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자(치자나무) 무엇인가?

옛부터 음식물에 노란 물감을 들였던 치자

 

 

 

 

 

 

 

 

 

 

[치자의 잎, 홑꽃, 겹꽃, 붉게 익은 열매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혈압내림작용, 약한 설사 작용, 간기능활성증가작용, 담즙배설촉진작용, 이담작용, 진정작용, 체온하강작용, 진통작용, 항균작용, 항염작용, 진균억제작용, 사화제번, 청간명목, 청열이습, 량혈해독, 급성황달형 간염, 염좌상, 무명종독, 관상동맥질환, 소아발열, 소염, 불면증, 진정, 이뇨, 해열, 지혈, 염증, 출혈, 심근염, 토혈, 각혈, 황달, 찢긴 상처, 노란물을 들이는 염색재료용, 타박상을 다스리는 치자나무

치자나무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의 상록관목이다.

치자나무의 학명은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이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높이 1∼2m이며 작은가지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으로 윤기가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짧은 잎자루와 뾰족한 턱잎이 있다. 꽃은 단성화로 6∼7월에 피고 흰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황백색으로 되며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화관은 지름 6∼7cm이고 질이 두꺼우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6∼7개이고 향기가 있다. 수술도 같은 수이다. 꽃봉오리 때에는 꽃잎이 비틀려서 덮여 있다.

열매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9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길이 2cm 정도로 6개의 능각이 있고 위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성숙해도 갈라지지 않는다. 안에는 노란색 과육과 종자가 있다. 열매를 치자라고 하며 한방에서는 불면증과 황달의 치료에 쓰고 소염, 지혈 및 이뇨의 효과가 있다. 음식물의 착색제로 쓰고, 옛날에는 군량미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치자물에 담갔다가 쪄서 저장하였다고 한다.

기본종은 꽃의 지름이 5cm 내외이며 많은 원예품종이 있다. 잎에 흰줄이 있거나, 노란색 반점이 있는 것, 잎이 좁은 것, 잎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3cm 이하인 것, 꽃이 만첩이거나 잎과 꽃이 크고 꽃이 만첩인 것, 열매가 둥근 것, 잎은 거꾸로 선 바소꼴이며 꽃잎이 꽃받침보다 짧은 것, 줄기가 땅으로 기어가는 것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재배하고,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 일본, 중국 , 타이완에 분포한다.  

치자나무의 다른 이름은
치자[梔子
=zhī zi=, 황치자:黃梔子, 황과수:黃果樹, 산치자:山梔子, 홍지자:紅枝子, 목단:木丹, 선지:鮮支, 치자:卮子, 지자:支子, 월도:越桃, 지자:枝子, 소치자:小卮子, 황계자:黃雞子, 황이자:黃荑子, 황치:黃梔, 산황치:山黃梔, 산치:山梔: 에+의학백과(A+醫學百科)], 쿠치나시[クチナシ=梔子: 일문명(日文名)], 좀치자, 겹치자나무, 치자나무, 산치자 등으로 부른다.

치자의 효능에 대해서 조선 시대 허준의
<동의보감> 탕액편, 권삼, 목부, 신대역 동의보감 2016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치자(梔子: 지지)

성질은 차고, 맛은 쓰며, 독은 없다. 가슴과 대소장(大小腸)에 있는 심한 열과 위(胃) 안에 있는 열, 그리고 속이 답답한 것을 치료하고, 열독풍(熱毒風)을 없애주며, 오림(五淋)을 치료하여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5가지 황달(黃疸)을 낫게 하며, 소갈(消渴)을 멎게 하고, 입 안이 마르고 눈이 붉어지며 붓고 아픈 것과 얼굴까지 붉어지는 비사증(鼻齄症)과 나병, 창양(瘡瘍)을 치료하며, 자충(蟅蟲)의 독을 없애준다.

○ 잎은 자두나뭇잎 비슷한데 두껍고 굳으며, 음력 2-3월에 흰 꽃이 피는데, 꽃은 다 6잎이고 아주 향기롭다. 늦은 여름에서 초가을에 열매가 열리는데, 처음에는 푸르다가 익으면 노래지는 바, 속은 짙은 홍색이다. 음력 9월에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 약으로 쓰이는 산치자(山梔子)는 의학책에 나와 있는 월도(越桃)라는 것을 말하는데, 껍질이 얇고 둥글면서 작고, 과피에 도드라진 금이 7모 또는 9모 나는 것이 좋다. <본초>

○ 작고 7모가 난 것이 좋고, 길고 큰 것도 쓸 수 있지만 약효가 없다. <단심>

○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가며, 가슴이 답답하고 괴로워 잠을 잘 수 없는 것을 치료하고, 폐화(肺火)를 사해준다. <탕액>

○ 속씨를 써서 가슴속의 열을 없애고, 껍질을 써서 피부의 열을 없애준다. 보통은 생것을 쓰고, 허화(虛火)에는 동변에 축여 새까맣게 되도록 일곱 번 정도 볶아서 쓰며, 피를 멎게 하는 경우는 먹같이 검게 볶아서 쓰고, 폐(肺)와 위(胃)를 시원하게 할 때는 술에 우려서 쓴다. <입문> <본초분류(本草分類), 치열문(治熱門)>

'지지(芝止)'<향약채취월령>로 표기. <향약채취월령>에서는 음력 9월 채취. 한문(寒門), 치자시탕(梔子豉湯).
]

치자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855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치자(梔子)

[기원]
꼭두서니과의 상록성 떨기나무인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의 잘익은 열매이다. 꽃은 6∼7월에 희게 피고 채취는 10월에 한다.

[성미]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심(心), 폐(肺), 간경(肝經)에 들어간다.

[효능주치]
사화제번(瀉火除煩), 청열이습(淸熱利濕), 량혈해독(凉血解毒)하므로 열병심번(熱病心煩), 간화목적(肝火目赤), 두통(頭痛), 습열황달(濕熱黃疸), 임증(淋證), 토혈(吐血), 뉵혈(?血), 혈림뇨혈(血淋尿血), 구설생창(口舌生瘡), 창양종독(瘡瘍腫毒), 염좌통(捻挫痛)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사화제번(瀉火除煩)

모든 경락의 화(火)를 치료하는데 특히 심간(心肝)의 화(火)를 내리는 데 특징이 있다. 열병으로 사기(邪氣)가 상초기분(上焦氣分)에 쌓여서 번열(煩熱)과 가슴이 울렁대고 번민이 있으면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에는 두시(豆쳥)로써 사기(邪氣)와 열을 내려주면 우울증과 번민이 해소된다. 또한 실열(實熱)이 심하고 화독(火毒)이 몹씨 심하며 헛소리를 하고 고열과 번조(煩躁)가 있으면, 황금(黃芩), 황련(黃連), 황백(黃柏) 각 8g씩 배합하여 사용한다. 간경(肝經)에 화(火)가 있어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고 입안이 쓰며 설태가 백색으로 낄 때에는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을 쓴다.

2. 청간명목(淸肝明目)

간화상염(肝火上炎)으로 안구가 충혈되고 붓고 아프면서 햇빛을 꺼려하게 되면 국화(菊花), 결명자(決明子), 하고초(夏枯草), 용담(龍膽) 각 12g을 배합한다.

3. 청열이습(淸熱利濕)

습열이 간담경(肝膽經)에 쌓여서 일어나는 황달(黃疸)에 인진(茵陳) 20g, 황백(黃柏) 6g을 배합한다. 만약 습열이 방광에 쌓여서 소변이 잦고, 용변시에 통증을 느끼는 임질 증상에는 발열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구맥(瞿麥), 맥문동(麥門冬) 10g, 차전자(車前子) 8g을 사용한다.

4. 량혈해독(凉血解毒)

실화(實火)가 락맥을 손상시켜 혈열망행(血熱妄行)하게 되어 코피, 각혈, 토혈, 혈림(血淋), 변혈 등의 증상을 보일 때에는 생지황(生地黃) 12g, 목단피(牡丹皮) 6g, 백모근(白茅根) 10g을 배합한다. 화독(火毒)이 심하여 일어나는 종기에는 황연(黃連) 6g, 연교(連翹) 15g, 황백(黃柏) 6g을 사용한다.

[임상연구]


1. 급성황달형 간염

달인물을 1일 3회 복용시켜 완치의 효과를 얻었다.

2. 염좌상(捻挫傷)

분말로 만들어서 밀가루에 물로 개어 환처에 붙이는데 이때 물에 에탄올을 첨가하는 것이 더욱 빠른 효과를 나타낸다. 통증, 열감이 제거되면서 부종도 소실된다.

3. 무명종독

치자(梔子), 대황(大黃)을 2:1의 비율로 하여 가루로 만들어 글리세린에 고약을 이용해 고약으로 만들어 환처에 붙인다. 그러면 발적, 종창, 발열, 동통 증상이 완화된다.

4. 관상동맥질환

도인(桃仁)과 함께 각각 12g을 가루내어 꿀을 넣고 개어 심장전면부위의 통증이 심한 곳에 붙이면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심전도상에서도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5. 소아발열

생치자 분말을 70% 알코올이나 독한 술에 30분∼1시간 담가 두었다가 그 물에 밀가루를 개어 환자의 용천(涌泉), 내관혈(內關穴)에 붙여서 치료한다.

[약리작용]


1. 소화기 게통 작용

① 간기능 작용 - 흰쥐의 Ccl4 중독으로 인한 간손상에 대하여 그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력이 있었다. 치자 추출물은 정상 흰쥐의 간 내 Y단백질과 Z단백질의 함량 및 GOT에는 변화가 없으나, 간장(肝臟) diphoshouridine과 glucosedeaminase의 활성은 증가시키고 있었다.

② 토끼에게 치자 달인물과 알코올추출물은 3시간 내에서는 담즙분비에 영향이 없었으나, 배합처방들은 정맥주사시에 담즙의 분비량을 증가시켰다. Geniposide는 체내 실험에서 이담작용에 일정한 상관성이 보인다. 사람이 치자 달인물을 복용하였을 때 담낭을 촬영한 결과 복약 후에 담낭의 현저한 수축작용이 나타났다. 이것은 담즙배설작용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위액분비 및 위장운동 영향-Geniposide 25mg/kg을 12지장에 투여하였을 때 유문결찰한 흰쥐에게서 위액분비가 억제되었고, 위액의 총산도는 감소하였으며, 위산의 PH는 상승작용을 보였다. 저농도의 치자알코올 추출물은 흰쥐와 토끼의 소장운동을 흥분시키고, 고농도에서는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2. 중추신경게통 작용

치자알코올추출물을 생쥐에게 복강주사 하였을 때 자발운동을 감소시켰고, 진정작용을 나타내었다. 치자를 물로 달인 액이나 Geniposide는 진정작용이 없으며, 체온하강 작용을 나타내었고, 진통작용을 보였다.

3. 심혈관계통 작용

달인물과 알코올추출물은 고양이, 토끼, 흰쥐에게 경구투여, 정맥주사, 복강주사를 막론하고 모두 혈압강하작용을 보였다.

4. 항균, 항염 작용

치자 달인물이나 알코올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뇌막염쌍구균 등에 억제작용이 나타났고, 표피의 개선균, 여러종류의 진균등에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용량]


5∼10g

[화학성분]


gardenoside, gardenin, crocin, crocetin, geniposide, tannin 등이 알려져 있다.

[주의사항]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대변을 묽게 보고, 위장(胃腸)이 차서 복통을 일으키는 사람은 복용을 삼간다.
]

치자나무의 효능
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670면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

다른 이름
: 치자

식물:
높이 1~2m 되는 사철푸른 떨기나무이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마주 붙는다. 여름철에 흰 꽃이 피며 향기가 있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6~9개의 모서리가 있으며 노란발간색이으로 익는다.
가지심기 또는 씨로 번식하는데 중부와 남부에서 심으며 북부에서는 온실에서 기른다.
열매의 모양이 옛날 술단지(치라고 한다)와 비슷한 데서 치자라 하였고, 예로부터 노란 물감으로 널리 심어왔다. 그리하여 여러 가지 재배 품종이 생겼는데 열매가 둥근 것을 산치자, 긴 것을 수치자, 붉은 것을 홍치자, 노란 것을 황치자라 하였다.

열매(치자, 산치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약으로는 둥근 것을 쓰므로 산치자라고 한다.

성분:
열매에 이리도이드 배당체 게니핀 C11 H14 O5(녹는점 186℃)과 그 배당체 게니포시드 C17 H24 O(녹는점 163℃) 및 겐티오비오시드, 가르데노시드, 노란 색소인 α-크로신(물분해되면 크로세틴과 포도당으로 된다)이 있다. 이밖에 크산실레틴, 프소랄렌, 페우세다놀메틸에스테르 등 쿠마린 성분이 있다.

꽃의 석유에테르 추출액은 0.045%인데 약 54%의 정유와 46%의 꽃랍으로 이루어졌다. 정유는 초산벤질, 초산리날로올, 안트라닐산, 메틸테르페네올을 주성분으로 한다.

작용: 열매의 물 및 에탄올 추출액은 집토끼에게 먹일 때 열물분비를 뚜렷하게 항진시키지는 않으나 총수담관결찰 때에는 빌리루빈이 피와 말초림프로 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크로신과 그의 나트륨염을 토끼 귀정맥에 주사할 때 열물분비량을 늘리고, 총수담관을 잡아맨 토끼의 핏속으로 빌리루빈이 흘러나가는 것을 억제한다.

인돌계 알칼로이드는 혈압내림작용을 한다. 열매를 흰생쥐에게 먹이면 약한 설사를 일으키는데 그 작용물질은 게니포시드이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소염, 진정, 오줌내기, 열내림, 피멎이약으로 염증, 출혈, 심근염, 토혈, 각혈, 황달에 쓴다.

민간에서는 열매가루와 황경피나무껍질까루를 밀까루와 식초로 개어 타박상, 찢긴 상처에 바른다.
열매는 식표품의 노란물을 들이는 데에도 쓴다.

치자나무열매 달임약(5~8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치자후박탕:
치자나무열매 3g, 후박나무껍질 4g, 탱자나무열매 2g으로 200ml 되게 달여 가슴과 배가 불룩할 때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가미소적산:
시호뿌리, 창출, 당귀뿌리, 함박꽃뿌리, 솔뿌리혹(복령), 각각 3g, 치자나무열매, 모란뿌리껍질 각각 2g, 감초뿌리 1.5g, 박하잎, 생강 각각 1g으로 200ml 되게 달여 신경성 부인과 질병, 갱년기 장애에 정신안정의 목적으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치자인진호탕:
생당쑥 4g, 치자나무열매 3g, 대황뿌리 10g으로 300ml 되게 달여 카타르성 황달에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치자의 부작용 체험담]


필자는 2012년 9월 경기도 오산에 거주하고 있는 이벽해 회원으로부터 치자를 먹고 아래와 같은 부작용을 겪고 있다는 체험담을 이메일로 보내와서 이곳에 글을 올려 많은 분들에게 치자에 대해서 주의사항으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래에 글을 올려본다.
 
[치자열매 차로 마신 후 부작용  

□ 배 경


○ 50세 남자로 신체 건강한편으로 평소 온화하면서도 약간은 조급하며 감수성이 예민한 성정에 항시 아랫배와 손발이 찬 체질

○ 평소 짜고 매운 음식을 즐기고 사회활동상 업무총책임자로 운동량이 부족하며 경계성 비만체형에 만사 의욕적이면서 갈증을 자주 느껴 물을 많이 마시는 체질로 일시 허혈성 뇌졸중이 있어 본태성고혈압을 치료하는 중

○ 금년 8월 25일 인터넷 치자효능 정보를 검색하던 중,

과거 5년전 우연히 지인의 잘못된 권고 현혹으로 허혈성 뇌졸중에 좋다는 만병초와 철죽꽃의 그라야노톡신(중추신경계작용 살충성분) 성분이 함유된 히말라야 네팔산 석청 복용 부작용으로 병원 입원 치료한(아트로핀 링거주사) 경험이 있어

○ 체내 독소 완전배출을 목적으로 치자열매 4개를 달여 마시고 증세 발생

□ 복용 후 증세


○ 치자 효능 정보처럼 위와 가슴 열이 현격히 떨어지고 갈증이 없어졌으나

○ 왼쪽 가슴 뒤 담 결린듯 증세가 일시 왔었으며 증세 약화상태로 신체 여기저기 산발적 발생

○ 의식과 시력이 약간 흐릿해져 건망증과 기억력 감퇴 시야가 뿌연해지는 현상을 경험하고 수분섭취가 현저히 떨어지고  배에 꼬르륵하는 소리와 장의 움직임이 생겨나며

○ 온몸이 더욱 차 절인 듯하고 잠이 길어져 일어나기 힘들며 몸이 조는 듯하고

○ 식욕과 성욕이 현저히 떨어지며 갑작스러이 무기력해져 도탄에 빠진 듯 함

○ 치자차 마시기전엔 전혀 관계 없이 건강 상황

○ 장시간 수영 후 온몸의 체온이 떨어지고 절이고 순환 안되는 상황과도 비슷

□ 화학성분:
gardenoside, gardenin, crocin, crocetin, geniposide, tannin 등

★ 한방정보로 치자는 색소로 사용하나 식용이 아니고, 약용 시 냉체질인 사람은 사용 섭취를 피하도록 하는 지도를 간과 함

□ 병원치료


○ 내과방문 증세 호소하고 중화를 위한 링거주사 처치를 받았으나 효과 없음

○ 인근 약국과 한약방에서도 치자에 대한 정보가 부족 불분명하여 처방이 없음

○ 소견으로 현재 인삼,생강을 섞어 차로 복용하고 있음

□ 의뢰사항


○ 웹서핑으로 선생님의 치자에 관한 상세정보를 접하게 되어 다행으로 생각하고 아울러 처방을 요청 드립니다.
]

옛날 농촌에서는 동네에 큰 행사나 잔칫날에 맷돌에 각종 곡식을 갈 때 물을 들이기 위해 치자를 함께 넣어서 갈면 노랗게 물이드는 모습을 자주 목격할 수 있었다. 치자는 흰꽃이 피는 모습도 아름답고 꽃향기도 그윽하여 집안의 화단이나 울타리에도 심기도 한다. 천연염료로서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 무공해 염색재료로서 위의 기록처럼 물만 들이는 것이 아니라 각종 질병 또한 낫게 하는 효능이 있어 대단히 유용한 식물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치자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