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향(沈香) 무엇인가?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자연의 선물 침향

 

 

 

 

 

 

 

 

 

 

 

[침향나무의 잎, 열매, 줄기, 침향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진정작용, 건위작용, 통기작용, 강기온중, 난신납기, 기역천식, 완복창통, 요슬허냉, 대장허비, 소변기림, 흉격비색, 심복창만, 천독단기, 건얼번만, 각기상형, 음허하여 신기가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는 증상, 비신구허, 수음정적, 상승폐경, 해두단기, 복협창,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칠정[희,노,우,사,비,공,경]상감, 상기, 천식, 방민불식, 메스껍고 토할 때, 배가 아플 때, 흉중담열, 오래된 담화, 무혈인 증상, 한한허비, 기역으로 인한 구통, 위가 냉하여 트림이 오래 나오는 증상, 대장기체, 허폐불행, 포전불통이거나 소변을 너무 오래 참아서 생긴 증상, 소화불량, 식욕부진, 구토, 기관지천식, 조루, 정력 부족, 풍수, 독종, 나쁜 기운을 없애는데, 명치 끝이 아픈 것을 멎게 하는데, 신정을 돕는데, 성기능을 높이는데, 냉풍으로 마비된 것,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거나 쥐가 이는 것을 다스리는 침향

침향(沈香)은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상록교목이다.

침향의 학명은 <Aquilaria agallocha>이다. 높이는 20m, 지름은 2m 이상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긴 타원 모양이고 표면에 윤기가 있으며 길이가 5∼7cm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화피는 종 모양이고 끝이 깊게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빽빽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거꾸로 세운 편평한 바소꼴이고 길이가 5cm 정도이며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달걀 모양이고 꼬리 같은 부속체가 있다.

나무를 벌채하여 땅 속에 묻어서 수지(樹脂)가 없는 부분을 썩인 다음 수지가 많이 들어 있는 부분만을 얻거나 나무의 상처에서 흘러나온 수지를 수집하여 침향을 만든다. 침향은 의복이나 물건에 향기가 스며들게 하고 또 이것을 태우면 향기를 낸다. 옛날부터 가장 귀한 향 중에 하나로 애용되었다.

한방에서는 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진정, 건위, 통기 작용이 있으며 소화불량, 식욕부진, 구토, 기관지천식, 조루, 정력 부족 등에 효과가 있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아시아 남부에 같은 속의 식물이 몇 종이 자라고 있으나 수지가 있는 종은 이 종과 말라켄시스(A. malaccensis)뿐이다.

※ 참조:
침향으로 쓰이는 약재와 관련하여 중국에서는 아래의 두가지 식물을 함께 침향이라고 하여 사용하고 있다.

1, 침향[
沈香: Aquilaria agallocha Roxb.]
상록 교목으로 높이는 30m에 달한다. 어린 가지는 비단실 모양의 털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약간 가죽질이며 타원 모양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길이가 5.5~9cm이며 선단은 점차 뾰족해진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의 잎맥은 비단실 모양의 털로 덮여 있는 경우도 있다. 개화기는 3~4월이고 결실기는 5~6월이다.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거나 야생에서 자란다. 중국의 대만, 광동, 광서에서 재배하며 그밖에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2, 백목향[白木香:
Aquilaria sinensis (Lour.) Gilg.]
상록 교목으로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작은 가지와 화서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가죽질이며 긴 달걀 모양. 거꿀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길이는 6~12cm, 너비는 2~4.5cm이며 선단은 점차 뾰족해졌거나 둔하고 기부는 쐐기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듬성듬성나 있지만 떨어지면 매끄러우며 윤기가 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5mm이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산형 화서는 정생 또는 액생한다.

개화기는 3~5월이고 결실기는 5~6월이다. 평지나 구릉의 소림(
疏林)이나 야산에서 자라며 소량이기는 하지만 재배되기도 한다. 중국의 광동, 광서,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침향[
Aquilaria agallocha Roxb.]의 여러 가지 이름은 침향[沈香
=shěn xiāng=V: 명의별록(名醫別錄)], 밀향[蜜香: 남방초목상(南方草木狀)], 침수향[沈水香: 계해우형지(桂海虞衡誌)], 징코우[じんこう=沈香, 징스이코우보쿠:じんすいこうぼく=沈水香木: 일문명(日文名)] 등으로 부른다. 

백목향[Aquilaria sinensis (Lour.) Gilg.]
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백목향[白木香=
bái mù xiāng=바이: 남월필기(南越筆記)], 토침향[土沈香: 계해우형지(桂海虞衡誌)], 여아향[女兒香: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아향수[牙香樹, 완향:香, 육마수:六麻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등으로 부른다.

[채취]


<중국산 침향(沈香)의 채취방법>


<중약대사전>: "① 나무 줄기의 지름이 30cm 이상인 것을 선택한다. 지상 1.5~2m 부분을 깊이 약 3~4cm로 도끼 따위로 찍어서 나무진을 분비시킨다. 이렇게 몇 년을 방치해 놓았다가 침향(沈香)을 채취한다. 채취할 때 생긴 상처에서 또 새로운 침향(沈香)이 생긴다.

② 지상 1m 부분에 깊이 3~6cm, 지름 3~10cm의 구멍(흔히 개향문:開香門이라고 한다)을 몇 개 뚫고 진흙으로 구멍을 봉한다. 상처 부근에서 나무진이 분비되는 것을 기다렸다가 수년 후에 침향(沈香)이 생기면 채취한다. 이밖에 마른 백목향수(白木香樹)에서도 침향(沈香)을 채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월이 경과했기 때문에 지질(脂質)이 많고 품질은 좋지만 생산량은 많지 않다. 채취한 침향(沈香)은 손칼로 나무진을 함유하지 않은 부분을 잘라 내고 햇볕에 말리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밀폐 용기에 넣고 그늘져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두어 기름이 빠지거나 마르지 않게 보관한다."

[약재(藥材)]


<중약대사전>: "
1, 수입 침향(沈香): 식물인 침향(沈香)을 함유한 목재는 대부분 군용 철모 모양, 막대기 모양, 널 조각 모양이고 외형은 매우 불규칙하며 길이는 7~20cm, 지름은 1.5~6cm이다. 표면은 갈색이고 흑색과 황색이 교차하는 무늬가 있으며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윤기가 돈다. 질은 단단하고 무겁고 잘 꺽이지 않는다. 칼로 자르면 단면의 색깔은 회갈색이다. 물에 가라앉는 것과 가라앉지 않는 것이 있다. 독특한 냄새가 나고 맛은 쓰다. 태우면 기름이 베어 나오고 강한 냄새가 난다. 주산지는 인도, 말레이시아 등이다.

2, 중국산 침향(沈香):
해남침향(海南沈香)이라고도 한다. 식물인 백목향(白木香)의 나무진을 함유한 목재는 대부분이 불규칙적인 덩어리 모양 또는 널 조각 모양이고 길이는 3~15cm, 지름은 3~6cm이다.

표면은 울퉁불퉁하고 가공한 흔적이 있다. 흑갈색의 나무진을 함유한 부분과 황색인 목부가 보이며 이것이 반점을 형성하고 있다. 그 구멍 부분과 오목한 부분의 표면은 부목(腐木) 모양이다. 질은 비교적 가볍고 절단면은 바늘과 같이 뾰족하며 갈색이다. 대부분 물에 가라앉지 않는다. 독특한 냄새가 나고 맛은 쓰다. 태우면 기름이 배어 나오고 질은 연기가 나며 냄새가 강렬하다. 중국의 광동성, 해남도가 주산지이고 광서에서도 생산된다.

침향(沈香) 중에서 유성(油性)이 풍부하고 질이 무거우며 점성이 있는 것은 정선 가공하여 가남향(伽
img1.jpg香)으로 사용한다."

[성분]


<중약대사전>: "침향(沈香)의 acetone 추출물(40~50%)을 알칼리성으로 하여 증류시켜 얻은 13%의 정유는 benzyl acetone, ρ-methoxybenzyl acetone 등을 함유하고 잔류액에는 hydrocinamic acid, ρ-methoxybenzyl aceto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균류에 감염된 침향(沈香)에는 agarospirol agarol, agarofuran, dihydroagarofuran, 4-hydroxy-dihydro arofrane nroketoagarofuran, 3, 4-dihydroxy-dihydrosgarofuran, norketoagarofurane이 함유되어 있고 감염되지 않은 것에는 유황, selinane, aga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포제(
製)]

<중약대사전>: "솔로 오물을 제거하고 작은 덩어리를 깨뜨려서 사용할 때에는 부수어 미세한 분말로 한다."

[성미]


1, <중약대사전>: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2, <명의별록>: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3, <해약본초>: "맛은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4, <일화자제가본초>: "맛은 매우며 성질은 뜨겁고 독이 없다."

5, <본초강목>: "씹서어 향기가 나고 단 것의 성질은 평하고 매운 것의 성질은 뜨겁다."

[귀경(歸經)]

1, <중약대사전>: "신(腎), 비(脾), 위경(胃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신(腎), 명문(命門)의 2경(經)에 들어간다."

3, <신농본초경소>: "족양명(足陽明), 족태음(足太陰), 족소음(足少陰), 수소음(手少陰), 족궐음경(足厥陰經)에 들어간다."

4, <약품화의>: "폐(肺), 신(腎)의 2경(經)에 들어간다."

5, <본초경해>: "족소양담(足小陽膽), 족궐음간(足厥陰肝),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1, <중약대사전>: "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고 온중(溫中)하며 신장을 따뜻하게 하고 기(氣)를 끌어 들이는 효능이 있다. 기역천식(氣逆喘息), 구토애역(
嘔吐呃逆), 완복창통(脘腹脹痛), 요슬허냉(腰膝虛冷), 대장허비(大腸虛秘), 소변기림(小便氣淋), 남자정냉(男子精冷)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풍수사(風水邪)에 의한 독종을 치료하고 악기(惡氣)를 제거한다."

3, <도홍경>: "악핵독종(惡核毒腫)을 치료한다."

4, <해약본초>: "심복통(心腹痛), 곽란(
霍亂), 중악(中惡)을 다스리고 정신을 맑게 한다. 술에 달여서 복용하면 좋다. 여러 종류의 창종(瘡腫)에는 고제(膏劑)로 해서 쓰면 좋다."

5, <일화자제가본초>: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오장(五臟)을 보하며 정(精)을 보익하고 성 기능을 도우며 요슬(腰膝)을 덥히고 사기(邪氣)를 제거한다. 근육 경련, 토사, 냉기를 멎게 하고 징벽(
癥癖)을 파(破)한다. 냉풍마비(冷風麻痺), 골절불임(骨節不任), 습풍피부양(濕風皮膚), 심복통(心腹痛), 기리(氣痢)를 치료한다."

6, <진주낭>: "신(腎)을 보하고 악기(惡氣)를 제거하며 위기(胃氣)를 고르게 한다."

7, <본초강목>: "상열하한(上熱下寒), 기역천식(氣逆喘息), 대장허폐(大腸虛閉), 소변기림(
小便氣淋), 남자정냉(男子精冷)을 치료한다."

8, <의림찬요>: "신기(腎氣)를 굳게 하고 명문(命門)을 보하며 중초(中
)를 덥히고 비습(脾濕)을 조(燥)하게 하며 심기(心氣)를 사하하고 역기(逆氣)를 강하시킨다. 조화되지 않는 모든 기(氣)를 조화시킨다. 금구독리(噤口毒痢) 및 사악냉풍한비(邪惡冷風寒痺)를 치료한다."

9, <본초재신>: "간울(肝鬱)을 치료하고 간기(肝氣)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며 비위(脾胃)를 조화시키고 습기(濕氣)를 제거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규(竅)를 열어준다."

[용법과 용량]


<중약대사전>: "내복: 0.5~1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즙액이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1, <중약대사전>: "
음휴화왕(陰虧畵旺), 기허하함(氣虛下陷)인 환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2, <신농본초경소>: "중기(中氣)가 허하고 기가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는 환자는 복용하면 안 된다. 심경(心經)에 실사(實邪)가 있는 환자는 이것을 복용하면 안 된다. 명문진화(命門眞火)가 쇠(衰)하지 않은 환자는 가초약(下焦藥)으로 쓰면 안 된다."

3, <본초휘언>: "음허(陰虛)하고 기(氣)가 역상하는 환자는 결코 복용해서는 안 된다."

4, <본경봉원>: "기(氣)가 허(虛)하여 하함(下陷)하는 환자는 많이 복용해서는 안 된다."

5, <본초종신)>: "음휴화왕(陰虧畵旺)인 환자는 절대 복용하면 안 된다."


침향의 효능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침향(沈香)   

성질은 열(熱)하고 맛은 매우며[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풍수(風水)나 독종을 낫게 하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명치 끝이 아픈 것을 멎게 한다. 신정을 돕고 성기능을 높이며 냉풍으로 마비된 것,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거나 쥐가 이는 것을 낫게 한다.   

img1.jpg

○ 영남과 광동, 광서지방 사람들이 침향나무를 도끼로 찍어 홈타기를 만들어 두면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빗물에 젖으면서 향이 뭉친다. 그것은 굳고 검으며 속이 꼭차서 빈 데가 없고 물에 가라앉은 것을 침향이라 하고 물에 뜨는 것을 전향(煎香)이라 한다. 전향 가운데서 생김새가 닭의 다리뼈처럼 생긴 것은 계골향(鷄骨香)이라 하고 말발굽처럼 생긴 것을 마제향(馬蹄香)이라 한다. 물에 가라앉아도 속이 빈 것은 계골향이다. 불을 붙이면 아주 맑은 향기가 세게 난다[본초].  

○ 침향은 여러 가지 기를 돕는데 위로는 머리끝까지 가고 아래로는 발밑까지 가므로 사약[使]으로 쓰인다[탕액].

○ 달이는[湯] 약에는 갈아서 타 먹고 알약이나 가루약에는 따로 보드랍게 가루내어 먹는다[입문].
]

침향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485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다.

[
침향

학명:
Aquillaria agallocha Roxburgh

식물:
높이 30m에 이르는 사철푸른 나무이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가죽질이다.인도 동부,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 남부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자란다.

이 식물의 목질부에는 수지가 없으나 상처를 입거나 썩게 되면 수지가 생겨나서 상처를 보호한다. 이렇게 수지가 생긴 나무를 베어 흙속에 묻거나 자연적으로 썩게 하여 수지가 없는 부분을 없앤 것이다. 이것을 침향, 침수향(Lignum Aloes)이라고 하는 것은 물에 가라앉는 향나무 라는 뜻이다.

성분:
침향을 알칼리로 비누화한 다음 수증기 증류하면 13%의 정유가 얻어진다. 정유의 26%는 벤질아세톤 C6H5-CH2-CH2-CO-CH3, 53%는 P-메톡시벤질아세톤, 11%는 테르펜알코올로 되어 있다. 히드로계피산과 P-메톡시히드로계피산도 들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메스껍고 토할 때, 배가 아플 때, 천식 때 한번에 1.5~3g을 쓴다. 나무속살은 방향성 건위구풍약으로 쓴다. 나무속살은 약한 향기가 있지만 태우면 센 향기를 낸다. 그리하여 고급 선향이나 연향을 만드는데 쓴다. 선향이나 연향은 향기가 있는 여러 가지 나무나 풀을 섞어서 만든다. 고급 선향에 쓰이는 중요한 동약은 침향, 백단, 정향, 대회향, 계피, 감송향, 배초향, 형개, 영롱향, 안식향, 유향, 용뇌, 사향과 같다. 이러한 동약들을 적당히 섞어서 후박나무껍질가루를 풀로 하여 반죽한다. 후박나무껍질가루에는 펜토산이 많이 있어 물과 반죽하면 풀이 된다. 녹말풀로 만든 선향은 물기가 있으면 곰팡이가 끼므로 태울 때 고약한 냄새가 나며 불이 꺼지는 단점이 있다.

참고:
침향에는 중국 남부에서 생산되는 중국침향 또는 영남침향(A. sinensis Gilg)과 말레이시아와 미얀마에서 자라는 말레이침향(A. malaccensis Lamk), 인도에서 생산되는 토침향(Excoecaria agallocha L.: 버들옷과), 중국 교지의 높은 산에서 자라는 교지침향(Aloexylon agallochum Lour.)등이 있다. 말레이침향은 품질이 나쁘다.]

침향이 고대 신라에 유입되었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정수일의 <실크로드 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침향(沈香)


<
침향나무>

일명 침수향(沈水香, 학명 Aquilaria, agallocha) 혹은 노회(蘆薈). 주산지가 말레이 반도인 침향은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서 줄기 높이는 20m 이상이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겉에 흰 광택이 난다. 흰 꽃이 피며, 과실은 익으면 두 쪽으로 갈라진다.

13세기에 중국 송나라의 조여괄(趙汝适)이 쓴 『제번지(諸蕃志)』 권하 「침향조」에 따르면, “침향은 진랍(眞臘, 현 캄보디아)을 비롯해 점성(占城, 현 베트남), 삼불제(三佛齊, 현 수마트라), 사파(闍婆, 현 자바), 대식(大食, 아랍) 등 여러 나라에서 생산되며 그 종류와 명칭 또한 다양하다. 형태에 따라 서각침(犀角沈), 연구침(燕口沈), 부자침(附子沈), 사침(梭沈), 횡격침(橫隔沈) 등으로 구분된다”고 한다.

『영외대답(嶺外代答)』(권7)에도 침향은 여러 번국(蕃國, 외국)에서 수입된다고 하였고, 중세 아랍 대여행가 이븐 바투타(Ibn Batūtah)도 그의 동방여행기에서 크메르[현 캄보디아, 진랍(眞臘), 일명 길멸(吉蔑)]의 침향은 질이 가장 우수하다고 지적하였다.

침향이 신라에 유입된 사실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잡지(雜志)」 ‘거기(車騎)’조에 나타나는데, 진골(眞骨)은 거재(車載)에 침향을 쓸 수 없다는 기록을 비롯해 진골에서 육두품(六頭品)과 육두품녀(六頭品女), 오두품과 오두품녀, 사두품과 사두품녀, 백성(百姓)과 백성녀(百姓女)에 이르는 계층은 침향을 안교(鞍橋)에 쓰지 못하도록 한 금령(禁令) 기록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옥사(屋舍)’조에는 진골이나 육두품에게 침향으로 침상을 꾸미지 못하게 한 기사가 보인다. 한편, 아랍과 일본 수출품 중에도 침향이 들어 있다는 사실은, 침향이 신라에 유입되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

침향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122면 71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토침향(土沈香)

기원: 서향과(瑞香科=팥꽃나무과: Thymeleaceae)식물인 백목향(白木香=중국 침향나무: Aquilaria sinensis (Lour.) Gilg)의 수지(樹脂)를 함유(含有)한 목재(木材)이다.

형태: 상록교목이다. 수피(樹皮)는 회갈색(灰褐色)이고 소지(小枝)와 화서(花序)는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며 전연(全緣)이다. 산형화서(傘形花序)로 꽃은 황녹색(黃綠色)이고 부드럽고 연한 털로 덮여 있으며, 화피(花皮)는 종형(鐘形)으로 5갈래이고,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난형(卵形)이고 목질(木質)이며 회백색(灰白色)의 털로 덮여 있으며, 기부(基部)에는 숙존(宿存)하는 화피(花皮)가 있다. 종자(種子)의 기부(基部)는 길게 늘어나 홍종색(紅棕色)의 각상(角狀) 부속물(附屬物)이 된다.



분포: 소림(疏林)이나 황폐한 산지에 자라며, 일부 지역에서는 재배한다. 중국의 광동(廣東), 광서(廣西)와 대만(臺灣)에 분포(分布)한다.

채취 및 제법: 30cm이상의 큰나무의 수간(樹桿)을 잘라내어 분비되는 수지를 받아 수년 후에 잡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agarol, 방향성 정유(芳香性 精油).

기미: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강기온중(降氣溫中), 난신납기(暖腎納氣).

주치: 기역천식(氣逆喘息), 완복창통(脘腹瘡痛), 요슬허냉(腰膝虛冷), 대장허비(大腸虛秘), 소변기림(小便氣淋).

용량: 2.5∼5g.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상권, 2384호.]

침향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흉격비색(胸膈痞塞), 심복창만(心腹脹滿), 천촉단기(喘促短氣), 건얼번만(乾噦煩滿), 각기상형(脚氣上衡)
초(炒)하여 털을 제거한 향부(香附) 400냥, 침향(沈香) 18.5냥, 축사인(縮砂仁) 48냥, 초감초(炒甘草) 120냥을 미세한 분말로 하여, 1회 1돈을, 소금을 소량 넣고, 끓인 물을 부어서 공복에 복용한다. [국방(局方), 침향강기환(沈香降氣丸)]


2, 음허(陰虛)하여 신기(腎氣)가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는 증상

침향(沈香)을 갈아 만든 즙을 수(數) 푼, 맥문동(麥門冬), 회숙지(懷熟地) 각 3돈, 복령(
茯苓), 산약(山藥), 산수유육(山茱萸肉) 각각 2돈, 모란피(牡丹皮), 택사(澤瀉), 광진피(廣陳皮) 각각 1돈과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3, 비신구허(脾腎久虛), 수음정적(水飮停積), 상승폐경(上乘肺經), 해수단기(咳嗽短氣), 복협창(腹脇脹),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침향(沈香) 1돈, 오약(烏藥), 복령(
茯苓), 진피(陳皮), 택사(澤瀉), 향부자(香附子) 각각 0.5냥, 사향(麝香) 0.5돈을 미세한 분말로 갈아 정제한 벌꿀로 개어서 벽오동 크기의 환을 만든다. 1회 20~30환을, 끓여서 식힌 물로 복용한다. [계봉보제방(鷄峰普濟方), 침향환(沈香丸)]

4, 칠정[七情: 희:喜, 노:怒, 우:憂, 사:思, 비:悲, 공:恐, 경:驚] 상감(傷感), 상기(上氣), 천식, 방민불식(妨悶不食)

인삼(人蔘), 빈랑(
檳榔), 침향(沈香), 천태오약(天台烏藥)의 즙액에 물을 가하여 컵의 7할이 되게 달여서 3~5회 비등시켜, 미지근해지면 복용한다. 또는 양정단(養正丹)에 넣으면 더욱 좋다. [제생방(濟生方), 사마탕(四摩湯)]

5, 흉중담열(胸中痰熱), 오래 된 담화(痰火), 무혈(無血)인 증상

반하국(半夏麴) 8냥(강즙:薑汁 1소배:小杯, 죽력:竹瀝 1대잔:大
으로 만든 것), 황련(黃連: 강즙:薑汁으로 볶은 것) 2냥, 목향(木香) 1냥, 침향(沈香)2냥을 미세한 분말로 하여 감초탕(甘草湯)으로 환을 만든다. 공복에 2돈을 진하지 않은 강즙(薑汁)으로 복용한다. [장씨의통(張씨醫通), 침향화담환(沈香化痰丸)]

6, 상한허비(傷寒虛
), 기역(氣逆)으로 인한 구토
침향(沈香: 잘 게 썬 것) 1냥, 청귤피(靑橘皮), 진귤피(陳橘皮: 탕에 담가 백색 부분을 제거하고 약한 불에 뙤어 말린 것), 호초(胡椒), 회향자(
蘹香子: 볶은 것), 연실(楝實), 필징가(蓽澄茄: 볶은 것) 각각 반냥, 이상 7미(味)를 거칠게 짓찧어 체로 친다. 1회 2전비(錢匕)를 물 반 컵, 술 반 컵에 넣고 총백(蔥白) 한줌을 넣어 전체가 0.5컵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뜨거울 때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침향환(沈香丸)]

7, 위(胃)가 냉(冷)하여 트림이 오래 나오는 증상

침향(沈香), 자소(紫蘇), 백두구(白豆
) 각각 1돈을 가루내어 1회에 5~7푼을 시체탕(枾: 감꼭지탕)으로 복용한다. [활인심통(活人心統)]

8, 대장기체(大腸氣체), 허폐불행(虛閉不行)

침향마즙(沈香磨汁) 8푼을 당귀(當歸), 지각(枳殼), 행인니(杏仁泥), 육종용(
肉蓯蓉) 각각 3돈, 자완(紫菀: 개미취) 1냥을 달여서 침향즙(沈香汁)과 함께 복용한다. [방맥정종(方脈正宗)]

9, 포전불통(胞轉不通)이거나 소변을 너무 오래 참아서 생긴 증상

그 기(氣)를 다스려야 치유되며 이약(利藥)으로는 치료되지 않는다. 침향(沈香), 목향(木香) 각각 2돈을 가루내어 빈속에 끓인 물로 치유될 때까지 복용한다.
[의루원융(醫壘元戎)]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1, <이고(
李杲)>: "침향(沈香)은 여러 종류의 기(氣)를 양(養)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사(使)로 쓰면 가장 좋다."

2, <뇌공포제약성해(雷公
製藥性解)>: "침향(沈香)은 양(陽)에 속하고 성질은 침(沈)하여 대부분 몸의 아랫부분 명신(命腎)에 들어가는 데 작용한다. 향제(香劑)의 대부분은 조(燥)하기에 자주 혈을 상하게 하기 때문에 하초가 허한(虛寒)한 환자는 본품을 쓰지 않으면 안 된다. 만약 수장쇠약(水臟衰弱)으로 상화성염(相火盛炎)인 환자가 이것을 오용하면 수(水)는 점점 고(枯)해지고 화(禍)는 점점 열(烈)하여져 그 화(火)는 헤아릴 수 없게 된다. 오늘날 대부분 평화(平和)한 약으로 사람을 손상(損傷)케 하지 않는 것으로 인정하여 화기(化氣)하는 처방에 자주 사용한다. 그러나 사람을 해치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

[비고(備考)]


1, <남방초목상(南方草木狀)>:
"밀향(密香), 침향(沈香), 계골향(鷄骨香), 황숙향(黃熟香),
잔향(棧香), 청계향(淸桂香), 마제향(馬蹄香), 계설향(鷄舌香) 등 8향(香)은 같은 나무에서 얻을 수 있다.

지금의 교지(交趾: 지금의 베트남 북부의 통킹, 하노이 지방)에 밀향수(密香樹)가 있고 나무 줄기는 거류:거류)와 비슷하며 꽃은 백색이고 무성하며 잎은 귤(橘)과 비슷하다. 향을 얻기 위해서는 벌채하여 몇 년 동안 방치해 둔다.

뿌리, 나무 줄기, 마디의 색은 각각 다르다. 목심(木心)과 마디가 단단하고 흑색이며 물에 가라앉는 것이 침향(
沈香)이다. 수면에 뜨는 것은 계골향(鷄骨香)이다. 뿌리에서는 황숙향(黃熟香)을 얻는다. 뿌리의 마디가 가볍고 큰 것에서는 마제향(馬蹄香)을 얻는다. 꽃은 향기가 없지만 결실하면 향기를 뿜어 계설향(鷄舌香)이 된다. 매우 진기한 나무이다."

2, <
철위산총담(鐵圍山叢談)>: "향목(香木)은 처음에는 1종류였다. 고맥(膏脈)이 관일(貫溢)하면 침실(沈實)이 맺히고 이것이 침수향(沈水香)이 된다. 그러나 침수향(沈水香)에는 4종류가 있으며 숙결(熟結)이라는 것은 자연히 속에서 응실(實)한 것이다. 탈락이라는 것은 나무가 썩어 저절로 탈락된 것이다.

생결(生結)이라는 것은 사람이 도끼나 칼 따위로 상처를 내고 고맥(膏脈)을 모은 것이다.

그래서 생결(生結)이라고 한다.
고루(蠱漏)라고 하는 것은 벌레가 상처를 내고 고맥(膏脈)이 모인 것이다. 자연적으로 탈락된 것이 상품(上品)이며 그 기(氣)는 화(和)하다. 생결(生結), 고루(蠱漏)의 기(氣)는 열(烈)하고 이것들은 하품(下品)이다. 침수향(沈水香)에는 이 4종류 외에 반결반불결(半結半不結)인 것이 있고 롱수침(弄水沈), 롱수향(弄水香)이라는 것으로서 번어(蕃語)로 파채(婆菜)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반결(半結)이기 때문에 충실하고 흑색이며 반불결(半不結)인 것은 충실하지 않고 갈색이어서 호사가(好事家)는 이것을 자고반(鷓鴣斑)이라고 한다. 파채(婆菜) 중에는 수반두(水盤頭)라는 이름이 있으며 수반두(水盤頭)의 굵은 열매는 침수향(沈水香)과 비슷하다. 단 채벌(採伐)된 향목(香木)의 근반(根盤)에는 반드시 고맥(膏脈)이 용일(涌溢)하기 때문에 맺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자주 비에 젖으면 기(氣)는 대단히 성렬(腥烈)해진다. 때문에 파채(婆菜) 중의 소반두(小盤頭)는 하품(下品)인 것이다. 또한 향기는 있지만 그다지 응실(凝
)하지 않은 것을 전향(香)이라고 한다. 침향(沈香), 파채(婆菜), 전향(香) 이 3가지는 하나에서 나왔지만 그 질에는 좋고 나쁜 것이 있다. 그것들의 명칭은 많지만 침수(沈水), 파채(婆菜), 전향(香)에 각각 다른 종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 3종류는 점역산(占域産)인 것은 진납산(眞臘産)에 미치지 못하고 진납산(眞臘産)인 것은 해남려동산(海南黎峒産)에 미치지 못한다. 그리고 이것들은 모두 만안군(万安軍), 길양군(吉陽軍) 사이에 있는 여모산산(黎母山産)에 미치지 못한다. 이것은 천하의 절품(絶品)으로서 이보다 좋은 것은 없다."

3, <본초연의(本草衍義)>:
"
침향(沈香)은 영남(嶺南)의 제군(諸郡)에서 나며 연해(沿海)의 제주(諸州)에서 가장 많이 난다.

오늘날 남은(南恩), 고(高), 보(寶)의 각 주(州)에서는 결향(結香)만을 생산한다. 질이 좋은 침향(沈香)은 경애(
璚崖) 등의 주(州)에서만 생산되며 흔히 각침(角沈)이라고 한다. 황침(黃沈)은 고목(枯木)에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약용에 적합하다. 목피(木皮)에 의해서 결(結)한 것을 청계(靑桂)라고 하며 기(氣)는 매우 청(淸)하다.

오랫동안 흙 속에 있으면서 캐내기 전에 결(結)한 것을 용린(龍鱗)이라고 한다. 또한 깍으면 저절로 말려 들고 씹으면 부드럽고 질긴 것을 황납침(黃
沈)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진품이다.

의방 고전에 풍수독종(風水毒腫)을 치료하고 악기(惡氣)를 제거한다고만 설명되어 있는데 그 외에도 치유되지 않는 것은 없다.

오늘날 의사들은 본품을 사용하여 위기(衛氣)를 보호하고 조화시키는 데서 가장 좋은 약으로 사용하고 있다. 극히 미세한 것이 품질이 좋은 것이다.

지금 사람들은 오약(烏藥)에 가하여 갈아서 복용하여, 체기(滯氣)를 흩어지게 한다. 단독으로 쓰면 효능이 약하지만, 다른 약과 함께 사용하면 상호 좌약(佐藥)으로 되어 천천히 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므로 유익할 뿐 손실이 없다. 다른 약으로 이 처방을 할 수 없다.
"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침향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식물에서 기분 좋은 향기가 나는 방향성 천연재료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감국(단국화) 무엇인가?
  2.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무엇인가?
  3. 고수풀 무엇인가?
  4. 금목서 무엇인가?
  5. 귤나무 무엇인가?
  6. 꽃창포 무엇인가?
  7. 나한송 무엇인가?
  8. 낙우송 무엇인가?
  9. 노간주나무 무엇인가?
  10. 녹나무(장목) 무엇인가?
  11. 들깨 무엇인가?
  12. 메타세쿼이아 무엇인가?
  13. 모과나무 무엇인가?
  14. 몰약 무엇인가?
  15. 무화과 무엇인가?
  16. 미국풍향수(미국풍나무) 무엇인가?
  17. 박하 무엇인가?
  18. 백합 무엇인가?
  19. 복숭아나무 무엇인가?
  20. 사과나무 무엇인가?
  21. 사프란 무엇인가?
  22. 산국(봉래화) 무엇인가?
  23. 산풍향수(산풍나무) 무엇인가?
  24. 살구나무 무엇인가?
  25. 생강 무엇인가?
  26. 생강나무 무엇인가?
  27. 석류나무 무엇인가?
  28. 석창포 무엇인가?
  29. 소나무 무엇인가?
  30. 소합향나무 무엇인가?
  31. 수련 무엇인가?
  32. 수선화 무엇인가?
  33. 쑥 무엇인가?
  34. 연꽃 무엇인가?
  35. 오렌지 무엇인가?
  36. 올리브나무 무엇인가?
  37. 월계수 무엇인가?
  38. 육계나무(육계) 무엇인가?
  39. 은방울꽃(영란) 무엇인가?
  40. 인동덩굴(금은화) 무엇인가?
  41. 일본잎갈나무(일본낙엽송) 무엇인가?
  42. 잎갈나무(낙엽송) 무엇인가?
  43. 잣나무 무엇인가?
  44. 장미 무엇인가?
  45. 장미허브 무엇인가?
  46. 제비꽃 무엇인가?
  47. 죽백나무 무엇인가?
  48. 차나무 무엇인가?
  49. 창포(백창) 무엇인가?
  50. 초피나무 무엇인가?
  51. 측백나무 무엇인가?
  52. 치자나무 무엇인가?
  53. 침향 무엇인가?
  54. 캐모마일 무엇인가?
  55. 편백나무 무엇인가?
  56. 풍향수(대만풍나무) 무엇인가?
  57. 향나무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