어도 재발되기 쉽다. 궤양 면적이 비교적 큰 것은 피부를 이식하여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환자에따라 야연액(野煙液)으로 습포했을 때 동통감이 있는 경우는 탕액을 약간 희석시키는 것이 좋다. [중약대사전]

<종자>


13, 각종 기생충에 의한 소아의 질병으로 복중 동통(疼痛), 종취(腫聚)가 발작하고 이것이 상하(上下)로 왕래하며 계속 아픈 증상, 또 지르는 것 같은 심와부 동통(疼痛)이 있으며 심하게 구토하고 침을 흘리는 증상, 또는 물만 토하고 수족이 약하며 안색이 청황색으로 되고 음식을 먹지만 피부에 생기가 없으며 한기(寒氣)와 발열감이 있고 기분이 침침한 증상

초(炒)한 호분(胡紛), 백반(白礬) 12냥 반을 가루내고 물로 푼 소맥분으로 마자(麻子) 크기의 환제를 만든다. 1세 어린아이에게는 5환을 소금물에 신선한 생마유(生麻油)를 1냥 넣고 잘 섞어 복용시킨다. 미음으로 복용시켜도 된다. 수시로 복용하게 한다. [국방(局方), 화충환(化蟲丸)
] 

14, 회충에 의한 동통(疼痛)

학슬(
) 10냥을 찧어 체에 쳐서 40환(丸)을 복용하는데 매일 늘려 50환까지 복용한다. 음주와 육식을 삼간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15, 대장에 충(蟲)이 계속 나오고 번식하여 자유롭게 행동할 수 없는 증상

학슬()의 가루를 물로 반 냥 복용한다. [괴증기방(怪證奇方)]

16, 치통

① 학슬(
) 1개를 치아 안에 넣어 둔다. [본초강목(本草綱目)]  
② 학슬()의 탕액과 미초(米醋)를 섞어서 입안을 헹군다. [본초강목(本草綱目)]  

17, 구충증(鉤蟲症)
(임상보고)

학슬() 3냥을 깨끗이 씻어 물로 2회 달여 약액을 합하여 60ml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10ml는 생약 5돈에 상당하다) 여과하고 백당(白糖)을 소량 가하여 맛을 돋군다. 이것을 성인은 매일 밤 취침 전에 30ml씩 연속 이틀간 복용하고 소아 및 노인, 신체가 쇠약한 사람은 적당하게 감량한다. 57례를 관찰하였고 치료후 15일 지나 대변을 재검사를 하였더니 십이지장충의 알에 대하여 음성이 45례, 양성이 12례였으며 음성으로 전환된 것은 79%였다. 치료 전에 또 회충에 감염된 경우가 31례 있었는데 치료 후 대변 검사한 결과 19례가 회충란에 대하여 음성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슬()이 회충 구제 작용도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소수의 병례에서 복용 후 수시간 또는 다음 날에도 경도의 현기증, 오심, 이명, 복통 등의 증상이 보였지만 자연히 소실되었다. [중약대사전]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뿌리, 줄기, 잎>


1, <본초강목
(本草綱目)>: "천명정(天名精)은 뿌리와 지상 부분을 합해서 말하는 것이다. 지숭(地)이란 지엽을 말하고 학슬()이란 그 과실을 말한다. 천명정(天名精)의 효능은 대체로 담을 토하게 하고 지혈, 살충, 해독하는 것뿐이다. 따라서 즙을 복용하면 담학(痰)을 멈추게 하며 양치질하면 치통을 제거하고 뱀에 물린 상처에 바른다. 또한 저온병(猪瘟病) 즉 돼지콜레라를 치료할 수 있다."

2, <신농본초경소(神農本草經疏)>:
"
천명정(天名精)은 신(辛)이 잘 산결(散結)하며 한(寒)이 능히 제열(除熱)하므로 어혈, 혈가(血)로 위독할 것 같은 증상을 주로 다스리며 하혈, 지혈시킨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은 내열로 인한 것으로 제열(除熱)하면 소변은 저절로 이(利)하게 된다. 신한(辛寒)은 산습(散濕), 거열(去熱)하고 소충(小蟲)을 스스로 제거한다. 제비(除痺)하는 것은 거습(去濕)의 효능에서 오는 것이다. 흉중결열(胸中結熱)을 제거하고 지번갈(止煩渴), 거열(去熱), 산결(散結)하는 것은 익음(益陰)하는 효능에 의한 것이다. 수(水)를 제거하는 것은 습열이 발산되면 그것으로 인하여 수기(水氣)가 스스로 소실되기 때문이다. 혈을 파(破)하고 생기(生肌)하며 소변을 이(利)하게 하고 삼충(三蟲)을 죽이는 것을 주로 하며 각종 독종(毒腫), 정창치(疔瘡痔), 금창내사(金瘡內射)를 제거하고 신양은진(身癢癮疹)을 멈추게 하는 것은 모두다 양혈(凉血), 제열(除熱), 산결(散結)하는 힘에 의한 것이다."

3, <본초술(本草述)>:
"
천명정(天名精)은 주로 흉중결열(胸中結熱)을 제거한다. 담(痰)이란 열이 모인 것이며 독이란 담열(痰熱)이 막힌 것이며 풍이란 담(痰)이 모이고 열이 막혀서 된 것이다. 이들 병에 걸리게 되면 혈이 엉키거나 넘치는 등 증상이 똑같지 않지만 본약을 쓰면 응혈(凝血)을 통하게 하며 일혈(溢血)을 멈추게 한다."

4, <본초정의(本草正義)>:
"
천명정(天名精)은 그 성질이 한량(寒凉)하여 능히 활리(滑利)하고 하행한다. 고서(古書)에 의하면 파혈이수(破血利水)하는 힘이 매우 크다. 이것이 바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 주치한다고 한 점이다.

후인(後人)들은 단지 해독하며 강화(降火)하는 데만 썼는데 이는 <당본초(唐本草)> 이후의 제서(諸書)에서 기재한 주치이다. 지금은 후풍종색(喉風腫塞), 심지어는 부란(腐爛)하여 위험한 증후(症喉)를 치료하기 위해 경엽을 짓찧어 그 즙을 사용하고 있다. 겨울에는 풀이 말라 즙을 낼 수 없기에 하추(夏秋) 즉 여름과 가을에 미리 경엽을 취하여 찧어서 즙을 만들어 그것이 말라 응결하면 환제를 만들어 서늘한 곳에 밀봉하여 보관 한다. 쓸 때에는 맑은 물에 녹여 써도 효과가 있다. 증상이 심할 때는 여러 번 사용하여 농담(濃痰)을 토하게 하면 위중한 증세를 면하게 할 수 있는데 흔한 약 치고는 극히 영험하다 할 수 있다.

본약은 소담, 해독, 청열(淸熱), 강화(降火)하며 결(結)을 열어주고 규(竅)를 이(利)하게 하는 등의 몇 가지 효능을 합한 것으로 그와 같은 합병증에 쓰면 바로 효과를 보게 된다. 기타의 증상에 본약을 응용하는 경우도 대체로 지금 말한 작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
"

[비고(備考)]

<뿌리, 줄기, 잎>


1, <당본초(唐本草)>:
"천명정(天名精)은 녹활초(鹿活草)를 말한다. 맛은 달고 매우므로 강(薑)이라고도 한다. 모양은 쪽인 람(藍)과 비슷하여
하마람(蝦蟆藍)이라고도 한다. 향기가 난(蘭)과 비슷하여 섬서란(蟾蜍蘭)이라고도 한다."

2, <몽계필담(夢溪筆談)>:
"
지숭(地)은 곧 천명정(天名精)이다. 세인(世人)들은 천명정(天名精)을 인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숭(地)을 화렴(火)이라 오인(誤認)하거나 또 본초서에서는 학슬()이란 항목도 있어 모두 혼란스럽다.

사실은 지숭(地
)이 곧 천명정(天名精)인데 생각건대 그 잎이 숭()과 비슷하고 또 만청(蔓)과도 비슷하여 만청(蔓) 또는 만정(蔓精)으로 두 가지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학슬()이란 그 열매를 말한다. 세상에는 화렴단복법(單服法)이란 것이 있는데 그것은 지숭(地)을 복용하는데 지나지 않는다. 화렴(火)을 써서는 안 된다. 화렴(火蘞)의 본초서 중의 이름은 희렴(豨薟)이다. 즉 저고묘(猪膏苗)를 말하는데 후세 사람들은 이를 몰라 다시 중복하여 그 조목을 나눈 것이다."

3, <본초강목(本草綱目)>:
"천명정(天名精)의 어린 싹은 녹색으로 추엽송개(
皺葉松芥)와 비슷하며 노린내가 약간 난다. 씻어서 더운 물에 데치면 먹을 수 있다. 싹은 커지면서 줄기가 일어서고 작고 노란 꽃이 피어 소야국화(小野菊花)와 비슷하다.

열매는 동호(同蒿)와 비슷하며 종자도 비슷하고 옷에 잘 붙으며 노린내가 심하게 나지만 충분히 볶으면 향이 난다. 때문에 제가(諸家)는 맵고 향기롭다고 했다. 파(巴) 즉 사천성(四川省) 사람들은 이것을 부번(
負蠜: 벼메뚜기)이라고 하여 먹고 남방 사람들은 산내(山柰)라고 하며 먹는다. 뿌리는 희고 단우슬(短牛膝)과 비슷하다. 주서장(朱瑞章)의 <집험방(集驗方)>에서는 필자(筆者)인 주(朱)가 심한 치통으로 앓고 있을 때 어떤 사람이 초약(草藥)으로 한 줌을 더운 물에 담갔다가 잠시 후에 손에 그 약을 묻혀서 아픈 곳을 눌렀더니 금방 나았다. 그래서 이 방법을 써서 많은 효과를 보았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추면지숭초(皺面地菘草)이다. 세상 사람들은 이들 지총(地蔥)이라고 했다. 심존중(瀋存中)이 전문적으로 지숭(地
)을 조사해서 그 열매를 학슬()이라 한 것은 바로 이것이다."

<종자>


1, <당본초(唐本草)>:
"학슬(鶴
)은 서융(西戎)에서 난다. 종자는 봉호(蓬蒿)와 비슷하여 가늘고 잎, 줄기와 함께 쓴다."

2, <본초도경(本草圖經)>:
"학슬(鶴
)은 오늘날은 강회(江淮: 장강:長江과 회하:淮河), 형상(衡湘: 형산:衡山)과 상수:湘水) 사이에서 도처에 난다. 봄에 싹이 나온다. 주름은 자소(紫蘇)와 같고 크고 끝이 길며 광택이 없다. 주릭의 높이는 2자 가량 되고 7월에 황백색의 꽃이 피며 국화와 비슷하다. 8월에 결실하고 종자는 극히 뾰족하고 가늘다. 마르면 황흑색으도 된다. 수시로 채취한다. 살충 처방 중에서는 이것이 가장 필요하다."

3,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천명정(天名精)의 종자는 악취가 아주 심하고 가시는 사람의 옷을 찌른다. 상중(湘中: 호남성:湖南省)의 민간 의사 중에 학슬(鶴
)을 쓰는 사람이 있었는데 알고 보니 야호나복자(野胡蘿蔔子)였다."


[담배풀 열매의 겨울 모습, 사진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담배풀 재배 방법]


1, 기후와 토양:
점토질 양토로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2, 번식:
9~10월에 성숙한 종자를 채집하여 이듬해 4월 20일 정도에 파종한다. 제방이나 산비탈에 점뿌리기하거나 산파한다. 묘(苗)가 나온 후 세심하게 잡초를 제거한다. [중약대사전]

그렇다. 담배잎 비슷하게 닮은 담배풀이 아주 옛날부터 조상대대로 봄철에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을 수 있고 성숙하게 자랐을 때 뿌리를 포함한 열매 및 종자까지 건강에 유익한 다양한 질병의 약초로서 활용되어 왔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인간을 만드신 조물주의 배려와 사려깊음이 담배풀을 통해서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담배풀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긴담배풀 무엇인가?
  2. 담배 무엇인가?
  3. 담배풀 무엇인가?
  4. 우단담배풀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